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724B1 -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 Google Patents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724B1
KR101175724B1 KR1020100077951A KR20100077951A KR101175724B1 KR 101175724 B1 KR101175724 B1 KR 101175724B1 KR 1020100077951 A KR1020100077951 A KR 1020100077951A KR 20100077951 A KR20100077951 A KR 20100077951A KR 101175724 B1 KR101175724 B1 KR 101175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environment
sound
correction
use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5661A (ko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Priority to KR1020100077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724B1/ko
Publication of KR20120015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0Monitoring or testing of hearing aids, e.g. functioning, settings, battery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1Detection or adaptation of hearing aid parameters or programs to listening situation, e.g. pub, fo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제 보청기 사용 환경에 적합한 보청기 파라메터를 선정하여 보청기에 적용함으로써 청력 측정 및 보정 환경을 보청기 사용 환경과 일치되도록 하는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입력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유선으로 전송하는 유선 송신부; 사용환경에 따라 보정된 음원을 유선으로 수신하는 유선 수신부;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저장하여 유선 송신부를 통하여 전송시키고, 유선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환경에 따라 보정된 음원을 이용하여 이어폰의 출력감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출력감도로 보정된 소리를 외부로 출력하는 이어폰을 포함하는 보청 수단; 및 상기 보청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수신하는 유선 수신부; 상기 유선 수신부에서 수신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재생하는 녹음파일 재생부; 상기 재생되는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이용하여 환경에 적합한 보청기 파라메터를 선정하고, 사용환경에 따른 음원을 보정하는 사용환경 보정부; 상기 사용환경 보정부에서 사용환경에 따라 보정된 음원을 상기 보청 수단으로 송신하는 유선 송신부을 포함하며, 상기 보청 수단과 분리되어 형성되는 보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Hearing aids having function of hearing correction for environment}
본 발명은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 보청기 사용 환경에 적합한 보청기 파라메터를 선정하여 보청기에 적용함으로써 청력 측정 및 보정 환경을 보청기 사용 환경과 일치되도록 하는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보청기란 일종의 확성장치로서 난청을 보충하기 위해 귀에 장착하는 기구이다. 보청기의 원리는 음파를 마이크로폰으로 받아 전기신호로 바꾸어 이것을 증폭기로 확대하여 이어폰으로 다시 음파로 만들어 귀에 들리게 한다.
이러한 보청기의 종류로는 그 모양에 따라 상자형, 귀걸이형, 귀속형 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보청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하여 가장 적합하도록 보청기의 음량을 보정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보청기의 음량 보정이란 난청인의 청력도에 따라 적절한 보청기를 선택하고 보청기 주파수 대역별 증폭도와 최대출력 범위를 정확하게 맞추어 정기적으로 보청기를 점검하여 고장이 없는 상태로 보청기를 착용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 주는 과정을 의미한다.
그러나, 종래의 보청기는, 조용한 환경에서 청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보청기 보정(피팅)에 적용함으로써 실제 보청기를 사용하는 환경에 대한 배려가 되어 있지 않고, 동일한 환경에서도 개인별 측정결과에 대하여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한 고려가 되어 있지 않아 다양한 실제 환경에 따라 각 개인에 적합한 청력 보정이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제 보청기 사용 환경에 적합한 보청기 파라메터를 선정하여 보청기에 적용함으로써 청력 측정 및 보정 환경을 보청기 사용 환경과 일치되도록 하는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는,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입력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유선으로 전송하는 유선 송신부; 사용환경에 따라 보정된 음원을 유선으로 수신하는 유선 수신부;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저장하여 유선 송신부를 통하여 전송시키고, 유선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환경에 따라 보정된 음원을 이용하여 이어폰의 출력감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출력감도로 보정된 소리를 외부로 출력하는 이어폰을 포함하는 보청 수단; 및 상기 보청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수신하는 유선 수신부; 상기 유선 수신부에서 수신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재생하는 녹음파일 재생부; 상기 재생되는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이용하여 환경에 적합한 보청기 파라메터를 선정하고, 사용환경에 따른 음원을 보정하는 사용환경 보정부; 상기 사용환경 보정부에서 사용환경에 따라 보정된 음원을 상기 보청 수단으로 송신하는 유선 송신부을 포함하며, 상기 보청 수단과 분리되어 형성되는 보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입력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부; 사용환경에 따라 보정된 음원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저장하여 무선 송신부를 통하여 전송시키고, 