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428A - 차량용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428A
KR20210061428A KR1020217012448A KR20217012448A KR20210061428A KR 20210061428 A KR20210061428 A KR 20210061428A KR 1020217012448 A KR1020217012448 A KR 1020217012448A KR 20217012448 A KR20217012448 A KR 20217012448A KR 20210061428 A KR20210061428 A KR 20210061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holding element
bottom wall
vehic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시 켐피넨
Original Assignee
베르-헬라 테르모콘트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르-헬라 테르모콘트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르-헬라 테르모콘트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61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4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the force sensing means being located peripherally, e.g. disposed at the corners or at the side of a touch sensing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5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haptic 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B60K37/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99Information management for avoiding mal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91Housings
    • B60K2370/1438
    • B60K2370/158
    • B60K2370/199
    • B60K2370/69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2003/008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with a haptic or a tactile feedback controlled by electrical means, e.g. a motor or magnetofri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차량용 조작장치(10)에는 개구 에지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수용개구(16)를 갖는 전방면(14)과 후방벽(22)을 구비한 하우징(12)과, 개구 에지에서 이격되어 수용개구(16) 내에 배치되어 있고 조작표면(20)을 갖고, 조작표면(20)을 갖는 전방면, 후방면, 및 경계 에지 영역(34)을 구비하고 있는 조작요소(18)가 제공된다. 조작장치(10)는 바닥벽(28)과 지지부(30)를 갖고, 지지부는 바닥벽(28)에서 돌출되어 조작요소(18)의 경계 에지 영역(34) 아래에서 끝나고, 지지부는 경계 에지 영역(34)에서 조작요소(18)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홀딩요소(26)를 더 포함한다. 홀딩요소(26)의 바닥벽(28)은 지지부(30)와 이격된 중앙영역을 갖고, 중앙영역 내에서 홀딩요소(26)의 바닥벽(28)은 하우징(12)의 후방벽에 대하여 지지된다. 조작요소(18)를 손으로 작동하는 것이 복수의 작동센서(60)에 의해 검출되고, 이 작동센서는 홀딩요소(26)의 바닥벽(28)의 중앙영역을 둘러싸는 주변영역 내에서 하우징(12)의 후방벽과 홀딩요소(26)의 바닥벽(28)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2)의 후방벽에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평가유닛(62)은 미리 정할 수 있는 최소 가압력으로 실행되는 조작요소(18)를 손으로 작동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해 작동센서(6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평가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조작장치
본 발명은 2018년10월17일자 독일특허출원 10 2018 125 769.4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내용은 본 특허출원의 내용에 참고로 통합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조작장치, 예를 들어 공기조화시스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같은 차량 요소용 조작장치, 및 일반적으로 휴먼-머신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 디스플레이의 애플리케이션은 동시에 터치표면 형태의 입력요소인데 점점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살짝 터치하면 작동되는 이러한 터치 디스플레이는 우연히 작동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이 안전에 관련된 기능을 작동시키거나 아니면 차량기능을 의도와 다르게 조정하는 것을 초래하면, 큰 문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경우에, 조작자가 조작필드에서 대응하는 영역에서 누르는 힘을 검출하거나 측정하기 위해 