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4708A - 치과용 디지털 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치과용 디지털 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708A
KR20210064708A KR1020190153228A KR20190153228A KR20210064708A KR 20210064708 A KR20210064708 A KR 20210064708A KR 1020190153228 A KR1020190153228 A KR 1020190153228A KR 20190153228 A KR20190153228 A KR 20190153228A KR 20210064708 A KR20210064708 A KR 20210064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unit
subject
digital measuring
movement
measuring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7714B9 (ko
KR102317714B1 (ko
Inventor
정규진
김홍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탈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탈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탈비전
Priority to KR1020190153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714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708A/ko
Priority to KR1020210140214A priority patent/KR102666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714B1/ko
Publication of KR10231771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714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4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recording mandibular movement, e.g. face b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61B5/1122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of movement traject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Geometr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실시예에 치과용 디지털 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치과용 디지털 측정기는 대상자의 머리에 장착되는 제1 고정 유닛; 상기 제1 고정 유닛의 일측에 장착되어 대상자의 턱에 장착되는 제2 고정 유닛; 및 상기 제1 고정 유닛의 타측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측정선에 의해 제2 고정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대상자의 턱의 움직임에 따라 3축 방향의 움직임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용 디지털 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DENTAL DIGITAL MEASURING INSTRUMENT AND TOTAL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실시예는 치과용 디지털 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한 하악위(Mandibular Position)에서 상악(Maxilla)에 대한 하악(Mandible)의 위치적 관계를 악간관계(Maxillo-Mandibular relation)라고 하는데, 치과 환자 중 진단이나 치료를 위하여 새로운 상악과 하악의 악관 관계를 획득해야 하는 경우에, 전후방, 측방 및 수직의 삼차원적인 악간관계를 정확하게 획득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악간 관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 개발이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03153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8660호
실시예는, 치과용 디지털 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디지털 측정기는 대상자의 머리에 장착되는 제1 고정 유닛; 상기 제1 고정 유닛의 일측에 장착되어 대상자의 턱에 장착되는 제2 고정 유닛; 및 상기 제1 고정 유닛의 타측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측정선에 의해 제2 고정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대상자의 턱의 움직임에 따라 3축 방향의 움직임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머리에 장착되어 일측이 대상자의 턱 관절에 연결된 상태에서 대상자의 턱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임 정보를 측정하도록 함으로써, 턱 관절의 정확한 움직임 궤적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자의 턱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획득된 대상 좌표값과 평균 좌표값을 비교하도록 함으로써, 대상자의 턱 관절의 움직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구분하여 사전에 적절한 치료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측정기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유닛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측정기의 착용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수평면 상에서 하악 운동이 일어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시상면 상에서 하악 운동이 일어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전두면 상에서 하악 운동이 일어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하악의 움직임 궤적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머리에 장착되어 일측이 대상자의 턱 관절에 연결된 측정기를 통해 대상자의 턱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임 정보를 측정하면, 측정된 움직임 정보를 미리 정해진 좌표계 상의 대상 좌표값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대상 좌표값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턱 관절의 움직임 궤적 정보를 산출하도록 한,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시스템은 디지털 측정기(100), 사용자 단말(200), 서비스 서버(300), 데이터베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측정기(100)는 대상자의 머리에 장착되고, 대상자의 턱 관절의 움직임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측정기(100)는 대상자의 하악 관절의 움직임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하악 관절의 움직임은 x축, y축, z축을 포함하는 3축 방향의 움직임일 수 있다.
