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307A - 미세 봉합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 봉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307A
KR20210059307A KR1020190146598A KR20190146598A KR20210059307A KR 20210059307 A KR20210059307 A KR 20210059307A KR 1020190146598 A KR1020190146598 A KR 1020190146598A KR 20190146598 A KR20190146598 A KR 20190146598A KR 20210059307 A KR20210059307 A KR 20210059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huck
coupled
ti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리머쓰리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리머쓰리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리머쓰리디
Priority to PCT/KR2019/01564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95941A1/ko
Priority to KR1020190146598A priority patent/KR20210059307A/ko
Publication of KR20210059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3Hand-held instruments for holding 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7Instruments for cutting 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91Sewing machines fo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2Needle manip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6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for soft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4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for tensioning su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미세 봉합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봉합 장치는, 스위치(220)로 와이어를 인출시키며, 외부 와이어를 외부 와이어 결합공(285)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프레스 부재(260)를 누르면 캡(290)이 회전되어 인출시키는 와이어와 외부 와이어를 꼬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 따라, 미세 봉합 수술 시 봉합을 용이하게 하여 수술 집도시간을 현저히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단시간 수술로 환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및 통증을 감소시키고, 회복을 빠르게 하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수술 집도시간이 줄어듦에 따라 시술자의 피로누적을 감소시켜 의료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 봉합 장치{Micro suture devices}
본 발명은 미세 봉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막이나 홍채 등과 같이 인체의 미세한 절개부위를 봉합하기 위한 수술 집도시간 및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미세 봉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상처나 절개부위를 봉합할 때는 수술용 봉합실을 이용하여 봉합수술을 실시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봉합수술을 수작업으로 진행하면 시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봉합부위의 간격이나 형상 등에 편차가 있고, 봉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재봉합수술을 진행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각막, 홍채 등과 같은 매우 얇고 미세한 조직 봉합 시에는 더욱 정교한 미세 봉합이 필요한데, 현재는 의료용 실과 바늘을 이용하여 봉합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봉합 방법은 아무리 숙련된 기술자라 하더라도 중심부의 두께가 약 0.53mm 정도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얇은 각막을 봉합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있다. 수술부위의 봉합장력, 봉합형상, 봉합간격이 균일하지 못하고 시술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며, 이로 인해 수술 성공률이 낮고 재현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봉합수술을 진행하기 위하여 시술자의 집도시간이 늘어나고, 그에 따라 환자의 통증 및 외상 후 스트레스도 커지는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세 부위 봉합용 니들 홀더(등록번호 : 10-1372386)'에서는 미세 부위의 봉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좁은 공간에서 니들을 다룰 수 있도록 하고, 미세 부위를 봉합하기 위하여 절개해야되는 미세 부위 주변의 조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세 부위 봉합용 니들 홀더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시술자가 니들 홀더를 움직이고 돌릴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어쩔 수 없이 미세 부위 주변의 조직을 절개하고 이를 벌려야 하는 문제점은 해결할 수 있었으나, 여전히 봉합을 위하여 미세조직 내에서 니들 홀더를 움직여야 하고, 수술 집도시간을 줄이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새로운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KR 