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078A -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을 위한 청력 보완 기기 및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을 위한 청력 보완 기기 및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078A
KR20160023078A KR1020140108877A KR20140108877A KR20160023078A KR 20160023078 A KR20160023078 A KR 20160023078A KR 1020140108877 A KR1020140108877 A KR 1020140108877A KR 20140108877 A KR20140108877 A KR 20140108877A KR 20160023078 A KR20160023078 A KR 20160023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earing
data
soun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수
Original Assignee
김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수 filed Critical 김문수
Priority to KR1020140108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3078A/ko
Publication of KR20160023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1Detection or adaptation of hearing aid parameters or programs to listening situation, e.g. pub, fo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을 위한 청력 보완 기기 및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중계 장치에서 미리 적절하게 조절이 된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을 위한 청력 보완 기기 및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청력 보완 기기(10)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청력 데이터에 통신 가능한 전자기기로부터 전송된 환경 음이 적용되어 처리된 사용자 적응 청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111); 및 수신 유닛(111)으로부터 전송되는 청각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스피커 유닛(112)을 포함하고, 상기 청력 데이터 또는 환경 음은 상기 통신 가능한 전자기기에 의하여 선처리가 된 이후 상기 수신 유닛(111)으로 전송된다.

Description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을 위한 청력 보완 기기 및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Hearing Aid Device for Receiving Acoustic Signal Adjusted with Environment and Method for Receiving the Same}
본 발명은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을 위한 청력 보완 기기 및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중계 장치에서 미리 적절하게 조절이 된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을 위한 청력 보완 기기 및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형태의 청력 보완을 위한 기기가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고 음악 감상 또는 선명한 청취를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전자기기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청력 보완을 위한 기기로 이어폰 또는 헤드셋과 같은 장치는 소리 재생 장치로부터 재생된 소리를 증폭하는 기능을 가지지만 별도의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를 가지지 않는다. 이에 비하여 보청기와 같은 청력 보완 기기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를 가지고 소리 재생 장치 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리를 자체적으로 처리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를 가지지 않는 경우 외부 환경 음 또는 소음이 그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를 가지는 장치는 청력 보완 기기를 복잡하게 만들면서 다양한 환경에 적용되기 어렵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에 연결된 이어폰의 경우 통신 상대방이 위치하는 환경 소음이 그대로 이어폰으로 전송된다. 또한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보청기로 유입되는 청각 신호는 자체적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지만 다양한 환경 소음의 처리가 어렵다. 그러므로 다양한 환경 소음이 적절하게 처리되도록 하는 청력 보환 기기가 요구된다.
특허공개번호 10-2012-0015661은 보청기 사용 환경 소리를 입력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보청기 사용 환경 소리를 유선으로 전송하는 유선 송신부; 사용 환경에 따라 보정된 음원을 유선으로 수신하는 유선 수신부;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보청기 사용 환경 소리를 저장하여 유선 송신부를 통하여 전송시키고, 유선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 환경에 따라 보정된 음원을 이용하여 이어폰의 출력 감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출력 감도로 보정된 소리를 외부로 출력하는 이어폰을 포함하는 보청 수단; 상기 보청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보청기 사용 환경 소리를 수신하는 유선 수신부; 상기 유선 수신부에서 수신된 보청기 사용 환경 소리를 재생하는 녹음 파일 재생부; 상기 재생되는 보청기 사용 환경 소리를 이용하여 환경에 따라 보청기 파라미터를 선정하고, 사용 환경에 따른 음원을 보정하는 사용 환경 보정부; 상기 사용 환경 보정부에서 사용 환경에 따라 보정된 음원을 상기 보정 수단으로 송신하는 유선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청 수단과 분리되어 형성되는 보정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 환경 보정 기능을 가지는 보청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특허등록번호 10-1231866은 입력 버퍼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N개 분량의 입력 신호음 데이터를 고속 푸리에 변환을 하고 비선형 압축을 하는 제1 처리단과; 상기 제1 처리단을 통해 비선형 압축되어 입력된 진폭 스펙트럼 데이터를 고속 역 푸리에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제2 처리단과; 상기 제2 처리단의 귀환 소음이 제거된 음성 신호음 데이터를 N개가 될 때까지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출력 버퍼 메모리와; 상기 출력 버퍼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귀환 소음이 제거된 디지털의 음성 신호 음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 컨버터와; 상기 D/A 컨버터를 포함하여 보청기 시스템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로 포함하는 