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368A - Amphibious Mobile Assault Bridge (AAAB) System - Google Patents

Amphibious Mobile Assault Bridge (AAAB)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368A
KR20210060368A KR1020207029142A KR20207029142A KR20210060368A KR 20210060368 A KR20210060368 A KR 20210060368A KR 1020207029142 A KR1020207029142 A KR 1020207029142A KR 20207029142 A KR20207029142 A KR 20207029142A KR 20210060368 A KR20210060368 A KR 20210060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aab
crane
vehicle
water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1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9321B1 (en
Inventor
아이한 두르순
유누스 쿠트루베이
오스만 건한 바얏
Original Assignee
페네쎄쎄 싸분마 시스템레리 아.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네쎄쎄 싸분마 시스템레리 아.쉐. filed Critical 페네쎄쎄 싸분마 시스템레리 아.쉐.
Publication of KR20210060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3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3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01D15/22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designed as, or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Jib Cra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수상 작동 콘솔에 장착될 수 있고, 군용 차량과 군부대가 육상/수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AAAB 시스템(2)를 통해 횡단할 수 있게 하는 램프(4)를 배치하는 데 사용되는 리프팅 크레인의 원격 제어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포터블 제어 장치(11)에 관한 것이다. 포터블 제어 장치(11)에 의해, 크레인(7)을 들어 올리는 것이 수상 작동 콘솔(3)로부터 조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AAAB 시스템(1)의 3 명인 승무원의 수를 줄이고, AAAB 시스템(1)이 2 명의 인원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보장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a water-operated console as needed, and is used to arrange a ramp 4 that allows military vehicles and military units to traverse through the AAAB system 2 having the ability to move on land/water. It relates to a portable control device 11 that enables remote control operation of a lifting crane to be used. By means of the portable control device 11, lifting the crane 7 can be operated from the water operation console 3. This reduces the number of crew members of the AAAB system 1, which is three, and ensures that the AAAB system 1 is operated by two personnel.

Description

수륙양용 기동강습교량(AAAB) 시스템Amphibious Mobile Assault Bridge (AAAB) System

AAAB 시스템은 군용 차량과 부대가 수륙양용 교량 시스템을 통해 강을 건널 수 있게 하는 교량 시스템이다. 차량은 어떠한 준비 없이 육상/수중에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The AAAB system is a bridge system that allows military vehicles and units to cross rivers through an amphibious bridge system. Vehicles have the ability to move on land/water without any preparation.

본 발명은 필요한 경우 수중 조작 콘솔에 장착될 수 있고, 램프(ramp)를 배치하는데 사용되는 리프팅 크레인의 원격 제어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포터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ntrol device that can be mounted on an underwater operation console, if necessary, and enables remote control operation of a lifting crane used to place a ramp.

AAAB(수륙양용 기동강습교량, Armored Amphibious Assault Bridge)는 궤도 또는 차륜 군용 차량 또는 보병이 하중 분류에 따라 물가 사이를 횡단할 수 있게 하는 공병 차량이다. 차량들을 함께 연결함으로써, 1 개, 2 개 또는 3 개의 베이 페리와 같은 다양한 구성을 제공하는 유연한 설계를 가진다. 3 대 이상의 차량을 나란히 연결하면, 교량이 형성된다. 램프는 이러한 구성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AAAB 시스템에 차량을 적재하고 도로를 형성하기 위해 4 개의 램프가 AAAB 시스템의 선체에 장착된다. The AAAB (Armored Amphibious Assault Bridge) is a tracked or wheeled military vehicle or engineer vehicle that allows infantry to traverse between waterfronts according to load classification. By connecting vehicles together, they have a flexible design that offers a variety of configurations such as one, two or three bay ferries. When three or more vehicles are connected side by side, a bridge is formed. Lamps are used to connect these configurations. To load the vehicle into the AAAB system and form the road, four ramps are mounted on the hull of the AAAB system.

이러한 모든 작업을 위해 차량 당 최소 3 명의 수상 추진(water propulsion) 오퍼레이터, 리프팅 크레인 오퍼레이터 및 교량 구축 오퍼레이터가 필요하다.A minimum of three water propulsion operators, lifting crane operators and bridge building operators are required per vehicle for all of these tasks.

교량 구축 인원은 크레인의 이동 영역과 차량의 치수를 고려하여, 안전한 램프 작업을 위해 리프팅 크레인 오퍼레이터를 가이드한다.Bridge construction personnel guide the lifting crane operator for safe ramp work, taking into account the moving area of the crane and the dimensions of the vehicle.

리프팅 크레인 오퍼레이터는 교량 구축 인원의 안내에 따라 리프팅 크레인을 조작한다.The lifting crane operator operates the lifting crane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bridge building personnel.

리프팅 크레인은 램프를 작업 장소 또는 AAAB 차량의 보관 브래킷으로 운반하는 데 사용된다. 크레인은 약 1160kg 무게의 램프를 그 회전축으로부터 9.1m 떨어진 거리까지 운반할 수 있다.The lifting crane is used to transport the ramp to the work site or to the storage bracket of AAAB vehicles. The crane is capable of carrying a ramp weighing approximately 1160 kg up to a distance of 9.1 m from its axis of rotation.

포터블 제어 장치의 연결 케이블의 일단을 크레인의 커넥터에 연결함으로써, 올리기/내리기, 늘리기/줄이기 및 회전 과정을 수행한다.By connecting one end of the connecting cable of the portable control device to the connector of the crane, raising/lowering, extending/reducing and rotating processes are performed.

