KR20210066481A - 일회용 채혈 기구 - Google Patents

일회용 채혈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481A
KR20210066481A KR1020190155771A KR20190155771A KR20210066481A KR 20210066481 A KR20210066481 A KR 20210066481A KR 1020190155771 A KR1020190155771 A KR 1020190155771A KR 20190155771 A KR20190155771 A KR 20190155771A KR 20210066481 A KR20210066481 A KR 20210066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collection
main body
separation
disposabl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영준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5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6481A/ko
Priority to PCT/KR2020/016591 priority patent/WO2021107535A2/ko
Publication of KR20210066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4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42Devices intended for single use, i.e. dispos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67Modular design or construction, i.e. subunits are assembled separately before being joined together or the device comprises interchangeable or detachable mod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633Protective sleeves which are axially extensible, e.g. sleeve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 the piercing or driving device;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641Protective sleeves which are axially extensible, e.g. sleeve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 the piercing or driving device;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comprising means to impede repositioning of protection sleeve from covering to uncovering position
    • A61B5/150648Protective sleeves which are axially extensible, e.g. sleeve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 the piercing or driving device;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comprising means to impede repositioning of protection sleeve from covering to uncovering position fully automatically triggered, i.e. the triggering of the protective sleev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such as terminating the contact with the patient's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86Devices loaded with a single lancet, i.e. a single lancet with or without a casing is loaded into a reusable drive device and then discarded after use; drive devices reloadable for multiple use
    • A61B5/15188Constructional features of reusable driving devices
    • A61B5/1519Constructional features of reusable driving devices comprising driving means, e.g. a spring, for propelling the piercing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66Operational features for monitoring or limiting apparatus function
    • A61B2560/028Arrangements to prevent overuse, e.g. by counting the number of uses
    • A61B2560/0285Apparatus for single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탈결착 가능한 채혈부를 포함함으로써 채혈 후 상기 채혈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일회용 채혈 기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일회용 채혈 기구{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탈결착 가능한 채혈부를 포함함으로써 채혈 후 상기 채혈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일회용 채혈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혈 기구는 환자의 피부에 가는 바늘을 침투시켜 혈액을 채취하고, 채취된 혈액으로 혈당 검사나 혈액형 검사 등과 같은 각종 검사를 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채혈 기구들은 일반적으로 천공 바늘 또는 블레이드 등과 같은 날카로운 천공 바디를 가진 란셋(lancet)이 스프링 조립체와 함께 외부를 향해 개방되는 구멍을 가진 하우징 내에 수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란셋은 상기 스프링 조립체에 의해 활성화되거나(energized) 또는 편향되며(biased) 이에 따라 천공 바디의 말단 부분은 천공 작동을 수행하도록 하우징의 구멍을 통해 돌출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천공 바디가 하우징의 구멍에 대해 눌러진 피부표면을 통해 천공될 수 있게 하여, 소량의 혈액이 흘러나올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채혈 기구는 환자의 피부에서 혈액을 채취한 후, 소독하여 반복 사용하여 왔고, 노출상태로 취급되어 왔다. 따라서, 채혈 기구의 바늘이 외부 환경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있으며, 오염된 채혈 기구를 이용하여 환자의 혈액을 채취할 경우, 환자가 예상치 못한 질병에 감염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어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탈결착 가능한 채혈부를 포함함으로써 채혈 후 상기 채혈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일회용 채혈 기구를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0939호는 통증, 감염 및 위험성 방지기능이 구비된 침 길이 가변식 채혈침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채혈부가 탈결착 가능한 일회용 채혈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본체부(200); 및 상기 본체부(200)와 탈결착 가능한 채혈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200)는, 외주면에 제1 결착부(260)를 가진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삽입된 본체(220); 상기 본체(220)의 일단부에 형성된 발사봉(230); 상기 발사봉(230)을 감싸고, 본체(220)의 일단부에 매립 또는 고정되어 형성된 압축 스프링(240); 및 상기 발사봉(23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연결부재(250);를 포함하고, 상기 채혈부(300)는, 외주면에 제2 결착부(370)를 가진 채혈본체(310); 상기 채혈본체(310)의 상부에 형성된 제2 연결부재(330); 및 상기 제2 연결부재(330) 하부에 상기 채혈본체(3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채혈침(350);을 포함하는 것인 일회용 채혈 기구(101)를 제공한다.
