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999A -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999A
KR20210063999A KR1020190152784A KR20190152784A KR20210063999A KR 20210063999 A KR20210063999 A KR 20210063999A KR 1020190152784 A KR1020190152784 A KR 1020190152784A KR 20190152784 A KR20190152784 A KR 20190152784A KR 20210063999 A KR20210063999 A KR 20210063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viding
monitoring service
terminal
server
condition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라
Original Assignee
뉴턴1665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턴1665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뉴턴1665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2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3999A/ko
Publication of KR20210063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999A/ko
Priority to KR1020220056146A priority patent/KR102594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8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image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Nur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를 이용한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촬영 가이드 정보가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 송신되는 촬영 가이드 정보 전송 단계; 및 상기 단말기를 통해 촬영된 사진 파일이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사진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Method of providing physical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본 발명은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체에 골격 불균형이 있는 경우, 인장력과 압축력 및 비틀림 응력이 특정부위에 집중되게 되어 만성적인 통증이 생기거나 치아의 부정교합, 코골이, 수면무호흡, 비염, 안면 비대칭, 일자목 거북목 증후군, 척추 디스크, 사시 등 다양한 질환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골격과 관련된 의료기관인 치과나 정형외과 등에서 다양한 치료를 수행하고 있으며, 비의료기관에서도 마사지나 신체 교정 서비스를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으며, 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교정을 위한 개인 홈트레이닝도 갈수록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신체 불균형이 해소되도록 완전히 교정하는데 상당한 시간(약 6개월에서 3년)이 걸리기 때문에 교정 효과를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인지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기존에는 서비스 제공기관에서 주기적으로 신체를 카메라로 촬영하고 이를 컴퓨터에 저장해두고 필요할 때마다 이용자(환자, 서비스 수혜자)와 다른 의료기관에 사진을 제공하는 방식이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방식은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 데이터 관리가 번거로우며, 이용자 입장에서는 본인의 신체 상태가 변화는 과정을 필요할 때마다 즉각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어려운 문제를 안고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해 간단하게 이용자의 신체 상태를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을 통해 신체 상태를 분석하여 정보화하며, 분석된 정보 및 사진을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해 이용자의 신체 상태를 정확하게 촬영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된 사진을 분석하여 교정 결과를 수치로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체 불균형이 교정되는 누적적인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의 신체 사진 및 분석결과를 누적적으로 저장하여 빅데이터화 함으로써, 이용자가 신체의 불편한 증상 또는 개선된 증상이 나타날 때 자신의 신체 변화 상태를 간헐적으로 관찰하는 것뿐만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정기적인 신체 자료 수집으로 질병의 발현 시점과 원인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발명은 성장기의 이용자에 적용하여, 성장 방향과 성장시 사건 사고들을 자료로 취합하여 질병 발생시 원인 발생시점을 유추할 수 있게 하여 치료 방법을 고안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를 이용한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촬영 가이드 정보가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 송신되는 촬영 가이드 정보 전송 단계; 및 상기 단말기를 통해 촬영된 사진 파일이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사진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촬영 가이드 정보는 신체의 특정 부위와 매칭되는 가상의 가이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체 특정 부위는 구강, 치아, 안면 중 일부, 머리, 목, 팔, 다리, 엉덩이, 손 및 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진 파일이 분석되어 신체상태 정보로 가공되는 골격 상태 분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골격 상태 분석 단계에서는 상기 전송된 파일의 좌우 또는 상하 균형을 분석하거나, 기설정된 기준선으로부터 신체 일부분의 이격 정도를 분석하여 상기 신체상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진 파일의 왜곡을 보정하는 왜곡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왜곡 보정 단계에서는 신체의 특징점 위치를 기준으로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특징점은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기계학습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촬영 가이드 정보에 따라 누적적으로 촬영된 사진 파일이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히스토리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개인정보보호 동의 정보가 전송되는 개인정보보호 동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해 이용자의 신체 상태를 정확하게 촬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된 사진을 분석하여 교정 결과를 수치로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체 불균형이 교정되는 누적적인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의 신체 사진 및 분석결과를 누적적으로 