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081A - 광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081A
KR20210063081A KR1020190151566A KR20190151566A KR20210063081A KR 20210063081 A KR20210063081 A KR 20210063081A KR 1020190151566 A KR1020190151566 A KR 1020190151566A KR 20190151566 A KR20190151566 A KR 20190151566A KR 20210063081 A KR20210063081 A KR 20210063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electronic device
processor
optical senso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한
김종진
김종아
윤희웅
조정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1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3081A/ko
Priority to US16/953,815 priority patent/US11735146B2/en
Publication of KR20210063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02Details
    • G01C3/06Use of electric means to obtain final indication
    • G01C3/08Use of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04Compact constr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33Handhe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1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 G01J1/2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intensity of the measured or reference value being varied to equalise their effects at the detectors, e.g. by varying incidence angle
    • G01J1/28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intensity of the measured or reference value being varied to equalise their effects at the detectors, e.g. by varying incidence angle using variation of intensity or distance of source
    • G01J1/3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intensity of the measured or reference value being varied to equalise their effects at the detectors, e.g. by varying incidence angle using variation of intensity or distance of source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3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intensity of the measured or reference value being varied to equalise their effects at the detectors, e.g. by varying incidence angle using variation of intensity or distance of source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dapted for automatic variation of the measured or reference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04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with determina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60Static or dynamic means for assisting the user to position a body part for biometric acquisition
    • G06V40/67Static or dynamic means for assisting the user to position a body part for biometric acquisition by interactive indications to the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6Modulation of illumination source brightness and image signal correlated to each oth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3Detection of image changes, e.g. determination of an index representative of the image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5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originating from the display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상기 디스플레이와 중첩되어 배치되고,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광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광 센서의 상기 발광부와 대응하는 제1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광 센서의 상기 발광부가 광을 방출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영역 및/또는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시각적 객체를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USING OPTICAL SENSOR}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광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전자 장치는 다양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PDA, 전자수첩,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은 진보된 성능을 구현하면서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전자 장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외부, 또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다. 전자 장치에는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하여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가 배치된 전면에 배치되는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해 전자 장치 주변의 빛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조도 센서, 전자 장치와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지문인식 센서 등이 전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종래의 전자 장치에서 위와 같은 센서들은 디스플레이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었고, 센서들이 차지하는 공간에 의해서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증가시키는데 제한이 있었다.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각종 센서가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디스플레이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발광부를 포함하는 광 센서가 배치되는 경우 광 센서의 발광부에서 나오는 광이 디스플레이의 일부 픽셀들에 도달함으로써, 해당 픽셀들이 방출하는 광에 왜곡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왜곡 현상은 광 센서가 동작하는 동안 디스플레이 상에 작은 점의 형태(이하, '스팟')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스팟은 전자 장치의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게 하여 전자 장치의 사용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에 있어서 센서의 위치는 센서의 설계 또는 전자 장치상의 실장 등에서 발생하는 편차에 의해 각각의 전자 장치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광 센서의 위치와 관련된 시각적 객체를 정확하게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배치된 광 센서의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하고, 해당 위치에 광 센서의 동작과 관련된 시각적 객체를 표시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상기 디스플레이와 중첩되어 배치되고,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광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광 센서의 상기 발광부와 대응하는 제1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광 센서의 상기 발광부가 광을 방출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영역 및/또는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시각적 객체를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상기 디스플레이와 중첩되어 배치되고,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근접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근접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근접 센서의 상기 발광부가 광을 방출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영역 및/또는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시각적 객체를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광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광 센서의 발광부와 대응하는 제1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광 센서의 상기 발광부가 광을 방출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영역 및/또는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시각적 객체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배치된 광 센서의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함으로써, 광 센서와 대응하는 영역에 광 센서의 동작과 관련된 시각적 객체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중 광 센서에 의해 왜곡이 발생하는 영역에 광 센서와 관련된 시각적 객체를 제공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배치된 광 센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중 광 센서의 발광부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시각적 객체를 출력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시각적 객체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시각적 객체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광 센서의 발광부를 이용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중 광 센서의 발광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좌표를 획득하는 순서도이다.
