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337B1 -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337B1
KR102388337B1 KR1020220010498A KR20220010498A KR102388337B1 KR 102388337 B1 KR102388337 B1 KR 102388337B1 KR 1020220010498 A KR1020220010498 A KR 1020220010498A KR 20220010498 A KR20220010498 A KR 20220010498A KR 102388337 B1 KR102388337 B1 KR 102388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oromandibular joint
user
service
per unit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구
하경생
조승현
Original Assignee
(주)힐링사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힐링사운드 filed Critical (주)힐링사운드
Priority to KR1020220010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에게 턱관절 운동을 안내하고, 사용자가 상기 턱관절 운동을 수행시마다 안면 동작을 동영상으로 촬영한 후, 미리 구축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의 턱관절 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운동 정확도를 판단하여 도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스스로 올바르게 턱관절 운동을 수행하도록 하여 턱관절 질환의 개선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방법{Service provision method of the application for temporomandibular joint disease improvement service}
본 발명은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턱관절 운동 방법을 안내하고, 미리 구축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턱관절 질환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턱관절은 얼굴 부위의 유일한 관절이고, 머리뼈와 아래턱뼈가 맞물려 움직이는 관절이며, 두 뼈 사이에 위치한 관절원판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조이다. 관절 원판의 뒤쪽으로는 혈관과 신경이 풍부한 조직이 있어서 턱관절 장애시 통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주로 턱관절 장애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발생되며, 입을 벌리기 힘들고 아픈 증상, 턱에서 딱딱 소리가 나는 증상, 음식을 씹을 때 통증이 있는 증상 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턱관절 장애가 발생되면, 환자는 치과 등의 병원에 직접 방문하여 의사로부터 진단받고, 약물이나 치료기구 등을 처방받는다.
그러나, 턱관절 장애는 턱관절에 무리를 주는 나쁜 습관의 개선이 우선시되어야 하므로, 일회성의 진료와 처방만으로는 증상 완화나 개선에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8943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턱관절 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안내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신호를 입력받으면, 입을 벌리고 혀로 입천장을 밀어내는 동작을 통해 턱관절을 스트레칭하는 턱관절 운동을 미리 설정된 설정 횟수로 수행하도록 안내하는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운동 안내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턱관절 운동을 매회 수행시마다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턱관절 운동을 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운동 촬영단계와; 상기 동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입술과 혀를 포함한 구강 이미지를 단위시간당 이미지들로 나누어 추출하는 이미지 추출단계와;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을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각각 입력하여,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부터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과 미리 저장된 기준 이미지의 유사도를 도출하여, 상기 유사도에 따라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마다 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운동 정확도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운동 정확도가 있다고 판단한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이면,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상기 동영상에 대한 상기 턱관절 운동을 유효 운동 횟수로 카운트하는 카운트 단계와; 상기 설정 횟수,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 횟수 및 상기 유효 운동 횟수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는, 상기 혀의 윤곽선(contour)을 포함하고,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상기 혀의 윤곽선과 기저장된 기준 윤곽선의 유사도를 산출한다.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학습 데이터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상기 턱관절 운동을 정확하게 수행시 상기 사용자들의 얼굴 형상, 입술 형상, 입 모양에 따른 혀의 윤곽선을 포함한다.
상기 운동 안내단계에서는, 상기 턱관절 운동은 1회당 설정 시간동안 유지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운동 촬영단계에서는, 상기 턱관절 운동을 유지하는 유지 시간을 표시한다.
