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971A -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971A
KR20210059971A KR1020190147438A KR20190147438A KR20210059971A KR 20210059971 A KR20210059971 A KR 20210059971A KR 1020190147438 A KR1020190147438 A KR 1020190147438A KR 20190147438 A KR20190147438 A KR 20190147438A KR 20210059971 A KR20210059971 A KR 20210059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adhesive layer
sheet
particles
functional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9000B1 (ko
Inventor
윤경섭
최병익
박종현
Original Assignee
실리콘밸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리콘밸리(주) filed Critical 실리콘밸리(주)
Priority to KR1020190147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00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971A/ko
Priority to KR1020210119487A priority patent/KR20210114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72Sheet interfaces
    • H05K7/20481Sheet interfac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omposition exhibiting specific thermal propert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3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non-fibrous particles embedded in an electrically insulating supporting structure, e.g. powder, flakes, whisk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8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shielding layers; combining different shielding material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확산 또는 전자파 차폐를 위한 기능성입자가 면 접착형태로 접착 레이어 사이에 직접적으로 고정됨으로써, 별도의 수지계열 바인더에 의한 시트의 두께증가 및 효율감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착 레이어와 상기 접착 레이어 사이에 배치되되,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입자로만 구성된 기능성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functional sheet having functional particles arranged horizontal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확산 또는 전자파 차폐를 위한 기능성입자가 면 접착형태로 접착 레이어 사이에 직접적으로 고정됨으로써, 별도의 수지계열 바인더에 의한 시트의 두께증가 및 효율감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함에 따라 열을 방출하게 된다.
특히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폰과 같은 연산기능을 가진 IT기기에서 발생되는 발열은 다른 전자기기보다 발열량이 많으며, 발열에 의한 성능저하 또는 오류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발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핀, 냉각팬 등 다양한 장치들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그 크기가 더욱 작아지고 있는 IT기기들에 부피가 큰 냉각핀 또는 냉각팬과 같은 냉각장치를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냉각핀으로 보다 빠르게 전달하기 위한 열계면 부재가 개발되었으며, 한국등록특허 10-0698727호 "흑연시트와 그 제조방법"과 같이 발열부의 열을 보다 넓은 면적으로 확산시켜 냉각할 수 있는 열확산 부재도 개발되었다.
특히, 열확산 부재는 극히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보다 넓은 표면적으로 열을 확산시킬 수 있음에 따라 발열을 해소하기 위한 장치의 크기를 축소, 경량화시킬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5G 통신 서비스에 맞춰 휴대통신단말기의 설계 구조 및 안테나 사양이 변경되면서, 열확산 부재 및 차폐를 위한 기능성시트의 두께를 더욱 축소시킬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능성시트(100)는 기능성입자(1)가 수지계열의 바인더(2)에 의해 고정되는 형태로 제조됨에 따라, BN이나 AlN과 같은 열확산 효율이 200~300W/mK에 이르는 기능성입자(1)를 사용하더라도 기능성입자(1)의 분포가 불균일한 문제점과 수지계열의 바인더(2)에 의해 열확산 효율이 10~50W/mK에 불과할 정도로 급격하게 낮아지고, 두께를 축소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자파 차폐를 위한 기능성입자(1)도 수지계열의 바인더(2)에 의해 전반적인 기능 발현 효율이 낮고, 두께를 축소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더욱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전체 두께대비 보다 고 효율의 열확산 기능 또는 전자파 차폐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의 기능성시트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698727호 "흑연시트와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능성입자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별도의 수지계열 바인더에 의한 시트의 두께증가 및 효율감소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능성입자를 보다 균일하게 수평 배열시키기 위한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착 레이어와 상기 접착 레이어 사이에 배치되되,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입자로만 구성된 기능성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적어도 3개 이상의 접착 레이어와 상기 접착 레이어 사이에 제1 기능성 레이어와 제2 기능성 레이어 중 하나가 배치되는 형태로 제1 기능성 레이어와 제2 기능성 레이어가 