도 7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스캐닝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시간에 따른 스캐닝 이미지의 이동 및 수광부 영역의 밝기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7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시간에 따른 스캐닝 이미지의 이동 및 수광부 영역의 밝기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서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0)는 전면 커버(210)(예: 전면 플레이트, 글래스 플레이트 또는 커버 부재)의 배면에 접착 부재를 통해 배치되는 POL(polarizer)(432)(예: 편광 필름), POL(432)의 배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430) 및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배면(430b)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층(44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POL(432)은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전면(430a)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열반응 접착제, 일반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면 커버(210)는 디스플레이(400)의 전면에 배치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400)를 보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0)를 보호하기 위해 전면 커버(210)은 디스플레이와 비교하여 경도가 강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커버(210)는 카메라 모듈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카메라 노출 영역(21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노출 영역(211)은 그 주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인쇄 영역(예: BM(black matrix) 영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영역은 카메라 모듈의 화각에 의해 그 크기 또는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전면 커버(210)는 별도의 인쇄 영역 없이, 카메라 노출 영역(211)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430)은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장치로서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0)은 백 라이트(back light) 없이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30)은, 예를 들어, OLED(Organic LED), QLED(Quantum-Dot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0)과 POL(432)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추가적으로 터치 패널(433)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터치 패널(433)의 배치 위치에 따라 in-cell 방식 또는 on-cell 방식의 터치 디스플레이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40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을 통해 동작하는 지문 센서(미도시 됨)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 센서는 디스플레이(400)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 구성 요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홀을 통해 전면 커버(210)의 외면으로부터 접촉되거나, 근접한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초음파 방식 또는 광학식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층(440)은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배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441, 442),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441, 442)의 배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부재(443) 및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부재(443)의 배면에 배치되는 도전성 부재(44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441, 442)는 디스플레이 패널(430)과 그 하부 부착물들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기포를 제거하는 엠보층(441) 및/또는 충격 완화를 위하여 배치되는 쿠션층(44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부재(443)는 방열을 위한 그라파이트(graphite) 시트, added 디스플레이, 포스터치 FPCB, 지문 센서 FPCB, 통신용 안테나 방사체, 방열 시트, 도전성 테이프, 비도전성 테이프 또는 open cell 스폰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부재(444)는 금속 플레이트로서, 전자 장치의 강성 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주변 노이즈를 차폐하며, 주변의 열 방출 부품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부재(444)는 Cu, Al, SUS 또는 CLAD(예: SUS와 Al이 교번하여 배치된 적층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400)는 전자기 유도 방식의 필기 부재(예: 전자 펜)에 의한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부재(44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 부재(445)는 디지타이저(digitizer)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 부재(445)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442)와 기능성 부재(44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검출 부재(445)는 디스플레이 패널(430)과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441)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커버(210)는, 전면 커버(210)를 위에서 바라볼 때, 디스플레이 패널(430)과 중첩되는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노출 영역(21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커버(210)를 위에서 바라볼 때, 디스플레이 패널(430)은 카메라 노출 영역(211)과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오프닝(430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0)에 부착되는 POL(432) 및/또는 터치 패널(433) 역시 대응 위치에 형성되는 오프닝들(4321, 433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커버(210)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층(440) 역시 오프닝(430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오프닝들(4411, 4421, 4441, 445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400)의 배면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광학 센서 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광학 센서 모듈(500)은 디스플레이(400)를 통해 조사되고 외부 객체에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외부 환경을 검출하는 다양한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 센서 모듈(500)은 카메라 모듈, UV(ultra violet) 센서 모듈, 홍채 센서 모듈, 분광 센서 모듈, 적외선 센서 모듈, RGB 센서 모듈, TOF(time of flight) 센서 모듈,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제스쳐 센서(Gesture Sensor) 또는 주변광을 감지하는 조도센서(Ambient Light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센서 모듈(500)은 광을 방출할 수 있는 발광부 및/또는 외부의 광을 수집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 소자는 LED, LD가 될 수 있고, 여러 개로 구성되거나, 다른 파장의 소자가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단일 소자가 파장을 달리하여 출력될 수도 있다. 광학 센서 모듈(500)의 수광부 소자는 Photo diode, 카메라와 같이 빛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 센서 모듈(500)은 디스플레이 패널(430)을 통해 광을 조사하고, 외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수광할 수 있으나, 부자재층(440)은 투과할 수 없다. 