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632A -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 Google Patents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632A
KR20210058632A KR1020200089901A KR20200089901A KR20210058632A KR 20210058632 A KR20210058632 A KR 20210058632A KR 1020200089901 A KR1020200089901 A KR 1020200089901A KR 20200089901 A KR20200089901 A KR 20200089901A KR 20210058632 A KR20210058632 A KR 20210058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ip joint
functional clothing
pad
body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4160B1 (ko
Inventor
이한상
Original Assignee
이한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상 filed Critical 이한상
Priority to PCT/KR2020/01123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85822A1/ko
Publication of KR20210058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8Abdomin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8Combined und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12Component parts
    • A41C1/14Stays; Stee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이다. 특히, 골반 교정을 위한 기능성 의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고관절을 효과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고관절 부위를 효과적으로 압박하고 탈착가능한 고관절 패드를 포함할 수 있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한다. 또한, 일상생활에서도 착용가능한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일반적인 생활을 하는 중에도 지속적으로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FUNTIONAL CLOTHES FOR CORRECTING BODY}
본 발명은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이다. 특히, 골반 교정을 위한 기능성 의류를 제공한다.
골반은 2개의 볼기뼈(무명골, innominate bone)와 엉치뼈(천골, sacrum) 및 꼬리뼈(미골, coccyx)로 구성된다. 볼기뼈는 엉덩뼈(장골, ilium), 궁둥뼈(좌골, ischium), 두덩뼈(치골, pubis)로 구성된다. 볼기뼈는 척추와 양쪽 다리를 이어주는 골격으로 척추를 통해 아래로 내려오는 체중을 다리에 전달하여 걷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내장과 방광, 내부 생식기관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외부의 힘과 충격으로부터 이들 내부 장기들을 보호한다.
도 1은 골반과 고관절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동그라미로 표시된 부분이 고관절에 해당한다. 고관절은 골반과 대퇴골을 잇는 관절로서 팔의 어깨관절에 해당한다. 즉, 골반의 움직임에 따라 고관절이 영향을 받고, 반대로 고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골반이 영향을 받게 된다. 골반과 고관절은 출산이나, 다리를 꼬는 등의 좋지 않은 자세 등으로 쉽게 벌어지거나 틀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의 형태는 도 2에 나타난 동그라미로 표시된 다섯 곳에서 주로 발생된다.
이 다섯 곳의 위치는 골반을 3차원적인 구조로 보았을 때, 각기 다른 공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다섯 곳을 교정하기 위해서는 원칙상 개별적 케어가 필요하다. 하지만, 단 두 곳의 압박만으로 골반을 효율적으로 안정화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그 방법이 바로 좌우의 고관절 압박이다. 고관절은 골반에 사선으로 붙어 있으므로, 양쪽 고관절 부위를 수평 방향이나, 약간의 사선 방향으로(고관절이 붙어있는 방향) 조여주게 되면, 고관절은 골반에 힘을 전달하게 되고, 문제가 되는 다섯 곳이 동시에 수렴될 수 있다. 골반 교정에 있어, 문제가 생긴 부분을 동시에 케어해야 이유는 인간의 몸은 유기체이기 때문이다. 단순히, 한 부위만 고려하여 교정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나머지 네 곳의 문제가 재발할 수 있다. 따라서, 골반 교정을 위해서는 고관절의 위치에 대한 압박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종래 고관절 부위에 압박을 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들이 시판되었다. 의류와 별도로 패드를 부착하는 형태의 경우, 패드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활동을 하는 경우 이에 따라 패드의 위치가 목적한 지점에서 쉽게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없었다. 또한, 패드가 의류와 일체화된 제품의 경우, 패드의 위치는 고정시킬 수 있으나 고정된 패드로 인해 세탁이 불편하거나 의류로서의 착용감이 떨어지는 단점들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시판되고 있는 기구 형태의 체형 교정용 기구는 플라스틱 또는 금형 재질로 되어 있어 노약자 또는 여성이 사용하기에 많은 힘이 들며, 무겁다는 단점 때문에 편의성이 떨어진다.