교번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기능성 레이어는 수평하게 배열된 제1 기능성입자로만 구성되고, 상기 제1 기능성입자는 판상의 BN, AlN, 그라파이트,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기능성 레이어는 수평하게 배열된 제2 기능성입자로만 구성되고, 상기 제2 기능성입자는 Fe, Si, Al, Cr, Ni, M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입자는 판상의 BN, AlN, 그라파이트,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입자는 Fe, Si, Al, Cr, Ni, M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 레이어는 기재 또는 무기재 타입의 접착성 재질로 두께가 0.5 ~ 20㎛의 두께로 구성되고, 각 접착 레이어 사이 간격은 0.1 ~ 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입자는 압축 공기를 통해 분사되어 상기 접착 레이어의 일면에 배열되도록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기능성입자 및 제2 기능성입자는 압축 공기를 통해 분사되어 상기 접착 레이어의 일면에 배열되도록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캐리어 필름의 일면에 접착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제1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와 상기 접착 레이어에 기능성입자를 수평하게 배열시켜 기능성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기능성 부여단계와 상기 기능성 레이어의 일면에 접착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제2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캐리어 필름의 일면에 접착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제1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와 상기 접착 레이어에 제1 기능성입자를 수평하게 배열시켜 기능성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제1 기능성 부여단계와 상기 제1 기능성 부여단계를 통해 형성된 기능성 레이어의 일면에 접착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제2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와 상기 제2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를 통해 형성된 접착 레이어의 일면에 제2 기능성입자를 수평하게 배열시켜 기능성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제2 기능성 부여단계와 상기 제2 기능성 부여단계를 통해 형성된 기능성 레이어의 일면에 접착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제3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능성입자는 판상의 BN, AlN, 그라파이트,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기능성입자는 Fe, Si, Al, Cr, Ni, M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부여단계의 기능성입자는 접착 레이어의 타면에 정전기를 대전시킨 상태에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부여단계의 기능성입자는 압축 공기를 통해 분사되어 접착 레이어의 일면에 배열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기능성 부여단계의 제1 기능성입자 및 제2 기능성 부여단계의 제2 기능성입자는 접착 레이어의 타면에 정전기를 대전시킨 상태에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기능성 부여단계의 제1 기능성입자 및 제2 기능성 부여단계의 제2 기능성입자는 압축 공기를 통해 분사되어 접착 레이어의 일면에 배열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수지계열 바인더의 사용없이 열확산 또는 전자파 차폐를 위한 기능성입자가 면 접착형태로 접착 레이어 사이에 직접적으로 고정됨으로써, 별도의 수지계열 바인더에 의한 시트의 두께증가 및 효율감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정전기가 대전된 접착 레이어의 일면에 압축 공기를 통해 기능성입자를 분사시켜 부착함에 따라, 기능성입자를 보다 균일하게 수평 배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능성시트의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에 따른 제1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에 따른 기능성 부여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에 따른 제2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에 따른 제2 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2 기능성 부여단계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에 따른 제1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에 따른 기능성 부여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에 따른 제2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에 따른 제2 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2 기능성 부여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착 레이어(12)와 상기 접착 레이어(12) 사이에 배치되되,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입자(1)로만 구성된 기능성 레이어(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기능성 레이어(13)는 별도의 바인더를 통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기능성입자(1)가 직접적으로 접착 레이어(12)에 면 접촉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기능성 레이어(13)의 열전달 효율 또는 전자파 차폐 효율이 종래의 수지계열 바인더에 의한 손실이 없어 기능성 레이어(13)가 기능성입자(1) 고유의 효율에 최대한 가까운 효율을 나타낼 수 있는 매우 유익한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는 열확산을 위한 BN, AlN과 같은 열전도가 200~300W/mK의 범위를 가지는 기능성입자(1)를 사용할 경우,100~250W/mK의 범위에 이르는 매우 높은 열전도도를 가지게 되며, 종래의 수지계열 바인더를 사용했을 때의 10~50W/mK의 열전도에 비해 매우 높은 효율을 나타내게 된다.