10-1372386 B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막이나 홍채 등과 같이 인체의 미세한 절개부위를 봉합하기 위한 수술 집도시간 및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미세 봉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봉합 장치는 긴 원통형으로 일측단부에 원통캠(210)이 형성되고 중단부에 스위치 통공부(201)가 형성되며 타측단부는 개방된 외부하우징(200); 상기 외부하우징(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으로서, 일측단부에 테이퍼(110)가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통공부(201)에 위치되는 원통형 가압통(100); 상기 외부하우징(200)의 스위치 통공부(201)에 형성되며, 상기 가압통(100)의 테이퍼(110) 부분을 접촉 가압시켜 상기 가압통(100)을 상기 외부하우징(200) 원통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위치(220); 일측 단부 전단에 확개형 절개 척(150)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가압통(100)의 전단에 압입되는 클러치(130); 상기 클러치(130)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으로서, 내부로 와이어를 삽입시키는 와이어홀더(120); 상기 클러치(130)의 일측단부를 슬라이딩 관통 결합시키며, 내측에 상기 척(150)을 조이는 조임단(161)이 형성되는 척 홀더(160); 상기 클러치(130)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척 홀더(160)와 상기 가압통(100)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 작용하는 가압통 복원 스프링(140); 상기 척 홀더(160)를 내측에 결합시키며, 상기 외부하우징(200)의 타측단부에 결합되는 원통체로서, 중심축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척 홀더(160)에 대접되는 내측부에는 척 확개챔버(291)가 형성되고 타측단부에는 팁 결합부(292)가 형성되는 캡(290); 상기 팁 결합부(292)에 결합되며 단부에는 상기 캡 중심축과 축이 일치되는 와이어 홀(284)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홀더(120)의 와이어가 인출되며, 상기 와이어 홀(284) 측면에는 외부 와이어 결합공(285)이 형성된 와이어 팁(281); 상기 캡(290) 외주면에 결합되는 캡 베어링(300); 상기 캡 베어링(300)에 결합되어 상기 캡(290)에 대하여 회동되는 베어링 서포터(310); 상기 원통캠(210)에 결합되는 캠 종동절(240); 상기 원통캠(210)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캠 종동절(240)의 스토퍼가 되는 후면마개(250); 상기 캠 종동절(240)과 상기 후면마개(250) 사이에 삽입되는 캠 복원 스프링(230); 일측단은 상기 캠 종동절(240)에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베어링 서포터(310)에 결합되는 반원형 탄성체로서, 상기 외부하우징(200)에 대칭 결합되는 한 쌍의 프레스부재(260); 로 구성되어, 상기 스위치(220)로 와이어를 인출시키며, 외부 와이어를 상기 외부 와이어 결합공(285)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프레스 부재(260)를 누르면 상기 캡(290)이 회전되어 인출시키는 와이어와 외부 와이어를 꼬이게 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290)의 타측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팁(281)에 확개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와이어팁(281) 단부를 향하게 절곡된 나이프(283)가 형성된 컷팅 팁(282);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컷팅 팁(282)과 상기 와이어팁(281)을 내측이 삽입시키는 팁홀더(271); S자 형으로 형성되어 일측단은 상기 프레스 부재(260)와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프레스 부재(260)를 관통하여 상기 팁홀더(271)에 결합되는 컷팅 서포터(270);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프레스 부재(260)를 누르면 상기 팁홀더(271)가 상기 컷팅 서포터(27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커팅팁(282)의 나이프(283)가 상기 와이어팁(281) 단부의 와이어들을 컷팅시키는 것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임단(161)은, 상기 척 홀더(160) 내측에서 상기 척(150)에 밀착되는 조임링(162)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임단(161)은, 상기 척 홀더(160) 단부는 상기 척(150)의 머리에 밀착되는 직경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캡(290)의 척 확개챔버(291)는 상기 척(150)의 머리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시켜, 상기 척(150)의 머리가 척 확개챔버(291)로 이동되면 확개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미세 봉합 수술 시 봉합을 용이하게 하여 수술 집도시간을 현저히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단시간 수술로 환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및 통증을 감소시키고, 회복을 빠르게 하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수술 집도시간이 줄어듦에 따라 시술자의 피로누적을 감소시켜 의료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홀딩 유닛 분해도 및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봉합 장치 분해도 및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미세 봉합 장치 정면도 및 확대도.
도 4는 도 2의 와이어 홀딩 및 인출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2의 또 다른 와이어 홀딩 및 인출을 설명하는 단면 확대도.
