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07535A2 - 일회용 채혈 기구 - Google Patents

일회용 채혈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07535A2
WO2021107535A2 PCT/KR2020/016591 KR2020016591W WO2021107535A2 WO 2021107535 A2 WO2021107535 A2 WO 2021107535A2 KR 2020016591 W KR2020016591 W KR 2020016591W WO 2021107535 A2 WO2021107535 A2 WO 2021107535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lood collection
main body
separation
collection device
dispos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659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21107535A3 (ko
Inventor
원영준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1107535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07535A2/ko
Publication of WO2021107535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07535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42Devices intended for single use, i.e. dispos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67Modular design or construction, i.e. subunits are assembled separately before being joined together or the device comprises interchangeable or detachable mod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633Protective sleeves which are axially extensible, e.g. sleeve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 the piercing or driving device;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641Protective sleeves which are axially extensible, e.g. sleeve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 the piercing or driving device;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comprising means to impede repositioning of protection sleeve from covering to uncovering position
    • A61B5/150648Protective sleeves which are axially extensible, e.g. sleeve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 the piercing or driving device;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comprising means to impede repositioning of protection sleeve from covering to uncovering position fully automatically triggered, i.e. the triggering of the protective sleev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such as terminating the contact with the patient's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86Devices loaded with a single lancet, i.e. a single lancet with or without a casing is loaded into a reusable drive device and then discarded after use; drive devices reloadable for multiple use
    • A61B5/15188Constructional features of reusable driving devices
    • A61B5/1519Constructional features of reusable driving devices comprising driving means, e.g. a spring, for propelling the piercing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66Operational features for monitoring or limiting apparatus function
    • A61B2560/028Arrangements to prevent overuse, e.g. by counting the number of uses
    • A61B2560/0285Apparatus for single us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that can easily replace the blood collection unit after blood collection by including a main body and a blood collecting unit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 a blood collection device is used to collect blood by penetrating a thin needle into the skin of a patient, and to perform various tests such as a blood glucose test or a blood type test with the collected blood.
  • Such blood collection instruments generall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lancet having a sharp piercing body, such as a puncturing needle or blade, etc. is accommodated in a housing having a hole that opens outwardly with a spring assembly.
  • the lancet is energized or biased by the spring assembly such that the distal portion of the piercing body protrudes through the hole in the housing to effect the piercing action.
  • the perforation body can be perforated through the skin surface pressed against the hole of the housing, thereby allowing a small amount of blood to flow out.
  • the conventional blood collec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has been used repeatedly by sterilizing after collecting blood from a patient's skin, and has been treated as an exposed state.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needle of the blood collection device is contaminat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when the patient's blood is collected using the contaminated blood collection device, there is a risk that the patient may be infected with an unexpected disease.
  • the present inventors developed a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that can easily replace the blood collection unit after blood collection by including a main body and a blood collection unit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during research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as completed.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60939 discloses a needle length variable lancet having a function to prevent pain, infection and risk.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in which a blood collection unit is detachable.
  •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 the main body 200 includes: a housing 210 having a first binding unit 260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body 220 inserted into the housing 210; a balsa rod 230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220; a compression spring 240 that surrounds the firing rod 230 and is embedded or fixed to one end of the body 220; and a first connecting member 250 formed on one end of the balsa rod 230, wherein the blood collection unit 300 includes a blood collection body 310 having a second binding portion 370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econd connection member 33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and a blood collection needle 350 formed under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30 to penetrate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provides a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101 that includes.
  • the first binding part 260 and the second binding part 370 are one of a binding groove and a binding protrusion, respectively, and when the main body part 200 and the blood collection part 300 are bound, the first binding part ( 260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370 may be bound to each other.
  • Each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50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330 is any one of a magnet or a metal, and at least one is a magnet, and when the main body 200 and the blood collection unit 300 are bound, the The magnet or metal of the main body 200 and the magnet or metal of the blood collection unit 300 may be bound to each other through magnetic force.
  • the blood collection needle 350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most surface of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
  •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may have a concave centr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ing rod 230 .
  • the lower surface of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may have a concave centra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blood collection needle 350 .
  • the main body 200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member 225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220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10 .