또는, 기능성입자(1)의 분포 및 첨가제를 통해 10~250W/mK의 열전도도 범위 내에 열전도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성 레이어(13)는 판상의 기능성입자(1)가 수평하게 배열되어 구성되며, 기능에 따라 상기 기능성입자(1)는 열확산부재와 차폐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열확산부재로는 BN, AlN, 그라파이트,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차폐부재로는 Fe, Si, Al, Cr, Ni, Mn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과 Fe, Si, Al, Cr, Ni, M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 중 하나 또는 그 혼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열확산부재 또는 차폐부재는 기능성 레이어(13)를 덮는 접착 레이어(12)에 면 접촉하여 각 기능성입자(1)가 직접적으로 고정되도록 판상 또는 판산의 플레이크화된 형태로 구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 레이어(12)는 기재 또는 무기재 타입의 접착성 재질로 두께가 0.5 ~ 30㎛의 두께로 구성되고, 각 접착 레이어(12) 사이 간격은 0.1 ~ 3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접착 레이어(1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외측에 이형지(14)가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적어도 3개 이상의 접착 레이어(12)와 상기 접착 레이어(12) 사이에 기능성 레이어(13a, 13b)가 하나씩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적어도 3개 이상(n+2 개)의 접착 레이어(12)와 적어도 2개 이상(n+1 개)의 기능성 레이어(13a, 13b)로 구성되되, 접착 레이어(12)와 기능성 레이어(13a, 13b)가 교번하는 형태로 적층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접착 레이어(12) 사이에 제1 기능성 레이어(13a)와 제2 기능성 레이어(13b) 중 하나가 배치되는 형태로 제1 기능성 레이어(13a) 또는 제2 기능성 레이어(13b)가 접착 레이어(12) 사이에 하나씩 배치되는 형태로 전체적으로 제1 기능성 레이어(13a)와 제2 기능성 레이어(13b)가 교번하여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접착 레이어(12) - 제1 기능성 레이어(13a) - 접착 레이어(12) - 제2 기능성 레이어(13b) - 접착 레이어(12) - 제1 기능성 레이어(13a) - 접착 레이어(12)와 같이 적층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 기능성 레이어(13a)와 제2 기능성 레이어(13b)의 배치위치 및 개수는 바뀔 수도 있으며,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접착 레이어(1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외측에 이형지(14)가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능성 레이어(13a)는 수평하게 배열된 제1 기능성입자(상기 열확산부재)로만 구성되고, 상기 제2 기능성 레이어(13b)는 수평하게 배열된 제2 기능성입자(상기 차폐부재)로만 구성되거나, 제1 기능성 레이어(13a)와 제2 기능성 레이어(13b)가 제1 기능성입자(상기 열확산부재)와 제2 기능성입자(상기 차폐부재)가 혼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며,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캐리어 필름의 일면에 접착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제1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S10)와 상기 접착 레이어에 기능성입자를 수평하게 배열시켜 기능성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기능성 부여단계(S20)와 상기 기능성 레이어의 일면에 접착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제2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S10)는 수평하게 공급되는 캐리어 필름(11)의 일면에 점착제를 코팅하거나, 직접적인 부착을 통해 접착 레이어(12)를 형성하여 제1 시트(101)를 제조하게 된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부여단계(S20)를 통해 캐리어 필름(11)의 일면에 접착 레이어(12)가 형성된 제1 시트(101)의 접착 레이어(12)에 기능성입자(1)를 수평하게 배열시켜 기능성 레이어가 형성된 제2 시트(102)를 제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능성입자(1)는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제1 기능성입자와 제2 기능성입자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혼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하기 아래에서는 기능성입자(1)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기능성입자(1)로 구성된 기능성 레이어는 상기 제1 시트(101)의 접착 레이어(12) 상부에 기능성입자(1)를 소정량 이상 올려 접착시키거나, 접착 레이어(12)에 압축 공기를 통해 기능성입자(1)를 분사하는 형태로 부착(형성)시킬 수 있다.
