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966A -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제어 방법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제어 방법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966A
KR20210058966A KR1020217012309A KR20217012309A KR20210058966A KR 20210058966 A KR20210058966 A KR 20210058966A KR 1020217012309 A KR1020217012309 A KR 1020217012309A KR 20217012309 A KR20217012309 A KR 20217012309A KR 20210058966 A KR20210058966 A KR 20210058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playback
screen
speed
multimedia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2176B1 (ko
Inventor
위쉔 주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58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제어 방법 및 단말기를 제공한다. 해당 방법은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을 포함한 단말기에 응용되고, 타깃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접힘 입력을 수신하고, 접힘 입력은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 사이의 폴딩 각도 변화를 트리거링하며;접힘 입력에 응답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며, 그중, 타깃 스크린은 제1 스크린 혹은 제2 스크린이고; 재생 파라미터는 재생 시점과/혹은 재생 속도이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제어 방법 및 단말기
본 발명은 통신기술 영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청구는 2018년 9월 26일 중국에서 제출한 중국 특허번호 No. 201811126022.7의 우선권을 주장하는바, 그 전부의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 청구에 포함되었다.
종래의 휴대폰 동영상 재생 제어의 방식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탐색바의 슬라이더를 드래그하거나 스크린을 드래그하는 방식, 또는 빨리감기와 되감기 기능을 통해 고정된 시간에 따라 제어한다.
하지만, 한 방면에서 통상의 관련 기술에서의 탐색바의 슬라이더를 드래그하는 방식은 슬라이더의 정지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슬라이더를 탐색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후, 스크린에서 손가락을 떼어 낼 때, 손가락의 피부와 휴대폰 스크린의 접촉은 하나의 점이 아닌 면이기에 손가락이 스크린에서 떼어진 후 접촉면의 변화로 인해 재생 시점이 변해버려, 조절 후의 재생 시점은 사용자가 탐색하고자 하는 재생 시점이 아닌 경우, 심지어 사용자가 탐색하고자 하는 재생 시점과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게다가 손가락으로 드래깅 조작을 할 때, 손가락에 의해 재생 화면이 가려질 수도 있다. 다른 한 방면에서, 고정된 시간에 따라 재생 시점을 조절하는 빨리감기와 되감기 기능은 제한성이 커서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없기에, 사용자가 원하는 재생 속도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일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제어 방법 및 단말기를 제공하여 관련 기술에서의 손가락으로 스크린을 터치하여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조절함으로 인해 재생 시점이 변경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실현된다.
제1방면, 일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이에 따른 단말기는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타깃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접힘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접힘 입력은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 사이의 폴딩 각도 변화를 트리거링하는 단계;
상기 접힘 입력에 응답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그중, 상기 타깃 스크린은 상기 제1 스크린 또는 상기 제2 스크린이고; 상기 재생 파라미터는 재생 시점과/혹은 재생 속도를 포함한다.
제2방면,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을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또한,
타깃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접힘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장치;
상기 접힘 입력에 응답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조절장치;를 포함하고,
그중, 상기 접힘 입력은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 사이의 폴딩 각도 변화를 트리거링하며;
상기 타깃 스크린은 상기 제1 스크린 혹은 상기 제2 스크린이며; 상기 재생 파라미터는 재생 시점과/혹은 재생 속도를 포함한다.
제3방면, 또한 일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방면의 상기 방법의 절차를 실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제어 방법은 타깃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접힘 입력(해당 접힘 입력은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 사이의 폴딩 각도 변화를 트리거링함)을 수신하는 것을 통해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파라미터(예컨대 재생 시점 혹은 재생 속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은 제1 스크린과/혹은 제2 스크린 사이의 폴딩 각도 변화를 트리거링하는 것을 통해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시점 혹은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기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하거나 단말기의 스크린을 드래그할 필요가 없이 동영상 재생의 빨리감기 혹은 되감기 등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 시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 시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 시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화면을 나타낸 약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화면을 나타낸 약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화면을 나타낸 약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화면을 나타낸 약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예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예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예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기술적 구성을 더욱 명확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뿐이지 전부 실시예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들이 본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창의적인 노력이 없이 도출해낸 기타 모든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 시트로서, 관련 기술에서의 손가락으로 스크린을 터치하는 것을 통해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조절함으로 인해 재생 시점이 변경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방법은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을 포함하는 단말기에 응용되며, 해당 방법은 아래 절차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단말기에 있는 동영상 파일을 열어 재생, 관람하려고 할 때, 동영상의 재생 속도 조절에 대한 수요가 있게 된다. 그중, 단말기는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폴더블 폰일 수 있다.
절차 102. 타깃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접힘 입력을 수신하고, 접힘 입력은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 사이의 폴딩 각도 변화를 트리거링한다.
절차 104. 접힘 입력에 응답하여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파라미터(예컨대 재생 시점과/혹은 재생 속도)를 조절한다. 그중, 타깃 스크린은 제1 스크린 혹은 제2 스크린이다.
이해해야 할 점은, 사용자가 단말기에 있는 동영상 파일을 이미 열고 재생시켰을 경우, 이때 사용자는 두 개의 스크린 중의 한 개 스크린(두 개의 스크린이 될 수도 있음)에 대하여 접힘 동작(즉 타깃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접힘 입력)을 실시함으로써 동영상의 재생 시점 혹은 속도를 조절한다.
이로써 알 수 있는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제어 방법은 타깃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접힘 입력(해당 접힘 입력은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 사이의 폴딩 각도 변화를 트리거링함)을 수신하는 것을 통해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파라미터(예컨대 재생 시점 혹은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방법은 제1 스크린과/혹은 제2 스크린 사이의 폴딩 각도 변화를 트리거링하는 것을 통해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시점 혹은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기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하거나 단말기의 스크린을 드래그할 필요가 없이 동영상 재생의 빨리감기 혹은 되감기 등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동영상을 관람할 때, 다른 한 스크린에 대한 접기 동작을 통해 재생 시점, 재생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제어가 더욱 정확하고 유연해지도록 하며, 조작 시 손가락에 의해 재생 화면이 가리어지는 것을 걱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중,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차 104에서, 접힘 입력에 응답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조작은 아래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절차 202. 접힘 입력의 접힘 방향과 폴딩 각도의 변화값을 획득한다.
그중, 접힘 방향은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 혹은 사용자를 등지는 방향이 될 수 있고, 또는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단말기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오른쪽 방향 혹은 왼쪽 방향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폴딩 각도는 접힘 방향에 따라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물론, 접힘 방향에 따른 폴딩 각도의 변화 추세는 사용자의 실제 사용 습관 혹은 기타 설정 규칙에 근거하여 설정을 할 수 있다.