상기 운동 촬영단계에서는, 상기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 상기 동영상을 촬영하는 화면, 상기 설정 횟수 및 상기 운동 횟수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한다.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운동 정확도가 있다고 판단한 개수가 상기 기준 개수 미만이면, 추가 운동 횟수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개인 정보, 위치 정보, 사용자의 턱관절 질환에 대한 진단 정보 및 처방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단계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가 입을 벌리도록 안내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개구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개구 이미지로부터 개구 길이와 윗니와 아랫니 사이의 정렬 상태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턱관절 질환을 진단하는 진단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개인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 거리 범위내에 있는 의료기관을 도출하여 안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의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신호를 입력받으면, 입을 벌리고 혀로 입천장을 밀어내는 동작을 통해 턱관절을 스트레칭하는 턱관절 운동을 미리 설정된 설정 횟수로 수행하도록 안내하는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운동 안내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턱관절 운동을 매회 수행시마다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셀프 카메라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턱관절 운동을 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운동 촬영단계와; 상기 동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혀의 윤곽선을 포함한 구강 이미지를 단위시간당 이미지들로 나누어 추출하는 이미지 추출단계와;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을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각각 입력하여,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부터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에 포함된 혀의 윤곽선과 미리 저장된 기준 윤곽선의 유사도를 도출하여, 상기 유사도에 따라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마다 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운동 정확도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운동 정확도가 있다고 판단한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이면,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상기 동영상에 대한 상기 턱관절 운동을 유효 운동 횟수로 카운트하는 카운트 단계와; 상기 설정 횟수,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 횟수 및 상기 유효 운동 횟수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 촬영단계에서는, 상기 턱관절 운동을 유지하는 유지 시간, 상기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 상기 동영상을 촬영하는 화면, 상기 설정 횟수 및 상기 운동 횟수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고, 상기 출력단계에서는, 상기 유효 운동 횟수가 상기 설정 횟수 미만이면, 사용자에게 상기 턱관절 운동을 추가로 수행하도록 안내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의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미리 저장된 자가진단 설문 항목을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가진단 설문 항목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고, 사용자에게 입을 벌리도록 안내하고 상기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가 입을 벌린 모양을 촬영하여, 상기 응답과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턱관절 질환 상태를 진단하는 진단단계와; 상기 진단단계에서 진단한 결과를 진단 정보로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의료기관에 전송하는 진단정보 전송단계와;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진단 정보에 따른 적합한 턱관절 운동을 입력받고, 상기 턱관절 운동을 미리 설정된 설정 횟수로 수행하도록 안내하는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운동 안내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턱관절 운동을 매회 수행시마다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모션 인식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턱관절 운동을 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운동 촬영단계와; 상기 동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단위시간당 이미지들로 나누어 추출하는 이미지 추출단계와;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을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각각 입력하여,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부터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과 미리 저장된 기준 이미지의 유사도를 도출하여, 상기 유사도에 따라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마다 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운동 정확도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운동 정확도가 있다고 판단한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이면,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상기 동영상에 대한 상기 턱관절 운동을 유효 운동 횟수로 카운트하는 카운트 단계와; 상기 설정 횟수,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 횟수 및 상기 유효 운동 횟수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에게 턱관절 운동을 안내하고, 사용자가 상기 턱관절 운동을 수행시마다 안면 동작을 동영상으로 촬영한 후, 미리 구축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의 턱관절 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운동 정확도를 판단하여 도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스스로 올바르게 턱관절 운동을 수행하도록 하여 턱관절 질환의 개선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미지 추출단계, 판단단계 및 카운트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항목들을 나타낸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에서 턱관절 운동 항목들을 나타낸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에서 턱관절 운동을 안내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에서 턱관절 운동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 대기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에서 턱관절 운동을 촬영하는 촬영 화면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 앱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받아 설치된 응용 소프트웨어를 통칭하며, 앱(App)이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 이하 '어플리케이션'이라 칭함)에 의해 실행된다. 이하, 각 단계의 주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설정된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방법은, 입력단계(S1), 운동 안내단계(S2), 운동 촬영단계(S3), 이미지 추출단계(S4), 운동 정확도 판단단계(S5), 카운트 단계(S6) 및 출력단계(S7)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단계(S1)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신호를 입력받고, 사용자가 로그인시 입력한 아이디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입력받는 단계이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위치 정보, 사용자의 턱관절 질환에 대한 진단 정보 및 처방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인 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인 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상기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에 가입시 입력한 정보이며, 가입 후 사용자에 의해 수정 가능한 정보이다. 상기 진단 정보 및 처방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이거나, 상기 턱관절 질환 서비스에 가입한 의료기관들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이다. 즉, 상기 의료기관들의 의료진들은 자신이 담당하는 환자에 대한 진단 정보나 처방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해당 환자의 아이디에 매칭시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아이디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개인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 거리 범위내에 있는 상기 턱관절 운동을 진단할 수 있는 의료기관을 도출하여,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의료기관에 대한 데이터는 미리 수집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항목들을 나타낸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서비스 항목들을 포함하는 초기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서비스 항목들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상기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에 관련된 항목들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서비스 항목들은 병원진료예약, 처방전, 복약지도, 턱관절 운동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에서 턱관절 운동 항목들을 나타낸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턱관절 운동을 선택 입력받으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다양한 턱관절 운동 항목들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턱관절 운동 항목들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상기 턱관절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는 운동들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턱관절 운동 항목들은, 666운동, 턱관절 회전운동, 목펴기 운동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턱관절 운동 항목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선택된 운동을 안내하는 상기 운동 안내단계(S2)를 수행한다.
