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515A - 전립선 암의 치료를 위한 병용 요법 - Google Patents

전립선 암의 치료를 위한 병용 요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515A
KR20210060515A KR1020217010491A KR20217010491A KR20210060515A KR 20210060515 A KR20210060515 A KR 20210060515A KR 1020217010491 A KR1020217010491 A KR 1020217010491A KR 20217010491 A KR20217010491 A KR 20217010491A KR 20210060515 A KR20210060515 A KR 20210060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v1
erg
compound
etv4
prostate c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라 크리스틴 애트웰
에릭 캠퓨
산제이 라코티아
Original Assignee
제니쓰 에피제네틱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니쓰 에피제네틱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니쓰 에피제네틱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60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661,3-Diazoles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phenyto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61K31/422Oxazoles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indolizine, beta-carbo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8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e.g. danazol, stanozolol, pancuronium or digitogen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n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이성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을 포함하는 전립선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BET 파로마도메인 억제제와 제2 치료제를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병용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립선 암의 치료를 위한 병용 요법
본 발명은 전립선암의 치료를 위한 병용 요법에 관한 것이다.
전이성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mCRPC")은 종종 암 증식, 종양 침윤 및 전이를 유도하기 위한 안드로겐 수용체("AR")의 신호 전달의 지속을 특징으로 한다(Wyatt & Gleave, 2015). 전립선암의 초기 요법은 수술적 또는 화학적 거세에 이어지는 안드로겐-차단 요법을 포함한다. 많은 경우에, 암의 추가적인 진행 및 전이가 관찰되므로, 전이성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mCRPC에 대한 1선 표준 치료 요법은 AR 길항제인 엔잘루타미드(enzalutamide), 안드로겐 합성 억제제(예: 시토크롬 스테로이드 17-알파-하이드록실라아제/17,20 리아제CYP17A1 억제제인 아비라테론(abiraterone)), 및 일부 경우에 화학요법을 포함한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는 대상체가 시간 경과에 따라 이러한 1선 치료에 내성을 갖게 되고 추가 약물 요법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Wyatt & Gleave, 2015). 현재, 2선 환경에서의 AR 조절제 또는 화학요법의 효능이 보통이므로 2선 mCRPC에 대한 표준 치료는 없다. 또한, 아비라테론과 엔잘루타미드의 내성 메커니즘이 겹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Azad 등의 2015년 문헌; Bianchini 등의 2014년 문헌; Loriot 등의 2013년 문헌; Noonan 등의 2013년 문헌; Schrader 등의 2014년 문헌).
엔잘루타미드 및 아비라테론에 대한 내성 메커니즘은: 리간드 결합 도메인 및 구성적으로 활성인 안드로겐 신호전달의 상실을 유발하는 AR의 대안적인 스플라이싱(Nakazawa 등의 2014년 문헌);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GR)(Arora 등의 2013년 문헌; Isikbay 등의 2014년 문헌), 활성화된 B 세포의 핵 인자 카파-경쇄-인핸서(NF-κB)(Jin 등의 2013년 문헌; Nadiminty 등의 2013년 문헌), 또는 MYC 신호 전달 경로(Lamb 등의 2014년 문헌; Nadiminty 등의 2013년 문헌; Zeng 등의 2015년 문헌)와 같은 대안적 경로의 상향 조절뿐만 아니라; 신경내분비의 분화(Aggarwal 등의 2014년 문헌; Beltran 등의 2014년 문헌; Dang 등의 2015년 문헌)를 포함한다. 이들 내성 메커니즘 중 몇몇은 전립선암에서의 BET 단백질(MYC 발현 (Gao 등의 2013년 문헌); AR 스플라이스 변이체 (Chan 등의 2015년 문헌; Welti 등의 2018년 문헌); GR (Asangani 등의 2016년 문헌; Shah 등의 2017년 문헌) 또는 다른 암에서의 BET 단백질(NF-κB (Ceribelli 등의 2014년 문헌; Gallagher 등의 2014년 문헌; Zou 등의 2014년 문헌))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안드로겐 수용체 스플라이스 변이체 7(AR-V7)은 엔잘루타미드 및 아비라테론에 대한 내성에 관여한다는 주장이 최근에 제기되었고(Antonarakis 등의 2014년 문헌); 이들 변이체를 발현하는 세포주는 BET 의존적이고 배양물과 이종이식물에서의 BETi에 대해 민감하다(Asangani 등의 2014년 문헌; Asangani 등의 2016년 문헌; Chan 등의 2015년 문헌; Gao 등의 2013년 문헌; Wyce 등의 2013년 문헌). BET 억제제(BETi)의 제안된 작용 메커니즘 중 하나는 BET 단백질이 AR의 N-말단과 상호작용하여 하류 안드로겐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Asangani 등의 2014년 문헌).
그러나, 현재로서는, BET 억제제가 (존재한다면) 전립선암, 특히 mCRPC 환자에게 투여될 때 유의한 임상적 이익을 나타낼 것인지의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 또한, 임의의 BET 억제제가 전립선암을 치료함에 있어서 안드로겐 수용체 길항제 또는 안드로겐 합성 억제제와 같은 다른 약물과 상승적으로 병용될 것인지; 어떤 수준의 상승작용이 요구되는지; 그리고 어떤 제2 치료제가 각 BET 억제제에 대한 최적의 병용 파트너가 되어, 전립선암 환자에게 투여될 때 임상적 이점을 나타낼 것인지도 명확하지 않다. 임상적 이익 외에도, 병용 요법은 유효 투여량에서 안전해야 하고 내약성이 양호해야만 한다. 현재로서는, 어떤 병용 요법이 최상의 전체 프로파일을 나타낼지 예측할 수 없다.
본 발명은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또는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공결정) 및 제2 치료제를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공동 투여함으로써 전립선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제2 치료제와 동시에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제2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제2 치료제와 단일 약학적 조성물로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와 제2 치료제는 별개의 조성물로서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2 치료제는 전립선암의 치료에 유익한 제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2 치료제는 안드로겐 차단 요법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2 치료제는 안드로겐 수용체 길항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2 치료제는 안드로겐 합성 억제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립선암은 전이성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mCRPC)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식 Ia 또는 식 Ib의 화합물
Figure pct00001
,
Figure pct00002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공결정, 또는 수화물로서,
식 중:
고리 A고리 B는 수소, 중수소, -NH2, 아미노, 헤테로사이클(C4-C6), 카보사이클(C4-C6), 할로겐, -CN, -OH, -CF3, 알킬(C1-C6), 티오알킬(C1-C6), 알케닐(C2-C6), 및 알콕시(C1-C6)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기들로 임의 치환될 수 있고;
X는 -NH-, -CH2-, -CH2CH2-, -CH2CH2CH2-, -CH2CH2O-, -CH2CH2NH-, -CH2CH2S-, -C(O)-, -C(O)CH2-, -C(O)CH2CH2-, -CH2C(O)-, -CH2CH2C(O)-, -C(O)NH-, -C(O)O-, -C(O)S-, -C(O)NHCH2-, -C(O)OCH2-, -C(O)SCH2-로부터 선택되되, 하나 이상의 수소는 중수소, 하이드록실, 메틸, 할로겐, -CF3, 케톤으로 독립적으로 치환될 수 있고, S는 설폭시드 또는 설폰으로 산화될 수 있으며;
R 4 는 임의 치환된 3-7원 탄소고리 및 헤테로고리로부터 선택되고;
D 1 은 다음의 5-원 단환 헤테로고리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pct00003
이들은 수소, 중수소, 알킬(C1-C4), 알콕시(C1-C4), 아미노, 할로겐, 아미드, -CF3, -CN, -N3, 케톤(C1-C4), -S(O)알킬(C1-C4), -SO2알킬(C1-C4), -티오알킬(C1-C4), -COOH, 및/또는 에테르로 임의 치환되고, 이들 각각은 수소, F, Cl, Br, -OH, -NH2, -NHMe, -OMe, -SMe, 옥소, 및/또는 티오-옥소로 임의 치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본원의 화합물 I인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N-메틸-1H-이미다졸[4,5-b]피리딘-2-아민으로서, 다음의 식을 갖는다:
Figure pct00004
.
일부 구현예에서,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화합물 I,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공결정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화합물 I의 메실레이트 염/공결정의 결정형 I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병용 요법은 혈소판감소증을 초래하는 용량 제한 독성(dose limiting toxicity)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월등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병용 요법은 상승적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VCaP 세포의 세포 증식(AR-양성, AR 증폭, TMPRSS2-ERG 융합)에 대한 화합물 I, 엔잘루타미드, 및 화합물 I과 엔잘루타미드의 병용 요법의 (억제) 효과를 보여준다.
도 2는 VCaP 세포의 세포 증식(AR-양성, AR 증폭, TMPRSS2-ERG 융합)에 대한 화합물 I, 아팔루타미드(ARN-509), 및 화합물 I과 아팔루타미드의 병용 요법의 (억제) 효과를 보여준다.
도 3은 LAPC4 세포의 증식에 대한 화합물 I, 아비라테론, 및 화합물 I과 아비라테론의 병용 요법의 (억제) 효과를 보여준다.
도 4는 화합물 I의 메실레이트 염/공결정의 X-선 분말 회절도(XRPD)를 보여준다.
도 5는 화합물 I의 메실레이트 염/공결정의 시차주사 열량계(DSC) 곡선을 보여준다.
도 6은 화합물 I의 메실레이트 염/공결정의 열중량 분석(TGA)을 보여준다.
도 7은 이전에 아비라테론 또는 엔잘루타미드를 이용해 치료한 환자 및 전체 환자를 대상으로 화합물 I과 엔잘루타미드로 치료했을 때의 카플란-마이어 생존 곡선을 보여준다. 환자 수, 이벤트, 및 무진행 생존(PFS) 중앙값은 아래 표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12주의 치료 후에 PSA 반응 또는 PSA 스파이크가 나타났거나, 아무 것도 나타나지 않은(PSA 무조절) 환자를 대상으로 화합물 I과 엔잘루타미드로 치료했을 때의 카플란-마이어 곡선을 보여준다. 환자 수, 이벤트, 및 무진행 생존(PFS) 중앙값은 아래 표에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화합물 I과 엔잘루타미드의 QD로 병용 치료한 후 4주차 또는 8주차에 PSA 스파이크가 나타난 4명의 mCRPC 환자의 예를 보여준다.
도 10은 화합물 I과 엔잘루타미드의 QD로 병용 치료한 mCRPC 환자를 대상으로 한 ETS 돌연변이 또는 융합의 분포; 및 이들이 반응했는지(>24주 동안 임상적 진행 또는 방사선학적 진행 없음) 또는 반응하지 않았는지(≤24주 이전에 방사선학적 진행 또는 임상적 진행 나타남) 여부를 보여준다.
