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889B1 -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889B1
KR102595889B1 KR1020220181307A KR20220181307A KR102595889B1 KR 102595889 B1 KR102595889 B1 KR 102595889B1 KR 1020220181307 A KR1020220181307 A KR 1020220181307A KR 20220181307 A KR20220181307 A KR 20220181307A KR 102595889 B1 KR102595889 B1 KR 102595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user
data
informat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1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욘드메디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욘드메디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욘드메디슨
Priority to KR1020220181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8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술한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사용자의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사용자의 가슴 영역의 상부 영역인 목표 영역에 대한 관절 및 근육 중 어느 하나의 스트레칭을 유도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운동 컨텐츠를 유저 단말에서 실행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운동 컨텐츠 제공 단계; 상기 운동 컨텐츠 제공 단계를 통해 제공된 운동 컨텐츠에 반응하여 수행되는 유저의 모션을 유저 단말의 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된 상기 목표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지하고, 인지된 모션 데이터로부터 유저가 운동한 신체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운동한 정량 수치를 나타내는 수치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 데이터를 추출하는 운동 데이터 추출 단계; 및 상기 운동 데이터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운동 데이터와 유저 계정에 저장된 정보로서 유저의 건강 상태 정보 및 신체 스펙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저의 신체 개선에 대한 정량 데이터인 결과 데이터를 산출하는 결과 데이터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외에도 본 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PROVIDING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PROVIDING MOTION CONTENT BASED ON MOTION RECOGNITION FOR THE MOVEMENT OF THE BUST AREA}
본 발명은 사용자의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가슴 영역의 상부 영역에 대한 관절 및 근육 중 어느 하나의 스트레칭을 유도하는 운동 컨텐츠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고 이에 반응하여 수행되는 유저의 모션으로부터 운동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얼굴, 목, 어깨 부위의 스트레칭 및 해당 부위와 관련된 증상턱관절 질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부족한 의료인력을 대체할 목적으로 비대면 의료가 주목받으면서 동시에 비대면 의료를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단순히 진료나 서비스를 예약하거나 비대면 진료를 진행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디지털 처방전을 발행하고 환자의 건강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분석하는 데에 이르고 있다. 그 중에서도 디지털 치료제는 디지털 DRM 기술을 이용한 일종의 처방전으로, 스트레칭 방법이나 물리 치료 방법 등을 제공한 뒤, 사용자가 스스로 수행하게 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런데 지금까지는 단순히 운동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에서 그치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떤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 알기가 어려운 실정이라 사용자 스스로 운동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 것인지 파악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한국특허출원 10-2022-0148747호와 같이 호흡기 질환자의 재활을 위한 디지털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보행 정보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개인별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술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임의로 설정된 목표치만 존재하여 사용자가 절대적으로 어느 정도의 수준에 위치해 있는지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즉, 기존의 기술들은 사용자의 상태에 대한 결과치를 출력하거나 이를 통해 의료진이 활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임의로 설정된 목표치가 아니라 사용자가 얼마나 잘 하고 있는가를 나타낼 수 있는 결과값을 제공하거나, 환자가 얼마나 주어진 치료를 잘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해 의료진이 판단하여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결과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술이 필요한데 이와 같은 기술이 부족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지털 치료제의 플랫폼을 이용하여 운동을 수행하게 하여 사용자가 스스로의 신체 상태를 스스로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운동 결과에 대한 데이터가 의료진에게 제공되어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추후 상세한 진단을 내리는 데에 도움을 주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술한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사용자의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방법은, 적어도 사용자의 가슴 영역의 상부 영역인 목표 영역에 대한 관절 및 근육 중 어느 하나의 스트레칭을 유도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운동 컨텐츠를 유저 단말에서 실행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운동 컨텐츠 제공 단계; 상기 운동 컨텐츠 제공 단계를 통해 제공된 운동 컨텐츠에 반응하여 수행되는 유저의 모션을 유저 단말의 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된 상기 목표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지하고, 인지된 모션 데이터로부터 유저가 운동한 신체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운동한 정량 수치를 나타내는 수치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 데이터를 추출하는 운동 데이터 추출 단계; 및 상기 운동 데이터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운동 데이터와 유저 계정에 저장된 정보로서 유저의 건강 상태 정보 및 신체 스펙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저의 신체 개선에 대한 정량 데이터인 결과 데이터를 산출하는 결과 데이터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운동 컨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운동 데이터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운동 데이터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하되,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영상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영역 중, 상기 운동 데이터에 포함된 신체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신체 영역에 상기 운동 데이터가 매핑되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운동 데이터에 포함된 수치 정보가 매핑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출력되는 수치 정보는, 운동 횟수, 운동 시간, 