상기 제1 결착부(260) 및 제2 결착부(370)는 각각 결착홈 및 결착돌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고, 상기 본체부(200) 및 채혈부(300)의 결착 시 상기 제1 결착부(260) 및 제2 결착부(370)가 서로 결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250) 및 제2 연결부재(330)는 각각 자석 또는 금속 중 어느하나인 것이고, 최소한 하나 이상은 자석이며, 상기 본체부(200) 및 채혈부(300)의 결착 시 상기 본체부(200)의 자석 또는 금속과 상기 채혈부(300)의 자석 또는 금속이 자력을 통해 서로 결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 및 채혈부(300)의 결착 시 상기 채혈침(350)은 상기 채혈본체(310)의 최하부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면은 상기 발사봉(23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채혈본체(310)의 하부면은 상기 채혈침(35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본체(220)의 타단부에 형성된 누름부재(225);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는 상기 누름부재(225)를 누름으로써 상기 채혈본체(310)의 최하부면 외부로 노출된 채혈침(350)을 이용하여 채혈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분리용 부재(270);를 더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분리용 부재(270)는, 상기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동홈(280); 상기 이동홈(280)에 결착되어 형성된 분리용 누름부재(275); 상기 분리용 누름 부재(275)의 일단부에 형성된 분리용 봉(290); 및 상기 분리용 봉(290)을 감싸고, 분리용 누름부재(275)에 매립 또는 고정되어 형성된 분리용 스프링(285);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는 상기 분리용 누름부재(275)가 상기 이동홈(280)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분리용 봉(290)이 상기 채혈본체(310)의 제2 결착부(370)에 물리적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본체부(200) 및 채혈부(300)가 탈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는 채혈침을 포함하는 채혈부가 본체부와 용이하게 탈결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채혈 후 사용된 채혈부를 언제든지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혈부의 하단부가 공간을 가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 채혈 시 혈액이 주위에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감염의 위험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는 상기 본체부 및 채혈부의 결착 시 채혈침이 채혈부의 최하부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채혈침에 찔리는 등의 위험이 없으며, 취급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일회용 채혈 기구의 분리된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일회용 채혈 기구의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일회용 채혈 기구의 사용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본체부(200); 및 상기 본체부(200)와 탈결착 가능한 채혈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200)는, 외주면에 제1 결착부(260)를 가진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삽입된 본체(220); 상기 본체(220)의 일단부에 형성된 발사봉(230); 상기 발사봉(230)을 감싸고, 본체(220)의 일단부에 매립 또는 고정되어 형성된 압축 스프링(240); 및 상기 발사봉(23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연결부재(250);를 포함하고, 상기 채혈부(300)는, 외주면에 제2 결착부(370)를 가진 채혈본체(310); 상기 채혈본체(310)의 상부에 형성된 제2 연결부재(330); 및 상기 제2 연결부재(330) 하부에 상기 채혈본체(3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채혈침(350);을 포함하는 것인 일회용 채혈 기구(101)를 제공한다.
이하,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의 분리된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일회용 채혈 기구(101)의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일회용 채혈 기구(101)의 사용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한편,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일회용 채혈 기구(101)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라 설계된 형태이며, 다른 형태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인 바, 본 발명의 일회용 채혈 기구(101)가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는 외주면에 제1 결착부(260)를 가진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삽입된 본체(220), 상기 본체(220)의 일단부에 형성된 발사봉(230), 상기 발사봉(230)을 감싸고, 본체(220)의 일단부에 매립 또는 고정되어 형성된 압축 스프링(240) 및 상기 발사봉(23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연결부재(25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0)은 내부에 본체(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공간 크기를 상기 본체(220) 크기와 동일하게 설계함으로써 본체(220)가 하우징(210) 내부에 밀착되어 삽입된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 및 본체(220)의 형태는 원기둥 형태(봉 형태) 또는 다각기둥 형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기둥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210)은 외주면에 채혈부(300)와 결착을 형성하기 위한 제1 결착부(260)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결착부(260)는 채혈부(300)에 형성된 제2 결착부(370)와 결착가능한 것일 수 있으며, 홈 또는 돌기의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결착부(260)의 위치는 크게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210)의 하단 측면부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220)의 일단부에 형성된 발사봉(230)은 상기 본체(220)와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분리된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발사봉(230)의 형태는 바람직하게 원기둥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발사봉(23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크기는 