저장하여 빅데이터화 함으로써, 이용자가 신체의 불편한 증상 또는 개선된 증상이 나타날 때 자신의 신체 변화 상태를 간헐적으로 관찰하는 것뿐만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정기적인 신체 자료 수집으로 질병의 발현 시점과 원인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명은 성장기의 이용자에 적용하여, 성장 방향과 성장시 사건 사고들을 자료로 취합하여 질병 발생시 원인 발생시점을 유추할 수 있게 하여 치료 방법을 고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해 신체 사진이 처리되는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왜곡 보정 단계로, 머신러닝에 의해 신체 사진의 왜곡을 보정하는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해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것으로, 메인 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내지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해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것으로, 사진 촬영을 가이드하는 페이지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내지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해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것으로, 신체 상태 정보를 누적적으로 제공하는 페이지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이용자 개인 정보 보호 동의 절차에 관한 플로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상기 이용자 개인 정보 보호 동의 절차가 디바이스를 통해 구현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상기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신체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이 가능하며 정보를 저장하는 하는 서버(S),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서버(S)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A, B, C, D) 및, 상기 서버(S)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건강보험공단 서버(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A, B, C, D)는 이용자 단말기(A), 병원 단말기(B), 비의료기관 단말기(C) 및, 관리자 단말기(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용자란 환자 또는 서비스 수혜자인 개인이 될 수 있으며, 병원은 상기 이용자에게 치료를 제공하는 기관이며, 비의료기관이란 상기 이용자에게 의료 외적으로 마사지 또는 신체 교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자를 의미하며, 관리자란 상기 서버(S)를 관리 통제하는 이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서버(S)에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A)와 상기 병원 단말기(B)와 상기 비의료기관 단말기(C) 및 관리자 단말기(D)가 필요에 따라 각각 다수 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A, B, C, D)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며 유,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를 포함하는 일체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인터넷에 통해 접속하기 위한 기기에 해당하며, 넓게는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보드와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장치, 모니터 및 프린터 등과 같은 출력장치, 모뎀이나 LAN 등과 같은 송수신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나 그래픽 카드와 같은 처리장치 및 이들을 운용하거나 제어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탑재한 저장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로, 개인 통신 단말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단말기, 개인 디지털 셀룰러 단말기(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폰(Smart Phone), 텔레매틱스(Telematics),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기 및/또는 휴대 인터넷 단말,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및 노트북(Notebook) 등이 있다.
한편, 상기 서버(S)의 개별 구성들을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서버(S)는 단말기(A, B, C, D)를 인식하는 단말기 인식부(91), 상기 단말기(A, B, C, D)로부터 사진 파일을 포함하는 파일을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92), 수신된 파일을 처리하여 신체상태 정보를 도출하는 연산부(93), 사진 파일과 신체상태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저장부(94) 및, 사진 파일과 신체상태 정보를 단말기(A, B, C, D) 및 건강보험공단 서버(S)로 전송하는 정보 송신부(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S)는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구현하기 위한 전용 시스템 및 유무선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가상 파일 기반의 웹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은 촬영 가이드 정보가 상기 서버(S)에서 상기 단말기(A, B, C, D)로 송신되는 촬영 가이드 정보 전송 단계(S1) 및, 상기 단말기(A, B, C, D)를 통해 촬영된 사진 파일이 상기 서버(S)로 전송되는 사진 전송 단계(S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 가이드 정보는 신체의 특정 부위와 매칭되는 가상의 가이드 라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신체 특정 부위는 구강, 치아, 안면 중 일부(눈, 코, 입, 귀), 머리, 팔, 다리, 가슴, 목, 엉덩이, 손 및 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A, B, C, D)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화면에 상기 가상의 가이드 라인이 제공되고, 이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가 상기 가이드 라인과 정합성을 유지하도록 구도를 맞춰 촬영될 수 있다.
이는 별도의 전문 촬영장비 없이도 휴대폰 카메라만으로 신체 특정부위 사진을 분석 가능한 상태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추후 도 6 내지 11에서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진 파일의 왜곡을 보정하는 왜곡 보정 단계(S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왜곡 보정 단계(S3)는 카메라에 의해 신체가 촬영될 때, 카메라와 신체부위가 가까운 경우 렌즈에 의해 사진 외측에 발생하는 왜곡을 정상적으로 보정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즉, 사진의 중앙부는 정확하게 촬영된 상태일 수 있으나, 상기 단말기가 전문 신체 사진 촬영장비가 아닌 만큼 사진의 외측은 렌즈의 굴곡에 의해 뒤틀리거나 비정상적인 비율로 확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상기 왜곡 보정 단계(S3)가 해결할 수 있다.