신체의 이동 각도 및 길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운동 컨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운동 컨텐츠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가이드 정보는, 유저가 운동할 신체 영역에 대한 정보 및 수치 정보에 대한 목표 수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운동 컨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운동 데이터 추출 단계에 의하여 추출된 운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동 데이터에 포함된 수치 정보가 상기 목표 수치를 달성 시, 목표 수치에 달성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과 데이터 산출 단계는, 상기 운동 데이터에 포함된 신체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와 운동 컨텐츠에 매칭되어 저장된 정보로서, 운동 컨텐츠의 신체 영역별 개선 효과에 대한 수치 정보인 효과 수치 데이터를 로드하는 효과 로드 단계; 상기 운동 데이터의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운동 컨텐츠의 기준 효과 수치 데이터를 보정하는 효과 보정 단계; 및 상기 효과 보정 단계에 의하여 보정된 효과 수치를 상기 유저 상태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결과 데이터를 산출하는 결과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과 데이터 산출 단계 후, 상기 결과 데이터 산출 단계를 통해 산출된 결과 데이터를 유저 인터페이스에 시각화하는 결과 시각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과 시각화 단계는, 운동 컨텐츠의 이용 전 상기 유저 상태 데이터 대비 상기 결과 데이터가 반영된 상기 유저 상태 데이터의 개선 비율에 대한 정보를 시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장치는 적어도 사용자의 가슴 영역의 상부 영역인 목표 영역에 대한 관절 및 근육 중 어느 하나의 스트레칭을 유도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운동 컨텐츠를 유저 단말에서 실행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운동 컨텐츠 제공부; 상기 운동 컨텐츠 제공부를 통해 제공된 운동 컨텐츠에 반응하여 수행되는 유저의 모션을 유저 단말의 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된 상기 목표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지하고, 인지된 모션 데이터로부터 유저가 운동한 신체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운동한 정량 수치를 나타내는 수치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 데이터를 추출하는 운동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운동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된 운동 데이터와 유저 계정에 저장된 정보로서 유저의 건강 상태 정보 및 신체 스펙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저의 신체 개선에 대한 정량 데이터인 결과 데이터를 산출하는 결과 데이터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운동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공된 운동 컨텐츠를 가이드 정보에 맞추어 수행함으로써 주어진 운동 컨텐츠를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고 나아가 얼굴, 목, 어깨 부위와 관련된 증상과턱관절 장애와 관련된 질환을 관리 및 치료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서 사용자 유저 단말의 촬영 수단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되고 알림 정보가 표시될 수 있어 사용자가 주어진 운동 컨텐츠를 올바른 방법으로 실천하는 것에 대해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영상 데이터를 통해 산출된 수치 등을 포함하는 결과 데이터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출력됨으로써 사용자들은 주어진 운동 컨텐츠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완료했는지 스스로 판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결과 데이터가 의료진에게 제공되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게 함으로써 추후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운동 컨텐츠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가이드 정보가 유저 인터페이스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가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알림 정보 등이 유저 인터페이스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상태 데이터의 개선 비율에 대한 정보를 시각화하는 화면의 예.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운동 컨텐츠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가이드 정보가 유저 인터페이스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가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알림 정보 등이 유저 인터페이스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 상태 데이터의 개선 비율에 대한 정보를 시각화하는 화면의 예, 도 8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 도 9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및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을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함께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
상기의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방법(이하 '본 발명의 방법'이라 한다.)은, 먼저 후술하는 도 9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될 컴퓨팅 장치 또는 도 8번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장치(10, 이하 '본 발명의 장치'라 한다.)의 각 구성요소에 의하여 실시될 수 있다. 즉 도 9의 컴퓨팅 장치는 도 8의 본 발명의 장치(10)와의 관계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에 본 발명의 장치(10)가 포함되거나, 양 구성이 동일하거나, 다수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그룹웨어가 본 발명의 장치(10)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기반 내용을 바탕으로 설명하면,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의 수행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는 적어도 사용자의 가슴 영역의 상부 영역인 목표 영역에 대한 관절 및 근육 중 어느 하나의 스트레칭을 유도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운동 컨텐츠를 유저 단말에서 실행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운동 컨텐츠 제공 단계(S10)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가슴 영역의 상부 영역인 목표 영역은 운동 컨텐츠에서 운동하고자 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얼굴 영역, 목 영역, 어깨 영역, 턱관절 영역, 구강 영역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영상 매체만 제공되거나, 영상과 소리가결합한 형태, 혹은 이미지와 문자가 결합한 형태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술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운동 컨텐츠는 예를 들어, 혀를 이용한 입천장 운동, 목 관절 스트레칭을 유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들어간 영상 매체 등의 형태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운동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지털 치료제,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일반 운동이나 스트레칭 컨텐츠 제공 수단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하고 있는 운동 컨텐츠는 흉상 영역, 즉 본질적으로는 얼굴, 목, 어깨 부위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턱관절 영역의 장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운동이나 스트레칭을 포함할 수 있다.
