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779B1 - 상하 순환식 건조기 - Google Patents

상하 순환식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779B1
KR101214779B1 KR1020120091780A KR20120091780A KR101214779B1 KR 101214779 B1 KR101214779 B1 KR 101214779B1 KR 1020120091780 A KR1020120091780 A KR 1020120091780A KR 20120091780 A KR20120091780 A KR 20120091780A KR 101214779 B1 KR101214779 B1 KR 101214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circulation
passage
drying chamber
ai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영만
Original Assignee
허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만 filed Critical 허영만
Priority to KR1020120091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2Velocity of flow; Quantity of flow, e.g. by varying fan speed, by modifying cross flow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피건조물이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열풍의 방향을 상하로 반전시키면서 건조시켜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상하 순환식 건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피건조물이 저장되는 건조실과, 건조실의 하부와 연통되는 열풍통로와, 건조실의 상부와 열풍통로의 상부를 연통시키는 순환통로와, 순환통로의 양쪽에 설치되는 순환팬과, 순환팬들의 사이 순환통로에 설치되는 히터와, 순환통로의 중간부에서 건조실 방향 및 열풍통로 방향으로 연통되는 제1우회로 및 제2우회로와, 제1우회로 및 제2우회로를 선택적으로 열고 닫는 개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순환팬들의 아래쪽 순환통로상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흡배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상하 순환식 건조기{A drying apparatus for upper and lower circulating}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래쪽 방향과 위쪽 방향을 번갈아 가면서 열풍을 순환시켜 고른 건조기술을 제공할 수 있는 상하 순환식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풍 건조기는 버너나 히터로부터 열풍을 만들어 건조실내로 공급해주고, 이를 다시 버너나 히터로 회수하여 재공급해주는 반복된 작용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열풍 건조기는 건조실내에 하부에서부터 상부까지 여러 개의 건조상자를 적층시킨 후,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상자에 올려진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건조기는 바람의 방향에 따라 밑바람식과 옆바람식으로 구분되는데, 밑바람식 열풍 건조기는 최초로 열풍이 공급되는 하부층의 건조상자와 마지막으로 열풍이 빠져나가는 상부층의 건조상자간의 온도차이로 인해 상부층과 하부층의 피건조물의 건조차가 발생되어 일정한 시간이 흐른뒤에는 상부층과 하부층의 건조상자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옆바람식 열풍 건조기는 열풍이 옆에서 공급되기 때문에 건조상자의 양측부와 중앙부의 온도차이로 인해 피건조물의 건조차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 대한민국 특허 제10-0822809호(2008.04.17. 공고)인 "열풍의 방향을 반전시켜 피건조물의 상하층간 건조율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열풍 건조기 및 건조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위 선행기술에 의하면, 열풍이 건조실의 아래에서부터 위로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건조실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열풍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건조실에 건조상자를 다단으로 적층하여 통상의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풍을 건조실과 열원을 순환시키면서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열풍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은 상부측에서 연통되도록 격벽에 의해 등분된 제1건조실 및 제2건조실로 구성되고, 상기 제1건조실의 측벽에는 열풍이 순환되는 네 개의 입출구가 형성되되,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입출구는 상기 제1건조실을 통과하여 상기 제2건조실로 연통되며, 상기 네 개의 입출구의 사이에는 위나 아래의 두개 입출구를 동시에 막을수 있는 반전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건조실을 반드시 2개로 구획하여야 하는 구조상 특징에 의해 규격이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과, 건조실의 아래쪽으로 4개의 입출구가 통과해야 하므로 건조기 전체 크기에 비해 건조상자의 적층양이 적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열풍 발생부가 건조기의 옆쪽에 돌출되어 있어 필요 이상의 공간 차지가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처럼 열풍을 상하로 반전시키면서 건조시키되, 열풍발생부를 건조기의 상부에 설치하여 선행기술의 모든 문제점을 해결한 상하 순환식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건조물이 저장되는 건조실;