현재 크레인 포터블 제어 장치에는 3 개의 제어 레버가 있고 이러한 제어 레버가 서로 너무 가깝기 때문에, 조작에 혼동이 발생하여 오퍼레이터가 부정확한 조작을 할 수 있다.Currently, there are three control levers in the crane portable control device, and since these control levers are too close to each other, confusion arises in operation, and the operator may make incorrect operation.

와이어 연결이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에, 크레인 오퍼레이터는 케이블 길이만큼 짧은 작업 장소를 가지게 된다. AAAB 차량 및 설치가 수행된 램프의 치수와 램프의 무게를 고려하면, 크레인 오퍼레이터가 그 장소에서 제한된 이동성을 가지기 때문에, 크레인이 램프를 들어 올려 내려 놓을 때, 램프가 흔들릴 가능성은 안전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상황을 가져 온다. 이것은 교량 구축 인원의 안내하에서 램프 설치를 수행하게 한다.Since the wire connection is the only way, the crane operator has a work site as short as the length of the cable. Considering the dimensions of the AAAB vehicle and the lamp on which the installation was performed and the weight of the lamp, the possibility of the lamp shaking when the crane lifts the lamp and puts it down, as the crane operator has limited mobility in the place, should be considered from a safety standpoint. Brings the situation. This allows the installation of ramps under the guidance of bridge builders.

AAAB 차량의 의도된 사용 및 조작 조건을 고려할 때, 시간과 안전성이 최우선이다. 전투 중 명령된 임무를 빠르고 안전하게 수행하려면, 최소 3 명의 인원이 필요하다. 차량에 근무하는 인원 중 한 명이 군부대가 강을 건너는 데 사용되는 이러한 시스템에 대한 임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현재 구성에서 3 명의 인원에 의해 조작되는 차량은 제 기능을 할 수 없는 상황을 초래한다. When considering the intended use and operating conditions of AAAB vehicles, time and safety are top priorities. In order to quickly and safely perform the ordered missions during combat, a minimum of 3 personnel are required. If one of the personnel on the vehicle is unable to perform the mission for such a system used by the military unit to cross the river, the vehicle operated by three personnel in the current configuration will result in a situation where it cannot function properly. .

문헌의 특허 출원 문서 TR2006/00605는 수륙 양용 교량 차량 및 운송 차량을 개시한다. 상기 문서는 수륙 양용 AAAB 차량을 적재되게 할 수 있는 램프를 들어 올리는 데 사용되는 크레인의 원격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수륙 양용 AAAB 차량이 적재될 수 있게 하고, 그것들을 사용 구역에 배치하여 수상 작동 콘솔로 이송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을 언급하지 않는다.Patent application document TR2006/00605 in the literature discloses an amphibious bridge vehicle and a transport vehicle. The above document enables remote control of the crane used to lift the ramp that could allow the amphibious AAAB vehicle to be loaded, allows the amphibious AAAB vehicle to be loaded, and places them in the area of use so that the water operated console It does not mention the configuration that allows it to be transferred to.

그 결과,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과 기존 솔루션의 부적절함으로 인해, 그 기술 분야의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As a result, due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nadequate existing solutions,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in the 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현재 상황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으며,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with inspiration from the current situation, and aim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수륙 양용 AAAB 차량이 페리 및 교량을 구축하고 적재될 수 있는 램프를 들어 올리고 이러한 램프를 그 사용 구역에 위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크레인의 원격 제어 작업이, 필요한 경우 차량의 전방부 또는 수상 작동 콘솔로부터 수행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of the crane used for the amphibious AAAB vehicle to build ferries and bridges and to lift ramps that can be loaded and to position these ramps in their use area, if necessary, to the front of the vehicle. Or from a water-operated console.

본 발명의 또 다른 중요한 목적은 크레인의 제어가 수상 추진 오퍼레이터에 의해 수행된다는 사실을 통해, AAAB 차량에서 3 명인 인원(승무원)의 수를 줄이고, AAAB 차량이 2 명의 인원에 의해 또한 작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Another importan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number of three persons (crew members) in AAAB vehicles, through the fact that the control of the crane is carried out by the water propulsion operator, so that the AAAB vehicle can also be operated by two persons. It is to do.

본 발명의 구조적 및 특징적인 사양 및 모든 이점은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평가를 수행해야 한다.Structural and characteristic specifications and al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and therefore evaluation should be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s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도 1은 일측 각도에서 바라본 AAAB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3 개의 상세 부분을 도시하는, 다른 각도로부터의 본 발명의 AAAB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측 각도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AAAB 시스템의 도 2의 상세도(A)이다.
도 4는 일측 각도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AAAB 시스템의 도 2의 상세도(B)이다.
도 5는 일측 각도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AAAB 시스템의 도 2의 상세도(C)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AAAB 시스템에 위치한 포터블 제어 장치 및 그 위에 있는 부품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AAAB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부품 참조 설명]
1. AAAB 시스템
2. 폰툰(pontoon)
3. 수상 작동 콘솔
4. 램프
5. 장착 섹션
6. 스태킹 섹션
7. 크레인
8. 이동 메커니즘(붐)
9. 기본 커넥터
10. 보조 커넥터
11. 컨트롤러 레버
12. 장착 슬롯
13. 장착 스트랩
14. 카메라
15. 스크린
16. 핸들링 레버
17. 잠금 버튼
18. 업 버튼
19. 다운 버튼
A. 카메라의 360°시야(14)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AAB system viewed from an angl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AAB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different angles, showing three detail parts.
3 is a detailed view (A) of FIG. 2 of the AAAB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n angle.
4 is a detailed view (B) of FIG. 2 of the AAAB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n angle.
5 is a detailed view (C) of FIG. 2 of the AAAB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n angle.
Figure 6 is a detailed view of the portable control device located in the AAAB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ponents there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AAB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Part reference description]
1. AAAB system
2. Pontoon
3. Water operation console
4. Lamp
5. Mounting section
6. Stacking section
7. Crane
8. Movement mechanism (boom)
9. Basic connector
10. Auxiliary connector
11. Controller lever
12. Mounting slot
13. Mounting strap
14. Camera
15. Screen
16. Handling lever
17. Lock button
18. Up button
19. Down button
A. 360° field of view of the camera (14)