얼굴과 관련된 가장 잘 알려진 질환은 구안와사라고 불리는 안면신경마비로, 입과 눈 주변 근육이 마비되어 한쪽으로 비뚤어지는 질환을 말한다. 이러한 질환에 좋은 스트레칭 및 운동법으로는 부위별 마사지, 입 모양 연습하기, 표정 동작 연습하기, 볼에 바람 넣어 옮기기 등이 있을 수 있다.
목이나 어깨와 관련된 질환으로는 거북목, 일자목 증후군이 있는데 이는 추후 목 디스크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질환이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손으로 목을 저항하여 목을 뒤로 젖히는 동작이나 양 손으로 머리를 지긋이 눌러주는 동작 등이 도움이 될 수 있다.
턱관절은 아래턱뼈인 하악골과 머리뼈인 측두골 사이에 위치하여 두 뼈를 연결하는 관절인데 이는 모든 턱 운동의 중심축으로 작용하며 턱 근육과 인대에 의해 지지되고 이때 턱관절 사이에 있는 디스크는 뼈와 뼈 사이의 쿠션 역할을 한다.
즉, 턱관절 장애란 이러한 근육, 인대, 디스크 및 턱뼈가 어우러져 턱에 관련한 복합적인 활동을 담당하는데, 여러 요인에 의해서 이러한 턱관절 기능에 이상이 생긴 것을 말한다.
턱관절 장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운동 동작의 종류에는 혀를 입천장에 대고 입을 크게 벌리는 운동, 양 손을 깍지 끼고 목 뒤를 감싼 뒤 천천히 고개를 아래위로 스트레칭 하는 동작 등이 있다.
한편, 디지털 치료제는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여 의학적 장애나 질병을 예방, 관리, 치료하기 위해 환자에게 근거 기반 치료제 개입을 제공하는 고도화된 소프트웨어 의료기기로서, 최근 건강 관리 목적인 기존 디지털 헬스 제품들과 달리 질병이나 장애의 치료 효과가 임상시험을 통해 입증된 의료기기로 최근 헬스케어 분야에서 유망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디지털 기술 발달,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해 디지털 치료제 시장의 점진적 성장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디지털 치료제 분야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는 단순 건강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일반적인 디지털 헬스 제품들과 달리 디지털 치료제는 임상시험을 통한 '치료 효과(Therapeutical benefit)'를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S10 단계의 수행에 있어서 운동 컨텐츠는 유저 단말에서 실행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는데, 이때 유저 단말은 PC, 노트북, 휴대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는 유저 단말에서 다수의 메뉴로 이루어져 출력되거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로서 출력되거나 웹의 접속 결과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신체 영역에 운동 데이터가 매핑되어 출력될 수 있다는 것은 예를 들어, 목 영역에는 목에 대한 운동 데이터나 수치 정보가 출력되고, 턱 영역에는 턱에 대한 운동 데이터나 수치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출력 정보는 선, 숫자, 각도 등을 포함하는 정보로서 형태의 제한없이 출력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예와 같이 각 신체 영역 중 스트레칭 대상이 되는 영역에 상기의 운동 데이터가 매핑되어 그 영역에 운동 데이터가 출 력되도록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턱관절 스트레칭을 위한 개구 운동의 경우 양 입술의 이격 거리를 출력하도록 하거나, 입술 영역의 경계선을 따라서 지시선이 출력되거나, 목 관절 회전 운동의 경우 목 관절이 회전되는 각도 등을 실시간 운동에 따라서 반영하여 실시간으로 변경되면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S10 단계의 수행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정보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행해야 하는 멀티미디어 정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에게 입을 벌리는 장면의 예시가 동영상과 음성이 결합된 형태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동작에 대해 설명해주는 문장(W0)이 출력될 수 있고, 동작에 대한 목표 수치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0에는 "혀를 앞니 뒤에 붙이고 5cm만큼 입을 벌리는 동작을 6초간 3세트 수행하세요."와 같은 문장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10 단계의 수행에 있어서 유저 단말의 촬영 수단을 통해 유저 인터페이스에 출력되는 단계는 도 6의 인터페이스 구성 화면(2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운동할 신체 영역에 대한 정보, 사용자에게 목표 수치 등을 표시하는 정보인 목표 시간 수치값(T1), 운동 동작에 대해 안내하는 정보(W1), 동작 시 주의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1에는 "프레임 밖으로 나가는 경우 카운트가 중단됩니다.", "입을 5cm만큼 벌리세요.", "동작을 10초간 유지하세요.", "이 스트레칭을 5회 반복해주세요."