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3837A -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셀프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셀프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3837A
KR20230023837A KR1020210104834A KR20210104834A KR20230023837A KR 20230023837 A KR20230023837 A KR 20230023837A KR 1020210104834 A KR1020210104834 A KR 1020210104834A KR 20210104834 A KR20210104834 A KR 20210104834A KR 20230023837 A KR20230023837 A KR 20230023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user
frequency
fitting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7322B1 (ko
Inventor
강호성
범재룡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딤
Priority to KR1020210104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322B1/ko
Publication of KR20230023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61B5/0205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 an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3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with portable devices, e.g.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61B5/1117Fall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61B5/123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subjective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1External prosth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15Ea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0Monitoring or testing of hearing aids, e.g. functioning, settings, battery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3Signal processing in hearing aids to enhance the speech intelligi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55Communication between hearing aids and external devices via a network for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83Aspects of electrical fitting of hearing aids related to problems arising from growth of the hearing aid user, e.g.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urosurg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셀프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귀 부분에 착용되는 보청기와, 상기 보청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보청기의 출력을 사용자의 청력 상태 또는 주위 소음 환경에 따라서 조절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셀프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Self-fitting hearing aid system using the user's terminal and fit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셀프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귀 부분에 착용되는 보청기와, 상기 보청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보청기의 출력을 사용자의 청력 상태 또는 주위 소음 환경에 따라서 조절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 정보를 공유하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상기의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이를 여러 산업에서 도입하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는데, 바로 의료사물인터넷(Internet Of Medical Things, IoMT)도 그 중 하나이다.
의료사물인터넷이란 개인의 생활습관, 질병 이력, 의료이용정보, 유전체정보 등을 데이터화해 정보, 기기 및 시스템이 하나로 연결되는 기술을 말한다.
의료사물인터넷(IoMT)를 이용한 기술로서 대표적인 것은, 환자의 바이오센서를 통하여 심장 박동을 전자식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술, 환자가 병원에서 퇴원한 후에도 지속적으로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이어폰 등을 과다하게 사용함으로써 유발된 난청이나 고령화에 따른 난청 인구의 급속한 증가로 인하여 보청기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적절한 시기에 보청기를 착용한다고 하여도 사용상의 불편으로 인하여 제대로 효과를 못 보는 사용자들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보청기 착용자들이 많이 호소하는 불편으로는 소리의 울림현상이나 잡음으로 인하여 말소리 변별력의 개선효과를 느끼지 못하는 것인데, 이러한 불편은 대부분 청력상태에 알맞지 않은 제품을 착용하거나 또는 적응 과정이나 표준화 피팅, 청능훈련 및 사후관리 등의 체계적인 개인맞춤 청각솔루션 과정을 받지 못한 경우이다.
따라서, 보청기를 사용하여 청력 개선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개인별 청력 맞춤형 보청기를 선택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나아가, 난청 인구의 연령대가 다양해지는 만큼 사용 목적과 생활환경에 따라 초소형부터 귀걸이형까지 외형적인 디자인을 고려하여야 하며, 특히, 청장년층은 대부분 사회생활을 고려하여 눈에 띄지 않는 초소형보청기를 선호하는 추세이므로 이러한 점을 반영할 수 있는 보청기 시스템의 개발 필요성이 상존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블루투스 이어셋 기능의 셀프 피팅 보청기와, 피팅 기능 및 버튼 구조를 가지는 충전 크래들과, 피팅 앱을 가지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한 셀프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은, 사용자의 귀 부분에 착용되는 보청기와, 상기 보청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보청기의 출력을 사용자의 청력 상태 또는 주위 소음 환경에 따라서 조절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한 셀프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력측정기능을 보청기 시스템에 내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의 청력을 직접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청력 상태에 따라서 자동으로 보청기 출력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청력에 최적화된 맞춤형 보청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보청기 내에 사용자의 신체온도, 맥박. 