무선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환경에 따라 보정된 음원을 이용하여 이어폰의 출력감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출력감도로 보정된 소리를 외부로 출력하는 이어폰을 포함하는 보청 수단; 및 상기 보청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무선 수신부에서 수신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재생하는 녹음파일 재생부; 상기 재생되는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이용하여 환경에 적합한 보청기 파라메터를 선정하고, 사용환경에 따른 음원을 보정하는 사용환경 보정부; 상기 사용환경 보정부에서 사용환경에 따라 보정된 음원을 상기 보청 수단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을 포함하며, 상기 보청 수단과 분리되어 형성되는 보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을 적용하는 것을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환경 보정부는; 상기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바탕으로 주파수별 이득과 압축 보정치를 다시 구하고, 구하여진 결과값에 따라 상기 보청기 파라메터를 선정하고, 사용환경에 따른 음원 보정에 적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에 의하면, 실제 보청기 사용 환경에 적합한 보청기 파라메터를 선정하여 보청기에 적용함으로써 청력 측정 및 보정 환경을 보청기 사용 환경과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세팅오류를 최소화하고, 다양한 실제 환경에 따라 보다 정확하고 세밀한 청력 보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의 마이크 설치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정수단을 보청수단과 분리하여 유선 통신 방식으로 구성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실시예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구성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정수단을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유선 통신 방식으로 구성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실시예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구성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녹음된 사용환경을 사용하여 청력손실 시뮬레이션하고 청력을 보정하는 시스템인 보정 수단(100)과, 사용환경을 녹음하고 재생하는 시스템인 보청 수단(200)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보정 수단(100)은, 유선 수신부(110), 녹음파일 재생부(120), 사용환경 보정부(130), 유선 송신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보청 수단(200)은, 마이크(210), 제어부(220), 유선 송신부(230), 유선 수신부(240) 및 이어폰(250)을 포함한다.
상기 보청 수단(200)의 마이크(210)는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입력하고, 유선 송신부(230)는 상기 마이크(210)로 입력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유선으로 전송하며, 유선 수신부(240)는 사용환경에 따라 보정된 음원을 유선으로 수신한다.
제어부(220)는 상기 마이크(210)로 입력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저장하여 유선 송신부(230)를 통하여 전송시키고, 유선 수신부(240)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환경에 따라 보정된 음원을 이용하여 이어폰(250)의 출력감도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어부(220)는 통상의 연산, 제어 및 판단 기능을 갖는 마이콤,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MPU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어폰(250)은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른 출력감도로 보정된 소리를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보정 수단(100)의 유선 수신부(110)는 상기 보청 수단(200)으로부터 전송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수신하고, 녹음파일 재생부(120)는 상기 유선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재생한다.
사용환경 보정부(130)는 상기 재생되는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이용하여 환경에 적합한 보청기 파라메터를 선정하고, 사용환경에 따른 음원을 보정한다.
유선 송신부(140)는 상기 사용환경 보정부(130)에서 사용환경에 따라 보정된 음원을 상기 보청 수단(200)으로 송신한다.
상기 보청 수단(200)과 보정 수단(100)은 서로 분리되어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환경 보정부(130)는 상기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바탕으로 주파수별 이득과 압축 보정치를 다시 구하고, 구하여진 결과값에 따라 상기 보청기 파라메터를 선정하고, 사용환경에 따른 음원 보정에 적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정 수단(300), 무선 수신부(310), 녹음파일 재생부(320), 사용환경 보정부(330), 무선 송신부(340), 보청 수단(400), 마이크(410), 제어부(420), 무선 송신부(430), 무선 수신부(440) 및 이어폰(45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보청기는 상기 도 1을 통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며, 다만 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보청 수단(400)은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입력하는 마이크(410); 상기 마이크(410)로 입력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부(430); 사용환경에 따라 보정된 음원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440); 상기 마이크(410)로 입력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저장하여 무선 송신부(430)를 통하여 전송시키고, 무선 수신부(440)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환경에 따라 보정된 음원을 이용하여 이어폰(450)의 출력감도를 제어하는 제어부(420); 상기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른 출력감도로 보정된 소리를 외부로 출력하는 이어폰(450)을 포함한다.