가장 중요하게는, 이러한 기능성 의류의 목적이 체형 교정임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효과를 적절하게 얻지 못하고 있다. 또는 체형 교정 효과가 일시적으로 나타날 뿐이어서 기능성 의류를 착용하지 않게 되면 빠른 시일 내에 뒤틀린 상태로 돌아가는 부작용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관절에 압박을 가하여 골반 변형을 교정할 수 있고, 또한, 착용감이 우수한 의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신축성과 통풍성을 확보하여 착용감이 우수하고 압박패드를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켜 체형 교정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속옷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고관절을 압박할 수 있는 수평벨트 및/또는 사선벨트를 제공하며, 특히, 벨트의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벨트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고관절 부위에 압박을 가할 수 있는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로서, 사용자의 허리부위에서 상기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를 고정시키는 허리고정부; 상기 허리고정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내피부; 고관절 패드를 수용할 수 있는 패드 고정부; 상기 패드 고정부에 수용될 수 있고, 사용자의 고관절 부위에 압박을 가할 수 있는 볼록한 상부면을 포함하는 고관절 패드; 및 상기 고관절 패드가 수용되는 영역을 덮도록 배치되는 압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부가 배치된 영역은 상기 압박부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보다 더 큰 압박력을 가지는,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패드 고정부는 상기 내피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압박부는 상기 내피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고관절 패드의 상기 볼록한 상부면은 사용자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관절 패드는 직경은 3cm 이상에서 20cm 이하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관절 패드의 하부면은 평탄한 면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박부는 사용자의 하부 둔부를 감싸면서 상기 허리고정부의 정면 중심 방향으로 사선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압박부와 상기 허리고정부를 연결하고, 상기 압박부와의 연결부위로부터 상기 허리고정부와의 연결부위까지 사선으로 이어지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압박부와 상기 허리고정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허리고정부와 상기 제1연결부 사이의 각도는, 상기 허리고정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의 각도보다 작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허리고정부의 정면 중앙에서 상기 허리고정부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압박부와 상기 허리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보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보조부는 상기 허리고정부 전면부의 70% 이상과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압박부와 상기 허리고정부 후면부를 연결하는 제3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허리고정부 후면부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의 전면부로 연장되는 제4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피부는 사용자의 허리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며, 사용자의 복부 부위에 압박을 가할 수 있는 추가 압박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압박부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그물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드 고정부는 상기 고관절 패드의 직경보다 작거나 크게 조절이 가능한 개구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의류는 일 영역에 배치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사용자는 상기 기능성 의류를 착용한 후, 상기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상기 기능성 의류를 사용자의 몸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는,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로서,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하나의 상부 개구부와 사용자의 두 다리가 통과할 수 있는 두 개의 하부 개구부를 포함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일 영역에 배치되고 개구부를 포함하는 벨트 고정부; 및 상기 벨트 고정부의 개구부를 통과하고 사용자의 고관절 부위에 압박을 가할 수 있는 수평벨트를 포함하는,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의 좌우 골반 부위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골반패드를 포함하여 상기 골반패드가 접촉하는 골반 부위에 압박을 가할 수 있는 사선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선벨트의 상단부는 사용자의 일측 골반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골반 부위에서 사선 방향으로 하방 압박을 가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로서,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하나의 상부 개구부와 사용자의 두 다리가 통과할 수 있는 두 개의 하부 개구부를 포함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일 영역에 배치되고 개구부를 포함하는 벨트 고정부; 및 사용자의 좌우 골반부위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골반패드를 포함하여 상기 골반패드가 접촉하는 골반부위에 압박을 가할 수 있는 사선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선벨트의 상단부는 사용자의 일측 골반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골반 부위에서 사선 방향으로 하방 압박을 가할 수 있는,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선 벨트의 하단부는 상기 벨트 고정부와 결합이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는 부재 별로 분리가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원하는 부재만 착용이 가능하고 세탁 및 관리가 용이하다. 특히, 목적하는 신체 교정 효과를 매우 간편하게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겉으로 드러나는 신체라인 또는 옷맵시를 개선하여 신체 보정 효과 역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관절 부위를 압박하는 패드의 위치를 고정시켜 사용자가 신체활동을 하는 경우에도 패드의 위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신체 교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골반과 고관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골반 틀어짐이 발생하는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후면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고관절 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고관절 패드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기능성 의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체 교정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체 교정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일실시예는 골반 변형과 같은 체형을 교정할 수 있는 기능성 속옷을 제공한다. 통상 체형 교정 기구는 별도의 기구를 장착하게 되므로 일상생활 도중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특히 외부활동이나 운동 등을 할 수 없어 한정된 장소와 한정된 시간에만 교정이 가능하다. 반면,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속옷은 일반 속옷과 같이 착용하고 활동을 할 수 있어, 시간과 장소의 제한없이 지속적으로 체형교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속옷은 예를 들어 팬티, 드로즈(바지형 팬티), 브리프, 거들, 올인원, 코르셋, 콤비네이션(아래위가 연결된 속옷), 란제리, 언더웨어, 파운데이션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재질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탄성 소재일 수 있다.
