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2834A -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2834A
KR20210062834A KR1020190150978A KR20190150978A KR20210062834A KR 20210062834 A KR20210062834 A KR 20210062834A KR 1020190150978 A KR1020190150978 A KR 1020190150978A KR 20190150978 A KR20190150978 A KR 20190150978A KR 20210062834 A KR20210062834 A KR 20210062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urifier
information
filter
driving
driv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4348B9 (ko
KR102324348B1 (ko
Inventor
이우헌
Original Assignee
클레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레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클레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0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3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62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348B1/ko
Publication of KR102324348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348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공기 청정기들과 통신하도록 이루어지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기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기들이 구동된 구동 모드 및 상기 구동 모드에서의 필터 소모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구동 히스토리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구동 히스토리 정보로부터, 상기 구동 모드에서의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필터 소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 모드에서 타겟 공기 청정기의 필터 수명을 예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잔여 필터 보유량과 상기 산출된 상기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 모드에서의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필터 수명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FILTER USAGE MANAGEMENT SYSTEM OF 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세 먼지, 초 미세 먼지 또는 황사 등의 증가로 인해 대기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호흡기 질환이 증가, 건강에 대한 국민적 관심 고조 등의 사회 분위기로 인해 공기 청정기의 필요성과 그 수요는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인 공기 청정기는, 정화할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구성으로 구성된다. 특히 공기 청정기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인 필터는, 예를 들어 항균 소재를 사용하여 큰 먼지 및 곰팡이, 애완동물의 털 등을 제거하는 전처리 필터, 악취를 제거하는 수세필터, 헤파(HEPA) 필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공기 청정기의 수명은 필터의 수명과 직결된 것으로서, 필터의 수명이 다한 상태로 공기 청정기가 사용된다면 오히려 공기 청정기에 의해 각종 유해 물질들이 공기 중으로 발산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공기 청정기의 필터 수명을 알려주는 다양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38094(공기 청정기 및 공기 청정기 필터의 청소 또는 교체 시기를 판단하는 방법)에서는,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공기 청정기 주위의 먼지 농도를 감지하여 그 비율에 따라 공기 청정기의 필터 교체 시기를 판단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방법은, 실시간으로 먼지 농도를 감지하여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공기 청정기 필터의 교체 시기를 예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보다 효율적으로 공기 청정기의 사용자가 공기 청정기 필터의 구동 가능 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공기 청정기의 필터 수명을 예측함으로써, 필터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을 관리할 수 있는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목적은 수집되는 데이터를 계속하여 축적하고 업그레이드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필터 사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공기 청정기들과 통신하도록 이루어지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기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기들이 구동된 구동 모드 및 상기 구동 모드에서의 필터 소모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구동 히스토리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구동 히스토리 정보로부터, 상기 구동 모드에서의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필터 소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 모드에서 타겟 공기 청정기의 필터 수명을 예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잔여 필터 보유량과 상기 산출된 상기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 모드에서의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필터 수명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기들이 구동된 구동 모드는,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기들에 구비된 팬(fan)의 구동 정보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구동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기들로부터 수집된 구동 히스토리 정보가 상기 복수의 구동 모드를 기준으로 그룹화되도록 상기 데이터 수집부를 제어하고, 상기 그룹화된 구동 히스토리 정보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동 모드 각각에서의 상기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구동 모드 각각에서의 필터 소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잔여 필터 보유량 대비 상기 복수의 구동 모드 각각에서의 동작 가능한 잔여 구동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필터 수명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모드는, 제1 속도로 상기 팬이 구동되는 제1 구동 모드 및 상기 제1 속도보다 큰 제2 속도로 상기 팬이 구동되는 제2 구동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잔여 구동 시간은, 상기 제2 구동 모드 보다 상기 제1 구동 모드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구동 모드에서 예상되는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제1 잔여 구동 시간 정보 및 상기 제2 구동 모드에서 예상되는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제2 잔여 구동 시간 정보가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는 시각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제1 구동 모드 및 상기 제1 잔여 구동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그래픽 객체 및 상기 제2 구동 모드 및 상기 제2 잔여 구동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구동 모드는, 상기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 중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구동 모드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로부터,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에서의 구동 모드의 변경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구동 패턴을 포함하는 구동 패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동 패턴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구동 모드 각각에서의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구동 패턴으로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잔여 필터 보유량 대비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필터 수명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히스토리 정보는,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기들이 배치된 장소의 오염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기들 중,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가 배치된 장소의 오염도 정보와 유사한 오염도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청정기에서의 상기 단위 시간당 산출된 필터 소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필터 수명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사한 오염도 정보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청정기의 구동 모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구동 모드 정보와 추출된 구동 모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구동 모드 정보와 상기 추출된 구동 모드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추출된 구동 모드 정보를,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추천 구동 모드 정보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상기 구동 모드에서의 필터 소모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구동 모드로 구동된 구동 시간 및 상기 구동 시간 동안 소모된 필터 소모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공기 청정기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공기 청정기를 필터 수명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공기 청정기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공기 청정기의 구동 모드 별로 데이터화하여, 공기 청정기의 구동 모드 별로 필터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터 수명을 고려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공기 청정기를 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로부터 수집한 구동 히스토리 정보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참고도면이다.
