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611B1 -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611B1
KR101872611B1 KR1020160147644A KR20160147644A KR101872611B1 KR 101872611 B1 KR101872611 B1 KR 101872611B1 KR 1020160147644 A KR1020160147644 A KR 1020160147644A KR 20160147644 A KR20160147644 A KR 20160147644A KR 101872611 B1 KR101872611 B1 KR 101872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smart device
portable smart
signal
h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0964A (ko
Inventor
이은희
Original Assignee
이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희 filed Critical 이은희
Priority to KR1020160147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611B1/ko
Publication of KR20180050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8Remote control, e.g. of amplification,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스마트 기기에서 보청기 기능의 일부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 다양한 기능의 적용이 가능한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는 외부 소리가 유입되는 마이크(12); 마이크(12)로부터 유입된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휴대용 스마트기기(20)로 전송시키고,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서 처리된 신호를 수신하는 유입 신호 처리 모듈(11); 및 유입 신호 처리 모듈(11)에서 수신된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리시버(1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A Hearing Device Having a Operating Relationship with a Portable Smart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스마트 기기에서 보청기 기능의 일부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 다양한 기능의 적용이 가능한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유선 또는 무선 보청기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보청기의 기능이 향상될수록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복잡해지고 이로 인하여 제조비용이 상승되면서 사용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청기는 전자기기가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05-0120098호는 청력 검사 소리음을 생성하여 이어폰을 통해 출력하는 피팅 검사부; 상기 청력 검사 소리음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응답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응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청력 손실 특성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청력 손실 특성에 상응하도록 주파수 증폭 조건을 설정하는 피팅 수행부; 신호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전달받은 외부 사운드 신호에서 음성 신호를 추출하는 음성 신호 분리부; 및 상기 음성 신호를 상기 주파수 증폭 조건에 상응하도록 증폭하는 특성 주파수 증폭부를 포함하는 보청기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09-0065718호는 핸드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보청기 모듈과 음향기기에 연결되는 무선 송신부로 구성되고, 보청기 모듈의 신호 입력부는 마이크 신호와 핸드폰 신호와 오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사용자 주변의 소리를 전달하는 보청기 모드에서 마이크의 입력을 선택하여 보청기 모듈의 신호 처리부로 전달하고, 신호 처리부에서 신호 증폭과 함께 사용자의 청각 능력에 맞추어 주파수 밴드별로 이득과 압축을 보정하는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신호 출력부로 전달하고, 리시버에 무선 수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핸드폰 연결용 보청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5-0051542호는 보청기와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블루투스가 탑재된 스마트폰을 준비하고, 스마트폰이 내부에 보청기와 연결하기 위하여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보청기의 이미 설정된 값을 제공받아 상기 설정된 값을 스마트폰에서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 보청기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보청기의 일부 기능 또는 전체 기능이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이루어지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지만 실시간으로 스마트기기와 연동되어 보청기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지도록 하면서 스마트기기 자체가 가진 다양한 자원이 보청기의 작동과 연동되도록 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제10-2005-0120098호(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2005년12월22일 공개) 휴대용 개인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보청 기능 구현 방법 및 그 장치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제10-2009-0065718호(주식회사 비에스엘, 2009년06월23일 공개) 핸드폰 연결용 보청기 선행기술 3: 특허공개번호 제10-2015-0051542호(오큐브 주식회사, 2015년05월13일 공개)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 보청기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청 알고리즘이 휴대용 스마트기기에서 작동되거나 또는 적어도 휴대용 스마트기기로부터 보청 알고리즘의 작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는 외부 소리가 유입되는 마이크; 마이크로부터 유입된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휴대용 스마트기기로 전송시키고, 