기능성 속옷의 상단부는 스틸본 지지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속옷의 하단부는 밴딩으로 마감될 수 있으며, 이는 속옷의 다리 부분이 위로 말려올라가고 이에 따라 신체 교정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능성 속옷의 패턴은 다수 임상시험을 통해 특정 지점을 효율적으로 압박할 수 있도록 하는 패턴, 또는 탄성으로 인해 사용자의 엉덩이를 올려주고 배를 잡아주는 패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패턴은 사용자에게 교정 및 보정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속옷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능성 속옷은 허리고정부(31), 압박부(32), 제1연결부(33), 제2연결부(34), 연결보조부(35), 내피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허리고정부(31)는 밴드형태로 이루어져 기능성 속옷이 허리부위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통상의 속옷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탄성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복부에 압박감을 주지 않으면서도 기능성 속옷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속옷은 사용자의 신체에 압박을 주어 신체 교정을 수행하게 되므로 허리고정부(31)는 일반적인 속옷보다 더 큰 강도와 고정력을 가질 수도 있다.
내피부(36)는 허리고정부(31)에서 양쪽 다리로 연장되며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다. 양쪽 다리로 연장되는 하단부는 밴딩부를 포함하여, 내피부(36)의 하단부가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와는 다른 수단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내피부(36)의 하단부는 사용자의 양 다리가 통과하는 개구부를 가질 수도 있으며, 또는 스타킹과 같은 의류에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발을 덮도록 개구부 없이 연장될 수도 있다.
압박부(32)는 사용자의 고관절 부위를 압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압박부(32)는 내피부(36)보다 탄성이 높은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물구조와 같은 패턴으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고관절 부위를 압박할 수 있다. 압박부(32)는 내피부(36) 상부에 부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박부(32) 영역에는 내피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압박부(32)는 내피부(36)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직조되고, 내피부(36)에 부가적으로 형성되어 내피부(36)만 있는 영역보다 큰 압박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내피부(36)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내피부(36)보다 더 촘촘하게 직조되어 내피부(36)의 다른 영역보다 더 큰 압박력을 가질 수도 있다.
압박부(32)는 양 다리의 외측에서 몸통의 상부 중심 방향으로 압박을 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관절은 비스듬한 형태로 골반과 대퇴부를 연결하는 관절이다. 따라서, 고관절이 제 위치에 유지되도록 힘을 주기 위해서는 사선방향으로, 예를 들어, 5시 방향에서 11시 방향으로, 또는 7시에서 1시 방향으로 압박이 가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압박부(32)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형태가 아니라 몸통 상부를 향하여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단순히 골반영역을 압박하는 것이 아니라 고관절이 위치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지고 압박을 가하게 된다.