도 11은 화합물 I과 엔잘루타미드의 QD로 병용 치료한 mCRPC 환자를 대상으로 한 ETS 돌연변이 또는 융합의 분포; 및 이들에게서 4주차 또는 8주차에 PSA 스파이크 또는 PSA 반응이 나타났는지 여부를 보여준다. 화합물 I의 투여 후 >24주 동안 임상적 또는 방사선학적 진행이 없는 경우 반응자로서 정의하고, ≤24주 이전에 방사선학적 또는 임상적 진행이 나타난 경우 비반응자로서 정의한다.
도 12a는 화합물 I과 엔잘루타미드의 병용 치료에 반응하여 mCRPC 환자의 종양에서 면역 반응이 유도된 것을 보여준다. 엔잘루타미드는 화합물 I 투여 전의 샘플과 화합물 I 투여 후의 샘플 모두에서 지속적으로 존재하였다. 도 12b는 종양에서 상향 조절된 면역 반응 유전자의 일부를 보여준다.
정의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치료(treatment 또는 treating)"는 질환 또는 장애, 또는 이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 가능한 증상의 완화를 지칭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치료(treatment 또는 treating)"는 적어도 하나의 측정 가능한 물리적 파라미터의 완화를 지칭하며, 대상체별로 식별 가능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치료(treatment 또는 treating)"는 질환 또는 장애의 진행을 억제하는 것, 예를 들어, 식별 가능한 증상을 물리적으로 안정화하는 것, 예를 들어, 물리적 파라미터를 생리학적으로 안정화하는 것, 또는 둘 다를 지칭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치료(treatment 또는 treating)"는 질환 또는 장애의 발병을 지연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임의의(optional)" 또는 "임의로(optionally)"는 후술하는 이벤트 또는 상황이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의미하고, 본 용어가 이벤트 또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및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함을 의미하다. 예를 들어, "임의 치환된 아릴"은 아래에 정의된 바와 같이 "아릴" 및 "치환된 아릴" 모두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함유하는 임의의 기와 관련하여, 당업자는 이러한 기가 입체적으로 비현실적인, 합성에 의해 실현 불가능한, 및/또는 본질적으로 불안정한 임의의 치환 또는 치환 패턴을 도입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수화물(hydrate)"은 화학양론적 또는 비-화학양론적 양의 물이 결정 구조에 혼입되는 결정 형태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알케닐(alkenyl)"은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불포화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 예컨대, 본원에서 (C2-C8) 알케닐로 지칭되는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직쇄 또는 분지쇄 기를 지칭한다. 예시적인 알케닐기는 비닐, 알릴, 부테닐, 펜테닐, 헥세닐, 부타디에닐, 펜타디에닐, 헥사디에닐, 2-에틸헥세닐, 2-프로필-2-부테닐, 및 4-(2-메틸-3부텐)-펜테닐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알콕시(alkoxy)"는 산소에 부착된 알킬기(-O-알킬-)를 지칭한다. "알콕시" 기는 산소에 부착된 알케닐기("알케닐옥시") 또는 산소에 부착된 알키닐기("알키닐옥시")를 또한 포함한다. 예시적인 알콕시기는, 본원에서 (C1-C8) 알콕시로서 지칭되는,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기를 갖는 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시적인 알콕시 기는 메톡시 및 에톡시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알킬(alkyl)"은 포화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 예컨대, 본원에서 (C1-C8) 알킬로 지칭되는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직쇄 또는 분지쇄 기를 지칭한다. 예시적인 알킬기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2-메틸-1-프로필, 2-메틸-2-프로필, 2-메틸-1-부틸, 3-메틸-1-부틸, 2-메틸-3-부틸, 2,2-다이메틸-1-프로필, 2-메틸-1-펜틸, 3-메틸-1-펜틸, 4-메틸-1-펜틸, 2-메틸-2-펜틸, 3-메틸-2-펜틸, 4-메틸-2-펜틸, 2,2-다이메틸-1-부틸, 3,3-다이메틸-1-부틸, 2-에틸-1-부틸, 부틸, 이소부틸, t-부틸, 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헥실, 헵틸, 및 옥틸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아미드(amide)"는 -NRaC(O)(Rb), 또는 -C(O)NRbRc를 지칭하며, 여기서 Ra, Rb, 및 Rc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아릴알킬, 시클로알킬, 할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시클릴, 및 수소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아미드는 탄소, 질소, Ra, Rb, 또는 Rc를 통해 다른 기에 부착될 수 있다. 아미드는 Rb 및 Rc와 같은 환형일 수도 있고, 결합되어 3-원 내지 8-원 고리, 예컨대 5-원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용어 "아미드"는 설폰아미드, 우레아, 우레이도, 카바메이트, 카르밤산, 및 이의 환형 버전과 같은 기를 포함한다. 용어 "아미드"는 또한, 카복시기에 부착된 아미드기(예: -아미드-COOH) 또는 염(예: -아미드-COONa), 카복시기에 부착된 아미노기(예: -아미노-COOH) 또는 염(예: -아미노-COONa)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아민(amine)" 또는 "아미노(amino)"는 -NRdRe 또는 -N(Rd)Re-를 지칭하며, 여기서 Rd 및 Re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아릴알킬, 카바메이트, 시클로알킬, 할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 및 수소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아미노는 질소를 통해 부모 분자기에 부착될 수 있다. 아미노는 환형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Rd 및 Re 중 임의의 2개는 서로 결합하거나 N과 결합해 3-원 내지 12-원 고리(예를 들어, 모폴리노 또는 피페리디닐)를 형성할 수도 있다. 용어 아미노는 또한, 임의의 아미노기의 상응하는 사차 암모늄 염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아미노기는 알킬아미노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Rd 또는 Re 중 적어도 하나는 알킬기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Rd 및 Re는 각각 하이드록실, 할로겐, 알콕시, 에스테르, 또는 아미노로 임의 치환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아릴(aryl)"은 모노-, 바이-, 또는 다른 다중-카보시클릭, 방향족 고리 시스템을 지칭한다. 아릴기는 아릴, 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리에 임의로 융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아릴기는 알콕시, 아릴옥시,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미드, 아미노, 아릴, 아릴알킬, 카바메이트, 카복시, 시아노, 시클로알킬, 에스테르, 에테르, 포르밀, 할로겐, 할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시클릴, 하이드록실, 케톤, 니트로, 포스페이트, 설파이드, 설피닐, 설포닐, 설폰산, 설폰아미드, 및 티오케톤으로부터 선택된 기로 치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아릴 기는 페닐, 톨릴, 안트라세닐, 플루오레닐, 인데닐, 아줄레닐, 및 나프틸 뿐만 아니라 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틸과 같은 벤조-융합 카보시클릭 모이어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시적인 아릴기는 또한, 단환 방향족 고리 시스템을 포함하되 이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여기서 고리는 6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본원에서 "(C6) 아릴"로 지칭됨).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아릴알킬(arylalkyl)"은 적어도 하나의 아릴 치환기를 갖는 알킬기(예를 들어, -아릴-알킬-)를 지칭한다. 예시적인 아릴알킬기는, 단환 방향족 고리 시스템을 갖는 아릴알킬을 포함하되 이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여기서 고리는 6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본원에서 "(C6) 아릴알킬"로 지칭됨).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카바메이트(carbamate)"는 -RgOC(O)N(Rh)-, -RgOC(O)N(Rh)Ri-, 또는 -OC(O)NRhRi 형태를 지칭하며, 여기서 Rg, Rh, 및 Ri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아릴알킬, 시클로알킬, 할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시클릴, 및 수소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예시적인 카바메이트는 아릴카바메이트 또는 헤테로아릴 카바메이트를 포함하되 이로 한정되지는 않는다(예를 들어, 여기서 Rg, Rh, 및 Ri 중 적어도 하나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예컨대 피리딘, 피리다진, 피리미딘, 및 피라진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됨).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카보사이클(carbocycle)"은 아릴기 또는 시클로알킬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카복시(carboxy)"는 -COOH 또는 이의 상응하는 카르복실레이트 염(예를 들어, -COONa)을 지칭한다. 용어 카복시는 "카복시카보닐(carboxycarbonyl)", 예를 들어, 카보닐기에 부착된 카복시기(예: -C(O)-COOH) 또는 이의 염(예: -C(O)-COONa)을 또한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시클로알콕시(cycloalkoxy)"는 산소에 부착된 시클로알킬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시클로알킬(cycloalkyl)"은 시클로알칸으로부터 유래되고, 3 내지 12개의 탄소 또는 3 내지 8개의 탄소로 이루어진(본원에서 (C3-C8) 시클로알킬로서 지칭됨) 포화 또는 불포화 단환, 이환, 또는 가교결합된 이환 탄화수소기를 지칭한다. 예시적인 시클로알킬기는 시클로헥산, 시클로헥센, 시클로펜탄, 및 시클로펜텐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시클로알킬기는 알콕시, 아릴옥시,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미드, 아미노, 아릴, 아릴알킬, 카바메이트, 카복시, 시아노, 시클로알킬, 에스테르, 에테르, 포르밀, 할로겐, 할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시클릴, 하이드록실, 케톤, 니트로, 포스페이트, 설파이드, 설피닐, 설포닐, 설폰산, 설폰아미드, 및 티오케톤으로 치환될 수 있다. 시클로알킬기는 다른 포화 또는 불포화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시클릴기에 융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다이카복시산(dicarboxylic acid)"은 포화 및 불포화 탄화수소 다이카복시산 및 이의 염과 같은 적어도 2개의 카복시산 기를 함유하는 기를 지칭한다. 예시적인 다이카복시산은 알킬 다이카복시산을 포함한다. 다이카복시산은 알콕시, 아릴옥시,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미드, 아미노, 아릴, 아릴알킬, 카바메이트, 카복시, 시아노, 시클로알킬, 에스테르, 에테르, 포르밀, 할로겐, 할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시클릴, 수소, 하이드록실, 케톤, 니트로, 포스페이트, 설파이드, 설피닐, 설포닐, 설폰산, 설폰아미드, 및 티오케톤으로 치환될 수 있다. 다이카복시산은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세바산, 아젤라산, 말레산, 프탈산,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말론산, 푸마르산, (+)/(-)-말산, (+)/(-) 타르타르산, 이소프탈산, 및 테레프탈산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이카복시산은 무수물, 이미드, 하이드라지드(예: 숙신 무수물 및 숙신이미드)와 같은 이의 카복시산 유도체를 추가로 포함한다.
