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4703A -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 - Google Patents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64703A KR20210064703A KR1020190153212A KR20190153212A KR20210064703A KR 20210064703 A KR20210064703 A KR 20210064703A KR 1020190153212 A KR1020190153212 A KR 1020190153212A KR 20190153212 A KR20190153212 A KR 20190153212A KR 20210064703 A KR20210064703 A KR 202100647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light emitting
- transmitting member
- patch
- emitt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41D27/085—Luminous orna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8—Insignia, logos, emblems or the lik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08—Clothing or clothing accessories, e.g. scarfs, gloves or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두께의 판 형으로 된 베이스부(10); 빛이 통과하는 소재로 되어 베이스부(10)의 전면에 형성되는 투광부재(20); 투광부재(20)의 내측에 설치되어 투광부재(20)를 통해 빛이 비치도록 발광이 이루어지는 발광모듈(30); 베이스부(10)가 제품에 탈부착 가능케 하는 탈부착부(4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야간 식별력을 향상시킴과 발광에 따른 미감을 향상시켜 패션 소품으로 사용되는 와펜 패치의 상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야간 식별력을 향상시킴과 발광에 따른 미감을 향상시켜 패션 소품으로 사용되는 와펜 패치의 상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 모자, 가방 등 다양한 제품에 탈부착 가능한 와펜 패치에 형성된 도안이나 마크가 발광모듈에 의해 발광되게 함으로써 야간 식별력을 향상시킴과 발광에 따른 미감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펜 패치{Wappen Patch}’에서 ‘ 펜(Wappen)’은 독일어로 「문장」이란 뜻으로서, 본래 중세 기사의 방패에 표지와 장식을 겸해서 붙인 것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주로 의류나 모자 등 다양한 패션 제품에 부착하는 장식물을 말한다.
종래에는 주로 방패 모양이었으나, 근래에는 기하학적 무늬, 또는 동물 ·식물 ·기물·건축물·무기·인물·문자·천체 등을 다양한 모양을 펠트에 자수하여 만들거나, 인쇄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인 와펜 패치는 패션 소품으로서 상품성을 더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색상이나 소재로 제조되기도 하지만, 색상이나 소재, 디자인적 특징 이외에 다른 미적 수단이 없기 때문에 단순한 장식 이외에 별다른 기능이 없을 뿐만 아니라, 주간에는 식별이 가능하나 야간에는 식별이 곤란한 단점으로 인해 장식물로서의 상품성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
그리하여 야광 테이프나 야광 스티커를 패치에 부착시켜 시인성을 높이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나, 야광 테이프 및 야광 스티커는 조사되는 빛을 반사해 시인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재료이므로, 외부 불빛이 거의 없는 장소에서는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안이나 마크가 발광모듈에 의해 발광되게 한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수단에 의한 주변인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수단의 외부노출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색상의 발광수단으로도 여러 가지 색상으로 발광이 가능케 한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는,
소정 두께의 판 형으로 된 베이스부(10);
빛이 통과하는 소재로 되어 베이스부(10)의 전면에 형성되는 투광부재(20);
상기 투광부재(20)의 내측에 설치되어 투광부재(20)를 통해 빛이 비치도록 발광이 이루어지는 발광모듈(30);
상기 베이스부(10)가 제품에 탈부착 가능케 하는 탈부착부(40); 를 포함한다.
상기 투광부재(20)는,
제1색상을 가진 불투명의 실리콘 소재로 되어 베이스부(10)의 전면에 형성되는 내부재(201);
제2색상을 가진 반투명의 실리콘 소재로 되어 상기 내부재(201)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되, 후면에서 요입홈부(202a)가 형성되어 상기 발광모듈(30)이 삽입되는 외부재(2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10)는,
전면에 소정 크기의 형성된 관통공(101);
상기 관통공(101) 후방에 형성되는 포켓부(102); 를 더 구비하고,
상기 투광부재(20)는,
빛이 통과하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101) 전방에 위치하게 베이스부(10)의 전면에 형성되는 부착부(203);
투명사로 되어 상기 부착부(203) 전면에 형성되는 제1자수부(204); 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모듈(30)은 상기 포켓부(102) 내부에 넣고 뺄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광부재(20)는,
상기 제1자수부(204)와 다른 색상의 투명사로 되어 상기 제1자수부(204)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자수부(20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광부재(20)는 불투명한 직물지로 되되, 베이스부(10)가 탈부착 되는 제품에 사용되는 원단과 동일한 소재 및 색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안이나 마크가 발광모듈에 의해 발광됨으로써 야간 식별력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발광에 따른 미감 향상을 통해 패션 소품으로 사용되는 와펜 패치의 상품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모듈에서 발광되는 빛의 자연스러운 확산을 통해 주변인의 눈부심을 방지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며, 발광모듈의 외부노출을 방지하여 디자인의 저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색상의 발광수단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색상의 발광이 가능케 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하면서도 고급감과 상품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는 베이스부(10), 투광부재(20), 발광모듈(30), 탈부착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0)는 소정 두께의 판 형으로 되되, 의류나 모자 등 패션 제품의 표면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실리콘, 우레탄, 가죽, 섬유, 부직포 등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투광부재(20)는 빛이 통과하는 소재로 되어 발광모듈(30)로부터 빛을 받아 발광되게 베이스부(10)의 전면에 도안이나 마크 형태로 형성되되, 부착의 편의성 및 투광의 효율성을 위하여 내부재(201), 외부재(202)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재(201)는 제1색상을 가진 불투명의 실리콘 소재로 되어 베이스부(10)의 전면에 부착된다.