휴대용 스마트기기에서 처리된 신호를 수신하는 유입 신호 처리 모듈; 및 유입 신호 처리 모듈에서 수신된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리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입 신호 처리 모듈은 스마트 기기에서 설치된 보청 알고리즘에서 전송된 청각 신호를 리시버로 전송하고, 상기 청각 신호는 사용자 적응 신호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마이크는 휴대용 스마트기기에 배치되거나, 휴대용 스마트기기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전자기기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입 신호 처리 모듈에서 수신된 신호는 휴대용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보청 알고리즘에 의하여 처리 수준이 결정되고, 상기 처리 수준은 휴대용 스마트기기의 기능 분리 유닛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마이크로부터 유입된 소리 신호가 리시버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휴대용 스마트기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리시버로 전송하는 전달 특성 유닛을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보청 알고리즘은 개인의 청력 선호도를 결정하는 개인 적응 및 주변 환경 상황이 적용된 환경 적응이 된 피팅 데이터를 포함하고, 피팅 데이터는 작동 설정 유닛에 의하여 저장 위치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보청 알고리즘이 휴대용 스마트기기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보청기의 구조가 간단해지도록 하면서 보청기의 전력 소비가 감소되도록 한다. 또한 보청기의 제조비용이 감소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휴대용 스마트기기에서 보청 성능의 향상을 위한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보청기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기능이 저비용으로 실현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필요에 따라 보청기와 스마트기기 사이의 다양한 기능 분산을 시키는 것에 의하여 전자기기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보청기는 보청기의 사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점이 휴대용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것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확인되어 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가 휴대용 스마트기기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에서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다양한 소리 신호가 처리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와 휴대용 스마트기기 사이에 기능 분리가 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가 휴대용 스마트기기와 연동되어 작동이 개시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10)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10)는 외부 소리가 유입되는 마이크(12); 마이크(12)로부터 유입된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휴대용 스마트기기(20)로 전송시키고,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서 처리된 신호를 수신하는 유입 신호 처리 모듈(11); 및 유입 신호 처리 모듈(11)에서 수신된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리시버(13)를 포함한다.
마이크(12)는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고, 음향 또는 음성을 비롯한 외부의 다양한 소리 신호가 보청기(10) 또는 휴대용 스마트기기(20)로 전송되도록 한다. 마이크(12)는 보청기(12)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 배치되거나 또는 보청기(1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다른 휴대용 전자기기(도시되지 않음)에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12)로 유입된 소리 신호는 유입 신호 처리 모듈(11)로 전송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소리 신호는 적절하게 선처리가 되어 유입 신호 처리 모듈(11)로 전송될 수 있다. 유입 신호 처리 모듈(11)은 마이크(12)로부터 전송된 소리 신호를 보청 알고리즘(21)으로 전송하면서 리시버(13)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보청 알고리즘(21)은 잡음 제거를 위한 잡음 제거, 사용자의 청력 수준과 관련된 청력 데이터, 청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주파수 대역별 증폭이 된 피팅 데이터 또는 다른 사용자 청력 장애 수준의 제거 또는 감소를 위한 기능 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보청 알고리즘(21)은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 설치될 수 있고, 휴대용 스마트기기(20)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와 같은 휴대용 오디오 기기와 같은 미디어 재생기기, 휴대용 인체 착용 전자기기 또는 그와 같은 중앙처리장치 및 구동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작동이 가능한 임의의 휴대용 전자기기가 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스마트기기(20)는 서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전자기기가 될 수 있다.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 보청 알고리즘이 설치되어 유입 신호 처리 모듈(11)에서 전송된 소리 신호가 처리되어 사용자 가청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사용자 가청 신호는 난청을 가지는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피팅 데이터가 적용된 소리 신호를 의미한다. 사용자 가청 신호는 다시 유입 신호 처리 모듈(11)로 전송되어 리시버(13)를 경유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유입 신호 처리 모듈(11)은 휴대용 스마트기기(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동글(dongle)과 같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휴대용 스마트기기(20)와 연결될 수 있다. 