특히, 구강내 촬영 같은 경우는 카메라 렌즈와 촬영부위가 근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밖에 없어 사진의 왜곡이 더 심화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왜곡 보정 단계(S3)는 추후 도 4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서버(S)에서 상기 사진 파일이 분석되어 신체상태 정보로 가공되는 골격 상태 분석 단계(S4) 및, 왜곡이 보정된 사진 파일과 가공된 신체 상태 정보가 상기 저장부(94)에 누적적으로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 단계(S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격 상태 분석 단계에서는 상기 연산부(93)가 왜곡이 보정된 사진 파일의 좌우 또는 상하 균형을 분석하여 신체의 골격 균형 상태를 수치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격 상태 분석 단계에서는 기설정된 기준선으로부터 신체 일부분의 이격 정도를 분석하여 상기 신체상태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거북목 환자의 경우 기설정된 기준선이 목과 발을 잇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안면이 이격된 정도를 분석하여 돌출 정도를 수치화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서버(S)에서 상기 건강보험공단 서버(E)로 왜곡이 보정된 사진 파일과 가공된 신체 상태 정보가 전달되는 데이터 업로드 단계(S6) 및, 상기 서버(S)에서 상기 단말기(A, B, C, D)로 왜곡이 보정된 사진 파일과 가공된 신체 상태 정보가 전달되는 히스토리 전송 단계(S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왜곡이 보정된 사진 파일과 가공된 신체 상태 정보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누적적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된 정보는 상기 히스토리 전송 단계(S7)를 통해 이용자와 병원과 비의료기관과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업로드 단계(S6)를 통해 이용자의 정보가 상기 건강보험공단 서버(E)로 전송됨으로써, 의료관련 기록을 상기 건강보험공단에서 조회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상기 왜곡 보정 단계(S3)의 세부 플로우로, 상기 왜곡 보정 단계(S3)에서는 신체의 특징점 위치를 기준으로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신체의 특징점은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기계학습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서버(S)를 운용하는 컴퓨터에서는 훈련 사진을 인공신경망에 입력할 수 있다.
이때 훈련 사진은 체스보드를 포함하지 않는 사진일 수도 있다. 즉, 신체 사진과 유사한 훈련 사진을 이용하여 영상 자체에서 특징점을 찾는 것이다. (P1)
상기 서버(S)를 운용하는 컴퓨터는 입력 사진에서 특징점을 출력하도록 인공신경망을 학습하거나, 인공신경망은 복수의 사진에서 서로 매칭되는 특징 벡터를 출력하도록 학습할 수도 있다.
이후, 전달된 인공신경망(P3)은 입력된 사진에 대한 특징 벡터(특징점)를 출력할 수 있다(P3). 특징점의 경우 신체 일부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강의 경우 앞니나 어금니 또는 혀의 외주부 중 일부가 될 수 있다.
이후, 인공신경망은 사진에 대한 특징 벡터를 기준으로 입력 사진에서 매칭되는 특징점을 찾고, 서로 매칭되는 특징점을 기준으로 영상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P4)
이에 따라, 어안렌즈로 촬영된 사진의 왜곡이 효과적으로 보정될 수 있으며, 사진 파일이 누적됨에 따라 기계학습에 의해 왜곡 보정 수준이 기하급수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도 5는 전술한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플로우가 상기 단말기(A, B, C, D)의 웹/어플리케이션 통해 구현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단말기(A, B, C, D)의 디스플레이에는 제공 서비스가 나열된 메인 페이지(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페이지(11)에는 사진촬영 선택 영역(111), 촬영된 사진 및 신체상태 정보를 조회하는 히스토리 선택 영역(112)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진촬영 선택 영역(111)이 선택되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6에 도시된 촬영 부위 선택 페이지(21)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촬영 부위 선택 페이지(21)에는 구강선택 영역(211), 치아선택 영역(212), 안면선택 영역(213), 전신선택 영역(214), 운동성선택 영역(215) 및, 성장선택 영역(216)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있다.
