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739A -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739A
KR20210058739A KR1020200169535A KR20200169535A KR20210058739A KR 20210058739 A KR20210058739 A KR 20210058739A KR 1020200169535 A KR1020200169535 A KR 1020200169535A KR 20200169535 A KR20200169535 A KR 20200169535A KR 20210058739 A KR20210058739 A KR 20210058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art
drying chamber
la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탁
강석준
Original Assignee
강신탁
강석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탁, 강석준 filed Critical 강신탁
Priority to KR1020200169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8739A/ko
Publication of KR20210058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1Handling, e.g. loading or unloading arrangements
    • F26B25/003Handling, e.g. loading or unloading arrangements fo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1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arry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with it
    • F26B3/1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arry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with it in the form of a spray, i.e. sprayed or dispersed emulsions or susp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6Sea weed; Marine produ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차 단위로 건조실로 진출입하며 열풍을 이용하여 다량의 김을 신속하면서도 균일하게 건조할 수 있는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는, 전체적으로 밀폐공간을 형성하여 김의 건조 공정이 수행되는 건조실부(10); 및 공기가 통과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건조실부(10)를 출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대차부(20); 공기가 통과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적치된 김이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대차부(20)에 배치되는 수납박스부(50); 상기 건조실부(10)의 상부로부터 김의 건조 공정을 수행한 공기를 건조실부(10)의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부(40); 상기 건조실부(10)의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제공하는 열풍제공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대차부(20)는 상기 수납박스부(50)를 배치한 상태에서 건조 공정의 전후에 상기 건조실부(10)에 입고되고 상기 건조실부(10)로부터 출고되는 구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 Drying Apparatus for Laver Using Cart }
본 발명은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차 단위로 건조실로 진출입하며 열풍을 이용하여 다량의 김을 신속하면서도 균일하게 건조할 수 있는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 김은 양식장에서 채취한 해태 엽체를 세절하여 물에 혼합한 다음 발장에 얇게 펼쳐지게 성형하고, 건조하여 발장으로부터 마른 해태를 분리하여 제조하는데, 건조 김의 생산에 적잖은 노동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건조 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술도 요구된다. 최근에는 김 건조에 따른 노동력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건조 김의 생산과정을 자동화한 해태 건조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해태 건조기의 종래기술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43888호의 “보일러를 이용한 해태 건조장치”를 살펴보면, 보일러를 이용한 해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로 설치된 보일러로부터 유입되는 온수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켜 설치되는 라디에이터와, 상기 라디에이터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열된 공기를 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과 라디에이터가 일측에 설치되며 송풍팬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덕트와, 상기 덕트의 타측 상부에 설치된 해태 건조대를 포함하여서, 상기 라디에이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만으로 해태를 건조시킴으로써 해태 건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오염원을 차단함으로써 청정한 상태의 김을 제조할 수 있는 보일러를 이용한 해태 건조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에 개시된 해태 건조장치는 열풍순환부로 사용되는 보일러의 온수를 이용하여 열을 방출하고, 소형의 시로코 펜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유입되어, 많은 양의 열풍을 제공하지만 가열시킨 공기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어 건조 효과가 다소 떨어지게 된다. 또한 단순히 가열된 공기를 균일하게 분배하여 이용하고 배출함으로써 에너지를 활용하는 측면에서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으며, 건조공정의 전후에 김을 일일이 배치하고 수거하여야 하는 구조로 인하여 작업의 불편 및 지연 등의 문제도 있다.
