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464A - 발 선풍기 - Google Patents

발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464A
KR20210065464A KR1020190154235A KR20190154235A KR20210065464A KR 20210065464 A KR20210065464 A KR 20210065464A KR 1020190154235 A KR1020190154235 A KR 1020190154235A KR 20190154235 A KR20190154235 A KR 20190154235A KR 20210065464 A KR20210065464 A KR 20210065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intake
blower
side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은혜
Original Assignee
주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은혜 filed Critical 주은혜
Priority to KR1020190154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5464A/ko
Publication of KR20210065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발 선풍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 일정높이를 가진 다리가 구비되고 전측 저면 양측에 각각 흡기홀이 형성되는 하부체, 수용공간에 흡기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저면에 흡기홀과 연통하는 흡입부가 형성되며 후면에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블로워 및 하부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배기홀이 형성되어 블로워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배기홀을 통해 상방으로 배출시키는 상부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 선풍기{AN ELECTRIC FAN FOR FEET}
본 발명은 블로워를 이용한 발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발 선풍기는 바람이 나오는 관통홀이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양쪽 발에 바람을 고루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발 선풍기는 선풍기를 눕힌 구조로, 전동기와 팬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충분한 크기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야 했다.
사용자의 발에 바람을 제공하는 배출구멍 아래에 팬과 모터가 구비된 종래의 발 선풍기는 사용자가 물기를 충분히 제거하지 않은 채로 발을 올리는 경우 모터 측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물기를 잘 닦고 이용하더라도 먼지, 이물질 등이 배출구멍으로 유입됨에 따라 모터와 팬이 오염될 수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5393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6606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양쪽에 고루 바람을 제공하고, 모터가 구비된 팬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발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발 선풍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 일정높이를 가진 다리가 구비되고 전측 저면 양측에 각각 흡기홀이 형성되는 하부체, 수용공간에 흡기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저면에 흡기홀과 연통하는 흡입부가 형성되며 후면에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블로워 및 하부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배기홀이 형성되어 블로워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배기홀을 통해 상방으로 배출시키는 상부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부체는 내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중심 방향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 바람유도판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발 선풍기는 하부체의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어 블로워가 위치하는 전측공간과 바람유도판이 위치하는 후측공간을 전후로 구획시키고 양측에 각각 배출부와 연통하는 연통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 가림벽 및 후측공간에서 전후방향으로 설치되어 후측공간을 양측으로 구획하고 연통홀을 통과하는 공기를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분리시켜 배기홀을 통해 상방으로 배출시키는 제2 가림벽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로워를 이용하여 저면에서 바람을 끌어 양쪽 발에 고루 분산시키는 발 선풍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 선풍기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바람을 일으키는 부분과 사용자를 향해 바람을 배출하는 부분을 분리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사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발 선풍기는 하부체(10), 블로워(20), 상부체(30), 제1 가림벽(40), 제2 가림벽(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부체(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 깊이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하부체(10)는 다리(11), 흡기홀(12), 바람유도판(13)을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다리(11)는 하부체(10)의 하부에 일정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하부체(10)가 바닥과 상하공간을 두고 이격되게 안착되도록 한다.
다리(11)는 하부체(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전후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리(11)는 사용 편의성을 위해 하부체(10)의 전측이 그 후측보다 높게 들어올려지도록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흡기홀(12)은 하부체(10)는 전측 저면 양측에 이격되게 형성된 두 개의 흡기홀(12)을 구비하여, 저면에서 수용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각 흡기홀(12)은 하부체(10)의 좌측 또는 우측 모서리와 소정 길이를 두고 이격되되 서로 소정 간격 떨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유도판(13)은 하부체(10)의 내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중심 방향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유도판(13)은 하부체(10)의 후측의 양측 좌우 모서리에서 후측 저면 중심 방향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블로워(20)는 하부체(10)의 수용공간에 흡기홀(11)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블로워(20)는 저면에 흡입홀(11)과 연통하는 흡입부(미도시)가 형성되며, 후면에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21)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블로워(20)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판은 하부체(10)의 일측에 블로워(20)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블로워(20)는 흡기홀(12)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음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상부체(30)는 하부체(2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배기홀(32a)이 형성되어 블로워(20)의 배출부(2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배기홀(32a)을 통해 상방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부체(30)는 흡기홀(12)이 형성된 하부체(10)의 전측에 결합되는 가림판(31)과 바람유도판(13)이 형성된 하부체(10)의 후측에 결합되는 통풍발판(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림판(31)은 블로워(20)가 설치된 하부체(10)의 전측공간 상부에 설치되어 물, 먼지 등의 오염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림판(31)은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해 제1가림판(311)과, 제2가림판(312)과 제3가림판(313) 및 제4가림판(3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가림판(311)은 하부체(10)의 전측공간 최전측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 테두리에 하부체(10)에 결합되는 삽입단(311a)이 구비될 수 있다.
제1가림판(311)에는 블로워(20)의 작동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확인공(311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가림판(312)은 제1가림판(311)의 확인공(311b)에 설치되고 하부 테두리에 제1가림판(311)에 결합되는 결합단(312a)이 형성되고 블로워(20)가 외부로 투시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가림판(313)은 하부체(10)의 전측공간 상부에서 제1가림판(311)의 후측에 설치되고 좌우 양단에 하부체(10)에 결합되는 삽입단(313a)이 구비될 수 있다.
제4가림판(314)은 하부체(10)의 전측공간 상부에서 제3가림판(313)의 후측에 설치되고 좌우 양단에 하부체(10)에 결합되는 삽입단(314a)이 구비될 수 있다.
통풍발판(32)은 상부에 배기홀(32a)이 형성되고 사용자가 발을 올릴 수 있도록 지지하여, 통풍발판(32)에 놓여진 발에 블로워(20)를 통해 발생한 바람을 제공할 수 있다.
배기홀(32a)은 일 실시예에 따라 통풍발판(32)을 좌측, 우측의 전측, 우측의 하측으로 각각 위치 구분하여 그 위치에 따라 가로방향, 세로방향, 사선방향으로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 선풍기로, 배기홀(32b)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통풍발판(32)에 전후 및 좌우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통풍발판(32)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곽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통풍발판(32)은 가림판(31)과 별도로 하부체(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통풍발판(32)을 분리하고, 바람유도판(13)이 형성된 하부체(10)의 후측에 축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제1 가림벽(40)은 하부체(10)의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어 블로워(20)가 위치하는 하부체(10)의 전측공간과 바람유도판(13)이 위치하는 하부체(10)의 후측공간을 전후로 구획시킬 수 있다.
제1 가림벽(40)은 블로워(20)의 배출부(21)와 연통하는 연통홀(4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림벽(40)은 통풍발판(32)의 배기홀(32a)을 통해 외부로부터 하부체(10)의 후측으로 유입된 물, 먼지 등의 오염물이 하부체(10)의 전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가림벽(50)은 하부체(10)의 후측공간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어 후측공간을 양측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2 가림벽(50)은 연통홀(41)을 통과하는 공기를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분리시켜 배출홀(21)을 통해 양측 상방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가림벽(50)은 일측이 제1 가림벽(40)의 중심에 접하고, 타측이 하부체(10)의 최후측 모서리의 중심에 접하도록 하부체(10)의 후측공간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2 가림벽(50)의 두께는 제1 가림벽(40)에서 하부체(10)의 최후측 모서리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가림벽(50)은 하부체(10)의 후측공간의 최후측에서 통풍발판(32)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줄임으로써 발 선풍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하부체
20 : 블로워
30 : 상부체
40 : 제1 가림벽
50 : 제2 가림벽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 일정높이를 가진 다리가 구비되고 전측 저면 양측에 각각 흡기홀이 형성되는 하부체;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흡기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저면에 상기 흡기홀과 연통하는 흡입부가 형성되며 후면에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블로워; 및
    상기 하부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배기홀이 형성되어 상기 블로워의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홀을 통해 상방으로 배출시키는 상부체;
    를 포함하는 발 선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는
    내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중심 방향을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 바람유도판;을 더 구비하는 것
    인 발 선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의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블로워가 위치하는 전측공간과 상기 바람유도판이 위치하는 후측공간을 전후로 구획시키고 양측에 각각 상기 배출부와 연통하는 연통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 가림벽; 및
    상기 후측공간에서 전후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후측공간을 양측으로 구획하고 상기 연통홀을 통과하는 공기를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분리시켜 상기 배기홀을 통해 상방으로 배출시키는 제2 가림벽;
    을 더 포함하는 발 선풍기.
KR1020190154235A 2019-11-27 2019-11-27 발 선풍기 KR20210065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235A KR20210065464A (ko) 2019-11-27 2019-11-27 발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235A KR20210065464A (ko) 2019-11-27 2019-11-27 발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464A true KR20210065464A (ko) 2021-06-04