도 5는 타겟 공기 청정기로부터 수집한 정보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참고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공기 청정기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 공기 청정기가 복수의 구동 모드 각각 에서의 동작 가능한 잔여 구동 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통해 타겟 공기 청정기의 필터 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앞서 공기 청정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공기 청정기는, 대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 물질을 정화하여 깨끗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이다. 따라서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팬(Fan)을 통해 공기 청정기 내부로 흡입하고, 필터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와 세균류를 집진함으로써, 깨끗하게 정화된 공기만을 기기로 토출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청정기의 구성은 크게 통신부, 구동부, 디스플레이부, 필터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공기 청정기의 통신부는, 외부의 서버 또는 전자기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외부의 서버 또는 전자기기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공기 청정기의 구동부는, 복수의 구동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공기 청정기의 구동 모드에 따라 팬(Fan)을 회전시켜 공기 청정기 내부로 공기를 흡입, 또는 외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때 공기 청정기 내부에 설치된 팬의 회전 속도의 정도에 따라, 공기 청정기 내부로 흡입 또는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달라 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공기 청정기에 구비된 팬(Fan)의 회전 속도를 기준으로 복수의 구동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구동 모드는 각각 1 단, 2단, 3 단으로 명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구동 모드 중'1단'은 팬의 회전 속도가 가장 느리고, 공기 청정기에서 토출되는 정화된 공기의 양이 가장 적은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공기 청정기의 복수의 구동 모드 중'3단'은 팬의 회전 속도가 가장 빠르고, 공기 청정기에서 토출되는 정화된 공기의 양이 가장 많은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공기 청정기의 구동 모드를 상술한 예시와 같이 1단 내지 3단으로 설계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나아가, 구동 모드가 '0단'은 공기 청정기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를 의미한다.
다만 상술한 공기 청정기의 구동 모드는 일 실시 예로, 반드시 1 내지 3단으로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1단 내지 5단, 또는 1단 내지 7단 등으로 공기 청정기의 설정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는, 현재 공기 청정기와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공기 청정기의 사용자로부터 터치를 통해 구동 모드를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다만 공기 청정기에서 디스플레이부는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므로 생략될 수 있다.
한편 공기 청정기의 운전 모드는, 수동 모드, 자동 모드(Auto mode) 및 슬립 모드 (Sleep Mo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수동 모드는, 사용자의 선택에 기반하여, 구동 모드가 결정되는 모드를 의미한다. 수동 모드는, 공기 청정기에 구비된 조작부(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입력부 등) 또는 공기 청정기와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구동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 공기 청정기의 수동 모드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구동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자동 모드(Auto mode)는, 공기 청정기에 구비된 제어부의 제어 하에 구동되는 모드로서, 제어부는 기 설정된 제어 조건에 기반하여, 현재 상황에 맞는 구동 모드로 공기 청정기가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제어 조건은, 시간 정보, 오염도 등에 기인할 수 있다.