디지털 측정기(100)는 측정된 움직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디지털 측정기(100)와 연동하고, 연동된 디지털 측정기(100)로부터 측정된 하악 관절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하악 관절의 움직임 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 좌표계 상의 기준 좌표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변환된 기준 좌표값을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과 연동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변환된 대상 좌표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대상 좌표값으로 관절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구축된 관절 빅데이터를 기초로 평균 좌표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좌표값을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평균 좌표값은 예컨대, 연령별 평균 좌표값, 성별 평균 좌표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평균 좌표값은 각 대상자의 대상 좌표값과의 비교값으로 활용되어 관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0)는 대상자별 대상 좌표값, 관절 빅 데이터, 평균 좌표값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측정기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측정기는 대상자의 턱 관절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 제1 고정 유닛(110), 제2 고정 유닛(120), 측정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유닛(110)은 대상자의 머리에 장착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고정 유닛(110)은 길이 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길이 조절부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제2 고정 유닛(120)은 제1 고정 유닛(110)의 일측에 장착되어 대상자의 턱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고정 유닛(120)은 길이 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길이 조절부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측정유닛(130)은 제1 고정 유닛(110)의 타측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유닛(130)은 몸체부(131), 제어부(132), 회전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31)는 제1 고정 유닛(110)의 일측에 연결되어 대상자의 얼굴 앞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132)는 몸체부(131)의 내부에 배치되고, 대상자의 턱 관절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움직임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회전부(133)는 몸체부(131)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선을 이용하여 제2 고정 유닛(12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133)는 턱 관절에 고정된 제2 고정 유닛(120)에 연결된 선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턱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유닛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유닛의 회전부(133)는 고정부재(133a), 제1 회전부재(133b), 제2 회전부재(133c), 제3 회전부재(133d), 측정선(133e)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33a)는 몸체부(131)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33a)는 두 개가 구비되어 몸체부(131)의 일단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부재(133b)는 고정 부재(133a) 사이에 결합되고, 제1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회전부재(133b)는 제1축 방향으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부재(133c)는 제1 회전부재(133b)에 고정 결합되고, 제2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회전부재(133c)는 제2축 방향으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제3 회전부재(133d)는 제1 회전부재(133b)에 고정 결합되고, 측정선이 감길 수 있다. 이러한 제3 회전부재(133d)는 측정선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회전할 수 있다.
측정선(133e)은 대상자의 턱에 고정된 제2 제2 고정 유닛(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측정선의 이동에 따라 제1 회전부재(123b), 제2 회전부재(123c), 제3 회전부재(133d)가 함께 회전해야 하기 때문에 제1 회전부재(133b)의 바다면에 제3 회전부재(133d)가 결합되고, 제1 회전부재(133b)의 양측면에 제2 회전부재(133c)가 결합될 수 있다.
측정선(133e)은 제2 회전부재(133c)의 홀을 통해 제2 제2 고정 유닛(1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측정기의 착용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치과용 디지털 측정기는 제1 고정 유닛(110)을 통해 대상자의 머리에 착용되고, 제2 고정 유닛(120)이 대상자의 턱에 고정되고, 측정 유닛(130)이 제2 고정 유닛(120)에 측정선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대상자의 턱 특히, 하악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측정 유닛(130)에서는 움직임 정보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하악 운동은 수평면, 시상면, 전두면 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데 이를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b는 수평면 상에서 하악 운동이 일어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b는 시상면 상에서 하악 운동이 일어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a 내지 도 7b는 전두면 상에서 하악 운동이 일어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실시예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하악의 움직임 궤적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두부를 상, 하로 나누는 평면 또는 치아나 인체의 장축과 직각을 이루는 평면으로, 즉, 수평면 상에서 움직이게 되는데, 좌측방 한계 운동 구간, 전방 운동을 동반한 지속적인 좌측방 한계 운동 구간, 우측방 한계 운동 구간, 전방 운동을 동반한 지속적인 우측방 한계 운동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두부를 좌, 우로 나누는 평면 또는 인체를 좌, 우로 나누는 평면으로, 즉, 시상면 상에서 상, 하, 전, 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두부를 전, 후로 나누는 평면 또는 인체를 전, 후로 나누는 평면으로, 즉, 전두면 상에서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앞에서 설명한 하악 운동이 수평면, 시상면, 전두면 상에서 일어나면서 발생된 움직임 궤적을 모두 결합하면 하나의 움직임 궤적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치과용 디지털 측정기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하악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통해 대상자의 하악의 움직임 궤적을 얻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디지털 측정기
200: 사용자 단말
300: 서비스 서버
400: 데이터베이스

Claims (1)

  1. 대상자의 머리에 장착되는 제1 고정 유닛;
    상기 제1 고정 유닛의 일측에 장착되어 대상자의 턱에 장착되는 제2 고정 유닛; 및
    상기 제1 고정 유닛의 타측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측정선에 의해 제2 고정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대상자의 턱의 움직임에 따라 3축 방향의 움직임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 유닛을 포함하는, 치과용 디지털 측정기.
