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371A - 공기조화용 어댑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용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371A
KR20210059371A KR1020190146741A KR20190146741A KR20210059371A KR 20210059371 A KR20210059371 A KR 20210059371A KR 1020190146741 A KR1020190146741 A KR 1020190146741A KR 20190146741 A KR20190146741 A KR 20190146741A KR 20210059371 A KR20210059371 A KR 20210059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air
conditioning unit
connector
recep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9920B1 (ko
Inventor
박성찬
Original Assignee
박성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찬 filed Critical 박성찬
Priority to KR1020190146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92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2Weather protecting means, e.g. against wind, rain or sn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에 구비되는 공기조화 유닛과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흡배기 일체형의 후드캡을 연결하기 위한 공기조화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 구비되는 공기조화 유닛과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흡배기 일체형의 후드캡을 덕트로 연결하고, 공기조화 유닛에서 배기되는 실내 공기를 후드캡으로 공급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후드캡을 통해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공기조화 유닛에 공급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용 어댑터{Adaptor for air conditioning}
본 발명은 실내에 구비되는 공기조화 유닛과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흡배기 일체형의 후드캡을 연결하기 위한 공기조화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부는 밀폐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밀폐상태가 장시간 동안 지속되면 실내 공기가 오염되어 거주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고, 심한 경우 호흡기 질환 등의 질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건물의 실내 공기는 거주자의 활동으로 발생하는 먼지와 각종 이물질, 호흡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생성 및 조리용 가스기기의 사용 등에 의한 실내 공기의 오염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장시간 생활할 경우 건강을 해친다.
따라서 건물의 실내 환기를 위해 설치된 덕트의 외측 선단에는 빗물, 바람에 의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덕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 부분에 메쉬망 또는 격판 등이 구비된 후드캡이 설치된다.
상기 후드캡을 건물 외벽에 설치함에 있어서,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용 후드캡과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흡입용 후드캡이 건물 외벽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건물의 외벽에는 각 세대마다 흡기용과 배기용 2개 이상의 후드캡이 설치되고, 이로 인해 건물 외벽에 2개의 구멍을 뚫어야 하므로 천공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후드캡의 구매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고, 다수의 후드캡 설치로 인해 건물 외벽의 미관을 해치게 되며, 특히 후드캡에서 빗물 또는 결로현상 등으로 인해 흘러나오는 물방물이 외벽을 타고 떨어질 경우에는 건물 외벽이 오염되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후드캡으로 실외 공기의 흡기와 실내 공기의 배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흡배기 일체형 후드캡이 최근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흡배기 일체형 후드캡을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 유닛에 덕트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기조화용 어댑터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내에 구비되는 공기조화 유닛과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흡배기 일체형의 후드캡을 연결하기 위한 공기조화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공기조화 유닛에 장착되고, 공기조화 유닛과 흡배기 일체형의 후드캡을 덕트로 간단히 연결하며, 공기조화 유닛에서 배기되는 실내 공기를 후드캡으로 공급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후드캡을 통해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공기조화 유닛에 공급하는 공기조화용 어댑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제1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제1 덕트가 연결되는 제1 연결구가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되는 제1 수용체; 및