이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AAAB 시스템(1)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본 발명의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서만 설명된다.In this detailed descrip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AAB system 1 which is 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only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강을 가로 지르는 차량이, 군부대가 강을 건너고 육상/수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륙 양용 AAAB에 적재될 수 있게 하는 램프(4)를 들어 올리고, 이러한 램프(4)를 그 사용 구역 상에 위치시키는 데 사용되는 크레인(7)을, 수상 작동 콘솔(3)로부터 원격 제어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AAAB 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lifts a ramp 4 that allows a vehicle crossing the river to be loaded on an amphibious AAAB configured to allow military units to cross the river and move on land/water, and lift such ramps 4 onto the area of use. It relates to an AAAB system (1) that enables a process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a crane (7), which is used for positioning in the water-operated console (3).

도 1 및 도 2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AAAB 시스템(1)에 위치한 포터블 제어 장치(11)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7)이 수상 작동 콘솔(3)로부터의 수상 추진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어된다. 이를 통해, AAAB 차량(2)에서 3명인 승무원의 수가 감소되고, 또한 2 명의 인원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보장한다. As shown in the perspective view of FIGS. 1 and 2, by the portable control device 11 located in the AAAB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ne 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ater from the water operation console 3 Controlled by the propulsion operator. This ensures that the number of three-person crew members in the AAAB vehicle 2 is reduced, and is also operated by two personnel.

AAAB 시스템(1)은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다음의 구성을 포함한다. The AAAB system 1 includes the following components in its most basic form.

◆ 모든 요소를 포함하며, 부대가 강을 건너도록 설계되며, 육상 및 수상에서 기동력을 갖는 수륙양용 AAAB 차량(2)◆ Amphibious AAAB vehicle (2) that includes all elements, is designed to allow troops to cross the river, and has mobility on land and water.

◆ 수상에서 상기 AAAB 차량(2)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며, 수상 추진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패널인 수상 작동 콘솔(3)◆ Water operation console (3), which is a control panel used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AAAB vehicle (2) on the water and is controlled by the water propulsion operator

◆ 상기 AAAB 차량(2) 위에 장착되며, 서로에 대한 복수의 상기 AAAB 차량(2)의 연결을 통해 군부대가 상기 AAAB 차량(2) 위로 이동하고 상기 AAAB 차량(2)으로부터 쉽게 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램프(4), ◆ Mounted on the AAAB vehicle (2),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plurality of AAAB vehicles (2) to each other so that the military unit can move above the AAAB vehicle (2) and easily move downward from the AAAB vehicle (2) Lamp (4),

◆ 차량과 인원이 상기 램프(4)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램프(4)가 상기 AAAB 차량(2)에 장착되는 섹션인 장착 섹션(5),◆ Mounting section (5), which is the section on which the lamp (4) is mounted on the AAAB vehicle (2), so that the vehicle and personnel can pass through the lamp (4),

◆ 상기 램프(4)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상기 AAAB 차량(2)에 장착되어 적층되는 섹션인 스태킹 섹션(6),◆ When the lamp (4) is not in use, the stacking section (6), which is a section mounted and stacked on the AAAB vehicle (2),

◆ 상기 램프(4)가 상기 AAAB 차량(2)의 상기 장착 섹션(5)과 상기 스태킹 섹션(6) 사이에서 운반될 수 있게 하며, 크레인 주위로 오른쪽/왼쪽, 앞쪽/뒤쪽 및 아래쪽/위쪽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갖는 크레인(7),◆ Allows the ramp (4) to be transported between the mounting section (5) and the stacking section (6) of the AAAB vehicle (2), right/left, front/rear and down/up around the crane. A crane with moving function (7),

◆ 상기 크레인(7)의 단부에 위치하며, 운반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램프(4)가 묶이는 로프의 하향/상향 이동을 보장하는 이동 메커니즘(8),◆ a movement mechanism (8) located at the end of the crane (7) and ensuring downward/upward movement of the rope to which the ramp (4) is bound, in order to be transported,

◆ 상기 크레인(7)에 위치하며, 케이블 연결을 보장하는 기본 커넥터(9), ◆ The basic connector (9), which is located on the crane (7) and ensures cable connection,

◆ 상기 수상 작동 콘솔(3)에 위치하며, 케이블 연결을 보장하며, 상기 크레인(7)이 수상에서 운전하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또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보조 커넥터(10), Auxiliary connector 10, which is located on the water-operated console 3, ensures cable connection, and allows the crane 7 to be used also by an operator operating on the water,

