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387A - 다기능 보청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기능 보청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387A
KR20210065387A KR1020190154033A KR20190154033A KR20210065387A KR 20210065387 A KR20210065387 A KR 20210065387A KR 1020190154033 A KR1020190154033 A KR 1020190154033A KR 20190154033 A KR20190154033 A KR 20190154033A KR 20210065387 A KR20210065387 A KR 20210065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control signal
hearing
mod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7734B1 (ko
Inventor
강호성
범재룡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딤
Priority to KR1020190154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734B1/ko
Priority to PCT/KR2020/016964 priority patent/WO2021107639A1/ko
Publication of KR20210065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0Monitoring or testing of hearing aids, e.g. functioning, settings, battery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6External connectors, e.g. plugs or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2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39Aspects relating to automatic logging of sound environment parameters and the performance of the hearing aid during use, e.g. histogram logging, or of user selected programs or settings in the hearing aid, e.g. usage log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1Detection or adaptation of hearing aid parameters or programs to listening situation, e.g. pub, for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uro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은 보청기 및 보청기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보청기는 노멀 모드(Normal mode)에서 외부의 소리신호를 증폭하여 보정 소리신호를 제공하고, 청력측정 모드(Test mode)에서 제어신호에 따라 테스트 소리신호의 크기 및 주파수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보청기 케이스는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보청기를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에서는 노멀 모드에서는 보청기로 동작하고, 청력측정 모드에서는 청력측정부로부터 측정한 사용자의 청력 테스트 결과에 기초하여 보청기를 피팅함으로써 개인 맞춤형으로 하나의 시스템에서 보청기의 기능 및 피팅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보청기 시스템{MULTIFUNCTIONAL HEARING AID SYSTEM}
본 발명은 다기능 보청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청기 착용자들이 많이 호소하는 불편함은 소리의 울림현상이나 잡음으로 인하여 말소리 변별력의 개선효과를 느끼지 못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대부분 청력상태에 알맞지 않은 제품을 착용하거나 적응과정이나 표준화피팅, 청능훈련 및 사후관리 등의 체계적인 개인맞춤 청각솔루션과정을 받지 못함으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다. 최근,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29805호 (공개일자, 2019.11.20)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노멀 모드에서는 보청기로 동작하고, 청력측정 모드에서는 청력측정부로부터 측정한 사용자의 청력 테스트 결과에 기초하여 보청기를 피팅함으로써 하나의 시스템에서 보청기의 기능 및 피팅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개인 맞춤형 보청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은 보청기 및 보청기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보청기는 노멀 모드(Normal mode)에서 외부의 소리신호를 증폭하여 보정 소리신호를 제공하고, 청력측정 모드(Test mode)에서 제어신호에 따라 테스트 소리신호의 크기 및 주파수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보청기 케이스는 상기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보청기를 보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는 보청부 및 청력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청부는 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한 테스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리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보정 소리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청력측정부는 상기 청력측정 모드에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테스트 소리신호의 크기 및 주파수를 조절하고, 상기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하여 상기 테스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노멀 모드, 상기 청력측정 모드 및 상기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변경가능한 환경설정 모드를 제어하는 모드 컨트롤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확인신호가 턴-온되는 경우, 상기 테스트 소리신호의 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 케이스 및 상기 보청기 사이에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 시스템은 상기 보청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스마트 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제어신호는 상기 노멀 모드, 상기 청력측정 모드 및 상기 환경설정 모드를 제어하는 스마트 모드 컨트롤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스마트 확인신호가 턴-온되는 경우, 상기 테스트 소리신호의 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에서는 노멀 모드에서는 보청기로 동작하고, 청력측정 모드에서는 청력측정부로부터 측정한 사용자의 청력 테스트 결과에 기초하여 보청기를 피팅함으로써 개인 맞춤형으로 하나의 시스템에서 보청기의 기능 및 피팅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보청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보청기가 보청기 케이스에 보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보청기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보청기 시스템의 청력측정 모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보청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보청기 케이스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보청기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보청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보청기가 보청기 케이스에 보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보청기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보청기 시스템의 청력측정 모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10)은 보청기(100) 및 보청기 케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청기(100) 및 보청기 케이스(200) 사이에는 BLE(Bluetooth Low Energy)통신에 기초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보청기(100)는 노멀 모드(Normal mode, NM)에서 외부의 소리신호(OSS)를 증폭하여 보정 소리신호(MSS)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청기(100)는 보청부(110) 및 청력측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청부(110)는 노멀 모드(NM)에서,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한 테스트 결과(TR)에 기초하여 소리신호(OSS)를 증폭하여 보정 소리신호(MSS)를 제공할 수 있다. 청력측정부(120)는 청력측정 모드(TM)에서, 제어신호(CS)에 따라 테스트 소리신호(TSS)의 크기 및 주파수를 조절하고,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하여 테스트 결과(TR)를 제공할 수 있다.