이하, 본 실시예서는 상기 턱관절 운동 항목들 중 666운동을 선택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로부터 로그인 신호를 입력받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운동 안내단계(S2)가 바로 수행되어 미리 설정된 운동을 안내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운동 안내단계(S2)에서는,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을 벌리고 혀로 입천장을 밀어내는 동작을 통해 턱관절을 스트레칭하는 턱관절 운동을 수행하도록 안내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운동 안내단계(S2)에서는 상기 턱관절 운동을 미리 설정된 설정 횟수로 수행하되, 1회당 설정 시간동안 유지하도록 안내한다. 또한, 상기 운동 안내단계(S2)에서는 상기 턱관절 운동을 하루에 여러번 반복해서 수행하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턱관절 운동은, 한번에 6회씩 수행하되, 1회당 6초씩 유지하고, 하루에 6번 하는 666운동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상기 설정 횟수는 6회이고, 설정 시간은 6초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에서 턱관절 운동을 안내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턱관절 운동을 하기 위한 방법을 문자, 그림 또는 사진으로 표시한다.
상기 운동 촬영단계(S3)는, 사용자가 상기 턱관절 운동을 매회 수행시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턱관절 운동을 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단계이다. 이 때, 상기 카메라의 모션 인식 기능과 셀프 카메라 기능을 이용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먼저 촬영을 예고하는 촬영 대기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촬영 대기 화면에서는 상기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과, 사용자의 동작을 안내하는 메시지 등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촬영을 시작하면 촬영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설정 횟수에 대한 사용자의 운동 횟수, 상기 턱관절 운동을 유지하는 유지 시간을 표시한다. 상기 유지 시간은 타이머 방식으로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에서 턱관절 운동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 대기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동영상을 쵤영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과, 촬영을 위한 사용자의 동작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에서 턱관절 운동을 촬영하는 촬영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설정 횟수 대비 사용자의 운동 횟수, 상기 유지 시간을 표시한다. 상기 설정 시간은 6초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므로, 상기 유지 시간은 6초에서 1초씩 줄어드는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설정 횟수는 6회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므로, 상기 운동 횟수는 6회 중 몇회째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추출단계(S4)는, 상기 운동 촬영단계(S3)에서 촬영한 동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입술과 혀를 포함한 구강 이미지를 단위시간당 이미지들로 나누어 추출하는 단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영상은 6초간 촬영된 것이고,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은 초당 이미지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는, 사용자가 입을 벌린 상태에서 혀, 입술 내곽, 입술 외곽, 설소대 중 적어도 일부의 윤곽선을 포함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는 사용자의 혀의 윤곽선만을 추출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혀의 윤곽선은 상기 턱관절 운동의 정확도를 판단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혀의 윤곽선을 추출한 예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혀의 윤곽선의 추출시 특징점(landmark point)를 소정의 개수만큼 추출한 후, 특징점들을 연결한다. 상기 혀의 윤곽선을 추출하는 방법은 폴리곤(polygon) 방식과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1개의 동영상으로부터 6개의 단위시간당 이미지들을 추출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턱관절 운동의 유지시간은 회당 6초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므로,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은 6개가 추출된다.
