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684A - Ocr 프린트 장치와 이를 이용한 ocr 프린팅 방법 및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Ocr 프린트 장치와 이를 이용한 ocr 프린팅 방법 및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684A
KR20210059684A KR1020210062013A KR20210062013A KR20210059684A KR 20210059684 A KR20210059684 A KR 20210059684A KR 1020210062013 A KR1020210062013 A KR 1020210062013A KR 20210062013 A KR20210062013 A KR 20210062013A KR 20210059684 A KR20210059684 A KR 20210059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r
region
discharge head
pane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7049B1 (ko
Inventor
유대일
한규용
전은수
김재환
Original Assignee
(주)에스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티아이 filed Critical (주)에스티아이
Priority to KR1020210062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04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01L51/56
    • H01L27/32
    • H01L51/0005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H10K71/13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 H10K71/135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using ink-jet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nk Jet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OCR 프린트 장치와 이를 이용한 OCR 프린팅 방법 및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OCR 프린트 장치는, 패널은, 평면의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의 둘레면 절곡 부위를 따라 곡면 형상을 가지는 에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된 상기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갠트리 상에서 상기 패널의 전면적을 따라 이동하고 복수개의 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 영역상에 OCR을 토출 가능한 OCR 토출 헤드; 상기 갠트리 상에서 상기 OCR 토출 헤드의 일 측에 마련되어 상기 패널의 전면적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OCR 토출 헤드과 하나의 공정 단위로 상기 OCR를 가경화하는 UV 조사기;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따라 상기 OCR 토출 헤드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고, 상기 에지 영역을 구획하되 상기 에지 영역에서 상기 OCR 토출 헤드의 폐쇄 동작을 제어 가능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이동 위치별 상기 노즐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노즐 모두를 개방하여,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토출 피치를 크게 함으로써,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OCR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OCR 프린트 장치와 이를 이용한 OCR 프린팅 방법 및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OCR PRINT APPARATUS, OCR PRINTING METHOD AND DISPLAY LAMIN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OCR 프린트 장치와 이를 이용한 OCR 프린팅 방법 및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제인 OCR을 토출하여 패널과 글라스를 합착시키는 OCR 프린트 장치와 이를 이용한 OCR 프린팅 방법 및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발광 방식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플라즈마 표시 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기능성 패널과 글라스 등을 접착하는 방식에 있어서, 광학투명접착필름(OCA, optical clear adhesive, 이하 OCA이라 한다)와 광학투명레진(OCR, optical clear resin, 이하 OCR이라 한다)이 있다.
OCA를 패널과 글라스 사이에 개재하여 접합하는 경우, OCA의 자체 두께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며 접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OCR의 경우, 패널과 글라스를 접합하기 위해 패널에 OCR을 도포하고 UV 광원을 선택적으로 조사하여 방식으로 접착층을 형성한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LCD)와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의 경우, 유연성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flexible display device)로 구현하고 있는 추세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환으로, 표시 장치를 곡면 형태(curved shape)로 형성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curved display device)가 제안되고 있다.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인, 에지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edge curved display panel)는 패널의 둘레면을 따라 4면 에지 영역의 절곡 부위에 곡면 형상을 가진다.
에지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에 글라스를 합착시 상대적으로 에지 영역 절곡 부위에 접착력이 떨어져 패널과 글라스 간 들뜸 현상이 발생하고, 나아가 들뜬 에지 영역에 기포층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에지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불량으로 취급되어 결국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공보(공개공보번호: 10-2016-0069069,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밀봉방법)는 충진제의 퍼짐을 방지하기 위해 베젤 영역에 위치되는 제 1 영역과, 제 1 영역 내측에 위치되는 제 2 영역으로 구분되고, 제1 영역의 충진층의 '경도'가 제2 영역의 충진층 보다 높은 것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 각각에서 원하는 높이로 충진제를 적층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한국공개공보 제10-2016-0069069호(공개일자: 2016.06.1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에지 절곡 부위의 접착력을 향상시킨 OCR 잉크젯 프린터 및 이를 이용한 OCR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OCR 프린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 프린트 장치는 패널은, 패널은, 평면의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의 둘레면 절곡 부위를 따라 곡면 형상을 가지는 에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영역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된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갠트리 상에서 상기 패널의 전면적을 따라 이동하고 복수개의 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 영역상에 OCR을 토출 