별도의 감지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런식으로, 살짝 터치하는 것 때문에 실질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견고한(rigid) 조작표면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힘을 감지하는 저항, 스트레인 게이지, 광학 센서 또는 용량성 센서를 감지 시스템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보통 센서는 스프링 요소의 편향을 통해, 요소의 견고한 부분에 대하여 조작표면이 커버하는 거리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표면은 보통 하우징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독일공보 DE-B-10 2016 002 021, DE-A-10 2016 108 899 및 유럽공보 EP-A-2 224 313에, 탄성적으로 장착된 조작요소를 갖는 조작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술한 원리는 견고한 하우징부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복잡한 메커니즘을 요구한다. 나아가, 하나 이상의 스프링 요소가 필요하며, 이는 전체 시스템을 훨씬 더 비싸게 만든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를 손으로 작동하는 동안 릴리스 힘을 측정하도록 구조를 간단하게 만든 차량용 조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용 조작장치로서,
- 개구 에지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수용개구를 갖는 전방면과 후방벽을 구비한 하우징과,
- 개구 에지에서 이격되어 수용개구 내에 배치되어 있고 조작표면을 갖고, 조작표면을 갖는 전방면, 후방면, 및 경계 에지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조작요소와,
- 바닥벽과 지지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닥벽에서 돌출되어 상기 조작요소의 경계 에지 영역 아래에서 끝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작요소의 경계 에지 영역에서 상기 조작요소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홀딩요소를 포함하고,
- 상기 홀딩요소의 바닥벽은 상기 지지부와 이격된 중앙영역을 갖고, 상기 중앙영역 내에서 상기 홀딩요소의 바닥벽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벽에 대하여 지지되고,
- 조작요소를 손으로 작동하는 것을 검출하는 복수의 작동센서로서, 상기 홀딩요소의 바닥벽의 중앙영역을 둘러싸는 주변영역 내에서 하우징의 후방벽과 상기 홀딩요소의 바닥벽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벽에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요소를 손으로 작동할 때 상기 중앙영역을 둘러싸는 홀딩요소의 주변영역 내에 상기 홀딩요소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를 검출하는, 복수의 작동센서와,
- 미리 정할 수 있는 최소 가압력으로 실행되는 조작요소를 손으로 작동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작동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평가하는 평가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조작장치를 제안한다.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서는 조작요소의 조작표면이 어떤 가압력으로 작동하는지를 감지하는 대응하는 작동센서에 가압력을 전달하기 위해 조작요소를 지지하는 홀딩요소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홀딩요소는 바닥벽을 포함하는 홈통(trough) 형상 또는 우물형상의 요소로 거의 구성되며, 바닥벽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모든 에지섹션에서 지지부가 돌출된다. 특히, 바닥벽은 외주 돌출 주위벽을 포함하며, 이는 편리하게 마찬가지의 주위 플랜지로 합쳐진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지지부는 바닥벽의 각각의 에지섹션을 따라 바닥벽에서 돌출되는 측벽섹션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이격된 각각의 지지부는 바람직하게 모든 에지섹션에서 바닥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지지부는 조작요소의 경계 에지 영역 내의 조작요소에 결합된다. 조작요소 자체는 정면을 형성하는 조작표면, 후면 및 앞서 언급한 외주 경계 에지 영역을 갖는다.
홀딩요소 자체는 수용개구를 갖는 정면을 포함하는 조작장치의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수용개구는 개구 에지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고 수용개구 내에 조작요소가 배치된다. 하우징은 후방벽을 더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하우징은 또한 측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장치의 특성은 홀딩 요소가 바닥벽의 중앙영역에서 하우징의 후방벽에 견고히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후방벽은 바닥벽의 중앙 영역에서 홀딩요소를 지지한다. 중앙영역의 외부에서, 즉 바닥벽의 중앙영역의 주변 영역에서, 홀딩요소는 하우징의 후방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링 갭이 홀딩요소와 후방벽 사이에 형성된다.