상기 본체(22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크기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따라서, 하기 후술할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240)이 보다 용이하게 압축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240)은 상기 발사봉(230)을 감싸고, 본체(220)의 일단부에 매립 또는 고정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220) 및 발사봉(230)이 상기 압축 스프링(240)의 탄성으로 인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발사봉(23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크기가 상기 본체(22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본체(220)의 일단부에 매립 또는 고정되어 형성된 압축 스프링(240)이 더욱 용이하게 압축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면은 상기 발사봉(23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이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하기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00) 및 채혈부(300)의 결착 시 채혈침(350)이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목한 형태는 그 형태에 크게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발사봉(230)의 일단부에는 제1 연결부재(25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250)는 채혈부(300)에 형성된 제2 연결부재(330)와 결착가능한 것일 수 있으며, 서로 결착가능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그 종류 또는 형태는 크게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 자석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자력을 통해 서로 결착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소정의 물리적인 힘으로 탈착시킬 수 있을 만큼의 세기로 서로 결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본체부(200) 및 채혈부(300)의 탈착 시 상기 제1 연결부재(250) 및 제2 연결부재(330)의 탈착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연결부재(250)는 하우징(210)의 하부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하우징(2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연결부재(250)는 상기 하우징(210)의 최하단부 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본체(220)의 타단부에 형성된 누름부재(225)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225)는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를 이용하여 채혈 시 눌러주는 수단으로서 상기 누름부재(225)를 누름으로써 채혈본체(310)의 최하부면 외부로 노출된 채혈침(350)을 이용하여 채혈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누름부재(225)를 누름으로써 상기 본체(220) 및 발사봉(230)이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발사봉(230)에 연결된 채혈침(350)이 일회용 채혈 기구(101)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채혈부(300)는 외주면에 제2 결착부(370)를 가진 채혈본체(310), 상기 채혈본체(310)의 상부에 형성된 제2 연결부재(330) 및 상기 제2 연결부재(330) 하부에 상기 채혈본체(3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채혈침(35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채혈본체(310)는 외주면에 본체부(200)와 결착을 형성하기 위한 제2 결착부(370)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결착부(370)는 본체부(200)에 형성된 제1 결착부(260)와 결착가능한 것일 수 있으며, 홈 또는 돌기의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결착부(260)가 홈 형태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제2 결착부(370)는 돌기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제1 결착부(260)가 돌기 형태를 가지는 경우 제2 결착부(370)는 홈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결착부(370)의 위치는 크게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혈본체(310)의 상단 측면부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채혈본체(310)의 하부면은 상기 채혈침(35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채혈본체(310)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본체부(200) 및 채혈부(300)의 결착 시 채혈침(350)이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일 수 있으며, 채혈 시 혈액이 주위에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감염의 위험성이 현저히 줄어드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오목한 형태는 그 형태에 크게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채혈본체(310)의 상부에는 제2 연결부재(3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330)는 본체부(200)에 형성된 제1 연결부재(250)와 결착가능한 것일 수 있으며, 서로 결착가능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그 종류 또는 형태는 크게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 자석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자력을 통해 서로 결착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소정의 물리적인 힘으로 탈착시킬 수 있을 만큼의 세기로 서로 결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본체부(200) 및 채혈부(300)의 탈착 시 상기 제1 연결부재(250) 및 제2 연결부재(330)의 탈착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연결부재(330)는 채혈본체(310)의 상부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채혈본체(310)의 상부면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330) 하부에는 상기 채혈본체(310)를 관통하도록 채혈침(35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채혈침(350)은 실제 채혈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채혈본체(310)의 내부는 채혈침(350)의 크기에 맞게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채혈침(350)은 상기 제2 연결부재(330)의 