여기서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촬영 가이드 정보 전송 단계(S1)가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구강선택 영역(211)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7에 도시된 구강 사진 업로드 페이지(22)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구강 사진 업로드 페이지(22)에는 구강 사진 촬영 가이드 영역(222) 및 구강 사진 업로드 영역(221)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구강 사진 촬영 가이드 영역(222)에는 구강 구조에 맞는 가상의 가이드 라인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가상의 가이드 라인을 따라 구강 내부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구강 사진 업로드 영역(221)을 통해 사진 전송 단계(S2)가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치아선택 영역(212)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8에 도시된 치아 사진 업로드 페이지(23)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치아 사진 업로드 페이지(23)에는 치아 사진 촬영 가이드 영역(232) 및 치아 사진 업로드 영역(231)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치아 사진 촬영 가이드 영역(232)에는 치아 구조에 맞는 가상의 가이드 라인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가상의 가이드 라인을 따라 치아 전면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치아 사진 업로드 영역(232)을 통해 사진 전송 단계(S2)가 진행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안면선택 영역(213)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9에 도시된 안면 사진 업로드 페이지(24)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안면 사진 업로드 페이지(24)에는 안면 사진 촬영 가이드 영역(242) 및 안면 사진 업로드 영역(241)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안면 사진 촬영 가이드 영역(242)에는 안면 구조에 맞는 가상의 가이드 라인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가상의 가이드 라인을 따라 안면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안면 사진 업로드 영역(242)을 통해 사진 전송 단계(S2)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신선택 영역(214)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10에 도시된 전신 사진 업로드 페이지(25)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전신 사진 업로드 페이지(25)에는 전신 사진 촬영 가이드 영역(252) 및 전신 사진 업로드 영역(251)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신 사진 촬영 가이드 영역(252)에는 전신 구조에 맞는 가상의 가이드 라인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가상의 가이드 라인을 따라 전신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전신 사진 업로드 영역(252)을 통해 사진 전송 단계(S2)가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운동성선택 영역(215)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11에 도시된 운동성 사진 업로드 페이지(26)로 전환될 수 있다.
운동성 측정의 경우, 이용자가 걷거나 기립하거나 착석하는 등 신체를 움직이는 과정에서 무게중심이 형성되는 부분을 파악하고, 신체 균형 정도를 측정하는 것에 해당한다.
즉, 골격에 불균형이 발생한 경우 움직이는 과정에서 무게중심이 비정상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시각화 및 수치화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운동성 사진 업로드 페이지(26)에는 운동성 사진 촬영 가이드 영역(262) 및 운동성 사진 업로드 영역(261)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운동성 사진 촬영 가이드 영역(262)에는 걷거나 기립/착석 중인 신체 상태 맞는 가상의 가이드 라인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가상의 가이드 라인을 따라 운동성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운동성 사진 업로드 영역(262)을 통해 사진 전송 단계(S2)가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성장선택 영역(216)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12에 도시된 성장 사진 업로드 페이지(27)로 전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성장 사진 업로드 페이지(27)에는 성장 사진 촬영 가이드 영역(272) 및 성장 사진 업로드 영역(271)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성장 사진 촬영 가이드 영역(272)에는 상기 구강/치아/안면/전신/운동성 촬영을 가이드하는 가상의 가이드 라인들이 배치될 수 있고, 도 12에는 경우 전신 촬영에 관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가상의 가이드 라인을 따라 성장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성장 사진 업로드 영역(272)을 통해 사진 전송 단계(S2)가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페이지(11)에서 상기 히스토리 선택 영역(112)이 선택되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13에 도시된 히스토리 선택 페이지(31)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히스토리 선택 페이지(31)에는 구강 상태 조회 영역(311), 치아 상태 조회 영역(312), 안면 상태 조회 영역(313), 전신 상태 조회 영역(314), 운동성 상태 조회 영역(315) 및, 성장 상태 조회 영역(316)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있다.