◆ 상기 크레인(7)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모든 요소를 포함하며, 한 손 사용이 가능하며, 연결 소켓을 통해 상기 기본 커넥터(9) 또는 상기 보조 커넥터(10)에 연결되어, 무선 또는 유선으로 상기 크레인(7)을 제어할 수 있고, 필요할 경우 스트랩을 통해 수상 추진 오퍼레이터의 목에 걸 수 있는 포터블 제어 장치(11),◆ All elements are included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rane 7, one hand can be used, and connected to the basic connector 9 or the auxiliary connector 10 through a connection socket, wirelessly or wired A portable control device 11 that can control the crane 7 and, if necessary, hang it on the neck of the water propulsion operator through a strap,

◆ 상기 수상 작동 콘솔(3)에 위치하며, 상기 포터블 제어 장치(11)가 상기 수상 작동 콘솔(3)에 결합되는 것을 보장하는 장착 슬롯(12), 및◆ Mounting slot 12 located on the water operation console 3 and ensuring that the portable control device 11 is coupled to the water operation console 3, and

◆ 상기 포터블 제어 장치(11)에 위치하며, 상기 포터블 제어 장치(11)이 상기 장착 슬롯(12)에 결합되는 것을 보장하는 장착 스트랩(13).◆ A mounting strap (13) located on the portable control device (11) and ensuring that the portable control device (11) is coupled to the mounting slot (12).

AAAB 시스템(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다음의 구성을 포함한다;The AAAB system 1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상기 이동 메커니즘(8)의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 메커니즘(8)과 함께 이동함으로써 상기 장착 섹션(5) 및 상기 스태킹 섹션(6)에 상기 램프(4)를 안전하게 장착하기 위해 이미지를 전송하고, 그에 의해 수상 추진 오퍼레이터가 혼자 힘으로 쉽게 크레인(7)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14),◆ Located at the end of the moving mechanism 8, moving with the moving mechanism 8 transfers an image to securely mount the lamp 4 to the mounting section 5 and the stacking section 6 And, thereby, a camera 14 that allows the water propulsion operator to easily control the crane 7 by himself/herself,

◆ 상기 수상 작동 콘솔(3)에 위치하며, 상기 카메라(14)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를 수상 운전 오퍼레이터에게 전송할 수 있고, 야간 설치 활동을 지원하며 설치가 용이하도록 적외선 기능을 갖는 스크린(15).◆ Located on the water operation console (3),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14) can be transmitted to the water operation operator, and the screen (15) has an infrared function to support night installation activities and to facilitate installa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터블 제어 장치(11)은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구성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the portable control device 11 preferably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 상기 크레인(7)의 축 방향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크레인(7)이 그 축을 중심으로 360°회전할 수 있게 하는 핸들링 레버(16),◆ A handling lever 16 that controls the axial movement of the crane 7 and allows the crane 7 to rotate 360° around its axis,

◆ 상기 핸들링 레버(16)의 축 방향 이동을 활성화하고, 눌러졌을 때 상기 핸들링 레버(16)가 원하는 방향으로 돌아가게 할 수 있는 잠금 버튼(17), ◆ A lock button (17) that activates the axial movement of the handling lever (16) and turns the handling lever (16) in a desired direction when pressed,

◆ 상기 이동 메커니즘(8)과 상기 램프(4) 사이에 묶인 로프의 상향 이동을 보장하는 업 버튼(18), ◆ an up button 18 ensuring upward movement of the rope tied between the movement mechanism 8 and the lamp 4,

◆ 상기 이동 메커니즘(8)과 상기 램프(4) 사이에 묶인 로프의 하향 이동을 보장하는 다운 버튼(19). ◆ Down button (19) ensuring downward movement of the rope tied between the movement mechanism (8) and the ramp (4).

전투 중 강을 건널 때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전투 효과를 잃지 않고 최단 시간 내에 반대편 물가로 군부대를 투사(projection)하는 것은 가능한 한 빠르고 안전하게 교량 설치를 수행해야만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 시스템의 단점과 제한 요소를 고려하여, 새로운 AAAB 시스템(1)이 개발되었다.I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crossing the river during combat, and projecting the military unit to the opposite shore within the shortest time without losing the combat effect is possible only when the bridge installation is carried out as quickly and safely as possible. In this regard, in consideration of the dis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ystem, a new AAAB system (1) was developed.

AAAB 시스템(1)에서; 크레인(7)의 포터블 제어 장치(11)의 사용은 현재 사용되는 구성보다 사용이 쉽고 간단하다. 리프팅 크레인(7)의 그 축을 중심으로 하는 축 방향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핸들링 레버(16)에 의해 제공되며, 올리기/내리기(상향/하향) 이동 및 축 이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포터블 제어 장치(11)에 단지 3 개의 버튼(17, 18, 19)만이 제공된다.In the AAAB system 1; The use of the portable control device 11 of the crane 7 is easier and simpler to use than the currently used configuration. The axial movement of the lifting crane 7 about its axis is preferably provided by a handling lever 16, a portable control device 11 for activating the lifting/lowering (upward/downward) movement and axial movement. Only three buttons (17, 18, 19) are provided.