따라서, 공급된 온풍을 최대한 활용하여 건조 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열풍을 재활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건조공정의 전후 작업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443888호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조공정의 전후 작업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면서 김을 효과적으로 건조하고, 대량의 김을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는 대차식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건조실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켜 건조 효율이 향상된 대차식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온 고습한 공기를 제습 및 재가열하여 다시 활용함으로 에너지 절약형 대차식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는, 전체적으로 밀폐공간을 형성하여 김의 건조 공정이 수행되는 건조실부(10); 및 공기가 통과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건조실부(10)를 출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대차부(20); 공기가 통과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적치된 김이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대차부(20)에 배치되는 수납박스부(50); 상기 건조실부(10)의 상부로부터 김의 건조 공정을 수행한 공기를 건조실부(10)의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부(40); 상기 건조실부(10)의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제공하는 열풍제공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대차부(20)는 상기 수납박스부(50)를 배치한 상태에서 건조 공정의 전후에 상기 건조실부(10)에 입고되고 상기 건조실부(10)로부터 출고된다.
또한, 본 발명의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에서 상기 열풍제공부(30)는, 상기 건조실부(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재가열하여 상기 건조실부(10)의 내부로 공급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는, 상기 대차부(20)와 건조실부(10)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제한함으로써 건조실부(10) 내부로 재가열하여 공급된 공기가 상기 수납박스부(50)에 수납된 김에 집중적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대차부(20)와 건조실부(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동제한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에서 상기 유동제한부재는, 상기 건조실부(10)에 복수의 대차부(20)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차부들(20)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상호 마주하는 대차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에서 상기 유동제한부재는, 상기 대차부(20)의 상부에서 상기 틈새를 통하여 건조실부(10)의 상부 공간으로 자유롭게 유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부 유동제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에서 상기 유동제한부재는, 상기 대차부(20)의 하부에서 상기 수납박스부(50)를 우회하여 상기 틈새를 통하여 상기 대차부(20)의 상부방향으로 자유롭게 유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부 유동제한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는, 상기 하부 유동제한부재보다 더 아래 위치에 바닥 유동제한부재(17, 27)를 구비하고, 상기 대차부(20)의 하부에는 막음판 형태의 바닥차단부재(24)를 구비하여, 건조실부(10)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바닥차단부재(24)의 상부로 유동하여 상기 수납박스부(50) 측으로 유입되는 유동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는, 소정의 강성을 갖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박스부(50)에 적치되어 수납되는 김들 사이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구분부재(S);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에서 상기 구분부재(S)는 그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흡습재질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풍용 관통공(S1, S2)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실부(10)의 입구 하단에 대차부(20)의 입출고 과정에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경사부재(18)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한 대차식 건조장치는 해초류, 특히 대량의 김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건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장치의 정확성 및 신속성, 편리성을 현저하게 개선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건조실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장치의 건조 효율을 현저하게 개선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고온 고습한 공기를 제습 및 재가열하여 다시 활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에너지 절약성을 현저하게 개선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의 대차부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의 수납박스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의 구분부재 예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에서 유동제한부재의 부분확대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에서 유동제한부재의 부분확대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의 유동 제한 구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의 변형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의 변형 실시예에 대한 부분확대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을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서 측면도로 표시한 것이며, 하나 이상의 대차부를 건조실부 내에 배치시키며, 상기 건조실로 열풍을 주입하여 김을 건조시킨다. 