운동량 등의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내장함으로써, 사용자와 보호자가 보청기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보청기 사용자별 청력측정 및 피팅 데이터를 통계 처리하고, 통계처리된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인공지능 서버 플랫폼을 구비함으로써, 보청기 사용자가 사용 환경모드를 수동으로 선택하지 않아도 보청기가 사용자의 환경을 자동 인식 하여 사용자가 소리를 더 잘 들을 수 있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보청기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보청기 시스템의 보청기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보청기 시스템의 보청기의 블록다이어그램,
도 4 는 본 발명의 보청기 시스템의 크래들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보청기 시스템의 크래들의 블록다이어그램,
도 6 은 본 발명의 보청기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로서, 도 6a 는 로그인 화면의 일례, 도 6b 는 주요기능메뉴화면의 일례, 도 6c 는 청력측정/피팅 화면의 일례, 도 6d 는 울림현상조정화면의 일례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한 셀프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의 구성을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보청기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청기 시스템은, 사용자의 귀 부분에 착용되는 보청기(100)와, 상기 보청기(100)를 수납하는 박스 형상의 외관을 가지며, 수납된 보청기(100)를 충전시키고, 보청기(100)의 출력을 사용자의 청력 상태 또는 주위 소음 환경에 따라서 조절하는 피팅(fitting)용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보청기(100)에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전송하는 크래들(200)과, 상기 보청기(100) 및 크래들(200)과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보청기(100)의 출력을 사용자의 청력 상태 또는 주위 소음 환경에 따라서 조절하는 피팅(fitting)용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보청기(100)에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300)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기(400)와, 상기 보청기(100), 크래들(200) 및 사용자단말기(400)에서 생성된 사용자별 청력측정 및 피팅 데이터를 통계 처리하고, 통계처리된 빅데이터를 인공지능기법으로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에 따라서 보청기(100)의 사용자 환경을 자동 인식 하여 보청기(100)를 조절하는 제어정보를 제공하는 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핸드폰이나 테블릿 PC 와 같은 이동통신용단말기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일례로 스마트폰을 들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보청기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보청기 시스템의 보청기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보청기 시스템의 보청기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먼저,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청기(100)는 사용자의 귀 부분에 착용되는 것으로서, 귓바퀴 부분에 거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의 귓구멍 부분으로 내삽되는 삽입관(12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보청기용 제어회로를 내장하며, 상기 삽입관(120)의 말단은 연성 재질의 접촉구(121)가 부착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보청기 시스템의 보청기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보청기(100)는, 제어부(130)와,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센서(140)와, 보청기(100)의 흔들림 상태를 센싱하는 3축 센서(141)와,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142)와, 보청기 주위의 외부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부(150)와,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160)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70)와, 크래들(200) 및 사용자 단말기(40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맥박센서(140)로부터 사용자의 맥박을 센싱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하고, 상기 3축센서(141)는 보청기의 흔들림 상태를 센싱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하고, 상기 온도센서(142)는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각 센서들로부터 전달받은 맥박신호, 수평 또는 수직상태 신호 및 체온 신호에 따라서 사용자의 맥박과 체온을 파악하고, 보청기의 흔들림 상태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낙상을 당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청기(100)는 사용자의 맥박 및 체온을 모니터링할 수 있어 사용자 자신 또는 사용자의 보호자가 맥박과 체온 및 흔들림 상태에 따라서 자신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이크부(150) 및 스피커(160)는 보청기의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어부(130)에 내장된 회로에 의하여 마이크부(150)가 보청기 주위의 소리를 입력받아 증폭시킨 후 스피커(160)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도록 하여준다.
상기 전원공급부(170)는 제어부(13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크래들(200)에 의하여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적용한다.