건조실의 하부와 연통되는 열풍통로;
건조실의 상부와 열풍통로의 상부를 연통시키는 순환통로;
순환통로의 양쪽에 설치되는 순환팬;
순환팬들의 사이 순환통로에 설치되는 히터;
순환통로의 중간부에서 건조실 방향 및 열풍통로 방향으로 연통되는 제1우회로 및 제2우회로; 및
제1우회로 및 제2우회로를 선택적으로 열고 닫는 개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순환식 건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순환팬들의 아래쪽 순환통로상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흡배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1우회로의 하부에는 사방 및 하부면이 타공된 균분기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균분기의 어느 일방은 개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건조물이 저장되는 또 다른 건조실을 열풍통로를 사이로 하여 더 형성하고, 열풍통로를 격벽에 의해 분리시키고, 분리된 열풍통로의 하부에 각각의 건조실로 연통되도록 입출구를 형성하며, 분리된 열풍통로의 상부에 각각의 건조실측으로 연통되도록 순환팬, 히터, 제1우회로, 제2우회로 및 개폐기가 형성된 순환통로를 설치하여 2단 건조실로 구축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상하 열풍 공급방식에 의해 균일건조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후좌우 돌출된 부분이 없이 박스형태로의 제작이 가능하여 공간효율이 높은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실의 개수를 2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면서 개별 제어가 가능한 잇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건조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내부 투시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 건조기의 초기모델을 나타낸 예시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 건조기가 하향식으로 작동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 건조기가 상향식으로 작동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그리고,
도 6은 2개의 건조실을 갖는 건조기의 실시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하 순환식 건조기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100)는 내부에 건조실(120)이 마련된 본체(11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전,후,좌,우 어느 쪽으로도 돌출된 것이 없이 박스형태로 제작되고, 이러한 본체(110)의 내부에 건조실(120)이 형성되며, 건조실(120)의 어느 일측에 상하로 연장되는 열풍통로(130)가 형성된다. 여기서 건조실(120)에는 건조상자(121)가 상,하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열풍통로(130)의 하부는 건조실(120)의 하부로 연통되도록 입출구(131)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앞쪽에는 건조실(120)을 열고 닫는 개폐문(122)이 설치된다.
건조실(120)의 외측 상부에는 건조실(120)과 열풍통로(130)를 연결하여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통로(140)가 형성된다. 이러한 순환통로(140)에는 열풍을 만들기 위한 순환팬(150a, 150b) 및 히터(160)가 설치된다. 즉, 순환팬은 열풍통로(130)의 위쪽에 제1순환팬(150a)이 설치되고, 건조실(120)의 위쪽에 제2순환팬(150b)이 설치되며, 히터(160)는 순환팬(150a, 150b)이 사이에 설치된다. 히터(160)는 히터가 사용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만은 않는다.
본 발명은 건조를 목적으로 하는 장치이므로, 피건조물에서 빼앗은 습기가 열풍에 함유되어 있어 습한 열풍을 배기시켜주어야 함이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순환통로(140)에 흡배기구(180a, 180b)가 설치된다.
흡배기구는 열풍의 순환 방향에 따라 서로 상반되게 열고 닫히는 구조를 갖도록 제1순환팬(150a)의 아래쪽에 제1흡배기구(180a)가 설치되고, 제2순환팬(150b)의 아래쪽에 제2흡배기구(180b)가 설치된다. 이러한 흡배기구(180a, 180b)는 순환팬(150)의 아래쪽에서 순환통로(140)가 천공되고, 이 천공된 홀에 회동축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흡배기구(180)는 회동축을 전동기로 돌려주어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향식 건조기의 초기 모델은 상기와 같은 구조로 개발되었었다. 즉,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열풍통로(140)의 양쪽에 순환팬(150)을 설치하고, 이 순환팬(150)의 사이에 히터(160)를 설치하며, 순환팬(150)의 아래쪽에 각각 흡배기구(180)을 설치하는 구성이었다.
