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092U - 전기·전자제품의 푸시버튼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전자제품의 푸시버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092U
KR20110010092U KR2020100004104U KR20100004104U KR20110010092U KR 20110010092 U KR20110010092 U KR 20110010092U KR 2020100004104 U KR2020100004104 U KR 2020100004104U KR 20100004104 U KR20100004104 U KR 20100004104U KR 20110010092 U KR20110010092 U KR 201100100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printed circuit
push button
circuit board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1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모
Original Assignee
양성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모 filed Critical 양성모
Priority to KR20201000041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0092U/ko
Publication of KR201100100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09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전기·전자제품에 장착되어 전원 및 별도 기능을 조절하는 푸시버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푸시버튼의 복원작용으로만 사용하는 코일스프링의 구조를 개선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조립함으로서 푸시버튼 누름 시 압축된 코일스프링이 인쇄회로기판의 패턴에 접촉하여 이격된 패턴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서 코일스프링이 푸시버튼의 복원작용은 물론 스위치의 ON-OFF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스위치 구조의 단순화 및 일체화로 제품의 내구성 및 신뢰성이 강화될 뿐 아니라 부품수가 줄어들고 조립작업이 용이해져 제조원가의 절감과 함께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전자제품의 푸시버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상부는 피치가 없는 원통형 스프링(10a), 하부는 피치가 있는 원추형 스프링(10b) 그리고 끝단은 고정돌기(10c)로 형성된 도전성 재질의 코일스프링(10), 상기 고정돌기를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는 쓰루홀(21c)이 형성된 내부패턴(21a)과 상기 코일스프링 압축 시 접촉되는 외부패턴(21b)이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양면인쇄회로기판(20), 상기 양면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하부몸체(40),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에 유동성 있게 결합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을 압축할 수 있는 상부커버(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푸시버튼장치, 코일스프링, 스위치, 양면인쇄회로기판

Description

전기·전자제품의 푸시버튼장치{Push button device of electric-electronic appliance}
본 고안은 각종 전기·전자제품에 장착되어 전원 및 별도 기능을 조절하는 푸시버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푸시버튼의 복원작용으로만 사용하는 코일스프링의 구조를 개선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조립함으로서 푸시버튼 누름 시 압축된 코일스프링이 인쇄회로기판의 패턴에 접촉하여 이격된 패턴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서 코일스프링이 푸시버튼의 복원작용은 물론 스위치의 ON-OFF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푸시버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기·전자제품에는 전원을 ON-OFF하는 기능 및 각 제품에 따른 별도기능을 직접 선택 및 설정할 수 있도록 스위치를 조작하는 푸시버튼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 전기·전자제품에서 사용되고 있는 푸시버튼장치의 한 예를 도 1에 도시하였는바,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푸시버튼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하부몸체(140) 내부에 택트스위치(160)가 설치되어있는 인쇄회로기판(120)이 장착되어있고, 상기 택트스위 치(160)를 눌러 ON시키기 위해 푸시로드(150)가 고정 장착된 상부커버(130)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부몸체(140)에 결합하고, 상부커버(130)를 눌러 푸시로드(150)가 택트스위치(160)를 ON시킨 후 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다시 원위치로 복원하여 택트스위치(160)를 OFF 시킬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110)이 상부커버(130)와 인쇄회로기판(120) 사이에 장착되어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푸시버튼장치는 상부커버(130)를 누르게 되면 아래로 밀려나면서 상부커버(130)에 고정되어있는 푸시로드(150) 밑단이 인쇄회로기판(120)에 조립된 별도의 택트스위치(160)를 눌러 전원을 ON-OFF시키거나 별도의 기능을 선택하게 되고, 다시 상부커버를 누른 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하부몸체에 장착된 코일스프링(110)의 탄성 반발작용에 의해 상부커버(130)가 다시 위쪽으로 밀리면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하지만 , 종래 푸시버튼장치는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상부커버의 복원작용을 위한 코일스프링과 전원을 ON-OFF시키거나 별도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를 각각 따로 사용해야 함으로 부품수요 및 작업공수가 증가하여 제조원가의 상승은 물론 작업의 번거로움으로 제품의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커버와 푸시로드, 코일스프링 및 택트스위치가 일체화하여 정확히 작동해야 하기 때문에 각 부품의 조립상태 또는 마모 등에 의해 스위치의 작동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기·전자제품의 푸시버튼장치는, 상부는 피치가 없는 원통형 스프링(10a), 하부는 피치가 있는 원추형 스프링(10b) 그리고 끝단은 고정돌기(10c)로 형성된 도전성 재질의 코일스프링(10), 상기 고정돌기를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는 쓰루홀(21c)이 형성된 내부패턴(21a)과 상기 코일스프링 압축 시 접촉되는 외부패턴(21b)이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양면인쇄회로기판(20), 상기 양면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하부몸체(40),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에 유동성 있게 결합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을 압축할 수 있는 상부몸체(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전기·전자제품의 푸시버튼장치는 푸시버튼의 복원작용으로만 사용하는 코일스프링의 구조를 개선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조립함으로서 푸시버튼 누름 시 압축된 코일스프링이 인쇄회로기판의 패턴에 접촉하여 이격된 패턴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서 코일스프링이 푸시버튼의 복원작용은 물론 스위치의 ON-OFF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스위치 구조의 단순화 및 일체화로 제품의 내구성 및 신뢰성이 강화될 뿐 아니라 부품수가 줄어들고 조립작업이 용이해져 제조원가의 절감과 함께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전자제품의 푸시버튼장치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10)을 양면인쇄회로기판(20)에 조립하여 하부몸체(40) 내부에 장착하고 상부커버(30)를 상기 코일스프링을 압축할 수 있도록 유동성을 가지고 하부몸체(40)에 결합하여 코일스프링 상단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코일스프링(10)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졌으며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는 피치가 없는 원통형 스프링(10a), 하부는 피치가 있는 원추형 스프링(10b) 그리고 끝단은 고정돌기(10c)로 형성되어 코일스프링을 압축하면 상기 원추형 부분의 코일스프링이 수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양면인쇄회로기판(2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코일스프링의 고정돌기(10c)를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는 쓰루홀(21c)이 형성된 내부패턴(21a)과 설치된 코일스프링을 압축하면 접촉할 수 있는 외부패턴(21b)이 서로 이격되어 인쇄회로기판 전면(20a)에 배치되어 있고 후면(20b)에는 쓰루홀(21c)을 통해 삽입된 코일스프링의 고정돌기(10c)를 납땜하여 코일스프링(10)을 인쇄회로기판에 고정시킬 수 있는 후면패턴(21d)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인쇄회로기판의 각 패턴에 연결된 회로라인은 푸시버튼장치와 연관된 구성회로부품들에 연결되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먼저 상부커버(30)를 누르게 되면 누른 압력에 의해 상부커버가 아래로 밀려 나면서 양면인쇄회로기판(20) 상에 설치된 코일스프링(10)의 상단을 눌러 원추형 스프링(10b)이 수축하면서 원통형 스프링(10a)이 아래로 이동하여 도면 5에 도시한 것처럼 원통형 스프링(10a)의 하단이 양면인쇄회로기판(20)의 상기 외부패턴(21b)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코일스프링의 고정돌기(10c)가 삽입되어 조립된 내부패턴(21a)과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코일스프링(1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도통하게 된다.
다음, 상부커버(30)에 눌려졌던 압력을 제거하면 코일스프링(10)의 탄성 반발작용에 의해 수축되었던 원추형 스프링(10b)이 복원하면서 원통형 스프링(10a)을 위로 밀면서 도면 2에 도시한 것처럼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코일스프링(10)에 의한 패턴간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별도의 스위치를 따로 사용하지 않고도 코일스프링을 이용하여 푸시버튼의 복원작용은 물론 스위치의 ON-OFF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각종 전기·전자제품에 사용되는 푸시버튼장치의 스위치 구조를 단순화하여 일체화하였다.
도 1는 본 고안의 종래의 전기·전자제품의 푸시버튼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전자제품의 푸시버튼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전자제품의 푸시버튼장치 내부에 장착되는 코일스프링의 구조형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전자제품의 푸시버튼장치에 실장되는 양면인쇄회로기판의 전면 및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전자제품의 푸시버튼장치가 눌려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 주요부호의 설명>
10 : 코일스프링 10a : 원통형 스프링
10b : 원추형 스프링 10c : 고정돌기
20 : 양면인쇄회로기판 21a : 내부패턴
21b : 외부패턴 21c : 쓰루홀
30 : 상부커버 40 : 하부몸체

