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4518A - 다방향 택트 스위치 - Google Patents

다방향 택트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518A
KR20210064518A KR1020190152805A KR20190152805A KR20210064518A KR 20210064518 A KR20210064518 A KR 20210064518A KR 1020190152805 A KR1020190152805 A KR 1020190152805A KR 20190152805 A KR20190152805 A KR 20190152805A KR 20210064518 A KR20210064518 A KR 20210064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tal dome
cover
tact switch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오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오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오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90152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4518A/ko
Publication of KR20210064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 및 주변 4 방향에 단자 패턴을 형성하고 이들을 전기적으로 단속할 수 있는 메탈돔을 구비하여 스템의 움직임에 따라 5개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다방향 택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의 1 접점과 주변의 4개의 접점을 형성하는 메탈돔과, 상기 메탈돔에 대응하는 내부 단자 패턴이 형성되고 그 위에 체 상기 메탈돔을 수용할 수 있는 요입된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메탈돔의 각 접점을 선택적으로 압착할 수 있는 스템과 상기 메탈돔, 베이스 및 스템을 일체로 조립하는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의 높이보다 긴 날개를 구비하되, 상기 날개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을 상단으로 부터 하단까지 감싼 후 베이스 하단 모서리에서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에는 상기 절곡된 날개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날개 안착부가 요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다방향 택트 스위치의 각 구성 요소를 커버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하게 될 뿐 만 아니라, 베이스나 커버가 열에 의하여 팽창하는 경우에는 커버의 이탈이 없다.

Description

다방향 택트 스위치{MULTI-DIRECTIONAL TACT SWITCH}
본 발명은 다방향 택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중앙 및 주변 4 방향에 단자 패턴을 형성하고 이들을 전기적으로 단속할 수 있는 메탈돔을 구비하여 스템의 움직임에 따라 5개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다방향 택트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방향 택트 스위치는 내부 단자 패턴 및 외부 단자가 형성되고 메탈돔을 적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합성수지재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부 단자 패턴 상부에 적치되는 메탈돔, 상기 메탈돔을 압착할 수 있는 스템 및 상기 베이스, 메탈돔 및 스템을 일체로 조립하여 주는 금속재의 커버로 구성된다.
상기 스템은 4 방향 메탈돔을 압착하기 위한 4 방향 압착부가 형성된 외측 스템과, 중앙 메탈돔을 압착하기 위한 내측 스템으로 나누어 지고, 상기 내측스템은 외측 스템의 중심부에 관통 체결되어 내측 스템의 상부 움직임에 따라, 4방향 메탈돔 및 중앙 메탈돔이 압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종래, 다방향 택트 스위치의 베이스, 메탈돔, 스템 및 그 커버를 조립함에 있어서는 베이스의 측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에는 그 돌기에 대응하는 홈을 형성하여, 베이스 내부에 메탈돔을 적치하고, 그 위에 스템과 커버를 결합한 후 커버의 홈과 베이스의 측면 돌기를 체결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이 때, 다방향 택트 스위치가 매우 소형이므로 그 베이스 및 베이스 측면 돌기도 매우 작게 형성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다방향 택트 스위치 결합 방법은 다방향 택트 스위치를 SMD(Surface Mounted Device) 형태로 제작하여 PCB(Printed Circuit Board)에 SMD 마운터(SMD Mounter) 등 자동 조립 기계에 의하여 솔더링(solder ing)할 경우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자동 솔더링을 위하여 PCB기판을 납 용융점 가까이 가열하게 되는데, 이 때, 다방향 택트 스위치에도 열이 전달되어 합성수지재인 베이스의 용적이 팽창함은 물론, 커버 역시 베이스 상단 모서리 절곡 부분에서 팽창 및 확장이 일어나 벌어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베이스의 측면 돌기로 부터 커버의 홈이 이탈되게 됨으로써 커버가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PCB 조립과정에서 열을 받아도 커버가 이탈되지 않는 구조의 다방향 택트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 요소인 베이스, 메탈돔 및 스템을 일체로 조립할 수 있는 다방향 택트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택트 스위치는 중앙의 1 접점과 주변의 4개의 접점을 형성하는 메탈돔과, 상기 메탈돔에 대응하는 내부 단자 패턴이 형성되고 그 위에 상기 메탈돔을 수용할 수 있는 요입된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메탈돔의 각 접점을 선택적으로 압착할 수 있는 스템과 상기 메탈돔, 베이스 및 스템을 일체로 조립하는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의 높이보다 긴 날개를 구비하되, 상기 날개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을 상단으로 부터 하단까지 감싼 후 베이스 하단 모서리에서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에는 상기 절곡된 날개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날개 안착부가 요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방향 택트 스위치의 각 구성 요소를 커버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하게 될 뿐 만 아니라, 베이스나 커버가 열에 의하여 팽창하는 경우에는 커버의 이탈이 없는 우수한 품질의 다방향 택트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택트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택트 스위치의 조립 공정 중 커버 조립 단계를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택트 스위치의 완성품을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결합 상태를 보여 주는 다방향 택트 스위치의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택트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택트 스위치의 조립 공정중 커버 조립 단계를 보여 주는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택트 스위치의 완성품을 보여 주는 사시도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결합 상태를 보여 주는 다방향 택트 스위치의 저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다방향 택트 스위치는 베이스(10)의 하우징(11) 내부에 중앙 단자(12), 4방향 단자(14), 접지단자(13) 등 다수의 접점 단자를 형성하고, 이들 단자 상부에 메탈돔(20)을 적치하여 메탈돔(20)에 의하여 각 단자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절연한다. 각 내부 단자는 대응되는 외부 단자(15)와 연결되고 외부 단자는 외부 회로와 연결된다.
상기 메탈돔(20)은 돔이 하나인 단접점 메탈돔(21)으로 형성하거나, 2개의 단접점 메탈돔을 서로 연결한 2접점 메탈돔(22)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탈돔(20)을 베이스(10)의 내부 접점에 위에 적치한 후, 메탈돔(20)의 상부에는 메탈돔을 압착하여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스템(30, 40)이 구비된다.
상기 스템은 중앙의 단접점 메탈돔(21)을 압착할 수 있는 부분과 주변의 2접점 메탈돔(22)을 압착할 수 있는 부분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스템(30)과 외측 스템(40)으로 분리 성형하여 내측 스템(30)을 외측 스템(40)의 관통공(42)에 삽입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스템(30) 바닥면에는 스템을 누눌 수 있는 돌기(도면 미도시)가 형성된다. 외측스템(40)은 주변 접점을 누를 수 있도록 4 방향 압착부(43)가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내 측 스템과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는 스템관(41)이 구비된다.
다방향 택트 스위치의 각 구성요소들은 커버(50)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된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이들 각 구성요소를 커버(50)에 의하여 결합함에 있어서, 커버 본체(51)의 양측면에 하방으로 날개(53a, 53b)를 형성하되, 상기 날개를 베이스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한데 특징이 있다. 날개가 없는 측방향으로도 약간의 플랜지(54)를 형성하여 베이스(10)와 안정적으로 결합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높이를 초과하게 형성된 커버(50)의 날개(53a, 53b)는 다방향 택트 스위치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베이스(11)의 하우징(11) 측면을 상단으로 부터 하단까지 감싼 후 하우징(11) 하단 모서리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하우징(11) 바닥과 접촉하게 된다. 날개(53a, 53b)는 절곡 후 절곡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야 하므로 소성(塑性)이 좋은 양백동 등의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10)의 하우징(11) 바닥면 중 상기 날개(53a, 53b)가 접혀서 부착되는 부분은 다른 바닥면보다 더 들어가게 요입 형성된 날개 안착부(16)를 형성하여, 날개가 바닥면으로 부터 외부단자(15) 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외부단자(15)와 PCB 접합 부분과의 솔더링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10 : 베이스 11 : 하우징
12, 13, 14 : 내부 단자 15 : 외부 단자
20 : 메탈돔 21 : 단접점 메탈돔
22 : 2접점 메탈돔 30 : 내측 스템
40 : 외측 스템 41 : 스템관
42 : 내측 스템 관통공 43 : 4 방향 압착부
50 : 커버 51 : 커버 본체
52 : 스템 관통공 53a, 53b : 날개