귀환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보청기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특허등록번호 10-1248125는 외부의 소리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마이크로 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 입력받은 디지털 신호를 임시로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버퍼, 상기 버퍼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N개의 주파수 대역별로 분할하기 위한 N개 디지털 필터부, 상기 디지털 필터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디지털 필터부에서 필터링이 된 디지털 신호를 증폭하는 N개의 증폭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디지털 필터부는 대역 통과 필터 및 대역 차단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대역 통과 필터의 통과 대역은 상기 대역 차단 필터의 차단 대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소음 소거와 주파수 채널별 압축 기능을 가지는 보청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개시된 선행기술에서 환경 소음의 분리 과정이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지 아니하여 환경 소음의 처리가 실질적으로 어렵다. 또한 보청기 자체에 다양한 형태의 신호 처리 장치가 포함되어 보청기 구조가 복잡해진다. 추가로 실질적으로 다양한 환경에 적용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1: 특허공개번호 10-2012-0015661(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2012년02월22일 공개) 사용 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선행기술2: 특허등록번호 10-1231866((주)알고코리아, 2013년02월08일 공개) 귀환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보청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선행기술3: 특허등록번호 10-1248125((주)알고코리아, 2013년03월27일 공개) 주변소음 소거와 주파수 채널별 압축 기능을 가진 보청기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계 기기에서 환경 적응된 청각 신호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을 위한 청력 보완 기기 및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청력 보완 기기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청력 데이터에 통신 가능한 전자기기로부터 전송된 환경 음이 적용되어 처리된 사용자 적응 청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및 수신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청각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스피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청력 데이터 또는 환경 음은 상기 통신 가능한 전자기기에 의하여 선처리가 된 이후 상기 수신 유닛으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재생 음과 통신 음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은 송신 유닛 또는 휴대용 통신 가능 유닛에 사용자 청력 데이터가 저장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통신 가능 유닛으로부터 유입된 환경 음이 상기 송신 유닛 또는 상기 휴대용 통신 가능 유닛에 의하여 처리되어 사용자 적응 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적용 데이터가 적용된 적응 신호가 사용자 수신 유닛으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적응 데이터는 사용자 환경의 변화에 따라 보정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청력 데이터는 송신 유닛에 미리 저장되고 그리고 갱신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완 기기는 내부에 청각 신호의 처리를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를 가지지 않는 것에 의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 사용자에게 적절한 청각 신호가 수신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은 중계기기 또는 전송 측이 가진 자원을 이용하면서 이와 동시에 중계기기 또는 전송 측이 가진 다양한 환경 정보가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송신 환경에 관계없이 사용자에게 적절한 청각 신호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완 기기의 작동을 위한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려 보완 기기에서 보정 신호가 수신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완 기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완 기기(11)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청력 데이터에 통신 가능한 전자기기로부터 전송된 환경 음이 적용되어 처리된 사용자 적응 청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111); 및 수신 유닛(111)으로부터 전송되는 청각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청력 데이터 또는 환경 음은 상기 통신 가능한 전자기기에 의하여 선처리가 된 이후 상기 수신 유닛(111)으로 전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완 기기(11)는 예를 들어 이어폰, 헤드 셋 또는 보청기와 같은 귀에 착용되어 유입되는 청각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는 임의의 청력 보조 또는 보완을 위한 기기를 포함한다. 청력 보완 기기(11)는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거나 또는 외부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청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기기와 통신 또는 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기기는 예를 들어 착용 형태의(wearable) 전자기기,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또는 태블릿 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개인 단말기(PDA)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외부 기기는 중계기 또는 송신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중계기 또는 송신 장치는 통신 서비스 제공업자에 의하여 운영되는 다양한 형태의 무선 신호의 전송 및 수신을 위한 기기를 말한다. 중계기 또는 송신 장치는 대용량의 무선 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한 임의의 장치가 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이와 같은 장치는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송신 장치는 이와 같이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한 중앙 처리 장치, 중계 유닛, 저장 유닛 및 통신 장비를 가진 임의의 장치를 의미한다.