또한, 압박부(32)는 후술할 고관절 패드가 부착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관절 패드를 덮는 형태로 압박부(32)가 형성되어 고관절 패드가 사용자의 몸에 압박될 수 있도록 힘을 가해줄 수 있다. 압박부(32)는 고관절 패드를 덮도록 후면부에서 전면부로 연장될 수도 있으며, 또는, 고관절 패드가 부착되는 영역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압박부(32)는 강한 압박을 주면서도 사용자의 착용감을 해치지 않도록 망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강한 압박을 주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되어야 하므로 통풍성이 중요하다. 따라서, 통풍성을 향상시키도록 망사 형태 또는 다양한 형상의 패턴이 적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는 압박부(32)의 구체적인 패턴 형상에 따라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심미적 요소도 가미하여 다양한 형태의 패턴이 적용될 수 있다.
제1연결부(33)는 압박부(32)와 허리고정부(31)를 연결할 수 있다. 압박부(32)가 사용자의 고관절에 강한 압박을 주기 위해서는 압박부(32) 자체가 강도와 탄성력이 높아야 할 뿐만 아니라 이를 고정부위에 강하게 체결하는 것도 중요하다. 제1연결부(33)는 압박부(32)를 허리고정부(31)에 연결하고, 특히 높은 탄성력을 통해 압박부(32)를 몸통 중심 방향으로 당겨줄 수 있다. 즉, 일실시예에서 제1연결부(33)는 허리고정부(31)의 중심으로 비스듬한 사선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압박부(32)를 몸통의 중심방향으로 당겨주게 되므로 상술한 압박부의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2연결부(34)는 제1연결부(33)와 마찬가지로 압박부(32)를 허리고정부(31)에 연결시킨다. 제2연결부(34) 또한 압박부가 고관절 부위에 적절한 압박을 가할 수 있도록 강도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박부(32)는 제1연결부(33), 제2연결부(34), 그리고 후술할 제3연결부(43)를 통해 허리고정부(31)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압박부(32)가 몸통의 중심부를 향해 당겨주도록 하여 고관절 부위에 강한 압박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신체 교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연결보조부(35)는 제1연결부(33) 및 제2연결부(34)를 보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연결부들이 허리고정부에 접촉하는 지점이 좁으면 그 결합이 약할 수밖에 없다. 연결보조부(35)는 허리고정부(31) 전면부의 대부분과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의 측면부분을 연결함으로써 결합되는 부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허리고정부(31) 전면부의 70% 이상과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일실시예와 같이 강한 압박을 제공하는 경우 강한 장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결합 지점이 좁은 경우 장력이 집중되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보조부(35)와 같이 결합 부위를 확대함으로써 장력을 분산시켜 결합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보조부(35)는 추가적으로 압박부와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제1연결부(33), 제2연결부(34), 및 허리고정부(31)는 삼각형태의 영역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연결부(33)와 허리고정부(31) 사이의 각도는, 제2연결부(34)와 허리고정부(31) 사이의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가 더 큰 힘으로 당겨주도록 제1연결부의 두께가 제2연결부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또는, 두께는 동일하더라도 밀도를 높이거나 재질을 달리하여 제1연결부가 더 큰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압박부(32)가 고관절 위치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허리고정부(31)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압박부(32)의 측면이 몸통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허리고정부(31)와 면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33) 및 제2연결부(34)는 압박부(32)와 허리고정부(31)의 결합에 추가적으로 장력을 제공하여 더욱 큰 압박을 줄 수 있고, 따라서, 더욱 큰 신체 교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의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3연결부(43)는 후면에서 압박부(42)와 허리고정부(41)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허리고정부(41)의 중심부에 연결되는 제4연결부(44)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상, 신체활동시 둔부 영역의 활동반경이 크다. 따라서, 후면부는 압박부(42)를 통한 압박을 가하면서도 활동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전면부와는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일실시예에서는 제3연결부(43)를 허리고정부(41)의 중심이 아닌 중심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부위에서 허리고정부(41)와 연결하고 있다. 