상기 통신부(180)는 크래들(200) 및 사용자 단말기(4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제어부(130)에서 생성된 각 센서들의 데이터를 크래들(200)과 사용자단말기(400)로 송신하며, 크래들(200)과 사용자단말기(400)에 의하여 보청기(100)의 출력을 사용자의 청력 상태 또는 주위 소음 환경에 따라서 조절하는 피팅(fitting)용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부(180)는 무선통신방식이고,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의 무선통신방식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어부(130)는 주파수별로 소리 크기를 제어하는 DSP (Digital Signal Processing)의 알고리즘 적용하여, 하울링을 방지하고, 명료한 소리 구현 거리(5m~50cm)간에 일정한 음량을 청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어부(130)는 크래들(200) 또는 사용자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피팅(fitting)용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 자신의 청력 측정을 통하여 주파수 피팅을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즉, 제어부(130)가 크래들(200) 또는 사용자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피팅(fitting)용 제어신호에 따라 청력측정용 각 대역별 주파수(본 발명 실시예는 8개의 주파수(250Hz, 500Hz, 1Khz, 2Khz, 3KHz, 4KHz, 6Khz, 8Khz))의 소리를 중간의 볼륨값으로 출력해 준 후, 사용자가 크래들(200) 또는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300)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각 주파수의 소리를 들으면서 볼륨을 조절하다가 소리가 잘 안들리는 시점에 ‘확인’버튼을 누름으로써 각 주파수별로 잘 안들리는 볼륨의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각 주파수별로 잘 들리지 않는 음량의 정도를 파악한 셀프 청력측정의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어부(130)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사용자의 셀프 청력측정의 데이터에 따라서 소리의 주파수별로 사용자가 잘 들릴 수 있도록 하는 음량으로 소리를 증폭하여 출력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소리 출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130)는 상술한 청력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귀 울림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가 크래들(200) 또는 사용자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피팅(fitting)용 제어신호에 따라 귀울림현상측정용 각 대역별 주파수(본 발명 실시예는 8개의 주파수(250Hz, 500Hz, 1Khz, 2Khz, 3KHz, 4KHz, 6Khz, 8Khz))의 소리를 중간의 볼륨값으로 출력해 준 후, 사용자가 크래들(200) 또는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300)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각 주파수의 소리를 들으면서 볼륨을 조절하다가 귀울림이 최소화되는 시점에 ‘확인’버튼을 누름으로써 각 주파수별로 귀울림이 최소화되는 볼륨의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각 주파수별로 귀울림이 최소화된 음량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보청기(100)는 본체(110)에 제어부(130)에 결선된 볼륨증가조절버튼 및 볼륨감소조절버튼을 각각 설치하여, 사용자가 직접 보청기(100)의 소리 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통신부(180)를 통하여 사용자의 핸드폰과 같은 사용자단말기(400)와 연결되었을 경우 핸즈프리 통화를 수행하는 핸즈프리버튼을 구비하였다.
도 4 는 본 발명의 보청기 시스템의 크래들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보청기 시스템의 크래들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먼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크래들(200)은 보청기(10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수납될 수 있는 공간부(211)를 형성하고, 뚜껑(220)을 구비한 케이스(210)를 가진다.
상기 공간부(211)로 수납된 보청기(100)는 크래들(200)에 내장된 충전회로에 의하여 보청기(100)의 전원공급부(170)의 배터리가 충전된다.
이러한 크래들(200)은 보청기(100)의 충전 및 보청기(100)를 수납하여 보관하는 용도로 이용된다.
또한, 상기 크래들(200)은 보청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청력측정 및 귀울림현상을 측정할 수 있는 피팅(fitting)용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발생회로를 가지고 있어 보청기의 기능을 사용자에게 맞도록 최적화시키는 셀프 피팅 기능을 제공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보청기 시스템의 크래들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크래들(200)은, 제어부(230)와, 사용자의 청력 및 귀울림현상을 측정하기 위한 피팅(fitting)용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버튼스위치를 구비한 조절부(240)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50)와, 보청기(100) 및 사용자 단말기(40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절부(240)는 볼륨증가버튼(241), 볼륨감소버튼(242), 모드선택버튼(243), 주파수값이동버튼(244) 및 저장버튼(245)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볼륨증가버튼(241) 및 볼륨감소버튼(242)는 모드선택버튼(243)의 모드선택에 따라서 보청기의 볼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거나, 또는, 청력측정이나 울림현상 조정시 해당 주파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피팅(fitting)용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버튼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모드선택버튼(243)은 3가지의 환경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데, 보청기의 볼륨조절모드, 청력측정모드 및 울림현상조정모드이다.
이때, 본 발명 실시예의 청력측정모드는 모드선택버튼(243)을 길게 누르기의 방법으로 해당 모드를 선택하고, 울림현상조정모드는 모드선택버튼(243)을 두 번 누르기의 방법으로 해당 모드를 선택한다.