와 같은 문장이 단계별로 변경되어 출력될 수 있어 사용자는 동작의 순서대로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T1에는 예를 들어 "6.0"이라는 숫자가 출력되어서 사용자에게 6초 간의 시간이 남았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S10 단계에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200)에서 출력되는 수치 정보(110)는 운동 횟수, 시간, 신체의 이동 각도 및 길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운동 컨텐츠의 가이드 정보(100)에 맞추어 사용자가 운동을 실시함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혀를 입천장에 댄 후 입을 벌리는 구강 스트레칭 운동을 5초 동안 3회를 수행할 시 유저 인터페이스(200)에는 사용자가 입을 몇 cm만큼 벌렸는지 나타내는 길이 정보와, 운동 시간이 5초, 운동 횟수가 3회라는 정보가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고개를 기울이는 스트레칭 운동을 10초 동안 2회를 수행할 시 유저 인터페이스(200)에는 사용자가 고개를 몇 도 기울였는지 나타내는 각도 정보와, 운동 시간이 10초, 운동 횟수가 2회라는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구성 화면(210)에서 주어진 가이드 정보대로 올바른 동작을 수행할 시에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T1의 시간이 줄어드는 것을 출력함으로써 알릴 수 있으며, 또한 인터페이스 알림 화면(220)과 같이 목표 수치를 달성했음을 알려주는 알림 정보(T2)를 기호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1의 목표 수치가 6초일 경우에 사용자가 동작을 올바르게 수행하면 6초가 0초로 줄어들 수 있다.
또한, W2에는 "목표 각도만큼 잘 움직이고 있습니다."이나 "2세트 남았습니다. 이어서 스트레칭을 수행해주세요"와 같은 문장이 동일한 세트 내에서 알림 정보로서 출력될 수 있으며, "동작을 완료하였습니다. 다음 스트레칭을 진행합니다"와 같은 문장이 한 세트를 완료하였을 때 알림 정보로서 출력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구성 화면(210)에서 주어진 가이드 정보대로 동작을 올바르게 수행하지 못할 시에는 도 6의 인터페이스 재시도 알림 화면(230)과 같이 T3이 초기 설정된 시간 수치로 재설정 될 수 있고 W3에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해 주세요."와 같은 문장이 알림 정보로서 출력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재시도 알림 화면(230)의 화면 색상이 빨간색으로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알림 정보는 이 모든 개념들을 포함한다.
한편, 모션 인지 기술이란 특정한 물체의 움직임이나 위치를 각종 센서를 이용해 제어하는 기술로, 이때 센서는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인식하고 여러 장치와 상호작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모션 인지 기술은 물체의 동작 감시와 같은 단순한 반응에서부터 사람의 섬세한 표정까지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술한 기술과 같은 모션 인지 기술은 일반 카메라를 이용한 모션 인지로서, 사진에서 얼굴을 찾아내는 얼굴 인식 기술처럼 이미 알고 있는 물체의 윤곽이나 패턴 정보에 반하여 영상을 분리해내고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에 탑재되어 있는 기본 카메라를 통해 처리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하드웨어 없이 소프트웨어로만 동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의 단가 측면에서 유리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S10 단계의 수행 후 또는 S10 단계의 수행 중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는, 예를 들어 유저 단말의 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된 유저의 모션을 목표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해 인지한다. 이후 인지된 모션 데이터로부터 유저가 운동한 신체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운동한 정량 수치를 나타내는 운동 데이터를 추출하는 운동 데이터 추출 단계(S20)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유저의 모션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것으로서, 상기 목표 영역에 대한 촬영 영상 데이터를 이용해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목 근육과 관련된 운동을 수행하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목 근육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해 해당 운동 모션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획득되는 식별 정보는 가슴 영역의 상부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 중 하나로서, 운동한 신체 영역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또한, 정량 수치를 나타내는 수치 정보는 운동하면서 신체를 움직인 길이, 기울인 각도, 수행한 횟수 등을 포함하는 정보로서, 운동을 수행하는 동작과 관련된 값으로 이해될 것이다.