KR1020190153228A 2019-11-26 2019-11-26 치과용 디지털 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317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228A KR102317714B1 (ko) 2019-11-26 2019-11-26 치과용 디지털 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210140214A KR102666640B1 (ko) 2021-10-20 치과용 디지털 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228A KR102317714B1 (ko) 2019-11-26 2019-11-26 치과용 디지털 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214A Division KR102666640B1 (ko) 2021-10-20 치과용 디지털 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708A true KR20210064708A (ko) 2021-06-03
KR102317714B1 KR102317714B1 (ko) 2021-10-27
KR102317714B9 KR102317714B9 (ko) 2022-07-06

Family

ID=76396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228A KR102317714B1 (ko) 2019-11-26 2019-11-26 치과용 디지털 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71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3086A (en) * 1988-11-18 1992-09-01 Sopha Bioconcept S.A. Device for measuring and analyzing movements of the human body or of parts thereof
JPH11123201A (ja) * 1997-10-22 1999-05-11 Ono Sokki Co Ltd 顎運動シミュレータおよび顎運動シミュレートシステム
KR20050108660A (ko) 2004-05-12 2005-11-17 곽흥구 3차원 상하악 악간관계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JP2009240805A (ja) * 2007-07-17 2009-10-22 Motonori Munehiro 下顎位決定方法、下顎位決定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咬合器
KR101503153B1 (ko) 2013-09-03 2015-03-1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턱관절장애 진단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3086A (en) * 1988-11-18 1992-09-01 Sopha Bioconcept S.A. Device for measuring and analyzing movements of the human body or of parts thereof
JPH11123201A (ja) * 1997-10-22 1999-05-11 Ono Sokki Co Ltd 顎運動シミュレータおよび顎運動シミュレートシステム
KR20050108660A (ko) 2004-05-12 2005-11-17 곽흥구 3차원 상하악 악간관계 기록장치 및 기록방법
JP2009240805A (ja) * 2007-07-17 2009-10-22 Motonori Munehiro 下顎位決定方法、下顎位決定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咬合器
KR101503153B1 (ko) 2013-09-03 2015-03-1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턱관절장애 진단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714B9 (ko) 2022-07-06
KR102317714B1 (ko) 2021-10-27
KR20210130675A (ko)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14747A1 (en) Interactive Motion-Based Eye Tracking Calibration
US96621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three dimensional space-angle of drill for dental hand piece
US9558399B1 (en) Feedback device to improve arm swing
US8801432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nd measuring temporomandibular joint positions and movements
US8544322B2 (en) Jaw motion measuring system
Al‐Khatib et al. Tooth size and dental arch dimensions: a stereophotogrammetric study in Southeast Asian Malays
JP6682647B2 (ja) 顎変位を口内測定するシステム
CN108814740B (zh) 末端夹持装置及机器人末端执行器定位方法
Feng et al. Accuracy and precision of a custom camera-based system for 2-D and 3-D motion tracking during speech and nonspeech motor tasks
CA299333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ambiguously determining orientation of a human head in 3d geometric modeling
KR102317714B1 (ko) 치과용 디지털 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US20100009318A1 (en) Device for attaching dental model to articulator
Severin Head Posture monitor based on 3 IMU sensors: Consideration toward Healthcare application
TWI581770B (zh) Dental correction assessment system
KR102666640B1 (ko) 치과용 디지털 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
TW201544077A (zh) 牙體立體影像建立方法
WO2018042702A1 (ja) 生体装着型検出装置及び顎運動計測方法
WO2008072323A1 (ja) 医療用撮影マーカー
JP5294262B2 (ja) 顎運動測定装置に用いる支持部品
US20230355137A1 (en) Compact wireless range of motion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JP2022041340A (ja) 歯科用下顎運動測定器用生体標点測定指示具
JP5938544B2 (ja) 上顎平面状態の計測装置
KR20200140600A (ko) 치아 측정기
CN217448106U (zh) 一种咬合支架
CN212382778U (zh) 人工智能下颚咬合及姿态记录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