용어 "에스테르(ester)"는 O가 수소에 결합되지 않고, Rj 및 Rk는 알콕시, 아릴옥시,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미드, 아미노, 아릴, 아릴알킬, 시클로알킬, 에테르, 할로알킬,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구조 -C(O)O-, -C(O)O-Rj-, -RkC(O)O-Rj-, 또는 -RkC(O)O-를 지칭한다. Rk는 수소일 수 있지만, Rj는 수소일 수 없다. 에스테르는 환형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탄소 원자와 Rj, 산소 원자와 Rk, 또는 Rj와 Rk가 결합하여 3-원 내지 12-원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에스테르는 Rj 또는 Rk 중 적어도 하나는 알킬인 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O-C(O)-알킬, -C(O)-O-알킬, 및 -알킬-C(O)-O-알킬을 포함하되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시적인 에스테르는 또한, 예를 들어, Rj 또는 Rk 중 적어도 하나가 피리딘, 피리다진, 피리미딘 및 피라진과 같은 헤테로아릴기인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에스테르, 예컨대 니코티네이트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에스테르는 또한, 산소가 부모 분자에 결합되는 구조 -RkC(O)O-를 갖는 역 에스테르(reverse ester)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역 에스테르는 숙시네이트, D-아르기니네이트, L-아르기니네이트, L-리시네이트, 및 D-리시네이트를 포함한다. 에스테르는 또한, 카복시산 무수물 및 산 할로겐화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할로(halo)" 또는 "할로겐(halogen)"은 F, Cl, Br, 또는 I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할로알킬(haloalkyl)"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할로알킬(haloalkyl)"은 또한,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알케닐 또는 알키닐기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헤테로아릴(heteroaryl)"은 질소, 산소, 및 황과 같은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예를 들어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단환-, 이환-, 또는 다환 방향족 고리 시스템을 지칭한다. 헤테로아릴은 알콕시, 아릴옥시,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미드, 아미노, 아릴, 아릴알킬, 카바메이트, 카복시, 시아노, 시클로알킬, 에스테르, 에테르, 포르밀, 할로겐, 할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시클릴, 하이드록실, 케톤, 니트로, 포스페이트, 설파이드, 설피닐, 설포닐, 설폰산, 설폰아미드, 및 티오케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헤테로아릴은 비방향족 고리에 융합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헤테로아릴기의 예는 피리디닐, 피리다지닐, 피리미딜, 피라질, 트리아지닐, 피롤릴,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1,2,3)- 및 (1,2,4)-트리아졸릴, 피라지닐, 피리미딜릴, 테트라졸릴, 푸릴, 티에닐,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푸릴, 페닐, 이속사졸릴, 및 옥사졸릴을 포함하되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시적인 헤테로아릴기는 또한, 고리가 2 내지 5개의 탄소 원자와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단환 방향족 고리(본원에서 "(C2-C5) 헤테로아릴"로 지칭됨)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헤테로사이클(heterocycle)", "헤테로시클릴(heterocyclic)" 또는 "헤테로시클릭(heterocyclic)"은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2개,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포화 또는 불포화 3-원, 4-원, 5-원, 6-원, 또는 7-원 고리를 지칭한다. 헤테로사이클은 방향족(헤테로아릴) 또는 비-방향족일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은 알콕시, 아릴옥시,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미드, 아미노, 아릴, 아릴알킬, 카바메이트, 카복시, 시아노, 시클로알킬, 에스테르, 에테르, 포르밀, 할로겐, 할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시클릴, 하이드록실, 케톤, 니트로, 포스페이트, 설파이드, 설피닐, 설포닐, 설폰산, 설폰아미드, 및 티오케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은 또한, 상기 헤테로시클릭 고리 중 어느 하나가 아릴, 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또는 2개의 고리에 융합되는 이환, 삼환, 및 사환 기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헤테로사이클은 아크리디닐,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푸릴, 벤조티아졸릴, 벤조티에닐, 벤조옥사졸릴, 비오티닐, 신놀리닐, 다이하이드로푸릴, 다이하이드로인돌릴, 다이하이드로피라닐, 다이하이드로티에닐, 다이티아졸릴, 푸릴, 호모피페리디닐, 이미다졸리디닐, 이미다졸리닐, 이미다졸릴, 인돌릴, 이소퀴놀릴, 이소티아졸리디닐, 이소티아졸릴, 이속사졸리디닐, 이속사졸릴, 모폴리닐, 옥사디아졸릴, 옥사졸리디닐, 옥사졸릴, 피페라지닐, 피페리디닐, 피라닐, 피라졸리디닐, 피라지닐, 피라졸릴, 피라졸리닐, 피리다지닐, 피리딜, 피리미디닐, 피리미딜, 피롤리디닐, 피롤리딘-2-오닐, 피롤리닐, 피롤릴, 퀴놀리닐, 퀴녹살로일, 테트라하이드로푸릴,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릴,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릴, 테트라졸릴, 티아디아졸릴, 티아졸리디닐, 티아졸릴, 티에닐, 티오모폴리닐, 티오피라닐, 및 트리아졸릴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이드록시(hydroxy)" 및 "하이드록실(hydroxyl)"은 -OH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이드록시알킬(hydroxyalkyl)"은 알킬기에 부착된 하이드록시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이드록시아릴(hydroxyaryl)"은 아릴기에 부착된 하이드록시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케톤(ketone)"은 구조 -C(O)-Rn(예컨대, 아세틸, -C(O)CH3) 또는 -Rn-C(O)-Ro-를 지칭한다. 케톤은 Rn 또는 Ro를 통해 다른 기에 부착될 수 있다. Rn 또는 Ro는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릴, 또는 아릴일 수 있거나, Rn 또는 Ro는 결합하여 3-원 내지 12-원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페닐(phenyl)"은 6-원 카보시클릭 방향족 고리를 지칭한다. 페닐기는 또한, 시클로헥산 고리 또는 시클로펜탄 고리에 융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페닐은 알콕시, 아릴옥시,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미드, 아미노, 아릴, 아릴알킬, 카바메이트, 카복시, 시아노, 시클로알킬, 에스테르, 에테르, 포르밀, 할로겐, 할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시클릴, 하이드록실, 케톤, 포스페이트, 설파이드, 설피닐, 설포닐, 설폰산, 설폰아미드, 및 티오케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티오알킬(thioalkyl)"는 황에 부착된 알킬기(-S-알킬-)를 지칭한다.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아미노", 및 "아미드" 기는 알콕시, 아릴옥시,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미드, 아미노, 아릴, 아릴알킬, 카바메이트, 카보닐, 카복시, 시아노, 시클로알킬, 에스테르, 에테르, 포르밀, 할로겐, 할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시클릴, 하이드록실, 케톤, 포스페이트, 설파이드, 설피닐, 설포닐, 설폰산, 설폰아미드, 티오케톤, 우레이도, 및 N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로 임의 치환되거나, 이들에 의해 단속되거나, 이들로 분지화될 수 있다. 치환기는 분지화되어 치환되거나 미치환된 헤테로사이클 또는 시클로알킬을 형성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임의 치환된 치환기에 대한 적절한 치환은 본 개시의 화합물 또는 이의 제조에 유용한 중간체의 합성 또는 약학적 유용성을 무효화하지 않는 기를 지칭한다. 적절한 치환의 예는 다음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C1-8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 C1-6 아릴, C2-5 헤테로아릴; C37 시클로알킬; C1-8 알콕시; C6 아릴옥시; -CN; -OH; 옥소; 할로, 카복시; 아미노, 예컨대 -NH(C1-8 알킬), -N(C1-8 알킬)2, -NH((C6)아릴), 또는 -N((C6)아릴)2; 포르밀; 케톤, 예컨대 -CO(C1-8 알킬), -CO((C6 아릴) 에스테르, 예컨대 -CO2(C1-8 알킬) 및 -CO2 (C6 아릴). 당업자는 본 개시의 화합물의 안정성, 및 약리학적 및 합성 활성에 기초하여 적절한 치환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조성물(pharmaceutically acceptable composition)"은 본원에 기술된 것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조성물로서,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제형화된 조성물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는 약학적 투여와 양립할 수 있는 임의의 모든 용매, 분산 매질, 코팅, 등장화제 및 흡수 지연제 등을 지칭한다. 약학적으로 활성인 물질을 위한 이러한 매질과 제제의 용도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조성물은 보충 기능, 첨가 기능, 또는 강화된 치료 기능을 제공하는 다른 활성 화합물을 함유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질환 진행(disease progression)"은 전립선 특이적 항원("PSA")의 증가 및/또는 전이성 질환의 진행을 지칭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질환 진행은 Prostrate Cancer Working Group (PCWG)2 지침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정의된다(Scher 등의 2008년 문헌). 일부 구현예에서, 질환 진행은 이전에 안드로겐 차단 요법을 받은 대상체에서 발생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
위에 요약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또는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공결정) 및 제2 치료제를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동시에 투여함으로써 전립선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전립선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식 Ia 또는 식 Ib의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
Figure pct00005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공결정, 또는 수화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동시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식 중:
고리 A고리 B는 수소, 중수소, -NH2, 아미노, 헤테로사이클(C4-C6), 카보사이클(C4-C6), 할로겐, -CN, -OH, -CF3, 알킬(C1-C6), 티오알킬(C1-C6), 알케닐(C1-C6), 및 알콕시(C1-C6)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기들로 임의 치환될 수 있고;
X는 -NH-, -CH2-, -CH2CH2-, -CH2CH2CH2-, -CH2CH2O-, -CH2CH2NH-, -CH2CH2S-,
-C(O)-, -C(O)CH2-, -C(O)CH2CH2-, -CH2C(O)-, -CH2CH2C(O)-, -C(O)NH-, -C(O)O-, -C(O)S-, -C(O)NHCH2-,
-C(O)OCH2-, -C(O)SCH2-로부터 선택되되, 하나 이상의 수소는 중수소, 하이드록실, 메틸, 할로겐, -CF3, 케톤으로 독립적으로 치환될 수 있고, S는 설폭시드 또는 설폰으로 산화될 수 있으며;
R 4 는 임의 치환된 3-7원 탄소고리 및 헤테로고리로부터 선택되고;
D 1 은 다음의 5-원 단환 헤테로고리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pct00006
이들은 수소, 중수소, 알킬(C1-C4), 알콕시(C1-C4), 아미노, 할로겐, 아미드, -CF3, -CN, -N3, 케톤(C1-C4), -S(O)알킬(C1-C4), -SO2알킬(C1-C4), -티오알킬(C1-C4), -COOH, 및/또는 에테르로 임의 치환되고, 이들 각각은 수소, F, Cl, Br, -OH, -NH2, -NHMe, -OMe, -SMe, 옥소, 및/또는 티오-옥소로 임의 치환될 수 있다.
화합물 I을 포함하여, 식 Ia 및 Ib의 화합물은,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원에 통합된 국제 특허 공개 WO 2015/002754에 이전에 기술되었고, 특히 동 문헌에는, 화합물 I을 포함하여, 식 Ia 및 식 Ib의 화합물에 대한 설명, 이들의 합성, 및 이들의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 활성의 입증이 기술되었다.