조작요소의 조작표면이 손으로 작동되는 경우, 홀딩요소와 특히 그 바닥벽은 굽힘 모멘트를 겪는다. 조작요소의 조작표면을 손으로 누르는데 사용되는 힘은 조작요소의 경계 에지 영역을 통해 바닥벽에 전달되고 지지부는 경계 에지 영역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바닥벽이 중앙에 장착되어 있고 하우징의 후방벽에 대하여 갭을 갖도록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벽은 외팔보 굽힘 보로서 변형되어 각각의 굽힘 모멘트를 수용할 수 있다. 굽힘 모멘트가 바닥벽의 중앙영역 주위의 주변 영역과 하우징의 후방벽 사이에 위치한 작동 센서에 전송된다. 작동센서는 위치센서 및/또는 힘센서 및/또는 압력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MEMS 요소(마이크로-전자-기계 센서)가 적합하다. 작동센서의 측정신호는 특히 대응하는 하드웨어 구성을 갖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평가유닛에 전송된다. 작동센서의 측정신호는 손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유효하다는 것을 인식하기 위해, 즉, 미리정할 수 있는 최소의 가압력으로 수행되는 조작요소의 작동을 인식하기 위해 평가유닛에서 평가된다. 따라서, 조작요소가 잘못 조작되는 경우를 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장치는 컴팩트한 디자인이 특징이다. 하우징의 후방벽에 홀딩요소를 전단 연결(shear connection)시킴으로써, 선택적으로 바람직한 조작장치의 피드백을 위해 홀딩요소와 조작요소 사이에 액추에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요소를 펄스방식으로 기계적으로 촉진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조작요소를 측면에서 펄스방식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액추에이터는 한편으로는 홀딩요소에 의해 지지되고, 이는 촉각수단에 의해 손으로 감지될 수 있고 따라서 조작요소의 유효한 작동에 대하여 촉각으로 피드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평가유닛은 또한 조작요소를 손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실행되는 조작요소의 조작표면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서 작동센서의 신호를 평가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조작요소는 조작요소를 손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실행되는 조작요소의 조작표면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 터치 센싱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싱 시스템은 용량성, 저항식 또는 광학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만일 MEMS가 사용되면, 조작요소의 조작표면을 손으로 작동시킬 때 홀딩요소의 바닥벽에 가해지는 굽힘모멘트는 굽힘 보, 굽힘 멤브레인 등등에 전달될 수 있고, MEMS의 마이크로-기계 요소의 기계적인 굽힘은 트랜지스터 또는 저항 측정 브리지 또는 다른 마이크로-기계, 마이크로-전기 요소에 의해 검출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구조로서, 지지부와 조작요소의 경계 에지 영역은 서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미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조작장치는 햅틱 피드백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는 유효한 작동이라고 감지했을 때 조작표면을 기계적으로 자극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조작요소는 홀딩요소와 함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우징의 후방벽에 조작요소의 홀딩요소를 전단 연결시키는 개념에서, 조작요소는 목적상 홀딩요소의 지지부에 탄성적으로 그리고 탄력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데 햅틱 피드백 기능을 위한 기계적인 여기를 위해 남겨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변형예는, 지지부와 조작요소의 경계 에지 영역이 사이에 배치된 탄성 연결 요소에 의해 기계적으로 서로 결합되는 것을 제안한다.
연결요소가 조작요소의 조작표면에 직각으로 압축된 후 탄성이 있거나, 조작요소가 직교하도록 이동될 때 탄성적으로 전단가능하면 매우 바람직하다.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탄성중합체 물질이 연결요소용 물질로서 적합하다. 연결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경계 에지 영역을 따라 연장하고 홀딩요소의 지지부에 경계 에지 영역을 기계적으로 결합시키는 스트립 물질로서 디자인된다.
스트립 재료의 기하학적 형상 때문에, 조작표면에 직교하고 조작표면을 횡단하는 탄성은 특정 한도 내에서 영향을 받는다. 또한, 복합 재료 즉, 탄성중합체 재료와 탄성중합체 재료에 삽입된 단단한 바디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로써 조작표면에 직교하는 압축성을 크게 줄이거나 완전히 제거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작표면을 횡단하는 연결요소의 전단력을 계속 보장한다.
앞서 설명한 홀딩요소에 조작요소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개념에 의해, 홀딩요소와 조작요소 사이에 햅틱 피드백용 액추에이터를 배치할 수 있고, 액추에이터는 홀딩요소에서 (그리고 홀딩요소에 의해 하우징에서) 지지되고, 액추에이터 요소에 의해 조작요소를 기계적으로 자극한다. 적절한 액추에이터는 예를 들어 타이 로드 또는 압전 액추에이터(앰플리케이션 기어를 갖거나 갖지 않음)와 같은 전자-기계 액추에이터이다.