상기 주파수값이동버튼(244)은 청력 데이터 측정시 및 울림현상조정시 주파수값을 변환시키기 위한 버튼이고, 저장버튼(245)는 측정한 청력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버튼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크래들(200)은 상술한 보청기(100)와 같이, 사용자 자신의 청력 측정을 통하여 주파수 피팅을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즉, 사용자가 보청기(100)를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크래들(200)의 제어부(230)가 청력측정용 각 대역별 주파수(본 발명 실시예는 8개의 주파수(250Hz, 500Hz, 1Khz, 2Khz, 3KHz, 4KHz, 6Khz, 8Khz))의 소리를 중간의 볼륨값으로 출력하는 피팅(fitting)용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한 후, 사용자가 크래들(200)의 볼륨증가버튼(241), 볼륨감소버튼(242)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각 주파수의 소리를 들으면서 볼륨을 조절하다가 소리가 잘 안들리는 시점에 저장버튼(245)을 누름으로써 각 주파수별로 잘 안들리는 볼륨의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각 주파수별로 잘 들리지 않는 음량의 정도를 파악한 셀프 청력측정의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한편, 각 주파수값의 이동은 주파수값이동버튼(244)을 눌러서 이동을 수행한다.
본 발명 크래들(200)의 제어부(230)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사용자의 셀프 청력측정의 데이터에 따라서 소리의 주파수별로 사용자가 잘 들릴 수 있도록 하는 음량으로 소리를 증폭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소리 출력값을 보청기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 크래들(200)의 제어부(230)는 상술한 청력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귀 울림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가 귀울림현상측정용 각 대역별 주파수(본 발명 실시예는 8개의 주파수(250Hz, 500Hz, 1Khz, 2Khz, 3KHz, 4KHz, 6Khz, 8Khz))의 소리를 중간의 볼륨값으로 출력하는 피팅(fitting)용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한 후, 사용자가 크래들(200)의 볼륨증가버튼(241), 볼륨감소버튼(242)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각 주파수의 소리를 들으면서 볼륨을 조절하다가 귀울림이 최소화되는 시점에 저장버튼(245)를 누름으로써 각 주파수별로 귀울림이 최소화되는 볼륨의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각 주파수별로 귀울림이 최소화된 음량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각 주파수값의 이동은 주파수값이동버튼(244)을 눌러서 이동을 수행한다.
상기 전원공급부(250)는 제어부(23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적용한다.
상기 통신부(260)는 보청기(100) 및 사용자 단말기(4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부(260)는 무선통신방식이고,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의 무선통신방식을 채용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보청기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로서, 도 6a 는 로그인 화면의 일례, 도 6b 는 주요기능메뉴화면의 일례, 도 6c 는 청력측정/피팅 화면의 일례, 도 6d 는 울림현상조정화면의 일례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청기(10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단말기(400)에 인스톨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300)에 의하여 보청기(100)를 셀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300)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a 는 보청기의 셀프 피팅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300)의 로그인화면의 일례로서, 사용자가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비밀번호, 아이디 등의 정보의 입력을 통하여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로그인하게 한다.
그러면, 도 6b 와 같은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의 주요기능메뉴화면이 사용자 단말기(400)에 표시된다.
즉, 주요기능메뉴는 청력측정/피팅 메뉴(301), 울림현상조절메뉴(302), 신경성, 감각성 및 전음성의 각 모드종류표시메뉴(303), 볼륨조절바(304) 및 저장버튼(305)이 표시된다.
이때, 청력측정/피팅메뉴(301)를 선택하게 되면, 도 6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청력측정/피팅 화면이 사용자단말기(400)에 표시된다.