위와 같은 초기모델의 열풍 흐름은 제1순환팬(150a) 또는 제2순환팬(150b)이 작동되어 바람을 불어낼때에 이 열풍이 반대쪽 순환팬을 통과하여 건조실(120) 또는 열풍통로(130)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열풍이 통과되는 순환팬은 정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열풍이 순환팬의 임펠러를 통과하면서 부하가 발생되어 상당한 풍량 저하를 가져오게 됨을 알게 되었다. 더욱이 열풍이 통과되는 순환팬은 바람이 통과되는 힘에 의해 역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역회전으로 열풍의 진행을 상쇠시키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100)는 열풍의 진행방향을 우회하도록 하여 순환팬(150)에 의한 열풍공급의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순환통로(140)의 중간부 아래쪽에 건조실(120)로 연통되는 제1우회로(170)를 형성하고, 순환통로(140)의 중간에서 열풍통로(130)측으로 연장되는 제2우회로(175)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제1우회로(170) 및 제2우회로(175)를 선택적으로 열고 닫는 개폐기(185)를 설치하였다.
여기에서 개폐기(185)는 제1우회로(170) 및 제2우회로(175)의 중간지점에서 회동하도록 하여 제1우회로(170)가 열리면 제2우회로(175)가 닫히고, 제2우회로(175)가 열리면 제1우회로(170)가 닫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개별적으로 열고 닫히게 구성할 수도 있으나, 하나의 개폐기를 이용하여 양쪽을 열고 닫히게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이다. 그리고 개폐기(185)도 흡배기구(180)과 마찬가지로 개폐기(185)의 회동축을 전동기로 돌려주어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우회로(170)는 건조실(120)의 상부 어느 일부분에 형성되는 것이므로, 이 제1우회로(170)를 통과하는 열풍이 사방으로 퍼지게 하는 균분기(190)가 제1우회로(170)의 하부에 형성된다. 균분기(190)는 박스 형상으로 되며, 그 사방 및 하부면상에는 타공이 형성되어 유입된 열풍이 사방으로 그리고 하향으로 균일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는, 균분기(190)의 사방중 어느 일측은 타공보다는 개방된 형태로 될 수도 있다. 즉, 제1우회로(170)가 건조실(120) 상부의 정 중앙에 형성되었다면 타공이 좋을 것이지만,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어 있다면 거리가 먼쪽으로 열풍이 덜 전달될 수 있어 그 쪽으로는 개방되게 형성되어 열풍을 더 많이 보내주게 되는 것이다.
하기 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건조기(100)가 상향식 또는 하향식으로 순환될때의 작동모습 및 열풍흐름을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가 제1순환팬(150a)의 작동에 의해 하향식으로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1순환팬(150a)에서 발생된 열풍이 히터(160)를 거쳐 순환통로(140)의 중간으로 진행하게 된다.
발생된 열풍은 열풍통로(130)에서 공급되었기 때문에 다시 열풍통로(130)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개폐기(185)가 제2우회로(175)를 막도록 선회되어 작동되고, 제1우회로(170)를 통해 건조실(120)로 유입된다. 물론, 제1순환팬(150a)에 의해 발생된 열풍은 제1우회로(170)뿐만 아니라 제2순환팬(150b)를 통해 건조실(120)로 유입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제2순환팬(150b)쪽에는 임팰러에 의한 부하가 발생되므로 대부분의 열풍은 제1우회로(170)를 통해 건조실(120)로 유입된다.
제1우회로(170)를 통과한 열풍은 균분기(190)에 의해 균일하게 퍼져 제2순환팬(150b)측의 열풍과 함께 건조실(120)의 아래쪽으로 진행하면서 피건조물에서 수분을 흡수하게 된다.
건조실(120)을 하향으로 통과한 열풍은 건조실(120) 아래쪽의 입출구(131)를 통해 열풍통로(130)로 들어가 다시 제1순환팬(150a)에 의해 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여기에서, 순환되는 열풍속에는 수분이 함유되는데, 이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새로운 외기를 유입시켜야 된다. 따라서 하향식으로 작동될때에는 제1흡배기구(180a) 및 제2흡배기구(180b)중에서 모든 열풍이 지나가는 제1흡배기구(180a)를 열고, 반대로 제2흡배기구(180b)는 닫는다. 제1흡배기구(180a)의 오픈은 열풍의 진행방향쪽으로 대향하도록 회동되어 열풍진행의 앞쪽에서는 습한 열풍이 배출되고, 뒤쪽에서는 외기가 유입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가 제2순환팬(150b)의 작동에 의해 상향식으로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2순환팬(150b)에서 발생된 열풍이 히터(160)를 거쳐 순환통로(140)의 중간으로 진행하게 된다.