일부 구현예에서, 식 Ia 또는 식 Ia의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하기로부터 선택된다: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l)-N-에틸-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l)-N-메틸-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
N,1-다이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N-(피리딘-3-일메틸)-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
4-(1-벤질-2-(피롤리딘-1-일)-1H-이미다조[4,5-b]피리딘-6-일)-3,5-다이메틸이속사졸;
4-(2-(아제티딘-1-일)-1-(시클로펜틸메틸)-1H-이미다조[4,5-b]피리딘-6-일)-3,5-다이메틸이속사졸;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
1-(시클로펜틸메틸)-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N-(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
4-아미노-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H-벤조[d]이미다졸-2(3H)-온;
4-아미노-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4-메톡시벤질)-1H-벤조[d]이미다졸-2(3H)-온;
4-아미노-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1-페닐에틸)-1H-벤조[d]이미다졸-2(3H)-온;
4-아미노-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3-메틸-1H-벤조[d]이미다졸-2(3H)-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공결정.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전립선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N-메틸-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 (화합물 I),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공결정을 또 다른 치료제와 함께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동시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전립선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N-메틸-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 (화합물 I),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공결정을 또 다른 치료제 및 면역 관문 억제제 둘 다와 함께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동시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제2 제제는 안드로겐 수용체 길항제이다.
일 구현예에서, 제2 제제는 안드로겐 합성 억제제이다.
일 구현예에서, 제2 제제는 엔잘루타미드이다.
일 구현예에서, 제2 제제는 아팔루타미드이다.
일 구현예에서, 제2 제제는 다롤루타디드이다.
일 구현예에서, 제2 제제는 아비라테론이다.
일 구현예에서, 제2 제제는 안드로겐 수용체 길항제이고 면역 관문 억제제와 함께 병용 투여된다.
일 구현예에서, 제2 제제는 안드로겐 합성 억제제이고 면역 관문 억제제와 함께 병용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억제제는 PD-1, PD-L1 억제제, 또는 CTL-4 억제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억제제는 이필리무맙, 니볼루맙, 펨브롤리주맙 PD-1, 아테졸리주맙, 아벨루맙, 더발루맙, 또는 세미플리맙이다.
일 구현예에서, 전립선암은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 또는 전이성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이다.
일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이전에 전립선암 요법으로 치료받은 적이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전립선암 요법은 안드로겐 차단 요법이다.
일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이전에 안드로겐 차단 요법에 대해 질환 진행을 나타낸 적이 있다.
일 구현예에서, 환자는 안드로겐 차단 요법에 대해 여전히 반응한다.
일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안드로겐 차단 요법으로 이전에 치료받은 적이 없다.
일 구현예에서, 안드로겐 차단 요법은 엔잘루타미드, 아팔루타미드, 또는 아비라테론이다.
일 구현예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공결정은 메실레이트 염 또는 공결정이다.
일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PSA 상승 및 측정 가능한 질환에 대한 음성 스캔을 수반하는 무증상성 비전이성 질환을 갖는다.
일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PSA 상승 및 전이성 질환에 대한 양성 스캔을 수반하는 전이성 질환을 가지고 있고, 안드로겐 차단 요법 또는 화학요법으로 치료받은 적이 없다(탁산 투여 전이다).
일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PSA 상승 및 전이성 질환에 대한 양성 스캔을 수반하는 전이성 질환을 가지고 있고, 아비라테론, 엔잘루타미드, 또는 아팔루타미드, 또는 화학요법으로 치료받은 적이 없다(탁산 투여 전이다).
일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측정 가능한 질환에 대한 음성 스캔을 수반하되 PSA 상승은 수반하지 않는 무증상성 비전이성 질환을 갖는다.
일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전이성 질환에 대한 양성 스캔을 수반하되 PSA 상승은 수반하지 않는 전이성 질환을 가지고 있고, 안드로겐 차단 요법 또는 화학요법으로 치료받은 적이 없다(탁산 투여 전이다).
일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전이성 질환에 대한 양성 스캔을 수반하되 PSA 상승은 수반하지 않는 전이성 질환을 가지고 있고, 아비라테론, 엔잘루타미드, 또는 아팔루타미드, 또는 화학요법으로 치료받은 적이 없다(탁산 투여 전이다).
일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전이성 질환을 가지고 있고, 아비라테론, 엔잘루타미드, 또는 아팔루타미드로 치료받은 적이 있지만, 화학요법으로 치료받은 적은 없다(탁산 투여 전이다).
일 구현예에서, 이전에 화학요법 치료를 받은 적이 없는(탁산 투여 전인) 대상체를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N-메틸-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 (화합물 I), 및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공결정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및 안드로겐 차단 요법에 의해 동시 치료하는 경우, 용량 제한 독성으로서의 혈소판감소증이 없으므로 예상치 못한 월등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일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전이성 질환을 가지고 있고, 아비라테론, 엔잘루타미드, 또는 아팔루타미드로 치료받은 적이 있지만, 다른 안드로겐 차단 요법으로 치료하는 것이 권장되지 않는 화학요법으로 치료받은 적은 없다(탁산 투여 전이다).
일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전이성 질환을 가지고 있고, 안드로겐 차단 요법 또는 화학요법으로 치료받은 적이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인간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다른 치료제와 동시에 투여되고, 추가로 면역 관문 억제제와 임의로 병용 투여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동시에(concomitantly)"는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 및 다른 치료제가 수 초(예를 들어, 15초, 30초, 45초, 60초 이하), 수 분(예를 들어, 1분, 2분, 5분 이하, 10분 이하 또는 15분 이하), 또는 1 내지 8시간의 시간 간격을 두고 투여되는 것을 의미한다. 동시에 투여될 때,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 및 다른 치료제는 2회 이상 투여될 수 있고, 별도의 조성물 또는 투여 형태에 함유될 수 있고, 동일하거나 상이한 패키지(들)에 담길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병용 요법으로 투여되는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화합물 I 및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으로부터 선택되고, 25 내지 200 mg/일의 투여량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합물 I 및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은 36 내지 144 mg/일의 투여량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합물 I 및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로서, 본 발명의 병용 투여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은 48 내지 120 mg/일의 투여량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합물 I 및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로서, 본 발명의 병용 투여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은 48 mg/일, 60 mg/일, 72 mg/일, 96 mg/일, 또는 120 mg/일의 투여량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본원에 기술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서, 화합물 I 및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은 80 mg 내지 160 mg의 엔잘루타미드와 병용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서, 화합물 I 및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은 80 mg, 120 mg, 또는 160 mg의 엔잘루타미드와 병용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서, 화합물 I 및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은 500 mg 내지 1,000 mg의 아비라테론과 병용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서, 화합물 I 및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은 500 mg, 750 mg, 또는 1,000 mg의 아비라테론과 병용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서, 화합물 I 및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은 120 mg 내지 240 mg의 아팔루타미드와 병용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서, 화합물 I 및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은 120 mg 또는 180 mg, 또는 240 mg의 아팔루타미드와 병용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서, 화합물 I 및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은 100 mg 내지 300 mg의 다롤루타미드와 매일 2회 병용 투여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36 내지 144 mg의 화합물 I이 80 mg 내지 160 mg의 엔잘루타미드, 500 mg 내지 1,000 mg의 아비라테론, 120 mg 내지 240 mg의 아팔루타미드, 또는 100 mg 내지 300 mg의 다롤루타미드와 매일 2회 병용 투여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병용 요법으로 투여되는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화합물 I 및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공결정으로부터 선택되고, 인간을 대상으로 25 내지 200 mg/일의 상응하는 유리 염기의 양과 유사한 노출을 제공하는 투여량 수준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특정 구현예에서, 화합물 I 및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공결정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은, 인간을 대상으로 36 내지 144 mg/일의 상응하는 유리 염기의 양과 유사한 노출을 제공하는 투여량 수준으로 본 발명의 병용 요법에서 투여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화합물 I 및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공결정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은, 인간을 대상으로 48 내지 96 mg/일의 상응하는 유리 염기의 양과 유사한 노출을 제공하는 투여량 수준으로 본 발명의 병용 요법에서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서, 화합물 I 및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은 80 mg 내지 160 mg의 엔잘루타미드, 500 mg 내지 1,000 mg의 아비라테론, 또는 120 mg 내지 240 mg의 아팔루타미드와 병용 투여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TMPRSS2-ERG, SLC45A3-ERG, NDRG1-ERG, DUX4-ERG, ELF4-ERG, ELK4-ERG, BZW2-ERG, CIDEC-ERG, DYRK1A-ERG, EWSR1-ERG, FUS-ERG, GMPR-ERG, HERPUD1-ERG, KCNJ6-ERG, ZNRF3-ERG, ETS2-ERG, ETV1-ERG, HNRNPH1-ERG, PAK1-ERG, PRKAB2-ERG, SMG6-ERG, SLC45A3-FLI1, TMPRSS2-ETV1, SLC45A3-ETV1, FOXP1-ETV1, EST14-ETV1, HERVk17-ETV1, ERVK-24-ETV1, C15ORF21-ETV1, HNRPA2B1-ETV1, ACSL3-ETV1, OR51E2-ETV1, ETV1 S100R, RBM25-ETV1, ACPP-ETV1, BMPR1B- ETV1, CANT1- ETV1, ERO1A-ETV1, CPED1-ETV1, HMGN2P46-ETV1, HNRNPA2B1-ETV1, SMG6-ETV1, FUBP1-ETV1, KLK2-ETV1, MIPOL1- ETV1, SLC30A4-ETV1, EWSR1-ETV1, TMPRSS2-ETV4, KLK2-ETV4, CANT1-ETV4, DDX5-ETV4, UBTF-ETV4, DHX8-ETV4, CCL16-ETV4, EDIL3-ETV4, EWSR1-ETV4, SLC45A3-ETV4, UBTF-ETV4, XPO7-ETV4, TMPRSS2-ETV5, SLC45A3-ETV5, ACTN4- ETV5, EPG5- ETV5, LOC284889-ETV5, RNF213-ETV5, SLC45A3-ELK4를 포함하는 활성화 돌연변이 및/또는 전좌를 통해 ETS 전사 인자 패밀리의 활성화를 갖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활성화 돌연변이 및/또는 전좌를 통해 ETS 전사 인자 패밀리의 활성화를 가지며, 특정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활성화 돌연변이 및/또는 전좌를 통해 ETS 전사 인자 패밀리 구성원인 TMPRSS2-ERG의 활성화를 갖는다.
특정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치료 후 12주차에 PSA가 2.5배 미만으로 증가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치료 후 12주차에 PSA가 2배 미만으로 증가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치료 후 4주차 또는 8주차에 PSA 스파이크를 갖는다. 4주차의 스파이크는 화합물 I을 이용한 치료 시작(0주차)과 비교해 치료 후 4주차에 PSA가 증가한 다음, 치료 후 4주차에서 8주차까지 PSA가 감소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8주차의 스파이크는 치료 후 4주차(4주차)와 비교해 치료 후 8주차에 PSA가 증가한 다음, 치료 후 8주차에서 12주차까지 PSA가 감소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참조 문헌
Aggarwal, R., Zhang, T., Small, E. J. & Armstrong, A. J. (2014) Neuroendocrine prostate cancer: subtypes, biology, and clinical outcomes. J Natl Compr Canc Netw, 12(5), 719-26.