가능한 OCR 토출 헤드; 상기 갠트리 상에서 상기 OCR 토출 헤드의 일 측에 마련되어 상기 패널의 전면적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OCR 토출 헤드과 하나의 공정 단위로 상기 OCR를 가경화하는 UV 조사기;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따라 상기 OCR 토출 헤드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고, 상기 에지 영역을 구획하되 상기 에지 영역에서 상기 OCR 토출 헤드의 폐쇄 동작을 제어 가능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이동 위치별 상기 노즐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노즐 모두를 개방하여,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토출 피치를 크게 함으로써,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OCR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OCR 프린트 장치는, 패널은, 평면의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의 둘레면 절곡 부위를 따라 곡면 형상을 가지는 에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영역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된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갠트리 상에서 상기 패널의 전면적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중앙 영역상에 OCR을 토출 가능한 OCR 토출 헤드; 상기 갠트리 상에서 상기 OCR 토출 헤드의 일 측에 마련되어 상기 패널의 전면적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OCR 토출 헤드과 하나의 공정 단위로 상기 OCR를 가경화하는 UV 조사기;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의 상기 OCR 토출 헤드의 이동 횟수를 조절하고, 상기 에지 영역을 구획하되 상기 에지 영역에서 상기 OCR 토출 헤드의 폐쇄 동작을 제어 가능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갠트리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OCR 토출 헤드의 동일한 이동 경로 중 동일한 토출 피치로 상기 OCR을 토출하되, 상기 제1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2 영역에 OCR 토출 헤드를 반복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OCR의 밀도를 고밀도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영역은, 제2-1 영역과 상기 제2-1 영역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된 제2-2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OCR 토출 헤드는 상기 패널의 외면 또는 내면 중 어느 일면에 OCR을 토출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OCR프린팅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 프린팅 방법은, OCR 토출 헤드와, 상기 OCR 토출 헤드와 갠트리 상에서 인접 마련된 UV 경화기를 가지는 OCR 프린트 장치를 이용하여 패널에 OCR을 토출하는 OCR 토출 단계; 및 상기 OCR 토출과 동시에 하나의 공정 단위로 상기 OCR을 가경화하는 OCR 가경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평면의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의 둘레면 절곡 부위를 따라 곡면 형상을 가지는 에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영역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된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OCR 토출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OCR 토출 헤드의 개폐횟수를 달리하되, 상기 에지 영역에서는 상기 OCR 토출 헤드를 폐쇄시키며, 상기 제1 영역에서 이동 위치별 노즐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노즐 모두를 개방하여,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토출 피치를 크게 함으로써,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OCR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OCR 프린팅 방법은, 복수개의 노즐을 구비한 OCR 토출 헤드와, 상기 OCR 토출 헤드와 갠트리 상에서 인접 마련된 UV 경화기를 가지는 OCR 프린트 장치를 이용하여 패널에 OCR을 토출하는 OCR 토출 단계; 및 상기 OCR 토출과 동시에 하나의 공정 단위로 상기 OCR을 가경화하는 OCR 가경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평면의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의 둘레면 절곡 부위를 따라 곡면 형상을 가지는 에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영역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된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OCR 토출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의 상기 OCR 토출 헤드의 이동횟수를 달리하되, 상기 에지 영역에서는 상기 OCR 토출 헤드를 폐쇄시키며, 상기 OCR 토출 헤드는 갠트리를 따라 동일한 이동 경로로 이동하고 동일한 토출 피치로 상기 OCR을 토출하되, 상기 이동 경로 중 상기 제1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2 영역에 OCR 토출 헤드를 반복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OCR의 밀도를 고밀도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널상에 토출된 상기 OCR은 상기 제1 영역에 비해 상기 제2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두꺼울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은, 패널에 OCR을 형성 및 상기 OCR의 형성과 동시에 상기 OCR을 가경화하는 OCR 프린트 장치; 및 상기 OCR이 적층 형성된 상기 패널을 글라스에 가압 합착하는 합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평면의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의 둘레면 절곡 부위를 따라 곡면 형상을 가지는 에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영역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된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OCR 프린트 장치는, 갠트리 상에서 상기 패널의 전면적을 따라 이동하고 복수개의 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 영역상에 OCR을 토출 가능한 OCR 토출 헤드; 상기 갠트리 상에서 상기 OCR 토출 헤드의 일 측에 마련되어 상기 패널의 전면적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OCR 토출 헤드과 하나의 공정 단위로 상기 OCR를 가경화하는 UV 조사기;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따라 상기 OCR 토출 헤드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고, 상기 에지 영역을 구획하되 상기 에지 영역에서 상기 OCR 토출 헤드의 폐쇄 동작을 제어 가능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이동 위치별 상기 노즐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노즐 모두를 개방하여,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토출 피치를 크게 함으로써,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OCR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은, 패널에 OCR을 형성 및 상기 OCR의 형성과 동시에 상기 OCR을 