김을 수납한 수납박스부를 대차부에 탑재한 상태에서 건조실부로 진출입하는 구조를 기본적으로 구비하며, 건조 후 발생한 고온 다습한 상기 열풍의 적어도 일부를 다시 열풍제공부로 보내서 재활용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의 평면도로서, 장치의 건조실부를 복수의 건조공간으로 구분하고 각 건조공간에 복수의 대차부를 입고하여 건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의 정면도로서, 각각의 대차부에 수납박스부가 탑재된 상태에서 대차부가 장치의 건조실부에 입고되어 유동제한 구조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의 대차부의 구성도로서, 좌측은 수납박스가 내입되는 대차부의 정면도이며 우측은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의 수납박스부의 구성도로서, 도 5(a)는 열풍이 통과되는 통풍공 및 관통공이 형성된 수납박스부를 평면도 및 측면도,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5(b)는 수납박스부에 대한 김의 수납 전 상태를 측면도와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5(c)는 김이 수납박스부에 수납된 상태를 측면도와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의 구분부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6(a)는 구분부재의 표면을 흡습재질로 형성한 것이며, 도 6(b)는 구분부재 내측에 통풍용 관통공을 구비한 것이며, 도 6(c)는 구분부재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통풍용 관통공을 구비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에서 유동제한부재의 부분 확대 정면도로서, 열풍이 수납박스부의 김을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열풍의 유동을 제한하는 세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에서 유동제한부재의 부분 확대 측면도로서, 열풍이 수납박스부의 김을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열풍의 유동을 제한하는 세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에서 유동 구조를 측면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건조실부 및/또는 대차부의 상부 및 하부에 유동제한부재가 구비되어 수납박스부가 위치하는 공간에서 열풍이 충분히 체류하며 김과 접촉하여 통과함으로써 효과적인 건조 공정을 수행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측면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대차부의 저부에 바닥차단부재를 구비하여 건조실의 바닥과 격리된 유동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위생 성능을 향상시키고 유동경로를 간소화하는 효과를 갖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의 변형 실시예에 대한 부분확대도로서, 도 11(a)는 하부를 확대하여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11(b)는 하부를 확대하여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는 대차 단위로 건조실부에 입출고하여 건조 공정의 전후 준비 작업을 간소화하고 열풍을 이용하여 다량의 김을 신속하면서도 균일하게 건조하며, 건조 후 배출되는 상기 열풍을 재가열하여 다시 활용하는 장치로서, 대차부(20)가 건조실부(10)로 진출입하는 기본구조를 구비하며 대차부(20) 및 건조실부(10)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유동제한부재가 구비되어 열풍이 건조 대상인 김을 충실히 통과한 후 배출되며, 배출된 열풍은 열풍제공부(30)를 거쳐 재가열되어 재공급시킴으로써 김의 건조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장치의 세부 구성으로서, 프레임(11)으로 구성되어 김의 건조 공정이 수행되는 건조실부(10), 공기가 통과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건조실부(10)를 출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대차부(20), 공기가 통과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적치된 김이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대차부(20)에 배치되는 수납박스부(50),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37) 및 가열된 공기를 장치로 공급시키는 송풍팬(33)이 구비된 열풍제공부(30), 및 건조실부를 통과한 열풍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는 대차부(20)가 그대로 건조실부(10)로 진출입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김을 건조실 내부에 일일이 배치하고 수거하는 구조이거나 수납박스 단위로 건조실에 입출고하는 구조여서 김의 건조공정 전후에 준비 및 수거 작업의 부담이 매우 크고 수납박스 단위로 입출고하는 경우에 건조 전 김의 높은 중량으로 인하여 또한 다수의 김 수납박스를 일일이 배치하고 교체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김 수납상태의 수납박스 이송 부담이 작업자들에게 매우 큰 불편사항이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는 대차 단위로 건조실부에 입출고하는 기본구조를 가짐으로써 건조 공정의 전후 준비 작업을 간소화하고 이송 부담을 현저하게 완화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건조실부(10) 및 대차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측과 하측 각각에 틈새 유동을 제한하는 유동제한부재가 구비되어 열풍제공부(30)로부터 공급된 열풍이 대차부(20)에 장착된 수납박스부(50)의 김을 통과하여 유동되며, 건조 공정 후 다습한 상기 열풍은 열풍제공부(30)로 복귀하여 재가열되어 장치 내부로 다시 공급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에서 상기 건조실부(10)는 전체적으로 밀폐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 개폐문(12)이 구비된다. 