  • the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101 may perform blood collection using the blood collection needle 35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most surface of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by pressing the pressing member 225 .
  • the main body 200 further includes a separating member 270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210 , and the separating member 270 includes a moving groove ( )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210 . 280); a pressing member 275 for separation formed by being coupled to the moving groove 280; a separation rod 290 formed at one end of the separation pressing member 275; and a spring 285 for separation that surrounds the separation rod 290 and is embedded or fixed in the pressing member 275 for separation.
  • the separation rod 290 is connected to the second binding part 370 of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 ) by applying physical pressure to the main body 200 and the blood collection unit 300 may be detached.
  • the used blood collection unit can be replaced at any time after blood collection.
  • the lower end of the blood collection unit is concave to have a sp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blood from splashing around during blood collection,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risk of infection.
  • the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most surface of the blood collection unit when the main body and the blood collection unit are attached, there is no risk of a user using the blood collection device being stabbed by the needle, and there is an effect of easy handling.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solated form of a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mbined form of a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orm of use of a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 the main body 200 includes: a housing 210 having a first binding unit 260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body 220 inserted into the housing 210; a balsa rod 230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220; a compression spring 240 that surrounds the firing rod 230 and is embedded or fixed to one end of the body 220; and a first connecting member 250 formed on one end of the balsa rod 230, wherein the blood collection unit 300 includes a blood collection body 310 having a second binding portion 370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econd connection member 33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and a blood collection needle 350 formed under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30 to penetrate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provides a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101 that includes.
  • FIGS. 1 to 3 are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eparated form of the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101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mbined form of the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101
  • FIG. 3 is the use of the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101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n.
  • the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101 shown in FIGS. 1 to 3 is a shape design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can be used in other shapes, so that the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10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that it may have a form.
  • the main body 200 includes a housing 210 having a first fastening portion 260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main body 220 inserted into the housing 210, and the main body 220 .
  •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50 may be included.
  • the housing 210 may have a space so that the main body 220 can be inserted therein, preferably by designing the space to be the same as the main body 220 size.
  • 220 may have a structure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housing 210 .
  • the housing 210 and the body 2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rod shape) or a polygonal prism shape, and preferably have a cylindrical shape.
  • the housing 210 may have a first binding part 260 for forming a binding with the blood collection part 300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 the first binding part 260 may be binding with the second binding part 370 formed in the blood collection unit 300 , and may have a groove or a protrusion shape.
  • the position of the first fastening part 26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preferably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housing 210 .
  • the balsa rod 230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220 may have a form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220, or may have a separate form.
  • the shape of the balsa rod 230 may preferabl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the size of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balsa rod 230 is greater than the size of the upper surface or lower surface of the body 220 . It can be small. Therefor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mpression spring 240 may be more easily compressible.
  • the compression spring 240 surrounds the balsa rod 230, and is formed by being embedded or fixed to one end of the body 220 so that the main body 220 and the balsa rod 230 are formed.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compression spring 240, it may be movable up and down. 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balsa rod 230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20 as described above, it is embedded or fix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220 . The formed compression spring 240 may be more easily compressible.
  •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may have a concave central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firing rod 230 . Since the housing 210 has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blood collection needle 35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101 when the main body 200 and the blood collection unit 300 are attach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it may not be On the other hand, the concave shape is not greatly limited in its shape, and may be concavely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for example.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50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firing rod 230 .
  •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50 may be binding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30 formed in the blood collection unit 300, and if it has a configuration capable of binding to each other, the type or shape is not greatly limited, but preferably a magnet Alternatively, it may be made of metal and bound to each other through magnetic force. That is, since they are bound to each other with sufficient strength to be detached by a predetermined physical force, when the main body 200 and the blood collection unit 300 are detache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50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 330) may be easily performed.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50 may be formed to be ex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 and may be located in a concave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 Accordingl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5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wermost end of the housing 210 .
  • the main body 200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member 225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220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10 .
  • the pressing member 225 is a means for pressing during blood collection using the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101.
  • the blood collection needle 35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most surface of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is used. This may be to perform blood sampling. That is, as the main body 220 and the balsa rod 230 are moved downward by pressing the pressing member 225 , the lancet 350 connected to the balsa rod 230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101 . may be exposed.