청력측정 모드(Test mode)에서 제어신호(CS)에 따라 테스트 소리신호(TSS)의 크기 및 주파수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간에 제1 주파수(F1)에 상응하는 테스트 소리신호(TSS)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주파수(F1)에 대한 사용자의 청력 테스트 결과(TR)는 제1 레벨(L1)일 수 있다. 이후, 제2 시간에 제2 주파수(F2)에 상응하는 테스트 소리신호(TSS)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주파수(F2)에 대한 사용자의 청력 테스트 결과(TR)는 제2 레벨(L2)일 수 있다. 이후, 동일한 방식으로, 제8 시간에 제8 주파수(F8)에 상응하는 테스트 소리신호(TSS)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8 주파수(F8)에 대한 사용자의 청력 테스트 결과(TR)는 제8 레벨(L8)일 수 있다.
청력측정 모드(TM)에서 사용자의 청력측정이 완료되면, 피팅 모드(FM)에서 테스트 결과(TR)에 기초하여 보청기(100)에 포함되는 보청부(110)를 피팅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청부(110)는 제1 주파수(F1)에 대해서 제1 레벨(L1)과 정상레벨(NL)의 차이만큼 증폭할 수 있고, 제2 주파수(F2)에 대해서 제2 레벨(L2)과 정상레벨(NL)의 차이만큼 증폭할 수 있고, 동일한 방식으로 제8 주파수(F8)에 대해서 제8 레벨(L8)과 정상레벨(NL)의 차이만큼 증폭할 수 있다.
보청기 케이스(200)는 제어신호(CS)를 제공하고, 보청기(100)를 보관할 수 있다. 제어신호(CS)는 노멀 모드(NM), 청력측정 모드(TM) 및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변경가능한 환경설정 모드를 제어하는 모드 컨트롤 신호(MCS)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상시에 보청기 시스템(10)은 노멀 모드(NM)에서 동작할 수 있다. 노멀 모드(NM)에서,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한 테스트 결과(TR)에 기초하여 소리신호(OSS)를 증폭하여 보정 소리신호(MSS)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보청기 시스템(10)을 다시 피팅하고자 하는 경우, 우선 청력측정 모드(TM)에 상응하는 모드 컨트롤 신호(MCS)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할 수 있다. 청력측정 모드(TM)에서, 제어신호(CS)에 따라 테스트 소리신호(TSS)의 크기 및 주파수를 조절하고,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하여 테스트 결과(TR)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보청기 시스템(10)은 피팅 모드(FM)에 상응하는 모드 컨트롤 신호(MCS)를 제공하고, 테스트 결과(TR)에 기초하여 보청기(100)에 포함되는 보청부(110)를 피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음 1 단계는 보청기 사용자가 운전을 하고 있는 상황일 수 있다. 보청기 사용자가 운전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보청기 사용자가 외부 소리신호(OSS)를 잘 들을 수 없다. 보청기 사용자가 운전을 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제1 환경설정 모드(EM1)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청기 시스템(10)은 노멀 모드(NM)보다 높은 증폭도로 보정 소리신호(MSS)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음 2 단계는 보청기 사용자가 공연장에 있는 상황일 수 있다. 보청기 사용자가 공연장에 있는 상황에서는 보청기 사용자가 외부 소리신호(OSS)를 더욱 잘 들을 수 없다. 보청기 사용자가 공연장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제2 환경설정 모드(EM2)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청기 시스템(10)은 제1 환경설정 모드(EM1)보다 높은 증폭도로 보정 소리신호(MSS)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10)에서는 노멀 모드(NM)에서는 보청기로 동작하고, 청력측정 모드(TM)에서는 청력측정부(120)로부터 측정한 사용자의 청력 테스트 결과(TR)에 기초하여 보청기(100)를 피팅함으로써 개인 맞춤형으로 하나의 시스템에서 보청기의 기능 및 