S20 단계의 수행에 있어서 운동 데이터를 추출하는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목 근육 영역에 대해서 운동을 5회 3세트 수행하였다고 가정하면, 상기 인지된 모션 데이터로부터 목 근육 영역이라는 식별 정보 및 해당 영역이 운동한 정량 수치가 5회 3세트라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S20 단계가 완료되면, 컴퓨팅 장치는, 운동 데이터 추출 단계에 의하여 도출된 유저의 운동 데이터와 유저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저의 신체 개선에 대한 정량 데이터를 산출하는 결과 데이터 산출 단계(S30)를 수행하게 된다.
유저 상태 데이터는 유저 계정에 저장된 정보로서, 유저의 건강 상태 정보 및 신체 스펙 정보를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건강한지 혹은 질환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 및 유저의 키나 몸무게, 혹은 성별이나 나이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S30 단계의 수행에 있어서 운동 컨텐츠는 유저의 신체 영역을 개선시키거나 질환에 대한 증상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 목적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운동 컨텐츠가 가진 주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 2와 같은 구체적인 프로세스가 S30 단계의 수행 시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는 S31 단계의 수행에 있어서, 운동 데이터를 추출한 이후 및 결과 데이터를 산출하는 동안의 시점에 결과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해서 신체 영역별 개선 효과에 대한 효과 수치 데이터를 로드한다.
예를 들어, 불편한 목턱관절을 개선하기 위한 동작을 제1 컨텐츠라고 하면, 제1 컨텐츠에는 목을 옆으로 기울여서 스트레칭 하는 동작, 어깨를 돌리는혀를 입천장에 대고 입을 벌리는 동작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컨텐츠는 목턱관절 영역에 대해 10점을 얻는 효과가 있고, 어깨목 근육 영역에는 5점을 얻는 효과가 있다는 정보가 컴퓨팅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S31 단계가 수행되면, 로드된 효과 수치 데이터의 값에 대해서 사용자가 운동한 데이터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단계(S32)가 수행된다.
즉 S10 단계에서 주어진 운동 컨텐츠에 대한 가이드 정보에 대해서 S20 단계에서 사용자가 얼마나 잘 수행하였는지 반영하여 데이터를 보정하는 과정인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목을 옆으로 기울이는 동작을 5번 수행하면 10점을 얻을 수 있다고 가정할 때, 사용자가 4번만 수행한다면 8점으로 수치를 보정하여 반영하여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보정된 효과 수치 데이터는 사용자의 운동 데이터의 수치 정보뿐만 아니라 유저의 상태 데이터에도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S33 단계와 같이 유저 상태 데이터에 적용하여 최종 결과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S32 단계가 수행된 후, 유저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과 데이터를 산출하는 결과 산출 단계(S33)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결과 데이터의 값은 유저의 상태 데이터가 적용된 값으로서, 유저의 상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유저의 건강 상태와, 신체 스펙 등이 모두 포함된 데이터를 말한다.
S40 단계는 예를 들어 도 3 및 도 7과 같이 도식화될 수 있다. 즉, S40 단계는 S30 단계 이후에 이루어지는 단계로서, 상기 산출된 결과 데이터를 유저 인터페이스의 관리 화면(240)에 시각화하는 단계이다.
S40 단계가 수행되면,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한 결과를 데이터 값으로서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준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화면(240)에서 각 컨텐츠에 대한 치료 효과와 진행 현황(S41) 및 이를 통해서 알 수 있는 남은 치료 정도(S42)와 예상 치료 효과(S43)에 대한 결과 수치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관리 화면(240)에는 사용자가 주어진 운동 컨텐츠를 통해서 얼만큼 운동을 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내용도 당연히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S40 단계를 통해서 사용자는 수행하는 운동 컨텐츠를 통해 어느 정도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 스스로 시각적 데이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 결과 데이터는 상술한 S10 내지 S20 단계에 의해서 사용자가 수행한 정도에 따라 변동되는 값이기 때문이다.