건조될 다량의 김은 수납박스부(50)에 수납되어 대차부(20)에 배치된 상태로 준비되어 상기 건조실부(10)의 일측에 구비된 개폐문(12)을 지나 장치의 건조실부(10)로 내입되어 건조 전 준비상태가 형성된다. 건조실부(10)는 골격구조의 프레임(11)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구획부재(14)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실부(10)의 중앙에 구비된 구획부재(14)에 의해 일측과 타측으로 구획되게 형성하여 각각의 공간에 대차부(20)를 배치시켜, 대차부(20) 사이의 틈새 유동 또는 대차부(20)와 건조실부(10) 사이의 틈새 유동을 제한하여 열풍 공기의 유동을 김으로 집중하고 습기를 머금은 열풍이 상측의 배기부(40)로 배출되거나 열풍제공부(30)로 복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건조실부(10)는 상기 구획부재(15)에 의해 하부 영역까지 구획된 구조로 형성하여 각각의 건조공간이 완전히 분리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완전 분리 구조에 의하여 각 공간에 대한 대차부(20)의 입출고 시점 또는 체류 시간 등을 다르게 선정하여 운용할 수 있게 되어 운용 편리성 및 다양성 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건조실부(10)는 구획구조를 구비하되 필요에 따라 하부 영역은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하여 유동 저항을 완화하고 열풍의 온도 변동을 완화하는 효과를 갖도록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3에 제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구획부재(14)가 건조실부(10)의 하부 위치에서 생략된 구조로 형성하여 건조실(10)의 하부 영역이 상호 연통되는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에서 대차부(20)는 기본적으로 열풍의 유출입 자유로운 구조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선형 부재를 결합하여 형성된 대차프레임(21)에 의해 전체 구조를 형성하며, 대차프레임(21)의 내측 공간에 길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배치된 박스지지부재(22)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박스지지부재(22) 상에 다량의 김이 수납된 수납박스부(50)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필요에 따라 수납박스부(50)가 상하 방향으로 다단 배치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고, 각 단에 복수의 수납박스부(50)가 나란히 배치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박스지지부재(22)에는 수납박스부(50)의 배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23)가 대차부(2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대차부(20)는 하단에 이동바퀴를 구비하여 대차부(20)의 이동 및 장치 내로 입출고를 원활하게 보조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부(20)는 상부 및 하부의 외부에 유동제한부재(25, 26)를 구비할 수 있으며, 대차부의 상기 유동제한부재(25, 26)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건조실부(10)의 유동제한부재(15, 16)과 요철 삽입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장치에서 열풍의 이용 효율을 감소시키는 원치 않는 틈새 유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각 유동제한부재가 구비되는 것이며, 그 세부 구조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에서 수납박스부(50)는 내부에 다량의 김이 수납되는 구성으로서, 하부는 열풍이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망구조로 이루어진 스크린부재(5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세부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박스부(50)의 측벽은 수납된 김으로 열풍이 원활하게 도달하여 통과하도록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통풍공(52)을 구비하고 작업자가 손으로 수납박스부(50)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관통공(55)을 구비할 수 있다. 건조대상인 김은 수평방향으로 적층된 자세로 상기 수납박스부(50)에 수납됨으로써 건조 공정시 다량의 김을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에서 수납박스부(50)에 김을 수납함에 있어서 김 사이에 소정의 강성을 갖는 판상의 구분부재(S)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수납할 수 있다. 즉, 김의 적층 과정에서 혹은 수납박스부(50)에 김이 수납된 상태에서 김 사이에 상기 구분부재(S)를 포함시킴으로써 김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판상의 구분부재(S)는 두꺼운 종이 또는 목재, 플라스틱, 합성수지, 금속재질 등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분부재(S)의 표면은 적어도 일부분이 종이 또는 섬유 등의 흡습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분부재(S)의 중간에 통풍용 관통공(S1)이 구비되거나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개방된 형태의 통풍용 관통공(S2)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흡습재질 또는 통풍용 관통공은 김의 수분을 신속하게 배출하는 효과를 가진다.