상기 제1 공간부의 일측에 수용되고, 내부에 제2 공간부가 형성되며, 제1 연결구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어 제2 덕트가 연결되는 제2 연결구가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수용체의 내측면과 사이에 제1 공간부의 공기가 제1 연결구로 이동하기 위한 에어유로를 형성하는 제2 수용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수용체와 제2 수용체는, 흡기구와 배기구가 형성되는 공기조화 유닛의 일면에 전면이 밀착되면서 체결수단에 의해 공기조화 유닛에 고정되며, 상기 제1 공간부에서 제2 수용체의 외측 빈 공간에 공기조화 유닛의 흡기구가 연통하고, 상기 제2 공간부에는 공기조화 유닛의 배기구가 연통하며, 제1 연결구를 통해 실외 공기가 제1 공간부로 유입된 후 공기조화 유닛의 흡기구로 공급되고, 공기조화 유닛의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실내 공기는 제2 공간부에서 제2 연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용 어댑터는 실내에 구비되는 공기조화 유닛에 간단히 장착되고, 공기조화 유닛과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흡배기 일체형의 후드캡을 덕트로 간단히 연결할 수 있으며, 공기조화 유닛에서 배기되는 실내 공기를 후드캡으로 배출함과 동시에 후드캡에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공기조화 유닛에 공급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본 발명의 어댑터 내부를 동시에 통과함으로써, 어댑터의 내부에 물방울 맺힘 등의 결로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용 어댑터의 개략도, 정면도 및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공기조화용 어댑터가 공기조화 유닛에 분리된 모습과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어댑터와 연결되는 환기용 후드캡의 개략도, 측면도,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및 저면도
도 10은 환기용 후드캡이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어댑터가 사용되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도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이하, 개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용 어댑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용 어댑터의 개략도,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공기조화용 어댑터가 공기조화 유닛에 분리된 모습과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조화용 어댑터는, 내부에 제1 공간부(111)가 형성되고, 전면은 개방되며, 상면에 제1 덕트(D1)가 연결되기 위한 제1 연결구(112)를 갖는 제1 수용체(110); 및 상기 제1 공간부(111)의 내부 일측에 수용되고, 내부에는 제2 공간부(121)가 형성되며, 전면은 개방되고, 제1 연결구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어 제2 덕트(D2)가 연결되는 제2 연결구(122)가 상면에 구비되며, 제1 수용체(110)의 내측면과 사이에 제1 공간부(111)의 공기가 제1 연결구(112)로 이동하기 위한 에어유로(A)를 형성하는 제2 수용체(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용체(110)는 내부에 제1 공간부(111)를 갖는 육면체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전면은 테두리부를 제외하고 개방되며, 상면에는 제1 덕트(D1)가 연결되는 제1 연결구(1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수용체(120)는 상기 제1 수용체(110)에 대응하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높이와 폭이 대략 상기 제1 수용체(11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내부에 제2 공간부(121)가 형성되고, 전면은 개방되며, 상면에는 제2 덕트(D2)가 연결되는 제2 연결구(122)가 상기 제1 연결구(112)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수용체(120)는 상기 제1 수용체(110)의 제1 공간부(111) 내부에서 상측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제1 공간부(111)보다 작은 부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수용체(110)의 내측면과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에어유로(A)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구(112) 및/또는 제2 연결구(122)는 제1 수용체(110) 및/또는 제2 수용체(120)의 상면에서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수용체(120)는 상기 제1 공간부(111)의 내부에서 후면이 상기 제1 수용체(110)의 후면에 스폿용접에 의해 고정되거나, 상기 제1 수용체(110)와 측면에 볼트/너트의 체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체(110)의 내측면에 제1 공간부(111)의 내부로 돌출되는 지지바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수용체(120)를 지지바에 안착시킨 후 볼트로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어댑터(100)는, 흡기구(1b)와 배기구(1a)가 형성되는 공기조화 유닛(1)의 일면에 상기 제1 수용체(110)와 제2 수용체(120)의 전면 테두리부가 밀착되면서 체결수단(B)에 의해 상기 제1 수용체(110)가 공기조화 유닛(1)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수용체(110)는 상기 제1 공간부(111)에서 제2 수용체(120)의 외측 빈 공간에 공기조화 유닛(1)의 흡기구(1b)가 연통하고 제1 연결구(112)를 통해 제1 공간부(111)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공기조화 유닛(1)의 흡기구(1b)로 공급하며, 상기 제2 수용체(120)는 상기 제2 공간부(121)에 공기조화 유닛(1)의 배기구(1a)가 연통하고, 공기조화 유닛(1)의 배기구(1a)에서 배출되어 제2 공간부(121)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를 제2 연결구(12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용 어댑터(100)는 건물 외벽(W)에 설치되는 흡배기 일체형의 후드캡(10)을 실내의 공기조화 유닛(1)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조화 유닛(1)의 흡기구(1b)와 배기구(1a)에 연통되고,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후드캡(10)과 제1,제2 덕트(D1,D2)에 의해 연결되며, 후드캡(10)을 통해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공기조화 유닛(1)에 공급하면서 동시에 공기조화 유닛(1)에서 배출되는 실내 공기를 후드캡(10)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용 어댑터(100)는 제1 수용체(110)와 제2 수용체(120)의 전면 테두리부에는 합성수지재의 기밀부재(F)가 형성되고, 체결수단(B)에 의해 공기조화 유닛에 고정된다.