Antonarakis, E. S., Lu, C., Wang, H., Luber, B., Nakazawa, M., Roeser, J. C., Chen, Y., Mohammad, T. A., Chen, Y., Fedor, H. L., Lotan, T. L., Zheng, Q., De Marzo, A. M., Isaacs, J. T., Isaacs, W. B., Nadal, R., Paller, C. J., Denmeade, S. R., Carducci, M. A., Eisenberger, M. A. & Luo, J. (2014) AR-V7 and resistance to enzalutamide and abiraterone in prostate cancer. N Engl J Med, 371(11), 1028-38.
Arora, V. K., Schenkein, E., Murali, R., Subudhi, S. K., Wongvipat, J., Balbas, M. D., Shah, N., Cai, L., Efstathiou, E., Logothetis, C., Zheng, D. & Sawyers, C. L. (2013) Glucocorticoid receptor confers resistance to antiandrogens by bypassing androgen receptor blockade. Cell, 155(6), 1309-22.
Asangani, I. A., Dommeti, V. L., Wang, X., Malik, R., Cieslik, M., Yang, R., Escara-Wilke, J., Wilder-Romans, K., Dhanireddy, S., Engelke, C., Iyer, M. K., Jing, X., Wu, Y. M., Cao, X., Qin, Z. S., Wang, S., Feng, F. Y. & Chinnaiyan, A. M. (2014) Therapeutic targeting of BET bromodomain proteins in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Nature, 510(7504), 278-82.
Asangani, I. A., Wilder-Romans, K., Dommeti, V. L., Krishnamurthy, P. M., Apel, I. J., Escara-Wilke, J., Plymate, S. R., Navone, N. M., Wang, S., Feng, F. Y. & Chinnaiyan, A. M. (2016) BET Bromodomain Inhibitors Enhance Efficacy and Disrupt Resistance to AR Antagonists in the Treatment of Prostate Cancer. Mol Cancer Res, 14(4), 324-31.
Azad, A. A., Volik, S. V., Wyatt, A. W., Haegert, A., Le Bihan, S., Bell, R. H., Anderson, S. A., McConeghy, B., Shukin, R., Bazov, J., Youngren, J., Paris, P., Thomas, G., Small, E. J., Wang, Y., Gleave, M. E., Collins, C. C. & Chi, K. N. (2015b) Androgen receptor gene aberrations in circulating cell-free DNA: biomarkers of therapeutic resistance in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Clin Cancer Res, 21(10), 2315-24.
Beltran, H., Tomlins, S., Aparicio, A., Arora, V., Rickman, D., Ayala, G., Huang, J., True, L., Gleave, M. E., Soule, H., Logothetis, C. & Rubin, M. A. (2014) Aggressive variants of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Clin Cancer Res, 20(11), 2846-50.
Bianchini, D., Lorente, D., Rodriguez-Vida, A., Omlin, A., Pezaro, C., Ferraldeschi, R., Zivi, A., Attard, G., Chowdhury, S. & de Bono, J. S. (2014) Antitumour activity of enzalutamide (MDV3100) in patients with metastatic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CRPC) pre-treated with docetaxel and abiraterone. Eur J Cancer, 50(1), 78-84.
Ceribelli, M., Kelly, P. N., Shaffer, A. L., Wright, G. W., Xiao, W., Yang, Y., Mathews Griner, L. A., Guha, R., Shinn, P., Keller, J. M., Liu, D., Patel, P. R., Ferrer, M., Joshi, S., Nerle, S., Sandy, P., Normant, E., Thomas, C. J. & Staudt, L. M. (2014) Blockade of oncogenic IkappaB kinase activity in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by bromodomain and extraterminal domain protein inhibitors. Proc Natl Acad Sci U S A, 111(31), 11365-70.
Chan, S. C., Selth, L. A., Li, Y., Nyquist, M. D., Miao, L., Bradner, J. E., Raj, G. V., Tilley, W. D. & Dehm, S. M. (2015) Targeting chromatin binding regulation of constitutively active AR variants to overcome prostate cancer resistance to endocrine-based therapies. Nucleic Acids Res, 43(12), 5880-97.
Chou, T.C. 및 Talalay, P., (1984) Quantitative analysis of dose-effect relationships: The combined effects of multiple drugs or enzyme inhibitors, Advances in Enzyme Regulation 22, 27-55.
Dang, Q., Li, L., Xie, H., He, D., Chen, J., Song, W., Chang, L. S., Chang, H. C., Yeh, S. & Chang, C. (2015) Anti-androgen enzalutamide enhances prostate cancer neuroendocrine (NE) differentiation via altering the infiltrated mast cells --> androgen receptor (AR) --> miRNA32 signals. Mol Oncol, 9(7), 1241-51.
Gallagher, S. J., Mijatov, B., Gunatilake, D., Gowrishankar, K., Tiffen, J., James, W., Jin, L., Pupo, G., Cullinane, C., McArthur, G. A., Tummino, P. J., Rizos, H. & Hersey, P. (2014) Control of NF-kB activity in human melanoma by bromodomain and extra-terminal protein inhibitor I-BET151. Pigment Cell Melanoma Res, 27(6), 1126-37.
Gao, L., Schwartzman, J., Gibbs, A., Lisac, R., Kleinschmidt, R., Wilmot, B., Bottomly, D., Coleman, I., Nelson, P., McWeeney, S. & Alumkal, J. (2013) Androgen receptor promotes ligand-independent prostate cancer progression through c-Myc upregulation. PloS one, 8(5), e63563.
Isikbay, M., Otto, K., Kregel, S., Kach, J., Cai, Y., Vander Griend, D. J., Conzen, S. D. & Szmulewitz, R. Z. (2014) Glucocorticoid receptor activity contributes to resistance to androgen-targeted therapy in prostate cancer. Horm Cancer, 5(2), 72-89.
Jin, R., Sterling, J. A., Edwards, J. R., DeGraff, D. J., Lee, C., Park, S. I. & Matusik, R. J. (2013) Activation of NF-kappa B signaling promotes growth of prostate cancer cells in bone. PloS one, 8(4), e60983.
Lamb, A. D., Massie, C. E. & Neal, D. E. (2014) The transcriptional programme of the androgen receptor (AR) in prostate cancer. BJU Int, 113(3), 358-66.
Loriot, Y., Bianchini, D., Ileana, E., Sandhu, S., Patrikidou, A., Pezaro, C., Albiges, L., Attard, G., Fizazi, K., De Bono, J. S. & Massard, C. (2013) Antitumour activity of abiraterone acetate against metastatic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progressing after docetaxel and enzalutamide (MDV3100). Ann Oncol, 24(7), 1807-12.
Nadiminty, N., Tummala, R., Liu, C., Yang, J., Lou, W., Evans, C. P. & Gao, A. C. (2013) NF-kappaB2/p52 induces resistance to enzalutamide in prostate cancer: role of androgen receptor and its variants. Mol Cancer Ther, 12(8), 1629-37.
Nakazawa, M., Antonarakis, E. S. & Luo, J. (2014) Androgen receptor splice variants in the era of enzalutamide and abiraterone. Horm Cancer, 5(5), 265-73.
Noonan, K. L., North, S., Bitting, R. L., Armstrong, A. J., Ellard, S. L. & Chi, K. N. (2013) Clinical activity of abiraterone acetate in patients with metastatic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progressing after enzalutamide. Ann Oncol, 24(7), 1802-7.
Schrader, A. J., Boegemann, M., Ohlmann, C. H., Schnoeller, T. J., Krabbe, L. M., Hajili, T., Jentzmik, F., Stoeckle, M., Schrader, M., Herrmann, E. & Cronauer, M. V. (2014) Enzalutamide in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patients progressing after docetaxel and abiraterone. Eur Urol, 65(1), 30-6.
Scher, H.I., Halabi, S., Tannock, I., Morris, M., Sternberg, C.N., Cardussi, M.A., Eisenberger, M.A., Higano, C., Bubley, G.J., Dreicer, R., Petrylak, D., Kantoff, P., Basch, E., Kelly, W.K., Figg, W.D., Small, E.J., Beer, T.M., Wilding, G., Martin, A., Hussain, M. (2008) Design and End Point of Clinical Trials for Patients with Progressive Prostate Cancer and Castrate Levels of Testosterone: Recommendations of the Prostate Cancer Clinical Trials Working Group. J. Clin. Onco. 26, 1148-1159.
Shah, N., Wang, P., Wongvipat, J., Karthaus, W. R., Abida, W., Armenia, J., Rockowitz, S., Drier, Y., Bernstein, B. E., Long, H. W., Freedman, M. L., Arora, V. K., Zheng, D. & Sawyers, C. L. (2017) Regulation of the glucocorticoid receptor via a BET-dependent enhancer drives antiandrogen resistance in prostate cancer. Elife, 6.
Welti, J., Sharp, A., Yuan, W., Dolling, D., Nava Rodrigues, D., Figueiredo, I., Gil, V., Neeb, A., Clarke, M., Seed, G., et al. (2018) Targeting Bromodomain and Extra-Terminal (BET) Family Proteins in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CRPC). Clinical cancer research : an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24, 3149-3162.
Wyatt, A. W. & Gleave, M. E. (2015) Targeting the adaptive molecular landscape of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EMBO Mol Med, 7(7), 878-94.
Wyce, A., Degenhardt, Y., Bai, Y., Le, B., Korenchuk, S., Crouthame, M. C., McHugh, C. F., Vessella, R., Creasy, C. L., Tummino, P. J. & Barbash, O. (2013) Inhibition of BET bromodomain proteins as a therapeutic approach in prostate cancer. Oncotarget, 4(12), 2419-29.
Zeng, W., Sun, H., Meng, F., Liu, Z., Xiong, J., Zhou, S., Li, F., Hu, J., Hu, Z. & Liu, Z. (2015) Nuclear C-MYC expression level is associated with disease progression and potentially predictive of two year overall survival in prostate cancer. Int J Clin Exp Pathol, 8(2), 1878-88.
Zou, Z., Huang, B., Wu, X., Zhang, H., Qi, J., Bradner, J., Nair, S. & Chen, L. F. (2014) Brd4 maintains constitutively active NF-kappaB in cancer cells by binding to acetylated RelA. Oncogene, 33(18), 2395-404.
실시예
조직 배양 배지와 시약은 ThermoFisher Scientific으로부터 구입하였다. 엔잘루타미드, 아팔루타미드, 아비라테론 아세테이트, 및 다롤루타미드는 Selleck Chemicals로부터 구입하였다. 메트리볼론(R1881)은 Toronto Research Chemicals로부터 구입하였다.
실시예 1: 화합물 I의 합성
단계 A: 5-브로모-N 3 -(페닐메틸렌)피리딘-2,3-다이아민 (화합물 B)의 합성
Figure pct00007
출발 물질 A를 메탄올 및 아세트산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0~5℃로 냉각시키고, 벤즈알데히드를 적가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공정수 및 NaHCO3 용액을 적가하고, 온도를 낮게(0~5℃) 유지하였다. 고형분을 여과하고 1:1의 메탄올/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키고, HPLC에 의해 94% 수율 및 +99% 순도로 화합물 B를 남겼다. 1H-NMR (DMSO-d6): δ 8.75 (1H), 8.04 (2H), 7.93 (1H), 7.65 (1H), 7.50-7.60 (3H).