휴대용 스마트기기(20)는 기기 자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22)을 포함할 수 있고, 보청 알고리즘(21)은 휴대용 스마트기기(20)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제어 유닛(22)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보청 알고리즘(21)은 미리 정해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가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10)는 마이크(12)를 통하여 유입되는 소리 신호를 휴대용 스마트기기(20)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청력에 적합하게 처리되도록 한다. 휴대용 스마트기기(20)는 사용자에게 적용 가능한 보청 알고리즘(21)에 따라 보청기(10)에서 전송된 소리 신호를 처리하여 보청기(10)로 되돌려 준다. 보청기(10)는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처리된 사용자 청각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보청기(10)는 소리 신호의 유입 및 전달 기능만을 가지고,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서 보청 알고리즘(21)이 작동되어 유입된 소리 신호가 처리된다. 이로 인하여 보청기(10)의 구조가 간단해지면서 휴대용 스마트기기(20)의 성능에 따라 보청 효과의 상승을 위한 복잡한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 보청기(10) 또는 휴대용 스마트기기(20)의 구조에 따라 보청 알고리즘(21)의 일부 기능이 보청기(10)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청기(10)는 유입되는 소리로부터 가청 주파수 범위를 벗어나는 신호를 제거하거나 또는 처리된 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 분산은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서 조절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기능 분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가 휴대용 스마트기기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청기(10)는 귀에 착용 가능한 케이스(14); 케이스(14)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BT), 외부 소리 신호의 유입을 위한 마이크(12); 유입 신호 처리 모듈(11); 및 리시버(13)를 포함할 수 있다. 보청기(10)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스마트기기(20)에 보청 알고리즘(21)이 설치될 수 있고, 외부 마이크(23)가 설치될 수 있다. 휴대용 스마트기기(20)는 이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부품 또는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 USB 포트, 통신 칩, 충전 잭, 구동 OS 또는 작동 애플리케이션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 설치되거나 또는 설치 가능한 이와 같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보청기(10)와 휴대용 스마트기기(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보청기(10) 및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 무선 연결을 위한 무선 통신 수단(15, 2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청기(10)와 휴대용 스마트기기(20)는 커넥터를 가진 통신 케이블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보청 알고리즘(21)은 소리 신호를 처리하여 보청기(10)로 되돌려주는 기능을 할 수 있고, 보청 알고리즘(21)에서 유입된 소리 신호를 처리하여 보청을 위한 피팅 데이터가 적용된 가청신호 또는 사용자 적응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의 적어도 일부가 실행될 수 있다. 보청 알고리즘(21)에서 실행되는 기능은 휴대용 스마트기기(20)와 연동된 보청기(10)가 가진 성능 또는 현재 상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보청기(10)가 휴대용 스마트기기(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면 보청기(10)는 휴대용 스마트기기(20)의 작동 상태를 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보청기 정보(HI)가 휴대용 스마트기기(20)로 전송될 수 있다. 휴대용 스마트기기(20)는 보청기 정보(HI)로부터 보청기(10)의 종류, 기능, 설치 소프트웨어 또는 현재 작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보청기 정보(HI)는 보청기(10)의 현재 상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현재 배터리 상태와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보청 알고리즘(21)의 기능은 기능 분리 유닛(211)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고, 기능 분리 유닛(211)은 보청기 정보(HI)에 기초하여 그리고 휴대용 스마트기기(20)의 현재 작동 상태에 기초하여 보청 알고리즘(21)에 의하여 실행되어야 하는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기능 분리 유닛(211)에 의하여 보청 알고리즘(21)에서 피팅 데이터가 적용된 사용자 적응 신호가 생성되거나, 사용자 적응 신호의 생성의 위한 과정의 일부가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청기(10)에서 사용자 적응 신호의 리시버(13)로 전송 과정만이 진행되거나, 사용자 적응 신호가 최종적으로 만들어져 리시버(13)로 전송될 수 있다.
기능 분리 유닛(211)은 보청 알고리즘(21)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보청기(10) 또는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 따라 다양하게 기능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보청기(10) 또는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 대하여 서로 다른 시간에 기능 분리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에서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다양한 소리 신호가 처리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청기(10)에 설치된 마이크(12)로 유입된 소리 신호는 신호 분리 유닛(31)으로 전송될 수 있다. 신호 분리 유닛(31)은 가청 주파수 신호를 분리하는 필터 기능을 가지거나, 펄스 형태로 유입되는 위험 신호를 분리하거나 또는 잡음에 해당하는 음향 신호를 분리시킬 수 있다. 대안으로 마이크(12)로 유입된 소리 신호는 별도로 처리되지 않고 보청 통신 유닛(331)을 통하여 휴대용 스마트기기(20)로 전송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보청 통신 유닛(331)은 유무선 통신 수단이 될 수 있다.