상기 제1 수용체(110)의 전면 테두리부는 제1 수용체(110)의 좌우측면과 상하측면에서 제1 수용체(110)의 내측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용체(120)의 전면 테두리부는 제2 수용체(120)의 좌우측면과 상하측면에서 제2 수용체(12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고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며, 이로 인해 제1 공간부(110) 내부에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에어유로(A)의 좌우 폭은 상기 제1 수용체(110)의 전면 폭과 제2 수용체(120)의 전면 폭을 더한 크기가 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B)은, 상기 공기조화 유닛(1)에 형성되는 걸림부재(B2); 및 상기 제1 수용체(1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B2)에 체결되어서 잠금에 의해 상기 제1 수용체(110)와 제2 수용체(120)의 전면이 상기 공기조화 유닛(1)의 후면을 가압하면서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클립(B1);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수용체(120)는 제1 수용체(110)의 후면에 가압되어 전면이 공기조화 유닛(1)에 밀착 고정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용 어댑터(100)는 상기 체결수단(B) 외에도, 볼트결합 또는 용접 등 다양한 방법 또는 수단에 의해 공기조화 유닛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댑터(100)를 공기조화 유닛(1)의 후면에 결합시, 공기조화 유닛(1)의 후면에서 흡기구(1b) 및 배기구(1a)가 제1 공간부(111)와 제2 공간부(121)에 각각 마주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어댑터(100)의 전면을 공기조화 유닛(1)에 밀착시키고, 제1 수용체(110)의 체결클립(B1)을 공기조화 유닛(1)의 걸림부재(B2)에 체결하며, 이로 인해 제1 수용체(110)의 제1 공간부(111)에서 제2 수용체(120)의 외측 공간에 공기조화 유닛(1)의 흡기구(1b)가 수용되어 연통되고, 제2 수용체(120)의 제2 공간부(121)에는 공기조화 유닛(1)의 배기구(1a)가 수용되어 연통된다.
그리고 외부 공기가 상기 제1 수용체(110)의 제1 연결구(112)를 통해 제1 공간부(111)로 유입된 후 공기조화 유닛(1)의 흡기구(1b)로 공급되고, 공기조화 유닛(1)의 배기구(1a)에서 배출되는 실내 공기는 제2 수용체(120)의 제2 공간부(121)에서 제2 연결구(1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수용체(110)의 제1 연결구(112)는 제1 덕트(D1)에 의해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흡배기 일체형 후드캡(10)의 제1 연결관(11)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수용체(120)의 제2 연결구(122)는 상기 후드캡(10)의 제2 연결관(21)과 제2 덕트(D2)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 덕트(D1)는 제2 덕트(D2)보다 반경이 더 크고, 제1 덕트(D1)의 내부에 제2 덕트(D2))가 삽입되며, 제1 덕트(D1)와 제2 덕트(D2) 사이의 공간 및 제2 덕트(D2)의 내부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덕트(D1)의 내부에 제2 덕트(D2)를 미리 삽입하고, 제2 덕트(D2)의 양단부를 제2 연결구(122)와 제2 연결관(21)에 먼저 연결한 후 제1 덕트(D1)를 제1 연결구(122)와 제1 연결관(11)에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덕트(D1) 및/또는 제2 덕트(D2)를 유연성(Flexible)이 좋고 압착이 쉬운 주름관으로 형성할 경우, 제1 덕트(D1)를 먼저 제1 연결구(122) 또는 제1 연결관(11)에 연결하여 압착한 후, 제1 덕트(D1)의 내측으로 제2 덕트(D2)를 삽입하여 상기 제2 덕트(D2)를 제2 연결구(122) 또는 제2 연결관(21)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조화용 어댑터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용 어댑터는, 실내에 구비되는 공기조화 유닛(1)과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흡배기 일체형의 후드캡(10)을 덕트(D1,D2)로 연결하고, 공기조화 유닛(1)에서 배기되는 실내 공기를 후드캡(10)으로 배출하면서 동시에 후드캡(10)에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공기조화 유닛(1)에 공급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용 어댑터(100)을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어댑터와 연결되는 환기용 후드캡의 개략도, 측면도,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10은 환기용 후드캡이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어댑터가 사용되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용 어댑터를(100)을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은, 실내에 설치되고 흡기구(1b)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구(1a)를 통해 실외로 배출하는 공기조화 유닛(1);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환기용 후드캡(10); 및 상기 공기조화 유닛(1)에 결합하고 상기 후드캡(10)과 덕트(D1,D2)로 연결되며 상기 공기조화 유닛(1)의 배기구(1a)에서 배출되는 실내 공기를 후드캡(10)에 공급하고 상기 후드캡(10)을 통해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공기조화 유닛(1)의 흡기구(1b)로 공급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용 어댑터(10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 유닛(1)은 실내의 온도·습도·세균·냄새·기류 등의 조건을 그 장소의 사용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는 장치 또는 수단으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고,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장치, 에어컨, 공조시스템 또는 전열교화기 등의 장치일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 유닛(1)은 흡기구(1b)를 통해 실외 공기를 공급받아 이를 필터로 필터링한 후 실내로 공급하고, 실내 공기는 흡입하여 배기구(1a)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 유닛(1)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토출구 및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1b)와 배기구(1a)는 공기조화 유닛(1)의 후면에 형성된다. 