발생된 열풍은 건조실(120)에서 공급되었기 때문에 다시 건조실(120)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개폐기(185)가 제1우회로(170)를 막도록 선회되어 작동되고, 제2우회로(175)를 통해 열풍통로(130)로 유입된다. 물론, 제2순환팬(150b)에 의해 발생된 열풍은 제2우회로(175)뿐만 아니라 제1순환팬(150a)를 통해 열풍통로(130)로 유입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제1순환팬(150a)쪽에는 임팰러에 의한 부하가 발생되므로 대부분의 열풍은 제2우회로(175)를 통해 열풍통로(130)로 유입된다.
열풍통로(130)로 유입된 열풍은 입출구(131)를 통해 건조실(120)의 하부로 유입되어 상부로 진행하면서 피건조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 건조기(100)가 상향식으로 작동될때에는 제1흡배기구(180a) 및 제2흡배기구(180b)중에서 모든 열풍이 지나가는 제2흡배기구(180b)를 열고, 반대로 제1흡배기구(180a)는 닫는다. 제2흡배기구(180b)의 오픈은 열풍의 진행방향쪽으로 대향하도록 회동되어 열풍진행의 앞쪽에서는 습한 열풍이 배출되고, 뒤쪽에서는 외기가 유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구(1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순환방향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한쪽은 항상 열려져 있고 다른 한쪽은 항상 닫혀 있는 것이 아니라, 피건조물을 통과한 열풍이 일정 수준 이상의 습도일때에만 열리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100)는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열풍통로(130)를 사이에 두고 그 양쪽에 건조실(120)을 형성하여 2단 건조실로 구축할 수도 있다.
즉, 열풍통로(130)에 종방향으로 격벽(135)을 형성하여 양쪽을 분리시킨 후, 열풍통로(130)의 하부에 좌측의 제1단 건조실(120) 및 우측의 제2단 건조실(120) 방향으로 각각 연통되는 입출구(131)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히터(160) 및 순환팬(150)이 설치된 순환통로(140)를 더 설치한다. 이때, 순환통로(140)는 격벽(135)의 앞쪽 방향 및 뒤쪽 방향으로 어긋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100)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즉, 제어부는 열풍의 흐름을 상향 또는 하향으로 제어하게 되고, 이 방향에 따라 어느 쪽의 순환팬(150)을 작동시킬 것인지 제어하고, 또, 열풍의 온도를 체크하여 히터(160)를 제어하게 되며, 열풍의 방향에 따른 흡배기구(180) 및 개폐기(185)의 열고 닫힘을 제어하게 된다.
100 : 상하 순환식 건조기
110 : 본체 120 : 건조실
121 : 건조상자 122 : 개폐문
130 : 열풍통로 131 : 입출구
135 : 격벽 140 : 순환통로
150 : 순환팬 160 : 히터
170 : 제1우회로 175 : 제2우회로
180 : 흡배기구 190 : 균분기

Claims (5)

  1. 피건조물이 저장되는 건조실(120);
    상기 건조실(120)의 하부와 연통되는 열풍통로(130);
    상기 건조실(120)의 상부와 열풍통로(130)의 상부를 연통시키는 순환통로(140);
    상기 순환통로(140)의 양쪽에 설치되는 순환팬(150);
    상기 순환팬(150)들의 사이 순환통로(140)에 설치되는 히터(160);
    상기 순환통로(140)의 중간부에서 상기 건조실(120) 방향 및 열풍통로(130) 방향으로 연통되는 제1우회로(170) 및 제2우회로(175); 및
    상기 제1우회로(170) 및 제2우회로(175)를 선택적으로 열고 닫는 개폐기(185);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순환식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팬(150)들의 아래쪽 순환통로(140)상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흡배기구(18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순환식 건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우회로(170)의 하부에는 사방 및 하부면이 타공된 균분기(19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순환식 건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균분기(190)의 어느 일방은 개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순환식 건조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피건조물이 저장되는 또 다른 건조실(120)을 상기 열풍통로(130)를 사이로 하여 더 형성하고, 상기 열풍통로(130)를 격벽(135)에 의해 분리시키고, 분리된 열풍통로(130)의 하부에 각각의 건조실(120)로 연통되도록 입출구(131)를 형성하며, 상기 분리된 열풍통로(130)의 상부에 각각의 건조실(120)측으로 연통되도록 순환팬(150), 히터(160), 제1우회로(170), 제2우회로(175) 및 개폐기(185)가 형성된 순환통로(140)를 설치하여 2단 건조실로 구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순환식 건조기.