또한, 보정 수단(300)은 상기 보청 수단(300)으로부터 전송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310); 상기 무선 수신부(310)에서 수신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재생하는 녹음파일 재생부(320); 상기 재생되는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이용하여 환경에 적합한 보청기 파라메터를 선정하고, 사용환경에 따른 음원을 보정하는 사용환경 보정부(330); 상기 사용환경 보정부(330)에서 사용환경에 따라 보정된 음원을 상기 보청 수단(300)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340)을 포함하며, 상기 보정 수단(300)과 보청 수단(300)을 분리하여 형성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의 마이크 설치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410)를 사용자의 귀 뒤쪽에 위치하는 한쪽 보청기에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양쪽에 설치하거나 양복 주머니 등의 별도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환경 녹음에 있어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마이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녹음할 마이크의 위치가 한쪽 귀에 위치하거나 양쪽 귀 또는 가슴부위 등 여러 곳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5는 기존 보청기와 연계하여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구성한 예로 보청기와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 사이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예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구성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환경 녹음파일 보관과 보정 수단을 가지는 기존 보청기를 분리하여 각각 사용자가 휴대하도록 형성하되, 그 통신 방식을 유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정수단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유선 통신 방식으로 구성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실시예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구성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정 수단(300)과 보청 수단(300)을 분리하여 형성하되, 상기 보청 수단(300)과 상기 보정 수단(300)은 통상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보청기 사용 환경을 녹음한 것을 활용하여 환경에 적합한 보청기 파라메터를 선정하여 보청기에 적용하면 청력 측정 및 보정환경이 보청기 사용환경과 달라 발생하는 보청기 파라메터 세팅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보청기 사용자에게 실제 사용하고자 하는 보청기에 녹음된 결과를 입력하여 보청기 내부의 알고리즘을 작동 시키거나 컴퓨터상에서 알고리즘을 동작시키고 보청기에서 사용할 리시버와 동일한 리시버를 사용하여 보청기 사용자에게 들려주어 세밀한 세팅을 할 수 있다.
또한, 개인별로 다른 청각특성(측정하는 청력이 아님)에 대하여 고려 되므로 여러 번에 걸쳐 피팅을 보완할 필요가 적어진다.
또한, 보청기의 초기 착용 후 여러 번에 거친 미세조정 과정에서 수행하는 일들을 집에서 시간적인 여유를 가지고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녹음된 결과에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특성을 적용하여 보호자에게 들려주면 보청기를 사용하는 사람의 상황을 느끼게 해 주는 청력손실 시뮬레이터 (Hearing Loss Simulator) 역할을 한다.
또한,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을 적용한 청력손실 시뮬레이션 결과에 청력 보정치 및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를 들려주면 보청기 사용자가 실제로 듣는 소리를 듣게 되어 보청기 사용자에 대한 이해를 돕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보정 수단 110 : 유선 수신부
120 : 녹음파일 재생부 130 : 사용환경 보정부
140 : 유선 송신부 200 : 보청 수단
210 : 마이크 220 : 제어부
230 : 유선 송신부 240 : 유선 수신부
250 : 이어폰 300 : 보정 수단
310 : 무선 수신부 320 : 녹음파일 재생부
330 : 사용환경 보정부 340 : 무선 송신부
400 : 보청 수단 410 : 마이크
420 : 제어부 430 : 무선 송신부
440 : 무선 수신부 450 : 이어폰

Claims (4)

  1.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입력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유선으로 전송하는 유선 송신부; 사용환경에 따라 보정된 음원을 유선으로 수신하는 유선 수신부;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저장하여 유선 송신부를 통하여 전송시키고, 유선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환경에 따라 보정된 음원을 이용하여 이어폰의 출력감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출력감도로 보정된 소리를 외부로 출력하는 이어폰을 포함하는 보청 수단;
    상기 보청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수신하는 유선 수신부; 상기 유선 수신부에서 수신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재생하는 녹음파일 재생부; 상기 재생되는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이용하여 환경에 따라 보청기 파라메터를 선정하고, 사용환경에 따른 음원을 보정하는 사용환경 보정부; 상기 사용환경 보정부에서 사용환경에 따라 보정된 음원을 상기 보청 수단으로 송신하는 유선 송신부을 포함하며, 상기 보청 수단과 분리되어 형성되는 보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2.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입력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부; 사용환경에 따라 보정된 음원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저장하여 무선 송신부를 통하여 전송시키고, 무선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환경에 따라 보정된 음원을 이용하여 이어폰의 출력감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출력감도로 보정된 소리를 외부로 출력하는 이어폰을 포함하는 보청 수단;