단계 B: N 3 -벤질-5-브로모피리딘-2,3-다이아민 (화합물 C)의 합성
Figure pct00008
화합물 B를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온도를 15~25℃로 유지하면서 NaHB4를 여러 번 나눠 첨가하였다. HPLC로 모니터링해서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반응 혼합물을 8~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Cl 용액을 첨가하고, pH를 6~7로 조정한 다음, 공정수를 첨가하고, 온도를 15~25℃로 유지하였다.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에탄올/물 혼합물로 세척하였다. 약 60℃에서 15~20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화합물 C를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d 7.2-7.4 (6 H), 6.55 (1 H), 5.70-5.83 (3 H), 4.30 (2 H).
단계 C: N 3 -벤질-5-(3,5-다이메틸-1,2-옥사졸-4-일)피리딘-2,3-다이아민 (화합물 D)의 합성
Figure pct00009
화합물 C, 화합물 G, 및 3인산칼륨 삼수화물을 혼합한 다음, 1,4-다이옥산과 공정수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질소로 완전히 퍼징하였다.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을 첨가하고, 화합물 C 대 화합물 D의 비가 1% 이하가 될 때까지 혼합물을 ≥90℃로 가열하였다. 냉각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형분을 1,4-다이옥산으로 세척한 다음 농축시켰다. 공정수를 첨가하고, 모액에 남아있는 화합물 D의 양이 0.5% 이하가 될 때까지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화합물 D를 여과에 의해 단리하고, 1,4-다이옥산/물 및 t-부틸메틸 에테르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습식 케이크를 염화메틸렌 및 실리카 겔 중에서 혼합하였다. 교반 후, 혼합물을 여과한 다음 농축시켰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t-부틸메틸 에테르를 첨가하였다.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단리하고, 염화메틸렌, t-부틸메틸 에테르, 및 수분의 수준이 0.5%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켰다. 1H-NMR (DMSO-d6): δ 7.30-7.45 (4 H), 7.20-7.25 (2 H), 6.35 (1 H), 5.65-5.80 (3 H), 4.30-4.40 (2 H), 2.15 (3 H), 1.95 (3 H).
단계 D: 1-벤질-6-(3,5-다이메틸-1,2-옥사졸-4-일)-3H-이미다조[4,5-b]피리딘-2-온(화합물 E)의 합성
Figure pct00010
카보닐다이이미다졸 고형분을 화합물 D와 다이메틸설폭시드의 교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화합물 D 대 화합물 E의 비가 NMT 0.5%가 될 때까지 혼합물을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공정수를 수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적어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단리하고 공정수로 세척하였다. 디이메틸설폭시드가 0.5% 이하인 것으로 확인한 후 열과 진공 처리를 이용해 건조시켰다. 수분 수준이 NMT 0.5%일 때 건조를 완료하여, 화합물 E를 남겼다. 1H-NMR (DMSO-d6): δ 11.85 (1 H), 7.90 (1 H), 7.20-7.45 (6 H), 5.05 (2 H), 3.57 (3 H), 2.35 (3 H), 2.15 (3 H).
단계 E: 4-[1-벤질-2-클로로-1H-이미다조[4,5-b]피리딘-6-일]-3,5-다이메틸-1,2-옥사졸(화합물 F)의 합성
Figure pct00011
화합물 E와 옥시 염화인을 혼합한 다음, 다이이소프로필에틸 아민(DIPEA)으로 처리(적가할 수도 있음)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수시간 동안 가열하고, 냉각시키고, 반응 완료에 대해 샘플링하였다. 화합물 E 대 화합물 F의 비가 0.5% 이하이면, 반응은 완료된 것이다. 그렇지 않은 경우, 반응물을 추가로 가열하고 이전과 같이 샘플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혼합물을 농축시킨 다음 냉각시켰다.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진공 하에 여러 번 농축시켰다. 아세트산에틸(EtOAc)을 농축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냉각시킨 다음, 수성 중탄산나트륨에 첨가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수성 중탄산나트륨으로 세척한 다음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농축시키고,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농축시켜 수분 수준이 0.2% 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아세트산 에틸 중의 혼합물을 탄소로 탈색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n-헵탄을 첨가하였다.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단리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잔류 수분, 아세트산에틸, 및 n-헵탄이 0.5% 이하일 때 건조를 완료하였다. 1H-NMR (MeOH-d4): δ 8.40 (1 H), 7.90 (1 H), 7.25-7.45 (5 H), 5.65 (2 H), 2.37 (3 H), 2.22 (3 H).
단계 F: 1-벤질-6-(3,5-다이메틸-1,2-옥사졸-4-일)-N-메틸-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화합물 I)의 합성
Figure pct00012
화합물 F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중 메틸아민과 혼합하고, 화합물 F 대 화합물 I의 비가 HPLC에 의해 0.1% 이하가 될 때까지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공정수를 첨가하고, 여과에 의해 생성물을 단리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공정수로 세척하였다. 습식 케이크를 염산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염화메틸렌으로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수용액을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중화시키고, 화합물 I을 여과에 의해 단리하고, 공정수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필요한 경우, 임의의 잔여 염산을 제거하기 위해, 건조된 물질을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에탄올 중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처리한 다음, 공정수를 첨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킬 수 있다. 화합물 I을 여과에 의해 단리하고, 공정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1H-NMR (DMSO-d6): δ 7.96 (d, 1H, J=2.0 Hz), 7.42 (d, 1H, J=2.0 Hz), 7.37 (q, 1H, J=4.2 Hz), 7.32 (m, 2H), 7.26 (m, 1H), 7.24 (m, 2H), 5.30 (s, 2H), 3.00 (d, 3H, 4.5 Hz), 2.34 (s, 3H), 2.16 (s, 3H). 13C-NMR (DMSO-d6): δ 164.8, 158.4, 157.7, 156.0, 141.1, 136.4, 128.6 (2C), 127.5, 127.4, 127.2 (2C), 115.8, 114.2 (2C), 44.5, 29.3, 11.2, 10.3.
실시예 2: 화합물 I의 결정질 메실레이트
약 5 g의 화합물 I을 에탄올(115 mL)에 용해시키고, 에탄올 중 메탄설폰산의 용액(10 mL, 158.7 mg/mL)을 1:1 몰비에 따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에서 2시간 동안 진탕한 후, 절반 볼륨으로 농축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형성된 고형분(화합물 I 형태 I의 메실레이트 염/공결정)을 단리하고, 건조시키고, 특성화하였다.
화합물 I의 메실레이트 염/공결정 I형을, 아세톤 및 아세토니트릴을 포함하는 다른 용매 및 용매 혼합물로부터 수득하였다.
화합물 I의 메실레이트 염/공결정 I형은, Cu-Kα 방사선관을 사용하는 회절계를 이용해 결정했을 때, 2-세타에 대해 8.4 ± 0.2도, 10.6 ± 0.2도, 11.7 ± 0.2도, 14.5 ± 0.2도, 15.3 ± 0.2도, 16.9 ± 0.2도, 18.2 ± 0.2도, 19.0 ± 0.2, 19.9 ± 0.2도, 20.5 ± 0.2도, 22.6 ± 0.2도, 23.8 ± 0.2도, 24.5 ± 0.2도, 및 27.6 ± 0.2도에서 다음의 피크를 포함하는 XPRD를 특징으로 하였다(도 4).
화합물 I의 메실레이트 염/공결정 I형은 약 207℃의 온도에서 흡열 피크를 갖는 DSC를 특징으로 하였다(도 5 참조).
화합물 I의 메실레이트 염/공결정 형태 I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온도 변화도를 갖는 TGA를 특징으로 하였는데, 이를 통해 화합물 I의 I형이 무수 형태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화합물 I과 엔잘루타미드의 병용 투여에 의한 VCaP 세포 생존력의 상승적 억제
VCaP 세포(CRL-2876)를 10% 숯 여과(charcoal-stripped) FBS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하는 D-MEM 배지 중의 바닥이 편평한 96 웰 플레이트에 웰 당 세포 10,000개의 밀도로 도말하고, 37℃, 5% CO2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배지를 10% 숯 여과 FBS 및, 단일 제제로서 일정 비율의 화합물 I 또는 엔잘루타미드로 처리하거나, 4가지 상이한 농도(2X IC50, 1X IC50, 0.5X IC50, 0.25X IC50)의 두 가지 약물 모두로 처리된 0.1 nM R1881이 포함된 D-MEM으로 교체하고, 37℃, 5% CO2에서 3 내지 7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를 7일 동안 인큐베이션한 경우, 3일차 또는 4일차에 전술한 바와 같이 세포를 재처리하였다. 세포를 7일 동안 인큐베이션한 경우, 3일차 또는 4일차에 전술한 바와 같이 세포를 재처리하였다. 각 농도별로 웰을 3회 반복 사용하였고, 0.1% DMSO가 포함된 배지만을 함유하는 웰을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세포 생존력을 측정하기 위해, 검정 완충액(CellTiter Fluor Cell Vivability Assay(Promega))에서 1:100으로 희석된 100 uL의 GF-AFC 기질을 각 웰에 첨가하고, 37℃, 5% CO2에서 30 내지 90분 동안 추가로 인큐베이션하였다. 380~400 nm에서의 여기/505 nm에서의 방출 시의 형광을 형광계에서 판독하고, 블랭크 웰의 신호를 차감하여 배경을 보정한 후, DMSO로 처리한 세포에 대해 상대적인 세포 역가의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단일 제제에 대한 IC50 값은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상승작용의 정량화는 Chou-Talalay 알고리즘(Chou와 Talalay의 1984 문헌)에 기초하여 CalcuSyn 소프트웨어(Biosoft)를 사용하여 조합 지수(CI)를 계산하고, 유효 투여량(ED) 50, 75 및 90에 대한 CI 값을 평균화함으로써 수행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잘루타미드에 화합물 I을 첨가한 결과, 평균 CI 값이 0.5인 단일 제제와 비교하여 세포 생존력의 억제가 개선되었다.