가경화하는 OCR 프린트 장치; 및 상기 OCR이 적층 형성된 상기 패널을 글라스에 가압 합착하는 합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평면의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의 둘레면 절곡 부위를 따라 곡면 형상을 가지는 에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영역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된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OCR 프린트 장치는, 갠트리 상에서 상기 패널의 전면적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중앙 영역상에 OCR을 토출하는 OCR 토출 헤드; 상기 갠트리 상에서 상기 OCR 토출 헤드의 일 측에 마련되어 상기 패널의 전면적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OCR 토출 헤드에서 토출된 OCR과 하나의 공정 단위로 상기 OCR를 가경화하는 UV 조사기;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의 상기 OCR 토출 헤드의 이동 횟수를 조절하고, 상기 에지 영역을 구획하되 상기 에지 영역에서 상기 OCR 토출 헤드의 폐쇄 동작을 제어 가능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갠트리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OCR 토출 헤드의 동일한 이동 경로 중 동일한 토출 피치로 상기 OCR을 토출하되, 상기 제1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2 영역에 OCR 토출 헤드를 반복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OCR의 밀도를 고밀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하여 OCR을 적층 형성할 경우 OCR 토출 헤드의 개폐 여부 또는 이동 횟수를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 달리 제어함으로써, 패널에 원하는 두께와 형상의 접착층을 형성하여 패널의 외면 또는 내면에 원하는 접착 강도에 의해 글라스를 접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의 외면 또는 내면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획하여 OCR 토출 헤드의 개폐 여부 또는 이동 횟수를 달리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에지 절곡 부위의 들뜸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 프린트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 상에 실장된 에지 곡면 패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도 2에 도시된 Ⅰ-Ⅰ'를 따라 절취된 단면으로, 에지 곡면 패널에 형성된 접착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 상에 실장된 에지 곡면 패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에 도시된 Ⅱ-Ⅱ'를 따라 절취된 단면으로, 에지 곡면 패널에 형성된 접착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과 도 5의 Ⅲ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 개폐 여부가 조절된 OCR 프린트 헤드에 의해 토출된 OCR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영역과 제2-1 영역, 제2-2영역에서 이동 횟수가 조절된 OCR 프린트 헤드에 의해 토출된 OCR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 프린팅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크기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 프린트 장치(100)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130) 상에 실장된 에지 곡면 패널(P)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a) 내지 도 3(e)는 도 2에 도시된 Ⅰ-Ⅰ'를 따라 절취된 단면으로, 에지 곡면 패널(P)에 형성된 접착층(R)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지(130) 상에 실장된 에지 곡면 패널(P)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에 도시된 Ⅱ-Ⅱ'를 따라 절취된 단면으로, 에지 곡면 패널(P)에 형성된 접착층(R)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3과 도 5의 Ⅲ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에서 개폐 여부가 조절된 OCR 프린트 헤드(110)에 의해 토출된 OCR(R)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영역(A1)과 제2-1 영역(A2-1), 제2-2영역(A2-2)에서 이동 횟수가 조절된 OCR 프린트 헤드(110)에 의해 토출된 OCR(R)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 프린트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3(a) 내지 도 3(e),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 프린트 장치(100)는, OCR 토출 헤드(110)와 컨트롤러(120)를 포함하고, 나아가 스테이지(130)와 갠트리(140), UV 조사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OCR 토출 헤드(110)는, 패널(P)상에 OCR(R)을 토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5(e)에 도시된 대로 OCR 토출 헤드(110)는, 패널(P)의 외면 또는 내면에 OCR(R)을 토출 할 수 있다. OCR 토출 헤드(110)는, 갠트리(140) 상에서 헤드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패널(P)의 전면적을 따라 이동하며 임의 위치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패널(P)은, LCD와 OLED, PDP 패널과 같은 표시 패널, 터치 패널 또는 윈도우 패널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을 적층 결합한 복수층으로 이루어진 패널일 수 있다. 또한 패널(P)은, 경성 패널뿐만 아니라, 구부리거나(bending) 접거나(folding), 마는(rolling) 것이 가능한 유연한 소재의 플렉서블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패널(P)의 내면에 글라스(G)를 합착하기 위해, 패널(P)의 내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스테이지(130) 상에 실장된 패널(P)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패널(P)의 외면에 글라스(G)를 합착하기 위해, 패널(P)의 외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스테이지(130) 상에 실장된 패널(P)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대로 패널(P)은, 중앙의 제1 영역(A1)과 제1 영역(A1)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된 제2 영역(A2), 에지 영역(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A2)은, 제1 영역(A1)에 인접한 제2-1 영역(A2-1)과 제2-1 영역(A2-1) 영역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된 제2-2 영역(A2-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에지 영역(B)는, 제2 영역(A2) 또는 제2-2 영역(A2-2)의 둘레면을 따라, 90도로 직교되는 절곡 부위에 곡면 형상을 가지는 영역일 수 있다. 에지 영역(B)은, 상하 좌우 4방향의 절곡 부위마다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OCR(R) 은, 아크릴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또는 고무계의 레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UV 광에 의해 경화 가능한UV 경화성 레진일 수 있다. OCR(R)이 적층 형성된 패널(P)에 글라스(G)을 실장하여 패널(P)과 글라스(G)를 합착시킬 수 있다. OCR(R)은 충진제와 접착제 기능을 모두 수행한다.