여기서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히스토리 전송 단계(S7)가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히스토리 선택 페이지(31)에서 상기 구강 상태 조회 영역(311)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14에 도시된 구강 히스토리 페이지(32)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구강 히스토리 페이지(32)에는 시간의 순서에 의해 나열된 구강 사진을 제공하는 구강 사진 영역(321) 및, 구강 상태 분석 영역(322)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강 상태 분석 영역(322)에는 구강 내부의 좌우 균형 정도 및, 치열 고르기에 관한 정보가 수치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히스토리 선택 페이지(31)에서 상기 치아 상태 조회 영역(312)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15에 도시된 치아 히스토리 페이지(33)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치아 히스토리 페이지(33)에는 시간의 순서에 의해 나열된 치아 사진을 제공하는 치아 사진 영역(331) 및, 치아 상태 분석 영역(332)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치아 상태 분석 영역(332)에는 치아 좌우 균형 정도 및, 배치상태에 관한 정보가 수치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스토리 선택 페이지(31)에서 상기 안면 상태 조회 영역(313)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16에 도시된 안면 히스토리 페이지(34)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안면 히스토리 페이지(34)에는 시간의 순서에 의해 나열된 안면 사진을 제공하는 안면 사진 영역(341) 및, 안면 상태 분석 영역(342)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면 상태 분석 영역(342)에는 안면 좌우 균형 정도 및, 하악의 돌출 정도에 관한 정보가 수치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히스토리 선택 페이지(31)에서 상기 전신 상태 조회 영역(314)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17에 도시된 전신 히스토리 페이지(35)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전신 히스토리 페이지(35)에는 시간의 순서에 의해 나열된 전신 사진을 제공하는 전신 사진 영역(351) 및, 전신 상태 분석 영역(352)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신 상태 분석 영역(352)에는 전신 좌우 균형 정도 및, 머리의 전방 돌출 정도 및, 몸의 기울기 등에 관한 정보가 수치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히스토리 선택 페이지(31)에서 상기 운동성 상태 조회 영역(315)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18에 도시된 운동성 히스토리 페이지(36)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운동성 히스토리 페이지(36)에는 시간의 순서에 의해 나열된 운동성 사진을 제공하는 운동성 사진 영역(361) 및, 운동성 상태 분석 영역(362)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운동성 상태 분석 영역(362)에는 운동상태에서의 무게중심, 무게중심으무부터 특정부위의 이격 정도, 몸의 기울기 등에 관한 정보가 수치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히스토리 선택 페이지(31)에서 상기 성장 상태 조회 영역(316이 선택된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도 19 도시된 성장 히스토리 페이지(36)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성장 히스토리 페이지(36)에는 시간의 순서에 의해 나열된 성장 사진을 제공하는 성장 사진 영역(361) 및, 성장 상태 분석 영역(362)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성장 히스토리 페이지(36)를 통해 성장 정도와 성장 방향과 성장시 불균형 등 다수의 신체 상태에 대한 자료가 취합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질병 발생시 원인 발생시점을 유추할 수 있도록 하여 생애주기 전반 걸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이용자와 병원 및 비의료기관은 이용자의 수치화된 교정 경과를 즉각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으로 신체 교정을 가이드할 수 있고, 신체에 관한 빅데이터를 쉽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은 이용자 개인정보보호 동의 단계(T1, T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인정보보호 동의 단계(T1, T2)는 상기 병원 단말기(B)와 상기 서버(S) 그리고, 상기 비의료기관 단말기(C)와 상기 서버(S)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히스토리 전송 단계(S7) 또는 상기 사진 전송 단계(S2)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이용자의 신체 사진을 업로드하거나 조회하기 전 이용자의 정보를 외부에 유출하지 않도록 동의를 받는 플로우로 민감한 의료 정보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개인 정보 보호 동의 페이지(41)가 도시된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개인 정보 보호 동의 페이지(41)에는 개인정보 유출 금지 안내문이 담긴 안내 영역(411)과, 동의 영역(412) 및 미동의 영역(413)이 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동의 영역(412)이 선택되면 상기 상기 개인정보보호 동의 단계(T1, T2)가 진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효과라도, 본 발명은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이 다른 효과를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간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따라 종래기술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청구된 구성을 포함하여 실시되거나 균등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서버 S 이용자 단말기 A 병원 단말기 B 비의료기관 단말기 C
관리자 단말기 D 건강보험공단 서버 E

Claims (10)

  1.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를 이용한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촬영 가이드 정보가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 송신되는 촬영 가이드 정보 전송 단계; 및
    상기 단말기를 통해 촬영된 사진 파일이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사진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가이드 정보는
    신체의 특정 부위와 매칭되는 가상의 가이드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특정 부위는