절차 204. 접힘 방향에 근거하여 제1 조절 방식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왼쪽 방향으로 접힘 동작을 실시할 때, 제1 조절 방식은 되감기 조절이 될 수 있고, 사용자의 오른쪽 방향으로 접힘 동작을 실시할 때, 제1 조절 방식은 빨리감기 조절이 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접힘 동작을 실시할 때, 제1 조절 방식은 빨리감기 조절이 될 수 있고, 사용자를 등지는 방향으로 접힘 동작을 실시할 때, 제1 조절 방식은 되감기 조절이 될 수 있다.
절차 206. 제1 조절 방식과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을 조절한다.
이해해야 할 점은, 사용자가 타깃 스크린에 대하여 접힘 입력의 조작을 실시할 때, 우선 접힘 입력의 방향 및 폴딩 각도의 변화값을 획득하고, 접힘 방향에 근거하여 조절 방식(예컨대 빨리감기 아니면 되감기)을 결정함으로써 조절 방식 및 폴딩 각도 변화값에 근거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하거나 단말기의 스크린을 드래그할 필요가 없이 동영상 재생의 시점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조절 방식과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을 조절하는 조작은,
제1 조절 방식이 빨리감기 조절인 상황에서,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 빨리감기를 제어할 때, 그중, 빨리감기 시간의 장단은 폴딩 각도 변화값과 관련되며; 제1 조절 방식이 되감기 조절인 상황에서,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 되감기를 제어할 때, 그중, 되감기 시간의 장단은 폴딩 각도 변화값과 관련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제1 조절 방식이 빨리감기 혹은 되감기 조절인 상황에서, 사용자가 접힘 동작을 실시하기 시작할 때, 접힘 동작의 시작 위치를 기록하고, 스크린의 접힘 동작 전후의 각도를 계산하여 리프래시하며, 매회의 프레임 리프래시는 다시 리프래시한 후의 위치를 접힘 동작의 시작 위치로 하며,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간의 장단과 폴딩 각도에 근거하여 일정한 비례에 따라 탐색바를 앞으로 혹은 뒤로 이동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업데이터 프레임 레이트는 30FPS이고, 1°씩 접힐 때 탐색바는 1%씩 앞으로 혹은 뒤로 이동 가능함).
이해해야 할 점은, 만약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 사이의 폴딩 각도가 작아지면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을 뒤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며; 만약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 사이의 폴딩 각도가 커지면,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을 앞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한정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스크린이 서로 접근하면서 접혀질 때,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을 뒤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이와 반대인 경우, 두 개의 스크린이 서로 멀어지면서 접혀질 때,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을 앞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접힘 방향이 재생 시점의 빨리감기와 매칭되는지 아니면 재생 시점의 되감기와 매칭되는지는 실제 수요(예를 들어, 사용자의 습관 등)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한정한 상황에만 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두 개의 스크린이 서로 접근하면서 접혀질 때,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을 앞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두 개의 스크린이 서로 멀어지면서 접혀질 때,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을 뒤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은 제1 스크린과/혹은 제2 스크린에 표시되는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에서 재생되는 파일이고,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은 멀티미디어 재생 시점을 조절하는 탐색바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조절 방식과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을 조절함에 있어서,
제1 조절 방식에 따라,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탐색바 상의 슬라이더의 표시 위치를 업데이트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시점을 뒤로 이동시키려고 할 때, 두 개의 스크린을 서로 접근하도록 접혀, 재생 탐색바(혹은 슬라이더 등)를 뒤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접힘 동작을 실시하기 시작할 때, 접힘 동작의 시작 위치를 기록하는 것을 통해, 스크린의 접힘 동작 전후의 각도를 계산하여 리프래시할 수 있으며, 매회의 프레임 리프래시는 다시 리프래시한 후의 위치를 접힘 동작의 시작 위치로 하며,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간의 장단과 폴딩 각도에 근거하여 일정한 비례에 따라 탐색바를 뒤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데이터 프레임 레이트는 30FPS이고, 1°씩 접힐 때 탐색바는 1%씩 뒤로 이동하거나 매회 2°씩 접힐 때, 탐색바는 2%씩 뒤로 이동하거나, 또는 매회 3°씩 접힐 때, 탐색바는 3%씩 뒤로 이동하거나, 또는 매회 4°씩 접힐 때, 탐색바는 매회 4%씩 뒤로 이동하거나, 또는 매회 5°씩 접힐 때, 탐색바는 매회 5%씩 뒤로 이동하는 등 방법이 있으며, 여기서 일일이 설명하지 아니한다.
이와 같이, 재생 시점을 앞으로 이동시키려고 할 때, 두 개의 스크린을 서로 멀리하도록 접혀, 재생 탐색바(혹은 슬라이더)를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접힘 동작을 실시하기 시작할 때, 접힘 동작의 시작 위치를 기록하는 것을 통해, 스크린의 접힘 동작 전후의 각도를 계산하여 리프래시할 수 있으며, 매회의 프레임 리프래시는 다시 리프래시한 후의 위치를 접힘 동작의 시작 위치로 하며,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간의 장단과 폴딩 각도에 근거하여 일정한 비례에 따라 탐색바를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데이터 프레임 레이트는 30FPS이고, 1°씩 접힐 때 탐색바는 1%씩 앞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알 수 있는바, 상기 임의의 한 항의 실시예의 방법은 제1 스크린과/혹은 제2 스크린의 접힘을 통해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시점의 빨리감기 혹은 되감기를 실현할 수 있기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하거나 단말기의 스크린을 드래그할 필요가 없게 되며, 따라서, 관련 기술에서의 손가락으로 스크린을 터치하여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조절함으로 인해 재생 시점이 변경되는 문제로 인하여 최종 재생 시점이 사용자가 탐색하고자 하는 재생 시점이 아니며, 심지어 사용자가 탐색하고자 하는 재생 시점과 차이가 많이 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사용자는 동영상을 관람할 때, 두 스크린 중의 하나에 대하여 접힘 동작을 실시하는 것을 통해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탐색하고자 하는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련 기술에서의 고정 시간에 따른 빨리감기와 되감기를 통해 재생 속도를 제어함으로 인해 고정 시간에 따른 빨리감기와 되감기의 제한성이 커서 유연 조절이 안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절차 104 중의 접힘 입력에 응답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조작에 있어서 또한 하기와 같은 절차가 포함된다.