Claims (1)

  1. 각종 전기·전자제품에 장착되어서 전원 및 별도의 기능을 조절하는 푸시버튼장치에 있어서, 상부는 피치가 없는 원통형 스프링(10a), 하부는 피치가 있는 원추형 스프링(10b) 그리고 끝단은 고정돌기(10c)로 형성된 도전성 재질의 코일스프링(10), 상기 고정돌기를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는 쓰루홀(21c)이 형성된 내부패턴(21a)과 상기 코일스프링 압축 시 접촉되는 외부패턴(21b)이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양면인쇄회로기판(20), 상기 양면인쇄회로기판이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하부몸체(40),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에 유동성 있게 결합되어 상기 코일스프링(10)을 압축할 수 있는 상부몸체(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장치
KR2020100004104U 2010-04-20 2010-04-20 전기·전자제품의 푸시버튼장치 KR201100100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104U KR20110010092U (ko) 2010-04-20 2010-04-20 전기·전자제품의 푸시버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104U KR20110010092U (ko) 2010-04-20 2010-04-20 전기·전자제품의 푸시버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092U true KR20110010092U (ko) 2011-10-26

Family

ID=72886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104U KR20110010092U (ko) 2010-04-20 2010-04-20 전기·전자제품의 푸시버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009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795B1 (ko) * 2019-04-12 2020-10-16 전영환 터치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795B1 (ko) * 2019-04-12 2020-10-16 전영환 터치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68432C (zh) 电气构件,特别是电气开关
KR200362288Y1 (ko) 휴대용 전화기의 스위치 모듈
US6756554B1 (en) Tact switch
JP3716345B2 (ja) 携帯電話のバッテリ接続端子
US7449643B2 (en) Switch for vehicle
TWI484515B (zh) Push button switch
US8383975B2 (en) Enhanced withstand voltage micro switch
CN103311031B (zh) 按键及包括其的移动终端
JP2009193773A (ja) 照光押釦スイッチ
JP2002343178A (ja) 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546708B2 (en) Electrical switch with a tactile effect and a dual action
KR20110010092U (ko) 전기·전자제품의 푸시버튼장치
TW201711072A (zh) 按鍵及按壓開關
KR20120041065A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US11676782B2 (en) Dome-actuator structure for use in a dome switch, and a dome switch comprising such a structure
KR100501059B1 (ko) 푸시버튼 스위치
CN219017475U (zh) 一种与pcb板互为一整体的开关
JP5573490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5429315B2 (ja) 接触部材
WO2013011802A1 (ja) 接触部材
CN217768169U (zh) 一种灯具电源适配器用控制开关
JP2010020911A (ja) 押釦スイッチの取付構造
JP2008181897A (ja) 押釦スイッチ
TWM516216U (zh) 按鍵及按壓開關
KR20150106743A (ko) 차량용 스위치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