이때 내부재(201)의 부착은 재봉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접착 또는 열융착 등 내부재(201)를 베이스부(10)를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이든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외부재(202)는 제2색상을 가진 반투명의 실리콘 소재로 되어 내부재(201)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되, 후면에서 요입홈부(202a)가 형성되어 발광모듈(30)이 삽입된다.
이때, 발광모듈(30)에 포함되는 충전단자는 외부재(202)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형성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요입홈부(202a)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모듈(30)에서 빛이 발광되면, 반투명의 실리콘 소재로 된 외부재(202)를 통해 발광모듈(30)의 빛이 투광되어 비침에 따라 발광모듈(30)의 빛이 외부로 직접 발광될 때 발생하는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재(202)를 구성하는 제2색상은 내부재(201)를 구성하는 제1색상과 동일한 색이거나, 서로 다른 색일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내부재(201) 및 외부재(202)를 실리콘 소재로 형성함에 있어서, 실리콘 소재에 형광안료나 축광안료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발광모듈(30)에 의한 빛의 비침이 없이도 야간 식별력을 높일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발광모듈(30)은 투광부재(20)의 내측에 설치되어 투광부재(20)를 통해 외부로 빛이 발광되도록 발광수단(301), 전원부(302), 스위치(303), 제어부(304)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수단(301)은 빛을 생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로 형성되되, 더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형상으로 된 PCB에 복수의 LED가 배치된 LED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발광수단(301)은 특정 색상의 빛이 발광되게 하거나, 발광을 통해 다양한 글씨나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원부(302)는 발광수단(301)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반복적인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및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303)는 전원부(302)에서 발광수단(301)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 제어를 위하여 발광수단(301), 전원부(3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발광수단(301) 일측 또는 전원부(302)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304)는 발광수단(301), 전원부(302), 스위치(30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부(302)에서 발광수단(301)으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발광수단(301)이 발광할 때, 발광수단(301)의 발광 제어를 위한 구동회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어부(304)에 의해 발광수단(301)의 상시소등, 상시점등 또는 간헐점등이 가능케 된다.
또한, 제어부(304)에 의한 LED패널의 점등 제어에 따른 착시 현상을 이용해 다양한 글씨나 이미지가 변화하는 모습을 표현할 수 있게 되어 시각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광고, 판촉, 홍보, 영업 등 다양한 용도로도 활용 가능케 된다.
한편, 상기 발광모듈(30)은 방수를 위하여 충전단자를 제외한 외관 전체를 수지재로 감싼 코팅층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코팅층을 통해 발광모듈(30)이 감싸짐에 따라 패치 세탁 시 침수에 따른 발광모듈(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탈부착부(40)는, 베이스부(10)가 의류나 모자, 가방 등의 패션 제품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탈부착수단을 구비한다.
일 예로서 탈부착수단은 암수로 구성된 벨크로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베이스부(10)의 후면에는 암-벨크로테이프를 부착하고, 의류나 모자, 가방 등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을 부착하기 위한 패션 제품에는 수-벨크로테이프를 부착함으로써 벨크로테이프의 결속력을 이용해 베이스부(10)를 원하는 패션 제품에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탈부착수단은 의류나 모자, 가방 등 다양한 패션 제품의 외표면에 장식물을 탈부착 가능케 할 때 사용되는 옷핀, 단추, 버튼, 자석, 테이프 등 다양한 탈부착수단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는 도안이나 마크가 발광모듈(30)에 의해 발광됨으로써 야간 식별력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발광에 따른 미감 향상을 통해 패션 소품으로 사용되는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상품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발광모듈(30)에서 발광되는 빛이 투광부재(20)에 의해 자연스럽게 확산됨으로써 주변인의 눈부심을 방지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며, 발광모듈(30)의 외부노출을 방지하여 디자인 저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일 색상의 발광수단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색상의 발광이 가능케 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하면서도 고급감과 상품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베이스부(10)는 관통공(101), 포켓부(10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01)은 베이스부(10)의 전면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다.