절차 302, 접힘 입력의 접힘 방향, 접힘 속도와 폴딩 각도 변화값을 획득한다.
그중, 접힘 방향은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 혹은 사용자를 등지는 방향이 될 수 있고, 또는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단말기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오른쪽 방향 혹은 왼쪽 방향 등이 될 수 있다. 접힘 속도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 시, 제1 스크린과/혹은 제2 스크린을 접을 때의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폴딩 각도는 접힘 방향에 따라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물론, 접힘 방향에 따른 폴딩 각도의 변화 추세는 사용자의 실제 사용 습관 혹은 기타 설정 규칙에 근거하여 설정을 할 수 있다.
절차 304, 접힘 방향에 근거하여 제2 조절 방식을 확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왼쪽 방향으로 접힘 동작을 실시할 때, 제2 조절 방식은 되감기 조절(혹은 제1 조절 방식과 서로 구분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2 조절 방식은 되감기 재생 조절이라고도 부를 수 있음)이 될 수 있고, 사용자의 오른쪽 방향으로 접힘 동작을 실시할 때, 제2 조절 방식은 빨리감기 조절(혹은 빨리감기 재생 조절이라고도 부를 수 있음)이 될 수 있다.
절차 306, 제2 조절 방식에 따라, 접힘 속도와 폴딩 각도 변화값에 근거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속도를 조절한다.
이해해야 할 점은, 사용자가 타깃 스크린에 대하여 접힘 입력의 조작을 실시할 때, 우선 접힘 입력의 방향, 접힘 속도 및 폴딩 각도의 변화값을 획득하고, 접힘 방향에 근거하여 조절 방식(예컨대 빨리감기 아니면 되감기)을 결정함으로써 제2 조절 방식, 접힘 속도 및 폴딩 각도 변화값에 근거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하거나 단말기의 스크린을 드래그할 필요가 없이 동영상 재생의 시점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절차 306 중의 제2 조절 방식에 따라, 접힘 속도와 폴딩 각도 변화값에 근거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조작은,
제2 조절 방식이 빨리감기 조절인 상황에서, 접힘 속도와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 빨리감기를 제어할 때, 그중, 빨리감기 속도는 접힘 속도와 관련되고, 빨리감기 시간의 장단은 폴딩 각도 변화값과 관련되며; 제2 조절 방식이 되감기 조절인 상황에서, 접힘 속도와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 되감기를 제어할 때, 그중, 되감기 속도는 접힘 속도와 관련되고, 되감기 시간의 장단은 폴딩 각도 변화값과 관련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점은, 되감기 재생 필요 시, 두 개의 스크린을 서로 접근하도록 접힌 후 다시 두 개의 스크린을 원 위치(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시점을 조절하기 전의 위치 혹은 두 개의 스크린을 서로 접근하도록 접힘 동작을 하지 않았을 때의 위치)에 복귀시키면 동영상은 배속 되감기 재생을 실행하게 된다.
접힘 혹은 폴딩 조작의 속도에 근거하여 상이한 배속(예컨대 0.5배, 2배, 4배 등)의 되감기 재생을 실행한다. 그중, 시스템은 폴딩 전의 위치를 기록하고 폴딩이 복원된 후 폴딩 시간을 계산하며, 시간이 짧을수록 속도는 더욱 빠르며, 복수의 프리셋 역치에 근거하여 상이한 되감기 배수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alue1 이상은 0.5배, 속도가 value1과 value2 사이의 속도일 경우에는 2배속, value2 이상은 4배속이며, 뒤이어 시스템은 획득한 값에 근거하여 배속 되감기 재생을 실현하게 된다. 그중, value1과 value2는 모두 사전에 설정한 프리셋 역치이다.
이와 같이, 빨리감기 재생 필요 시, 두 개의 스크린을 서로 멀리하도록 접힌 후 다시 두 개의 스크린을 원 위치에 복귀시키면 동영상은 배속 빨리감기 재생을 실행하게 된다. 그중, 접힘 혹은 폴딩 조작의 속도에 근거하여 상이한 배속(예컨대 0.5배, 2배, 4배 등)의 빨리감기 재생을 실행한다. 그중, 시스템은 폴딩 전의 위치를 기록하고 폴딩이 복원된 후 폴딩 시간을 계산하며, 시간이 짧을수록 속도는 더욱 빠르며, 복수의 프리셋 역치에 근거하여 상이한 되감기 배수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alue1 이상은 0.5배, 속도가 value1과 value2 사이의 속도일 경우에는 2배속, value2 이상은 4배속이며, 뒤이어 시스템은 획득한 값에 근거하여 배속 되감기 재생을 실현하게 된다.
이해해야 할 점은, 사용자의 습관에 근거하여 접힘 방향 혹은 폴딩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 방식에서 안으로 폴딩(즉 서로 접근하면서 폴딩)하면 되감기 조절인 것을 밖으로 폴딩(즉 서로 멀리하면서 폴딩)하면 되감기 조절이 되는 것으로 변경하고, 밖으로 폴딩하면 빨리감기 조절인 것을 안으로 폴딩하면 빨리감기 조절이 되는 것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로써 알 수 있는바,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폴딩 속도에 근거하여 동영상에 대한 상이한 배속의 빨리감기, 되감기를 실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근거하여 폴딩 방향을 선택할 수도 있기에, 재생 제어 조작이 더욱 유연해지고, 사용자의 수요를 더욱 잘 만족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에 대한 상이한 폴딩 속도를 통해 동영상 재생 시의 상이한 배속의 빨리감기와 되감기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진일보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또,
만약 프리셋 시간 범위 내에서 제1 스크린과/혹은 제2 스크린의 폴딩 조작이 감지되지 않았다면, 조절한 후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고; 혹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응답하여 조절한 후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크린에 대한 폴딩 조작을 정지한 후, 탐색바의 슬라이더는 이동을 정지하고, 시스템은 일정한 시간 내에서 슬라이딩 동작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동영상을 자동으로 이어서 재생시킨다. 혹은, 사용자가 재생 버튼을 클릭하여 동영상을 이어서 재생시킬 수 있다.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시점을 조절하는 방법의 실현 과정은 다음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절차 1, 사용자가 동영상을 열고 재생한다. 사용자는 폴더블 폰을 이용하여 모 동영상을 열고 재생시켜 관람할 때, 도 4에 도시된 동영상 화면을 참조할 수 있다.