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한 예시로서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구분부재(S)의 배치와 김의 적층방향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김 사이에 포함되는 구분부재(S)는 하나 이상의 종류를 혼용하여 구비될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세로로 적층된 자세로 수납되는 방식도 채택될 수 있으며, 김에 더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김부각 등의 해초류, 어류 등 또한 수납박스부(50)에 구비되어 건조될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는 대차부(20)와 대차부(20) 사이의 틈새, 및/또는 대차부(20)와 건조실부(10) 사이의 틈새를 통한 열풍의 유동을 감소시킴으로써 건조실부(10)로 공급된 열풍이 대차부(20)에 삽입되어 배치된 수납박스부(50)에 수납된 김에 집중적으로 유동하도록 유동제한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유동제한부재는 대차부(20)에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른 대차부(20)를 향하여 또는 건조실부(10)를 향하여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또는 건조실부(10)에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대차부(20)를 향하여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 형상의 유동제한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인접된 구성인 다른 대차부(20) 또는 건조실부(10)와의 틈새가 메워짐으로써 해당 틈새로 자유롭게 유동되는 열풍을 차단하거나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돌기 형상의 유동제한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의 대차부(20) 또는 건조실부(10)에는 상기 유동제한부재의 돌기 형상 부분이 내입될 수 있는 오목 형상의 유동제한부재를 추가로 구비하여 열풍의 틈새 유동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는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의 부분 확대 정면도를 나타낸 것인데, 건조실부(10)의 상부 양측 내벽에서 건조실부(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대차를 향하여 돌출된 구조로 돌기 형상의 상부 유동제한부재(15)를 구비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대차부(20)에는 오목 형상의 상부 유동제한부재(25)를 구비하여 양 상부 유동제한부재(15, 25)가 상호 요철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의 부분 확대 측면도를 나타낸 것인데, 건조실부(10)의 상부 후측 내벽에서 건조실부(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대차를 향하여 돌출된 구조로 돌기 형상의 상부 유동제한부재(15-1)를 구비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대차부(20)의 일측에는 오목 형상의 상부 유동제한부재(25-2)를 구비하여 양 상부 유동제한부재(15-1, 25-2)가 상호 요철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형성한 것이다. 더불어 대차부(20)의 타측에는 돌기 형상의 상부 유동제한부재(25-1)를 형성하여 대차부들(20)은 상호 요철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상부 유동제한구조에 의해 해당 틈새를 유동하는 열풍은 건조실부(10) 상부의 배기 구역으로 곧바로 유동할 수 없고 대차부(20) 내측의 김을 경유하여 유동하도록 열풍의 유동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건조실부(10)의 하부영역으로 유입된 열풍이 김이 수납된 수납박스부(50)를 거치지 않고 대차부(20)와 대차부(20) 사이의 틈새, 및/또는 대차부(20)와 건조실부(1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건조실부(10) 또는 대차부(20)의 상부로 곧바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대차부(20) 및/또는 건조실부(10)의 하부에도 유동제한부재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7 및 8에는 앞선 설명에서 대차부(20)와 건조실부(10)의 상부에 각각 구비된 유동제한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대차부(20) 및/또는 건조실부(10)의 하부에 하부 유동제한부재(16, 26)를 구비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하부 유동제한구조에 의해 해당 틈새를 유동하는 열풍은 건조실부(10) 하부에서 수납박스부(50)를 우회하여 상부로 곧바로 유동할 수 없고 대차부(20) 내측의 김을 경유하여 유동하도록 열풍의 유동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실부 및/또는 대차부의 상부 및 하부에 유동제한부재가 구비된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건조실부로 공급된 열풍은 건조실부의 하부에서 수납박스부의 하부로 집중적으로 유동하고, 건조실부의 상부에서 수납박스부의 김을 집중적으로 통과하여 상부로 유동하고, 건조실부의 중간부에서 수납박스부가 위치하는 공간에서 열풍이 충분히 체류하며 김과 접촉하여 유동하게 되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는 김의 건조 공정을 매우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는 열풍이 건조실(10)의 바닥 또는 대차부(20)의 바퀴 부분 등을 경유하여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바닥 유동제한 구조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10 및 11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대차부(20) 및/또는 건조실부(10)의 하부에 상기 하부 유동제한부재보다 더 아래 위치에 바닥 유동제한부재(17, 27)를 구비하고 대차부(20)의 하부에는 막음판 형태의 바닥차단부재(24)를 구비하여 열풍이 상기 바닥차단부재(24)의 상부로 유동하여 수납박스부(50) 측으로 유입되는 유동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위생 성능을 향상시키고 유동경로를 간소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에서 열풍제공부(30)는 건조실부(10)로 열풍을 공급하는 경로에 해당되는 공급덕트(31)와, 외부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흡기밸브(35),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34) 및 송풍구동기(36)에 의해서 