사용자 청력 데이터는 송신 장치(13)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장치(13)는 서비스 제공 대상자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1)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청력 데이터는 서비스가 제공되는 대상자에 고유한 사용자의 청력도(audiogram)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청력 데이터는 민감한 환경 소음 또는 선호하는 음색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청력 데이터는 주파수 대역별 증폭 수준, 양쪽 귀 사이의 청력 차이 또는 민감한 환경 소음과 같이 사용자의 청력에 미치는 모든 인자에 대한 보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청력 데이터는 전자기기(12)로부터 전송되거나 또는 사용자 관련 외부 기관(14)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관련 외부 기관(14)은 의료 기관 또는 사용자의 청력 검사 기관과 같은 곳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청력 데이터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기기(12)에 의하여 생성되어 송신 장치(13)로 전송될 수 있다. 전자기기(12)에서 청력 측정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고 그에 의하여 청력 데이터가 생성되어 송신 장치(13)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청력 데이터는 갱신이 가능하고 그리고 이와 같은 갱신은 사용자 관련 외부 기관(14)에 의하여 또는 전자기기(12)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환경 음(ES)은 청력 보완 기기(11)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전자기기(12)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환경 음은 사용자와 송신 장치(13)를 통하여 연결되는 외부 전자기기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외부 전자기기를 통하여 유입되는 환경 음은 음성 신호와 함께 유입되고 다른 적절한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필터링이 될 수 있다. 전자기기(12)에 마이크(122)가 설치될 수 있고 마이크(122)를 통하여 환경 음이 유입될 수 있고 그리고 유입된 환경 음은 전자기기(12) 자체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송신 장치(13)로 전송되어 송신 장치(13)에서 처리될 수 있다. 만약 전자기기(12)에 송신 장치(13)에 저장된 청력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그리고 그에 의하여 청력 보완 기기(11)로 전달되는 청각 신호가 보정이 되어 통신 유닛(121)을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환경 음은 전자기기(12) 자체에서 처리되고 그리고 전자기기(12)에서 처리된 환경 음에 의하여 보정된 청각 신호가 청력 보완 기기(11)로 전달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전자기기(12)를 통하여 유입된 환경 음(ES)이 송신 장치(13)로 전송되고 그리고 송신 장치에서 청력 데이터에 환경 음이 적용되어 사용자 적용 청각 신호(AS)가 생성되어 전자기기(12)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적용 청각 신호(AS)는 통신 유닛(121)을 통하여 청력 보완 기기(11)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자기기(12)는 환경 음을 유입시키고 그리고 환경 음에 의하여 보정된 청각 신호를 송신 장치(13)와 청력 보완 기기(11) 사이에서 전달하는 기능만을 가진다. 다른 대안으로 전자기기(12)를 통하여 유입된 환경 음(ES)이 송신 장치(13)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송신 장치(13)에서 사용자 적응 데이터(AD)가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 적용 데이터(AD)는 사용자 청력 데이터에 환경 음(ES)이 적용된 사용자 피팅 데이터(fitting data) 또는 사용자 전달 청각 신호의 보정 데이터를 의미한다. 사용자 적응 데이터(AD)는 전자기기(12)에 저장 및 실행되어 전자기기(12)를 통하여 청력 보완 기기(11)로 전달되는 청각 신호는 사용자 적응 데이터에 의하여 보정되어 전달된다. 이와 같은 경우 주기적으로 전자기기(12)를 통하여 유입된 환경 음(ES)은 송신 장치(13)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송신 장치(13)는 전달되는 환경 음(ES)으로부터 보정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새로운 사용자 적응 데이터(AD)가 생성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사용자 적응 데이터(AD)가 생성되면 이를 전자기기(12)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12)를 통하여 유입된 환경 음(ES)은 송신 장치(13) 또는 전자기기(12)에서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청력 데이터 및 환경 음이 적용되어 처리된 청각 신호가 청력 보완 기기(11)로 전송될 수 있다.