절차 2,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의 시스템이 그중 한 개의 스크린에 의해 동영상이 재생되는 것을 감지할 경우, 다른 한 개의 스크린에 폴딩 조작이 있을 시, 동영상을 자동으로 일시 정지시키며, 이때 사용자는 스크린의 폴딩 조작을 실시하여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절차 3, 사용자는 스크린에 대한 폴딩 조작을 통해 재생 시점을 조절한다.
재생 시점 되감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을 안으로(두 개의 스크린이 서로 접근함) 접힐 때, 탐색바의 슬라이더 401은 뒤로 이동한다. 사용자가 접힘 동작을 실시하기 시작할 때, 접힘 동작의 시작 위치를 기록하고, 스크린의 접힘 동작 전후의 각도를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리프래시하며, 매회의 프레임 업데이트는 다시 리프래시한 후의 위치를 접힘 동작의 시작 위치로 하며,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간의 장단과 폴딩 각도에 근거하여 일정한 비례에 따라 탐색바를 뒤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데이터 프레임 레이트는 30FPS이고, 1°씩 접힐 때 탐색바는 1%씩 뒤로 이동한다.
재생 시점 빨리감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을 밖으로(두 개의 스크린이 서로 멀리함)접힐 때, 탐색바의 슬라이더 401은 앞으로 이동한다. 사용자가 접힘 동작을 실시하기 시작할 때, 접힘 동작의 시작 위치를 기록하고, 스크린의 접힘 동작 전후의 각도를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리프래시하며, 매회의 프레임 업데이트는 다시 리프래시한 후의 위치를 접힘 동작의 시작 위치로 하며,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간의 장단과 폴딩 각도에 근거하여 일정한 비례에 따라 탐색바를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데이터 프레임 레이트는 30FPS이고, 1°씩 접힐 때 탐색바는 1%씩 앞으로 이동한다.
절차 4, 동영상 재생에 대한 제어를 완료하고, 동영상을 이어서 재생시킨다. 사용자가 스크린에 대한 폴딩 동작을 정지하면 탐색바의 슬라이더 401은 이동을 정지하며, 시스템은 일정한 시간 내에서 슬라이딩 동작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동영상을 자동으로 이어서 재생시킨다. 혹은, 사용자가 재생 버튼을 클릭하여 동영상을 이어서 재생시킨다.
이로써 알 수 있는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동영상을 관람 시, 그중 한 개의 스크린에 대하여 폴딩 조작을 실시하는 것을 통해 동영상의 재생 프로그레스를시점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탐색하고자 하는 재생 시점을 얻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동영상을 관람할 때, 다른 한 개의 스크린에 대한 접기 동작을 통해 재생 시점, 재생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제어가 더욱 정확하고 유연해지도록 하며, 조작 시 손가락에 의해 재생 화면이 가리어지는 것을 걱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다른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본 실시예는 스크린의 폴딩 접힘 속도틀 통해 되감기의 속도 혹은 빨리감기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구체적인 실현 과정은 다음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사용자가 동영상을 열고 재생한다. 사용자는 폴더블 폰을 이용하여 모 동영상을 열고 재생시켜 관람한다.
다음, 시스템이 그중 한 개의 스크린에 의해 동영상이 재생되는 것을 감지할 경우, 다른 한 개의 스크린에 폴딩 조작이 있을 시, 동영상을 자동으로 일시 정지시키며, 동시에 팝업 메뉴를 띄워 사용자로 하여금 스크린 폴딩 시의 조작 기능을 선택하도록 하며, 이때, 사용자는 스크린에 대한 폴딩 조작을 통해 재생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그중, 조작 기능을 선택하고, 사용자는 스크린에 대한 폴딩 조작을 통해 재생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재생 시점에 대하여 조절하는 조작은 상기 구체적인 실시예의 상기 실현 과정을 참조할 수 있기에,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하지 아니한다.
되감기 조작에 관하여: 스크린을 안(서로 접근)으로 접힌 후 다시 원위치(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시점을 조절하기 전의 위치 혹은 두 개의 스크린을 서로 접근하도록 접힘 동작을 하지 않았을 때의 위치)에 복귀시키면 동영상은 배속 되감기 재생을 실행하게 되며, 게다가 접힘(혹은 탐색바 이동) 속도에 근거하여 상이한 배속(예컨대 0.5배, 2배, 4배 등)의 되감기 재생을 실행한다.
그중, 단말기의 시스템은 폴딩 전의 위치를 기록하고 폴딩이 복원된 후 폴딩 시간을 계산하며, 시간이 짧을수록 속도는 더욱 빠르며, 복수의 프리셋 역치에 근거하여 상이한 되감기 배수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alue1 이상은 0.5배, 속도가 value1과 value2 사이의 속도일 경우에는 2배속, value2 이상은 4배속이며, 뒤이어 시스템은 획득한 값에 근거하여 배속 되감기 재생을 실현하게 된다.
빨리감기 조작에 관하여: 스크린을 밖(서로 접근)으로 접힌 후 다시 원위치(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시점을 조절하기 전의 위치 혹은 두 개의 스크린을 서로 접근하도록 접힘 동작을 하지 않았을 때의 위치)에 복귀시키면 동영상은 배속 빨리감기 재생을 실행하게 되며, 게다가 접힘(혹은 탐색바 이동) 속도에 근거하여 상이한 배속(예컨대 0.5배, 2배, 4배 등)의 빨리감기 재생을 실행한다.
그중, 단말기의 시스템은 폴딩 전의 위치를 기록하고 폴딩이 복원된 후 폴딩 시간을 계산하며, 시간이 짧을수록 속도는 더욱 빠르며, 복수의 프리셋 역치에 근거하여 상이한 빨리감기 배수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alue1 이상은 0.5배, 속도가 value1과 value2 사이의 속도일 경우에는 2배속, value2 이상은 4배속이며, 뒤이어 시스템은 획득한 값에 근거하여 배속 빨리감기 재생을 실현하게 된다.
상기 방법의 실현 과정에서, 사용자의 습관에 근거하여 접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의 방식에서 안으로 폴딩하면 되감기 조절인 것을 밖으로 폴딩하면 되감기 조절이 되는 것으로 변경하고, 밖으로 폴딩하면 빨리감기 조절인 것을 안으로 폴딩하면 빨리감기 조절이 되는 것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 다음, 동영상 재생에 대한 제어를 완료하고, 동영상을 이어서 재생시킨다. 즉 사용자가 스크린에 대한 폴딩 동작을 정지한 후, 정상 재생 속도로 회복시켜 동영상을 정상 속도로 재생시킬 수 있다.