상기 공기조화 유닛(1)의 배기구(1a) 및 흡기구(1b)는 공기조화 유닛(1)의 일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 유닛(1)은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환기용 후드캡(10)과 본 발명의 어댑터(10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후드캡(10)은 실외 공기의 흡기와 실내 공기의 배기가 하나의 후드캡(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흡배기 일체형의 후드캡(10)이 사용된다.
상기 환기용 후드캡(10)은,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벽체에 매립되어 제1 덕트(D1)와 연결되는 제1 연결관(11); 및 상기 제1 연결관(11)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건물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고, 측면에 통기창(12a)이 형성되는 커버캡(12);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캡(12)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관(11)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는 관통공(12b); 및 후드캡(10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연결관(11)과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환형의 에어유로(A)를 형성하며, 선단부는 상기 커버캡(12)의 관통공(12b)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후단부가 제2 덕트(D2)와 연결되며, 전면은 적어도 하나의 절개공(22c)을 갖는 차단캡(22)에 의해 차단되는 제2 연결관(21);을 포함한다.
상기 후드캡(10)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유로와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에어유로를 하나의 후드캡(100)에 형성함으로써, 배기용 후드캡과 흡기용 후드캡을 각각 별도로 마련하여 사용하던 종래 환기용 후드캡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후드캡(100)의 내부에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유로를 형성하는 제2 연결관(21)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연결관(21)의 외측에는 제1 연결관(11)이 형성되며, 제1 연결관(11)과 제2 연결관(21) 사이에는 실외 공기가 유입되어 실내로 이동하기 위한 환형의 에어유로(A)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유로(A)는 실외 공기가 후드캡(100)의 내부로 유입될 경우 흡기유로가 된다.
상기 제1 연결관(11)은 건물 벽체에 매립되고, 후단부는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 유닛(1)의 흡기구(1b)에 제1 덕트(D1)로 연결되며, 선단부에는 건물 외부로 노출되어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소정 부피의 커버캡(12)이 연결된다.
상기 커버캡(12)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소정 부피로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의 반경이 상기 제1 연결관(11)의 반경보다 더 큰 반경으로 형성되며, 측면에는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창(12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관(11)의 선단부 테두리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캡(12)의 후단부 테두리부에는 상기 플랜지부가 내부로 삽입되면서 체결되는 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와 결합부는 상호 억지끼움방식, 볼트/너트체결방식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상호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드캡(10)은 상기 제1 연결관(11) 및 커버캡(12)의 내부에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제2 연결관(21)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커버캡(12)의 전면에는 제1 연결관(11)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어서 제2 연결관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관통공(12b)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연결관(21)은 선단부가 상기 커버캡(12)의 관통공(12b)에 삽입 또는 지지되고, 후측부는 제1 연결관(11)의 내부에 위치하며, 전면은 적어도 하나의 절개공(22c)을 갖는 차단캡(22)에 의해 차단되고, 후단부가 제2 덕트(D2)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연결관(21)의 외주연에는 상기 제1 연결관(11)에 볼트(E) 체결되어 고정되는 연결편(23)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23)에 의해 제1 연결관(11)의 내부에서 고정된다.