청력 보완 기기(11)는 이와 같이 사용자에 적합하도록 처리된 청각 신호를 수신 유닛(11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수신 유닛(111)은 통신 유닛(121)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력 보완 기기(11)는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 수단에 의하여 전자기기(12)와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 잭에 의하여 전자기기(12)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통신 유닛(121)과 수신 유닛(111)은 청각 신호의 전달이 가능한 임의의 유무선 통신 수단이 될 수 있다. 다만 청력 보완 기기(11)의 형태에 따라 수신 유닛(111)은 통신 유닛(121)으로 청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고 할지라도 간단한 전송 수단을 통하여 청각 신호가 통신 유닛(121)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기능은 제한된 범위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력 보완 기기(11)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와 같은 장치를 가지지고 않고 전자기기(12)를 통하여 전송된 신호를 별도의 처리 과정이 없이 직접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청력 보완 기기(11)는 볼륨을 조절하거나 또는 통신 음과 재생 음을 선택하는 기능을 가지고 청각 신호를 증폭, 압축 또는 필터링을 하는 기능을 가지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피팅 또는 보정하는 기능을 가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기능은 송신 장치(13) 또는 전자기기(12)에서 행해질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처리되어 사용자에게 적합한 청각 신호가 청력 보완 기기(11)에 전달될 수 있다.
청력 보완 기기(11)는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기기(12)로부터 전송되어 처리된 청각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111), 수신 유닛(111)에 연결된 선택 유닛(112) 및 볼륨 조절 유닛(11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유닛(111)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유닛(121)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유닛(111)은 근거리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와 같은 전원인 청력 보완 기기(11)에 설치될 수 있고 볼륨 조절 유닛(113)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고 온/오프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선택 유닛(112)은 통신 음과 재생 음이 선택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음은 모바일 기기(12)가 스마트 폰 또는 휴대폰과 같은 것이 되고 다른 사용자로부터 전송장치(13)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음을 말한다. 이에 비하여 재생 음은 전자기기(12)로부터 재생되는 음악 또는 영상 관련 음을 말한다. 필요에 따라 청력 보완 기기(11)에 보조 마이크(114)가 설치될 수 있고 보조 마이크(114)를 통하여 외부 음이 유입될 수 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외부 음은 전자기기(12)에 설치되 마이크(122)를 통하여 유입되고 그리고 송신 장치(13) 또는 전자기기(12)에 의하여 처리되어 청력 보완 기기(11)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기기(12)가 일시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 또는 전자기기(12)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 외부 소리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수신 유닛(111)은 통신 유닛(121)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보조 마이크(114)로 유입되는 음성 또는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보조 마이크(114)로부터 유입되는 신호라는 것을 사용자에게 메시지 또는 다른 적절한 신호로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신호가 유입되는 경우 전자기기(12)와 청력 보완 기기(11)의 연결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위에서 설명이 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완 기기(11)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를 가지고 있지 아니하여 구조적으로 간단하다. 또한 청력 보완 기기(11)가 보청기와 같은 장치가 되는 경우 요구되는 신호 처리는 송신 장치(11) 또는 전자기기(12)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같은 장치의 경우 청력 보완 기기(11)에서 처리되기 어려우면서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복잡한 신호 처리가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송신 장치(13)는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미리 처리된 청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송신 장치(13)에서 실행되는 이와 같은 기능의 일부는 전자기기(12)에서 행해질 수 있다. 아래에서 이와 같은 기능이 송신 장치(13)에서 행해지는 것을 기초로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완 기기에서 보정 신호가 수신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기기(12)에 환경 음을 유입시키기 위한 마이크(122)가 설치될 수 있고 마이크(122)는 별도로 설치되거나 전자기기(12) 자체에 설치된 마이크가 될 수 있다. 마이크로 유입된 환경 음은 환경 음 유닛(221)으로 전달되어 처리될 수 있다. 환경 음 유닛(221)은 외부 음을 별도로 필터 처리하지 않으면서 환경 음에 해당한다는 표지를 부여하여 통신 유닛(121)으로 전송할 수 있다. 환경 음 유닛(221)은 필요에 따라 유입 시간 또는 지속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추가하여 통신 유닛(121)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기기(12)의 성능에 따라 환경 음 유닛(221)은 환경 음으로부터 환경 파라미터를 추출하거나 특정 환경 음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음 유닛(22)은 유입되는 환경이 동일한 환경인지 또는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변화된 환경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통신 유닛(121)으로 전달할 수 있다.
