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971A -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모터 - Google Patents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971A
KR20210060971A KR1020190148629A KR20190148629A KR20210060971A KR 20210060971 A KR20210060971 A KR 20210060971A KR 1020190148629 A KR1020190148629 A KR 1020190148629A KR 20190148629 A KR20190148629 A KR 20190148629A KR 20210060971 A KR20210060971 A KR 20210060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piezoelectric
guide rail
ultrasonic motor
piezoelectric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1024B1 (ko
Inventor
정현호
장기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전
Priority to KR1020190148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024B1/ko
Publication of KR20210060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rotary motion, e.g. rotary motors
    • H02N2/12Constructional details
    • H02N2/123Mechanical transmission means, e.g. for gearing
    • H02N2/126Mechanical transmission means, e.g. for gearing for conversion into linear motion

Landscapes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모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를 접하여 상기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탄성몸체부와, 상기 탄성몸체부의 상면에 상기 탄성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 1압전부와, 상기 제 1압전부와 평행하게 상기 탄성몸체부에 고정되는 제 2압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압전부와 상기 제 2압전부는 전기적신호의 위상차가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모터{A Ultrasonic Motor Using Piezoelectric}
본 발명은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형으로 이동가능한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형의 전자기력 모터는 자석과 코일의 자기력을 이용하므로 보조기구 없이는 정밀한 위치제어가 용이하지 않다. 이로 인해 선형의 전자기력 모터는 정밀한 위치제어를 위해 기어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게 되므로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 진다.
그리고 회전형 모터를 이용하여 직선운동을 얻어내는 선형기구물도 마찬가지로 기어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며, 정지신호가 들어갔을 때 응답속도가 느리고 소형화되었을 때 효율이 떨어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지 않는 선형모터로는 압전세라믹을 이용하는 초음파모터가 있다. 이러한 초음파모터는 20kHz 이상의 주파수로 압전세라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압전세라믹에서 발생하는 미세변위를 이용하여 기계적힘을 얻어내는 장치이다.
이때, 압전세라믹의 변위는 분자들의 변위를 합하여 움직이고자 하는 변위의 크기를 결정하므로 모터의 크기와 형상을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압전세라믹의 미소한 변위를 이용하여 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변위확대기구를 포함해야 한다. 변위확대기구는 종방향 진동과 횡방향 진동을 이용한 변위확대기구가 있다.
종방향 진동모드를 이용한 압전진동자는 다층의 압전세라믹 또는 단층의 압전세라믹에 봉 또는 사각보 형태의 금속과 같은 탄성체를 변위를 얻고자 하는 방향으로 부착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즉, 종방향 진동모드를 이용한 압전진동자는 탄성체의 종방향 공진주파수에 의해 진동하는 압전세라믹을 이용하는 장치로 응답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압전진동자는 종방향의 진동만을 이용하므로 변위가 작은 단점이 있다.
횡방향 진동모드를 이용한 압전진동자는 판형태로 된 금속과 같은 탄성체의 한쪽 면에 압전세라믹을 부착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즉, 횡방향 진동모드를 이용한 압전진동자는 탄성체의 횡방향 공진주파수에 의해 진동하는 압전세라믹을 이용하는 장치로 변위가 비교적 큰 장점이 있지만 응답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다.