신호 분리 유닛(31)은 보청 알고리즘에 의하여 처리될 필요가 있는 신호와 보청 알고리즘에 의하여 처리될 필요가 없는 신호를 분리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위험 신호는 별도의 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고 리시버(13)로 전달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전달 특성 유닛(32)은 보청 알고리즘에 의하여 처리되어야 하는 신호가 리시버(13)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해당 신호가 보청 통신 유닛(331)을 통하여 휴대용 스마트기기(20)로 전송되도록 한다.
보청 통신 유닛(331)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기기 통신 유닛(332)으로 유입된 소리 신호는 보청 알고리즘(21)에 의하여 사용자 가청 신호 또는 사용자 적응 신호로 만들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38)에 기초하여 사용자 개개인의 청력 특성이 청력 특성 유닛(34)에 의하여 소리 신호가 보정될 수 있다. 환경 정보 유닛(37)으로부터 수집된 환경 정보가 환경 적응 유닛(36)으로 전송될 수 있고, 환경 적응 유닛(36)은 사용자 개인에 청력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환경 정보 유닛(37)은 보청기(10) 또는 휴대용 스마트기기(20)의 실사용 환경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임의의 기기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 배치된 외부 마이크,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GPS 수신 칩과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환경 적응 유닛(36)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환경 소음이 분리되어 신호 분석 유닛(35)으로 전송될 수 있다. 신호 분석 유닛(35)은 음성과 음향을 구분하면서 사용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 소리 신호를 결정하면서 이와 동시에 외부에서 유입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 환경 음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결정된 환경 음을 포함하는 소리 신호가 청력 특성 유닛(34)으로 전달될 수 있다.
청력 특성 유닛(34)은 전달 특성 유닛(32)으로부터 전송된 소리 신호를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38) 또는 신호 분석 유닛(35)에서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적응 신호로 보정하여 전달 특성 유닛(32)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전달 특성 유닛(32)은 전송된 소리 신호를 조절 유닛(39)으로 전송할 수 있고, 조절 유닛(39)은 볼륨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적응 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적절한 크기로 조절하여 리시버(13)로 전달할 수 있다. 만약 마이크(12)로 유입된 소리 신호 중 일부가 보청 알고리즘(21)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리시버(13)로 전달된다면, 조절 유닛(39)은 직접 전송된 음향과 처리된 사용자 적응 신호의 상대적인 크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마이크로 유입된 소리 신호는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와 휴대용 스마트기기 사이에 기능 분리가 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청 알고리즘(21)은 적어도 하나의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38); 하나의 청력 데이터(38)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사용 환경에 맞도록 보정된 적어도 하나의 피팅 데이터(45); 현재 적용되고 있는 피팅 데이터 및 사용 조건이 적용된 적응 유닛(42); 및 다양한 환경 또는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보정과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 보정 데이터베이스(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청 알고리즘(21)은 잡음 제거 필터, 유입되는 소리 전체의 크기 조절 기능, 음향과 음성의 분리 기능, 이명 치료 기능, 궤환 제거 기능 또는 백색 잡음 추가 기능과 같이 보청기가 가질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마이크(12)를 통하여 유입되는 소리 신호에 대하여 피팅 데이터(45)가 적용되어 사용자 적응 신호로 만들어져 보청기(10)의 전달 특성 유닛(32)으로 전송될 수 있다.