  • the blood collection unit 300 includes a blood collection body 310 having a second binding portion 370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second connection member 33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and It may include a blood collection needle 350 formed to penetrate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under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30 .
  •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may have a second binding part 370 for forming a binding with the body part 200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 the second fastening part 370 may be capable of binding with the first fastening part 260 formed in the main body 200 , and may have the shape of a groove or a protrusion. That is, when the first binding part 260 has a groove shape, the second binding part 370 may have a protrusion shape. When the first binding part 260 has a protrusion shape, the second binding part 370 has a protrusion shape. 370 may have a groove shape.
  • the position of the second binding part 370 is not greatly limited, but preferably, it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side of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
  • the lower surface of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may have a concave central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location of the blood collection needle 350 . Since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has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blood collection needle 350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101 when the main body 200 and the blood collection unit 300 are bound. , it can prevent blood from splattering around when drawing blood, which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risk of infection.
  • the concave sha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its shape, and for example, may be concavely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330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
  •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330 may be bindable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50 formed on the main body 200, and if 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the type or form is not greatly limited, but preferably a magnet Alternatively, it may be made of metal and bound to each other through magnetic force. That is, since they are bound to each other with sufficient strength to be detached by a predetermined physical force, when the main body 200 and the blood collection unit 300 are detache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50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 330) may be easily performed.
  •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330 may be formed to b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it may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 a blood collection needle 350 may be formed under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30 to penetrate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
  • the blood collection needle 350 is a means for actually performing blood collection, and the inside of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may have a hole in it to fit the size of the blood collection needle 350 so that it can move up and down.
  • the blood collection needle 350 may be formed by being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330 .
  • the main body 20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ng member 270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210 .
  • the separating member 270 includes a moving groove 280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210 , a separating pressing member 275 formed by being coupled to the moving groove 280 , and the separating pressing member 275 .
  • ) may include the separation rod 290 formed at one end of the separation rod 290 and the separation rod 290 and the separation spring 285 formed by being embedded or fixed in the separation pressing member 275 .
  • the separation pressing member 275 may be formed by being coupled to the moving groove 28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210 to be movable along the moving groove 280 .
  • the moving groove 280 may be preferably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that i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ain body 220 and the firing rod 230 of the main body 200, in this case, the pressing member for separation. 275 may be movabl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movable groove 280 .
  •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275 for separation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housing 21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ress with a finger.
  • the separation rod 290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pressing member 275 for separation, and the one end may mean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275 for separation.
  • the separation spring 285 surrounds the separation rod 290 and is formed by being embedded or fixed in the separation pressing member 275, so that when there is an object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er 270, the The separation pressing member 275 and the separation rod 290 may be movable up and down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separation spring 285 . That is, in the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101 , as the separation pressing member 275 moves downward along the moving groove 280 , the separation rod 290 is the second binding part of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 By applying physical pressure to the 370 , the main body 200 and the blood collection unit 300 may be detached.
  •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mbined form of the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101 , and a second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50 and the blood collection unit 300 of the main body 200 .
  • the members 33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coupling part 26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370 may also have a shape coupled to each other.
  •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30 may be separated from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by binding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50 , and the blood collection needle 350 formed by being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30 . This part may be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 the lowermost surface of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ere is no risk of being stabbed by the blood collection needle 350 by a user using it. , it may be easy to handle.
  • Figure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use of the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101, the pressing member 225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10 included in the main body 200. It shows the pressed form. Specifically, the body 220 connected to the pressing member 225 as the pressing member 225 is pressed, the balsa rod 230 and the balsa rod 230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220 .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50 formed at one end of the may be all descending.
  • the Blood collection may be performed by exposing the blood collection needle 350 to the outside of the lowermost surface of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 That is, the blood collection needle 350 may be inserted into the skin in contact with the lowermost surface of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to perform blood collection.
  • the compression spring ( 240)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ing member 225 is removed when the blood collection of the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101 is completed, the compression spring ( 240) is compressed and then lifted due to elasticity, and thus all the members that have been lowered are lifted and the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101 may be restored to the shape of FIG. 2 again. Thereafter, by pressing the separating pressing member 275 included in the separating member 270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housing 210, it is physically attached to the second binding part 37 of the blood collection body 310. The main body 200 and the blood collection unit 300 may be detached by applying pressure.