통신 유닛(121)은 전달된 환경 음을 처리하여 송신 장치(13)로 전송할 수 있다. 송신 장치(13)의 신호 식별 유닛(231)은 환경 음에 해당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고 그리고 환경 음이 유입되는 전자기기(12)로부터 사용자 식별 유닛(232)에 의하여 사용자가 식별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식별 유닛(232)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1)로부터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검색하여 현재 환경에 적합한 피팅 데이터 또는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이후 전자기기(14)로부터 유입되는 환경 음을 포함하는 사용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 청각 신호는 피팅 데이터가 적용된 형태로 보정이 되어 송신 유닛(233)을 통하여 전자기기(12)로 전달될 수 있다. 전자기기(12)는 송신 유닛(233)을 통하여 전달된 청각 신호를 적절한 크기로 조절하여 청력 보완 기기(11)로 전송할 수 있다. 대안으로 피팅 데이터가 전자기기(12)로 전달될 수 있고 전자기기(12)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모든 음에 대하여 새로운 피팅 데이터 또는 보정 데이터가 생성될 때까지 피팅 데이터가 적용된 청각 신호를 청력 보완 기기(11)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른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전달되는 통신을 위한 통신 음은 송신 장치(11)에서 보정되어 전자기기(12)로 전달되고 그리고 다시 청력 보완 기기(11)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완 기기(11)는 이와 같이 전자기기(12) 또는 송신 장치(13)에서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처리된 청각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그리므로 별도로 수신된 청각 신호에 대한 처리가 없이 사용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청각 신호를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간단한 구조를 가진 청력 보완 기기(11)에 의하여 자신의 청력 수준에 적합한 청각 신호를 듣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각 신호는 사용자의 주위의 환경 음, 대화 음 및 통신 음과 같이 사용자에게 전달된 필요가 있는 모든 음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 장치(13) 또는 전자기기(12)는 사용자 각각에 고유한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24)를 가질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24)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적응 신호의 적합성 여부를 확인하는 한편 사용자의 청력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24)는 사용자가 접하는 다양한 환경에 대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유사한 환경에서 반복적으로 생활하게 되고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24)는 이와 같이 사용자의 반복적인 환경에 대한 정보 및 그에 적합한 보정 데이터 또는 적응 신호에 대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현재 적용되는 적응 신호의 적합성 여부를 전자기기(12)를 통하여 송신 장치(12)로 전송하게 된다. 송신 장치(12)는 사용자의 적합성 여부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1)에 기초하여 새로운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적용하거나 전자기기(12)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사용자의 선택은 지속적으로 추적하면 사용자의 청력 변화를 확인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만약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보정 데이터가 변화되는 경우 보정 데이터의 변화가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청력이 더욱 나빠지는 것과 같은 상황이 감지되면 이를 사용자 또는 외부 관련 서버에 전송하여 사용자의 청력 상태에 대한 검사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31)는 전자기기(12)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관련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24)로부터 관련 위치에 따른 적절한 보정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환경에서 보정 데이터의 변화를 확인하고 이를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신 장치(13)에서 청각 신호가 보정되고, 송신 장치(13) 자체가 가진 연산 능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유리한 다양한 사용자 상태 정보가 생성 및 관리될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24)는 사용자의 청력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은 송신 유닛 또는 휴대용 통신 가능 유닛에 사용자 청력 데이터가 저장되는 단계(P31); 상기 휴대용 통신 가능 유닛으로부터 유입된 환경 음이 상기 송신 유닛 또는 상기 휴대용 통신 가능 유닛에 의하여 처리되어(P32) 사용자 적응 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33); 및 상기 사용자 적용 데이터가 적용된 적응 신호가 사용자 수신 유닛으로 전송되는 단계(P34)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적응 데이터는 사용자 환경의 변화에 따라 보정이 될 수 있다(P36).
청각 신호의 수신은 예를 들어 보청기, 이어폰 또는 헤드셋과 같은 청력 보완 기기에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처리된 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처리된 신호의 수신을 위하여 사용자는 미리 송신 장치를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관련 서비스의 제공을 신청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서비스 제공자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청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그와 같은 사용자 청력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서버와 연결되어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대안으로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그와 같은 사용자 청력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 청력 데이터는 송신 장치에 저장될 수 있고(P31) 이후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청각 신호는 이에 기초하여 보정될 수 있다.