도 6은 도 2의 회전으로 인한 와이어 꼬임 원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도 2의 와이어 컷팅 원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도 2의 미세 봉합 장치를 이용한 홍채 봉합 수술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홀딩 유닛 분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홀딩 유닛은 가압통(100), 와이어홀더(120), 클러치(130), 가압통 복원 스프링(140), 척 홀더(1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미세 봉합 장치의 내부에 삽입되는 유닛으로, 내부로 삽입되는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압통(100)은 원통형상으로 일측단부에 테이퍼(110)가 형성되고, 가압통(100)의 전단에 압입되는 클러치(130)는 전단에 확개형 절개 척(150)이 형성되며, 클러치(130) 내부에 삽입되는 와이어홀더(120)는 외부에서 와이어가 삽입되면 와이어를 홀딩한다. 척 홀더(160)는 클러치(130)의 일측 단부를 슬라이딩 관통 결합시키며, 내측에는 척(150)을 조이는 조임단이 형성되고, 가압통(100)과 척 홀더(160) 사이 클러치(130)의 외주면에는 가압통 복원 스프링(140)이 구비되어 척 홀더(160)와 가압통(100)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이 작용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봉합 장치 분해도 및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미세 봉합 장치 정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3을 참조하여 미세 봉합 장치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미세 봉합 장치는 외부하우징(200), 외부하우징에 형성된 스위치 통공부(201)에 배치되는 스위치(220), 캠 복원 스프링(230), 캠 종동절(240), 후면마개(250), 한 쌍의 프레스부재(260), 컷팅서포터(270), 팁(280), 캡(290), 캡 베어링(300), 베어링서포터(3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세하게는, 상술한 도 1의 와이어 홀딩 유닛이 내부에 삽입되는 긴 원통형의 외부하우징(200)은 후단부에 원통캠(210)이 형성되고, 중단부에 스위치 통공부(201)가 형성되며, 전단부는 개방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외부하우징(200)의 중단부에 형성된 스위치 통공부(201)에는 스위치(220)가 배치되고, 스위치(220)는 가압통(100)의 테이퍼(110) 부분을 접촉 가압시켜 가압통(100)을 외부하우징(200)의 원통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원통캠(2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211)이 형성되고, 나사산(211)이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에 나사산홈이 형성된 캠 종동절(240)이 원통캠(210)에 결합되며, 원통캠(210)의 후단부에는 캠 종동절(240)의 스토퍼가 되는 후면마개(250)가 결합된다. 캠 종동절(240)과 후면마개(250) 사이의 원통캠(210) 외주면에는 캠 복원 스프링(230)이 결합되어 탄성을 갖도록 한다.
외부하우징(200)의 전단부에는 원통체의 캡(290)이 결합되어 척 홀더(160)를 내측에 결합시키고, 척 홀더(160)에 대접되는 캡(290)의 내측에는 척 확개챔버(291)가 형성되고, 타측단부에는 팁 결합부(292)가 형성되어 팁(280)이 결합된다. 팁(280)의 후단은 일체형이나 전단은 분기되어 와이어팁(281), 컷팅팁(282)으로 나누어지고, 와이어팁(281)은 단부에는 캡(290)의 중심축과 축이 일치되는 와이어홀(284)이 형성되어 와이어홀더(120)의 와이어가 인출되며, 와이어홀(284)의 측면에는 외부 와이어가 끼워질 수 있는 외부 와이어 결합공(285)이 형성된다.
캡 베어링(300)은 외부하우징(200)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캡(29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캡 베어링(300)에는 캡(290)에 대하여 회동하는 베어링 서포터(310)가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외부하우징(200)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스부재(260)는 일측단이 캠 종동절(240)에 결합되고, 타측단은 베어링서포터(310)에 결합되며, 반원형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봉합 장치는 팁홀더(271)와 컷팅 서포터(2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팁홀더(271)는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팁(280)에 형성된 와이어팁(281)과 컷팅팁(282)을 내측이 삽입시키는 구조로 결합되며, 컷팅 서포터(270)는 S자 형으로 형성되어 전단부는 프레스부재(260)와 결합되고, 후단부는 프레스부재(260)를 관통하여 팁홀더(271)에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구조로 형성되는 미세 봉합 장치의 와이어 홀딩 및 인출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와이어 홀딩 및 인출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외부에서 스위치(220)를 가압하면 스위치(220)가 가압통(100)의 테이퍼(110)를 접촉 가압시켜 가압통(100)을 전방으로 밀어내고, 가압통(100)의 전단에 결합된 클러치(130)가 전방으로 밀리며, 클러치(130) 전단부에 형성된 확개형 절개 척(150)이 전방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척 홀더(160) 내측에 척(150)을 조이는 조임단(161)으로서, 척 홀더(160) 내측에서 척(150)에 밀착되는 조임링(16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러치(130)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조임링(162)이 클러치(130) 전단의 외주면을 압박하여 척(150)을 조이면, 절개형 확개 척(150)이 전방으로 확개되어 와이어가 일정 길이만큼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이다.