하부에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분리용 부재(27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용 부재(270)는 상기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동홈(280), 상기 이동홈(280)에 결착되어 형성된 분리용 누름부재(275), 상기 분리용 누름 부재(275)의 일단부에 형성된 분리용 봉(290) 및 상기 분리용 봉(290)을 감싸고, 분리용 누름부재(275)에 매립 또는 고정되어 형성된 분리용 스프링(285)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용 누름부재(275)는 상기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동홈(280)에 결착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이동홈(280)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홈(280)은 바람직하게 상하 방향 즉, 본체부(200)의 본체(220) 및 발사봉(230)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분리용 누름부재(275)는 이동홈(280)의 형성 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리용 누름부재(275)의 상부면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 방향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용 누름부재(275)의 일단부에는 분리용 봉(29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일단부는 상기 분리용 누름부재(275)의 하부면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더불어, 분리용 스프링(285)이 상기 분리용 봉(290)을 감싸고, 분리용 누름부재(275)에 매립 또는 고정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분리용 부재(270)의 하부면에 맞닿은 물체가 있을 경우 상기 분리용 누름부재(275) 및 분리용 봉(290)이 상기 분리용 스프링(285)의 탄성으로 인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는 상기 분리용 누름부재(275)가 상기 이동홈(280)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분리용 봉(290)이 상기 채혈본체(310)의 제2 결착부(370)에 물리적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본체부(200) 및 채혈부(300)가 탈착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원의 일회용 채혈 기구(101)의 작동 원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도 2는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의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본체부(200)의 제1 연결부재(250)와 채혈부(300)의 제2 연결부재(330)가 서로 결착되어 있고, 제1 결착부(260)와 제2 결착부(370) 또한 서로 결착된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연결부재(330)가 상기 제1 연결부재(250)와 결착됨으로써 채혈본체(310)와 분리될 수 있으며, 제2 연결부재(330)의 하부에 고정되어 형성된 채혈침(350)이 일부가 채혈본체(310)의 상부에 노출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채혈침(350)이 본체부(200) 방향으로 승강함에 따라 채혈본체(310)의 최하부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채혈침(350)에 찔리는 등의 위험이 없으며, 취급이 용이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도 3은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의 사용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본체부(200)에 포함된 하우징(210)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누름부재(225)를 누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부재(225)를 누름에 따라 상기 누름부재(225)와 연결되어 있는 본체(220), 상기 본체(220)의 일단부에 형성된 발사봉(230) 및 상기 발사봉(23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연결부재(250)가 모두 하강하게 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재들이 모두 하강함에 따라 제1 연결부재(250)와 결착된 제2 연결부재(330) 및 상기 제2 연결부재(330) 하부에 형성된 채혈침(350) 또한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채혈침(350)이 채혈본체(310)의 최하부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채혈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채혈본체(310)의 최하부면에 맞닿은 피부 내부로 상기 채혈침(350)이 삽입되어 채혈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의 채혈 완료 시 상기 누름부재(225)에 가해준 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본체(220)의 일단부에 매립 또는 고정되어 형성된 압축 스프링(240)이 압축되어 있다가 탄성으로 인하여 승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하강되었던 상기 부재들이 모두 승강되어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가 다시 도 2의 형태로 복원되는 것일 수 있다. 이후, 상기 본체부(200)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분리용 부재(270)에 포함된 분리용 누름부재(275)를 눌러줌으로써 채혈본체(310)의 제2 결착부(37)에 물리적 압력을 가하여 상기 본체부(200) 및 채혈부(300)가 탈착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상기에는 분리용 부재(270)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200) 및 채혈부(300)를 탈착시키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단순히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상기 본체부(200) 및 채혈부(300)가 탈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채혈침(350)을 포함하는 채혈부(300)가 본체부(200)와 용이하게 탈결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채혈 후 사용된 채혈부(300)를 언제든지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를 이용하여 채혈을 수행하게 되면 채혈을 수행할때마다 새로운 깨끗한 채혈부(300)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감염의 위험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101: 일회용 채혈 기구
200: 본체부
210: 하우징
220: 본체
225: 누름부재
230: 발사봉
240: 압축 스프링
250: 제1 연결부재
260: 제1 결착부
270: 분리용 부재
275: 분리용 누름부재
280: 이동홈
285: 분리용 스프링
290: 분리용 봉
300: 채혈부
310: 채혈본체
330: 제2 연결부재
350: 채혈침
370: 제2 결착부

Claims (10)