환경 음은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유입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 청각 신호를 의미하고 사용자가 가진 전자기기의 마이크로 유입되어 송신 장치에 수신될 수 있다(P32). 환경 음은 사용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 다른 청각 신호와 함께 전송되거나 또는 별도로 수신될 수 있다. 대안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전자기기로부터 유입되는 환경 음이 추출될 수 있다. 그리고 환경 음은 필요에 따라 제거되거나 억제되는 것과 같이 적절하게 변형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환경 음이 수신되면(P32), 미리 저장된 사용자 청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환경 음을 적용하여 사용자 적응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P33). 사용자 적응 데이터는 예를 들어 현재 환경에서 제거되어야 할 환경 소음, 억제되어야 할 주파수 대역. 증폭되어야 할 주파수 대역 또는 압축되어야 할 주파수 대역과 같이 유입되는 음에 대하여 보정이 되어야 할 인자 또는 파라미터를 말한다. 사용자의 마이크로로부터 유입되는 청각 신호는 사용자 적응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정되어 사용자 적응 신호로 만들어져 전자기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P34). 또한 사용자 적응 데이터는 환경 음을 포함하여 유입되는 청각 신호에 대하여 사용자 청력 데이터를 적용하면서 제거, 억제, 증폭 또는 압축되어야 하는 피팅 데이터를 의미한다. 서로 다른 환경 조건에서 서로 다른 사용자 적응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동일한 음성에 대하여 서로 다른 적응 신호가 생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P34).
적응 신호는 전자기기를 통하여 사용자의 청력 보완 기기에 수신될 수 있고 사용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환경 음을 포함하는 대화 음 및 통신 음을 수신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재생 음의 경우에도 사용자 적응 데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재생 음의 경우 사용자 적응 데이터가 전자기기로 전송되고 그리고 전자기기에서 보정이 되어 청력 보완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따라 수신되는 환경 음이 변경될 수 있고 환경 음의 변경 여부는 미리 결정된 방법으로 판단될 수 있다(P35).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변경된 경우라고 할지라도 환경 음이 변화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이미 결정된 사용자 적응 데이터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사용자의 환경 변화에 따라 환경 음이 변경된 경우(YES) 사용자 적응 데이터가 보정될 수 있다(P36). 그리고 보정 신호가 청력 보완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P37). 실제로 사용자가 동일한 환경에 있는 경우라고 할지라도 유입되는 환경 음이 시시각각으로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우 유입되는 모든 청각 신호에 대하여 사용자 적응 데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 적응 데이터의 적용 및 그에 따른 처리 시간이 주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만약 처리 시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면 실제로 청각 신호가 유입되는 시간과 사용자가 듣는 시간 사이에 지연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간 지연을 없애기 위하여 사용자 적응 데이터에서 사용자 청력 데이터 및 유입되는 환경 음의 유형을 미리 결정하여 보정 방법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환경 음을 포함하는 청각 신호가 유입되는 경우 유입되는 청각 신호로부터 환경 음이 추출하여 미리 결정된 방법에 따라 처리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 예에서 제시된 것처럼, 사용자에게 제공된 적응 데이터는 이력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P38). 이력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보정 신호의 시간에 따른 데이터의 변화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자신에게 제공된 보정 신호의 적합성 여부를 전자기기를 통하여 송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결정된 보정 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이후 다른 시간이 경과된 이후 유사한 환경에서 다시 사용자에게 적응 데이터가 제공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최종 보정 신호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최종 보정 신호가 이력 데이터로 저장된다. 그리고 주기적으로 이력 데이터에서 최종 보정 신호의 변화가 검토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사용자의 청력이 변화가 되었다고 판단되면 이에 대한 정보가 송신 장치로부터 사용자에게 또는 관련 기관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이력 데이터 자체가 관련 기관에 전송되어 검토될 수 있다. 이력 데이터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완 기기는 내부에 청각 신호의 처리를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를 가지지 않는 것에 의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 사용자에게 적절한 청각 신호가 수신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은 중계기기 또는 전송 측이 가진 자원을 이용하면서 이와 동시에 중계기기 또는 전송 측이 가진 다양한 환경 정보가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송신 환경에 관계없이 사용자에게 적절한 청각 신호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청력 보완 기기 12: 전자기기
13: 송신 장치 14: 외부 기관
24: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
111: 수신 유닛 112: 선택 유닛
113: 볼륨 조절 유닛 114: 보조 마이크
121: 통신 유닛 122: 마이크
131: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221: 환경 음 유닛
231: 신호 식별 유닛 232: 사용자 식별 유닛
233: 송신 유닛

Claims (4)

  1. 미리 저장된 사용자 청력 데이터에 통신 가능한 전자기기로부터 전송된 환경 음이 적용되어 처리된 사용자 적응 청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111); 및
    수신 유닛(111)으로부터 전송되는 청각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청력 데이터 또는 환경 음은 상기 통신 가능한 전자기기에 의하여 선처리가 된 이후 상기 수신 유닛(111)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보완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재생 음과 통신 음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유닛(113)을 더 포함하는 청력 보완 기기.