추가적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조작요소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조작요소의 조작표면을 형성하는 전방면을 갖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는 커버창 뒤에 배치된 정보의 광학적 디스플레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을 가지고 조작표면을 형성하는 커버창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를 갖는 조작요소의 구성에서, 커버창은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서 사방으로 돌출되며, 돌출영역은 조작요소의 경계 에지 영역을 형성한다.
오늘날 조작장치에서 주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는 LCD 기술과 함께 한다.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보다 잘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장치에서 조작요소를 지지하는 홀딩요소는 편리하게 백라이트 유닛을 수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으로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필요가 있을 때 개별 픽셀이 자동으로 켜지는 디스플레이도 사용할 수 있다. LCD 기술과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는 일종의 셔터로 구성되지 않고, 조명을 위해 능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개별 픽셀을 갖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에 대한 예시로서 예를 들면 OLED 디스플레이가 있다. 개별 픽셀을 조명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는 백라이트 유닛이 필요없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에서, 홀딩요소는 디스플레이의 후방면을 기계적으로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은 또한 디스플레이가 홀딩요소가 수용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홀딩요소에 의해 충족된다. 두 경우에, 홀딩요소는 디스플레이의 후방면을 어느 정도 커버한다.
손으로 작동시 조작요소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전달하기 위해 홀딩요소를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개념은 모든 경우에 동일하다.
아래에서, 도면을 참고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장치의 구조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2는 조작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조작장치의 조작요소의 조작표면에 손가락으로 압력을 가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조작요소의 조작표면을 유효하게 작동한 경우 그 결과로서 조작요소가 기계적인 펄스 방식으로 측면방향으로 여기되는 상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장치(10)의 기본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조작장치(10)는 전방면(14)에 수용개구(16)를 갖는 하우징(12)을 포함하고, 조작표면(20)을 갖는 조작요소(18)가 전방면 내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은 후방벽(22)을 더 포함하고, 후방벽은 측벽(24)에 의해 하우징(12)의 전방면(14)에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우물 형태로 되어 있는 홀딩요소(26)가 하우징(12) 내에 배치되어 있고, 홀딩요소(26)는 바닥벽(28)을 포함하고, 바닥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지지부(30)들이 위쪽으로 바닥벽(28)의 모든 측면에서 돌출하고, 지지부(30)들은 바깥으로 향하는 장착 플랜지(32)로 합쳐진다. 장착 플랜지(32)는 조작요소(18)의 주변경계 에지 영역(34)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조작요소(18)는 디스플레이(36)로서 구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36)는 커버창(38)을 포함하고, 커버창의 전방면은 조작요소(18)의 조작표면(20)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 유닛(40)(예를 들어 LCD 기술로 구현됨)은 커버창(38) 뒤에 배치된다. 또한, 디스플레이(36)는 터치패널(42) 형태의 터치 센싱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선행기술로 널리 알려져 있어서 여기에서는 더 설명하지 않겠다.
커버창(38)의 주변경계 에지 영역(34)에서, 커버창이 장착 플랜지(32)에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는 연결요소(44)에 의해 달성되며, 이 실시예에서 연결요소는 장착 플랜지(32)를 따라 연장하는 탄성중합체 밴드의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연결요소는 장착 플랜지(32)에 그리고 커버창(38)에 전단(shear)방식으로 접합되어 있다.
디스플레이(36)에 백라이트 조명을 비추는 백라이트 유닛(46)이 우물 형상의 홀딩 요소(26) 내에 배치되고, 백라이트 유닛(46)은 광학 도파관 요소(48)와, 디스플레이(36) 쪽으로 광학 가이드 요소(48)에 의해 방출되는 빛을 균질화시키기 위한 디퓨저(50)를 갖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광학 도파관 요소(48)에는 지지요소의 내측에서 광원(52)으로설치된 LED에 의해 빛이 공급된다. 이러한 기술은 또한 기본적으로 알려진 기술이며, 여기에서는 더 설명하지 않겠다.