OCR 토출 헤드(110)는, 수십, 수천 개의 노즐(미도시)과 OCR 토출 경로상 OCR을 공급하는 OCR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미도시)는, 미세 크기의 액적 형태의 OCR(R)을 토출할 수 있다.
OCR 공급부(미도시)는, 갠트리(140) 상에 설치되거나 OCR 토출 헤드(1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프로그래밍 데이터에 의해 각각의 OCR(R)의 특성별 OCR 토출 헤드(110)를 구동하는 구동전압과 전압 펄스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 데이터는, 메모리 모듈(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래밍 데이터는, OCR 토출 헤드(110)의 이동 동작 및 노즐(미도시)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패널(P)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a)와 도 3(c), 도 3(d), 도 5(a), 도 5(c), 도 5(d)에 도시된 대로 컨트롤러(120)는,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 에지 영역(B)으로 패널(P)을 구획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b)와 도 5(b), 도 6에 도시된 대로 컨트롤러(120)는, 제1 영역(A1)과 제2-1영역(A-1), 제2-2영역(A-2). 에지 영역(B)으로 패널(P)을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20)는, 도 3(a)와 도 3(c), 도 3(d) 또는 도 5(a)와 도 5(c), 도 5(d)와 같이 OCR(R)의 특성 및 패널(P)과 글라스(G)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각 구간(A1, A2 또는 A2-1, A2-2, B)의 너비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지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대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20)는, 토출량 산정 모듈(미도시)에 의해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에 따라 OCR 토출 헤드(110)의 개폐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제2 영역(A2)에서 오버필(overfill) 공법에 의해 제1 영역(A1)보다 많은 양의 OCR(R)을 토출하도록 OCR 토출 헤드(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20)는, 토출량 산정 모듈(미도시)와 메모리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량 산정 모듈(미도시)은, 영역별 OCR(R)의 밀도차를 달리하도록 OCR 토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 토출량 산정 모듈(미도시)은, 산정된 OCR 토출량을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모듈(미도시)은, 각 구간(A1, A2 또는 A2-1, A2-2)마다 OCR 토출량을 저장하고, 컨트롤러(120) 또는 토출량 산정 모듈(미도시)의 호출시 OCR 토출량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제2 영역(A2)에서는, OCR 토출 헤드(110)의 토출량 대비 100%를 토출하며, 제1 영역(A1)에서는 OCR 토출 헤드(110)의 토출량 대비 50%를 토출할 수 있다.
즉, 제1 영역(A1)에서는 OCR 토출 헤드(110)의 이동시 컨트롤러(120)가 동시간대 복수개의 노즐(미도시)를 선택적으로 개폐조절 하거나 전체 노즐을 모두 개방한 채로 이동 위치별 OCR 토출 헤드(110) 단위로 제2 영역(A2)보다 적게 개폐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영역(A2)에서의 OCR 토출 헤드(110)의 개폐횟수는 제1 영역(A1)에서의 OCR 토출 헤드(110)의 개폐횟수보다 많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A1)에서 OCR 토출 헤드(110)가 40회/s 토출하고, 제2 영역(A2)에서는 OCR 토출 헤드(110)가 100회/s 토출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대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20)는,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 또는 제1 영역(A1)과 제2-1 영역(A-1), 제2-2영역(A-2)에 따라 OCR 토출 헤드(110)의 이동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도 3(b)와 도 5(b), 도 6, 도 8을 참조하면 R1은 컨트롤러(120)의 제어에 의해 OCR 토출 헤드(110)가 1회 이동하며 패널(P)상에 토출한 OCR(R)을 나타내고, R2는 컨트롤러(120)의 제어에 의해 OCR 토출 헤드(110)가 2회 이동하며 패널(P)상에 토출한 OCR(R)을 나타내고, R3은 컨트롤러(120)의 제어에 의해 OCR 토출 헤드(110)가 3회 이동하며 토출한 OCR(R)을 나타낸다.