자동 모드에서, 공기 청정기의 구동 모드는 하나의 모드로 고정되는 것이 아닌,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청정기와 연동된 센서로부터 인식된 공기의 오염도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 청정기의 구동 모드가 가변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오염도 정보는, 공기 청정기가 설치된 장소의 대기 오염도 정보를 의미한다. 이때 오염도 정보는, 공기 청정기 내/외부, 또는 공기 청정기가 설치된 장소와 인접한 영역에 설치된 센서부, 예를 들어 가스 센서, 먼지 센서 및 냄새 센서 등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기준으로 대기의 오염도 정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먼지 센서 및 가스 센서 등에서 출력된 값을 조합하여, 오염도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오염도 정보는 레벨 1부터 레벨 7까지 구분될 수 있고, 상기 레벨이 높을수록 공기 상태는 좋지 않은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염도 정보가 1~2인 구간에서는, 공기 오염도(청정도)는 "좋음 상태"이며, 오염도 정보가 3~4인 구간에서는, 공기 오염도(청정도)는 "보통 상태"이고, 오염도 정보가 5~6인 구간에서는, 공기 오염도(청정도)는 "나쁨 상태"이고, 오염도 정보가 7인 구간에서는, 공기 오염도(청정도)는 "매우 나쁨 상태"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한편 공기 청정기의 운전 모드 중 슬립 모드(Sleep Mode)는, 소모 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모드로, 제어부가 일정 시간동안 디스플레이부 또는 구동부로 동작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슬립 모드 동작에 대응하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슬립 모드에서 팬의 구동은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필터부는, 공기 청정기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기 필터부는, 항균 소재를 사용하여 큰 먼지 및 곰팡이, 애완동물의 털 등을 제거하는 전처리 필터, 악취를 제거하는 수세필터, 헤파(HEPA) 필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공기 청정기의 제어부는, 공기 청정을 수행하기 위한 공기 청정기의 전반적인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공기 청정기를 참고하여,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정보의 수집 대상이 되는 공기 청정기로부터 수집한 구동 히스토리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참고 도면이고, 도 5는 타겟 공기 청정기로부터 수집한 정보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참고도면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공기 청정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공기 청정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활용하는 시스템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100)은 중앙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100)은, 복수의 공기 청정기(210 내지 240) 및 타겟 공기 청정기(200)와 통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참고 도면으로, 반드시 도시된 공기 청정기의 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더 많은 수의 공기 청정기 또는 적은 수의 공기 청정기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공기 청정기(210 내지 240)는, 정보의 수집 대상이 되는 공기 청정기로서,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로도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복수의 공기 청정기(210 내지 240)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는 "구동 히스토리 정보"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의 타겟 공기 청정기(200)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100)에서, 필터의 수명을 예측하는 대상이 되는 공기 청정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정보의 수집 대상이 되는 복수의 공기 청정기(이하,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로 명명함, 이하 설명에서는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의 식별번호를 210으로 통칭한다)와 타겟 공기 청정기(200)는 반드시 상이한 공기 청정기로 제한되지 않으며, 타겟 공기 청정기(210)는,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 중 하나인 동시에, 필터 수명 예측 대상이 되는 타겟 공기 청정기(200) 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시스템(10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0), 데이터 수집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청정기와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앞서 살펴본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 또는 타겟 공기 청정기(200)와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10)는 전자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PC, IoT 서버, TV 등)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다양한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앞서 살펴본 공기 청정기 또는 전자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통신 모듈(예를 들어,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위치정보 모듈, 방송 수신 모듈 등)이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다만 무선 통신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유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데이터 수집부(120)는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로부터 구동 히스토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300). 데이터 수집부(120)는 수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집된 정보는 메모리부(121)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동 히스토리 정보는,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의 구동과 관련된 정보로서, 구동 모드 및 상기 구동 모드에서의 필터 소모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의 구동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상기 구동 모드에서의 필터 소모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구동 모드로 구동된 구동 시간 및 상기 구동 시간 동안 소모된 필터 소모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의 구동 히스토리 정보는,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의 잔여 필터 보유량 정보,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가 배치된 장소의 오염도 정보, 및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의 필터 평균 교체 주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구동 히스토리 정보는, 상술한 정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 청정기의 구동과 관련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구동 모드는,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가 구동된 구동 모드에 대한 정보이다. 일 실시 예는,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에 구비된 팬(fan)의 구동 정보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구동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구동된 경우, 그 구동 모드에 대한 정보이다.
한편, 구동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구동 시간은,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가 구동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구동 모드로 구동된 구동 시간을 의미한다. 이때 구동 시간의 단위는 다양하게 나타내어질 수 있으며, 초 단위, 분 단위, 시 단위, 일 단위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구동 모드 정보가 '1단'이고, 구동 시간 정보가 '100분'인 경우,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가 '1단'에서 '100분' 동안 구동 되었다고 이해되어 질 수 있다.