상기 운동 정확도 판단단계(S5)는,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턱관절 운동에 대한 운동 정확도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이다. 상기 운동 정확도 판단단계(S5)에서는,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을 입력하면,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부터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과 미리 저장된 기준 이미지의 유사도가 도출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이미지는 상기 턱관절 운동을 정확하게 수행시 촬영된 이미지이다. 상기 유사도에 따라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마다 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운동 정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 중에서 혀의 윤곽선과 기저장된 기준 윤곽선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기준 윤곽선은, 정확한 턱관절 운동을 수행시의 혀의 윤곽선이다.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미리 수집된 다수의 학습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딥러닝된다. 상기 학습 데이터들은, 다수의 사용자들이 상기 턱관절 운동을 정확하게 수행시 사용자들의 얼굴 형상, 입술 형상, 입 모양에 따른 혀의 윤곽선을 포함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학습 데이터들은 운동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는 파라미터라면 어느 것이나 추가 적용 가능하다.
상기 운동 정확도 판단단계(S5)에서는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마다 각각 운동 정확도를 판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유사도가 기준값 이상일 경우 운동 정확도가 있다고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굿(good)으로 도출하고, 상기 유사도가 기준값 미만일 경우 운동 정확도가 없다고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배드(bad)로 도출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상기 턱관절 운동의 1회시, 1개의 동영상이 촬영되고, 1개의 동영상에 대해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가 총 6개이므로,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의 개수에 대응되게 6개의 판단 결과가 도출한다.
상기 카운트 단계(S6)는, 상기 운동 정확도 판단단계(S5)에서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턱관절 운동을 유효 운동 횟수로 카운트하는 단계이다. 상기 카운트 단계(S6)에서는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운동 정확도가 있다고 판단한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이면,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상기 동영상에 대한 상기 턱관절 운동을 상기 유효 운동 횟수로 카운트한다.
예를 들어, 6개의 단위시간당 이미지들에 대한 판단 결과 중에서 굿(good)이 나온 개수가 상기 기준 개수 이상이면, 최종 결과를 굿(good)으로 도출하고,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를 추출한 상기 턱관절 운동이 유효하다고 판단하여 유효 운동 횟수로 카운트한다. 즉, 상기 턱관절 운동을 1회로 카운트하여, 상기 운동 횟수에 누적 합산한다. 반면, 6개의 단위시간당 이미지들에 대한 판단 결과 중에서 굿(good)이 나온 개수가 상기 기준 개수 미만이면, 최종 결과를 배드(bad)로 도출하고,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를 추출한 상기 턱관절 운동이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상기 유효 운동 횟수로 카운트하지 않는다. 즉, 상기 턱관절 운동을 0회로 카운트한다. 사용자의 턱관절 운동의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턱관절 운동을 한 횟수를 유효 운동 횟수로 카운트하지 않는다.
상기 출력단계(S7)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설정 횟수,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 횟수 및 상기 유효 운동 횟수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 횟수는 6회이고, 상기 운동 횟수는 사용자가 실제로 운동한 횟수이며, 상기 유효 운동 횟수는 상기 카운트 단계(S6)에서 운동 정확도가 있다고 판단된 유효한 운동 횟수이다. 상기 출력단계(S7)에서는, 상기 설정 횟수, 상기 운동 횟수 및 상기 유효 운동 횟수를 문자, 숫자 및 그래프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 운동 횟수가 상기 설정 횟수 미만이면, 사용자에게 상기 턱관절 운동을 추가하도록 안내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상기 설정 횟수와 상기 유효 운동 횟수의 차이를 계산한 추가 운동 횟수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 운동 횟수만큼 상기 턱관절 운동을 추가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턱관절 상태를 자가진단하도록 하는 진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단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턱관절 상태를 자가진단하는 자가진단 서비스 항목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자가진단 서비스 항목을 상기 초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진단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자가진단 서비스 항목을 선택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저장된 자가진단 설문 항목을 통해 진단하는 방법과, 사용자가 입을 벌린 모양을 촬영하여 진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두 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만 수행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자가진단 설문 항목을 통해 진단하는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자가진단 설문 항목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가진단 설문 항목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은 후, 상기 응답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턱관절 질환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이다.