이후, 롤러(22) 또는 블레이드를 통해 얇게 펴주는 형태로 기능성입자(1)를 수평하게 정렬시키게 되며, 1a와 같이 접착 레이어(12)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기능성입자는 접착 레이어(12)로부터 자연적으로 박리되며, 접착 레이어(12)에 일부만 부착된 기능성입자(1b와 1c로 구성된 입자)는 롤러(22) 또는 블레이드에 의해 가압되어 접착 레이어(12)에 밀착될 수 있는 기능성입자의 일부(1b)는 접착 레이어(12)에 밀착되고, 다른 기능성입자에 의해 접착 레이어(12)에 밀착되지 못하는 다른(겹쳐진) 부분(1c)은 그 경계면에 크랙이 형성되면서 파단되어 다른(겹쳐진) 부분(1c)이 박리되는 형태로 접착 레이어(12)의 일면에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형태로 채워지며 부착됨으로써 기능성 레이어가 형성된 제2 시트(102)를 제조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능성 부여단계(S20)는 접착 레이어(12)의 일면에 기능성입자(1)를 올려놓거나, 압축공기를 통해 분사하여 부착시킬 때, 기능성입자(1)가 보다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접착 레이어(12)의 타면에 배치되는 정전기 발생부(21)를 통해 접착 레이어(12)의 타면에 정전기를 대전시킨 상태에서 접착 레이어(12)의 일면에 기능성입자(1)를 부착시켜 제2 시트(102)를 제조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에 따른 제2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S30)를 도시한 것이며, 제2 시트(102)의 일면에 별도로 기 제조된 제1 시트(101)를 롤러(22) 또는 프레스를 통해 가압하여 부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100)를 제조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S30)는 별도의 상기 제1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S10)를 통해 기 제조된 제1 시트(101)를 상기 제1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S10)와 제1 기능성 부여단계(S21)를 통해 제조된 제2 시트(102)의 일면에 부착시켜 기능성시트(100)를 제조하는 것으로써, 별도로 제조된 제1 시트(101)의 접착 레이어(12)가 상기 제2 시트(102)의 기능성입자(1)로 구성된 기능성 레이어에 밀착되어 부착(합지)됨으로써 제조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에 따른 제2 실시예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며,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캐리어 필름의 일면에 접착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제1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S10)와 상기 접착 레이어에 제1 기능성입자를 수평하게 배열시켜 기능성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제1 기능성 부여단계(S21)와 상기 제1 기능성 부여단계(S21)를 통해 형성된 기능성 레이어의 일면에 접착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제2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S31)와 상기 제2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S31)를 통해 형성된 접착 레이어의 일면에 제2 기능성입자를 수평하게 배열시켜 기능성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제2 기능성 부여단계(S40)와 상기 제2 기능성 부여단계(S40)를 통해 형성된 기능성 레이어의 일면에 접착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제3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S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기능성입자는 열확산부재와 차폐부재 중 하나로 구성되며, 제2 기능성입자는 나머지 다른 하나로 구성되고, 열확산부재로는 BN, AlN, 그라파이트,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차폐부재로는 Fe, Si, Al, Cr, Ni, Mn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과 Fe, Si, Al, Cr, Ni, M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 중 하나 또는 그 혼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기능성 부여단계(S21)는 위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기능성 부여단계(S20)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2 시트(도 7의 102)를 제조하게 되며, 상기 제2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S31)는 위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제2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S30)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2 시트(102)에 기 제조된 제1 시트(101)를 부착시키되, 제1 시트(101)의 일면에 형성된 캐리어 필름(11)을 박리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기능성 부여단계(S40)는 위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기능성 부여단계(S20)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제2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S31)를 통해 형성된 접착 레이어의 일면에 제2 기능성입자를 수평하게 배열시켜 기능성 레이어를 형성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3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S50)는 별도의 상기 제1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S10)를 통해 기 제조된 제1 시트(101)를 상기 제2 기능성 부여단계(S40)를 통해 형성된 기능성 레이어의 일면에 부착하여 기능성시트를 제조하게 된다.