  • the configuration of detaching the main body 200 and the blood collecting unit 300 using the separating member 270 has been described.
  • the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101 is used after blood collection because the blood collection unit 300 including the blood collection needle 350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main body 200 as described above. can be replaced at any time. Therefore, when blood collection is performed using the disposable blood collection device 101, a new clean blood collection unit 300 can be used whenever blood collection is performed,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risk of external inf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탈결착 가능한 채혈부를 포함함으로써 채혈 후 상기 채혈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일회용 채혈 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는 채혈침을 포함하는 채혈부가 본체부와 용이하게 탈결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채혈 후 사용된 채혈부를 언제든지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혈부의 하단부가 공간을 가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 채혈 시 혈액이 주위에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감염의 위험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채혈 기구
본 발명은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탈결착 가능한 채혈부를 포함함으로써 채혈 후 상기 채혈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일회용 채혈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혈 기구는 환자의 피부에 가는 바늘을 침투시켜 혈액을 채취하고, 채취된 혈액으로 혈당 검사나 혈액형 검사 등과 같은 각종 검사를 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채혈 기구들은 일반적으로 천공 바늘 또는 블레이드 등과 같은 날카로운 천공 바디를 가진 란셋(lancet)이 스프링 조립체와 함께 외부를 향해 개방되는 구멍을 가진 하우징 내에 수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란셋은 상기 스프링 조립체에 의해 활성화되거나(energized) 또는 편향되며(biased) 이에 따라 천공 바디의 말단 부분은 천공 작동을 수행하도록 하우징의 구멍을 통해 돌출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천공 바디가 하우징의 구멍에 대해 눌러진 피부표면을 통해 천공될 수 있게 하여, 소량의 혈액이 흘러나올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채혈 기구는 환자의 피부에서 혈액을 채취한 후, 소독하여 반복 사용하여 왔고, 노출상태로 취급되어 왔다. 따라서, 채혈 기구의 바늘이 외부 환경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있으며, 오염된 채혈 기구를 이용하여 환자의 혈액을 채취할 경우, 환자가 예상치 못한 질병에 감염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어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탈결착 가능한 채혈부를 포함함으로써 채혈 후 상기 채혈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일회용 채혈 기구를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0939호는 통증, 감염 및 위험성 방지기능이 구비된 침 길이 가변식 채혈침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채혈부가 탈결착 가능한 일회용 채혈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본체부(200); 및 상기 본체부(200)와 탈결착 가능한 채혈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200)는, 외주면에 제1 결착부(260)를 가진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삽입된 본체(220); 상기 본체(220)의 일단부에 형성된 발사봉(230); 상기 발사봉(230)을 감싸고, 본체(220)의 일단부에 매립 또는 고정되어 형성된 압축 스프링(240); 및 상기 발사봉(23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연결부재(250);를 포함하고, 상기 채혈부(300)는, 외주면에 제2 결착부(370)를 가진 채혈본체(310); 상기 채혈본체(310)의 상부에 형성된 제2 연결부재(330); 및 상기 제2 연결부재(330) 하부에 상기 채혈본체(3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채혈침(350);을 포함하는 것인 일회용 채혈 기구(101)를 제공한다.