개인 적응 유닛(43)은 개인의 소리 신호에 대한 선호도, 서로 다른 환경에 따른 청력 상태 변화, 이명 음 또는 이와 유사한 개인의 소리 신호에 대한 반응 특성에 대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개인 적응 유닛(43) 또는 환경 적응 유닛(36)의 정보는 보정 데이터베이스(41)로 전송되어 청력 데이터(38)에 적용되어 피팅 데이터(45)의 생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청 알고리즘(21)의 이와 같은 기능 또는 처리 과정은 휴대용 스마트 기기(20)에서 실행되거나 또는 보청기(10)에서 실행될 수 있다.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 작동 설정 유닛(44)이 배치되어 보청 알고리즘(21)에서 소리 신호가 처리되는 과정이 기능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작동 설정 유닛(44)은 이와 같은 처리 과정 또는 기능을 휴대용 스마트기기(20) 또는 보청기(10)에 분산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작동 설정 유닛(44)은 보청기(10)에 대한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보청 알고리즘(21)의 기능이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서 작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보청 알고리즘(21)이 가진 기능의 일부가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서 작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작동 설정 유닛(44)은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서 시간에 따라 보청 알고리즘(21)의 서로 다른 기능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 과정에서 보청기(10)가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 일정 시간 동안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보청기(10)가 자체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특정 시간에 마이크(12)를 통하여 유입되는 소리 신호에 최종적으로 적용되는 피팅 데이터가 보청기(10)에 저장될 수 있다. 만약 보청기(10)에서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 연결되지 않는 것이 탐지된다면, 보청기(10)는 이와 관련된 경보를 발생시키면서 연결이 시도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스마트기기(20)와 연결되지 않는 동안 보청기(10)에서 저장된 피팅 데이터가 소리 신호에 적용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정보가 전달 특성 유닛(32)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보청기(10)가 다시 휴대용 스마트기기(20)와 연결되면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서 보청 알고리즘(21)의 적어도 일부가 실행될 수 있다.
작동 설정 유닛(44)은 다양한 방법으로 기능을 분산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가 휴대용 스마트기기와 연동되어 작동이 개시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청기(10)에 휴대용 스마트기기(20)의 작동 상태를 탐지하기 위한 작동 탐지 유닛(51); 보청기(10)의 종류, 기능, 작동 상태 또는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정보 저장 유닛(52) 및 작동 탐지 유닛(51)에서 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보청기(10)의 기능을 제한하는 기능 제한 유닛(53)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 제한 유닛(53)에 의하여 보청기(10)가 예를 들어 보청기(10)에 저장된 피팅 데이터의 작동이 제한될 수 있다.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 위에서 설명된 기능 분리 유닛(211)이 설치되어 보청 알고리즘(21)의 기능의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기능 분리 유닛(211)은 또한 모드 설정 유닛(54)으로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모드 설정 유닛(54)는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서 보청 알고리즘(21)의 작동에 필요한 기능을 제외하고 모든 기능이 슬립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서 전력 소비가 감소되도록 한다.
보청기(10) 또는 휴대용 스마트기기(20)는 보청 알고리즘(21)의 작동을 위한 다양한 기능 유닛이 배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보청 알고리즘이 휴대용 스마트기기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보청기의 구조가 간단해지도록 하면서 보청기의 전력 소비가 감소되도록 한다. 또한 보청기의 제조비용이 감소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휴대용 스마트기기에서 보청 성능의 향상을 위한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보청기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기능이 저비용으로 실현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는 필요에 따라 보청기와 스마트기기 사이의 다양한 기능 분산을 시키는 것에 의하여 전자기기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보청기는 보청기의 사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점이 휴대용 스마트기기와 연동되는 것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확인되어 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보청기 11: 유입 신호 처리 모듈
12: 마이크 13: 리시버
14: 케이스 15, 22: 무선 통신 수단
20: 휴대용 스마트기기 21: 보청 알고리즘
22: 제어 유닛 23: 외부 마이크
31: 신호 분리 유닛 32: 전달 특성 유닛
34: 청력 특성 유닛 35: 신호 분석 유닛
36: 환경 적응 유닛 37: 환경 정보 유닛
38: 청력 데이터 39: 조절 유닛
41: 보정 데이터베이스 42: 적응 유닛
43: 개인 적응 유닛 44: 작동 설정 유닛
45: 피팅 데이터 51: 작동 탐지 유닛
52: 정보 저장 유닛 53: 기능 제한 유닛
54: 모드 설정 유닛 211: 기능 분리 유닛
331: 보청 통신 유닛 332: 기기 통신 유닛
BT: 배터리 HI: 보청기 정보

Claims (6)

  1. 외부 소리가 유입되는 마이크(12);
    마이크(12)로부터 유입된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휴대용 스마트기기(20)로 전송시키고,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서 처리된 신호를 수신하는 유입 신호 처리 모듈(11); 및
    유입 신호 처리 모듈(11)에서 수신된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리시버(13)를 포함하고,