    상기 보청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무선 수신부에서 수신된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재생하는 녹음파일 재생부; 상기 재생되는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이용하여 환경에 따라 보청기 파라메터를 선정하고, 사용환경에 따른 음원을 보정하는 사용환경 보정부; 상기 사용환경 보정부에서 사용환경에 따라 보정된 음원을 상기 보청 수단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을 포함하며, 상기 보청 수단과 분리되어 형성되는 보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환경 보정부는;
    보청기 사용환경 소리를 바탕으로 주파수별 이득과 압축 보정치를 다시 구하고, 상기 구하여진 결과값에 따라 보청기 파라메터를 선정하고, 사용환경에 따른 음원 보정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KR1020100077951A 2010-08-12 2010-08-12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KR101175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951A KR101175724B1 (ko) 2010-08-12 2010-08-12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951A KR101175724B1 (ko) 2010-08-12 2010-08-12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661A KR20120015661A (ko) 2012-02-22
KR101175724B1 true KR101175724B1 (ko) 2012-08-22

Family

ID=45838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951A KR101175724B1 (ko) 2010-08-12 2010-08-12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7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078A (ko) 2014-08-21 2016-03-03 김문수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을 위한 청력 보완 기기 및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
KR101672949B1 (ko) * 2015-03-17 2016-11-04 주식회사 비에스엘 멀티미디어 연결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한 멀티미디어 음의 수신 제어 방법
KR102014298B1 (ko) * 2015-05-19 2019-08-26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착용 상태에서 피팅 파라미터의 선택이 가능한 보청기
KR20170040137A (ko) 2017-02-20 2017-04-12 김문수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을 위한 청력 보완 기기 및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
CN114731477A (zh) * 2019-11-18 2022-07-08 科利耳有限公司 声音捕获系统退化识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661A (ko)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84286B (zh) 个体hrtf的确定
US9101299B2 (en) Hearing aids configured for directional acoustic fitting
US7650005B2 (en) Automatic gain adjustment for a hearing aid device
US10057693B2 (en) Method for predicting the intelligibility of noisy and/or enhanced speech and a binaural hearing system
US9807522B2 (en) Hearing device adapted for estimating a current real ear to coupler difference
US9374638B2 (en) Method of performing an RECD measurement using a hearing assistance device
KR20150020810A (ko) 청각 기기 및 양이 청각 모델을 이용한 청각 기기의 피팅 방법
EP24412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onal acoustic fitting of hearing aids
US9247356B2 (en) Music player watch with hearing aid remote control
KR101175724B1 (ko)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US20100098262A1 (en) Method and hearing device for parameter adaptation by determining a speech intelligibility threshold
CN105596008A (zh) 针对用户验配听力装置的方法、听力装置验配系统及听力装置
CN103155409B (zh) 用于向用户提供听力辅助的方法与系统
US10860287B2 (en) Sound output device and sound output method
US9554218B2 (en) Automatic sound optimizer
CN107493555A (zh) 用于听力设备中的耳对耳通信中的通道选择的方法和装置
KR100643311B1 (ko) 스테레오 음향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20015614A (ko) 보청장치 및 제어방법
US9338555B1 (en) Earphones and hearing aids with equalization
US20190200141A1 (en) Adaptive level estimator, a hearing device, a method and a binaural hearing system
AU2014268158A1 (en) Hearing device with fit recognition
TWI734171B (zh) 聽覺輔助系統
KR20140044699A (ko) 사용자 참여에 의한 보청기 피팅장치
ES2812799T3 (es) Método y dispositivo para configurar un sistema auditivo específico para un usuario
KR101490331B1 (ko) 사용자 피팅 환경을 제공하는 보청기 및 상기 보청기를 이용한 보청기 피팅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