상기 제2 연결관(21)은 커버캡(12)과 제1 연결관(11)의 내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선단부는 상기 커버캡(12)의 관통공(12b)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후단부는 제1 연결관(11)과 연결편(23)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연결관(11)과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환형의 에어유로(A)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덕트(D2)를 통해 상기 제2 연결관(21)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차단캡(22)의 절개공(22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커버캡(12)의 통기창(12a)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에어유로(A)를 통해 제1 연결관(11)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제1 덕트(D1)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차단캡(22)은 제2 연결관(21)의 전면을 차단하고, 제2 연결관(21)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절개공(22c)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연결관(21)의 선단부에 삽입되는 몸체부(22b); 및 상기 몸체부(22b)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커버캡(12)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관통공(12b)의 반경과 같거나 더 큰 반경으로 형성되며, 절개공(22c)이 내부에 형성되는 차단판(22a);을 포함한다.
상기 절개공(22c)은 상기 차단판(22a)에 다단으로 천공되고, 일측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경사판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편(23)은 제2 연결관(21)의 하부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고, 세로바와 가로바를 갖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세로바의 하단부는 제2 연결관(21)의 외주연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가로바는 상기 제1 연결관(11)의 내주연에 밀착되어서 제1 연결관(11)과 볼트(E)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관(11) 내부의 선단부 또는 커버캡(12) 내부의 후측부에는 상기 에어유로(A)를 차단하고, 상기 통기창(12a)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에어유로(A)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거름망(C)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거름망(C)은 커버캡(12)의 차단판(22a) 후면 또는 절개공(22c)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절개공(22c)을 통해 배출되거나 절개공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한편, 상기 후드캡(10)은, 건물 벽체에 매립되는 원통형의 슬리브(13); 및 상기 슬리브(13)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건물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고, 측면에 통기창(12a)이 형성되는 커버캡(12);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부(S)의 후단부에는 소정 길이의 제1 연결관(11)이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관(11)의 후단부에 덕트(D1)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관(21)은 상기 후드캡(10)과 제1 연결관(11)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연결관(11)과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환형의 에어유로(A)를 형성하며, 선단부는 상기 커버캡(12)의 관통공(12b)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후단부가 덕트(D2)와 연결되며, 전면은 적어도 하나의 절개공(22c)을 갖는 차단캡(22)에 의해 차단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후드캡(10)은, 실외 공기가 통기창(12a)을 통해 커버캡(12)으로 유입된 후 제1 연결관(11)의 내부의 에어유로(A)를 통과하여 실내로 공급되고, 실내 공기는 제2 연결관(21)으로 유입된 후 차단캡(22)의 절개공(22c)을 통해 실외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실내 공기의 배기와 실외 공기의 흡입이 하나의 후드캡(1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반대로, 상기 후드캡(10)은 실외 공기가 차단캡(22)의 절개공(22c)을 통해 제2 연결관(21)의 내부로 유입된 후 실내로 공급될 수 있고, 실내 공기는 제1 연결관(11) 내부의 에어유로(A)로 유입되어 커버캡(12)으로 이동한 후 통기창(12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캡(22)의 내측면에는 상기 절개공(22a)을 통해 제2 연결관(21)으로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거름망(C)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10)의 상기 제1 수용체(110) 및 제2 수용체(120)가 흡기구(1b)와 배기구(1a)가 형성되는 공기조화 유닛(1)의 후면에 밀착되면서 서로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체결수단(B)에 의해 고정되고, 공기조화 유닛(1)의 흡기구(1b)가 상기 제1 공간부(111) 내부의 하측에 수용되어 연통되며, 공기조화 유닛(1)의 배기구(1a)는 상기 제2 공간부(121)에 