스테이지(130)는, OCR(R)을 토출하는 대상물, 즉 패널(P)을 지지하고 패널(P)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갠트리(140)는, OCR 토출 헤드(110)를 지지할 수 있다. 갠트리(140)는, 패널에 대응되는 면적만큼 OCR 토출 헤드(11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UV 조사기(150)는, 패널(P)에 적층 형성된 OCR(R)에 UV를 조사하여 OCR(R)을 가경화시킬 수 있다. OCR(R)의 가경화란, 액상 형태의 OCR(R)의 유동성을 줄여 형상 변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낮은 수준의 UV 경화를 의미한다. 가경화의 경우 OCR(R)의 종류, 글라스(G)와의 합착 압력 및 OCR 프린팅 용량과 경화 정도와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완전 경화를 기준으로 50%의 경화인 것을 의미한다. 즉, 글라스(G)와의 합착 진행시 에지 영역(B)의 절곡부위로 OCR(R)이 고르게 채워지며 일정 수준의 접착성능을 갖을 수 있는 경화 수준이다. UV 조사기(150)는, UV광을 조사하는 UV LED일 수 있다.
UV 조사기(150)는, 갠트리(140) 상에서 OCR 토출과 동시에 하나의 공정 단위로 가경화를 구현시킬 수 있다. UV 조사기(150)는, OCR 토출 헤드(110)와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UV 조사기(150)는, 갠트리(140) 상에서 OCR 토출 헤드(110)의 일 측에 마련되어 패널(P)의 전면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갠트리(140) 상에서 OCR 토출 방향으로 전방에OCR 토출 헤드(110)가 마련되고 후방에 UV 조사기(150)가 마련될 수 있다.
UV 조사기(140)는, OCR(R)의 토출과 동시 또는 이시에 OCR(R)에 UV를 조사할 수 있다. UV 조사기(140)는, 프로그래밍 데이터에 의해 OCR(R)의 특성에 따라 경화 시간과 온도에 따라 UV 조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 프린트 장치를 이용한 OCR 프린팅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OCR 프린팅 방법은, OCR 토출 단계(S10)를 포함하며, OCR 재토출 단계(S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CR 토출 단계에 앞서, 스테이지 상에 패널(P)을 배치하는 배치 단계(S00)를 포함할 수 있다.
OCR 토출 단계(S10)에서는, 컨트롤러가 OCR 토출 헤드가 패널 상에서 OCR토출 헤드의 이동시, 전체 패널 구간을 스캔하며 패널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OCR 토출 단계(S10)에서는, 컨트롤러가 OCR 토출 헤드의 패널 상의 좌표값을 인식해, 해당 좌표값에 따라 OCR 토출 헤드를 선택적으로 개폐 조절하거나 OCR 토출 헤드의 각 구간별 이동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
OCR 토출 단계(S10)에서 패널상에 토출된 OCR은, 제1 영역에 비해 제2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두꺼울 수 있다. OCR 토출 단계(S10)에서 OCR 토출 헤드의 개폐여부 또는 이동 횟수에 따라 적층 형성된 OCR의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OCR 재토출 단계(S20)에서는, 패널에 적층 형성된 OCR의 두께를 측정하고, 기설정된 두께와 측정 두께의 간극만큼 OCR 토출 헤드가 OCR을 재토출할 수 있다. OCR 재토출 단계(S20)에서는, 기설정된 두께를 구현하기 위해 수차례 반복되어 기설정된 두께만큼 OCR을 토출할 수 있다.
OCR 재토출 단계(S20)에서는, 패널과 수평방향으로 마련된 이미지 카메라로, 패널에 적층 형성된 OCR을 촬상해 OCR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위와 같은 구성요소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R 프린트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은, OCR 프린트 장치(100)와 합착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OCR 프린트 장치(100)는, 패널(P)에 접착층(R)을 형성할 수 있다. OCR 프린트 장치(100)는, OCR 토출 헤드(110)와 컨트롤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20)는, 패널(P)을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에 따라 OCR 토출 헤드(110)의 개폐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20)는, 패널(P)을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으로의 OCR 토출 헤드(110)의 이동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
OCR 프린트 장치(100)에 대한 설명은 위 OCR 프린트 장치(100)에 관한 내용과 공통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합착 장치(200)는, OCR(R)이 적층 형성된 패널(P)을 글라스(G)에 가압 합착할 수 있다. 합착 장치(200)는, OCR 프린트 장치(100)에서 기설정된 두께만큼 OCR(R)을 적층 형성 후, 글라스(G)를 실장하여 패널(P)과 글라스(G)를 OCR(R)의 접착성에 의해 접합시킬 수 있다.