도 1에 따른 조작장치(10)의 특징은 하우징(12)의 후방벽(22)에 홀딩 요소(26)를 견고히 연결시킨 것에서 볼 수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바닥벽(28)의 중앙영역(54)은 하우징(12)의 후방벽(22)에 연결되어 있다. 바닥벽(28)의 주변영역(56)은 중앙영역(54)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연장되는데, 하우징(12)의 후방벽(22)에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갭 공간(58) 참고). 이러한 중간 공간에서, 작동센서(60)는 바람직하게 바닥벽(28)의 코너영역에 위치하며, 이는 도 2에서 볼 수 있다.
작동센서(60)는 측정신호를 평가유닛(62)에 전송하고, 평가유닛은 디스플레이(36)의 터치 센싱 시스템(터치 패널(4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조작표면(20)을 손으로 작동시에 조작표면(20)에 대하여 유효한 조작인지를 결정하는 최소의 가압력이 조작표면(20)에 가해졌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작동센서(60)의 신호를 평가유닛(62)에서 분석한다.
나아가, 조작장치(10)는 햅틱 피드백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해, 조작장치(10)는 전자기 액추에이터요소로서 또는 압전 액추에이터로서 구성된 액추에이터(64)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64)이 목적은 조작요소(18)의 유효한 작동을 검출했을 때 기계적인 펄스와 같은 방식으로 조작요소(18)를 측면에서 여기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탄성 연결요소(44)가 사용되는데, 특히, 한편으로는 조작요소(18)로부터 홀딩요소(26)를 거쳐 작동센서(60)로 힘 또는 모멘트가 전달되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측면으로 작용하는 전단을 허용한다.
이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유효한 작동에 필요한 최소의 가압력으로 조작표면(20)을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순간의 상황을 나타낸다. 작동센서(60)는 가압력을 감지한다. 가압력이 최소의 가압력보다 큰 경우, 평가유닛(62)은, 도 4에서 화살표(66)로 표시된 것처럼 기계적인 펄스형태로 조작요소(18)를 측면에서 여기시키는 액추에이터(64)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도 3은 집중되지 않은 압력을 조작표면(20)에 손으로 인가하는 경우, 조작표면(20)의 터치포인트의 반대편에 있는 작동센서(60)(즉, 하나 또는 두 개의 터치센서(60)가 도 3의 우측에 도시됨)가 홀딩요소(26)와 여전히 접촉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압력 센서 또는 힘 센서가 작동센서(60)로 사용되는 경우 유용할 것이다. 위치 센서가 작동센서(60)로 사용되면, 조작요소가 안착된 상태에서, (센서가 하우징(12)의 후방벽(22)에 설치되어 있을 때에는) 센서와 홀딩요소(26)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거나 존재할 수 있고, 또는 (센서가 홀딩요소(26)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있을 때에는) 센서와 후방벽(22)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거나 존재할 수 있다.
조작표면(20)이 터치될 때 미리 정의할 수 있는 최소 가압력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조작요소(18)가 손으로 작동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작동센서(60)가 사용될 수 있다. 조작표면(20)에 대하여 손으로 가해지는 압력의 힘은, 조작표면(20)에 작용하는 위치에 따라 여러 작동센서(60)들의 크기가 다른 측정신호의 역할을 한다. 공지된 적절한 조정기술을 통해서, 조작표면(20)의 손으로 작동되는 위치를, 측정 신호의 패턴에 따라 추정할 수 있다.