따라서, 부자재층은 그 하측에 배치된 광학 센서 모듈(500)로부터 방출되고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광을 수용하기 위하여 대응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4412, 4422, 4442, 445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광학 센서 모듈(500)이 카메라 센서 모듈 또는 TOF 모듈의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430)과 POL(432) 역시 대응 위치에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서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400))의 배면에 배치된 광 센서(예: 도 2의 광학 센서 모듈(500))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디스플레이(230) 및 광 센서(31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상면도와 해당 전자 장치의 A-A'단면이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230) 및 디스플레이(230) 아래에 배치된 광 센서(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230) 및 광 센서(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및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30)는 복수의 픽셀들(23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픽셀들(231)이 방출하는 광의 밝기 및/또는 색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 센서(310)는 수광부(311) 및/또는 발광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광 센서(310)의 수광부(311)를 통해서 수광부(311)에서 획득되는 광(320)의 밝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광 센서(310)의 발광부(312)를 활성화하는 경우 발광부(312)는 광(330)을 방출할 수 있다. 발광부(312)에서 방출된 광(330)은 디스플레이(230)를 통과하여 전자 장치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30)는 광 센서(310)의 수광부(311)와 대응하는 영역(이하, '수광부 영역(232)') 및 광 센서(310)의 발광부(312)와 대응하는 영역(이하, '발광부 영역(23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30)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들(231)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231a)이 수광부 영역(232)에 대응할 수 있다. 수광부 영역(232)은 디스플레이(230) 중 광 센서(310)의 수광부(311)의 중심 축(313)으로부터 일정 반경(Ra) 내의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광부 영역(232)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231a)이 방출하는 광(320)은 광 센서(310)의 수광부(311)가 발생시키는 전기적 신호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광부 영역(232)의 픽셀(231a)이 방출하는 광의 밝기가 변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광 센서(310)의 수광부(311)를 통해서 수광부 영역(232)의 밝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발광부 영역(233)은 디스플레이(230) 중 광 센서(310)의 발광부(312)가 방출하는 광이 통과하는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발광부 영역(233)은 디스플레이(230) 중 광 센서(310)의 발광부(312)의 중심 축(314)으로부터 일정 반경(Rb) 내의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30)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들(231) 중 적어도 하나의 픽셀(231b)이 발광부 영역(233)에 대응할 수 있다. 발광부 영역(233)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231b)은 발광부(312)에서 방출되는 광(330)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발광부 영역(233)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231b)이 방출하는 광은 발광부(312)에서 방출되는 광(330)에 의해 왜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가 발광부 영역(233)에 포함된 제1 픽셀에 제1 색상을 출력하도록 명령하더라도, 광 센서(310)의 발광부(312)에서 방출된 광으로 인해 제1 픽셀이 방출하는 광의 색상이 제1 색상과 다를 수 있다. 발광부(312)에서 방출된 광(330)에 의해 디스플레이(230)의 일부 픽셀이 방출하는 광이 왜곡됨으로써, 디스플레이(230)의 발광부 영역(233)에 의도하지 않은 스팟이 생길 수 있다.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230) 중 광 센서(310)의 발광부 영역(233)과 인접한 영역에 시각적 객체를 출력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 및 도 4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230)에 출력되는 시각적 객체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01에서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광 센서(310)의 위치에 관한 정보(이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광 센서(310)의 위치 정보는 디스플레이(230) 중 광 센서(310)와 대응하는 영역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230) 중 광 센서(310)와 대응하는 영역의 위치 정보는 해당 영역 또는 해당 영역에 포함된 픽셀들의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는 광 센서(310)의 수광부(311) 또는 발광부(312)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광 센서(310)의 수광부(311)와 대응하는 영역(이하, 수광부 영역(232)) 또는 발광부(312)와 대응하는 영역(이하, 발광부 영역(233))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광부 영역(232)/발광부 영역(233)은 하나 이상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광부 영역(232)/발광부 영역(233)의 위치 정보는 하나 이상의 픽셀들이 디스플레이(230) 중 어디에 배치되었는지 나타내는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광부 영역(232)이 제1 픽셀 그룹을 포함할 때 수광부 영역(232)의 위치 정보는 제1 픽셀 그룹의 디스플레이 상의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 영역(233)이 제2 픽셀 그룹을 포함할 때 발광부 영역(233)의 위치 정보는 제2 픽셀 그룹의 디스플레이 상의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는 이동하는 이미지를 출력하여 광 센서(31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으며, 자세한 동작은 도 6에서 설명한다.
동작 402에서 프로세서는 광 센서(310)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02에서 프로세서는 광 센서(310)가 동작하는 동안 광 센서(310)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시각적 객체(또는 이미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는 광 센서(310)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230) 상에서 광 센서(310)의 동작과 관련된 시각적 객체를 표시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는 광 센서(310)의 좌표에 기반하여 시각적 객체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는 광 센서(310) 중 발광부(312)(또는 수광부(311))의 좌표에 기반하여 시각적 객체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디스플레이(230) 중 광 센서(310)의 발광부(312)와 대응하는 영역(233)에 시각적 객체를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왜곡 현상으로 인한 사용감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광 센서(310)의 동작 여부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230)에 시각적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적어도 광 센서(310)의 발광부(312)가 동작하는 동안 시각적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30)가 AOD(always on display)상태인 동안에도 광 센서(310)가 동작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광 센서(310)의 동작에 기반하여 발광부 영역(233)에 시각적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발광부 영역(233)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발광부 