특히, 단순한 종방향 진동이나 횡방향 진동을 이용한 압전진동자의 경우에는 변위의 방향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므로 모터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 10-1225008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의 이동변위가 큰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모터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를 접하여 상기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탄성몸체부와, 상기 탄성몸체부의 상면에 상기 탄성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 1압전부와, 상기 제 1압전부와 평행하게 상기 탄성몸체부에 고정되는 제 2압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압전부와 상기 제 2압전부는 전기적신호의 위상차가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몸체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를 접하여 상기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 1탄성몸체부와,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타측에 상기 제 1탄성몸체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 2탄성몸체부와, 상기 제 1탄성몸체부의 상면에 상기 탄성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 1-1압전부와, 상기 제 1-1압전부와 평행하게 상기 제 1탄성몸체부에 고정되는 제 1-2압전부와, 상기 제 2탄성몸체부의 상면에 상기 제 2탄성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 2-1압전부와, 상기 제 2-1압전부와 평행하게 상기 제 2탄성몸체부에 고정되는 제 2-2압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1압전부와 상기 제 1-2압전부에 인가되는 전기적신호의 위상차는 90도이며, 상기 제 2-1압전부와 상기 제 2-2압전부에 인가되는 전기적신호의 위상차는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몸체부의 이동이 상기 제 1압전부에 인가되는 전원은 Vsinθ 이고, 상기 제 2압전부에 인가되는 전원은 Vcosθ 인 경우 정방향으로, 상기 제 1압전부에 인가되는 전원은 Vsinθ 이고, 상기 제 2압전부에 인가되는 전원은 -Vcosθ 인 경우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타측에는 롤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모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탄성몸체부의 상면에 압전자를 탄성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설치하고 각각에 입력되는 신호를 90도의 위상차가 발생하도록 입력하여, 탄성몸체부의 이동 즉 초음파모터의 이동이 증폭되어 동작이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모터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모터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제 2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모터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제 1실시예의 정방향의 이동에 대한 신호의 인가시 변화를 보인 도면.
도 6은 도 1의 제 1실시예의 역방향의 이동에 대한 신호의 인가시 변화를 보인 도면.
도 7은 도 2의 제 2실시예의 정방향의 이동에 대한 신호의 인가시 변화를 보인 도면.
도 8은 도 2의 제 2실시예의 정방향의 이동에 대한 신호의 인가시 변화를 보인 도면.
도 9는 도 4의 제 3실시예의 정방향의 이동에 대한 신호의 인가시 변화를 보인 도면.
도 10은 도 4의 제 3실시예의 정방향의 이동에 대한 신호의 인가시 변화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모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인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모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를 접하여 상기 가이드레일부(10)를 따라 이동하는 탄성몸체부(20)와, 상기 탄성몸체부(20)의 상면에 상기 탄성몸체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부(1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 1압전부(32)와, 상기 제 1압전부(32)와 평행하게 상기 탄성몸체부(20)에 고정되는 제 2압전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인 초음파모터가 이동하는 가이드레일부(10)가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레일부(1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 발명인 초음파모터가 이동하는 경로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3개의 바(10a, 10b, 10c)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부(10)에는 본 발명인 초음파모터가 부착되며, 상기 초음파모터에는 탄성몸체부(20)가 마련된다. 상기 탄성몸체부(2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부(10)에 일측면이 접하여 상기 가이드레일부(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탄성몸체부(20)와 상기 가이드레일부(10)가 접촉하는 부분은 다양한 방식으로 접할 수 있으며, 선접촉 또는 점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탄성몸체부(20)가 상기 가이드레일부(10)를 따라 회전이동할 때, 면접촉이 되면 이동이 방해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상가 탄성몸체부(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부(10)의 바(10a, 10b, 10c)에 직교되도록 안착된다.
상기 탄성몸체부(20)의 상면에는 제 1압전부(32)와 제 2압전부(34)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압전부(32)는 상기 탄성몸체부(20)의 길이방향 즉 상기 가이드레일부(10)의 바(10a, 10b, 10c)에 직교되도록 상기 탄성몸체부(20)의 상면에 위치된다. 상기 제 2압전부(34)는 상기 제 1압전부(32)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된다.
상기 제 1압전부(32)와 상기 제 2압전부(34)는 서로 다른 분극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압전부(32)와 상기 제 2압전부(34)에는 전원공급수단(미도시)에서 교류전원이 인가될 때,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압전부(32)와 제 2압전부(34)에 위상차가 90도인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압전부(32)에 Vsinθ 의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 2압전부(34)에 Vcosθ의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탄성몸체부(20)의 이동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게 된다.
특히, 상기 탄성몸체부(20) 중 상기 가이드몸체부(10)의 중앙에 대응되는 바(10b)의 움직임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게 되고, 도 5c에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몸체부(20)는 수직(Z축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탄성몸체부는 수평(X축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도 6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압전부(32)에 Vsinθ 의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 2압전부(34)에 -Vcosθ의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탄성몸체부(20)의 이동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게 된다.