수용되어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수용체(110)의 제1 연결구(112)는 제1 덕트(D1)에 의해 상기 후드캡(10)의 제1 연결관(11)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수용체(120)의 제2 연결구(122)는 상기 후드캡(10)의 제2 연결관(21)과 제2 덕트(D2)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 덕트(D1)는 제2 덕트(D2)보다 반경이 더 크고, 제1 덕트(D1)의 내부에 제2 덕트(D2))가 삽입되며, 제1 덕트(D1)와 제2 덕트(D2) 사이의 공간 및 제2 덕트(D2)의 내부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덕트(D1)의 내부에 제2 덕트(D2)를 미리 삽입하고, 제2 덕트(D2)의 양단부를 제2 연결구(122)와 제2 연결관(21)에 먼저 연결한 후 제1 덕트(D1)를 제1 연결구(122)와 제1 연결관(11)에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이후, 공기조화 유닛(1)의 구동시, 상기 후드캡(10)을 통해 유입되는 실외 공기가 제1 연결구(112)를 통해 제1 수용체(110)의 제1 공간부(111)로 유입된 후 공기조화 유닛(1)의 흡기구(1b)로 공급되고, 공기조화 유닛(1)의 배기구(1a)에서 배출되는 실내 공기는 제2 수용체(120)의 제2 공간부(121)로 유입된 후 제2 연결구(122)와 후드캡(10)을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댑터를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은, 공기조화 유닛(1), 어댑터(100) 및 후드캡(10)을 각각 설치 및 연결하고,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 유닛(1)을 가동되면, 공기조화 유닛(1)의 송풍기에 의해 실외 공기가 상기 후드캡(10)의 통기창(12a)을 통해 후드캡(10) 내부로 유입되고, 제1 연결관(11)과 제2 연결관(21)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유로(A)를 통과하여 제1 덕트(D1)로 유입되며, 제1 수용체(110)의 제1 연결구(112)를 통해 제1 공간부(111)로 유입된 후 공기조화 유닛(1)의 흡기구(1b)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 유닛(1)의 배기구(1b)를 통해 배출되는 실내 공기는 제2 수용체(120)의 제2 공간부(121)로 유입되고, 제2 연결구(122)와 제2 덕트(D2)를 통해 상기 후드캡(10)의 제2 연결관(21)으로 공급된 후 차단캡(22)의 절개공(22c)을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조화용 어댑터(100)는, 실내에 구비되는 공기조화 유닛(1)과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흡배기 일체형의 후드캡(10)을 덕트(D1,D2)로 연결하고, 공기조화 유닛(1)에서 배기되는 실내 공기를 후드캡(10)으로 공급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후드캡(10)을 통해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공기조화 유닛(1)에 공급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 : 공기조화 유닛 1a : 배기구
1b : 흡기구
10 : 후드캡 11 : 제1 연결관
12 : 커버캡 21 : 제2 연결관
22 : 차단캡 23 : 연결공
100 : 어댑터 110 : 제1 수용체
111 : 제1 공간부 112 : 제1 연결구
120 : 제2 수용체 121 : 제2 공간부
122 : 제2 연결구
A : 에어유로 B : 체결수단
C : 차단망 D1,D2 : 제1,제2 덕트
E : 볼트 F : 기밀부재

Claims (5)

  1. 내부에 제1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제1 덕트가 연결되는 제1 연결구가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되는 제1 수용체; 및
    상기 제1 공간부의 일측에 수용되고, 내부에 제2 공간부가 형성되며, 전면은 개방되고, 상면에는 제2 덕트가 연결되는 제2 연결구가 상기 제1 연결구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체의 내측면과 사이에 제1 공간부의 공기가 제1 연결구로 이동하기 위한 에어유로를 형성하는 제2 수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흡기구와 배기구가 형성되는 공기조화 유닛의 일면에 상기 제1 수용체와 제2 수용체의 전면 테두리부가 밀착되면서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제1 수용체가 공기조화 유닛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수용체는,
    상기 제1 공간부에서 제2 수용체의 외측 빈 공간에 공기조화 유닛의 흡기구가 연통하고, 제1 연결구를 통해 제1 공간부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공기조화 유닛의 흡기구로 공급하며,
    상기 제2 수용체는,
    상기 제2 공간부에 공기조화 유닛의 배기구가 연통하고, 공기조화 유닛의 배기구에서 배출되어 제2 공간부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를 제2 연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어댑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체 및 제2 수용체는,
    공기조화 유닛의 일면에 밀착되는 합성수지재의 기밀부재가 전면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어댑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배기구와 흡기구를 갖는 공기조화 유닛의 좌우측부에 형성되는 걸림부재; 및
    상기 제1 수용체의 좌우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에 체결되면서 제1 수용체의 전면이 상기 공기조화 유닛의 일면을 가압하도록 하는 체결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어댑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체는 후면이 상기 제1 수용체의 후면에 스폿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어댑터.