영역(233) 및/또는 발광부 영역(233)과 인접한 영역에 시각적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발광부 영역(233)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는 디스플레이(230)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들(231) 중 광 센서(310)의 발광부 영역(233) 및/또는 수광부 영역(232)과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의 좌표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 영역(233)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는 도 6 이하에서 설명되는 '발광부 영역(233)의 좌표 획득 동작'을 통해서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시각적 객체는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시각적 객체는 다양한 종류의 2차원 모양(예: 원형, 도넛형, 다각형, 비정형) 또는 3차원 모양(예: 구체, 입방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객체(420)는 다양한 형태의 모양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시각적 객체는 정적(static) 이미지 뿐만 아니라 동적(dynamic)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적 이미지는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모양을 가지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적 이미지는 시간 간격을 두고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시각적 객체는 주기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시각적 객체는 홀로그램 등의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가지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각적 객체(410)는 광 센서(310)의 동작과 관련된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센서(310)가 근접센서일 때 프로세서는 근접 센서의 발광부(312)가 동작하는 동안 “근접 센서가 동작 중”이라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시각적 객체(410)를 표시할 수 있다. 시각적 객체(410)가 포함할 수 있는 텍스트의 문구는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c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시각적 객체(420)는 발광부 영역(233)과 일치하거나 발광부 영역(233)보다 넓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발광부 영역(233)에 나타나는 스팟 형태의 왜곡 현상이 시각적 객체(420)와 중첩되도록 시각적 객체가 디스플레이 상에서 표시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발광부 영역(233)과 시각적 객체(420)가 중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시 예에서 시각적 객체는 발광부 영역(233). 예를 들어, 시각적 객체(420)는 발광부 영역(233)과 이격되어 발광부 영역(233)을 둘러싸는 모양(예: 링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시각적 객체(420)는 단색 또는 다양한 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각적 객체(420)의 위치, 모양 또는 색 중 적어도 하나는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객체(420)는 발광부 영역(233)의 주변을 회전하는 링 모양의 객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230)의 배면에 발광부(312)를 포함하는 광 센서(310)가 배치된 경우, 발광부(312)에서 방출된 광에 의해 디스플레이(230) 중 발광부 영역(233)에는 의도하지 않은 스팟이 생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가 발광부 영역(233) 및/또는 발광부 영역(233)과 인접한 영역에 광 센서(310)의 동작과 관련된 시각적 객체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230)의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발광부 영역(233) 및/또는 발광부 영역(233)과 인접한 영역에 표시되는 시각적 객체(410, 420)를 인식함으로써, 발광부(312)의 동작에 의해 디스플레이(230) 상에 스팟이 발생하는 것이 전자 장치의 정상적인 동작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통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전자 장치와 사용자의 근접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근접 센서를 구동할 수 있다. 근접 센서의 발광부가 적외선을 방출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중 발광부 영역(233)에는 의도하지 않은 스팟이 생길 수 있다. 프로세서는 근접 센서가 동작하는 동안 통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함께 발광부 영역(233)에 근접 센서의 동작과 관련된 시각적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01은 동작 402와 일체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광 센서(310)를 활성화(401)함과 동시에 발광부 영역(233) 또는 발광부 영역(233)과 인접한 영역에 시각적 객체를 출력(402)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가 광 센서(310)의 발광부(312)를 이용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230) 배면에 배치된 광 센서(310)의 발광부(312)에서 방출된 광이 디스플레이(230)에 도달하면, 해당 광은 디스플레이(230)의 광 센서(310) 영역(예: 발광부 영역(233))에 스팟(501)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광 센서(310) 자체의 동작과 무관하게 광 센서(310)의 발광부(312)를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230)에 스팟(501)이 생기게 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230)에 생기는 스팟(501)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광 센서(310)의 발광부(312)를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가 발광부(312)를 제어하여 제공하는 정보는 전자 장치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배터리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동안, 프로세서는 광 센서(310)의 발광부(312)를 활성화함으로써 전력을 공급받고 있음을 디스플레이(23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가 충전 상태임을 감지한 것에 기반하여 근접 센서의 발광부(312)를 주기적으로 활성화하여 깜박이는 스팟(501)을 발생시킬 수 있다. 주기적으로 깜박이는 스팟(501)은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가 충전 상태임을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가 발광부(312)의 제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상태는 전자 장치의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상태 변화는 새로운 알림의 존재 여부에 대응할 수 있다. 새로운 알림이 존재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제1 상태, 새로운 알림이 없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제2 상태에 있다고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에 새로운 알림이 있다고 판단된 것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는 발광부(312)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새로운 알림이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광 센서(310)의 발광부(312)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체화면 모드로 동영상을 시청하고 있는 동안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광 센서(310)의 발광부(312)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230)상에 스팟(501)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발광부(312)의 발광 패턴을 조절함으로써 디스플레이(230) 상에 발생하는 스팟(501)의 패턴을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알림의 종류에 기반하여 발광 패턴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어떤 종류의 알림이 발생하였는지 알릴 수 있다. 