즉, 사용자가 보청기(100)를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청력측정/피팅메뉴(301)를 수행하면,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300)이 청력측정용 각 대역별 주파수(본 발명 실시예는 8개의 주파수(250Hz, 500Hz, 1Khz, 2Khz, 3KHz, 4KHz, 6Khz, 8Khz))의 소리를 중간의 볼륨값으로 출력해 주면 해당 주파수가 청력측정/피팅화면의 주파수표시창(306)에 표시되고, 해당 피팅(fitting)용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사용자가 주파수표시창(306)의 양측에 표시된 볼륨증가버튼(307), 볼륨감소버튼(308)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각 주파수의 소리를 들으면서 볼륨을 조절하다가 소리가 잘 안들리는 시점에 확인버튼(309)을 누른후 저장버튼(310)을 누름으로써 각 주파수별로 잘 안들리는 볼륨의 값을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각 주파수별로 잘 들리지 않는 음량의 정도를 파악하여 셀프 청력측정을 수행한다.
또한, 도 6b 의 주요기능메뉴중 울림현상조절메뉴(302)를 선택하게 되면, 도 6d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울리현상조절화면이 사용자단말기(400)에 표시된다.
즉, 도 6d 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보청기(100)를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울림현상조절메뉴(302)를 수행하면,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300)이 청력측정용 각 대역별 주파수(본 발명 실시예는 8개의 주파수(250Hz, 500Hz, 1Khz, 2Khz, 3KHz, 4KHz, 6Khz, 8Khz))의 소리를 중간의 볼륨값으로 출력해 주는 피팅(fitting)용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보청기에 전송하고, 해당 주파수가 주파수표시창(311)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주파수표시창(311)의 양측에 표시된 볼륨증가버튼(312), 볼륨감소버튼(313)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각 주파수의 소리를 들으면서 볼륨을 조절하다가 귀울림이 최소화되는 시점에 저장버튼(315)을 누름으로써 각 주파수별로 귀울림이 최소화되는 볼륨의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각 주파수별로 귀울림이 최소화된 음량의 정도를 파악하여 울림현상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서버(500)는 인공지능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보청기(100), 크래들(200) 및 사용자단말기(400)에서 생성된 사용자별 청력측정 및 피팅 데이터를 통계 처리하고, 통계처리된 빅데이터를 인공지능기법으로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를 상기 보청기(100), 크래들(200) 및 사용자단말기(400)에 인스톨된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300)에 제공하여 줌으로써 보청기(100)가 주위의 환경을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보청기의 볼륨을 조절하여 주거나 울림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100; 보청기
110; 본체
120; 삽입관
121; 접촉구
130; 제어부
140; 맥박센서
141; 3축 센서
142; 온도센서
150; 마이크부
160; 스피커
170; 전원공급부
180; 통신부
200; 크래들
210; 케이스
211; 공간부
220; 뚜껑
230; 제어부
240; 조절부
241; 볼륨증가버튼
242; 볼륨감소버튼
243; 모드선택버튼
244; 주파수값이동버튼
245; 저장버튼
250; 전원공급부
260; 통신부
300;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
400; 사용자 단말기
500; 서버

Claims (15)

  1. 사용자의 귀 부분에 착용되는 보청기(100)와,
    상기 보청기(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보청기(100)의 출력을 사용자의 청력 상태 또는 주위 소음 환경에 따라서 조절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300)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기(400);
    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300)은,
    사용자의 청력측정/피팅 메뉴(301)를 선택하여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청력측정/피팅메뉴(301)를 선택하면, 청력측정/피팅 화면이 사용자단말기(400)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보청기(100)를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청력측정/피팅메뉴(301)를 수행하면,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300)이 청력측정용 각 대역별 주파수의 소리를 중간의 볼륨값으로 출력해 주는 피팅(fitting)용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보청기에 전송하고, 해당 주파수가 청력측정/피팅화면의 주파수표시창(306)에 표시되며,사용자가 주파수표시창(306)의 양측에 표시된 볼륨증가버튼(307), 볼륨감소버튼(308)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각 주파수의 소리를 들으면서 볼륨을 조절하다가 소리가 잘 안들리는 시점에 확인버튼(309)을 누른후 저장버튼(310)을 누름으로써 각 주파수별로 잘 안들리는 볼륨의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각 주파수별로 잘 들리지 않는 음량의 정도를 파악하여 청력 측정을 수행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300)은,
    울림현상조절메뉴(302)를 선택하여 주위환경에 대한 울림현상을 조절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300)은,
    상기 울림현상조절메뉴(302)를 선택하게 되면, 울림현상조절화면이 사용자단말기(400)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보청기(100)를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울림현상조절메뉴(302)를 수행하면,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300)이 청력측정용 각 대역별 주파수의 소리를 중간의 볼륨값으로 출력해 주는 피팅(fitting)용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보청기에 전송하고, 해당 주파수가 주파수표시창(311)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주파수표시창(311)의 양측에 표시된 볼륨증가버튼(312), 볼륨감소버튼(313)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각 주파수의 소리를 들으면서 볼륨을 조절하다가 귀울림이 최소화되는 시점에 저장버튼(315)을 누름으로써 각 주파수별로 귀울림이 최소화되는 볼륨의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각 주파수별로 귀울림이 최소화된 음량의 정도를 파악하여 울림현상을 조절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100)는,