AAAB 시스템(1)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고 도 4에 도시된 기본 커넥터(9)는 유지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새로운 연결 지점 보조 커넥터(10)가 수상 작동 콘솔(3)에 추가된다. 따라서, 케이블을 통해 AAAB 차량(2)의 서로 다른 두 지점으로부터 크레인(7)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선 구성이 AAAB 시스템(1)에 사용된다. 그러나, AAAB 시스템(1)은 Wi-Fi, IR 제어 등과 같은 구조에서 무선 원격 액세스용으로도 설계된다. In the AAAB system 1; The basic connector 9 currently in use and shown in FIG. 4 is maintained, and a new connection point auxiliary connector 10 as shown in FIG. 3 is added to the water-operated console 3. Thus, the ability to control the crane 7 from two different points of the AAAB vehicle 2 via a cable is provided. Preferably, a wired configuration is used for the AAAB system 1. However, the AAAB system 1 is also designed for wireless remote access in structures such as Wi-Fi, IR control, and the like.

무선 구성에서, 크레인(7)을 사용하는 수중 추진 오퍼레이터는 현재의 스트랩 암을 사용함으로써 포터블 제어 장치(11)를 그의 목에 걸고, AAAB 차량(2)에서 양손을 사용하여 원하는 지점으로부터 크레인(7)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 In the wireless configuration, the underwater propulsion operator using the crane 7 hangs the portable control device 11 around his neck by using the current strap arm, and uses both hands on the AAAB vehicle 2 to move the crane 7 from the desired point. ) Can be easily controll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AAB 시스템(1)의 유연한 설계 구조에 의해, 크레인(7)의 이동 구역은 바람직하게는 이동 메커니즘(8)의 단부에 위치한 카메라(14)에 의해 디스플레이된다. 이 이미지는 수상 작동 콘솔(3)에 장착된 스크린(15)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포터블 제어 장치(11)를 수중 작동 콘솔(3)에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수중 추진 오퍼레이터는 스크린(15)으로부터 크레인(7)을 보면서 스스로 쉽고 안전하게 크레인(7)을 제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due to the flexible design structure of the AAAB system 1, the moving area of the crane 7 is preferably displayed by a camera 14 located at the end of the moving mechanism 8. This image is displayed on a screen 15 mounted on an aquatic operation console 3. Further, since the portable control device 11 can be mounted on the underwater operation console 3, the underwater propulsion operator can easily and safely control the crane 7 by himself while looking at the crane 7 from the screen 15.

본 발명의 포터블 제어 장치(11)에 의해; AAAB 시스템(1)은 작업 중에 인원 중 한 명이 부상을 입거나 사망한 경우, 더 적은 인원으로 임무를 계속할 수 있다. 더욱이; 포터블 제어 장치(11)에 의해; 인원은 한 위치에서 이동할 수 없지만,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이동할 수 있다.By the portable control device 1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AAB system (1) can continue the mission with fewer personnel if one of the personnel is injured or killed during the operation. Furthermore; By the portable control device 11; Personnel cannot move from one location, but can move flexib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단시간에 안전하게 램프(4)를 설치하는 것은 AAAB 시스템(1)을 통해 전투 중 제한된 시간을 최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stalling the lamp 4 safely in a short time aims to optimally use the limited time during combat through the AAAB system (1).

본 발명의 포터블 제어 장치(11)에 의해, AAAB 차량(2)에 사용되는 램프(4)가 스태킹 섹션(6)으로부터 장착 섹션(5)으로 더 쉽게 운반될 수 있다. 이 새로운 AAAB 시스템(1)에 의해, 이전에 3 명의 인원으로 수행된 교량 설치 활동은 더 적은 인원으로 편안하고 안전하게 수행될 것이다.With the portable control device 1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mp 4 used in the AAAB vehicle 2 can be more easily transported from the stacking section 6 to the mounting section 5. With this new AAAB system (1), bridge installation activities previously performed with 3 personnel will be performed comfortably and safely with fewer personnel.

크레인(7)은 약 1160kg의 무게를 갖는 램프(4)를 그 회전축으로부터 9.1m 떨어진 거리까지 운반할 수 있다.The crane 7 is capable of transporting a ramp 4 having a weight of about 1160 kg to a distance of 9.1 m from its axis of rotation.

AAAB 차량(2)을 수중에서 작동하는 동안; 군부대의 반대편 물가로의 통과를 보장하기 위해 다리를 놓거나, 궤도/차륜 차량 또는 보행자가 AAAB 차량(2) 위에 적재될 수 있도록하 는 구조물을 램프(4)라고 지칭된다. While operating the AAAB vehicle 2 underwater; Structures on which bridges are erected to ensure passage to waters opposite the military units, or that allow tracked/wheeled vehicles or pedestrians to be loaded onto AAAB vehicles (2) are referred to as ramps (4).

■ AAAB 차량(2)의 일부인 크레인(7)은 90 + 20도(오른쪽/왼쪽)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크레인(7)상에서 로프가 묶이는 이동 메커니즘(8)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기능은 포터블 제어 장치(11)에 의해 제어된다. 다른 크레인과 달리, 크레인의 붐(8)이 상하로 이동하여, 후크의 이동이 보장된다.■ The crane (7), which is part of the AAAB vehicle (2), can rotate 90 + 20 degrees (right/left). In addition, the moving mechanism 8 on which the rope is tied on the crane 7 can move up and down. All these functions are controlled by the portable control device 11. Unlike other cranes, the boom 8 of the crane moves up and down, so the movement of the hook is ensured.