한편, 구동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필터 소모량 정보는, 구동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구동 모드에서 상기 구동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구동 시간 동안 구동 된 경우의 필터 소모량 정보이다. 필터 소모량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100)에서 산출될 수 있고,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필터 소모량이란, 공기 청정기에 구비된 필터가 소모된 정도로서, 특정 구동 모드에서 특정 시간 동안 공기 청정기가 구동되어 소모된 양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필터 소모량을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100)에서 산출하는 경우,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부(130)는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로부터 수신된 잔여 필터 보유량 정보를 이용하여 필터 소모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소모량은, 서로 다른 두 시점에 센싱된 필터 보유량의 차이를 통하여 산출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두 시점은,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서로 다른 두 시점은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로부터 잔여 필터 보유량 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일 수 있다. 이때, 잔여 필터 보유량은,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에 구비된 필터의 수명과 관련된 정보로, 필터가 소모되고 남은 필터 보유량 정보이다. 즉, 잔여 필터 보유량은, 필터가 앞으로 소모될 수 있는 보유량의 잔량이다.
일 예로서,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가 특정 구동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서로 다른 두 시점은, 특정 구동 모드로 구동 되기 전 시점인 제1 시점, 및 특정 구동 모드로 구동을 종료한 후 시점인 제2시점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를 '1단'에서 '100분' 동안 구동하는 경우,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의 제1시점에 수신된 잔여 필터 보유량이 50%이고, 제2시점에 수신된 잔여 필터 보유량이 48%라고 가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필터의 잔여 필터 보유량을 기반으로, 필터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예와 같이,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의 제1시점에 수신된 잔여 필터 보유량이 50%이고, 제2시점에 수신된 잔여 필터 보유량이 48%인 경우, 제어부(130)는, '1단'에서 '100분' 동안 구동 하는 경우, 필터 소모량은 2%로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필터 소모량을 산출하는 일 예로, 다른 요인(factor)이 있는 경우 이들을 고려하여 필터 소모량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필터 소모량은,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가 잔여 보유량 정보 뿐 만 아니라, 구동에 따른 필터 소모량을 산출 및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는 특정 구동 모드로 특정 시간동안 구동된 경우 소모된 필터 소모량 정보를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부(130)는, 수집된 구동 히스토리 정보로부터 구동 모드 각각에서의 단위 필터 당 필터 소모량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수집된 구동 히스토리 정보는, 다양한 기준을 근거로 그룹화되어 존재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로부터 수집된 구동 히스토리 정보가 그룹화된 데이터 테이블로 저장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예를 들어, 공기 청정기 A 내지 공기 청정기 G)로부터 수신한 구동 히스토리 정보들이 데이터 테이블로 존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히스토리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테이블은,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가 구동된 구동 모드, 상기 구동 모드로 구동된 시간, 상기 구동 시간동안 필터 소모량, 상기 필터 소모 결과 잔여 필터 보유량,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 주변의 오염도 정보,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의 평균 교체 주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룹화된 구동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준을 근거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의 단위 필터 당 필터 소모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구동 모드를 기준으로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을 산출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30)는,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로부터 수집된 구동 히스토리 정보가 복수의 구동 모드를 기준으로 그룹화되도록 데이터 수집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그룹화된 구동 히스토리 정보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동 모드 각각에서의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310).
이때, 제어부(130)는, 구동 모드를 기준으로 그룹화된 구동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필터 소모량의 평균을 이용해서, 구동 모드 별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구동 모드가 '1단'에서 동작한 공기 청정기 A와 공기 청정기 E의 구동 히스토리 정보를 기반으로, 구동 모드 '1단'에서의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청정기 A는 구동 모드 '1단'에서 '100시간' 동안 '1%'의 필터를 소모한 반면, 공기 청정기 E는 구동 모드 '1단'에서 '400시간' 동안 '4%'의 필터를 소모하였다. 따라서 제어부(130)가, 이들의 평균 값을 산출한 결과,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의 구동 모드 '1단'에서 단위 시간(예를 들어, 1시간) 당 0.01%를 소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구동 모드 '2단'에서 동작한 공기 청정기 C, 공기 청정기 D 및 공기 청정기 F의 평균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은 0.02이다. 한편, 구동 모드 '3단'에서 동작한 공기 청정기 B, 공기 청정기 G의 평균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은 0.04이다
다른 실시 예로서, 제어부(130)는,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로부터 수집된 구동 히스토리 정보 중 오염도 정보를 기준으로 필터 소모량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되는 오염도 정보는,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가 배치된 장소에서 대기의 오염 정도를 의미한다.