Claims (1)

  1. 중앙의 1 접점과 주변의 4개의 접점을 형성하는 메탈돔과, 상기 메탈돔에 대응하는 내부 단자 패턴이 형성되고 그 위에 체 상기 메탈돔을 수용할 수 있는 요입된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메탈돔의 각 접점을 선택적으로 압착할 수 있는 스템과 상기 메탈돔, 베이스 및 스템을 일체로 조립하는 커버로 구성되는 다방향 택트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의 높이보다 긴 날개를 구비하되, 상기 날개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을 상단으로 부터 하단까지 감싼 후 베이스 하단 모서리에서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에는 상기 절곡된 날개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날개 안착부가 요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택트 스위치.
KR1020190152805A 2019-11-26 2019-11-26 다방향 택트 스위치 KR20210064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805A KR20210064518A (ko) 2019-11-26 2019-11-26 다방향 택트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805A KR20210064518A (ko) 2019-11-26 2019-11-26 다방향 택트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518A true KR20210064518A (ko) 2021-06-03

Family

ID=7639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805A KR20210064518A (ko) 2019-11-26 2019-11-26 다방향 택트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45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8008A1 (en) Arrangement for surface mounting an electrical component by soldering, and electrical component for such an arrangement
US20070284236A1 (en) Push switch
JP2004152495A (ja) 狭ピッチicパッケージ用icソケット
KR100430178B1 (ko) 동축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US6518527B2 (en) Push switch having reduced size
US6585532B2 (en) Coaxial connector an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same
US20040099519A1 (en) Double action push switch
JP3111820U (ja) 同軸コネクタ
JP3959983B2 (ja) 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64518A (ko) 다방향 택트 스위치
US7745748B2 (en) Switch having a complementary diode unit
KR200366309Y1 (ko) 다방향 택트 스위치의 커버 결합 구조
US6049047A (en) Electronic component having contact integrated type terminal
EP0880157A2 (en) Electrical part and mounting structure therefor
JP2003077362A (ja) 押釦スイッチ
US11164710B2 (en) Brush switch with resisto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80301297A1 (en) Switch
JP5429315B2 (ja) 接触部材
KR101041400B1 (ko) 택트 스위치
TW201330037A (zh) 接觸構件
JPS6022508Y2 (ja) スイツチ装置
JP5696422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101418047B1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JP2002279855A (ja) 表面実装型電子部品
KR20110010092U (ko) 전기·전자제품의 푸시버튼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