    제어부(130)와,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센서(140)와, 보청기(100)의 흔들림 상태를 센싱하는 3축 센서(141)와,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142)와, 보청기 주위의 외부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부(150)와,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160)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7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4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맥박센서(140), 3축 센서(141) 및 온도센서(142)로부터 전달받은 맥박신호, 흔들힘 신호 및 체온 신호에 따라서 사용자의 맥박과 체온 및 사용자가 낙상을 당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100)를 수납하는 박스 형상의 외관을 가지며, 수납된 보청기(100)를 충전시키고, 보청기(100)의 출력을 사용자의 청력 상태 또는 주위 소음 환경에 따라서 조절하는 크래들(200);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200)은,
    제어부(230)와, 사용자의 청력측정 및 귀울림현상을 측정하기 위한 버튼스위치를 구비한 조절부(240)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50)와, 상기 보청기(10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200)의 조절부(240)는,
    볼륨증가버튼(241), 볼륨감소버튼(242), 모드선택버튼(243), 주파수값이동버튼(244) 및 저장버튼(245)를 구비하고,
    상기 볼륨증가버튼(241) 및 볼륨감소버튼(242)는 모드선택버튼(243)의 모드선택에 따라서 보청기의 볼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거나, 또는, 청력측정이나 울림현상 조정시 해당 주파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100), 크래들(200) 및 사용자단말기(400)에서 생성된 사용자별 청력측정 및 피팅 데이터를 통계 처리하고, 통계처리된 빅데이터를 인공지능기법으로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에 따라서 보청기(100)가 사용자 환경을 자동 인식 하여 보청기(100)를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서버(5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시스템.
  12. 사용자의 귀 부분에 착용되는 보청기(100)와, 상기 보청기(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보청기(100)의 출력을 사용자의 청력 상태 또는 주위 소음 환경에 따라서 조절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300)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기(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 시스템의 피팅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300)은,
    사용자의 청력측정/피팅 메뉴(301)를 선택하여 사용자의 청력을 측정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청력측정/피팅메뉴(301)를 선택하면, 청력측정/피팅 화면이 사용자단말기(400)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보청기(100)를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청력측정/피팅메뉴(301)를 수행하면,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300)이 청력측정용 각 대역별 주파수의 소리를 중간의 볼륨값으로 출력해 주는 피팅(fitting)용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보청기에 전송하고, 해당 주파수가 청력측정/피팅화면의 주파수표시창(306)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주파수표시창(306)의 양측에 표시된 볼륨증가버튼(307), 볼륨감소버튼(308)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각 주파수의 소리를 들으면서 볼륨을 조절하다가 소리가 잘 안들리는 시점에 확인버튼(309)을 누른후 저장버튼(310)을 누름으로써 각 주파수별로 잘 안들리는 볼륨의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각 주파수별로 잘 들리지 않는 음량의 정도를 파악하여 청력 측정을 수행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300)은,
    울림현상조절메뉴(302)를 선택하여 주위환경에 대한 울림현상을 조절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300)은,
    상기 울림현상조절메뉴(302)를 선택하게 되면, 울림현상조절화면이 사용자단말기(400)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보청기(100)를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울림현상조절메뉴(302)를 수행하면,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300)이 청력측정용 각 대역별 주파수의 소리를 중간의 볼륨값으로 출력해 주는 피팅(fitting)용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보청기에 전송하고, 해당 주파수가 주파수표시창(311)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주파수표시창(311)의 양측에 표시된 볼륨증가버튼(312), 볼륨감소버튼(313)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각 주파수의 소리를 들으면서 볼륨을 조절하다가 귀울림이 최소화되는 시점에 저장버튼(315)을 누름으로써 각 주파수별로 귀울림이 최소화되는 볼륨의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여 각 주파수별로 귀울림이 최소화된 음량의 정도를 파악하여 울림현상을 조절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방법.