제어부(130)는,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 중 타겟 공기 청정기(200)가 배치된 장소의 오염도 정보와 유사한 오염도 정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에서의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 정보를 기반으로,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 정보를 산출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제어부(130)는,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로부터 수집된 구동 히스토리 정보 중 잔여 필터 보유량 정보를 기준으로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청정기의 필터가 보유한 잔여 필터 보유량에 따라, 필터 소모량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공기 청정기의 공기 정화력(또는 공기 정화 성능)은, 잔여 필터 보유량이 적은 공기 청정기의 경우, 잔여 필터 보유량이 많은 공기 청정기 보다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잔여 필터 보유량의 정도에 따라 필터 소모량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로부터 수집된 구동 히스토리 정보 중 잔여 필터 보유량이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잔여 필터 보유량과 유사한 정보를 가지는 구동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적어도 두개의 정보를 조합하여,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오염도의 정도와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에서의 구동 모드 정보를 조합하여 단위 시간당 필터 소모량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공기 청정기 C와 공기청정기 E는 구동 모드 '2단'으로 구동되었고, 각각의 공기 청정기의 오염도 정보는 '2'이다. 제어부(130)는 오염도 및 구동 모드를 조합하여 단위 시간당 필터 소모량이 산출하는 경우, 오염도 2및 구동모드 '2단'에서의 단위 시간당 필터 소모량은, 공기 청정기 C와 E의 평균 값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오염도 2에서의 구동모드 2단으로 구동 하는 경우, 산출된 단위 시간당 필터 소모량은0.019이다.
나아가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의 구동 히스토리 정보는, 공기 청정기의 성능을 나타내는 청정도 지수, 또는 성능도 지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제어부(130)는, 구동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구동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오염도 정보, 및 필터의 평균 교체 주기 정보의 우선 순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이는 타겟 공기 청정기(200)와 가장 유사한 환경에 배치된 정보 수집 대상 공치 정청기의 구동 히스토리 정보를 고려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필터 평균 교체 주기는,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의 필터가 교체된 이력이 있는 경우, 그 주기의 평균을 산출하여 저장한 정보이다. 제어부(130)는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 중 평균 교체 주기 정보가 비슷한 데이터를 필터 소모량 정보를 추출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가중치를 설정하는 방법은, 제어부(130)가,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 정보를 산출하는 기준에 따라, 그 가중치의 정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가 어느 정보에 가중치를 크게 설정하는지는, 어느 정보를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을 산출하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100)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산출 방법에 의해 산출된 필터 소모량에 근거하여,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필터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예측"이란, 타겟 공기 청정기가 보유한 잔여 필터 보유량을 이용하여, 특정 구동 모드에서 앞으로 얼만큼(예를 들어, 몇시간) 더 사용할 수 있는지를 연산하는 것으로서, "계산" 또는 "산출" 또는 "추출"이라는 용어 등으로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잔여 필터 보유량과 상기 산출된 상기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동 모드에서의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필터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복수의 공기 청정기들(또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필터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30)는 타겟 공기 청정기(200)로부터 잔여 필터 보유량을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2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30)는, 타겟 공기 청정기의 잔여 필터 보유량 정보 뿐만 아니라, 타겟 공기 청정기(200)가 어느 구동 모드로 몇 시간 동안 구동 되었는지를 포함하는 구동 내역,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필터 소모량 정보, 타겟 공기 청정기가 배치된 장소의 오염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5는, 타겟 공기 청정기(200)로부터 수신한 잔여 필터 보유량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 테이블을 도시한 참고 도면이다. 예를 들어, 타겟 공기 청정기(200)로부터 '14:00'에 수집한 정보에 의하면 잔여 필터 보유량은 30%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부(130)는,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잔여 필터 보유량 대비 복수의 구동 모드 각각에서의 동작 가능한 잔여 구동 시간을 계산하여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필터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S330).
여기에서,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잔여 구동 시간은,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필터 수명이 모두 소진될 때까지 필터를 구동할 수 있는 잔여 시간, 즉 타겟 공기 청정기(200) 필터의 잔여 필터 보유량을 기준으로 동작 가능한 구동 시간이다.