이때 관통코의 크기와 모양은 한정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포켓부(102)는 베이스부(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관통공(101)의 후방에 형성된다.
즉, 베이스부(10)의 내부에 포켓부(102)가 형성되되 베이스부(10)의 일측 방향으로 개구부(102a)가 형성됨으로써 개구부(102a)를 통해 포켓부(102)에 발광모듈(30)을 넣고 뺄 수 있게 되며, 개구부(102a)를 제외한 삼면이 베이스부(10)를 구성하는 벽체로 형성된다.
또한, 포켓부(102)에 수납되는 발광모듈(30)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포켓부(102)의 개구부(102a)에는 벨크로파스너나, 스냅단추, 자석단추 등 다양한 개폐수단(도시하지 않음)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2 실시 예에 따른 투광부재(20)는 빛이 통과하는 소재로 되어 발광모듈(30)로부터 빛을 받아 발광되게 베이스부(10)의 전면에 부착되되, 부착부(203), 제1자수부(204)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부(203)는 빛이 통과하는 소재로 되어 관통공(101) 전방에 위치하게 베이스부(10)의 전면에 부착된다.
이때 베이스부(10)의 부착은 재봉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접착 또는 열융착 등 패치의 베이스부(10)에 베이스부(10)를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이든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빛이 통과하는 부착부(203)의 소재는 실리콘, 직물지, 망지, 합성수지필름, 부직포 중 선택되는 어느 한 가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제1자수부(204)는 투명사로 되어 상기 부착부(203) 전면에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1자수부(204)는 자수기를 이용해 부착부(203)의 전면에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되, 빛이 투과하는 투명사를 이용한다. 이때, 투명사는 무색 투명사 또는 유색 투명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포켓부(102)에 수납된 발광모듈(30)의 발광수단(301)이 소등된 상태일 때는 베이스부(10)의 전면에 제1자수부(204)에 의한 자수 장식이 화려한 미감을 나타내게 된다.
반면, 포켓부(102)에 수납된 발광모듈(30)의 발광수단(301)이 점등된 상태일 때는 발광수단(301)에 의해 제1자수부(204)가 밝게 빛나게 되어, 더욱 고급스럽고 화려한 외관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자수부(204)를 구성하는 투명사가 무색 투명사인 경우에는 발광수단(301)에서 발산되는 빛의 색상이 그대로 제1자수부(204)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발광수단(301)에서 발산되는 다양한 빛의 색상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자수부(204)를 구성하는 투명사가 유색 투명사인 경우에는 발광수단(301)에서 발산되는 빛에 의해 제1자수부(204)를 구성하는 유색 투명사의 색상으로 발광 가능케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투광부재(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자수부(20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자수부(205)는 제1자수부(204)와 다른 색상의 투명사로 되어 제1자수부(204) 일측에 형성된다.
즉, 제2자수부(205)는 제1자수부(204)와 다른 색상의 투명사로 되어 제1자수부(204)와 혼재되거나, 제1자수부(204) 일측에 형성되거나, 제1자수부(204) 둘레에 형성되어 소정의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수단(301)에서 단일 색상의 빛이 발광되더라도,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제1자수부(204) 및 제2자수부(205)가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함에 따라 제조원가를 절감하면서도 패치의 고급감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투광부재(20)는 불투명한 직물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직물지는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가 부착되는 의류나 모자 등 패션 제품에 사용되는 원단과 동일한 소재 및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모듈(30)에서 빛이 발광하지 않을 때는 투광부재(20)의 외관이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가 부착되는 의류나 모자와 일체감 있는 소재로 되어 의류나 모자 등 패션 제품이 가지는 고유의 디자인을 해치지 않게 된다.