상기 제1 결착부(260) 및 제2 결착부(370)는 각각 결착홈 및 결착돌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고, 상기 본체부(200) 및 채혈부(300)의 결착 시 상기 제1 결착부(260) 및 제2 결착부(370)가 서로 결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250) 및 제2 연결부재(330)는 각각 자석 또는 금속 중 어느하나인 것이고, 최소한 하나 이상은 자석이며, 상기 본체부(200) 및 채혈부(300)의 결착 시 상기 본체부(200)의 자석 또는 금속과 상기 채혈부(300)의 자석 또는 금속이 자력을 통해 서로 결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 및 채혈부(300)의 결착 시 상기 채혈침(350)은 상기 채혈본체(310)의 최하부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면은 상기 발사봉(23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채혈본체(310)의 하부면은 상기 채혈침(35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본체(220)의 타단부에 형성된 누름부재(225);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는 상기 누름부재(225)를 누름으로써 상기 채혈본체(310)의 최하부면 외부로 노출된 채혈침(350)을 이용하여 채혈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분리용 부재(270);를 더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분리용 부재(270)는, 상기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동홈(280); 상기 이동홈(280)에 결착되어 형성된 분리용 누름부재(275); 상기 분리용 누름 부재(275)의 일단부에 형성된 분리용 봉(290); 및 상기 분리용 봉(290)을 감싸고, 분리용 누름부재(275)에 매립 또는 고정되어 형성된 분리용 스프링(285);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는 상기 분리용 누름부재(275)가 상기 이동홈(280)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분리용 봉(290)이 상기 채혈본체(310)의 제2 결착부(370)에 물리적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본체부(200) 및 채혈부(300)가 탈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는 채혈침을 포함하는 채혈부가 본체부와 용이하게 탈결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채혈 후 사용된 채혈부를 언제든지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혈부의 하단부가 공간을 가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 채혈 시 혈액이 주위에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감염의 위험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는 상기 본체부 및 채혈부의 결착 시 채혈침이 채혈부의 최하부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채혈침에 찔리는 등의 위험이 없으며, 취급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일회용 채혈 기구의 분리된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일회용 채혈 기구의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일회용 채혈 기구의 사용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본체부(200); 및 상기 본체부(200)와 탈결착 가능한 채혈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200)는, 외주면에 제1 결착부(260)를 가진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삽입된 본체(220); 상기 본체(220)의 일단부에 형성된 발사봉(230); 상기 발사봉(230)을 감싸고, 본체(220)의 일단부에 매립 또는 고정되어 형성된 압축 스프링(240); 및 상기 발사봉(23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연결부재(250);를 포함하고, 상기 채혈부(300)는, 외주면에 제2 결착부(370)를 가진 채혈본체(310); 상기 채혈본체(310)의 상부에 형성된 제2 연결부재(330); 및 상기 제2 연결부재(330) 하부에 상기 채혈본체(3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채혈침(350);을 포함하는 것인 일회용 채혈 기구(101)를 제공한다.
이하,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의 분리된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일회용 채혈 기구(101)의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일회용 채혈 기구(101)의 사용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한편,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일회용 채혈 기구(101)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라 설계된 형태이며, 다른 형태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인 바, 본 발명의 일회용 채혈 기구(101)가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는 외주면에 제1 결착부(260)를 가진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삽입된 본체(220), 상기 본체(220)의 일단부에 형성된 발사봉(230), 상기 발사봉(230)을 감싸고, 본체(220)의 일단부에 매립 또는 고정되어 형성된 압축 스프링(240) 및 상기 발사봉(23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연결부재(25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0)은 내부에 본체(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공간 크기를 상기 본체(220) 크기와 동일하게 설계함으로써 본체(220)가 하우징(210) 내부에 밀착되어 삽입된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 및 본체(220)의 형태는 원기둥 형태(봉 형태) 또는 다각기둥 형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기둥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210)은 외주면에 채혈부(300)와 결착을 형성하기 위한 제1 결착부(260)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결착부(260)는 채혈부(300)에 형성된 제2 결착부(370)와 결착가능한 것일 수 있으며, 홈 또는 돌기의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결착부(260)의 위치는 크게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210)의 하단 측면부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220)의 일단부에 형성된 발사봉(230)은 상기 본체(220)와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분리된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발사봉(230)의 형태는 바람직하게 원기둥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발사봉(23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크기는 상기 본체(22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크기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따라서, 하기 후술할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240)이 보다 용이하게 압축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240)은 상기 발사봉(230)을 감싸고, 본체(220)의 일단부에 매립 또는 고정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220) 및 발사봉(230)이 상기 압축 스프링(240)의 탄성으로 인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발사봉(23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크기가 상기 본체(22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본체(220)의 일단부에 매립 또는 고정되어 형성된 압축 스프링(240)이 더욱 용이하게 