KR1020120091780A 2012-08-22 2012-08-22 상하 순환식 건조기 KR101214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780A KR101214779B1 (ko) 2012-08-22 2012-08-22 상하 순환식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780A KR101214779B1 (ko) 2012-08-22 2012-08-22 상하 순환식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4779B1 true KR101214779B1 (ko) 2012-12-21

Family

ID=47908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780A KR101214779B1 (ko) 2012-08-22 2012-08-22 상하 순환식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7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1549A (zh) * 2014-08-29 2014-12-10 朱应传 一种具有恒温节能功效的烘烤箱
KR20210158230A (ko) * 2020-06-23 2021-12-30 전주시시설관리공단 대용량 헬멧 자동 건조장치
CN116182535A (zh) * 2022-12-13 2023-05-30 南京年达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托盘式载体风干炉及风干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5039A (ja) 2005-09-15 2007-03-29 Mitsuo Suzuki 食品類の負圧乾燥装置および食品類の負圧乾燥方法
KR200437956Y1 (ko) 2007-04-24 2008-01-14 장문갑 농수산물 건조기
KR100799345B1 (ko) 2007-10-31 2008-01-30 임병록 벌크타입 원적외선 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5039A (ja) 2005-09-15 2007-03-29 Mitsuo Suzuki 食品類の負圧乾燥装置および食品類の負圧乾燥方法
KR200437956Y1 (ko) 2007-04-24 2008-01-14 장문갑 농수산물 건조기
KR100799345B1 (ko) 2007-10-31 2008-01-30 임병록 벌크타입 원적외선 건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1549A (zh) * 2014-08-29 2014-12-10 朱应传 一种具有恒温节能功效的烘烤箱
KR20210158230A (ko) * 2020-06-23 2021-12-30 전주시시설관리공단 대용량 헬멧 자동 건조장치
KR102396415B1 (ko) * 2020-06-23 2022-05-09 전주시시설관리공단 대용량 헬멧 자동 건조장치
CN116182535A (zh) * 2022-12-13 2023-05-30 南京年达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托盘式载体风干炉及风干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8667A (ko) 상하 순환식 전기 건조기
KR10141463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741192B1 (ko) 의류 건조 장치
KR20170069461A (ko) 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건조기
KR10205237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809130B1 (ko) 의류건조기
EP3779027B1 (en) Dual type drying machine
KR101214779B1 (ko) 상하 순환식 건조기
KR20080098860A (ko) 건조기
EP1595993B1 (en) Clothes dryer
KR200412274Y1 (ko) 농수산물 건조기
JP2017122553A (ja) 建物の空調システム
KR20140106096A (ko) 상하 순환 열풍 건조기
KR100822809B1 (ko) 열풍의 방향을 반전시켜 피건조물의 상하층간 건조율을균일하게 할 수 있는 열풍 건조기 및 건조방법
KR101297908B1 (ko) 농축산물 건조기
KR20130038115A (ko) 스넥용 필렛의 제1 건조기의 환풍장치
KR101473554B1 (ko) 상하 열풍 순환식 전기 건조기
JP2013085681A (ja) 衣類乾燥機
KR100669182B1 (ko) 건조기의 흡배기 순환장치
KR200436113Y1 (ko) 섬유 건조기
KR10198989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648171B1 (ko) 드럼세탁기의 제습장치
KR102613562B1 (ko) 듀얼 타입 건조기
US3239949A (en) Drying cabinet
US426321A (en) Sylvan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