피팅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보청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보청기 케이스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10)은 보청기(100) 및 보청기 케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청기 케이스(200) 및 보청기(100) 사이에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에 기초하여 제어신호(CS)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보청기 케이스(200)는 충전배터리(202)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배터리(202)를 통하여 보청기(100)는 충전될 수 있다. 보청기 케이스(200) 내의 충전배터리(202)에 대한 충전방식은 유선충전 또는 무선충전 방식일 수 있다. 보청기 케이스(200)는 스마트 폰(300)을 포함한 외부기기들을 충전할 수 있는 보조배터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보청기(100)는 노멀 모드(Normal mode)에서 외부의 소리신호(OSS)를 증폭하여 보정 소리신호(MSS)를 제공할 수 있고, 청력측정 모드(Test mode)에서 제어신호(CS)에 따라 테스트 소리신호(TSS)의 크기 및 주파수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보청기 케이스(200)는 제어신호(CS)를 제공하고, 보청기(100)를 보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신호(CS)에 포함되는 확인신호(RS)가 턴-온되는 경우, 테스트 소리신호(TSS)의 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제어신호(CS)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신호는 보청기 케이스(200)에 포함되는 제1 버튼(BT1), 제2 버튼(BT2), 제3 버튼(BT3) 및 제4 버튼(BT4)을 통해서 생성될 수 있다. 제1 버튼(BT1) 및 제2 버튼(BT2)은 테스트 소리신호(TSS)의 크기 제어신호(ACS)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버튼(BT1)을 누르는 경우, 크기 제어신호(ACS)에 기초하여 테스트 소리신호(TSS)의 크기는 증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제2 버튼(BT2)을 누르는 경우, 크기 제어신호(ACS)에 기초하여 테스트 소리신호(TSS)의 크기는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3 버튼(BT3)은 확인신호(RS)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3 버튼(BT3)을 누르는 경우, 제어신호(CS)에 포함되는 확인신호(RS)가 턴-온될 수 있다. 확인신호(RS)가 턴-온되는 경우, 테스트 소리신호(TSS)의 주파수는 제1 주파수(F1)에서 제2 주파수(F2)로 변경될 수 있다. 확인신호(RS)는 청력측정 모드(TM)에서 테스트 소리신호(TSS)의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4 버튼(BT4)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1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보청기 시스템(10)의 동작 모드는 노멀 모드(NM), 청력측정 모드(TM), 피팅 모드(FM), 제1 환경설정 모드(EM1) 및 제2 환경설정 모드(EM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4 버튼(BT4)을 누르는 경우, 보청기 케이스(200)는 제어신호(CS)에 포함되는 모드 컨트롤 신호(MCS)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버튼(BT2)을 통해서 모드 컨트롤 신호(MCS)를 제어하여 보청기 시스템(1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보청기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10)은 보청기(100), 보청기 케이스(200) 및 스마트 폰(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청기(100)는 노멀 모드(Normal mode)에서 외부의 소리신호(OSS)를 증폭하여 보정 소리신호(MSS)를 제공하고, 청력측정 모드(Test mode)에서 제어신호(CS)에 따라 테스트 소리신호(TSS)의 크기 및 주파수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보청기 케이스(200)는 제어신호(CS)를 제공하고, 보청기(100)를 보관할 수 있다.