압축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면은 상기 발사봉(23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이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하기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00) 및 채혈부(300)의 결착 시 채혈침(350)이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목한 형태는 그 형태에 크게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발사봉(230)의 일단부에는 제1 연결부재(25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250)는 채혈부(300)에 형성된 제2 연결부재(330)와 결착가능한 것일 수 있으며, 서로 결착가능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그 종류 또는 형태는 크게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 자석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자력을 통해 서로 결착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소정의 물리적인 힘으로 탈착시킬 수 있을 만큼의 세기로 서로 결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본체부(200) 및 채혈부(300)의 탈착 시 상기 제1 연결부재(250) 및 제2 연결부재(330)의 탈착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연결부재(250)는 하우징(210)의 하부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하우징(2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연결부재(250)는 상기 하우징(210)의 최하단부 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본체(220)의 타단부에 형성된 누름부재(225)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225)는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를 이용하여 채혈 시 눌러주는 수단으로서 상기 누름부재(225)를 누름으로써 채혈본체(310)의 최하부면 외부로 노출된 채혈침(350)을 이용하여 채혈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누름부재(225)를 누름으로써 상기 본체(220) 및 발사봉(230)이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발사봉(230)에 연결된 채혈침(350)이 일회용 채혈 기구(101)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채혈부(300)는 외주면에 제2 결착부(370)를 가진 채혈본체(310), 상기 채혈본체(310)의 상부에 형성된 제2 연결부재(330) 및 상기 제2 연결부재(330) 하부에 상기 채혈본체(3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채혈침(35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채혈본체(310)는 외주면에 본체부(200)와 결착을 형성하기 위한 제2 결착부(370)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결착부(370)는 본체부(200)에 형성된 제1 결착부(260)와 결착가능한 것일 수 있으며, 홈 또는 돌기의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결착부(260)가 홈 형태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제2 결착부(370)는 돌기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제1 결착부(260)가 돌기 형태를 가지는 경우 제2 결착부(370)는 홈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결착부(370)의 위치는 크게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혈본체(310)의 상단 측면부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채혈본체(310)의 하부면은 상기 채혈침(35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채혈본체(310)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본체부(200) 및 채혈부(300)의 결착 시 채혈침(350)이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일 수 있으며, 채혈 시 혈액이 주위에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감염의 위험성이 현저히 줄어드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오목한 형태는 그 형태에 크게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채혈본체(310)의 상부에는 제2 연결부재(3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330)는 본체부(200)에 형성된 제1 연결부재(250)와 결착가능한 것일 수 있으며, 서로 결착가능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그 종류 또는 형태는 크게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 자석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자력을 통해 서로 결착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소정의 물리적인 힘으로 탈착시킬 수 있을 만큼의 세기로 서로 결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본체부(200) 및 채혈부(300)의 탈착 시 상기 제1 연결부재(250) 및 제2 연결부재(330)의 탈착이 용이하게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연결부재(330)는 채혈본체(310)의 상부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채혈본체(310)의 상부면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330) 하부에는 상기 채혈본체(310)를 관통하도록 채혈침(35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채혈침(350)은 실제 채혈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채혈본체(310)의 내부는 채혈침(350)의 크기에 맞게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채혈침(350)은 상기 제2 연결부재(330)의 하부에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분리용 부재(27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용 부재(270)는 상기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동홈(280), 상기 이동홈(280)에 결착되어 형성된 분리용 누름부재(275), 상기 분리용 누름 부재(275)의 일단부에 형성된 분리용 봉(290) 및 상기 분리용 봉(290)을 감싸고, 분리용 누름부재(275)에 매립 또는 고정되어 형성된 분리용 스프링(285)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용 누름부재(275)는 상기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동홈(280)에 결착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이동홈(280)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홈(280)은 바람직하게 상하 방향 즉, 본체부(200)의 본체(220) 및 발사봉(230)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분리용 누름부재(275)는 이동홈(280)의 형성 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리용 누름부재(275)의 상부면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 방향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용 누름부재(275)의 일단부에는 분리용 봉(29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일단부는 상기 분리용 누름부재(275)의 하부면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더불어, 분리용 스프링(285)이 상기 분리용 봉(290)을 감싸고, 분리용 누름부재(275)에 매립 또는 고정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분리용 부재(270)의 하부면에 맞닿은 물체가 있을 경우 상기 분리용 누름부재(275) 및 분리용 봉(290)이 상기 분리용 스프링(285)의 