특히, 상기 탄성몸체부(20) 중 상기 가이드몸체부(10)의 중앙에 대응되는 바(10b)의 움직임이 도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게 되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몸체부는 수직(Z축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탄성몸체부는 수평(X축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모터의 제 2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모터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10)를 접하여 상기 가이드레일부(10)를 따라 이동하는 탄성몸체부(20);를 가지며, 상기 탄성몸체부(2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10)를 접하여 상기 가이드레일부(10)를 따라 이동하는 제 1탄성몸체부(22)와, 상기 가이드레일부(10)의 타측에 상기 제 1탄성몸체부(2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 2탄성몸체부(24)와, 상기 제 1탄성몸체부(22)의 상면에 상기 제 1탄성몸체부(22)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부(1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 1-1압전부(32a)와, 상기 제 1-1압전부(32a)와 평행하게 상기 제 1탄성몸체부(22)에 고정되는 제 1-2압전부(34a)와, 상기 제 2탄성몸체부(24)의 상면에 상기 제 2탄성몸체부(24)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부(1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 2-1압전부(32b)와, 상기 제 2-1압전부(32b)와 평행하게 상기 제 2탄성몸체부(24)에 고정되는 제 2-2압전부(3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초음파모터에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10)를 접하여 상기 가이드레일부(10)를 따라 이동하는 탄성몸체부(20)를 가지며, 상기 탄성몸체부(2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제 1탄성몸체부(2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탄성몸체부(2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기둥의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부(10)에 일측면이 접하여 상기 가이드레일부(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부(10)의 타측에는 제 2탄성몸체부(24)가 마련된다. 상기 제 2탄성몸체부(24)는, 상기 가이드레일부(10)의 타측에 상기 제 1탄성몸체부(22)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2탄성몸체부(24)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부(10)에 타측면이 접하여 상기 가이드레일부(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제 1탄성몸체부(22)의 상면에는 제 1-1압전부(32a)와 제 1-2압전부(34a)가 마련된다. 상기 제 1-1압전부(32a)는 상기 제 1탄성몸체부(22)의 길이방향 즉 상기 가이드레일부(10)의 바에 직교되도록 상기 제 1탄성몸체부(22)의 상면에 위치된다. 상기 제 1-2압전부(34a)는 상기 제 1-1압전부(32a)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탄성몸체부(24)의 상면에는 제 2-1압전부(32b)와 제 2-2압전부(34b)가 마련된다. 상기 제 2-1압전부(32b)는 상기 제 2탄성몸체부(24)의 길이방향 즉 상기 가이드레일부(10)의 바에 직교되도록 상기 제 2탄성몸체부(24)의 상면에 위치된다. 상기 제 2-2압전부(34b)는 상기 제 2-1압전부(32b)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된다.