프로세서는 발광부(312)의 동작 주기를 짧게 하여 디스플레이(230)에 발생하는 스팟(501)이 빨리 깜박이게 제어하거나, 발광부(312)의 동작 주기를 길게 하여 스팟(501)이 천천히 깜박이게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발광부(312)의 펄스의 수 또는 펄스의 길이를 제어함으로써 스팟(501)의 선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충전 중인 경우, 프로세서는 발광부(312)가 지속적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하여, 스팟(501)이 디스플레이(230)에 지속적으로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충전 중인 경우와 다른 패턴으로 스팟(501)이 발생하도록 발광부(312)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서 디스플레이의 발광부(예: 도 3의 발광부(312))에 대응하는 영역의 위치 정보(예: 좌표)를 획득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의 동작들은 도 4a의 동작 401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601에서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디스플레이(230) 중 광 센서(310)에 대응하는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디스플레이(23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을 이동하는 이미지(이하, '스캐닝(scanning)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복수의 스캐닝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제1 스캐닝 이미지를 이용하여 광 센서(310) 영역의 제1 좌표 정보를 획득하고, 제2 스캔 이미지를 이용하여 광 센서(310) 영역의 제2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캐닝 이미지가 출력되는 동안 디스플레이(230) 중 스캐닝 이미지를 제외한 영역에는 스캐닝 이미지와 구별되는 배경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스캐닝 이미지는 배경화면과 구별되는 색 및/또는 밝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캐닝 이미지는 흰색이고, 배경화면은 검은색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캐닝 이미지는 1 픽셀 두께를 가지는 선(이하, '1-픽셀 선')일 수 있다. 1-픽셀 선은 디스플레이(230)를 가로지르는 수직선 또는 수평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n x m 픽셀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230)에서 i번째 행의 1-픽셀 수평선은 [i, 1], [i, 2], …[i, m]에 대응하는 픽셀들의 집합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j번째 열의 1-픽셀 수직선은 [1, j], [2, j], …[n, j]에 대응하는 픽셀들의 집합일 수 있다. 이 경우, 배경화면은 1-픽셀 선을 구성하는 픽셀들을 제외한 픽셀들로 이루어지며, 배경화면의 픽셀들은 1-픽셀 선과 구별되는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캐닝 이미지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캐닝 이미지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선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스캐닝 이미지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선일 수 있다. 프로세서가 복수의 스캐닝 이미지를 출력하는 경우, 각각의 스캐닝 이미지가 이동하는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캐닝 이미지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스캐닝 이미지는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캐닝 이미지가 지나가는 영역은 적어도 수광부 영역(23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230) 중 광 센서(310)가 위치한 것으로 예상되는 영역에 스캐닝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에 있어서 광 센서(310)의 위치는 미리 정해져 있고 제조 또는 조립 과정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광 센서(310)의 위치의 편차는 디스플레이(230)의 면적에 비하면 상당히 작기 때문에,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230)의 일부 영역만 지나가는 스캐닝 이미지를 출력함으로써 후술하는 동작 603에서 발광부 영역(233)의 좌표를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스캐닝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안 디스플레이(230)의 밝기를 일시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스캐닝 이미지의 출력이 완료된 후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230)의 밝기를 스캐닝 이미지를 출력하기 전의 수준으로 되돌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230)의 밝기가 증가하면, 스캐닝 이미지의 밝기도 증가하므로 스캐닝 이미지와 배경화면 사이의 밝기 차이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은 배경화면과 함께 스캐닝 이미지가 출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230)가 밝아질수록 스캐닝 이미지도 함께 밝아지지만, 검은 배경화면의 밝기는 변함이 없으므로, 스캐닝 이미지와 배경 사이의 밝기 차이가 커질 수 있다. 스캐닝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안 디스플레이(230)의 밝기를 일시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230) 중 광 센서(310)의 발광부(312)에 대응하는 영역의 좌표를 비교적 정확하게 식별(동작 603)할 수 있다.
동작 602에서 프로세서는 광 센서(310)의 수광부(311)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230) 중 광 센서(310)의 수광부 영역(232)의 밝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30)에서 방출되는 광의 일부는 디스플레이(230) 배면에 배치된 광 센서(310)의 수광부(311)에도 도달할 수 있다. 광 센서(310)의 수광부(311)는 디스플레이(230) 중 수광부 영역(232)에서 방출된 광(320)을 수집하여 수광부 영역(232)의 밝기와 관련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는 광 센서(310)의 수광부(311)를 통해 수광부 영역(232)의 밝기와 관련된 전기적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전기적 신호에 기반하여 수광부 영역(232)의 밝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광부 영역(232)을 지나가는 스캐닝 이미지가 제1 밝기를 가지고 배경화면이 제1 밝기와 다른 제2 밝기를 가지는 경우, 스캐닝 이미지가 수광부 영역(232)을 지나가는 동안 프로세서는 수광부(311)를 통해 수광부 영역(232)의 밝기가 제2 밝기, 제1 밝기, 제2 밝기 순서로 변함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603에서 프로세서는 스캐닝 이미지의 이동으로 인한 수광부 영역(232)의 밝기 변화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230) 중 광 센서(310)의 발광부(312)에 대응하는 영역(이하, '발광부 영역(233)')의 좌표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스캐닝 이미지의 좌표정보와 광 센서(310)의 수광부(311)를 통해 획득된 밝기 변화에 기반하여 수광부 영역(232)의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수광부(311)를 통해 획득한 수광부 영역(232)의 밝기가 최대인 시점을 식별하고, 식별된 시점에서 스캐닝 이미지의 좌표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수광부 영역(232)의 밝기가 최대인 시점에서 스캐닝 이미지의 좌표정보는 수광부 영역(232)의 좌표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캐닝 이미지가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1-픽셀 수직선이고, 프로세서가 수광부(311)를 통해 최대 밝기를 감지한 시점이 제1 시점인 경우, 제1 시점에서 1-픽셀 수직선의 x좌표가 디스플레이(230) 중 수광부(311)와 대응하는 영역의 x좌표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캐닝 이미지가 수직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1-픽셀 수평선이고, 프로세서가 수광부(311)를 통해 최대 밝기를 감지한 시점이 제2 시점인 경우, 제2 시점에서 1-픽셀 수평선의 y좌표가 디스플레이(230) 중 수광부(311)와 대응하는 영역의 y좌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230) 중 수광부 영역(232)의 좌표 및 발광부(312)와 수광부(311) 사이의 위치관계를 포함하는 광 센서(310)의 제조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230) 중 발광부 영역(233)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광 센서(310)의 수광부(311)에 대한 발광부(312)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광 센서(310)의 제작 당시부터 정해져 있으므로 수광부(311)에 대응하는 영역의 좌표를 식별하면, 발광부(312)에 대응하는 영역의 좌표를 식별할 수 있다.