실시예 4: 화합물 I과 아팔루타미드(ARN-509)의 병용 투여에 의한 VCaP 세포 생존력의 상승적 억제
VCaP 세포(CRL-2876)를 10% 숯 여과(charcoal-stripped) FBS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하는 D-MEM 배지 중의 바닥이 편평한 96 웰 플레이트에 웰 당 세포 10,000개의 밀도로 도말하고, 37℃, 5% CO2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배지를 10% 숯 여과 FBS 및, 단일 제제로서 일정 비율의 화합물 I 또는 아팔루타미드로 처리하거나, 4가지 상이한 농도(2X IC50, 1X IC50, 0.5X IC50, 0.25X IC50)의 두 가지 약물 모두로 처리된 0.1 nM R1881이 포함된 D-MEM으로 교체하고, 37℃, 5% CO2에서 3 내지 7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를 7일 동안 인큐베이션한 경우, 3일차 또는 4일차에 전술한 바와 같이 세포를 재처리하였다. 세포를 7일 동안 인큐베이션한 경우, 3일차 또는 4일차에 전술한 바와 같이 세포를 재처리하였다. 각 농도별로 웰을 3회 반복 사용하였고, 0.1% DMSO가 포함된 배지만을 함유하는 웰을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세포 생존력을 측정하기 위해, 검정 완충액(CellTiter Fluor Cell Vivability Assay(Promega))에서 1:100으로 희석된 100 uL의 GF-AFC 기질을 각 웰에 첨가하고, 37℃, 5% CO2에서 30 내지 90분 동안 추가로 인큐베이션하였다. 380~400 nm에서의 여기/505 nm에서의 방출 시의 형광을 형광계에서 판독하고, 블랭크 웰의 신호를 차감하여 배경을 보정한 후, DMSO로 처리한 세포에 대해 상대적인 세포 역가의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단일 제제에 대한 IC50 값은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상승작용의 정량화는 Chou-Talalay 알고리즘(Chou와 Talalay의 1984 문헌)에 기초하여 CalcuSyn 소프트웨어(Biosoft)를 사용하여 조합 지수(CI)를 계산하고, 유효 투여량(ED) 50, 75 및 90에 대한 CI 값을 평균화함으로써 수행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팔루타미드에 화합물 I을 첨가한 결과, 평균 CI 값이 0.4인 단일 제제와 비교하여 세포 생존력의 억제가 개선되었다.
실시예 5: 화합물 I과 아비라테론 아세테이트의 병용 투여에 의한 LAPC-4 세포 생존력의 상승적 억제
LAPC-4 세포(CRL-13009)를 10% 숯 여과(charcoal-stripped) FBS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하는 IMDM 배지 중의 바닥이 편평한 96 웰 플레이트에 웰 당 세포 5,000개의 밀도로 도말하고, 37℃, 5% CO2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배지를 10% 숯 여과 FBS 및, 단일 제제로서 일정 비율의 화합물 I 또는 아비라테론 아세테이트로 처리하거나, 4가지 상이한 농도(2X IC50, 1X IC50, 0.5X IC50, 0.25X IC50)의 두 가지 약물 모두로 처리된 1 nM R1881이 포함된 IMDM으로 교체하고, 37℃, 5% CO2에서 3 내지 7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각 농도별로 웰을 3회 반복 사용하였고, 0.1% DMSO가 포함된 배지만을 함유하는 웰을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세포 생존력을 측정하기 위해, 검정 완충액(CellTiter Fluor Cell Vivability Assay(Promega))에서 1:100으로 희석된 100 uL의 GF-AFC 기질을 각 웰에 첨가하고, 37℃, 5% CO2에서 30 내지 90분 동안 추가로 인큐베이션하였다. 380~400 nm에서의 여기/505 nm에서의 방출 시의 형광을 형광계에서 판독하고, 블랭크 웰의 신호를 차감하여 배경을 보정한 후, DMSO로 처리한 세포에 대해 상대적인 세포 역가의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단일 제제에 대한 IC50 값은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상승작용의 정량화는 Chou-Talalay 알고리즘(Chou와 Talalay의 1984 문헌)에 기초하여 CalcuSyn 소프트웨어(Biosoft)를 사용하여 조합 지수(CI)를 계산하고, 유효 투여량(ED) 50, 75 및 90에 대한 CI 값을 평균화함으로써 수행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비라테론 아세테이트에 화합물 I을 첨가한 결과, 평균 CI 값이 0.09인 단일 제제와 비교하여 세포 생존력의 억제가 개선되었다.
실시예 6: 임상 개발
CRPC를 가진 인간을 대상으로 화합물 I을 단일 제제로서 시험하고, 엔잘루타미드와 병용하여 시험하였다. 화합물 I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이의 공결정, 특히 화합물 I의 메실레이트 염/공결정 I형을 비롯하여, 아비라테론, 아팔루타미드, 및 다롤루타미드와 같은 다른 치료제도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할 수 있다.
제1b상 투여량 증량 연구(3+3 설계)를 통해 화합물 I + 엔잘루타미드의 약동학, 안전성, 내약성 및 표적 결합성을 평가하였다. 투여량 증량의 경우, 최대 내약 투여량에 도달하지 않고 최대 144 mg의 투여량까지 시험하였다. 추가 투여량 수준 및 투여 일정을 탐색하여 최대 치료 효능을 추가로 정의할 수 있었다. 혈액 검정에서 표적 결합성을 측정하였고, MYC, CCR1, IL1RN, GPR183, HEXIM1, PD-L1, IL-8, A2AR, TIM-3을 포함하는 다수의 마커에 대해 mRNA 수준의 변화를 검출하였다.
제2a상 투여량 확인 연구를 통해서, 화학요법으로 치료 받은 적이 없고 엔잘루타미드 및/또는 아비라테론에 대해 진행이 나타난 대상체를 대상으로 엔잘루타미드와 병용 투여한 화합물 I의 투여량 48 mg 및 96 mg을 평가하였다. 약동학, 안전성, 내약성과 표적 결합성, PSA 반응을 비롯하여 내약성이 양호한 투여량에서 방사선학적 진행까지의 시간을 사용하여 제2b상 권장 투여량을 결정하였다. 대상체의 혈액과 종양 샘플은 분자적으로 프로파일링하여 병용 요법에 대한 반응성 대상체 대 비반응성 대상체를 결정하고, 메커니즘의 증거를 제공하였다.
도 7 및 아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a상 연구에서 평가된 데이터는, 화합물 I + 엔잘루타미드를 이용한 mCRPC 환자의 2선 치료의 경우 유리한 rPFS가 지속됨을 보여주는데, 전반적인 rPFS는 44.6주인 반면 엔잘루타미드 단독 투여 시의 예상 rPFS는 24 내지 28주로 대비된다. 아비라테론과 엔잘루타미드에 대한 진행성 환자도 화합물 I과 엔잘루타미드의 병용 투여에 대해 유사한 이점을 보여주었다. 종양 부담이 높고 낮은 환자에서도 rPFS의 연장이 검출되었는데, 여기에는 2가지 부분 반응, 즉 아비라테론에 대해 이전에 진행을 나타낸 환자 1명; 및 이전의 엔잘루타미드에 대해 진행을 나타낸 환자 1명이 포함된다. 아비라테론에 대해 진행성인 2명의 환자의 경우 PSA90 >117주이고, 엔잘루타미드에 대해 이전에 진행성이었지만 화합물 I + 엔잘루타미드를 병용 투여한 7명의 환자의 경우 PSA90 >52주이다.
Figure pct00013
도 8 및 아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PSA 반응성 환자의 방사선학적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은 아직 120주에는 아직 도달하지 않았지만, 4주차 또는 8주차에 PSA 스파이크가 나타난 환자의 방사선학적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은 45.9주로서, 이러한 PSA 스파이크 또는 PSA 반응이 나타나지 않은 환자의 방사선학적 무진행 생존기간이 31.3주인 것과 대비된다. PSA 반응은 스크리닝 값과 대비 12주차에 PSA의 >50%의 감소로서 정의하였다. PSA 스파이크는 실시예 7에서 정의된다.
Figure pct00014
무작위 배정 제2b상 연구를 사용하여 더 큰 모집단을 대상으로 한 제2상 투여량을 확인하고, 병용 요법에 잘 반응하는 하위 모집단을 식별할 것이다. 화합물 I과 다른 치료제의 다수의 조합을 탐색할 수 있다.
제3상 연구는 CRPC를 가진 대상체를 대상으로, 위약 대비 화합물 I,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공결정과 다른 치료제(아비라테론, 엔잘루타미드, 다롤루타미드, 또는 아팔루타미드)에 대한 이중 맹검, 무작위 배정 연구가 될 것이다. 일차 평가변수는 전체 생존기간 또는 방사선학적 진행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실시예 7: 화합물 I 및 엔잘루타미드로 치료 시 4주차 또는 8주차의 PSA 스파이크
아비라테론 및/또는 엔잘루타미드에 대해 이전에 진행성이었던 mCRPC 환자에게 화합물 I과 엔잘루타미드를 QD 투여량으로 병용 투여하였다. 화합물 I의 QD 투여 후 4주차 또는 8주차에 몇몇 환자에게서 PSA 스파이크가 나타났다. 도 9는 4주차에 PSA 스파이크가 나타난 2명의 환자, 및 8주차에 PSA 스파이크가 나타난 2명의 환자의 예를 보여준다. 4주차의 스파이크는 치료 시작(0주차)과 비교해 치료 후 4주차에 PSA가 증가한 다음, 치료 후 4주차에서 8주차까지 PSA가 감소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8주차의 스파이크는 치료 후 4주차(4주차)와 비교해 치료 후 8주차에 PSA가 증가한 다음, 치료 후 8주차에서 12주차까지 PSA가 감소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PSA 스파이크가 나타난 대상체의 방사선학적 무진행 생존 기간은 PSA 스파이크가 나타나지 않은 환자와 비교하여 더 길었다(45.9주 대 31.3주).
실시예 8: mCRPC 환자를 대상으로 한 화합물 I과 엔잘루타미드의 병용 투여에 대한 반응 및 ETS 돌연변이/융합의 분포.
아비라테론 및/또는 엔잘루타미드에 대해 이전에 진행성이었던 mCRPC 환자에게 화합물 I과 엔잘루타미드를 QD 투여량으로 병용 투여하였다. ETS 계열 구성원을 포함하는 돌연변이 또는 융합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또는 이러한 융합 또는 돌연변이가 없는 환자, 및 병용 투여에 대한 이들의 반응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반응자는 화합물 I 투여 후 >24주 동안 임상적 또는 방사선학적 진행이 없는 경우로 정의하고, 비반응자는 ≤24주 이전에 방사선학적 또는 임상적 진행이 나타난 경우로 정의한다. ETS 돌연변이 또는 융합이 있는 환자의 경우 반응자와 비반응자 간의 분포가 유사한 반면, ETS 돌연변이 또는 융합이 없는 환자 중에서는 반응자가 없었다.
실시예 9: mCRPC 환자를 대상으로 한 화합물 I과 엔잘루타미드의 병용 투여에 대한 반응, PSA 반응 또는 PSA 스파이크, 및 ETS 돌연변이/융합의 분포
아비라테론 및/또는 엔잘루타미드에 대해 이전에 진행성이었던 mCRPC 환자에게 화합물 I과 엔잘루타미드를 QD 투여량으로 병용 투여하였다. ETS 계열 구성원을 포함하는 돌연변이 또는 융합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또는 이러한 융합 또는 돌연변이가 없는 환자를 비롯하여, 4주차 또는 8주차에 PSA 반응 또는 스파이크가 없는 환자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반응자는 화합물 I 투여 후 >24주 동안 임상적 또는 방사선학적 진행이 없는 경우로 정의하고, 비반응자는 ≤24주 이전에 방사선학적 또는 임상적 진행이 나타난 경우로 정의한다. PSA 반응은 화합물 I의 투여 시작 후 12주차에 PSA 수준의 ≥50% 감소에 의해 정의된다. ETS 돌연변이 또는 융합을 가진 환자는 4주차 또는 8주차에 PSA 반응 또는 PSA 스파이크가 나타난 환자 중에 많았다.