이로써 알 수 있는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구체적인 실시예의 효과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힘 속도에 근거하여 동영상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배속의 빨리감기 혹은 되감기 재생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외,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접힘 방향을 선택할 수도 있게 됨으로써, 재생 제어 조작이 더욱 유연해지고, 사용자의 수요를 더욱 잘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동영상을 관람 시, 한 개의 스크린에 대한 접힘 조작을 통해 재생 시점과 재생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제어가 더욱 정확하고 유연해지도록 하며, 조작 시 손가락에 의해 재생 화면이 가리어지는 것을 걱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크린에 대한 상이한 접힘 속도를 통해 동영상 재생 시에 상이한 속도로 빨리감기와 되감기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며, 도 5와 도 6은 모두 왼쪽 스크린에서 동영상을 재생시키고 오른쪽 스크린을 통해 조작하는 방법이지만, 오른쪽 스크린에서 동영상을 재생시키고 왼쪽 스크린을 통해 조작하는 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임의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멀티미디어 파일은 오디오 파일이 될 수 있고, 동영상 파일 등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을 포함한 일 단말기를 제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또, 타깃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접힘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장치 802; 상기 접힘 입력에 응답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조절장치 804;를 포함하고, 그중, 상기 접힘 입력은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 사이의 폴딩 각도 변화를 트리거링하며; 상기 타깃 스크린은 상기 제1 스크린 혹은 상기 제2 스크린이며; 상기 재생 파라미터는 재생 시점과/혹은 재생 속도를 포함한다.
단말기는 수신장치 802를 통해 타깃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접힘 입력(해당 접힘 입력은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 사이의 폴딩 각도 변화를 트리거링함)을 수신하고, 조절장치 804를 통해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파라미터(예컨대 재생 시점 혹은 재생 속도)를 조절한다. 이리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제1 스크린과/혹은 제2 스크린에 대한 접힘 조작을 통해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시점 혹은 재생 속도에 대한 조절을 실현할 수 있기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하거나 단말기의 스크린을 드래그할 필요가 없이 동영상 재생의 빨리감기 혹은 되감기 등 기능을 실현할 수 있게 되어, 관련 기술에서의 손가락으로 스크린을 터치하는 것을 통해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조절함으로 인해 재생 시점이 변경되는 문제로 인하여 최종 재생 시점이 사용자가 탐색하고자 하는 재생 시점이 아니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또, 접힘 입력의 접힘 방향과 폴딩 각도의 변화값을 획득하는 제1 획득 장치 806을 포함한다. 조절장치 804는, 굽힘 방향에 근거하여 제1 조절 방식을 결정하고, 제1 조절 방식과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을 조절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중, 조절장치 804는 또, 제1 조절 방식이 빨리감기 조절인 상황에서,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 빨리감기를 제어할 때, 그중, 빨리감기 시간의 장단은 폴딩 각도 변화값과 관련되며; 제1 조절 방식이 되감기 조절인 상황에서,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 되감기를 제어할 때, 그중, 되감기 시간의 장단은 폴딩 각도 변화값과 관련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점은, 사용자가 타깃 스크린에 대하여 접힘 입력의 조작을 실시할 때, 제1 획득 장치 806을 통해 접힘 입력의 방향 및 폴딩 각도의 변화값을 획득하고, 조절장치 804를 통해 접힘 방향에 근거하여 조절 방식(예컨대 빨리감기 아니면 되감기)을 결정함으로써, 조절 방식 및 폴딩 각도 변화값에 근거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하거나 단말기의 스크린을 드래그할 필요가 없이 동영상 재생의 시점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임의의 일 실시예에서,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은 제1 스크린과/혹은 제2 스크린에 표시되는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에서 재생되는 파일이고,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은 멀티미디어 재생 시점을 조절하는 탐색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조절장치 804는 또,
제1 조절 방식에 따라, 폴딩 각도 변화값에 근거하여 탐색바 상의 슬라이더의 표시 위치를 업데이트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을 뒤로 이동시킬 때, 재생 탐색바(혹은 슬라이더 등)는 뒤로 이동된다.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을 앞으로 이동시킬 때, 재생 탐색바(혹은 슬라이더)는 앞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탐색바의 표시 위치를 통해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파라미터를 조절할 때, 탐색바의 표시 위치는 재생 파라미터를 조절한 후의 위치와 서로 매칭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또, 접힘 입력에 응답하여, 접힘 입력의 굽힘 방향, 굽힘 속도와 폴딩 각도 변화값을 획득하는 제2 획득 장치 808을 포함한다. 조절장치 804는 또, 접힘 방향에 근거하여 제2 조절 방식을 확정하고, 제2 조절 방식에 근거하여, 접힘 속도와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타깃 스크린에 대하여 접힘 입력의 조작을 실시할 때, 제2 획득 장치 808을 통해 접힘 입력의 방향 및 폴딩 각도의 변화값을 획득하고, 조절장치 804를 통해 접힘 방향에 근거하여 조절 방식(예컨대 빨리감기 아니면 되감기)을 결정함으로써, 제2 조절 방식, 굽힘 속도 및 폴딩 각도 변화값에 근거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하거나 단말기의 스크린을 드래그할 필요가 없이 동영상 재생의 속도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조절장치 804는 또, 제2 조절 방식이 빨리감기 조절인 상황에서, 굽힘 속도와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 빨리감기를 제어할 때, 그중, 빨리감기 시간의 장단은 폴딩 각도 변화값과 관련되며; 제2 조절 방식이 되감기 조절인 상황에서, 굽힘 속도와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되감기를 제어할 때, 그중, 되감기 시간의 장단은 폴딩 각도 변화값과 관련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알 수 있는바,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폴딩 속도에 근거하여 동영상에 대한 상이한 배속의 빨리감기, 되감기를 실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근거하여 폴딩 방향을 선택할 수도 있기에, 재생 제어 조작이 더욱 유연해지고, 사용자의 수요를 더욱 잘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 임의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는 또한, 만약 프리셋 시간 범위 내에서 제1 스크린과/혹은 제2 스크린의 폴딩 조작이 감지되지 않았다면, 조절한 후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고; 혹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응답하여 조절한 후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는 재생장치 8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크린에 대한 폴딩 조작을 정지한 후, 탐색바의 슬라이더는 이동을 정지하고, 재생장치 810은 시스템이 일정한 시간 내에서 슬라이딩 동작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동영상을 자동으로 이어서 재생시킨다. 혹은, 사용자가 재생 버튼을 클릭하여 동영상을 이어서 재생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기 1000은 무선주파수 장치 1001, 네트워크 모듈 1002, 오디오 출력 장치 1003, 입력 장치 1004, 센서 1005, 디스플레이 장치 1006, 사용자 입력 장치 1007, 인터페이스 장치 1008, 메모리 1009, 프로세서 1010 및 전원 1011 등 부품을 포함하되 이에 한하지 않는다. 본 분야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수 있다시피, 도 10에 도시된 단말기의 구조는 단말기에 대한 한정으로 구성되지 않으며, 단말기는 도시에 비해 더욱 많거나 더욱 적은 부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일부 부품의 조합이 될 수 있으며, 또는 부동한 부품 레이아웃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차량탑재형 단말기, 웨어러블 장치 및 계보기 등을 포함하되 이에 한하지 않는다.