KR1020190146741A 2019-11-15 2019-11-15 공기조화용 어댑터 KR102289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741A KR102289920B1 (ko) 2019-11-15 2019-11-15 공기조화용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741A KR102289920B1 (ko) 2019-11-15 2019-11-15 공기조화용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371A true KR20210059371A (ko) 2021-05-25
KR102289920B1 KR102289920B1 (ko) 2021-08-12

Family

ID=76145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741A KR102289920B1 (ko) 2019-11-15 2019-11-15 공기조화용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92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1127A (ja) * 2000-01-19 2001-07-27 Ichimon Kiko Kk 二重管ダクト用ベントキャップ
KR20060119368A (ko) * 2005-05-20 2006-11-24 (주) 휴니웰 필터부가 구비된 공조장치용 공기 통과장치
KR100836822B1 (ko) 2007-03-21 200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시스템용 후드
JP2011242070A (ja) * 2010-05-19 2011-12-01 Panasonic Corp 天井埋込形換気扇
JP2016038104A (ja) * 2014-08-05 2016-03-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換気用ダクト
JP2018059637A (ja) * 2016-09-30 2018-04-12 株式会社Lixil 換気装置の給排気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1127A (ja) * 2000-01-19 2001-07-27 Ichimon Kiko Kk 二重管ダクト用ベントキャップ
KR20060119368A (ko) * 2005-05-20 2006-11-24 (주) 휴니웰 필터부가 구비된 공조장치용 공기 통과장치
KR100836822B1 (ko) 2007-03-21 200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시스템용 후드
JP2011242070A (ja) * 2010-05-19 2011-12-01 Panasonic Corp 天井埋込形換気扇
JP2016038104A (ja) * 2014-08-05 2016-03-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換気用ダクト
JP2018059637A (ja) * 2016-09-30 2018-04-12 株式会社Lixil 換気装置の給排気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920B1 (ko)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475B1 (ko) 공기청정기겸 환기장치의 고정장치
KR101578528B1 (ko) 바이패스 유로를 별도로 구비한 열회수 환기장치
US8371912B2 (en) Unit type clean room
KR101087122B1 (ko) 흡배기 일체형 환기그릴
WO2019184506A1 (zh) 室外接管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US20220266185A1 (en) Housing for receiving contaminated airflow from a clothes dryer or from a building's interior, constructed for filtering and recycling thru an interior piping system or disposing out to a building's exterior and comprising a safety mechanical shutdown system of the clothes dryer
KR101398037B1 (ko) 환기 시스템
JP2007212073A (ja) 換気装置
KR101783547B1 (ko) 흡입 또는 배기용으로 사용 가능한 후드캡
KR102033420B1 (ko) 환기구 장치
CN208238170U (zh) 防虫防鼠装置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JP4811052B2 (ja) 外壁端末換気口
KR102289920B1 (ko) 공기조화용 어댑터
KR101035950B1 (ko) 환기장치의 일체형 환기그릴
KR20210059383A (ko) 환기용 후드캡
JP5522930B2 (ja) メンテナンス性を高めた換気装置及び同換気装置に使用するフィルターユニット
WO2019184509A1 (zh) 室外接管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KR200468966Y1 (ko) 시공과 관리가 용이한 환기장치
KR102106596B1 (ko) 실내공기 청정기
JP3218042U (ja) 換気装置
KR20170121918A (ko) 멀티 공기청정시스템
JP6956870B2 (ja) 熱交換換気装置
US20090229045A1 (en) Toilet seat ventilation system
CN217616712U (zh) 排烟系统
WO2019184505A1 (zh) 防虫防鼠装置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