구동되어 가열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33)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덕트(31)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국한되지 않으나, 열풍제공부(30)에서 건조실부(10)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식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건조실부(10)로 열풍이 빨리 유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정 순서는 어느 하나로 국한되지 않으나, 건조 공정시 히터(34)에 의해 공기를 가열시키고 송풍팬(33)에 의해 건조실부(10)로 유입하여 대차부(20)의 하부로 공급되어 대차부(20)에서 김이 수납된 공간을 최대한 순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터(34)의 열원은 어느 하나의 형식과 구조로 국한되지 않으나, 전열 방식이 바람직하며 복귀덕트(32)를 통하여 건조 공정 후의 습기를 머금은 열풍을 회수하고 히터(34)에 의해 재가열하여 활용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게 된다.
또한, 김의 건조율을 조절하기 위하여 대기의 유입량으로 조절하는 흡기밸브(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지대의 저압 환경에서 기화온도가 하강하여 쉽게 기화되는 현상처럼, 배기부(40)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에 비해 외부의 대기 유입량을 줄이거나 차단하게 되면, 건조실부(10) 내부의 기압이 낮아짐에 따라 수분의 기화온도 낮아져 전체 장치에서 공기의 배기량과 유입량이 같은 경우보다 증발효율은 더욱 늘어나게 되며, 건조 공정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건조실부(10)를 외부의 기압보다 낮은 기압이 되도록 조절하는 방식은 배기부(40)의 구동을 조절하거나 흡기밸브(35)를 조절하는 방식 등으로부터 채용할 수 있고 어느 하나로 국한되지 않으며, 기설정된 프로세스에 의한 자동제어, 밸브에 의한 원격 제어 및 수동 제어 등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에서 배기부(40)는 건조 공정 후의 열풍이 증기로 인해 과도하게 습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통상적으로 쓰이는 펌프 또는 모터의 의한 팬 등을 이용하여 일정한 비율로 배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세부 구성으로서, 배기구동기(46)에 의해 구동되는 배기팬(43) 및 열풍이 배출되는 경로인 배기덕트(41), 열풍의 배기량을 조절하는 배기밸브(45)를 포함한다. 여기서 배기밸브(45)는 건조실부(10)의 진공도 조절에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실부(10)로 역류하여 진입되는 대기 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는 건조실부(10)에 과도한 진공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건조실부(10)의 일측에 릴리프 밸브(19)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배기팬(43)에 의해 건조실부(10)에 소정의 진공도를 형성하는 것을 초과하여 과도한 진공이 형성되는 경우에 건조실부(10)의 변형 또는 손상이나 충격 이음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외기의 유입을 허용하는 릴리프 밸브(19)를 구비하여 건조실부(10)의 내부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킨다. 예시적인 세부구조로서, 연통배관 내부에 댐퍼를 구비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은 건조실부(10)의 상부에 구비된 릴리프 밸브(19)를 부분확대된 사시도로 도면의 상부에 추가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부분 확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댐퍼의 개방 정도를 선정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댐퍼의 회전축을 임시 고정하는 구조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시운전 등을 통하여 릴리프밸브(19)의 개방정도를 선정한 후에 임시로 고정하여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차식 건조장치는 앞선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형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실부(10)의 입구 하단에는 대차부(20)의 입출고 과정에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경사부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사용 편리성을 고려하여 접철식 경사부재(18)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접철식 경사부재(18)는 밖으로 전개되면 경사 구조를 형성하여 대차부(20)의 이동을 보조하며, 개폐문(12) 폐쇄시에는 미리 안쪽으로 접힌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개폐문(12)의 이용에 방해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시된 유동제한부재는 돌기 형상과 오목 형상의 위치를 상호 교환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돌기 형상의 유동제한부재만 형성하거나 복수의 돌기 형상과 복수의 오목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돌기 형상의 유동제한부재를 양측에 형성하되 엇갈린 높이에 형성하는 등 다양한 변형된 구조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대차부는 건조실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하거나 폭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하거나 혹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하는 경우에도 유동제한부재는 각각 돌기 형상만으로 혹은 돌기 형상 및 오목 형상으로 혹은 변형된 구조로 형성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유동제한부재는 상부 및/또는 하부 이외에 중간 위치에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열풍의 유동경로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선택도 가능하다.