Family

ID=7639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235A KR20210065464A (ko) 2019-11-27 2019-11-27 발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546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067Y1 (ko) 2010-08-17 2013-03-26 김영배 발선풍기
KR101253934B1 (ko) 2011-12-21 2013-04-16 김학열 냉온풍 겸용 발선풍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067Y1 (ko) 2010-08-17 2013-03-26 김영배 발선풍기
KR101253934B1 (ko) 2011-12-21 2013-04-16 김학열 냉온풍 겸용 발선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1066424U (es) Succionador de aspirador.
KR101058923B1 (ko) 좌변기용 탈취 장치
ES2764176T3 (es) Aspiradora y vaporeta compacta
KR20210065464A (ko) 발 선풍기
KR100848535B1 (ko) 자연증발식 가습기
KR101407499B1 (ko) 신발장 배기기능을 갖는 빌트인 청소기
KR20180001786U (ko) 공중거치가 가능한 모듈형 공기정화기
JPH10248764A (ja) 電気掃除機
JP6072544B2 (ja) 電気掃除機
JP2017096562A (ja) 分煙装置
KR20120047175A (ko) 자외선 엘이디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JP7446066B2 (ja) 空気清浄機
KR200466747Y1 (ko) 진공청소기
KR20070005430A (ko) 무배기 로봇청소기
KR101058903B1 (ko) 배기환류형 로봇청소기
CN216104040U (zh) 垃圾桶及垃圾收纳装置
KR101348780B1 (ko) 신발털이기의 셀 구조
JP6259034B2 (ja) 電気掃除機
KR20160028293A (ko) 에어 워셔
CN211459994U (zh) 一种除螨吸尘器
CN218356019U (zh) 清洁装置
CN218186667U (zh) 吸尘拖地一体机及其排气结构
CN211460007U (zh) 一种除螨吸尘器
KR200489130Y1 (ko) 휴대용 공기흡입 발판
KR20230017095A (ko) 청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