반면, 발광모듈(30)에 빛이 발광하면, 본 발명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가 부착된 패션 제품과 동일한 소재 및 색상으로 된 투광부재(20)는 눈에 두드러지지 않는 반면, 발광모듈(30)에서 발광하는 빛이 투광부재(20)를 투과하여 외부로 비치게 되므로 마치 의류나 모자 등 패션 제품 자체에서 발광이 이루어지는 듯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투광부재(20)를 직물지로 형성함에 있어서 직물지의 소재, 직조 방식 등은 한정하지 않으며, 빛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하여 직물지를 구성하는 올짜임의 촘촘함, 즉 원사의 밀도는 원사의 종류나 직조 방식에 따라 조정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제품 10: 베이스부
101: 관통공 102: 포켓부
102a: 개구부 20: 투광부재
201: 내부재 202: 외부재
202a: 요입홈부 203: 부착부
204: 제1자수부 205: 제2자수부
30: 발광모듈 301: 발광수단
302: 전원부 303: 스위치
304: 제어부 40: 탈부착부
101: 관통공 102: 포켓부
102a: 개구부 20: 투광부재
201: 내부재 202: 외부재
202a: 요입홈부 203: 부착부
204: 제1자수부 205: 제2자수부
30: 발광모듈 301: 발광수단
302: 전원부 303: 스위치
304: 제어부 40: 탈부착부
Claims (5)
- 소정 두께의 판 형으로 된 베이스부(10);
빛이 통과하는 소재로 되어 베이스부(10)의 전면에 형성되는 투광부재(20);
상기 투광부재(20)의 내측에 설치되어 투광부재(20)를 통해 빛이 비치도록 발광이 이루어지는 발광모듈(30);
상기 베이스부(10)가 제품에 탈부착 가능케 하는 탈부착부(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재(20)는,
제1색상을 가진 불투명의 실리콘 소재로 되어 베이스부(10)의 전면에 형성되는 내부재(201);
제2색상을 가진 반투명의 실리콘 소재로 되어 상기 내부재(201)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되, 후면에서 요입홈부(202a)가 형성되어 상기 발광모듈(30)이 삽입되는 외부재(2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는,
전면에 소정 크기의 형성된 관통공(101);
상기 관통공(101) 후방에 형성되는 포켓부(102); 를 더 구비하고,
상기 투광부재(20)는,
빛이 통과하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101) 전방에 위치하게 베이스부(10)의 전면에 형성되는 부착부(203);
투명사로 되어 상기 부착부(203) 전면에 형성되는 제1자수부(204); 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모듈(30)은 상기 포켓부(102) 내부에 넣고 뺄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재(20)는,
상기 제1자수부(204)와 다른 색상의 투명사로 되어 상기 제1자수부(204)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자수부(20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재(20)는 불투명한 직물지로 되되,
베이스부(10)가 탈부착 되는 제품에 사용되는 원단과 동일한 소재 및 색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3212A KR20210064703A (ko) | 2019-11-26 | 2019-11-26 |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3212A KR20210064703A (ko) | 2019-11-26 | 2019-11-26 |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4703A true KR20210064703A (ko) | 2021-06-03 |
Family
ID=76396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3212A KR20210064703A (ko) | 2019-11-26 | 2019-11-26 |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6470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34464A (ko) * | 2022-09-07 | 2024-03-14 | 오영숙 |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9054Y1 (ko) | 1998-10-29 | 2000-02-15 | 박철진 | 발광체를 부설한 모자 |
-
2019
- 2019-11-26 KR KR1020190153212A patent/KR20210064703A/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9054Y1 (ko) | 1998-10-29 | 2000-02-15 | 박철진 | 발광체를 부설한 모자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34464A (ko) * | 2022-09-07 | 2024-03-14 | 오영숙 |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875144A (en) | Fabric with illuminated changing display | |
US5404593A (en) | Headwear piece with ornamental illumination | |
US7788834B2 (en) | Wearable article having a backlit lenticular display | |
CN107444652A (zh) | 照明装置和车辆的内部部件 | |
US9392823B2 (en) | Illuminated garment and accessories | |
US20160146450A1 (en) | Flexible water-resistant optical fiber light display | |
KR102122060B1 (ko) | 발광장치가 구비된 모자 | |
US20130121015A1 (en) | Wearable Band With Variable Light Display | |
JP2009013505A (ja) | 発光服飾品及び発光服飾繊維並びにそれらを使用した発光服飾被服 | |
KR20210064703A (ko) |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 | |
CN100401345C (zh) | 发光织物装置 | |
KR20090117210A (ko) | 발광장치가 구비된 의류 | |
CN210143853U (zh) | 一种套管发光衣服 | |
CN207690450U (zh) | 一种新型节能发光片和发光面料以及日常用品 | |
KR102714792B1 (ko) | 발광장치가 구비된 와펜 패치 | |
JP3126729U (ja) | グラデーション感の発光効果を備えるジャカード織り構造 | |
CN211207810U (zh) | 一种裸空式发光软吊卡 | |
JP3081625U (ja) | 布地装飾部発光装置 | |
CN211207806U (zh) | 一种透亮彩绘组合吊卡 | |
JP3230793U (ja) | 変更可能な発光模様を有するアッパー構造 | |
CN215075659U (zh) | 一种光栅视错的发光舞台表演服装 | |
US11291259B1 (en) | Attachable decorative medallion for cap | |
CN214410660U (zh) | 一种新型结构的tpu发光标 | |
GB2451709A (en) | Fibre optic light-emitting mat | |
CN218106585U (zh) | 一种护发仪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