도 7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서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장치(160))에 표시되는 스캐닝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b 및 도 7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장치(160))에서 시간에 따른 스캐닝 이미지의 이동 및 수광부 영역(예: 도 3의 수광부 영역(232))의 밝기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230)를 통해서 제1 스캐닝 이미지(701)(또는 제1 이미지) 및 제2 스캐닝 이미지(702)(또는 제2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스캐닝 이미지(701)는 y축과 평행하고 정해진 두께(예를 들어, 1픽셀의 두께)를 가지는 수직선이고, 제2 스캐닝 이미지(702)는 x축과 평행하고 정해진 두께를 가지는 수평선일 수 있다. 제1 스캐닝 이미지(701)는 오른쪽(+x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스캐닝 이미지(702)는 아래(-y 방향)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스캐닝 이미지(701)는 제1 시점(T1)에 제1 선(711) 상에 표시되고, 제2 시점(T2)에 제2 선(712) 상에 표시되고, 제3 시점(T3)에 제3 선(713)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제2 스캐닝 이미지(702)는 제4 시점(T4)에 제4 선(714) 상에 표시되고, 제5 시점(T5)에 제5 선(715) 상에 표시되고, 제6 시점(T6)에 제6 선(716)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선(711), 제3 선(713), 제4 선(714) 및 제6 선(716)으로 둘러싸인 영역(720)은 적어도 디스플레이(230) 중 수광부 영역(23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를 제조할 때, 실장 되는 광 센서(310)의 전자 장치 내에서 위치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스캐닝 이미지(701, 702)가 표시되는 영역(720)은 광 센서(310), 예를 들어, 광 센서(310)의 수광부(311)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캐닝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720)은 광 센서(310)가 실장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캐닝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720)은 수광부 영역(232) 및 발광부 영역(23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1 스캐닝 이미지(701)의 x좌표는 제1 시점(T1)에서 X1이고, 제2 시점(T2)에서 Xi, 제3 시점(T3)에서 일 수 있다. 제1 선(711) 상에 표시된 제1 스캐닝 이미지(701)가 제3 선(713)까지 이동하는 동안, 프로세서는 광 센서(310)의 수광부(311)를 통해 획득되는 신호의 세기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캐닝 이미지(701)가 제1 선(711)에서 제2 선(712)으로 이동할 때 수광부(311) 신호의 세기는 증가하고, 제2 선(712)에서 제3 선(713)으로 이동할 때 수광부(311) 신호의 세기는 감소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2 시점(T2)에서 수광부(311) 신호의 세기가 최대임을 식별하고, 제2 시점(T2)에서 제1 스캐닝 이미지(701)의 x좌표(Xi)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시점(T2)에서 제1 스캐닝 이미지(701)의 x좌표는 디스플레이(230) 중 광 센서(310)의 수광부(311)에 대응하는 영역의 x좌표에 해당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c를 참조하면, 제2 스캐닝 이미지(702)의 y좌표는 제4 시점(T4)에서 Y1이고, 제5 시점(T5)에서 Yj, 제6 시점(T6)에서 Ym일 수 있다. 제4 선(714) 상에 표시된 제2 스캐닝 이미지(702)가 제6 선(716)까지 이동하는 동안, 프로세서는 광 센서(310)의 수광부(311)를 통해 획득되는 신호의 세기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스캐닝 이미지(702)가 제4 선(714)에서 제5 선(715)으로 이동할 때 수광부(311) 신호의 세기는 증가하고, 제5 선(715)에서 제6 선(716)으로 이동할 때 수광부(311) 신호의 세기는 감소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5 시점(T5)에서 수광부(311) 신호의 세기가 최대임을 식별하고, 제5 시점(T5)에서 제2 스캐닝 이미지(702)의 y좌표(Yj)를 획득할 수 있다. 제5 시점(T5)에서 제2 스캐닝 이미지(702)의 y좌표는 디스플레이(230) 중 광 센서(310)의 수광부(311)에 대응하는 영역의 y좌표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230) 중 수광부 영역(232)의 x좌표 및 y좌표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230) 중 발광부 영역(233)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광 센서(310)의 발광부(312)는 광 센서(310)의 수광부(311)보다 -y 방향으로 Δy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프로세서는 발광부(312)에 대응하는 영역의 좌표를 (Xi, Yj-Δy)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 센서(310)가 조도 센서인 경우 디스플레이(230) 중 조도센서와 대응하는 영역에 표시되는 광의 밝기 또는 색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23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조도센서가 디스플레이(230)의 배면에 배치된 경우 전자 장치의 전면에 입사되는 광의 조도가 일정함에도 디스플레이(230)에서 발생하는 광에 의해 조도 센서가 측정하는 조도 값이 달라질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조도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조도 값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230)의 밝기를 조절하기 때문에, 조도 센서가 디스플레이(230)의 배면에 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230)의 밝기가 주변 광의 세기와 부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조도 센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230)의 일부 영역이 방출하는 광의 밝기나 색에 기반하여 조도 센서가 측정한 조도 값 또는 디스플레이(230)의 밝기를 보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조도 값을 정확하게 보상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230) 중 조도 센서에 대응하는 영역의 정확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230) 중 조도 센서와 대응하는 영역의 정확한 위치를 식별하고, 해당 영역의 디스플레이(230) 패널이 출력하는 광의 색 또는 밝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23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 센서(310)가 지문 센서인 경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230) 중 지문센서와 대응하는 영역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영역에 기반하여 지문인식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되어야 하는 영역을 정확하게 표시함으로써, 지문 인식의 정확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801)의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801)는 프로세서(810), 디스플레이(850), 광 센서(870), 및 메모리(8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8의 전자 장치(801)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810)는 도 1의 프로세서(120)일 수 있고, 4a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광 센서(870)는 도 3의 광 센서(310)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850)는 도 3의 디스플레이(230)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8의 전자 장치(801)(또는 프로세서(810))는 도 4a 및 도 6의 동작을 수행하는 주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8의 전자 장치(801)는 도 4b, 도 4c, 도 5, 도 7a에 도시된 실시 예를 구현하는 장치일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메모리(83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프로세서(810)에 연결된 메모리(830), 디스플레이(850), 또는 광 센서(87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810)는 디스플레이(850)를 통해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광 센서(870)를 이용하여 광 센서(87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메모리(830)에 저장된 광 센서(87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850)에 출력할 시각적 객체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시각적 객체를 광 센서(870)의 발광부와 대응하는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광 센서(870)의 발광부 동작으로 인한 사용감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광 센서(870)는 수광부 및 또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센서(870)는 수광부를 통해 주변광(ambient light)을 수집하거나, 발광부를 통해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는 발광부를 통해 적외선을 전자 장치 전면으로 방출하고, 수광부를 통해 외부 물체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광 센서(870)는 프로세서(810)가 광 센서(870)의 위치를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810)가 움직이는 이미지를 출력하면, 프로세서(810)는 광 센서(870)의 수광부를 이용하여 해당 이미지로 인한 광 센서(870)의 신호 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광 센서(870)의 신호의 크기 또는 신호 크기의 변화량이 가장 큰 시점에서 이미지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시점에서 상기 이미지의 위치 정보는 