합착 장치(200)는, OCR(R)이 적층 형성된 패널(P)에 글라스(G)를 실장해 합착시킬 수 있다. 합착 장치(200)는, 흡인 척(210)과 흡인 채널(220), UV 조사기(23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인 척(210)은, 글라스(G)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다. 흡인 척(210)은, 평면 또는 곡면 형상의 글라스(G)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지지면을 가질 수 있다.
흡인 채널(220)은, 글라스(G)와 흡인 척(210) 간 접촉면의 공기를 흡착할 수 있다. 흡인 채널(220)은, 빨아들인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도록 서로 이격 마련된 복수개의 홉인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인 채널(220)이 흡인 홀인 경우, 흡인 척(210)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흡인 채널(220)은, 흡인 채널용 펌프(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흡인 채널용 펌프(미도시)는, 고압의 공기 흡기 가능한 컴프레셔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UV 조사기(230)는, 흡인 척(210)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UV 조사기(230)는, 글라스(G) 접촉면의 배면, 즉 흡인 척(210)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UV 조사기(230)는, 패널(P)과 글라스(G) 합착 공정시, 글라스(G)를 투과해 OCR(R)을 경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글라스(G)는 UV가 투과할 수 있는 투명 재질일 수 있다.
UV 조사기(230)는, OCR(R)을 본경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경화는, 가경화보다는 높고 100%의 완전 경화보다는 낮은 수준의 경화 상태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경화는 OCR(R)이 완전히 경화되는 완전 경화를 기준으로 80 내지 98%의 경화 상태를 의미하나, 바람직하게는 탈포 공정이 이루어질 수준의 경화도로 95%의 경화 상태일 수 있다.
글라스(G)는, 에지 영역의 절곡 부위에 곡면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글라스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thylenetherephalate)와 플렉서블 필름(flexible film)일 수 있다. 글라스의 에지 영역은, 상하 좌우 4방향의 절곡 부위마다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에서 패널(P)의 내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글라스(G)를 합착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는데, 패널(P)의 외면에 글라스(G)를 합착하는 경우도 아래의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같이한다. 다만 스테이지(130)의 상부가 패널(P)의 내면에 대응되는 표면 형상을 가지며, 흡인 척(210) 또한 글라스(G)의 외면에 대응되는 표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OCR 프린팅 장치 110 : OCR 토출 헤드
120 : 컨트롤러 130 : 스테이지
140 : 갠트리
200 : 합착 장치 210 : 흡인 척
220 : 흡인 채널 230 : UV 조사기
P : 패널 A : 중앙 영역
A1 : 제1 영역 A2 : 제2 영역
A2-1 : 제2-1 영역 A2-2 : 제2-2 영역
B : 에지 영역
G : 글라스
R : OCR

Claims (9)

  1. 패널은, 평면의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의 둘레면 절곡 부위를 따라 곡면 형상을 가지는 에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영역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된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갠트리 상에서 상기 패널의 전면적을 따라 이동하고 복수개의 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 영역상에 OCR을 토출 가능한 OCR 토출 헤드;
    상기 갠트리 상에서 상기 OCR 토출 헤드의 일 측에 마련되어 상기 패널의 전면적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OCR 토출 헤드과 하나의 공정 단위로 상기 OCR를 가경화하는 UV 조사기;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따라 상기 OCR 토출 헤드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고, 상기 에지 영역을 구획하되 상기 에지 영역에서 상기 OCR 토출 헤드의 폐쇄 동작을 제어 가능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이동 위치별 상기 노즐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노즐 모두를 개방하여,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토출 피치를 크게 함으로써,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OCR의 접착력을 향상시킨, OCR 프린트 장치.