10 조작장치
12 하우징
14 하우징의 전방면
16 전방면 내의 수용개구
18 조작요소
20 하우징의 조작표면
22 하우징의 후방벽
24 하우징의 측벽
26 홀딩요소
28 홀딩요소의 바닥벽
30 홀딩요소의 지지부
32 지지부의 장착 플랜지
34 조작요소의 경계 에지 영역
36 디스플레이
38 디스플레이의 커버창
40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유닛
42 디스플레이의 터치패널
44 연결요소
46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닛
48 백라이트 유닛의 광 도파관 요소
50 백라이트 유닛의 디퓨저
52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
54 바닥벽의 중앙영역
56 중앙영역 주변영역
60 작동센서
62 평가유닛
64 액추에이터
66 화살표

Claims (13)

  1. 차량용 조작장치로서,
    - 개구 에지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수용개구를 갖는 전방면(14)과 후방벽(22)을 구비한 하우징(12)과,
    - 개구 에지에서 이격되어 수용개구(16) 내에 배치되어 있고 조작표면(20)을 갖고, 상기 조작표면(20)을 갖는 전방면, 후방면, 및 경계 에지 영역(34)을 구비하고 있는 조작요소(18)와,
    - 바닥벽(28)과 지지부(30)를 갖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닥벽(28)에서 돌출되어 상기 조작요소(18)의 경계 에지 영역(34) 아래에서 끝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경계 에지 영역(34)에서 상기 조작요소(18)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홀딩요소(26)를 포함하고,
    - 상기 홀딩요소(26)의 바닥벽(28)은 상기 지지부(30)와 이격된 중앙영역을 갖고, 상기 중앙영역 내에서 상기 홀딩요소(26)의 바닥벽(28)은 상기 하우징(12)의 후방벽에 대하여 지지되고,
    - 조작요소(18)를 손으로 작동하는 것을 검출하는 복수의 작동센서(60)로서, 상기 홀딩요소(26)의 바닥벽(28)의 중앙영역을 둘러싸는 주변영역 내에서 상기 하우징(12)의 후방벽과 상기 홀딩요소(26)의 바닥벽(28)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2)의 후방벽에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요소(18)를 손으로 작동할 때 상기 중앙영역을 둘러싸는 홀딩요소(26)의 주변영역 내에 상기 홀딩요소(26)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를 검출하는, 복수의 작동센서(60)와,
    - 미리 정할 수 있는 최소 가압력으로 실행되는 조작요소(18)를 손으로 작동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작동센서(6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평가하는 평가유닛(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유닛(62)은, 상기 조작요소(18)를 손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실행되는 조작요소(18)의 조작표면(20) 상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 작동센서(60)의 신호를 추가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요소(18)는, 상기 조작요소(18)를 손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실행되는 상기 조작요소(18)의 조작표면(20) 상의 위치를 인식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싱 시스템은 용량성으로, 저항식으로, 또는 광학식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와 상기 조작요소(18)의 경계 에지 영역(34)은 서로 견고히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와 상기 조작요소(18)의 경계 에지 영역(34)은 사이에 배치된 탄성연결요소(44)에 의해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소(44)는 상기 조작요소(18)의 조작표면(2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축후에 탄성적으로 작동하고, 상기 조작요소가 조작표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위치가 변경될 때 탄성적으로 전단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요소(18)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조작요소(18)의 조작표면(20)을 형성하는 전방면을 갖는 디스플레이(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36)는 커버창(38)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창은 상기 커버창(38) 뒤에 배열되어 정보를 광학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40)을 가지고 조작표면(20)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창(38)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0) 상에서 사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되는 영역은 상기 조작요소(18)의 경계 에지 영역(3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요소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0)에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46)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장치.
  12. 제6항 또는 제6항 및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6항에 인용될 때, 상기 평가유닛(62)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상기 조작요소(18)가 상기 조작요소(18)에 대한 기계적인 작용에 의해서 미리정해진 최소 가압력으로 작동될 때 촉각 피드백을 생성하는 액추에이터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센서(60)는 위치센서 및/또는 힘센서 및/또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작장치.