포터블 제어 장치(11)는 케이블을 통해 기본 커넥터(9)에 연결되거나, 케이블 연결 소켓을 통해 수상 작동 콘솔(3)의 보조 커넥터(10)에 연결된다. 더욱이, 포터블 제어 장치(11)는 또한 선택적으로 크레인(7)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 포터블 제어 장치(11)에는 잠금 버튼(17), 업 버튼(18) 및 다운 버튼(19)이 있다. 잠금 버튼(17)을 누르고 핸들링 레버(16)를 움직이면, 크레인(7)은 핸들링 레버(16)가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크레인(7)의 이동 메커니즘(8)은 업 버튼(18)을 누르면 위쪽으로 이동하고, 다운 버튼(19)을 누르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포터블 제어 장치(11)의 간단한 사용은 오퍼레이터가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한다. The portable control device 11 is connected to the basic connector 9 through a cable, or to the auxiliary connector 10 of the water operation console 3 through a cable connection socket. Moreover, the portable control device 11 can also optionally control the crane 7 wirelessly. The portable control device 11 includes a lock button 17, an up button 18 and a down button 19. When the locking button 17 is pressed and the handling lever 16 is moved, the crane 7 rotat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ing lever 16 faces. The movement mechanism 8 of the crane 7 moves upward when the up button 18 is pressed, and moves downward when the down button 19 is pressed. The simple use of the portable control device 11 allows the operator to operate with one hand.

이동 메커니즘(8)은 다운 버튼(19)을 누르면 아래로 내려 가고, 램프(4)를 장착하는 동안 스태킹 섹션(6)에 있는 램프(4)가 로프에 묶여 있다. 그 다음, 업 버튼(18)을 눌러 램프(4)를 들어 올린다. 그 다음, 잠금 버튼(17)을 누르고 핸들링 레버(16)를 장착 섹션(5) 방향으로 돌린다. 이 과정에서 크레인(7)이 장착 섹션(5)쪽으로 이동한다. 램프(4)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잠금 버튼(17)이 릴리스된다. 이 상황에서, 다운 버튼(19)을 누름으로써, 램프(4)가 장착 섹션(5)에 장착되게 한다. 이러한 모든 작동은 수상의 운전 오퍼레이터에 관리된다. 램프(4)를 스태킹 섹션(6)으로 가져가는 활동은 전술한 공정 단계를 역순으로 수행함으로써 보장된다.The movement mechanism 8 goes down by pressing the down button 19, while the ramp 4 in the stacking section 6 is tied to the rope while mounting the ramp 4. Then, the up button (18) is pushed to lift the lamp (4). Then, the locking button 17 is pressed and the handling lever 16 is turned in the direction of the mounting section 5. In this process, the crane 7 moves towards the mounting section 5. When the lamp 4 reaches the desired position, the lock button 17 is released. In this situation, by pressing the down button 19, the lamp 4 is mounted on the mounting section 5. All these operations are managed by the water's operating operator. The activity of bringing the ramp 4 to the stacking section 6 is ensured by carrying out the above-described process steps in reverse order.

포터블 제어 장치(11)는 포터블 제어 장치(11)에서 장착 스트랩(13)을 사용하고 수상 작동 콘솔(3)에서 장착 슬롯(12)을 사용함으로써, 그것이 수상 작동 콘솔(3)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상 추진 오퍼레이터는 스크린(15)으로부터 크레인(7)의 이동을 관찰함으로써, 크레인(7)과 AAAB 차량(2) 모두를 제어할 수 있다. 이미지를 스크린(15)으로 전송하는 카메라(1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60°시야(A)를 갖는다. The portable control device 11 uses the mounting strap 13 in the portable control device 11 and the mounting slot 12 in the water operation console 3, so that it does not move in the water operation console 3, Can be fixed. Through this, the water propulsion operator can control both the crane 7 and the AAAB vehicle 2 by observing the movement of the crane 7 from the screen 15. The camera 14 that transmits the image to the screen 15 has a 360° field of view (A), as shown in FIG. 7.

Claims (3)