와이어를 인출시키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 홀더(160) 내측에 척(150)을 조이는 조임단(161)으로서, 척 홀더(160) 전단부는 척(150)의 머리에 밀착되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캡(290)의 척 확개챔버(291)는 척(150)의 머리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러치(13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척(150)이 전방으로 밀리면 척(150)의 머리가 척 확개챔버(291)로 이동되며 확개되어 와이어가 일정 길이만큼 전방으로 인출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도 2의 회전으로 인한 와이어 꼬임 원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미세 봉합 장치는 스위치(220)로 와이어를 인출시키고, 외부 와이어를 외부 와이어 결합공(285)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프레스부재(260)를 누르면 캡(290)이 회전되어 와이어홀(284)을 통해 인출된 와이어와 외부 와이어 결합공(285)에 결합된 와이어를 꼬이게 함으로써 자동 봉합이 이루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와이어 컷팅 원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레스부재(260)를 눌러 탄성을 갖는 프레스부재(260)와 컷팅서포터(270)가 길이방향으로 늘어나면 팁 홀더(271)가 컷팅서포터()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어 와이어팁(281)과 컷팅팁(282) 사이 간격을 좁히게 된다. 이때, 와이어팁(281)에 확개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컷팅팁(282)의 단부에는 와이어팁(281) 단부를 향하게 절곡된 나이프(283)가 형성되어 와이어팁(281) 단부의 와이어들을 나이프(283)가 컷팅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 구조로 형성되는 미세 봉합 장치를 이용한 봉합 수술을 위해서는 2개의 미세 봉합 장치를 동시에 사용하도록 한다. 이를 이용하여 홍채를 봉합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채 봉합 수술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홍채 봉합 수술은 망막 절개, 기구 삽입, 위치 선정, 와이어 홀딩, 와이어 봉합, 와이어 절단 순서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자세하게는, 먼저 미세 봉합 장치의 스위치(220)를 누른 상태에서 와이어홀(284)의 전면부를 통해 와이어를 삽입시킨 미세 봉합 장치 2개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홍채 봉합을 위하여 미세 봉합 장치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홍채에서 봉합이 필요한 부위 부근에 위치한 망막의 양측 일부를 각각 절개한다. 이때, 미세 봉합 장치의 팁(280)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최소 부위만 절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망막의 양측 절개부위로 미세 봉합 장치를 각각 하나씩 삽입시키되, 미세 봉합 장치의 팁(280) 부분까지만 망막 내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두 개의 미세 봉합 장치 중 하나는 와이어팁(281)과 컷팅팁(282) 중 와이어팁(281)이 상단에 위치하게 삽입시키고, 하나는 컷팅팁(282)이 상단에 위치하게 삽입시키도록 한다. 다음으로, 양측 미세 봉합 장치의 와이어가 봉합될 위치를 관통하도록 위치시키고 스위치(220)를 눌러 와이어를 인출시키되, 와이어가 양측 미세 봉합 장치의 팁(280)의 끝단부에 서로 맞닿도록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한다. 다음으로, 양측 미세 봉합 장치에서 인출된 와이어를 서로 상대 기구의 외부 와이어 결합공(285)에 끼워 결합시켜 와이어를 홀딩시킨다. 다음으로, 와이어가 홀딩된 상태에서 캠 종동절(240)이 캠 복원 스프링(230)을 압축시키며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프레스부재(260)를 살짝 눌러 양측 미세 봉합 장치를 회전시키면 양측 기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와이어가 서로 꼬이도록 함으로써 홍채의 절개부를 봉합시킨다. 봉합된 후에는 컷팅팁(282)의 단부에 형성된 나이프(283)가 와이어를 절단할 수 있도록 프레스부재(260)를 더 눌러 양측 와이어를 절단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세 봉합 장치는 스위치(220)로 와이어를 인출시키며, 외부 와이어를 외부 와이어 결합공(285)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프레스 부재(260)를 누르면 캡(290)이 회전되어 인출시키는 와이어와 외부 와이어를 꼬이게 하여 봉합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로서, 미세 봉합 수술 시 봉합을 용이하게 하여 수술 집도시간을 현저히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단시간 수술로 환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및 통증을 감소시키고, 회복을 빠르게 하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수술 집도시간이 줄어듦에 따라 시술자의 피로누적을 감소시켜 의료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가압통 110: 테이퍼