그중, 프로세서 1010은 이하 방법을 실행한다:
타깃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접힘 입력을 수신하고, 접힘 입력은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 사이의 폴딩 각도 변화를 트리거링한다;
접힘 입력에 응답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파라미터를 조절한다;
그중, 타깃 스크린은 제1 스크린 혹은 제2 스크린이고; 재생 파라미터는 재생 시점과/혹은 재생 속도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제어 방법은 타깃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접힘 입력(해당 접힘 입력은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 사이의 폴딩 각도 변화를 트리거링함)을 수신하는 것을 통해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파라미터(예컨대 재생 시점 혹은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방법은 제1 스크린과/혹은 제2 스크린 사이의 폴딩 각도 변화를 트리거링하는 것을 통해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시점 혹은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기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하거나 단말기의 스크린을 드래그할 필요가 없이 동영상 재생의 빨리감기 혹은 되감기 등 기능을 실현할 수 있게 되어, 관련 기술에서의 손가락으로 스크린을 터치하는 것을 통해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조절함으로 인해 재생 시점이 변경되는 문제로 인하여 최종 재생 시점이 사용자가 탐색하고자 하는 재생 시점이 아니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해해야 할 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주파수 장치 1001은 메시지 송수신 혹은 통화 과정에서 신호의 수신과 송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하향 데이터를 프로세서 1010에 중계 전송하여 처리하는 동시에 상향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통상적으로, 무선주파수 장치 1001에는 안테나, 최소한 한 개의 증폭기, 송수신기, 연결기, 저소음 증폭기, 듀플렉스 등을 포함하되 한하지 아니한다. 그외, 무선주파수 장치 1001는 무선통신시스템과 네트워크 및 기타 장치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다.
단말기는 네트워크 모듈1002를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대역폭 인터넷 접근을 제공하여, 사용자를 도와 이메일을 송수신하고, 웹사이트를 열람하며, 스트림 미디어를 접근하는 등을 처리한다.
오디오 출력 장치 1003은 무선주파수 장치 1001 또는 네트워크 모듈 1002가 수신하거나 또는 메모리 10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전환하여 소리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장치 1003은 단말기 1000 실행의 특정 기능과 관련한 음성 출력(예컨대, 호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음성 출력 장치 1003에는 스피커, 버저 및 수화기 등이 포함된다.
입력 장치 1004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입력 장치 1004에는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10041과 마이크로폰 10042가 포함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 10041은 이미지 캡처 장치(예: 카메라)에서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얻은 스틸 사진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영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장치 1006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 100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 1009 (또는 다른 저장 매체)에 저장하거나 무선 주파수 장치 1001 또는 네트워크 모듈 1002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10042는 소리를 수신하고 그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무선 주파수 장치 1001을 통해 전화 통화 모드에서 이동 통신 네트워크 장비로 전송될 수 있는 포맷으로 전환 출력할 수 있다.
단말기 10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1005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의 예시로는 광학 센서, 모션 센서 및 기타 센서가 있다. 특히, 광학 센서에는 주변 조도 센서(Ambient Light Sensor) 및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가 포함될 수 있다. 주변 조도 센서는 주변 조도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 10061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단말기 1000이 귀 가까이 이동할 때 근접 센서가 디스플레이 패널 10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가속도계 센서는 동작 센서의 일종으로 모든 방향(보통 3축)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휴대전화가 정지 상태일 때 중력의 크기와 중력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진동 인식(보행계 및 두드리기)과 관련된 단말기의 자세 인식(예: 세로와 가로 사이의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보정)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센서 1005에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자이로미터,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그중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 발사/수신을 통해 물체와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바, 본 명세서에 자세한 내용은 설명하지 않겠다.
디스플레이 장치 1006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1006에는 디스플레이 패널 10061이 포함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 1006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 1007은 입력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주요 신호 입력을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입력 장치 1007에는 터치 패널 10071 및 기타 입력 장치 10072가 포함될 수 있다. 터치 패널 10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지칭하며, 터치 패널 10071 위 또는 부근의 터치 조작(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 패널 10071 위 또는 터치 패널 10071 근처에서 조작하거나 스타일러스와 같은 적절한 물체나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 10071에는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제어 장치 두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그중,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향을 감지하고, 터치 조작으로 전달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해당 신호를 터치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 터치 제어 장치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터치 정보를 점 좌표로 변환하고, 점 좌표를 프로세서 1010에 전송하며 프로세서 1010에서 보낸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터치 패널 10071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저항성, 정전성, 적외선 또는 표면 음향파 터치 패널과 같은 것이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 1007은 터치 패널 10071 외에도 기타 입력 장치 10072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특히, 기타 입력 장치 10072에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버튼(예: 볼륨 조절 버튼 또는 전원 켜기/끄기 버튼), 트랙볼, 마우스, 조이스틱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바 본 명세서에 자세한 내용은 설명하지 않겠다.