  2. 패널은, 평면의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의 둘레면 절곡 부위를 따라 곡면 형상을 가지는 에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영역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된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갠트리 상에서 상기 패널의 전면적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중앙 영역상에 OCR을 토출 가능한 OCR 토출 헤드;
    상기 갠트리 상에서 상기 OCR 토출 헤드의 일 측에 마련되어 상기 패널의 전면적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OCR 토출 헤드과 하나의 공정 단위로 상기 OCR를 가경화하는 UV 조사기;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의 상기 OCR 토출 헤드의 이동 횟수를 조절하고, 상기 에지 영역을 구획하되 상기 에지 영역에서 상기 OCR 토출 헤드의 폐쇄 동작을 제어 가능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갠트리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OCR 토출 헤드의 동일한 이동 경로 중 동일한 토출 피치로 상기 OCR을 토출하되, 상기 제1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2 영역에 OCR 토출 헤드를 반복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OCR의 밀도를 고밀도화하는, OCR 프린트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제2-1 영역과 상기 제2-1 영역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된 제2-2 영역으로 구획되는, OCR 프린트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OCR 토출 헤드는 상기 패널의 외면 또는 내면 중 어느 일면에 OCR을 토출하는, OCR 프린트 장치.
  5. OCR 토출 헤드와, 상기 OCR 토출 헤드와 갠트리 상에서 인접 마련된 UV 경화기를 가지는 OCR 프린트 장치를 이용하여 패널에 OCR을 토출하는 OCR 토출 단계; 및
    상기 OCR 토출과 동시에 하나의 공정 단위로 상기 OCR을 가경화하는 OCR 가경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평면의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의 둘레면 절곡 부위를 따라 곡면 형상을 가지는 에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영역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된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OCR 토출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OCR 토출 헤드의 개폐횟수를 달리하되, 상기 에지 영역에서는 상기 OCR 토출 헤드를 폐쇄시키며,
    상기 제1 영역에서 이동 위치별 노즐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노즐 모두를 개방하여,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토출 피치를 크게 함으로써,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OCR의 접착력을 향상시킨, OCR 프린트 방법.
  6. 복수개의 노즐을 구비한 OCR 토출 헤드와, 상기 OCR 토출 헤드와 갠트리 상에서 인접 마련된 UV 경화기를 가지는 OCR 프린트 장치를 이용하여 패널에 OCR을 토출하는 OCR 토출 단계; 및
    상기 OCR 토출과 동시에 하나의 공정 단위로 상기 OCR을 가경화하는 OCR 가경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평면의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의 둘레면 절곡 부위를 따라 곡면 형상을 가지는 에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영역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된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OCR 토출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의 상기 OCR 토출 헤드의 이동횟수를 달리하되, 상기 에지 영역에서는 상기 OCR 토출 헤드를 폐쇄시키며,
    상기 OCR 토출 헤드는 갠트리를 따라 동일한 이동 경로로 이동하고 동일한 토출 피치로 상기 OCR을 토출하되, 상기 이동 경로 중 상기 제1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2 영역에 OCR 토출 헤드를 반복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OCR의 밀도를 고밀도화하는, OCR 프린팅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상에 토출된 상기 OCR은 상기 제1 영역에 비해 상기 제2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OCR 프린팅 방법.
  8. 패널에 OCR을 형성 및 상기 OCR의 형성과 동시에 상기 OCR을 가경화하는 OCR 프린트 장치; 및
    상기 OCR이 적층 형성된 상기 패널을 글라스에 가압 합착하는 합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평면의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의 둘레면 절곡 부위를 따라 곡면 형상을 가지는 에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영역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된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OCR 프린트 장치는,
    갠트리 상에서 상기 패널의 전면적을 따라 이동하고 복수개의 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 영역상에 OCR을 토출 가능한 OCR 토출 헤드;
    상기 갠트리 상에서 상기 OCR 토출 헤드의 일 측에 마련되어 상기 패널의 전면적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OCR 토출 헤드과 하나의 공정 단위로 상기 OCR를 가경화하는 UV 조사기;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따라 상기 OCR 토출 헤드의 개폐 여부를 조절하고, 상기 에지 영역을 구획하되 상기 에지 영역에서 상기 OCR 토출 헤드의 폐쇄 동작을 제어 가능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이동 위치별 상기 노즐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노즐 모두를 개방하여,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토출 피치를 크게 함으로써,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OCR의 접착력을 향상시킨,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
  9. 패널에 OCR을 형성 및 상기 OCR의 형성과 동시에 상기 OCR을 가경화하는 OCR 프린트 장치; 및
    상기 OCR이 적층 형성된 상기 패널을 글라스에 가압 합착하는 합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평면의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의 둘레면 절곡 부위를 따라 곡면 형상을 가지는 에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영역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된 제2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OCR 프린트 장치는,
    갠트리 상에서 상기 패널의 전면적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중앙 영역상에 OCR을 토출하는 OCR 토출 헤드;