일 예로서, 잔여 구동 시간은,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구동 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잔여 구동 시간은 타겟 공기 청정기(200)에 구비된 팬(fan)의 회전 속도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 4로부터 산출된 구동 모드 1단으로 구동된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은 0.01%이다. 이때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잔여 필터 보유량이 30%인 경우,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을 고려하여 잔여 구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타겟 공기 청정기(200)를 구동 모드 1단으로 계속 구동하는 경우 잔여 구동 시간은 3000시간임을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 4로부터 산출된 구동 모드 2단으로 구동된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은 0.02%이다. 이때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잔여 필터 보유량이 30%인 경우,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을 고려하여 잔여 구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타겟 공기 청정기(200)를 구동 모드 2단으로 계속 구동하는 경우 잔여 구동 시간은 1500시간임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에 부착된 팬의 회전 속도가 더 느린 구동 모드 1단에서의 잔여 구동 시간이, 팬의 회전 속도가 더 빠른 구동 모드 2단에서의 잔여 구동 시간보다 더 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오염도 정보를 고려하여 잔여 구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공기 청정기가 배치된 장소의 오염도가 높을수록, 즉 대기에 더 많은 오염 물질이 포함되어 있을수록, 공기 청정기의 잔여 구동 가능 시간은 단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100)이 14:00에 수집한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오염도 정보는 '2'이다. 이 경우, 타겟 공기 청정기(200)를 구동 모드 '1단'으로 구동 시, 동작 가능한 잔여 구동 시간이 3000시간으로 산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100)이 수집한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오염도 정보가 '3'인 경우에는, 타겟 공기 청정기를 구동 모드 1단으로 구동 시, 동작 가능한 잔여 구동 시간이 2000시간으로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30)는,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구동 모드 별 구동 가능한 잔여 구동 시간을 산출 시, 오염도 정보, 잔여 필터 보유량, 필터의 평균 교체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부(130)는,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사용 패턴 및 추천 사용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타겟 공기 청정기로부터 수신된 구동 모드 변경을 기준으로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사용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공기 청정기(200)는, 14시에 1시간 동안 구동 모드 2단으로 구동 되고, 15시에 1시간 동안 구동 모드 1단으로 구동되며, 16시에 3시간 동안 구동 모드 3단으로 구동되었다. 도면에는 생략되었으나, 이러한 방식으로 하루, 즉 24시간 동안의 구동 정보를 수집하여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사용자 구동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구동 패턴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잔여 구동 시간을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로 잔여 구동 시간이 예측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추출된 구동 패턴으로,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잔여 필터 보유량 대비 사용 가능한 잔여 구동 시간을 예측 또는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14시에서 20시 사이에 타겟 공기 청정기를 사용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타겟 공기 청정기(200)는, 하루 동안 총 7시간의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며, 구동모드 "1"단에서 1시간, 구동모드 "2"단에서 2시간, 구동모드 "3"단에서 3시간 동안 구동된다.
제어부(130)는, 이러한 구동 패턴 정보가 획득되면, 획득된 구동 패턴에 따른 잔여 구동 시간을 예측(또는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앞서 도4에서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에서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된 구동 모드별 단위 시간당 필터 소모량 정보를 이용하여, 잔여 구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4에서는, 구동모드 "1"단에서의 단위 시간당 필터 소모량은 0.01%로, 구동모드 "2"단에서의 단위 시간당 필터 소모량은 0.02%로, 구동모드 "3"단에서의 단위 시간당 필터 소모량은 0.03%로 산출된 바 있다.
이와 같이, 산출된 정보를 기초로 잔여 구동 시간을 예측하면, 타겟 공기 청정기(200)가 하루 동안 소모하는 필터 소모량은 0.14%이다. 이 경우,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잔여 필터 보유량이 30%라고 하였을 때,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구동 패턴에 따른 잔여 구동시간은 약 2143시간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구동 패턴 정보에 대응되는 잔여 구동 시간을 산출함으로써,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수명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산출된 사용자 구동 패턴에 따른 잔여 구동 시간을 타겟 공기 청정기(200) 및 타겟 공기 청정기(200)와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또는 서버(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 등))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100)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추천 사용 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추천 사용 패턴에 따른 필터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100)은 오염도 정보를 비교하여 추천 구동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타겟 공기 청정기(200)에서 측정된 오염도와 유사한 오염도 정보를 갖는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의 구동 모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구동 모드 정보와 추출된 구동 모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구동 모드 정보와 상기 추출된 구동 모드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추출된 구동 모드 정보를,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추천 구동 모드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구동 모드보다 상기 추출된 구동 모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추천 구동 모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조건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i)추출된 구동 모드 정보가,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구동 모드보다 전원을 절약하는 모드인 경우, ii) 오염도 정보 대비,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구동 모드가 오염도를 정화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된 경우 등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동일한 오염도 정도에서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210)가 서로 다른 구동 모드로 구동 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각각의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들로 공기를 정화한 결과를 나타내는 청정도 지수를 비교하여 청정도가 가장 큰 구동 모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청정도 지수 정보는,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들로부터 획득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청정도 지수 정보는, 구동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청정도 지수는,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주변공기가 청정"하다고 판단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산출된 청정도 지수 중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면서, 가장 필터 소모량이 적은 구동모드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검출된 청정도가 가장 큰 구동 모드 정보, 및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면서, 가장 필터 소모량이 적은 구동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타겟 공기 청정기(200)에게 추천 모드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타겟 공기 청정기의 잔여 구동시간이 예측되는 경우, 예측된 정보는 타겟 공기 청정기에 전송되며, 전송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타겟 공기 청정기에 출력될 수 있다.