AABS 시스템으로서,
◆ 모든 요소를 포함하며, 군부대가 강을 건너도록 설계되며, 육상 및 수상에서 기동력을 갖는 수륙양용 AAAB 차량(2)
◆ 수중에서 상기 AAAB 차량(2)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며, 수상 추진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패널인 수상 작동 콘솔(3)
◆ 상기 AAAB 차량(2)에 장착되며, 서로에 대한 복수의 상기 AAAB 차량(2)의 연결을 통해 군부대가 상기 AAAB 차량(2) 위로 이동하고 상기 AAAB 차량(2)으로부터 쉽게 아래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램프(4),
◆ 차량과 인원이 상기 램프(4)를 통과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상기 램프(4)가 상기 AAAB 차량(2)에 장착되는 섹션인 장착 섹션(5),
◆ 상기 램프(4)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상기 AAAB 차량(2)에 장착됨으로써, 적층되는 섹션인 스태킹 섹션(6),
◆ 상기 램프(4)가 상기 AAAB 차량(2)의 상기 장착 섹션(5)과 상기 스태킹 섹션(6) 사이에서 운반될 수 있게 하며, 크레인 주위로 오른쪽/왼쪽, 앞쪽/뒤쪽 및 아래쪽/위쪽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갖는 크레인(7),
◆ 상기 크레인(7)의 단부에 위치하며, 운반되어질 상기 램프(4)가 묶이는 로프의 하향/상향 이동을 보장하는 이동 메커니즘(8), 및
◆ 상기 크레인(7)에 위치하며, 케이블 연결을 보장하는 기본 커넥터(9),
를 포함하고,
상기 AAAB 시스템(1)은 강을 건너는 차량이 상기 AAAB 차량(2)에 적재될 수 있게 하는 상기 램프(4)를 들어 올리고, 이러한 상기 램프를 그 사용 구역에 배치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크레인(7)을 상기 수상 작동 콘솔(3)로부터 원격 제어 작동 가능하게 하고, 이는,
◆ 상기 수상 작동 콘솔(3)에 위치하며, 케이블 연결을 보장하며, 상기 크레인(7)이 수중의 수상 추진 오퍼레이터에 의해 또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보조 커넥터(10),
◆ 상기 크레인(7)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모든 요소를 포함하며, 한 손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기본 커넥터(9)에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 소켓을 통해 상기 보조 커넥터(1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크레인(7)을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제어할 수 있고, 필요할 경우 스트랩을 통해 운전하는 오퍼레이터의 목에 걸 수 있는 포터블 제어 장치(11),
◆ 상기 수상 작동 콘솔(3)에 위치하며, 상기 포터블 제어 장치(11)가 상기 수상 작동 콘솔(3)에 결합되는 것을 보장하는 장착 슬롯(12), 및
◆ 상기 포터블 제어 장치(11)에 위치하며, 상기 포터블 제어 장치(11)가 상기 장착 슬롯(12)에 결합되는 것을 보장하는 장착 스트랩(13),
을 포함하는 AAAB 시스템(1).
As an AABS system,
◆ Amphibious AAAB vehicle (2) that includes all elements, is designed for military units to cross the river, and has mobility on land and water.
◆ Water operation console (3), which is a control panel that is used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AAAB vehicle (2) in water and is controlled by a water propulsion operator
◆ Mounted on the AAAB vehicle (2),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plurality of AAAB vehicles (2) to each other, military units can move above the AAAB vehicle (2) and easily move downward from the AAAB vehicle (2) Lamp (4),
◆ Mounting section (5), which is the section in which the lamp (4) is mounted on the AAAB vehicle (2), to ensure that the vehicle and personnel pass through the lamp (4),
◆ When the lamp 4 is not in use, it is mounted on the AAAB vehicle 2, thereby stacking the stacking section 6,
◆ Allows the ramp (4) to be transported between the mounting section (5) and the stacking section (6) of the AAAB vehicle (2), right/left, front/rear and down/up around the crane. A crane with moving function (7),
◆ a moving mechanism 8 located at the end of the crane 7 and ensuring downward/upward movement of the rope to which the ramp 4 to be transported is bound, and
◆ The basic connector (9), which is located on the crane (7) and ensures cable connection,
Including,
The AAAB system (1) lifts the ramp (4) allowing vehicles crossing the river to be loaded onto the AAAB vehicle (2), and the crane (7) used to place this ramp in its use area. To enable remote control operation from the water operation console 3, which,
◆ Auxiliary connector 10, which is located on the water-operated console 3, ensures cable connection, and allows the crane 7 to be used also by an underwater water propulsion operator,
◆ By including all elements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rane 7, one-handed use, and connected to the basic connector 9, or connected to the auxiliary connector 10 through a connection socket, A portable control device 11 that can control the crane 7 wirelessly or wiredly and, if necessary, hang it on the neck of an operator driving through a strap,
◆ Mounting slot 12 located on the water operation console 3 and ensuring that the portable control device 11 is coupled to the water operation console 3, and
◆ A mounting strap 13 located on the portable control device 11 and ensuring that the portable control device 11 is coupled to the mounting slot 12,
AAAB system comprising a (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AAB 시스템(1)은,
◆ 상기 이동 메커니즘(8)의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 메커니즘(8)과 함께 이동함으로써 상기 장착 섹션(5) 및 상기 스태킹 섹션(6)에 상기 램프(4)를 안전하게 장착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이미지를 전송하고, 그에 의해 수상 추진 오퍼레이터가 혼자 힘으로 상기 크레인(7)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카메라(14), 및
◆ 상기 수상 작동 콘솔(3)에 위치하며, 상기 카메라(14)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를 수상 운전 오퍼레이터에게 전송할 수 있고, 야간 설치 활동을 지원하며, 설치가 용이하도록 적외선 기능을 갖는 스크린(15),
을 포함하는 AAAB 시스템(1).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AAB system (1),
◆ located at the end of the moving mechanism 8 and moving together with the moving mechanism 8 to ensure secure mounting of the lamp 4 to the mounting section 5 and the stacking section 6 A camera 14 that transmits, and thereby allows the water propulsion operator to easily control the crane 7 by himself, and
◆ A screen 15 located on the water operation console 3 and capable of transmitting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camera 14 to the water operation operator, supporting nighttime installation activities, and having an infrared function to facilitate installation,
AAAB system comprising a (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제어 장치(11)는,
◆ 상기 크레인(7)의 축 방향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크레인(7)이 그 축을 중심으로 360°회전할 수 있게 하는 핸들링 레버(16),
◆ 상기 핸들링 레버(16)의 축 방향 이동을 활성화하고, 눌러졌을 때 상기 핸들링 레버(16)가 원하는 방향으로 돌아가게 할 수 있는 잠금 버튼(17),
◆ 상기 이동 메커니즘(8)과 상기 램프(4) 사이에 묶인 로프의 상향 이동을 보장하는 업 버튼(18), 및
◆ 상기 이동 메커니즘(8)과 상기 램프(4) 사이에 묶인 로프의 하향 이동을 보장하는 다운 버튼(19),
을 포함하는 AAAB 시스템(1).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rtable control device (11),
◆ A handling lever 16 that controls the axial movement of the crane 7 and allows the crane 7 to rotate 360° around its axis,
◆ A lock button (17) that activates the axial movement of the handling lever (16) and turns the handling lever (16) in a desired direction when pressed,
◆ an up button 18 ensuring upward movement of the rope tied between the movement mechanism 8 and the lamp 4, and
◆ Down button 19 to ensure downward movement of the rope tied between the movement mechanism 8 and the ramp 4,
AAAB system comprising a (1).
KR1020207029142A 2018-10-23 2019-10-01 Amphibious Amphibious Assault Bridge (AAAB) System KR10245932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R2018/15818A TR201815818A2 (en) 2018-10-23 2018-10-23 SWIMMING SWIMMING SPACE BRIDGE SYSTEM
TR2018/15818 2018-10-23
PCT/TR2019/050812 WO2020086035A2 (en) 2018-10-23 2019-10-01 Armored amphibious assault bridge (aaab)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368A true KR20210060368A (en) 2021-05-26
KR102459321B1 KR102459321B1 (en) 2022-10-25

