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044A - 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044A
KR20210063044A KR1020190151479A KR20190151479A KR20210063044A KR 20210063044 A KR20210063044 A KR 20210063044A KR 1020190151479 A KR1020190151479 A KR 1020190151479A KR 20190151479 A KR20190151479 A KR 20190151479A KR 20210063044 A KR20210063044 A KR 20210063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state
extract
present
rehmannia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다혜
이대영
최재훈
장귀영
신우철
김금숙
이영섭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90151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3044A/ko
Publication of KR20210063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044A/ko
Priority to KR1020210183849A priority patent/KR102549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지황 추출물은 전립선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며 암세포 증식 억제능이 우수하므로 이를 전립선 관련 질환 치료제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Rehmannia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ostate-related disease}
본 발명은 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립선은 샘조직과 섬유근조직으로 구성된 남성의 부속생식선으로, 물혹이나 결석이 생길 수 있으나 전립선염, 전립선 비대증, 및 전립선암이 가장 흔히 발생되는 질병이다. 전립선암(prostate cancer)은 남성에게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악성종양으로, 서양의 경우 남성암 중 가장 흔한 암 중 하나이며,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식이습관 등의 영향으로 남성에게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암으로, 대부분 50세 이상의 노년층에서 발생한다. 중앙 암등록자료에 의하면 2001년에는 전립선암의 암 발생 등록분율이 남성암이 2.7%, 2002년에는 3.0%로 6위였으며, 최근에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향후 발생률이 더욱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는 암이다. 전립선암은 유전적 소인 외에도 호르몬, 식이습관, 화학약품 등에 의해서도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전립선 비대증은 50세 이상의 남성에서 하루 8회 이상 소변을 보는 빈뇨, 야간 빈뇨, 강하고 갑작스런 요의를 느끼면서 소변이 마려우면 참을 수 없는 절박뇨 등의 방광 저장 증상과 지연뇨(소변을 볼 때 뜸을 들여야 소변이 나오는 현상), 단절뇨(소변의 흐름이 끊기는 현상), 배뇨 시 힘을 주어야 하는 현상 등 방광의 배출 장애를 나타내는 증상을 통칭한 것으로, 5알파환원효소에 의해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T)으로부터 전환되는 디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이 전립선 비대에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Urology. 2003 Apr;61(4 Suppl 1):2-7.). 최근 한국 전립선비대증 질환자는 2006년 45만 8955명에서 2011년 84만 2069명으로 83.5%로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전립선 비대증 환자수는 60세 이상 남성 5명에 2명 비율로 나타나 80세를 넘으면 절반 이상이 전립선 비대증상을 호소하게 된다. 향후 초고령화 사회로의돌입 및 수진율 향상 등으로 전립선 비대증 환자 수는 앞으로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요청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전립선염은 전체 비뇨기과 환자의 약 3~12%를 차지하는 질병이나 50세 미만의 비뇨기과 환자에서는 가장 흔한 질환이다. 특히 전립선염의 가장 현저한 증상인 만성 골반동통은 전립선비대증이나 성기능장애에 의한 고통보다 더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활동적인 젊은 연령대에 흔히 나타나 삶의 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하지만 원인이 확실치 않고 증상이나 검사에서 특징적인 소견이 없어 진단과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5알파환원효소에 의해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T)으로부터 전환되는 디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이 전립선염에 미치는 영향이 보고된 바 있다(The Journal of Urology, Volume170, Issue 6, Part 1, December 2003, Pages 2486-2489)
전립선암은 전립선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malignant tumor)으로, 전립선암 또한 5알파환원효소에 의한 테스토스테론의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J Steroid Biochem Mol Biol.2002 Nov;82(4-5):393-400.). 서양의 경우 전립선암은 남성암 중 가장 흔한 암으로서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인다. 그러나 위 전립선암은 특이한 증상이 없어 조기 발견이 어려우므로, 암 조직이 커지면서 배뇨에 지장을 받거나, 전립선암이 뼈 등의 다른 장기로 전이되어 골 동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 후에야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전립선 암의 예방 및 치료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상기 지황 (Rehmannia glutinosa)은 쌍떡잎식물이며,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중국이 원산지로 한방에서는 뿌리의 생것을 생지황, 건조시킨 것을 건지황, 쪄서 말린 것을 숙지황이라고 하고 있다. 생김새는 원주형 또는 방추형이고, 때로는 꺾이었거나 변형되어 있다. 바깥 면은 황갈색이나 흑갈색을 띠고 깊은 세로주름과 가로로 곁뿌리 자국과 피목이 있다. 질이 연하여 쉽게 꺾어지며 횡절면은 엷은 갈색으로 광택이 있고 평탄하다. 지황은 번조, 갈증, 골증, 소갈증, 토혈, 코피에 쓰이며 열로 인한 피부발진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약리작용으로는 혈당강하, 강심, 이뇨, 간기능보호, 항균작용이 보고되었다.