전송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시각적 및 청각적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측된 정보는 타겟 공기 청정기(200)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시각적 및 청각적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구동 모드 각각에서 예상되는 잔여 구동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예측된 필터 수명을 타겟 공기 청정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S340).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구동 모드 각각에서 예상되는 잔여 구동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예측된 필터 수명을 전자기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기기(300)의 일 예는 스마트폰으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가 공기 청정기의 예측된 필터 수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타겟 공기 청정기(200)는 구동 모드에 따라 예측된 필터 수명을 그래픽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도 6 (b)는 타겟 공기 청정기(200) 또는 전자기기(300,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PC, IoT 서버, TV 등)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그래픽 객체(40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그래픽 객체(400)는,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특정 시점(예를 들어,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는 시점)의 상태를 출력하는 제1 영역(4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410)에는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특정 시점(예를 들어, 그래픽 객체가 출력되는 시점)의 구동 모드, 오염도, 및 필터 잔여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시된 도면은 일 예로, 제1 영역(410)에 출력된 정보는, 타겟 공기 청정기(200)와 관련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30)는, 상기 제1 영역(410)에 특정 아이콘이 출력되고, 특정 아이콘을 선택(또는 터치와 같은 입력)을 통해 타겟 공기 청정기(200)와 관련된 세부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그래픽 객체(400)는, 구동 모드 별 잔여 구동 시간을 출력하는 제2 영역(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420)에는 복수의 구동 모드에 따른 예상 잔여 구동 시간을 각각의 그래픽 객체(421 내지 425)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공기 청정기(200)가 구동 모드 1단으로 구동되는 경우(421), 300시간의 잔여 구동 시간이 있음을 그래픽 객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타겟 공기 청정기(200)는, 구동 모드에 따른 예상 잔여 구동 시간을 각각 출력한 그래픽 객체(421 내지 425) 중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구동 모드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영역(420)의 일 영역에 위치한 그래픽 객체인 [모드 1: 300시간](421)을 터치하는 경우,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제어부는 구동 모드를 2단에서 1단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100)은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구동 패턴을 이용하여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필터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200)로부터,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200)에서의 구동 모드의 변경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구동 패턴을 포함하는 구동 패턴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수신된 구동 패턴 정보를 기준으로 구동 모드 별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구동 패턴으로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200)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잔여 필터 보유량 대비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필터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예측된 결과를 그래픽 객체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공기 청정기(200)는 [나의 사용 패턴: 170시간](424)과 같은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필터 수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나의 사용 패턴 객체(424)를 선택(예를 들어, 터치와 같은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구동 패턴으로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구동 모드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100)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추천 사용 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추천 사용 패턴에 따른 필터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타겟 공기 청정기(200)를 추천 구동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의 잔여 필터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디스플레이부는, 추천 구동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의 잔여 구동 시간을 그래픽 객체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공기 청정기(200)는 [추천 사용 패턴: 280시간](425)과 같은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필터 수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추천 사용 패턴 객체를 선택(예를 들어, 터치와 같은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추천 사용 패턴으로 타겟 공기 청정기(200)의 구동 모드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공기 청정기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공기 청정기를 필터 수명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공기 청정기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공기 청정기의 구동 모드 별로 데이터화하여, 공기 청정기의 구동 모드 별로 필터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터 수명을 고려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공기 청정기를 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또는 중앙 서버)
110: 통신부
120: 데이터 수집부
121: 메모리부
130: 제어부
200: 타겟 공기 청정기
210 내지 240: 정보 수집 대상 공기 청정기

Claims (10)

  1. 복수의 공기 청정기들과 통신하도록 이루어지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기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기들이 구동된 구동 모드 및 상기 구동 모드에서의 필터 소모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구동 히스토리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구동 히스토리 정보로부터, 상기 구동 모드에서의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필터 소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 모드에서 타겟 공기 청정기의 필터 수명을 예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잔여 필터 보유량과 상기 산출된 상기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 모드에서의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필터 수명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기들이 구동된 구동 모드는,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기들에 구비된 팬(fan)의 구동 정보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구동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기들로부터 수집된 구동 히스토리 정보가 상기 복수의 구동 모드를 기준으로 그룹화되도록 상기 데이터 수집부를 제어하고,