스마트 폰(300)은 스마트 제어신호(SCS)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제어신호(SCS)는 노멀 모드(NM), 청력측정 모드(TM) 및 환경설정 모드를 제어하는 스마트 모드 컨트롤 신호(SMCS)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 폰(300)의 디스플레이(310)에 표시된 모드 설정 화면을 통해서 모드 컨트롤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 폰(300)의 디스플레이(310)에 표시된 청력측정 모드 화면을 통해서 스마트 확인신호(SRS)를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 제어신호(SCS)에 포함되는 스마트 확인신호(SRS)가 턴-온되는 경우, 테스트 소리신호(TSS)의 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소리신호(TSS)의 크기는 스마트 제어신호(SCS)에 포함되는 스마트 크기 제어신호(SACS)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10)에서는 노멀 모드(NM)에서는 보청기로 동작하고, 청력측정 모드(TM)에서는 청력측정부(120)로부터 측정한 사용자의 청력 테스트 결과(TR)에 기초하여 보청기(100)를 피팅함으로써 개인 맞춤형으로 하나의 시스템에서 보청기의 기능 및 피팅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10: 보청기 시스템 100: 보청기
110: 보청부 120: 청력측정부
200: 보청기 케이스 300: 스마트 폰
310: 디스플레이

Claims (9)

  1. 노멀 모드(Normal mode)에서 외부의 소리신호를 증폭하여 보정 소리신호를 제공하고, 청력측정 모드(Test mode)에서 제어신호에 따라 테스트 소리신호의 크기 및 주파수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하는 보청기; 및
    상기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보청기를 충전 및 보관할 수 있는 보청기 케이스를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는,
    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한 테스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리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보정 소리신호를 제공하는 보청부; 및
    상기 청력측정 모드에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테스트 소리신호의 크기 및 주파수를 조절하고, 상기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하여 상기 테스트 결과를 제공하는 청력측정부를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 케이스는,
    충전배터리 내장을 통하여 상기 보청기를 충전하고, 상기 보청기 케이스 내의 상기 충전배터리에 대한 충전의 경우, 유선충전 또는 무선충전 방식을 지원하며, 스마트폰을 포함한 외부기기들을 충전할 수 있는 보조배터리 기능을 제공하는 보청기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노멀 모드, 상기 청력측정 모드 및 상기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변경가능한 환경설정 모드를 제어하는 모드 컨트롤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확인신호가 턴-온되는 경우, 상기 테스트 소리신호의 주파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 케이스 및 상기 보청기 사이에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 시스템은,
    상기 보청기를 제어하는 스마트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스마트 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제어신호는 상기 노멀 모드, 상기 청력측정 모드 및 상기 환경설정 모드를 제어하는 스마트 모드 컨트롤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스마트 확인신호가 턴-온되는 경우, 상기 테스트 소리신호의 주파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시스템.