또한, 건조실부로의 공기의 유출입 위치도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건조실부의 측면 또는 하부면, 정면, 후면 등에서 적어도 어느 한 면으로 유입되는 구조나 건조실부의 측면 또는 상부면, 정면, 후면 등에서 적어도 어느 한 면으로 유출되는 구조 등을 선택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건조실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구성한 경우에 각각의 건조공간에 대한 공기의 유출입 덕트를 독립적으로 구성하고 각 덕트에 대한 유출입 밸브 등을 구비하여 각각의 건조공간에 대한 건조 공정 관리의 독립성을 추구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 또는 분할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 또는 분할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범위 안에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방법의 단계는 단독으로 복수회 실시되거나 혹은 적어도 다른 어느 한 단계와 조합으로 복수회 수행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건조실부
11 : 프레임 12 : 개폐문
13 : 중간프레임 14 : 구획부재
15 : 상부 유동제한부재 16 : 하부 유동제한부재
17 : 바닥 유동제한부재 18 : 경사부재
19 : 릴리프 밸브
20 : 대차부
21 : 대차프레임 22 : 박스지지부재
23 : 가이드부재 24 : 바닥차단부재
25 : 상부 유동제한부재 26 : 하부 유동제한부재
27 : 바닥 유동제한부재
30 : 열풍제공부
31 : 공급덕트 32 : 복귀덕트
33 : 송풍팬 34 : 히터
35 : 흡기밸브 36 : 송풍구동기
40 : 배기부
41 : 배기덕트 43 : 배기팬
45 : 배기밸브 46 : 배기구동기
50 : 수납박스부
51 : 스크린부재 52 : 통풍공
55 : 관통공
L : 김
S : 구분부재

Claims (9)

  1. 적치된 김을 수납하여 건조하는 대차식 건조장치로서,
    전체적으로 밀폐공간을 형성하여 김의 건조 공정이 수행되는 건조실부(10); 및
    공기가 통과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건조실부(10)를 출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대차부(20);
    공기가 통과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적치된 김이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대차부(20)에 배치되는 수납박스부(50);
    상기 건조실부(10)의 상부로부터 김의 건조 공정을 수행한 공기를 건조실부(10)의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부(40);
    상기 건조실부(10)의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제공하는 열풍제공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대차부(20)는 상기 수납박스부(50)를 배치한 상태에서 건조 공정의 전후에 상기 건조실부(10)에 입고되고 상기 건조실부(10)로부터 출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제공부(30)는, 상기 건조실부(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재가열하여 상기 건조실부(10)의 내부로 공급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20)와 건조실부(10)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제한함으로써 건조실부(10) 내부로 재가열하여 공급된 공기가 상기 수납박스부(50)에 수납된 김에 집중적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대차부(20)와 건조실부(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동제한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제한부재는, 상기 건조실부(10)에 복수의 대차부(20)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차부들(20)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상호 마주하는 대차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도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제한부재는, 상기 대차부(20)의 상부에서 상기 틈새를 통하여 건조실부(10)의 상부 공간으로 자유롭게 유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부 유동제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제한부재는, 상기 대차부(20)의 하부에서 상기 수납박스부(50)를 우회하여 상기 틈새를 통하여 상기 대차부(20)의 상부방향으로 자유롭게 유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부 유동제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동제한부재보다 더 아래 위치에 바닥 유동제한부재(17, 27)를 구비하고, 상기 대차부(20)의 하부에는 막음판 형태의 바닥차단부재(24)를 구비하여, 건조실부(10)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바닥차단부재(24)의 상부로 유동하여 상기 수납박스부(50) 측으로 유입되는 유동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강성을 