    유입 신호 처리 모듈(11)에서 수신된 신호는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 설치된 보청 알고리즘(21)에 의하여 처리 수준이 결정되고, 상기 처리 수준은 휴대용 스마트기기(20)의 기능 분리 유닛(211)에 의하여 결정되며, 상기 기능 분리 유닛(211)은 보청기로부터 전송된 보청기 정보(HI) 및 상기 휴대용 스마트기기(20)의 현재 작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보청 알고리즘(21)의 일부 기능이 보청기에서 실행되도록 결정하고,
    상기 유입 신호 처리 모듈(11)은 스마트 기기(20)에서 설치된 보청 알고리즘(21)에서 전송된 청각 신호를 리시버(13)로 전송하고, 상기 청각 신호는 사용자 적응 신호가 되고, 상기 보청 알고리즘(21)은 개인의 청력 선호도를 결정하는 개인 적응 및 주변 환경 상황이 적용된 환경 적응이 된 피팅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피팅 데이터는 작동 설정 유닛(44)에 의하여 저장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마이크(12)는 휴대용 스마트기기(20)에 배치되거나, 휴대용 스마트기기(2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전자기기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마이크(12)로부터 유입된 소리 신호가 리시버(13)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휴대용 스마트기기(2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리시버(13)로 전송하는 전달 특성 유닛(3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
  6. 삭제
KR1020160147644A 2016-11-07 2016-11-07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 KR101872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644A KR101872611B1 (ko) 2016-11-07 2016-11-07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644A KR101872611B1 (ko) 2016-11-07 2016-11-07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964A KR20180050964A (ko) 2018-05-16
KR101872611B1 true KR101872611B1 (ko) 2018-06-28

Family

ID=62452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644A KR101872611B1 (ko) 2016-11-07 2016-11-07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6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99047A (zh) * 2018-09-14 2023-04-25 科利耳有限公司 一种包括植入式假体的植入式部件的装置
KR102356728B1 (ko) 2021-05-03 2022-02-08 윤종환 보청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122B1 (ko) 2004-06-18 2006-10-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개인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보청 기능 구현 방법및 그 장치
KR100955501B1 (ko) 2007-12-18 2010-04-30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핸드폰 연결용 보청기
KR101149062B1 (ko) * 2010-03-10 2012-05-24 (주)건융아이비씨 보청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와 결합되는 보청용 이어 마이크 장치
KR20150051542A (ko) 2013-11-04 2015-05-13 오큐브 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 보청기 제어 시스템
KR20160023078A (ko) * 2014-08-21 2016-03-03 김문수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을 위한 청력 보완 기기 및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964A (ko)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33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recognition of a hearing device user's own voice, and hearing aid
EP2378794B1 (en) Control of low power or standby modes of a hearing assistance device
US8705782B2 (en) Wireless beacon system to identify acoustic environment for hearing assistance devices
US9247356B2 (en) Music player watch with hearing aid remote control
US20170208401A1 (e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pplication softwar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hearing aid
CN103891307A (zh) 微音器组件
US20110238419A1 (en) Binaural method and binaural configuration for voice control of hearing devices
CN110620979A (zh) 控制助听器与外围设备之间的数据传输的方法和助听器
US201701170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erting user to sound occurrence
KR101872611B1 (ko)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
CN103155409A (zh) 用于向用户提供听力辅助的方法与系统
US11297429B2 (en) Proximity detection for wireless in-ear listening devices
KR101175724B1 (ko) 사용환경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US20220295198A1 (en) Buttonless on/off switch for hearing assistance device
KR101906298B1 (ko) 피팅이 용이하고 체온 모니터링 기능을 가진 보청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11708B1 (ko) 보청기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7032503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device, hear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1391887B1 (ko) 사용자 참여에 의한 보청기 피팅장치
DK2712211T3 (en) Hearing aid for the provision of telephone signals
KR101860523B1 (ko) 알고리즘 처리 모듈 분리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US90780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ring aid location
KR101425554B1 (ko) 모바일 디바이스 통합형 보청기
KR101910990B1 (ko) 휴대용 스마트 기기 보완 연동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KR20170040137A (ko)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을 위한 청력 보완 기기 및 환경 적응 청각 신호의 수신 방법
KR101504721B1 (ko) 양이 보청 기능을 가지는 보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