탄성으로 인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는 상기 분리용 누름부재(275)가 상기 이동홈(280)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분리용 봉(290)이 상기 채혈본체(310)의 제2 결착부(370)에 물리적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본체부(200) 및 채혈부(300)가 탈착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원의 일회용 채혈 기구(101)의 작동 원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도 2는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의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본체부(200)의 제1 연결부재(250)와 채혈부(300)의 제2 연결부재(330)가 서로 결착되어 있고, 제1 결착부(260)와 제2 결착부(370) 또한 서로 결착된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연결부재(330)가 상기 제1 연결부재(250)와 결착됨으로써 채혈본체(310)와 분리될 수 있으며, 제2 연결부재(330)의 하부에 고정되어 형성된 채혈침(350)이 일부가 채혈본체(310)의 상부에 노출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채혈침(350)이 본체부(200) 방향으로 승강함에 따라 채혈본체(310)의 최하부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채혈침(350)에 찔리는 등의 위험이 없으며, 취급이 용이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도 3은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의 사용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본체부(200)에 포함된 하우징(210)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누름부재(225)를 누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부재(225)를 누름에 따라 상기 누름부재(225)와 연결되어 있는 본체(220), 상기 본체(220)의 일단부에 형성된 발사봉(230) 및 상기 발사봉(23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연결부재(250)가 모두 하강하게 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재들이 모두 하강함에 따라 제1 연결부재(250)와 결착된 제2 연결부재(330) 및 상기 제2 연결부재(330) 하부에 형성된 채혈침(350) 또한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채혈침(350)이 채혈본체(310)의 최하부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채혈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채혈본체(310)의 최하부면에 맞닿은 피부 내부로 상기 채혈침(350)이 삽입되어 채혈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의 채혈 완료 시 상기 누름부재(225)에 가해준 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본체(220)의 일단부에 매립 또는 고정되어 형성된 압축 스프링(240)이 압축되어 있다가 탄성으로 인하여 승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하강되었던 상기 부재들이 모두 승강되어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가 다시 도 2의 형태로 복원되는 것일 수 있다. 이후, 상기 본체부(200) 하우징(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분리용 부재(270)에 포함된 분리용 누름부재(275)를 눌러줌으로써 채혈본체(310)의 제2 결착부(37)에 물리적 압력을 가하여 상기 본체부(200) 및 채혈부(300)가 탈착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상기에는 분리용 부재(270)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200) 및 채혈부(300)를 탈착시키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단순히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상기 본체부(200) 및 채혈부(300)가 탈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채혈침(350)을 포함하는 채혈부(300)가 본체부(200)와 용이하게 탈결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채혈 후 사용된 채혈부(300)를 언제든지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101)를 이용하여 채혈을 수행하게 되면 채혈을 수행할때마다 새로운 깨끗한 채혈부(300)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감염의 위험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Claims (10)

  1.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탈결착 가능한 채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외주면에 제1 결착부를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형성된 발사봉;
    상기 발사봉을 감싸고, 본체의 일단부에 매립 또는 고정되어 형성된 압축 스프링; 및
    상기 발사봉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채혈부는,
    외주면에 제2 결착부를 가진 채혈본체;
    상기 채혈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 하부에 상기 채혈본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채혈침;을 포함하는 것인 일회용 채혈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착부 및 제2 결착부는 각각 결착홈 및 결착돌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이고,
    상기 본체부 및 채혈부의 결착 시 상기 제1 결착부 및 제2 결착부가 서로 결착되는 것인 일회용 채혈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는 각각 자석 또는 금속 중 어느하나인 것이고, 최소한 하나 이상은 자석이며,
    상기 본체부 및 채혈부의 결착 시 상기 본체부의 자석 또는 금속과 상기 채혈부의 자석 또는 금속이 자력을 통해 서로 결착되는 것인 일회용 채혈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채혈부의 결착 시 상기 채혈침은 상기 채혈본체의 최하부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인 일회용 채혈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은 상기 발사봉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인 일회용 채혈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혈본체의 하부면은 상기 채혈침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인 일회용 채혈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본체의 타단부에 형성된 누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일회용 채혈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는 상기 누름부재를 누름으로써 상기 채혈본체의 최하부면 외부로 노출된 채혈침을 이용하여 채혈을 수행하는 것인 일회용 채혈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된 분리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분리용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동홈;
    상기 이동홈에 결착되어 형성된 분리용 누름부재;
    상기 분리용 누름 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된 분리용 봉; 및
    상기 분리용 봉을 감싸고, 분리용 누름부재에 매립 또는 고정되어 형성된 분리용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인 일회용 채혈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채혈 기구는 상기 분리용 누름부재가 상기 이동홈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분리용 봉이 상기 채혈본체의 제2 결착부에 물리적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본체부 및 채혈부가 탈착되는 것인 일회용 채혈 기구.