120: 와이어홀더 130: 클러치
140: 가압통 복원 스프링 150: 척
160: 척 홀더 161: 조임단
162: 조임링
200: 외부하우징 201: 스위치 통공부
210: 원통캠 211: 나사산
220: 스위치 230: 캠 복원 스프링
240: 캠 종동절 250: 후면마개
260: 프레스부재 270: 컷팅서포터
271: 팁 홀더 280: 팁
281: 와이어팁 282: 컷팅팁
283: 나이프 284: 와이어홀
285: 외부 와이어 결합공 290: 캡
291: 척 확개챔버 292: 팁 결합부
300: 캡 베어링 310: 베어링서포터

Claims (4)

  1. 미세 봉합을 위한 의료용 기구로서,
    긴 원통형으로 일측단부에 원통캠(210)이 형성되고 중단부에 스위치 통공부(201)가 형성되며 타측단부는 개방된 외부하우징(200);
    상기 외부하우징(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으로서, 일측단부에 테이퍼(110)가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통공부(201)에 위치되는 원통형 가압통(100);
    상기 외부하우징(200)의 스위치 통공부(201)에 형성되며, 상기 가압통(100)의 테이퍼(110) 부분을 접촉 가압시켜 상기 가압통(100)을 상기 외부하우징(200) 원통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위치(220);
    일측 단부 전단에 확개형 절개 척(150)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가압통(100)의 전단에 압입되는 클러치(130);
    상기 클러치(130)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으로서, 내부로 와이어를 삽입시키는 와이어홀더(120);
    상기 클러치(130)의 일측단부를 슬라이딩 관통 결합시키며, 내측에 상기 척(150)을 조이는 조임단(161)이 형성되는 척 홀더(160);
    상기 클러치(130)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척 홀더(160)와 상기 가압통(100)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 작용하는 가압통 복원 스프링(140);
    상기 척 홀더(160)를 내측에 결합시키며, 상기 외부하우징(200)의 타측단부에 결합되는 원통체로서, 중심축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척 홀더(160)에 대접되는 내측부에는 척 확개챔버(291)가 형성되고 타측단부에는 팁 결합부(292)가 형성되는 캡(290);
    상기 팁 결합부(292)에 결합되며 단부에는 상기 캡 중심축과 축이 일치되는 와이어 홀(284)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 홀더(120)의 와이어가 인출되며, 상기 와이어 홀(284) 측면에는 외부 와이어 결합공(285)이 형성된 와이어 팁(281);
    상기 캡(290) 외주면에 결합되는 캡 베어링(300);
    상기 캡 베어링(300)에 결합되어 상기 캡(290)에 대하여 회동되는 베어링 서포터(310);
    상기 원통캠(210)에 결합되는 캠 종동절(240);
    상기 원통캠(210)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캠 종동절(240)의 스토퍼가 되는 후면마개(250);
    상기 캠 종동절(240)과 상기 후면마개(250) 사이에 삽입되는 캠 복원 스프링(230);
    일측단은 상기 캠 종동절(240)에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베어링 서포터(310)에 결합되는 반원형 탄성체로서, 상기 외부하우징(200)에 대칭 결합되는 한 쌍의 프레스부재(260);
    로 구성되어
    상기 스위치(220)로 와이어를 인출시키며, 외부 와이어를 상기 외부 와이어 결합공(285)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프레스 부재(260)를 누르면 상기 캡(290)이 회전되어 인출시키는 와이어와 외부 와이어를 꼬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봉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290)의 타측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팁(281)에 확개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와이어팁(281) 단부를 향하게 절곡된 나이프(283)가 형성된 컷팅 팁(282);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컷팅 팁(282)과 상기 와이어팁(281)을 내측이 삽입시키는 팁홀더(271);
    S자 형으로 형성되어 일측단은 상기 프레스 부재(260)와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프레스 부재(260)를 관통하여 상기 팁홀더(271)에 결합되는 컷팅 서포터(270);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프레스 부재(260)를 누르면 상기 팁홀더(271)가 상기 컷팅 서포터(27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커팅팁(282)의 나이프(283)가 상기 와이어팁(281) 단부의 와이어들을 컷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봉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단(161)은,