최근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염, 전립선암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환자 수는 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여 그 예방 및 치료제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전립선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인 천연물 소재를 개발하고자 노력한 끝에 지황 추출물이 전립선 관련 질환에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고, 이를 활용한 전립선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황(Rehmannia glutinos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황(Rehmannia glutinos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황(Rehmannia glutinos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황(Rehmannia glutinos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황(Rehmannia glutinosa) 추출물은 우수한 전립선암 세포 성장 억제능 및 세포사멸 유도활성을 가지므로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염, 전립선암 등 전립선 관련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다.
도 1a는 지황 50% 에탄올 추출물 처리 시 전립선 암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1b는 지황 열수 추출물 처리 시 전립선 암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양성대조군인 쏘팔메토의 전립선 암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구현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본 발명은 지황(Rehmannia glutinos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전립선 관련 질환"은 남성의 생식 및 비뇨기관인 전립선에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하며, 그 예로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염, 전립선암, 전립선 농양, 및 전립선 석회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립선의 문제로 인하여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전립선 농양은 세균이 요도를 통해 전립선까지 파고들어가 급성 염증에 이어 고름 주머니를 만들면서 주변의 전립선조직을 급속히 괴사시키는 병으로, 발병 시 갑자기 심한 고열과 함께 오한이 나타나고, 소변을 보고 싶어도 소변을 배출하지 못하는 요폐 증상으로 극심한 배뇨통을 느끼게 된다. 전립선 석회화는 전립선에 석회결석이 가라앉아 생기는 질환을 말한다. 상기 결석은 소변을 포함한 체액 내에 구성성분이 너무 많아지면 모두 액체화되지 못하고 남는 칼슘, 수산염, 인산염 등이 결정화된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전립선 관련 질환의 발병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전립선 관련 질환 발병 의심 개체에 투여하여 전립선 관련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지황으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지황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은 상기한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보조제(adjuvan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프로인트(Freund)의 완전 보조제 또는 불완전 보조제를 더 포함하여 그 면역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에 혼입시킨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제약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이용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전,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그러한 고형 제제는 유효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르보네이트,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용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용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유와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이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정맥, 근육, 피하, 복강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은 주사용 제제이며, 주사용 제제의 용매로서 물, 링거액, 등장성 생리식염수 또는 현탁액을 들 수 있다. 상기 주사용 제제의 멸균 고정 오일은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모노-,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어떠한 무자극성 고정오일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용 제제는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 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w/w) %, 고체/액체는 (w/v) %, 그리고 액체/액체는 (v/v) %이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 1: 지황 추출물 제조
지황 50% 에탄올 추출물 및 지황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지황을 절단하고 열풍건조기에서 40℃의 온도로 48시간동안 건조하여, 수분율이 10 중량% 이하인 지황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된 지황을 분쇄한 후, 지황 및 50 중량%의 발효 에탄올 수용액이 1 : 8 중량비가 되도록 하여 50 중량%의 발효 에탄올 수용액에 12시간동안 침지시켜 추출을 2회 반복하였다. 상기 수득한 추출물을 필터링 한 후, 얻어진 여액을 각각 합쳐 감압 농축하여 지황 5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지황 열수 추출물은 지황 및 정제수가 1 : 8 중량비가 되도록 하여 지황을 정제수에 침지 시키고 70℃의 온도에서 열수 추출을 2회 반복하여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열수 추출물을 2회 환류 추출하고, 얻어진 여액을 각각 합쳐 감압 농축하여 지황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지황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관찰