실시예 10: mCRPC 환자를 대상으로 한 화합물 I과 엔잘루타미드의 병용 투여에 대한 반응으로서 종양에서의 면역 반응 및 인터페론 감마 신호 전달의 유도
엔잘루타미드에 대해 이전에 진행성이었던 mCRPC 환자에게 엔잘루타미드를 계속 투여하명서 화합물 I을 QD로 투여하였다. 종양 생검은 스크리닝 시(엔잘루타미드 투여 시) 및 투여 I로부터 8주 후(엔잘루타미드 및 화합물 I 투여 시)에 수득하였다. 2개의 생검을 대상으로 전체 전사체(RNA-서열) 분석을 수행하고, STAR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정렬을 수행하였고, 2018년 12월에서 2019년 8월 사이에는 BaseSpace?? Sequence Hub 기본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Cufflinks로 차등 유전자 발현 분석을 수행하였다. SALMON 정렬 소프트웨어 및 BioConductor를 사용하여 독립적인 분석을 추가로 수행하였다. 차등 발현된 유전자 시그니처의 동정은 Molecular Signature Database의 유전자 시그너처를 사용해 유전자 세트 증폭 분석(geneset enrichment analysis, GSEA)을 사용해 수행하였다(Subramanian A, Tamayo P, 등의 문헌[ [2005, PNAS 102, 15545-15550]; Liberzon A, 등의 문헌[2011, Bionformatics 27, 1739-1740]; Liberzon A, 등의 문헌[2015, Cell Systems 1, 417-425] 참조).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중 생검에서 여러 가지 면역 관련 시그니처가 상당히 상향조절되었다. 관련 유전자 세트는 도면에 표시되어 있으며, 각각의 유전자 세트에 포함된 유전자는 MSigDB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도 12b에서, 이들 유전자 세트에서 확인된 일부 유전자를 그래프로 표현하여 상향 조절의 정도를 나타냈다. 적응성 면역 반응, 항원 제시, 및 인터페론-감마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유전자 세트의 상향조절은, 화합물 I과 엔잘루타미드의 병용 투여가 면역 반응성 표현형을 유도하였고, 따라서 환자가 화합물 I, 엔잘루타미드, 및 관문 억제제의 삼중 병용 투여에 반응할 것임을 시사한다.

Claims (18)

  1. 전립선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N-메틸-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화합물 I),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공결정으로부터 선택된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를 제2 치료제와 함께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화합물 I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는 화합물 I의 I형인 메실레이트 염/공결정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치료제는 안드로겐 수용체 길항제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치료제는 안드로겐 합성 억제제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치료제는 엔잘루타미드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치료제는 아팔루타미드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치료제는 아비라테론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립선암은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 또는 전이성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는 전립선암 요법으로 이전에 치료받은 적이 있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전립선암 요법은 안드로겐 차단 요법인, 방법.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는 이전에 안드로겐 차단 요법에 대해 질환 진행을 나타낸 적이 있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는 안드로겐 차단 요법으로 이전에 치료받은 적이 없는, 방법.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안드로겐 차단 요법은 엔잘루타미드, 아팔루타미드, 또는 아비라테론인,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N-메틸-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 (화합물 I) 및 1-벤질-6-(3,5-다이메틸이속사졸-4-일)-1H-이미다조[4,5-b]피리딘-2-아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공결정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은 안드로겐 차단 요법과 함께 투여되고, 투여량 제한 독성으로서의 혈소판 감소를 초래하지 않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안드로겐 차단 요법은 엔잘루타미드, 아팔루타미드, 다롤루타미드, 또는 아비라테론인, 방법.
  17.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는 TMPRSS2-ERG, SLC45A3-ERG, NDRG1-ERG, DUX4-ERG, ELF4-ERG, ELK4-ERG, BZW2-ERG, CIDEC-ERG, DYRK1A-ERG, EWSR1-ERG, FUS-ERG, GMPR-ERG, HERPUD1-ERG, KCNJ6-ERG, ZNRF3-ERG, ETS2-ERG, ETV1-ERG, HNRNPH1-ERG, PAK1-ERG, PRKAB2-ERG, SMG6-ERG, SLC45A3-FLI1, TMPRSS2-ETV1, SLC45A3-ETV1, FOXP1-ETV1, EST14-ETV1, HERVk17-ETV1, ERVK-24-ETV1, C15ORF21-ETV1, HNRPA2B1-ETV1, ACSL3-ETV1, OR51E2-ETV1, ETV1 S100R, RBM25-ETV1, ACPP-ETV1, BMPR1B- ETV1, CANT1- ETV1, ERO1A-ETV1, CPED1-ETV1, HMGN2P46-ETV1, HNRNPA2B1-ETV1, SMG6-ETV1, FUBP1-ETV1, KLK2-ETV1, MIPOL1- ETV1, SLC30A4-ETV1, EWSR1-ETV1, TMPRSS2-ETV4, KLK2-ETV4, CANT1-ETV4, DDX5-ETV4, UBTF-ETV4, DHX8-ETV4, CCL16-ETV4, EDIL3-ETV4, EWSR1-ETV4, SLC45A3-ETV4, UBTF-ETV4, XPO7-ETV4, TMPRSS2-ETV5, SLC45A3-ETV5, ACTN4- ETV5, EPG5- ETV5, LOC284889-ETV5, RNF213-ETV5, SLC45A3-ELK4를 포함하는 활성화 돌연변이 및/또는 전좌를 통해 ETS 전사 인자 패밀리의 활성화를 갖는, 방법.
  18.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는 치료 후 4주차 또는 8주차에 PSA 스파이크를 갖는, 방법.
KR1020217010491A 2018-09-13 2019-09-13 전립선 암의 치료를 위한 병용 요법 KR202100605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30869P 2018-09-13 2018-09-13
US62/730,869 2018-09-13
US201862737612P 2018-09-27 2018-09-27
US62/737,612 2018-09-27
US201862778185P 2018-12-11 2018-12-11
US62/778,185 2018-12-11
PCT/US2019/050970 WO2020056232A1 (en) 2018-09-13 2019-09-13 Combination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prostate canc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515A true KR20210060515A (ko) 2021-05-26

Family

ID=69778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491A KR20210060515A (ko) 2018-09-13 2019-09-13 전립선 암의 치료를 위한 병용 요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20117942A1 (ko)
EP (1) EP3849544A4 (ko)
JP (1) JP7441214B2 (ko)
KR (1) KR20210060515A (ko)
CN (1) CN112912075B (ko)
AU (1) AU2019338483A1 (ko)
CA (1) CA3112396A1 (ko)
IL (1) IL281281A (ko)
MX (1) MX2021002884A (ko)
SG (1) SG11202102492PA (ko)
TW (1) TWI816880B (ko)
WO (1) WO20200562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36057A (zh) * 2021-02-22 2023-11-28 赛尔基因昆蒂赛尔研究公司 用于治疗前列腺癌的溴结构域(bet)抑制剂
CN114644687B (zh) * 2022-04-07 2023-06-27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一种可拮抗rbm25蛋白rna结合活性的多肽rbip-21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919434D0 (en) * 2009-11-05 2009-12-23 Glaxosmithkline Llc Novel compounds
EP2621483A1 (en) * 2010-09-27 2013-08-07 Exelixis, Inc. Dual inhibitors of met and vegf for the treatment of castration resistant prostate cancer and osteoblastic bone metastases
WO2015002754A2 (en) * 2013-06-21 2015-01-08 Zenith Epigenetics Corp. Novel bicyclic bromodomain inhibitors
CN105899223A (zh) * 2013-10-28 2016-08-24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转移性前列腺癌的治疗
NO2719005T3 (ko) * 2014-07-28 2018-01-20
WO2016171470A1 (en) * 2015-04-21 2016-10-27 Kainos Medicine, Inc. Bromodomain-inhibiting compounds and methods to prevent or treat a cancer
WO2017216772A2 (en) * 2016-06-16 2017-12-21 The University Of Chicago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breast and prostate cancer
US20180141939A1 (en) * 2016-11-22 2018-05-24 Gilead Sciences, Inc. Solid forms of a bet inhibitor
US20180153867A1 (en) * 2016-12-06 2018-06-07 Gilead Sciences, Inc. Treatment of prostate cancer by concomitant administration of a bromodomain inhibitor and a second ag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6232A1 (en) 2020-03-19
EP3849544A4 (en) 2022-06-08
JP2022500431A (ja) 2022-01-04
US20220117942A1 (en) 2022-04-21
SG11202102492PA (en) 2021-04-29
AU2019338483A1 (en) 2021-04-08
MX2021002884A (es) 2021-07-15
JP7441214B2 (ja) 2024-02-29
CA3112396A1 (en) 2020-03-19
CN112912075A (zh) 2021-06-04
EP3849544A1 (en) 2021-07-21
CN112912075B (zh) 2023-04-04
IL281281A (en) 2021-04-29
TW202017926A (zh) 2020-05-16
TWI816880B (zh) 202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16881B (zh) 用於治療三陰性乳癌之組合療法
TWI594986B (zh) Antineoplastic agent effect enhancer
JP6147246B2 (ja) Akt及びmek阻害剤化合物の組み合わせ、及び使用方法
CN101222850A (zh) 治疗对药物有抗性的癌症的方法
TW201138764A (en) Anticancer combinations of artemisinin-based drugs and other chemotherapeutic agents
JP7441214B2 (ja) 前立腺がんの治療のための併用療法
KR102336767B1 (ko) 골수증식성 신생물 및 만성 골수성 백혈병을 포함하는, 트랜스듀신 β―유사 단백질 1(TBL 1) 활성과 관련된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방법
EP3528806B1 (en) Pharmaceutical compounds
CA2890108C (en) Method for treating prostate cancer
JP2017521468A (ja) 組み合わせ療法
AU2022358413A1 (en) Combination therapy using substituted pyrimidin-4(3h)-ones and sotorasib
EA044198B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терапия для лечения рака предстательной железы
CN112912078B (zh) 用于治疗雌激素受体阳性乳腺癌的组合疗法
TW202327594A (zh) 用bet溴結構域抑制劑和parp抑制劑的組合治療預選患者群體的三陰性乳腺癌的方法
TWI841598B (zh) 用於治療雌激素受體陽性乳癌之組合療法
EA043826B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терапия для лечения трижды негативного рака молочной железы
WO2022191870A1 (en) Treating cancer in patient having co-occurring genetic alteration in fgfr2 and a cancer driver ge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