    상기 척 홀더(160) 내측에서 상기 척(150)에 밀착되는 조임링(162)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봉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단(161)은
    상기 척 홀더(160) 단부는 상기 척(150)의 머리에 밀착되는 직경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캡(290)의 척 확개챔버(291)는 상기 척(150)의 머리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시켜,
    상기 척(150)의 머리가 척 확개챔버(291)로 이동되면 확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봉합 장치.
KR1020190146598A 2019-11-15 2019-11-15 미세 봉합 장치 KR20210059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5642 WO2021095941A1 (ko) 2019-11-15 2019-11-15 미세 봉합 장치
KR1020190146598A KR20210059307A (ko) 2019-11-15 2019-11-15 미세 봉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598A KR20210059307A (ko) 2019-11-15 2019-11-15 미세 봉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307A true KR20210059307A (ko) 2021-05-25

Family

ID=75912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598A KR20210059307A (ko) 2019-11-15 2019-11-15 미세 봉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59307A (ko)
WO (1) WO202109594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386B1 (ko) 2012-04-05 2014-03-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부위 봉합용 니들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032B1 (ko) * 2011-08-11 2013-09-12 정경진 외과 수술용 장치
US9017347B2 (en) * 2011-12-22 2015-04-28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Suture clip deployment devices
US10143465B2 (en) * 2016-10-24 2018-12-04 ReViable Surgical, Inc. Laparoscopic suturing devices, needles, sutures, and drive systems
KR20180058923A (ko) *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이앰 복강경 수술 보조구
KR20190072852A (ko) * 2017-12-18 2019-06-26 육상수 수술용 자동봉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386B1 (ko) 2012-04-05 2014-03-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부위 봉합용 니들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5941A1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12363B1 (en) Surgical instrument for carrying out anastomosis with annular fastening means and fastening means for anastomosis
US8080018B2 (en) Disposable circumcision device
EP1450694B1 (en) Crimping and cutting device
US5626590A (en) Laparoscopic suturing technique and associated device
JP2722096B2 (ja) 組織を操作しかつ固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AU593581B2 (en) Surgical clip, applier, and method
US7846134B1 (en) Flexible walled cannula
EP0687446A2 (en) Surgical incision members for endoscopic suturing apparatus
KR19980702942A (ko) 변형 가능한 안내 렌즈 주입기
WO1989007912A1 (en) Low trauma suturing
JP7374997B2 (ja) 縫合針装置及び縫合糸の取り付け方法
EP3500185B1 (en) Ferrule for use with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uturing device
WO2019086608A1 (en) A tympanostomy tube and a placement device
KR20210059307A (ko) 미세 봉합 장치
JPH1085225A (ja) 先細り糸付手術用縫合針
US20220323223A1 (en) Furlow insertion device
KR102560579B1 (ko) 성형용 리프팅 부재
CN109984814B (zh) 一种固定组件
TWI735945B (zh) 骨科手術用器具
US11801068B2 (en) Sheathed cutting device
KR20220091008A (ko) 성형용 리프팅 부재
CN113271869A (zh) 穿孔机一体式缝合锚装置
KR20220091007A (ko) 성형용 리프팅 부재
JPH01232958A (ja) 微小物体の挿入器具
JP2021074403A (ja) 止血弁付y型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