갖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박스부(50)에 적치되어 수납되는 김들 사이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구분부재(S);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부재(S)는 그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흡습재질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풍용 관통공(S1, S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KR1020200169535A 2019-11-13 2020-12-07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KR20210058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535A KR20210058739A (ko) 2019-11-13 2020-12-07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178A KR102190636B1 (ko) 2019-11-13 2019-11-13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KR1020200169535A KR20210058739A (ko) 2019-11-13 2020-12-07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178A Division KR102190636B1 (ko) 2019-11-13 2019-11-13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739A true KR20210058739A (ko) 2021-05-24

Family

ID=737797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178A KR102190636B1 (ko) 2019-11-13 2019-11-13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KR1020200169535A KR20210058739A (ko) 2019-11-13 2020-12-07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178A KR102190636B1 (ko) 2019-11-13 2019-11-13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906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021B1 (ko) * 2022-05-02 2023-07-31 고효욱 식품건조용 대차 터널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건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888Y1 (ko) 2008-06-24 2009-03-23 이광주 보일러를 이용한 해태 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281B1 (ko) * 2007-12-18 2009-11-27 안성호 농수산물의 열풍순환식 건조시스템
KR101062143B1 (ko) * 2008-10-17 2011-09-05 김나연 고추건조기
KR20110083056A (ko) * 2010-01-13 2011-07-20 국승택 열풍 층별 송풍방식 농수산물 건조기
KR101716000B1 (ko) * 2014-09-30 2017-03-22 김연주 열풍 김구이기
KR20170101461A (ko) * 2016-02-29 2017-09-06 김주용 열풍 김구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888Y1 (ko) 2008-06-24 2009-03-23 이광주 보일러를 이용한 해태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636B1 (ko) 202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12335A (en) Treating web-like material by a gaseous medium
KR101358062B1 (ko) 목재 건조장치
KR102190636B1 (ko)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KR101834823B1 (ko) 폐열회수와 신선외기유입형 멀티존 온도균일제어타입 농산물 건조장치
US1523509A (en) Drier
KR20080098860A (ko) 건조기
KR20130118667A (ko) 상하 순환식 전기 건조기
US3149932A (en) Drying kiln
CA2668451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uniform drying of board materials
CN210727147U (zh) 防潮密集柜
KR102598337B1 (ko) 김 건조용 대차식 건조장치
KR100578030B1 (ko) 정치식 원적외선 건조기
JP2013072572A (ja) 生ゴミ乾燥装置
US20170218562A1 (en) A tumble dryer and a drying method
JP3229815U (ja) 加湿装置を備えた乾燥機
KR101666054B1 (ko) 감 건조기
CN208167282U (zh) 一种使面料平整的服装面料拉伸装置
JP3555673B2 (ja) 農水産物処理システム
KR101214779B1 (ko) 상하 순환식 건조기
CN109059461B (zh) 烘干装置
US1841927A (en) Drier
JPH0623912Y2 (ja) 布帛の移動式乾燥装置
KR20210015349A (ko) 의류관리장치
CN215864404U (zh) 一种循环除湿烘干房
CN219600414U (zh) 一种3d打印耗材干燥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