또한 S33 혹은 S40의 결과 데이터 값은 사용자에 대한 계정 정보와 함께 의료진에게 제공되어 디지털 치료제의 순기능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의료진이 환자와 직접 면담하거나 진료를 하지 않아도 환자의 현재 상태와 치료 달성 경과를 정확히 파악하고, 앞으로의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의료진은 이 결과 데이터 값을 활용하여 추천 처방 의약품, 추천 디지털 치료제 정보를 도출해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은 운동 컨텐츠 제공부(11), 운동 데이터 추출부(12), 결과 데이터 산출부(13), 및 결과 시각화 기능 수행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동 컨텐츠 제공부(11)는 적어도 사용자의 가슴 영역의 상부 영역인 목표 영역에 대한 관절 및 근육 중 어느 하나의 스트레칭을 유도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운동 컨텐츠를 유저 단말에서 실행되는 유저 인터페이스(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S10 단계에서 설명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동 데이터 추출부(12)는 제공된 운동 컨텐츠에 반응하여 수행되는 유저의 모션을 유저 단말의 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된 상기 목표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지하고, 인지된 모션 데이터로부터 유저가 운동한 신체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운동한 정량 수치를 나타내는 수치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설명에서 S20 단계에 포함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과 데이터 산출부(13)는 추출된 운동 데이터와 유저 계정에 저장된 정보로서 유저의 건강 상태 정보 및 신체 스펙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저의 신체 개선에 대한 정량 데이터인 결과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S30, S31, S32, S33 단계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과 시각화 기능 수행부(14)는 산출된 결과 데이터를 유저 인터페이스(20)에 시각화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S40 단계에 포함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동 데이터 추출부(12)는 상기 운동 컨텐츠 제공부(11)에 의해 운동 컨텐츠가 유저 인터페이스(20)에 출력되면, 유저 단말의 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운동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과 데이터 산출부(13)는 상기 추출된 운동 데이터와 유저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체 개선에 대한 정량 데이터인 결과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과 시각화 기능 수행부(14)는 상기 결과 데이터 산출부(13)에서 산출된 결과 데이터를 유저 인터페이스(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8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는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9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는 도 9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9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방법으로서,
    적어도 사용자의 가슴 영역의 상부 영역인 목표 영역에 대한 관절 및 근육 중 어느 하나의 스트레칭을 유도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운동 컨텐츠를 유저 단말에서 실행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운동 컨텐츠 제공 단계;
    상기 운동 컨텐츠 제공 단계를 통해 제공된 운동 컨텐츠에 반응하여 수행되는 유저의 모션을 유저 단말의 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된 상기 목표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지하고, 인지된 모션 데이터로부터 유저가 운동한 신체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운동한 정량 수치를 나타내는 수치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 데이터를 추출하는 운동 데이터 추출 단계; 및
    상기 운동 데이터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운동 데이터와 유저 계정에 저장된 정보로서 유저의 건강 상태 정보 및 신체 스펙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저의 예상 치료 효과를 포함하는 신체 개선에 대한 정량 데이터인 결과 데이터를 결과 수치를 포함하여 산출하는 결과 데이터 산출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결과 데이터 산출 단계 후,
    상기 결과 데이터 산출 단계를 통해 산출된 결과 데이터를 유저 인터페이스에 시각화하는 결과 시각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과 시각화 단계는,
    운동 컨텐츠의 이용 전 상기 유저 상태 데이터 대비 상기 결과 데이터가 반영된 유저의 건강 상태와 신체 스펙이 포함된 상기 유저 상태 데이터의 개선 비율에 대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각 컨텐츠에 대한 치료 효과, 남은 치료 정도, 예상 치료 효과에 대한 결과 수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치료 시에는 의료진에게 계정 정보와 함께 제공하되,
    상기 운동 컨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운동 데이터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운동 데이터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하되,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영상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영역 중, 상기 운동 데이터에 포함된 신체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신체 영역에 상기 운동 데이터가 매핑되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운동 데이터에 포함된 수치 정보가 매핑되어 출력되도록 하되,
    출력되는 정보는 선, 숫자, 각도를 포함하는 정보로서 신체 영역 중 스트레칭 대상이 되는 영역에 이격 거리, 회전 각도를 포함하는 운동 데이터가 매핑되어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실시간 운동 변화에 따라 반영되어 유저 인터페이스에 실시간으로 변경되어 출력되고,
    유저가 주어진 가이드 정보대로 동작을 올바르게 수행하지 못할 시,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운동 시간이 초기화되고, 유저에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하는 알림 정보가 출력되고, 화면 색상이 빨간색으로 변경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출력되는 수치 정보는,
    운동 횟수, 운동 시간, 신체의 이동 각도 및 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컨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운동 컨텐츠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가이드 정보는,
    유저가 운동할 신체 영역에 대한 정보 및 수치 정보에 대한 목표 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컨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운동 데이터 추출 단계에 의하여 추출된 운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동 데이터에 포함된 수치 정보가 상기 목표 수치를 달성 시, 목표 수치에 달성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데이터 산출 단계는,
    상기 운동 데이터에 포함된 신체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와 운동 컨텐츠에 매칭되어 저장된 정보로서, 운동 컨텐츠의 신체 영역별 개선 효과에 대한 수치 정보인 효과 수치 데이터를 로드하는 효과 로드 단계;
    상기 운동 데이터의 수치 정보를 이용하여, 운동 컨텐츠의 기준 효과 수치 데이터를 보정하는 효과 보정 단계; 및
    상기 효과 보정 단계에 의하여 보정된 효과 수치를 상기 유저 상태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결과 데이터를 산출하는 결과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방법.