KR1020217012448A 2018-10-17 2019-07-31 차량용 조작장치 KR202100614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25769 2018-10-17
DE102018125769.4 2018-10-17
PCT/EP2019/070595 WO2020078600A1 (de) 2018-10-17 2019-07-31 Bedien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428A true KR20210061428A (ko) 2021-05-27

Family

ID=67587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448A KR20210061428A (ko) 2018-10-17 2019-07-31 차량용 조작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69188B2 (ko)
EP (1) EP3867732B1 (ko)
JP (1) JP7397864B2 (ko)
KR (1) KR20210061428A (ko)
CN (1) CN112840296A (ko)
ES (1) ES2957708T3 (ko)
WO (1) WO20200786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17200A1 (de) * 2020-06-30 2021-12-30 Marquardt Gmbh Bedienelement mit einer Bedienoberfläche und einem Vibrationsaktuator zur Erzeugung einer lokal festgelegten Vibration auf der Bedienoberfläch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76732A4 (en) 2007-07-11 2012-02-29 Eui Jin Oh DATA INPUT DEVICE BY FINGER DISPLACEMENT DETECTION AND RELATED INPUT METHOD
US8169332B2 (en) * 2008-03-30 2012-05-01 Pressure Profile Systems Corporation Tactile device with force sensitive touch input surface
EP2224313B1 (en) 2009-02-27 2012-12-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Touch-sensitive display including a force-senso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WO2013041520A1 (de) * 2011-09-22 2013-03-28 Behr-Hella Thermocontrol Gmbh Bedienvorrichtung, beispielsweise ein mensch-maschine-interface, insbesondere für eine fahrzeugkomponente
JP6200361B2 (ja) 2014-03-25 2017-09-20 株式会社フジクラ 感圧センサ及び入力装置
DE102015200037A1 (de) * 2015-01-05 2016-07-0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edienvorrichtung mit verbesserter haptischer Rückmeldung
DE102015100630B4 (de) * 2015-01-16 2016-10-20 Preh Gmbh Bedienelement mit Kraftsensoren zur berührbereichsauflösender Berührdetektion bei Krafteinwirkung auf eine Betätigungsfläche
DE102016002021B3 (de) 2016-02-20 2017-07-20 Audi Ag Kraftfahrzeug-Bedienvorrichtung mit federnd gelagertem Betätigungselement und Bedienhaptik
DE102016108899A1 (de) 2016-05-13 2017-11-1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Kombiniertes Ein- und Ausgabegerät und Verfahren zur Bedienung eines Ein- und Ausgabegerätes
EP3309966A1 (de) * 2016-10-17 2018-04-18 RAFI GmbH & Co. KG Kapazitive schalt-vorrichtung
US10678364B2 (en) 2017-03-23 2020-06-09 Immersion Corporation System for providing sensor and actuation functionality for touch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840296A (zh) 2021-05-25
JP2022507010A (ja) 2022-01-18
US20220197462A1 (en) 2022-06-23
JP7397864B2 (ja) 2023-12-13
EP3867732A1 (de) 2021-08-25
US11669188B2 (en) 2023-06-06
WO2020078600A1 (de) 2020-04-23
ES2957708T3 (es) 2024-01-24
EP3867732B1 (de)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13607B (zh) 用于运载工具的操作装置
US10229795B2 (en) Operating unit for an electrical apparatus
US20120019463A1 (en) Input Device
US8773363B2 (en) Control module for an automotive vehicle using a touch sensor
RU2008136195A (ru)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защитной панелью
KR102035653B1 (ko) 전기 장치용, 특히 차량 부품용 작동 유닛
US11016571B2 (en) Operator control unit for a device
TW200706417A (en) Integrated touch screen control system for automobiles
KR20210061428A (ko) 차량용 조작장치
KR102290051B1 (ko) 차량용 입력장치
CN108944737A (zh) 用于机动车辆的控制面板中的滑动接触控制单元
CN113396078B (zh) 用于车辆的操作装置
CN217347505U (zh) 具有操作表面和用于在该操作表面上产生局部受限振动的振动致动器的操作元件
US10418992B2 (en) Operating unit for an electrical apparatus employing both tilt and pivot sensors
CN110998500A (zh) 操作检测装置
KR101471843B1 (ko) 개량된 입력구조를 갖는 차량용 센터페시아 장치
JP7496317B2 (ja) 車両用操作装置
CN110506250B (zh) 用于机动车的触敏操作设备和用于运行触敏操作设备的方法
JP7227955B2 (ja) 工業用操作パネル
WO2016006216A1 (ja) 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用いた入力装置
EP3144948A1 (en) Handheld push-button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