상기 제 1-1압전부(32a)와 상기 제 1-2압전부(34a)는 서로 다른 분극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1압전부(32a)와 상기 제 1-2압전부(34a)에는 전원공급수단에서 교류전원이 인가될 때,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1압전부(32a)와 제 1-2압전부(34a)에 위상차가 90도인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2-1압전부(32b)와 상기 제 2-2압전부(34b)는 서로 다른 분극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1압전부(32b)와 상기 제 2-2압전부(34b)에는 전원공급수단에서 교류전원이 인가될 때,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1압전부(32b)와 제 2-2압전부(34b)에 위상차가 90도인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1압전부(32a) 및 제 2-1압전부(32b)에 Vsinθ 의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 1-2압전부(34a) 및 제 2-2압전부(34b)에 Vcosθ의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 1탄성몸체부(22) 및 제 2탄성몸체부(24)의 이동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 1탄성몸체부(22) 및 제 2탄성몸체부(24) 중 상기 가이드몸체부(10)의 중앙에 대응되는 부분의 움직임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게 되고,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탄성몸체부(22) 및 제 2탄성몸체부(24)는 수직(Z축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제 1탄성몸체부(22) 및 제 2탄성몸체부(24)는 수평(X축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1압전부(32a) 및 제 2-1압전부(32b)에 Vsinθ 의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 1-2압전부(34a) 및 제 2-2압전부(34b)에 -Vcosθ의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 1탄성몸체부(22) 및 제 2탄성몸체부(24)의 이동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 1탄성몸체부(22) 및 상기 제 2탄성몸체부(24) 중 상기 가이드몸체부(10)의 중앙에 대응되는 부분의 움직임이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게 되고,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탄성몸체부(22) 및 제 2탄성몸체부(24)는 수직(Z축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제 1탄성몸체부(22) 및 상기 제 2탄성몸체부(24)는 수평(X축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탄성몸체부(22)와 상기 제 2탄성몸체부(24)는 상기 가이드몸체부(10)에 탄성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26)가 더 마련된다. 상기 지지부재(26)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 1탄성몸체부(22)와 상기 제 2탄성몸체부(24)를 연결하여 상기 가이드몸체부(10)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모터의 제 3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모터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10)를 접하여 상기 가이드레일부(10)를 따라 이동하는 탄성몸체부(20);를 가지며, 상기 탄성몸체부(20)의 상면에 상기 탄성몸체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부(1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 1압전부(32)와, 상기 제 1압전부(32)와 평행하게 상기 탄성몸체부에 고정되는 제 2압전부(34)와, 상기 가이드레일부(10)의 타측에 상기 가이드레일부(10)를 따라 이동가능한 롤러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인 초음파모터가 이동하는 가이드레일부(10)가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레일부(1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 발명인 초음파모터가 이동하는 경로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부(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3개의 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부(10)에는 본 발명인 초음파모터가 부착되며, 상기 초음파모터에는 탄성몸체부(20)가 마련된다. 상기 탄성몸체부(2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부(10)에 일측면이 접하여 상기 가이드레일부(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가 탄성몸체부(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부(10)의 바에 직교되도록 안착된다.
상기 가이드레일부(10)의 타측에는 롤러부(60)가 마련된다. 상기 롤러부(60)는 상기 가이드레일부(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탄성몸체부(20)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몸체부(20)가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레일부(10)의 타측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탄성몸체부(20)가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몸체부(20)의 상면에는 제 1압전부(32)와 제 2압전부(34)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압전부(32)는 상기 탄성몸체부(20)의 길이방향 즉 상기 가이드레일부(10)의 바에 직교되도록 상기 탄성몸체부(20)의 상면에 위치된다. 상기 제 2압전부(34)는 상기 제 1압전부(32)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된다.
상기 제 1압전부(32)와 상기 제 2압전부(34)는 서로 다른 분극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압전부(32)와 상기 제 2압전부(34)에는 전원공급수단에서 교류전원이 인가될 때,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압전부(32)와 제 2압전부(34)에 위상차가 90도인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압전부(32)에 Vsinθ 의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 2압전부(34))에 Vcosθ의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탄성몸체부(20)의 이동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게 된다.
특히, 상기 탄성몸체부(20) 중 상기 가이드몸체부(10)의 중앙에 대응되는 부분의 움직임이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게 되고, 도 10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몸체부(20)는 수직(Z축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탄성몸체부(20)는 수평(X축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압전부(32)에 Vsinθ 의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 2압전부(34)에 -Vcosθ의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탄성몸체부(20)의 이동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게 된다.