  1.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탈결착 가능한 채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외주면에 제1 결착부를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형성된 발사봉;
    상기 발사봉을 감싸고, 본체의 일단부에 매립 또는 고정되어 형성된 압축 스프링; 및
    상기 발사봉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채혈부는,
    외주면에 제2 결착부를 가진 채혈본체;
    상기 채혈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 하부에 상기 채혈본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채혈침;을 포함하는 것인 일회용 채혈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착부 및 제2 결착부는 각각 결착홈 및 결착돌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고,
    상기 본체부 및 채혈부의 결착 시 상기 제1 결착부 및 제2 결착부가 서로 결착되는 것인 일회용 채혈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는 각각 자석 또는 금속 중 어느하나인 것이고, 최소한 하나 이상은 자석이며,
    상기 본체부 및 채혈부의 결착 시 상기 본체부의 자석 또는 금속과 상기 채혈부의 자석 또는 금속이 자력을 통해 서로 결착되는 것인 일회용 채혈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채혈부의 결착 시 상기 채혈침은 상기 채혈본체의 최하부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인 일회용 채혈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은 상기 발사봉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인 일회용 채혈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혈본체의 하부면은 상기 채혈침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인 일회용 채혈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본체의 타단부에 형성된 누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일회용 채혈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는 상기 누름부재를 누름으로써 상기 채혈본체의 최하부면 외부로 노출된 채혈침을 이용하여 채혈을 수행하는 것인 일회용 채혈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된 분리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분리용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동홈;
    상기 이동홈에 결착되어 형성된 분리용 누름부재;
    상기 분리용 누름 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된 분리용 봉; 및
    상기 분리용 봉을 감싸고, 분리용 누름부재에 매립 또는 고정되어 형성된 분리용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인 일회용 채혈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는 상기 분리용 누름부재가 상기 이동홈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분리용 봉이 상기 채혈본체의 제2 결착부에 물리적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본체부 및 채혈부가 탈착되는 것인 일회용 채혈 기구.
KR1020190155771A 2019-11-28 2019-11-28 일회용 채혈 기구 KR2021006648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771A KR20210066481A (ko) 2019-11-28 2019-11-28 일회용 채혈 기구
PCT/KR2020/016591 WO2021107535A2 (ko) 2019-11-28 2020-11-23 일회용 채혈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771A KR20210066481A (ko) 2019-11-28 2019-11-28 일회용 채혈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481A true KR20210066481A (ko) 2021-06-07

Family

ID=76130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771A KR20210066481A (ko) 2019-11-28 2019-11-28 일회용 채혈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66481A (ko)
WO (1) WO202110753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82224B (zh) * 2024-01-19 2024-04-02 佳木斯大学 一种医疗病理检测用批量式采血器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3920B2 (ja) * 1993-12-09 2003-04-0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微量定容採血点着用具
KR200273705Y1 (ko) * 2002-01-25 2002-04-27 유태우 출혈침
KR100716015B1 (ko) * 2005-06-08 2007-05-08 유재천 란셋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액의 채취 및 주입 방법
KR20090092736A (ko) * 2009-05-15 2009-09-01 홍종수 채혈기
CN204744202U (zh) * 2015-07-20 2015-11-11 杜昱蕾 一种采血笔
KR102277465B1 (ko) * 2018-04-17 2021-07-15 최민기 채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7535A2 (ko) 2021-06-03
WO2021107535A3 (ko)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0255B2 (ja) 体液を採取するための携帯型器具
JP6473717B2 (ja) 鞍状チップを有する穿刺装置
JP5198596B2 (ja) 標本採取の切開装置
US7775990B2 (en) Blood expression device
US20050215923A1 (en) Fingertip conforming fluid expression cap
EP1075217B1 (en) Apparatus for suctioning and pumping body fluid from an incision
CA2146329C (en) Simple blood-collecting device
JP3802568B2 (ja) 体液サンプリング装置
US20030220663A1 (en) Lancet device
HU219921B (hu) Vérvételi eszköz, különösen ujjbegyből történő vérvételre
JPH0563506U (ja) 簡易採血器
EP1581116A1 (en) Capilary tube tip design to assist blood flow
WO2005034741A1 (en) Lancing device end cap with skin-engaging jaws
KR20030042393A (ko) 일회용 채혈침
JP4145943B2 (ja) 体液サンプリングのための切開装置
KR20210066481A (ko) 일회용 채혈 기구
WO2004064637A1 (en) A lancet holding device
JPH0532087Y2 (ko)
EP1778085A1 (en) Endcap for a vacuum lancing fixture
KR200274416Y1 (ko) 일회용 채혈침
JP2005224366A (ja) 採血ホルダー
PL165354B1 (pl) Lancet do przekłuwania skóry palca pacjenta
MXPA98004004A (es) Dispositivo para tomar muestras de fluidos corporales
PL190398B1 (pl) Przyrząd do nakłuwan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