또한 터치 패널 10071에는 디스플레이 패널 10061이 포함될 수 있다. 터치 패널 10071이 패널 위 또는 근처에서 터치 작동을 감지하면 해당 터치 작동을 프로세서 1010으로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 유형을 결정 후 프로세서 1010은 터치 이벤트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 10061에 해당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10에서 터치 패널 10071과 디스플레이 패널 10061은 두 개의 독립 부품으로 단말기의 입출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 10071과 디스플레이 패널 10061을 통합하여 단말기의 입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장치 1008은 외부 장치와 단말기 1000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에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 공급 장치(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포트, 식별 모듈과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 100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 데이터 정보 또는 전원)을 수신하여 단말기 1000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부품에 수신한 입력을 전송하도록 구성하거나, 단말기 1000과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메모리 10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메모리 1009에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중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에 필요한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에 필요한 프로그램(예: 오디오 재생 기능 및 이미지 재생 기능) 등이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휴대 전화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예: 오디오 데이터 및 전화 번호부)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1009는 고속 임의 접근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최소 하나의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다른 휘발성 고체 상태 저장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010은 단말기의 제어 센터이며,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라인을 사용하여 단말기의 모든 구성 요소에 연결되며, 메모리 100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운영 또는 실행하고 메모리 100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여 단말기에 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프로세서 1010에는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프로세서 1010에 통합할 수 있다. 그중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 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물론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 10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단말기 1000에는 모든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1011 (예: 배터리)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원 1011을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 1010에 논리적 연결이 가능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전력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충전관리, 방전관리, 전력소비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기 1000에는 표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이 포함되어 있는 바, 본 명세서에 자세한 내용은 설명하지 않겠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프로세서 1010, 메모리 1009, 메모리 1009에 저장되는 동시에 상기 프로세서 1010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세스를 포함한 일 단말기를 제공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 10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도 1에 도시된 방법의 실시예의 각 과정을 실현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에 도달할 수 있는 바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추가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른 한가지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를 추가로 제공하고, 상기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도 1에 도시된 방법의 실시예의 각 과정을 실현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에 도달할 수 있는바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추가로 설명하지 않는다. 그중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에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임의 접근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 등이 포함된다.
본 영역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방법, 시스템 혹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완전 하드웨어 실시예, 완전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결부한 실시예의 형식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컴퓨터 가용 프로그램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자기 디스크 장치, CD-ROM, 광학 기억 장치 등을 포함하되 이에 한하지 않음) 상에서 실시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식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그 파생 용어는 제한없이 포함한다는 의미인 바 일련의 요소가 포함된 프로세스, 방법, 상품, 또는 장비에는 해당 구성 요소뿐만 아니라 명시되지 않은 다른 구성 요소도 포함되고, 더 나아가 이런 프로세스, 방법, 상품, 장비에 내제된 구성 요소도 포함된다. 더 많은 제한이 없는 상황 하에서, "... 을(를) 포함한다" 앞에 오는 구성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상품 또는 장치에 동일한 다른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영역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방법, 시스템 혹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완전 하드웨어 실시예, 완전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결부한 실시예의 형식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컴퓨터 가용 프로그램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자기 디스크 장치, CD-ROM, 광학 기억 장치 등을 포함하되 이에 한하지 않음) 상에서 실시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식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함이 아닌바 이 분야에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자들은 본 발명의 원리와 청구항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많은 방식을 개발할 수 있으며, 이런 모든 방식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4)

  1.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을 포함한 단말기에 응용되며,
    타깃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접힘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접힘 입력은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 사이의 폴딩 각도 변화를 트리거링하는 단계;
    상기 접힘 입력에 응답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깃 스크린은 상기 제1 스크린 또는 상기 제2 스크린이고; 상기 재생 파라미터는 재생 시점과/혹은 재생 속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힘 입력에 응답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파라미터를 조절함에 있어서,
    상기 접힘 입력의 접힘 방향과 폴딩 각도 변화값을 획득하고;
    상기 접힘 방향에 근거하여, 제1 조절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조절 방식과 폴딩 각도 변화값에 근거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제어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 방식과 폴딩 각도 변화값에 근거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속도를 조절함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 방식이 빨리감기 조절인 상황에서, 상기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상기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 빨리감기를 제어하되, 빨리감기 시간의 장단은 상기 폴딩 각도 변화값과 관련되며;
    상기 제1 조절 방식이 되감기 조절인 상황에서, 상기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상기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 되감기를 제어하되, 되감기 시간의 장단은 상기 폴딩 각도 변화값과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제어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은 상기 제1 스크린과/혹은 제2 스크린에 표시되는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에서 재생되는 파일이고,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은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시점을 조절하는 탐색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절 방식과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속도를 조절함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 방식에 따라, 상기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상기 탐색바 상의 슬라이더의 표시 위치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제어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힘 입력에 응답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파라미터를 조절함에 있어서,
    상기 접힘 입력의 접힘 방향, 접힘 속도와 폴딩 각도 변화값을 획득하고;
    상기 접힘 방향에 근거하여 제2 조절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조절 방식에 따라, 상기 접힘 속도와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제어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절 방식에 따라, 상기 접힘 속도와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속도를 조절함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절 방식이 빨리감기 조절인 상황에서, 상기 접힘 속도와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상기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 빨리감기를 제어하되, 빨리감기 속도는 상기 접힘 속도와 관련되고, 빨리감기 시간의 장단은 상기 폴딩 각도 변화값과 관련되며;
    상기 제2 조절 방식이 되감기 조절인 상황에서, 상기 접힘 속도와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상기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 되감기를 제어하되, 되감기 속도는 상기 접힘 속도와 관련되고, 되감기 시간의 장단은 상기 폴딩 각도 변화값과 관련되는; 것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제어 방법.