특히, 상기 탄성몸체부(20) 중 상기 가이드몸체부(10)의 중앙에 대응되는 부분의 움직임이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게 되고,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몸체부(20)는 수직(Z축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탄성몸체부(20)는 수평(X축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가이드몸체부 20: 탄성몸체부
22: 제 1탄성몸체부 24: 제 2탄성몸체부
26: 지지부재 32: 제 1압전부
32a: 제 1-1압전부 32b: 제 2-1압전부
34a: 제 1-2압전부 34b: 제 2-2압전부
60; 롤러부

Claims (3)

  1.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를 접하여 상기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탄성몸체부;
    상기 탄성몸체부의 상면에 상기 탄성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 1압전부;
    상기 제 1압전부와 평행하게 상기 탄성몸체부에 고정되는 제 2압전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압전부와 상기 제 2압전부는 전기적신호의 위상차가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초음파모터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몸체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부를 접하여 상기 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 1탄성몸체부;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타측에 상기 제 1탄성몸체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 2탄성몸체부;
    상기 제 1탄성몸체부의 상면에 상기 탄성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 1-1압전부;
    상기 제 1-1압전부와 평행하게 상기 제 1탄성몸체부에 고정되는 제 1-2압전부;
    상기 제 2탄성몸체부의 상면에 상기 제 2탄성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레일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 2-1압전부;
    상기 제 2-1압전부와 평행하게 상기 제 2탄성몸체부에 고정되는 제 2-2압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1압전부와 상기 제 1-2압전부에 인가되는 전기적신호의 위상차는 90도이며,
    상기 제 2-1압전부와 상기 제 2-2압전부에 인가되는 전기적신호의 위상차는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초음파모터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타측에는 롤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초음파모터 조립체.




KR1020190148629A 2019-11-19 2019-11-19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모터 KR102321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629A KR102321024B1 (ko) 2019-11-19 2019-11-19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629A KR102321024B1 (ko) 2019-11-19 2019-11-19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971A true KR20210060971A (ko) 2021-05-27
KR102321024B1 KR102321024B1 (ko) 2021-11-03

Family

ID=76135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629A KR102321024B1 (ko) 2019-11-19 2019-11-19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0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655A (ko) * 1993-02-22 1994-09-16 이헌조 초음파 리니어 모터
JPH08242592A (ja) * 1995-03-02 1996-09-17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超音波アクチュエータ
KR20120138374A (ko) * 2011-06-15 2012-12-26 주식회사 삼전 초음파모터의 압전진동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655A (ko) * 1993-02-22 1994-09-16 이헌조 초음파 리니어 모터
JPH08242592A (ja) * 1995-03-02 1996-09-17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超音波アクチュエータ
KR20120138374A (ko) * 2011-06-15 2012-12-26 주식회사 삼전 초음파모터의 압전진동자
KR101225008B1 (ko) 2011-06-15 2013-01-22 주식회사 삼전 초음파모터의 압전진동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024B1 (ko)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37627A1 (en) Vibration actuator and mobile information terminal
JP6106360B2 (ja) 触感フィードバックを有する入力装置及びその入力装置に搭載する電磁アクチュエータ
JP5765993B2 (ja) 振動型駆動装置
JP4702629B2 (ja) ムービングマグネット形リニアスライダおよびそれを用いた工作機械
CN102528472B (zh) 垂直轴宏微复合直线运动平台装置
US11025149B2 (en) Linear vibration motor and electronic device
CN107005177B (zh) 用于控制压电电机的方法和设备
KR101340338B1 (ko) 터치 패널과 그의 구동 방법
JP2003024871A (ja) 振動発生器
JP4717466B2 (ja) 移送装置{transferapparatus}
CN107907992B (zh) 正应力电磁驱动的快速偏转反射镜作动机构及作动方法
JP4616008B2 (ja) 超音波浮上装置
US11276518B2 (en) Haptic engine module with array-riddled-of-dual (AROD) magnets
KR102250049B1 (ko) 광빔 떨림 광학 모듈
JPWO2011102365A1 (ja) 駆動装置および該駆動装置を用いた移動機構
JP2009296797A (ja) 慣性駆動アクチュエータ
CN106054954B (zh) 探针测量力调整器
JP3981683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
KR20140095394A (ko) 피에조 액츄에이터
KR20210060971A (ko) 압전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모터
US8120231B2 (en) Inertial drive actuator
JP2014146208A (ja) 振動発生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装置
US20190165662A1 (en) Linear vibration motor
KR20120138374A (ko) 초음파모터의 압전진동자
CN110546774A (zh) 操作超声波电机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