    상기 그룹화된 구동 히스토리 정보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동 모드 각각에서의 상기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구동 모드 각각에서의 필터 소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잔여 필터 보유량 대비 상기 복수의 구동 모드 각각에서의 동작 가능한 잔여 구동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필터 수명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모드는,
    제1 속도로 상기 팬이 구동되는 제1 구동 모드 및 상기 제1 속도보다 큰 제2 속도로 상기 팬이 구동되는 제2 구동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잔여 구동 시간은, 상기 제2 구동 모드 보다 상기 제1 구동 모드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구동 모드에서 예상되는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제1 잔여 구동 시간 정보 및 상기 제2 구동 모드에서 예상되는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제2 잔여 구동 시간 정보가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는 시각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제1 구동 모드 및 상기 제1 잔여 구동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그래픽 객체 및
    상기 제2 구동 모드 및 상기 제2 잔여 구동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구동 모드는, 상기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 중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구동 모드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로부터,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에서의 구동 모드의 변경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구동 패턴을 포함하는 구동 패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동 패턴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구동 모드 각각에서의 단위 시간 당 필터 소모량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구동 패턴으로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잔여 필터 보유량 대비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필터 수명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히스토리 정보는,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기들이 배치된 장소의 오염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기들 중,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가 배치된 장소의 오염도 정보와 유사한 오염도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청정기에서의 상기 단위 시간당 산출된 필터 소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필터 수명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사한 오염도 정보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청정기의 구동 모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구동 모드 정보와 추출된 구동 모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구동 모드 정보와 상기 추출된 구동 모드 정보가 상이한 경우, 상기 추출된 구동 모드 정보를, 상기 타겟 공기 청정기의 추천 구동 모드 정보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된 상기 구동 모드에서의 필터 소모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구동 모드로 구동된 구동 시간 및 상기 구동 시간 동안 소모된 필터 소모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
KR1020190150978A 2019-11-22 2019-11-22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 KR102324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978A KR102324348B1 (ko) 2019-11-22 2019-11-22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978A KR102324348B1 (ko) 2019-11-22 2019-11-22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834A true KR20210062834A (ko) 2021-06-01
KR102324348B1 KR102324348B1 (ko) 2021-11-11
KR102324348B9 KR102324348B9 (ko) 2022-04-15

Family

ID=76375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978A KR102324348B1 (ko) 2019-11-22 2019-11-22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3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892A (ko) * 2017-09-20 2019-03-2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기의 필터 잔여 수명시간 예측방법
KR20190092902A (ko) * 2018-01-31 2019-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892A (ko) * 2017-09-20 2019-03-2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기의 필터 잔여 수명시간 예측방법
KR20190092902A (ko) * 2018-01-31 2019-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348B9 (ko) 2022-04-15
KR102324348B1 (ko)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7808B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air management of a room
US107750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ir quality, and analysis server
RU2699266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контроля качества воздуха и событий, которые могут влиять на качество воздуха, и выполнения корректирующего действия
CN106457115B (zh) 空气净化器、确定过滤器更换时间的方法及确定过滤器更换时间压差的设备和方法
CN105276687B (zh) 空气净化器的清洗提示系统及清洗提示方法、空气净化器
CN109595743B (zh) 一种过滤网清洗提醒方法、装置及设备
CN205156245U (zh) 空气净化器的清洗提示系统及空气净化器
KR20130074486A (ko) 공기청정기 및 그의 필터 수명 표시 방법
CN105423499A (zh) 净化器的监测方法及装置和空气净化器
CN109074066B (zh) 优化过滤器寿命周期的方法和监测通风系统的系统
CN109114742B (zh) 控制方法、装置、空调器、遥控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CN109751725A (zh) 用于新风系统的控制方法、新风系统
TWI646420B (zh) 空調設備的濾網壽命告警系統及告警方法
CN110887157A (zh) 空调自清洁控制的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EP3282913B1 (en) Dust processing
KR102324348B1 (ko) 공기 청정기의 필터 사용 관리 시스템
CN111706954B (zh) 空调器及其自清洁控制方法
KR20210135057A (ko) 인공지능 공기정화 시스템
KR102262389B1 (ko) 공기청정기 및 이의 먼지센서 민감도 자동 변경 방법
RU2770345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индикации состояния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управления с их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KR20190030509A (ko)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기의 필터수명 예측방법
JP2011205596A (ja) 機器制御システム
CN110701758B (zh) 空气净化装置及方法
KR20170071208A (ko) 공기청정기 및 이의 성능 표시 방법
JP2008136975A (ja) 空気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