Family

ID=67070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142A KR102459321B1 (en) 2018-10-23 2019-10-01 Amphibious Amphibious Assault Bridge (AAAB) System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2459321B1 (en)
DE (1) DE112019001114T5 (en)
GB (1) GB2590526A (en)
TR (1) TR201815818A2 (en)
WO (1) WO2020086035A2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114A (en) * 1887-07-05 Folding reel for harvesting-machines
US4602399A (en) * 1984-05-24 1986-07-29 Harsco Corporation Bridge transporting and launching trailer and method
US20030143900A1 (en) * 2002-01-30 2003-07-31 Klaus Eberl Amphibian bridge-forming and ferrying vehicle
KR20110093494A (en) * 2010-02-12 2011-08-18 오철규 Remote control system for crane
US8096010B2 (en) * 2005-07-27 2012-01-17 Constructions Industrielles de la Mediterranee—CNIM Bridge span and bridge span transportation vehicle
KR20180105807A (en) * 2017-03-16 2018-10-01 노병수 camera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37582C2 (en) * 2002-12-04 2004-10-10 15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спытательный институт им. Д.М. Карбыше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Amphibious carrier
US8382539B2 (en) * 2007-02-27 2013-02-26 Constructions Industrielles De La Mediterranee-Cnim Amphibious vehicle for bridging a water-filled open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114A (en) * 1887-07-05 Folding reel for harvesting-machines
US4602399A (en) * 1984-05-24 1986-07-29 Harsco Corporation Bridge transporting and launching trailer and method
US20030143900A1 (en) * 2002-01-30 2003-07-31 Klaus Eberl Amphibian bridge-forming and ferrying vehicle
US8096010B2 (en) * 2005-07-27 2012-01-17 Constructions Industrielles de la Mediterranee—CNIM Bridge span and bridge span transportation vehicle
KR20110093494A (en) * 2010-02-12 2011-08-18 오철규 Remote control system for crane
KR20180105807A (en) * 2017-03-16 2018-10-01 노병수 camera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2012788D0 (en) 2020-09-30
WO2020086035A3 (en) 2020-07-16
DE112019001114T5 (en) 2020-12-31
GB2590526A (en) 2021-06-30
WO2020086035A2 (en) 2020-04-30
TR201815818A2 (en) 2018-11-21
KR102459321B1 (en) 202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0558B2 (en) Integrated suspended load control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US11746951B2 (en) Cable deploy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suspended load control equipment
DK201900074Y3 (en) Suspended load stability systems and methods
US20220281721A1 (en) Integrated and modular suspended load control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CN114423703A (en) Elevator and deployable apparatus, devices, systems, and methods
JP2022551012A (en) Couplings, control devices, control systems, and control methods for suspended loads
KR20170082384A (en) Emergency escape system for offshore platform
AU2020223104A1 (en) Integrated and modular suspended load control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WO2020235681A1 (en) Remote operation terminal and mobile crane provided with remote operation terminal
JP7091729B2 (en) Work vehicle equipped with a remote control terminal and a remote control terminal
JP7087475B2 (en) Mobile crane with remote control terminal and remote control terminal
JP7106929B2 (en) work vehicle
KR102459321B1 (en) Amphibious Amphibious Assault Bridge (AAAB) System
JP6583900B1 (en) Rotation suppression device and crane work system
JP6919548B2 (en) Work vehicle equipped with a remote control terminal and a remote control terminal
WO2020256106A1 (en) Movable range display system and crane equipped with movable range display system
US11377328B2 (en) Remote operation terminal and work vehicle comprising remote operation terminal
WO2019172408A1 (en) Work vehicle
JP7059703B2 (en) Work vehicle equipped with a remote control terminal and a remote control terminal
JP7293885B2 (en) load direction control system
JP7238531B2 (en) crane
JP7047538B2 (en) Work vehicle equipped with a remote control terminal and a remote control terminal
JP7006442B2 (en) crane
WO2021193941A1 (en) Crane system, crane, and mobile unit
Nguyen et al. Characteristics of a maritime interdiction operations unmanned groun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