  3. 송신 유닛 또는 휴대용 통신 가능 유닛에 사용자 청력 데이터가 저장되는 단계;
    상기 휴대용 통신 가능 유닛으로부터 유입된 환경 음이 상기 송신 유닛 또는 상기 휴대용 통신 가능 유닛에 의하여 처리되어 사용자 적응 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적용 데이터가 적용된 적응 신호가 사용자 수신 유닛으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적응 데이터는 사용자 환경의 변화에 따라 보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청력 데이터는 송신 유닛에 미리 저장되고 그리고 갱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














KR1020140108877A 2014-08-21 2014-08-21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을 위한 청력 보완 기기 및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 KR20160023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877A KR20160023078A (ko) 2014-08-21 2014-08-21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을 위한 청력 보완 기기 및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877A KR20160023078A (ko) 2014-08-21 2014-08-21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을 위한 청력 보완 기기 및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084A Division KR20170040137A (ko) 2017-02-20 2017-02-20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을 위한 청력 보완 기기 및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078A true KR20160023078A (ko) 2016-03-03

Family

ID=55535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877A KR20160023078A (ko) 2014-08-21 2014-08-21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을 위한 청력 보완 기기 및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30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964A (ko) * 2016-11-07 2018-05-16 이은희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5661A (ko) 2010-08-12 2012-02-22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KR101231866B1 (ko) 2012-09-11 2013-02-08 (주)알고코리아 귀환소음을 제거하기위한 보청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48125B1 (ko) 2012-10-15 2013-03-27 (주)알고코리아 주변소음 소거와 주파수 채널별 압축 기능을 가진 보청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5661A (ko) 2010-08-12 2012-02-22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KR101231866B1 (ko) 2012-09-11 2013-02-08 (주)알고코리아 귀환소음을 제거하기위한 보청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48125B1 (ko) 2012-10-15 2013-03-27 (주)알고코리아 주변소음 소거와 주파수 채널별 압축 기능을 가진 보청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964A (ko) * 2016-11-07 2018-05-16 이은희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7071B2 (en) Head-wearable hearing device
US9826319B2 (en) Hearing device comprising a feedback cancellation system based on signal energy relocation
EP3038384A1 (en) A hearing device adapted for estimating a current real ear to coupler difference
US10631108B2 (en) Hearing augmentation systems and methods
EP2846559A1 (en) A method of performing an RECD measurement using a hearing assistance device
KR102004460B1 (ko) 블루투스 회로와 디지털 신호 처리를 이용한 디지털 히어링 디바이스
US10616685B2 (en) Method and device for streaming communication between hearing devices
US20180295456A1 (en) Binaural level and/or gain estimator and a hearing system comprising a binaural level and/or gain estimator
WO2018005140A1 (en) Hearing augment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009695B2 (en) Hearing system for estimating a feedback path of a hearing device
US20190200141A1 (en) Adaptive level estimator, a hearing device, a method and a binaural hearing system
CN109791771A (zh) 降低声学设备中的编解码器噪声
KR20170040137A (ko)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을 위한 청력 보완 기기 및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
KR20160023078A (ko)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을 위한 청력 보완 기기 및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
KR101872611B1 (ko)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
US10129661B2 (en) Techniques for increasing processing capability in hear aids
DK2619997T3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phone and hearing aid and transfer process
US20230209282A1 (en) Communication device, terminal hearing device and method to operate a hearing aid system
KR101122043B1 (ko) 음향 송수신장치 및 그 송수신방법
KR101528621B1 (ko) 분리형 보청기
US20230209281A1 (en) Communication device, hearing ai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EP4207194A1 (en) Audio device with audio quality detection and related methods
US20220369045A1 (en) Audio feedback reduction system for hearing assistance devices, audio feedback reduc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KR101817774B1 (ko) 유입 신호 조절 구조의 보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