KR1020210104834A 2021-08-09 2021-08-09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셀프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 KR102507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834A KR102507322B1 (ko) 2021-08-09 2021-08-09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셀프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834A KR102507322B1 (ko) 2021-08-09 2021-08-09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셀프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837A true KR20230023837A (ko) 2023-02-20
KR102507322B1 KR102507322B1 (ko) 2023-03-10

Family

ID=85329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834A KR102507322B1 (ko) 2021-08-09 2021-08-09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셀프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3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2375A (ja) * 2005-10-17 2009-03-19 ヴェーデクス・アクティーセルスカプ 補聴器フィッティング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10125557A (ko) * 2010-05-13 2011-11-2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청기, 그 동작 방법, 및 보청기 시스템
KR102239673B1 (ko) * 2019-12-19 2021-04-16 주식회사 더열림 인공지능 기반 능동형 스마트 보청기 피팅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65387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리딤 다기능 보청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2375A (ja) * 2005-10-17 2009-03-19 ヴェーデクス・アクティーセルスカプ 補聴器フィッティング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10125557A (ko) * 2010-05-13 2011-11-2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청기, 그 동작 방법, 및 보청기 시스템
KR20210065387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리딤 다기능 보청기 시스템
KR102239673B1 (ko) * 2019-12-19 2021-04-16 주식회사 더열림 인공지능 기반 능동형 스마트 보청기 피팅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322B1 (ko) 202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13783A1 (en) Wireless hearing device for tracking activity and emergency events
US8526649B2 (en) Providing notification sounds in a customizable manner
US20130343585A1 (en) Multisensor hearing assist device for health
EP2640095B2 (en) Method for fitting a hearing aid device with active occlusion control to a user
KR100958106B1 (ko) 골전도 스피커 및 넥마이크를 구비한 다기능 헤드셋
US20060002574A1 (en) Canal hearing device with transparent mode
WO2016167878A1 (en) Hearing assistance systems configured to enhance wearer's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 individuals
KR20130133790A (ko) 보청기를 가진 개인 통신 장치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WO2011025531A1 (en) Hearing aids configured for directional acoustic fitting
US20100232612A1 (en) On-Site, Custom Fitted Hearing Equalizer
CN104822119B (zh) 用于确定耳蜗死区的设备
US20080240477A1 (en) Wireless multiple input hearing assist device
US20220272462A1 (en) Hearing device comprising an own voice processor
WO2016167877A1 (en) Hearing assistance systems configured to detect and provide protection to the user harmful conditions
CN113395647A (zh) 具有至少一个听力设备的听力系统及运行听力系统的方法
AU2010212415B2 (en) Self-adjustment of a hearing aid
CN110139201B (zh) 根据用户需要验配听力装置的方法、编程装置及听力系统
JP4114392B2 (ja) 検査センター装置、端末装置、聴力補償方法、聴力補償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聴力補償方法のプログラム
US11627398B2 (en) Hearing device for identifying a sequence of movement features, and method of its operation
EP2876902A1 (en) Adjustable hearing aid device
KR102507322B1 (ko)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셀프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
KR101232357B1 (ko) 파라미터가 적용된 음원을 이용한 보청기 피팅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보청기
KR102609206B1 (ko) 크래들을 구비한 셀프 피팅이 가능한 보청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팅 방법
KR101490331B1 (ko) 사용자 피팅 환경을 제공하는 보청기 및 상기 보청기를 이용한 보청기 피팅방법
US10873816B2 (en) Providing feedback of an own voice loudness of a user of a hea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