또는, 상기 제2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S31)와 제2 기능성 부여단계(S40)가 교번하는 형태로 반복 실시된 후 상기 제3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S50)가 실시될 수도 있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의 제3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2 기능성 부여단계(S40)와 제3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S50)가 한번에 수행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S31)를 통해 제조된 후 일면의 캐리어 필름이 제거된 제3 시트(103)의 접착 레이어(12) 일면에 별도의 상기 제1 기능성 부여단계(S21)를 통해 기 제조된 제2 시트(102)를 롤러(22) 또는 프레스를 통해 부착하는 형태로 기능성시트(100)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S31)를 통해 제조된 후 일면의 캐리어 필름이 제거된 제3 시트(103)에 기 제조된 제2 시트(102)의 부착 및 부착된 제2 시트(102)의 캐리어 필름(11) 제거를 반복 수행하는 형태로 반복하여 기능성 시트(100)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기능성입자
2 : 바인더
11 : 캐리어 필름
12 : 접착 레이어
13 : 기능성 레이어
14 : 이형지
21 : 정전기 발생부
22 : 롤러
100 : 기능성시트
101 : 제1 시트
102 : 제2 시트
103 : 제3 시트

Claims (13)

  1.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착 레이어와;
    상기 접착 레이어 사이에 배치되되,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입자로만 구성된 기능성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
  2. 적어도 3개 이상의 접착 레이어와;
    상기 접착 레이어 사이에 제1 기능성 레이어와 제2 기능성 레이어 중 하나가 배치되는 형태로 제1 기능성 레이어와 제2 기능성 레이어가 교번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기능성 레이어는 수평하게 배열된 제1 기능성입자로만 구성되고,
    상기 제1 기능성입자는 판상의 BN, AlN, 그라파이트,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기능성 레이어는 수평하게 배열된 제2 기능성입자로만 구성되고,
    상기 제2 기능성입자는 Fe, Si, Al, Cr, Ni, M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입자는
    판상의 BN, AlN, 그라파이트,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입자는
    Fe, Si, Al, Cr, Ni, M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레이어는
    기재 또는 무기재 타입의 접착성 재질로 두께가 0.5 ~ 20㎛의 두께로 구성되고, 각 접착 레이어 사이 간격은 0.1 ~ 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입자는
    압축 공기를 통해 분사되어 상기 접착 레이어의 일면에 배열되도록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성입자 및 제2 기능성입자는
    압축 공기를 통해 분사되어 상기 접착 레이어의 일면에 배열되도록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
  8.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캐리어 필름의 일면에 접착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제1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와;
    상기 접착 레이어에 기능성입자를 수평하게 배열시켜 기능성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기능성 부여단계와;
    상기 기능성 레이어의 일면에 접착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제2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
  9.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캐리어 필름의 일면에 접착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제1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와;
    상기 접착 레이어에 제1 기능성입자를 수평하게 배열시켜 기능성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제1 기능성 부여단계와;
    상기 제1 기능성 부여단계를 통해 형성된 기능성 레이어의 일면에 접착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제2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와;
    상기 제2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를 통해 형성된 접착 레이어의 일면에 제2 기능성입자를 수평하게 배열시켜 기능성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제2 기능성 부여단계와;
    상기 제2 기능성 부여단계를 통해 형성된 기능성 레이어의 일면에 접착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제3 접착 레이어 형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능성입자는 판상의 BN, AlN, 그라파이트,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기능성입자는 Fe, Si, Al, Cr, Ni, M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부여단계의 기능성입자는 접착 레이어의 타면에 정전기를 대전시킨 상태에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부여단계의 기능성입자는 압축 공기를 통해 분사되어 접착 레이어의 일면에 배열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성 부여단계의 제1 기능성입자 및 제2 기능성 부여단계의 제2 기능성입자는 접착 레이어의 타면에 정전기를 대전시킨 상태에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성 부여단계의 제1 기능성입자 및 제2 기능성 부여단계의 제2 기능성입자는 압축 공기를 통해 분사되어 접착 레이어의 일면에 배열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90147438A 2019-11-18 2019-11-18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 KR102309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438A KR102309000B1 (ko) 2019-11-18 2019-11-18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