상기 촬영하여 진단하는 방법은, 사용자에게 입을 벌리도록 안내하고, 상기 카메라의 셀프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을 벌린 모양을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개구 길이를 측정하고, 개구시 윗니와 아랫니 사이의 정렬 상태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턱관절 질환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이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와 같이 자가진단한 결과를 진단 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진단단계는 상기 운동 안내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턱관절 운동의 종료 후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진단단계로부터 도출된 진단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를 통해 미리 설정된 의료기관에 전송하는 진단정보 전송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단 정보가 상기 의료기관에 전송되면, 상기 의료기관에 속한 의료진은 사용자의 턱관절 질환 상태에 맞는 턱관절 운동을 추천하거나 치료제를 처방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추천된 턱관절 운동을 입력받고, 상기 운동 안내단계(S2)에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턱관절 운동을 실시한 이후 운동 결과를 상기 의료기관에 다시 전송함으로써, 실시간으로 피드백 받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사용자의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신호를 입력받으면, 입을 벌리고 혀로 입천장을 밀어내는 동작을 통해 턱관절을 스트레칭하는 턱관절 운동을 미리 설정된 설정 횟수로 수행하도록 안내하는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운동 안내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턱관절 운동을 매회 수행시마다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턱관절 운동을 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운동 촬영단계와;
    상기 동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입술과 혀를 포함한 구강 이미지를 단위시간당 이미지들로 나누어 추출하는 이미지 추출단계와;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을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각각 입력하여,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부터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과 미리 저장된 기준 이미지의 유사도를 도출하여, 상기 유사도에 따라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마다 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운동 정확도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운동 정확도가 있다고 판단한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이면,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상기 동영상에 대한 상기 턱관절 운동을 유효 운동 횟수로 카운트하는 카운트 단계와;
    상기 설정 횟수,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 횟수 및 상기 유효 운동 횟수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는, 상기 혀의 윤곽선(contour)을 포함하고,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상기 혀의 윤곽선과 기저장된 기준 윤곽선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학습 데이터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상기 턱관절 운동을 정확하게 수행시 상기 사용자들의 얼굴 형상, 입술 형상, 입 모양에 따른 혀의 윤곽선을 포함하는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동 안내단계에서는, 상기 턱관절 운동은 1회당 설정 시간동안 유지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운동 촬영단계에서는, 상기 턱관절 운동을 유지하는 유지 시간을 표시하는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동 촬영단계에서는,
    상기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 상기 동영상을 촬영하는 화면, 상기 설정 횟수 및 상기 운동 횟수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운동 정확도가 있다고 판단한 개수가 상기 기준 개수 미만이면,
    추가 운동 횟수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의 개인 정보, 위치 정보, 사용자의 턱관절 질환에 대한 진단 정보 및 처방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을 벌리도록 안내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개구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개구 이미지로부터 개구 길이와 윗니와 아랫니 사이의 정렬 상태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턱관절 질환을 진단하는 진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 거리 범위내에 있는 의료기관을 도출하여 안내하는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 방법.
  10. 사용자의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신호를 입력받으면, 입을 벌리고 혀로 입천장을 밀어내는 동작을 통해 턱관절을 스트레칭하는 턱관절 운동을 미리 설정된 설정 횟수로 수행하도록 안내하는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운동 안내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턱관절 운동을 매회 수행시마다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의 셀프 카메라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턱관절 운동을 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운동 촬영단계와;
    상기 동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혀의 윤곽선을 포함한 구강 이미지를 단위시간당 이미지들로 나누어 추출하는 이미지 추출단계와;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을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각각 입력하여,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부터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에 포함된 혀의 윤곽선과 미리 저장된 기준 윤곽선의 유사도를 도출하여, 상기 유사도에 따라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마다 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운동 정확도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운동 정확도가 있다고 판단한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이면,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상기 동영상에 대한 상기 턱관절 운동을 유효 운동 횟수로 카운트하는 카운트 단계와;
    상기 설정 횟수,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 횟수 및 상기 유효 운동 횟수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 촬영단계에서는,
    상기 턱관절 운동을 유지하는 유지 시간, 상기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 상기 동영상을 촬영하는 화면, 상기 설정 횟수 및 상기 운동 횟수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고,
    상기 출력단계에서는, 상기 유효 운동 횟수가 상기 설정 횟수 미만이면, 사용자에게 상기 턱관절 운동을 추가로 수행하도록 안내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 방법.