지황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간 전립선 기질 세포(WPMY-1) 및 암세포(LNCap)는 10% FBS와 1% penicillin/streptomycin (100 u/ml)을 첨가한 RPMI 1640 배지에서 37℃, 5% CO2 세포 배양기를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이후, 지황 추출물의 인간 전립선 기질 세포(WPMY-1) 및 인간 전립선 암세포주(LNCap)에 대한 세포 독성을 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배양된 WPMY-1, LNCap 세포를 96 well plate에 2×104 cells/well 농도로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pre-incubation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지황 추출물을 농도별(50, 100, 150, 200 μg/ml)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배양한 세포에 MTT solution을 처리하여 37℃, 4시간 동안 반응시켰고, DMSO를 첨가하여 보라색으로 염색된 formazan을 용해해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지황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의 세포 생존율을 100%로 나타내고 지황 50%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를 도 1a에 나타내었으며 지황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를 도 1b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황 50% 에탄올 추출물은 도 2의 양성대조군인 쏘팔메토와 비슷한 수준의 암 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5)

  1. 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에 사용하는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부탄올, 메틸렌 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립선 관련 질환은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염, 전립선암, 전립선 농양, 및 전립선석회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립선 관련 질환은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염, 전립선암, 전립선 농양, 및 전립선석회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인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90151479A 2019-11-22 2019-11-22 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6304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479A KR20210063044A (ko) 2019-11-22 2019-11-22 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10183849A KR102549510B1 (ko) 2019-11-22 2021-12-21 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479A KR20210063044A (ko) 2019-11-22 2019-11-22 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849A Division KR102549510B1 (ko) 2019-11-22 2021-12-21 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044A true KR20210063044A (ko) 2021-06-01

Family

ID=763762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479A KR20210063044A (ko) 2019-11-22 2019-11-22 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10183849A KR102549510B1 (ko) 2019-11-22 2021-12-21 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849A KR102549510B1 (ko) 2019-11-22 2021-12-21 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630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045A (ko) * 2019-11-22 2021-06-0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지황 추출물에서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036A (ko) * 2016-05-25 2017-12-05 리밍 인 전립선염 치료용 중국 의약 연고
KR101914744B1 (ko) * 2017-04-20 2018-11-05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숙지황을 포함하는 탈모예방, 모발흑화, 발모촉진 및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045A (ko) * 2019-11-22 2021-06-0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지황 추출물에서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510B1 (ko) 2023-06-29
KR20210158833A (ko) 2021-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903B1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1552813B1 (ko) 사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87335B1 (ko) 맥아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2549510B1 (ko) 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67028B1 (ko) 산나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103518A (ko)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20120097080A (ko)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25786B1 (ko) 감초 추출물 또는 이솔리퀴리틴을 포함하는파이토에스트로젠 조성물
KR102294273B1 (ko) 지황 추출물에서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70476B1 (ko) 흑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 또는 고요산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53143B1 (ko) 흑삼 및 도라지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73653B1 (ko) 해당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408623B1 (ko) 흑삼 추출물 또는 발효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762147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puerariae flos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endometriosis
US20220054570A1 (en) Composition comprising elecampane extract for alleviating premenstrual syndrome symptom
EP4026552A2 (en) Composition for ameliorating premenstrual syndrome symptoms, including chrysanthemum sibiricum extract
KR102294544B1 (ko) 도라지 추출물 및 도라지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63879B1 (ko) 청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42516A (ko) 시호 및 꽈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36101B1 (ko) 선학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3878B1 (ko) 대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72783A (ko) 아이소임페라토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92641B1 (ko) 흑삼 추출물 및 흑삼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74458B1 (ko) 번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70111335A (ko) 신규한 흑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