  7. 제1 스크린과 제2 스크린;
    타깃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접힘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장치;
    상기 접힘 입력에 응답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조절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접힘 입력은 상기 제1 스크린과 상기 제2 스크린 사이의 폴딩 각도 변화를 트리거링하며;
    상기 타깃 스크린은 상기 제1 스크린 혹은 상기 제2 스크린이며; 상기 재생 파라미터는 재생 시점과/혹은 재생 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접힘 입력의 접힘 방향과 폴딩 각도의 변화값을 획득하는 제1 획득 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굽힘 방향에 근거하여 제1 조절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조절 방식과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제1 조절 방식이 빨리감기 조절인 상황에서, 상기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상기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 빨리감기를 제어하되, 빨리감기 시간의 장단은 상기 폴딩 각도 변화값과 관련되며;
    상기 제1 조절 방식이 되감기 조절인 상황에서, 상기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상기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 되감기를 제어하되, 되감기 시간의 장단은 상기 폴딩 각도 변화값과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은 상기 제1 스크린과/혹은 제2 스크린에 표시되는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에서 재생되는 파일이고,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은 상기 멀티미디어 재생 시점을 조절하는 탐색바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제1 조절 방식에 따라, 상기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상기 탐색바 상의 슬라이더의 표시 위치를 업데이트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접힘 입력에 응답하여, 접힘 입력의 굽힘 방향, 굽힘 속도와 폴딩 각도 변화값을 획득하는 제2 획득 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접힘 방향에 근거하여 제2 조절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조절 방식에 따라, 상기 접힘 속도와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제2 조절 방식이 빨리감기 조절인 상황에서, 상기 접힘 속도와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상기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 빨리감기를 제어하되 상기 빨리감기 속도는 상기 접힘 속도와 관련되고, 빨리감기 시간의 장단은 상기 폴딩 각도 변화값과 정적 상관이 되며;
    상기 제2 조절 방식이 되감기 조절인 상황에서, 상기 접힘 속도와 폴딩 각도 변화값에 기반하여 상기 타깃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시점 되감기를 제어하되 상기 되감기 속도는 상기 접힘 속도와 관련되고, 되감기 시간의 장단은 상기 폴딩 각도 변화값과 부적 상관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동시에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1~6 중의 임의의 한 항의 상기 절차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4.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1~6 중의 임의의 한 항의 상기 절차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217012309A 2018-09-26 2019-08-09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제어 방법 및 단말기 KR102532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126022.7 2018-09-26
CN201811126022.7A CN109274823B (zh) 2018-09-26 2018-09-26 一种多媒体文件播放控制方法及终端设备
PCT/CN2019/099923 WO2020063134A1 (zh) 2018-09-26 2019-08-09 多媒体文件播放控制方法及终端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966A true KR20210058966A (ko) 2021-05-24
KR102532176B1 KR102532176B1 (ko) 2023-05-16

Family

ID=65197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309A KR102532176B1 (ko) 2018-09-26 2019-08-09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제어 방법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27574B2 (ko)
EP (1) EP3859504A4 (ko)
JP (1) JP7261294B2 (ko)
KR (1) KR102532176B1 (ko)
CN (1) CN109274823B (ko)
WO (1) WO20200631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4823B (zh) * 2018-09-26 2020-10-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多媒体文件播放控制方法及终端设备
US11921987B2 (en) * 2018-09-30 2024-03-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navigation bar display method, system navigation bar control method,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CN110012130A (zh) * 2019-02-22 2019-07-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折叠屏的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0012154A (zh) * 2019-02-22 2019-07-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折叠屏的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0045936A (zh) * 2019-02-23 2019-07-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动态图像的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0221754A (zh) * 2019-05-29 2019-09-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控制装置和终端设备
CN110231973A (zh) * 2019-05-31 2019-09-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截图方法和移动终端
CN110430319B (zh) * 2019-07-17 2021-03-30 咪咕动漫有限公司 一种处理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791701A (zh) * 2019-07-18 2021-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折叠屏的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0489045B (zh) * 2019-07-18 2021-06-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对象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10456959B (zh) * 2019-07-31 2021-04-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的控制方法和终端
CN111258531B (zh) * 2020-01-22 2022-02-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音频处理方法和电子设备
CN114063837A (zh) * 2020-08-04 2022-02-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输入界面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
CN115016720A (zh) * 2021-03-04 2022-09-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控制方法及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815B1 (ko) * 2014-12-11 2016-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동영상 제어방법
CN107831993A (zh) * 2017-10-24 2018-03-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播放控制方法、装置、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7069A1 (en) * 2004-10-01 2005-03-03 Chu Chih Hui Universal entertainment system
JP2009265757A (ja) * 2008-04-22 2009-11-12 Toshiba Corp 折りたたみ式携帯端末
JP2010134039A (ja) * 2008-12-02 2010-06-1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5618486B2 (ja) * 2009-01-30 2014-11-05 株式会社東芝 携帯情報端末
JP2013105310A (ja) * 2011-11-14 2013-05-3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01611B1 (ko) * 2012-05-09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04588B1 (ko) * 2012-07-11 2020-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195332B2 (en) * 2013-05-23 2015-11-24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with deformable flexible user interface area and adjustable hover input region and associated methods
US9098240B2 (en) * 2013-07-04 2015-08-0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102179813B1 (ko) * 2013-09-03 2020-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EP2908236A1 (en) * 2014-02-13 2015-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index display method thereof
KR101632008B1 (ko) * 2014-04-30 2016-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59032B1 (ko) * 2014-07-25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5933775A (zh) * 2016-05-23 2016-09-07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视频播放进度调整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06445228A (zh) * 2016-08-30 2017-02-22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柔性屏设备的控制方法及系统
US10156911B2 (en) * 2017-01-03 2018-12-18 Facebook, Inc. Content display control with a deformable display screen
CN107566641A (zh) * 2017-08-31 2018-01-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多媒体文件播放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9274823B (zh) * 2018-09-26 2020-10-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多媒体文件播放控制方法及终端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815B1 (ko) * 2014-12-11 2016-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동영상 제어방법
CN107831993A (zh) * 2017-10-24 2018-03-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播放控制方法、装置、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61294B2 (ja) 2023-04-19
CN109274823B (zh) 2020-10-09
US11327574B2 (en) 2022-05-10
CN109274823A (zh) 2019-01-25
EP3859504A1 (en) 2021-08-04
WO2020063134A1 (zh) 2020-04-02
JP2022502761A (ja) 2022-01-11
EP3859504A4 (en) 2022-06-29
KR102532176B1 (ko) 2023-05-16
US20210208697A1 (en)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2176B1 (ko)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제어 방법 및 단말기
US20210281669A1 (en) Shooting method and terminal
CN111010510B (zh) 一种拍摄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7359920B2 (ja) 画像処理方法及びフレキシブルスクリーン端末
WO2019105438A1 (zh) 视频特效添加方法、装置及智能移动终端
WO2019137429A1 (zh) 图片处理方法及移动终端
WO2020042890A1 (zh) 视频处理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0233323A1 (zh) 显示控制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897480B (zh) 播放进度调节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19184947A1 (zh) 图像查看方法及移动终端
WO2021082744A1 (zh) 视频查看方法及电子设备
WO2019076371A1 (zh) 资源数据展示方法及移动终端
WO2021136266A1 (zh) 虚拟画面同步方法及穿戴式设备
WO2021036659A1 (zh) 视频录制方法及电子设备
WO2020215991A1 (zh) 显示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09683802B (zh) 一种图标移动方法及终端
WO2020228538A1 (zh) 截图的方法和移动终端
WO2021136330A1 (zh) 弹幕显示控制方法及电子设备
EP3731506A1 (en) Image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WO2021115171A1 (zh) 可穿戴设备及控制方法
WO2020155980A1 (zh) 控制方法及终端设备
WO2021129818A1 (zh) 视频播放方法及电子设备
WO2020259162A1 (zh) 图片显示方法及终端
CN109361864B (zh) 一种拍摄参数设置方法及终端设备
US11579767B2 (en) Content deleting method,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