    상기 갠트리 상에서 상기 OCR 토출 헤드의 일 측에 마련되어 상기 패널의 전면적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OCR 토출 헤드에서 토출된 OCR과 하나의 공정 단위로 상기 OCR를 가경화하는 UV 조사기;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으로의 상기 OCR 토출 헤드의 이동 횟수를 조절하고, 상기 에지 영역을 구획하되 상기 에지 영역에서 상기 OCR 토출 헤드의 폐쇄 동작을 제어 가능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갠트리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OCR 토출 헤드의 동일한 이동 경로 중 동일한 토출 피치로 상기 OCR을 토출하되, 상기 제1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2 영역에 OCR 토출 헤드를 반복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OCR의 밀도를 고밀도화하는,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
KR1020210062013A 2019-09-23 2021-05-13 Ocr 프린트 장치와 이를 이용한 ocr 프린팅 방법 및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 KR102357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013A KR102357049B1 (ko) 2019-09-23 2021-05-13 Ocr 프린트 장치와 이를 이용한 ocr 프린팅 방법 및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570A KR20210034806A (ko) 2019-09-23 2019-09-23 Ocr 프린트 장치와 이를 이용한 ocr 프린팅 방법 및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
KR1020210062013A KR102357049B1 (ko) 2019-09-23 2021-05-13 Ocr 프린트 장치와 이를 이용한 ocr 프린팅 방법 및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570A Division KR20210034806A (ko) 2019-09-23 2019-09-23 Ocr 프린트 장치와 이를 이용한 ocr 프린팅 방법 및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684A true KR20210059684A (ko) 2021-05-25
KR102357049B1 KR102357049B1 (ko) 2022-02-08

Family

ID=751658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570A KR20210034806A (ko) 2019-09-23 2019-09-23 Ocr 프린트 장치와 이를 이용한 ocr 프린팅 방법 및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
KR1020210062013A KR102357049B1 (ko) 2019-09-23 2021-05-13 Ocr 프린트 장치와 이를 이용한 ocr 프린팅 방법 및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570A KR20210034806A (ko) 2019-09-23 2019-09-23 Ocr 프린트 장치와 이를 이용한 ocr 프린팅 방법 및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210034806A (ko)
WO (1) WO202106078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589A (ko) * 2014-08-11 2016-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69069A (ko) 2014-12-05 2016-06-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밀봉방법
KR20180073987A (ko) * 2016-12-23 2018-07-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3417B2 (ja) * 2006-05-15 2011-07-13 株式会社山口技研 接着材塗布装置
JP2009003067A (ja) * 2007-06-20 2009-01-08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5743204B2 (ja) * 2011-06-16 2015-07-01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印刷方法、転写材、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吐出装置
KR102412154B1 (ko) * 2017-07-07 2022-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589A (ko) * 2014-08-11 2016-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69069A (ko) 2014-12-05 2016-06-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밀봉방법
KR20180073987A (ko) * 2016-12-23 2018-07-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806A (ko) 2021-03-31
WO2021060789A1 (ko) 2021-04-01
KR102357049B1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5630B2 (ja) 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方法
TW201532681A (zh) 黏合劑塗布裝置、顯示裝置用構件的製造裝置及製造方法
JP2019042931A (ja) 点字体、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および、点字体の形成方法
TWI616340B (zh) 基板貼合裝置、顯示裝置用構件的製造裝置及製造方法
KR20210059684A (ko) Ocr 프린트 장치와 이를 이용한 ocr 프린팅 방법 및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
KR102357462B1 (ko) 경화형 접착제 도포 장치
KR101356652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합착방법 및 이를 위한 합착장치
EP2474478B1 (en) Filling device
JP6105109B1 (ja) 接合部材製造装置及び接合部材の製造方法
KR102240381B1 (ko)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
KR102213748B1 (ko)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 합착 방법
KR102240337B1 (ko) 하이브리드 압착 패드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및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
KR102240366B1 (ko)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
KR102176438B1 (ko) Ocr 잉크젯 프린팅 방법
CN108698071B (zh) 接合部件制造装置、接合部件的制造方法及涂覆物质已涂覆部件的制造方法
JP6275589B2 (ja) 接着剤塗布装置、接着剤塗布方法、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方法
KR101188794B1 (ko) 젯 프린트 방식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장치
KR102252805B1 (ko)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
KR10236693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를 위한 레진 프린팅 방법
KR20150110379A (ko)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295056B1 (ko)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라미네이션 방법
KR10231048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합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합착 방법
KR102188938B1 (ko) 접히는 oled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ocr 액적을 토출하는 잉크젯 프린팅 장치
KR102294345B1 (ko) 투명 접착제층의 형성방법
KR101512137B1 (ko) 커버글래스 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