    구강, 치아, 안면 중 일부, 머리, 목, 팔, 다리, 엉덩이, 손 및 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인 것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진 파일이 분석되어 신체상태 정보로 가공되는 골격 상태 분석 단계; 및
    가공된 신체상태 정보가 상기 서버에 누적적으로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 상태 분석 단계에서는
    상기 전송된 파일의 좌우 또는 상하 균형을 분석하거나, 기설정된 기준선으로부터 신체 일부분의 이격 정도를 분석하여 상기 신체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진 파일의 왜곡을 보정하는 왜곡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보정 단계에서는
    신체의 특징점 위치를 기준으로 왜곡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점은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기계학습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가이드 정보에 따라 누적적으로 촬영된 사진 파일이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히스토리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로 개인정보보호 동의 정보가 전송되는 개인정보보호 동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90152784A 2019-11-25 2019-11-25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KR2021006399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784A KR20210063999A (ko) 2019-11-25 2019-11-25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220056146A KR102594793B1 (ko) 2019-11-25 2022-05-06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784A KR20210063999A (ko) 2019-11-25 2019-11-25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146A Division KR102594793B1 (ko) 2019-11-25 2022-05-06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999A true KR20210063999A (ko) 2021-06-02

Family

ID=763728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784A KR20210063999A (ko) 2019-11-25 2019-11-25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220056146A KR102594793B1 (ko) 2019-11-25 2022-05-06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146A KR102594793B1 (ko) 2019-11-25 2022-05-06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63999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7005A (ko) * 2015-11-16 2017-05-24 김종호 동적 또는 정적 자세 평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KR20180015858A (ko) * 2016-08-04 2018-02-14 주식회사 케이티 체형 분석 서버, 체형 분석 방법 및 사용자 단말
KR102147930B1 (ko) * 2017-10-31 2020-08-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포즈 인식 방법 및 장치
KR102071410B1 (ko) * 2017-11-29 2020-01-30 박창혁 스마트 미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557A (ko) 2022-08-30
KR102594793B1 (ko) 202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26164B1 (en) Augmented-reality range-of-motion therap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20160220174A1 (en) Body-Sensing Tank Top with Biofeedback System for Patients with Scoliosis
JP2008501375A (ja) マスク適合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1772577A (zh) 一种基于云平台的膝关节康复评估系统及方法
US11776687B2 (en) Medical examination of human body using haptics
KR101789166B1 (ko) 이미지 기반 황달 진단 방법 및 장치, 이미지 기반 황달 진단 보조 장치
KR102388337B1 (ko)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방법
US201700914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rial treatment of a muscular-skeletal deformity
KR101611024B1 (ko)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220223255A1 (en) Orthopedic intelligence system
TW202107482A (zh) 以個人裝置進行手骨骨齡即時判讀之系統及方法
KR102311855B1 (ko) 신체상태측정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하는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EP3808268B1 (en) System and method for shoulder proprioceptive analysis
JP2007105147A (ja) データ検出装置及びデータ検出方法
KR20140082449A (ko) 네츄럴 인터렉션 기반의 건강 및 재활 장치
KR102594793B1 (ko) 신체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방법
US20240000649A1 (en) Interconnected brace and crutch system
KR101402781B1 (ko) 체형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운동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30144621A1 (en) Capturing diagnosable video content using a client device
WO2021149629A1 (ja) 姿勢診断システム、姿勢診断方法及び姿勢診断用データセット
Nerino et al. An improved solution for knee rehabilitation at home
US202101425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erimposing teeth data image onto face image
KR101801020B1 (ko) 3D 스캐닝과 X-ray 진단 데이터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척추보조기구 제작 시스템
JP7133291B2 (ja) 呼吸状態判定システム、呼吸状態判定プログラム
KR102311856B1 (ko)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아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