광 센서(87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50)는 프로세서(810)와 연결되며 프로세서(810)의 명령에 기반하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810)는 광 센서(87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스캐닝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스캐닝 이미지는 시간에 따라 디스플레이(85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광 센서(870)의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850)의 영역에 시각적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50) 중 광 센서(870)의 발광부와 대응하는 영역에는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광에 의한 왜곡 현상이 생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해당 영역에 시각적 객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850)에 생기는 왜곡 현상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85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전자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8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810)에 인스트럭션들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830)는 광 센서(87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850) 중 광 센서(870)의 수광부와 대응하는 영역 또는 발광부와 대응하는 영역에 관한 좌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메모리(830)에 저장된 광 센서(87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광 센서(870)의 위치와 대응하는 영역에 시각적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예: 도 3의 디스플레이(230)),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상기 디스플레이와 중첩되어 배치되고, 발광부(예: 도 3의 발광부(312)) 및 수광부(예: 도 3의 수광부(311))를 포함하는 광 센서(예: 도 3의 광 센서(310)),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광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광 센서의 상기 발광부와 대응하는 제1 영역(예: 도 3의 발광부 영역(233))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광 센서의 상기 발광부가 광을 방출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영역 및/또는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시각적 객체(예: 도 4b의 시각적 객체(410))를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예: 도 7a의 스캐닝 이미지(701, 702))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이동되는 동안, 상기 수광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이동에 의해 유발된 광의 밝기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광의 밝기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상기 이동되는 영역은 적어도 상기 수광부와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지정된 값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광 센서의 동작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시각적 객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시각적 객체는 상기 광 센서의 동작과 관련된 텍스트 또는 모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광 센서를 제어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가 외부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정보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에서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광 센서는 상기 수광부를 통해 조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광부를 통해 상기 조도와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조도와 관련된 데이터 및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수광부와 대응하는 영역에서 출력되는 광의 속성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광 센서는 지문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지문 센서의 동작과 관련된 시각적 객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광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광 센서의 발광부와 대응하는 제1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광 센서의 상기 발광부가 광을 방출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영역 및/또는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시각적 객체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이동되는 동안, 상기 광센서의 수광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이동에 의해 유발된 광의 밝기 변화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광의 밝기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상기 광 센서의 동작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시각적 객체를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상기 시각적 객체는 상기 광 센서의 동작과 관련된 텍스트 또는 모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상기 광 센서를 제어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에서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상기 디스플레이와 중첩되어 배치되고,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근접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근접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근접 센서의 상기 발광부가 광을 방출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영역 및/또는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시각적 객체를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근접 센서의 상기 발광부와 대응하는 제1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이동되는 동안, 상기 수광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이동에 의해 유발된 광의 밝기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광의 밝기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지정된 값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근접 센서의 동작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시각적 객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근접 센서를 제어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보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에서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상기 디스플레이와 중첩되어 배치되고,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광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광 센서의 상기 발광부와 대응하는 제1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광 센서의 상기 발광부가 광을 방출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영역 및/또는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시각적 객체를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이동되는 동안, 상기 수광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이동에 의해 유발된 광의 밝기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광의 밝기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상기 이동되는 영역은 적어도 상기 수광부와 중첩되는 전자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지정된 값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광 센서의 동작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시각적 객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객체는 상기 광 센서의 동작과 관련된 텍스트 또는 모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광 센서를 제어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가 외부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상태임을 나타내는 전자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에서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전자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센서는 상기 수광부를 통해 조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광부를 통해 상기 조도와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조도와 관련된 데이터 및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수광부와 대응하는 영역에서 출력되는 광의 속성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센서는 지문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제1 영역의 상기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지문 센서의 동작과 관련된 시각적 객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1. 스플레이 및 광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중 상기 광 센서의 발광부와 대응하는 제1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광 센서의 상기 발광부가 광을 방출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영역 및/또는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시각적 객체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이동되는 동안, 상기 광센서의 수광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이동에 의해 유발된 광의 밝기 변화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광의 밝기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광 센서의 동작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시각적 객체를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객체는 상기 광 센서의 동작과 관련된 텍스트 또는 모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15. 제11 항에 있어서, 제어 방법은,