PCT/KR2020/016591 2019-11-28 2020-11-23 일회용 채혈 기구 WO2021107535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771 2019-11-28
KR1020190155771A KR20210066481A (ko) 2019-11-28 2019-11-28 일회용 채혈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7535A2 true WO2021107535A2 (ko) 2021-06-03
WO2021107535A3 WO2021107535A3 (ko) 2021-07-22

Family

ID=76130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6591 WO2021107535A2 (ko) 2019-11-28 2020-11-23 일회용 채혈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66481A (ko)
WO (1) WO202110753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82224A (zh) * 2024-01-19 2024-02-23 佳木斯大学 一种医疗病理检测用批量式采血器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3920B2 (ja) * 1993-12-09 2003-04-0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微量定容採血点着用具
KR200273705Y1 (ko) * 2002-01-25 2002-04-27 유태우 출혈침
KR100716015B1 (ko) * 2005-06-08 2007-05-08 유재천 란셋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액의 채취 및 주입 방법
KR20090092736A (ko) * 2009-05-15 2009-09-01 홍종수 채혈기
CN204744202U (zh) * 2015-07-20 2015-11-11 杜昱蕾 一种采血笔
KR102277465B1 (ko) * 2018-04-17 2021-07-15 최민기 채혈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82224A (zh) * 2024-01-19 2024-02-23 佳木斯大学 一种医疗病理检测用批量式采血器及使用方法
CN117582224B (zh) * 2024-01-19 2024-04-02 佳木斯大学 一种医疗病理检测用批量式采血器及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481A (ko) 2021-06-07
WO2021107535A3 (ko)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69954C2 (ru) Колпачок для ланцет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рокалывания дермальной ткани (варианты), колпачок для ланцет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рокалывания кончика пальца, колпачок для ланцет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рокалывания криволинейной дермальной ткани, ланце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калывания дермальной ткани
AU645922B2 (en) Simple blood sampling device
US20050215923A1 (en) Fingertip conforming fluid expression cap
US20040015064A1 (en) Blood sampling apparatus
WO2002100254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ncet launching device integrated onto a blood-sampling cartridge
WO2021107535A2 (ko) 일회용 채혈 기구
WO20030991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extraction and monitoring of a biological fluid
EP1811893A1 (en) Blood expression device
WO2016052790A1 (ko) 휴대용 침 세트
WO2012081810A1 (ko) 피하침투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란셋장치
WO2012081809A1 (ko) 란셋장치
CN204765670U (zh) 高危病人人体血糖监测分析器
WO2021145519A1 (ko) 사혈기
WO2017179919A1 (ko)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KR20170110279A (ko) 흡착부를 구비한 채혈 방법 및 장치
CN202400801U (zh) 真空采血管开启器
WO2012081808A1 (ko) 란셋 분리가 가능한 란셋장치
WO2010098531A1 (ko) 안전 채혈침
CN209564127U (zh) 一种静脉采血装置
CN207640417U (zh) 一种血液采样装置
CN220045944U (zh) 一种液体标本采集装置
CN103571914A (zh) 获取核酸临床标本的采集方法及装置
WO2020197108A1 (ko) 채혈기를 구비한 시약반응기
CN209107369U (zh) 一种血样采集针
CN213689065U (zh) 一种医学检验用取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9383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9383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