KR1020190154033A 2019-11-27 2019-11-27 다기능 보청기 시스템 KR102267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033A KR102267734B1 (ko) 2019-11-27 2019-11-27 다기능 보청기 시스템
PCT/KR2020/016964 WO2021107639A1 (ko) 2019-11-27 2020-11-26 다기능 보청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033A KR102267734B1 (ko) 2019-11-27 2019-11-27 다기능 보청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387A true KR20210065387A (ko) 2021-06-04
KR102267734B1 KR102267734B1 (ko) 2021-06-23

Family

ID=76129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033A KR102267734B1 (ko) 2019-11-27 2019-11-27 다기능 보청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7734B1 (ko)
WO (1) WO20211076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3837A (ko) * 2021-08-09 2023-02-20 주식회사 리딤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셀프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
KR20230023838A (ko) * 2021-08-09 2023-02-20 주식회사 리딤 크래들을 구비한 셀프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46407A (zh) * 2022-01-26 2023-08-04 深圳市爱的声音响科技有限公司 一种内置无线测试功能的自助调节助听耳机及其调节方法
CN114554379A (zh) * 2022-02-11 2022-05-27 海沃源声科技(深圳)有限公司 助听器验配方法、装置、充电盒和计算机可读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2127A (ko) * 2008-03-25 2009-09-30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41796A (ko) * 2009-08-11 2012-05-02 비덱스 에이/에스 보청기용 보관 시스템
KR101959956B1 (ko) * 2017-12-28 2019-03-19 심클사운드 주식회사 원스톱 보청 장치 피팅 시스템
KR20190129805A (ko) 2017-05-15 2019-11-20 한국전기연구원 잡음 환경 분류 및 제거 기능을 갖는 보청기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071A (ko) * 2014-05-21 2015-12-01 (주)오이지소프트 사용자 맞춤형 피팅 기능을 가진 보청기 및 그 보청기의 피팅방법
KR102004460B1 (ko) * 2017-12-04 2019-07-26 올리브유니온(주) 블루투스 회로와 디지털 신호 처리를 이용한 디지털 히어링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2127A (ko) * 2008-03-25 2009-09-30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41796A (ko) * 2009-08-11 2012-05-02 비덱스 에이/에스 보청기용 보관 시스템
KR20190129805A (ko) 2017-05-15 2019-11-20 한국전기연구원 잡음 환경 분류 및 제거 기능을 갖는 보청기 및 그 방법
KR101959956B1 (ko) * 2017-12-28 2019-03-19 심클사운드 주식회사 원스톱 보청 장치 피팅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3837A (ko) * 2021-08-09 2023-02-20 주식회사 리딤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셀프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
KR20230023838A (ko) * 2021-08-09 2023-02-20 주식회사 리딤 크래들을 구비한 셀프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7639A1 (ko) 2021-06-03
KR102267734B1 (ko) 202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7734B1 (ko) 다기능 보청기 시스템
KR101236443B1 (ko) 원격제어기능이 구비된 무선 귓속형 보청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924284B2 (en) Method of adapting a hearing device to a user's ear, and a hearing device
US5710820A (en) Programmable hearing aid
CN106686507B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助听器验配方法
CN111107461A (zh) 一种降噪耳机的配置方法、装置及智能终端、降噪耳机
KR20100111118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보청기 제어 방법과 그 이동통신 단말기 및 디지털 보청기
KR101551664B1 (ko) 셀프 청력검사 및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및 이를 이용한 셀프 청력검사 및 피팅 시스템
JP2004527183A (ja) 補聴器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US20150036853A1 (en) Music player watch with hearing aid remote control
KR20120015614A (ko) 보청장치 및 제어방법
JP2014165692A (ja) 音声出力装置
US20200348902A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volume level of audio signal on basis of states of multiple speakers
CN110753295B (zh) 可定制个人声音传送系统的校准方法
US10277990B2 (en) Adaptive level estimator, a hearing device, a method and a binaural hearing system
KR101175724B1 (ko)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KR101475265B1 (ko) 기능성 이어폰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200044569A (ko) 통신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460366A1 (en) Fitting of sound processors using improved sounds
US200801595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data
KR101959956B1 (ko) 원스톱 보청 장치 피팅 시스템
KR101835349B1 (ko) 좌우 청력 보정 기능을 갖는 이어폰
WO2014054215A1 (ja) 補聴器
KR20180050964A (ko)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
JP4077436B2 (ja) 補聴器調整システム及び補聴器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