    상기 광 센서를 제어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에서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제어 방법.
  16.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상기 디스플레이와 중첩되어 배치되고,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근접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근접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근접 센서의 상기 발광부가 광을 방출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영역 및/또는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시각적 객체를 출력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17.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중 상기 근접 센서의 상기 발광부와 대응하는 제1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이동되는 동안, 상기 수광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이동에 의해 유발된 광의 밝기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광의 밝기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영역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지정된 값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근접 센서의 동작 패턴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시각적 객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근접 센서를 제어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보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에서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전자 장치.
KR1020190151566A 2019-11-22 2019-11-22 광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063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566A KR20210063081A (ko) 2019-11-22 2019-11-22 광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6/953,815 US11735146B2 (en) 2019-11-22 2020-11-20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using optical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566A KR20210063081A (ko) 2019-11-22 2019-11-22 광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081A true KR20210063081A (ko) 2021-06-01

Family

ID=75975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566A KR20210063081A (ko) 2019-11-22 2019-11-22 광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735146B2 (ko)
KR (1) KR202100630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8943B (zh) * 2021-12-24 2023-05-30 荣耀终端有限公司 数据采集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9589A (ja) * 2004-08-05 2006-03-23 Sanyo Electric Co Ltd タッチパネル
KR101596499B1 (ko) * 2009-01-14 2016-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기기의 키 입력 방법 및 장치
US9070648B2 (en) 2012-11-27 2015-06-30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display-integrated light sensors
US20180074627A1 (en) 2016-09-13 2018-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emitting light to provide optics-based fingerprint detection
KR102397044B1 (ko) 2017-09-04 2022-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보정하는 방법
CN109427301B (zh) * 2018-05-09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电路和电致发光显示面板、其驱动方法及显示装置
KR102554675B1 (ko) * 2018-11-13 2023-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반한 조도 센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58782A1 (en) 2021-05-27
US11735146B2 (en)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4397A (ko)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입사된 빛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169762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ub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1070565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including elastic member for preventing/reducing performance degradation of pressure sensor
US20190312090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endable display
US1117577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 optical sensor mounted on back surface of a display
KR20210012316A (ko) 광학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10132728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ensor for detecting external input
US11327537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having holes for sensors
US2019005683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ensing signals and storage medium
KR2020010120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동작 제어 방법
US1159558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shooting through at least one portion of display device
KR20220155869A (ko) 복수의 수광 소자들을 가지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73514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using optical sensor
KR102649194B1 (ko) 외부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cross-talk 방지 구조
KR20210017192A (ko) 디스플레이 및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893959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roximity sensor having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element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423687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oint detector and biometric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using the same
US1154037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misrecognition by proximity sensor according to burn-in
EP4099417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ewing angle of display
US1137901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xels adjacent to sensor arranged inside display,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210074930A (ko) 광학 센서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112767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지문 인식 방법
KR20200065324A (ko) 디스플레이 번-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519743B1 (ko) 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
KR20210121548A (ko) 설정된 위치로 사용자 입력을 유도하는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