  11. 사용자의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미리 저장된 자가진단 설문 항목을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가진단 설문 항목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고, 사용자에게 입을 벌리도록 안내하고 상기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가 입을 벌린 모양을 촬영하여, 상기 응답과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턱관절 질환 상태를 진단하는 진단단계와;
    상기 진단단계에서 진단한 결과를 진단 정보로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의료기관에 전송하는 진단정보 전송단계와;
    상기 의료기관으로부터 상기 진단 정보에 따른 적합한 턱관절 운동을 입력받고, 상기 턱관절 운동을 미리 설정된 설정 횟수로 수행하도록 안내하는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운동 안내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턱관절 운동을 매회 수행시마다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턱관절 운동을 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운동 촬영단계와;
    상기 동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단위시간당 이미지들로 나누어 추출하는 이미지 추출단계와;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을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각각 입력하여, 상기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부터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과 미리 저장된 기준 이미지의 유사도를 도출하여, 상기 유사도에 따라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마다 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운동 정확도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운동 정확도가 있다고 판단한 개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개수 이상이면, 상기 단위시간당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상기 동영상에 대한 상기 턱관절 운동을 유효 운동 횟수로 카운트하는 카운트 단계와;
    상기 설정 횟수,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 횟수 및 상기 유효 운동 횟수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20010498A 2022-01-25 2022-01-25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방법 KR102388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498A KR102388337B1 (ko) 2022-01-25 2022-01-25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498A KR102388337B1 (ko) 2022-01-25 2022-01-25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337B1 true KR102388337B1 (ko) 2022-04-20

Family

ID=81395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498A KR102388337B1 (ko) 2022-01-25 2022-01-25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3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889B1 (ko) * 2022-12-22 2023-10-30 주식회사 비욘드메디슨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240042866A (ko) 2022-09-26 2024-04-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반의 척추측만증 정보 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89054A (ja) * 2016-11-30 2018-06-14 益弘 古川 顎関節症等歯科疾患治療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89430A (ko) 2019-01-17 2020-07-27 김효정 턱관절 치료용 장치
WO2021090921A1 (ja) * 2019-11-08 2021-05-14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被験者の顎運動を測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89054A (ja) * 2016-11-30 2018-06-14 益弘 古川 顎関節症等歯科疾患治療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89430A (ko) 2019-01-17 2020-07-27 김효정 턱관절 치료용 장치
WO2021090921A1 (ja) * 2019-11-08 2021-05-14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被験者の顎運動を測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2866A (ko) 2022-09-26 2024-04-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반의 척추측만증 정보 제공 방법
KR102595889B1 (ko) * 2022-12-22 2023-10-30 주식회사 비욘드메디슨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16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ealth status
KR102388337B1 (ko)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93522B1 (ko) 환자에 의해 관리되는 물리 재활치료를 증강시키기 위한 비침습적 모션 추적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0772497B1 (ko) 골프 클리닉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EP3107484B1 (en) Augmented reality dental design method and system
EP2560141B1 (en) Interactive virtual care
US1056871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mploy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automated orthodontic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CN101784230A (zh) 用于显示匿名注解的身体锻炼数据的系统和方法
US20150305662A1 (en) Remote assessment of emotional status
US1072216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action measurement
KR102311398B1 (ko) 모바일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US20180132780A1 (en) Systems and methods of monitoring and encouraging exercise in infants
JP2023553957A (ja) 身体画像に基づいて睡眠分析を決定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610822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monitoring and encouraging exercise in infants
KR20140082449A (ko) 네츄럴 인터렉션 기반의 건강 및 재활 장치
JP2020035122A (ja) 顔運動量測定装置
JP7381139B1 (ja) 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方法
KR102392912B1 (ko) 부스기반 자가 구강검진장치
JP2019195349A (ja) うつ状態検知方法、及びうつ状態検知装置
US20220157427A1 (en) Remote physical therapy and assessment of patients
KR102392916B1 (ko) 검진 부스를 이용한 구강검진장치
KR102421739B1 (ko) 카메라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구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20220319676A1 (en) Predicting user body volume to manage medical treatment and medication
KR20240057778A (ko) 치아의 형태학적 구조 및 위치에 따른 치아우식 위험도 진단 시스템
CN117396976A (zh) 患者定位自适应引导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