  7. 삭제
  8. 삭제
  9.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장치로서,
    적어도 사용자의 가슴 영역의 상부 영역인 목표 영역에 대한 관절 및 근육 중 어느 하나의 스트레칭을 유도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운동 컨텐츠를 유저 단말에서 실행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운동 컨텐츠 제공부;
    상기 운동 컨텐츠 제공부를 통해 제공된 운동 컨텐츠에 반응하여 수행되는 유저의 모션을 유저 단말의 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된 상기 목표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지하고, 인지된 모션 데이터로부터 유저가 운동한 신체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운동한 정량 수치를 나타내는 수치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 데이터를 추출하는 운동 데이터 추출부; 및
    상기 운동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된 운동 데이터와 유저 계정에 저장된 정보로서 유저의 건강 상태 정보 및 신체 스펙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저의 예상 치료 효과를 포함하는 신체 개선에 대한 정량 데이터인 결과 데이터를 결과 수치를 포함하여 산출하는 결과 데이터 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과 데이터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결과 데이터를 유저 인터페이스에 시각화하는 결과 시각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과 시각화부는,
    운동 컨텐츠의 이용 전 상기 유저 상태 데이터 대비 상기 결과 데이터가 반영된 유저의 건강 상태와 신체 스펙이 포함된 상기 유저 상태 데이터의 개선 비율에 대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각 컨텐츠에 대한 치료 효과, 남은 치료 정도, 예상 치료 효과에 대한 결과 수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치료 시에는 의료진에게 계정 정보와 함께 제공하되,
    상기 운동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운동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된 운동 데이터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하되,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영상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영역 중, 상기 운동 데이터에 포함된 신체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신체 영역에 상기 운동 데이터가 매핑되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운동 데이터에 포함된 수치 정보가 매핑되어 출력되도록 하되,
    출력되는 정보는 선, 숫자, 각도를 포함하는 정보로서 신체 영역 중 스트레칭 대상이 되는 영역에 이격 거리, 회전 각도를 포함하는 운동 데이터가 매핑되어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실시간 운동 변화에 따라 반영되어 유저 인터페이스에 실시간으로 변경되어 출력되고,
    유저가 주어진 가이드 정보대로 동작을 올바르게 수행하지 못할 시,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운동 시간이 초기화되고, 유저에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하는 알림 정보가 출력되고, 화면 색상이 빨간색으로 변경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장치.