KR1020210119487A KR20210114363A (ko) 2019-11-18 2021-09-08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438A KR102309000B1 (ko) 2019-11-18 2019-11-18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487A Division KR20210114363A (ko) 2019-11-18 2021-09-08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971A true KR20210059971A (ko) 2021-05-26
KR102309000B1 KR102309000B1 (ko) 2021-10-06

Family

ID=761375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438A KR102309000B1 (ko) 2019-11-18 2019-11-18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의 제조방법
KR1020210119487A KR20210114363A (ko) 2019-11-18 2021-09-08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487A KR20210114363A (ko) 2019-11-18 2021-09-08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090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4392A (ko) * 2022-05-25 2023-12-04 실리콘밸리(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방열패드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727B1 (ko) 2006-07-27 2007-03-23 자화전자(주) 흑연시트와 그 제조방법
KR100992154B1 (ko) * 2008-09-19 2010-11-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투명 전도성 박막 및 그 제조 방법
WO2018142876A1 (ja) * 2017-01-31 2018-08-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グラファイト複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727B1 (ko) 2006-07-27 2007-03-23 자화전자(주) 흑연시트와 그 제조방법
KR100992154B1 (ko) * 2008-09-19 2010-11-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투명 전도성 박막 및 그 제조 방법
WO2018142876A1 (ja) * 2017-01-31 2018-08-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グラファイト複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4392A (ko) * 2022-05-25 2023-12-04 실리콘밸리(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방열패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363A (ko) 2021-09-23
KR102309000B1 (ko) 202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3251B2 (ja) 複合材料及び電子デバイス
JP2018501633A (ja) 電磁波吸収消滅および遮蔽用ならびに電子機器高放熱用融合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10310562A1 (en) Thermal interface material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TW201535806A (zh) 熱傳導性接著片、其製造方法及使用此的電子裝置
CN208200824U (zh) 一种具有缓冲效果的石墨烯散热胶带
JP2015136940A (ja) 伝導性弾性部材
CN113129761A (zh) 显示模组和显示装置
TWM529706U (zh) 固化型導熱介面片及其散熱裝置
KR20210059971A (ko) 기능성입자가 수평하게 배열된 기능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001719B1 (ko) 금속 복합시트
CN203912425U (zh) 薄型散热片及其热电装置
KR101361105B1 (ko) 열전도성이 우수한 방열테이프
KR101831359B1 (ko) 절연용 필러가 배치된 복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32530B1 (ko) 천연 그라파이트와 합성 그라파이트를 적층한 열확산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204578942U (zh) 散热组件
KR101204718B1 (ko) 열 전도도가 향상된 열 전도성 판상 부재
TW201017045A (en) High-performance heat dissipat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10781887U (zh) 导热结构与电子装置
WO2016185827A1 (ja) 電子部品、接着シート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CN215577411U (zh) 显示模组和显示装置
US20180207901A1 (en) Heat spreading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CN215835784U (zh) 一种用于手机的电磁屏蔽膜
CN210075914U (zh) 一种用于手机的散热铜箔
CN210275002U (zh) 电子装置石墨烯散热贴
CN210183767U (zh) 散热片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