  10.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적어도 사용자의 가슴 영역의 상부 영역인 목표 영역에 대한 관절 및 근육 중 어느 하나의 스트레칭을 유도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는 운동 컨텐츠를 유저 단말에서 실행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운동 컨텐츠 제공 단계;
    상기 운동 컨텐츠 제공 단계를 통해 제공된 운동 컨텐츠에 반응하여 수행되는 유저의 모션을 유저 단말의 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된 상기 목표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지하고, 인지된 모션 데이터로부터 유저가 운동한 신체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운동한 정량 수치를 나타내는 수치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 데이터를 추출하는 운동 데이터 추출 단계; 및
    상기 운동 데이터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운동 데이터와 유저 계정에 저장된 정보로서 유저의 건강 상태 정보 및 신체 스펙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상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저의 예상 치료 효과를 포함하는 신체 개선에 대한 정량 데이터인 결과 데이터를 결과 수치를 포함하여 산출하는 결과 데이터 산출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결과 데이터 산출 단계 후,
    상기 결과 데이터 산출 단계를 통해 산출된 결과 데이터를 유저 인터페이스에 시각화하는 결과 시각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과 시각화 단계는,
    운동 컨텐츠의 이용 전 상기 유저 상태 데이터 대비 상기 결과 데이터가 반영된 유저의 건강 상태와 신체 스펙이 포함된 상기 유저 상태 데이터의 개선 비율에 대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각 컨텐츠에 대한 치료 효과, 남은 치료 정도, 예상 치료 효과에 대한 결과 수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치료 시에는 의료진에게 계정 정보와 함께 제공하되,
    상기 운동 컨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운동 데이터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운동 데이터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하되,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영상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영역 중, 상기 운동 데이터에 포함된 신체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신체 영역에 상기 운동 데이터가 매핑되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운동 데이터에 포함된 수치 정보가 매핑되어 출력되도록 하되,
    출력되는 정보는 선, 숫자, 각도를 포함하는 정보로서 신체 영역 중 스트레칭 대상이 되는 영역에 이격 거리, 회전 각도를 포함하는 운동 데이터가 매핑되어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실시간 운동 변화에 따라 반영되어 유저 인터페이스에 실시간으로 변경되어 출력되고,
    유저가 주어진 가이드 정보대로 동작을 올바르게 수행하지 못할 시,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운동 시간이 초기화되고, 유저에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하는 알림 정보가 출력되고, 화면 색상이 빨간색으로 변경되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220181307A 2022-12-22 2022-12-22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595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307A KR102595889B1 (ko) 2022-12-22 2022-12-22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307A KR102595889B1 (ko) 2022-12-22 2022-12-22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889B1 true KR102595889B1 (ko) 2023-10-30

Family

ID=88557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1307A KR102595889B1 (ko) 2022-12-22 2022-12-22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8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458A (ko) * 2017-03-28 2019-02-13 주식회사 엑소시스템즈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재활 운동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전자 장치
KR102388337B1 (ko) * 2022-01-25 2022-04-20 (주)힐링사운드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방법
KR20220061511A (ko) * 2020-11-06 2022-05-13 지현우 운동 자세 및 운동량 가이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5458A (ko) * 2017-03-28 2019-02-13 주식회사 엑소시스템즈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재활 운동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전자 장치
KR20220061511A (ko) * 2020-11-06 2022-05-13 지현우 운동 자세 및 운동량 가이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388337B1 (ko) * 2022-01-25 2022-04-20 (주)힐링사운드 턱관절 질환 개선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5985B2 (en) Augmented reality placement of goniometer or other sensors
US119422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virtual avatars associated with medical professionals during exercise sessions
US11282604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e of telemedicine-enabled rehabilitative equipment for prediction of secondary disease
US202300586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sensor data to detect joint misalignment of a user using a treatment device to perform a treatment plan
US11101028B2 (en) Method and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monitor user characteristics during a telemedicine session
US11317975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patients via telemedicine using sensor data from rehabilitation or exercise equipment
US110878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treatment device to reduce pain medication dependency
US202300600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sensors to optimize a user treatment plan in a telemedicine environment
US111390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 immersive enhanced reality-driven exercise experience for a user
US202203281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ctual patient treatment progress using sensor data
US202203140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ctual patient treatment progress using sensor data
AU2019280022B2 (en) Personalized image-based guidance for energy-based therapeutic devices
JP2018122110A (ja) 患者に施される身体のリハビリテーションを増強するための非侵襲性動作追跡システム
WO2021236542A1 (en) System and method to enable remote adjustment of a device during a telemedicine session
US20200185097A1 (en) Guiding user motion for physiotherapy in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US20200401214A1 (en) Systems for monitoring and assessing performance in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AU20232046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sensor data from rehabilitation or exercise equipment to treat patients via telemedicine
KR102595889B1 (ko) 흉상 영역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인지 기반의 운동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Su et al. An acupoint health care system with real-time acupoint localization and visualization in augmented reality
Krishnaih et al. Shaping health futures in the new digital age
WO20240500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sensor data to detect joint misalignment of a user using a treatment device to perform a treatment plan
WO20230495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sensors to optimize a user treatment plan in a telemedicine environment
WO20221552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 of telemedicine-enabled rehabilitative equipment for prediction of secondary dis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