이를 통해 압박부(42)를 지지하면서도 사용자의 착용감 및 활동성이 저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압박부(51)를 측면에서 보면 상부는 수평에 가까우며 하부는 사선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비대칭 구조를 통해 고관절에 더욱 효과적인 압박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압박부(51)의 측면 둔부 위치에는 패드 고정부(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드 고정부(52)는 주머니의 형태로서 이 위치에 고관절 패드를 장착할 수 있다. 고관절 패드를 장착하는 경우, 기능성 속옷은 압박부(51)를 통한 압박과 고관절 패드를 통한 압박을 고관절 부위에 동시에 가하게 되므로, 더욱 큰 신체 교정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패드 고정부(52)는 사용자의 둔부의 측면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고관절 부위에 압박을 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고관절 패드는 사용자의 골반부의 특정 위치, 예를 들어 고관절 부위에 압박을 가한다. 이러한 고관절 패드의 압박은 사용자의 벌어져 있는 골반의 골격을 정상 상태로 좁혀질 수 있도록 또는 수렴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출산 이후 여성들은 출산으로 인해 골반이 벌어져 있으며, 노년층은 나이가 들면서 근육이 약화되어 골반의 골격이 벌어져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속옷에 고관절 패드를 장착하는 경우 고관절 패드는 벌어져 있는 골반이 좁혀질 수 있도록 특정 지점을 효과적으로 압박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신체 교정 기능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고관절 패드를 수용하는 패드 고정부(52)가 기능성 속옷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고관절 패드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고, 또한, 고관절 패드를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기능성 속옷의 세탁이 용이하다. 패드 고정부(52)는 고관절 패드의 직경보다 작거나 크게 조절이 가능한 개구부를 상부에 가지고 있으므로 고관절 패드가 일상 활동시에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는 상부가 아닌 측면 등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그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패드 고정부(52)는 내피부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고관절 패드가 장착되었을 때, 고관절 패드는 사용자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고관절 패드가 장착되는 영역의 내피부 외측에는 상술한 압박부가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내피부를 중심으로 사용자 방향으로 고관절 패드가 배치되고 그 반대방향으로 압박부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고관절 패드가 사용자의 고관절 부위를 압박하도록 압박부가 힘을 가해줄 수 있다.
또한, 고관절 패드가 내피부의 외측에 장착되고 그 상부를 압박부가 덮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도 6은 고관절 패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고관절 패드(61)의 한쪽 면은 볼록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반대쪽 면은 평탄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반구 형상 또는 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관절 패드(61)의 측면은 둥근 형상으로 구성되어 패드 고정부에 장착하거나 탈착할 때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고, 심미적으로도 이물감이 없도록 할 수 있다. 고관절 패드(61)의 볼록한 면은 사용자의 몸에 압박을 가하는 부위이고, 평탄한 면은 그 반대면일 수 있다. 또한, 평탄한 면 대신에 볼록한 면이 활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능성 의류를 착용했을 때 고관절 패드가 드러나지 않도록 완만한 곡선을 가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는, 평탄한 면 대신에 오목한 면이 적용될 수도 있다.
고관절 패드(61)의 재질은 압박을 주기 위한 일정한 강도를 가지면서도, 착용시 불편하지 않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이면 만족하는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재질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고관절 패드(61)는 플라스틱, 실리콘, 스트로폼이 적층되고 그 표면을 메쉬 형태의 섬유가 덮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고관절 패드(61)의 직경은 3cm 이상에서 20cm 이하일 수 있다.
도 7은 고관절 패드(71)가 기능성 속옷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고관절 패드(71)의 볼록한 면이 사용자의 몸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고관절 패드(71)는 평탄한 면이 사용자측으로 배치되고 볼록한 면이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 고정부(72)의 개구부는 직경 조절이 가능하여 고관절 패드(71)가 장착된 후에는 그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압박부가 우측 하부에서 좌측 상부로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반대측에서는 좌측 하부에서 우측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우측 하부의 고관절 부위에서는 좌측 상부로 압력을 가해주고, 좌측 상부의 골반 상부에서는 우측 하부로 압력을 가해주어 고관절을 압박해 줄 수 있다.
압박부는 기능성 속옷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는 측면 고정부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측 고관절 부위에서는 우측 하부의 측면부와 결합되고, 좌측 골반 상부 부위에서는 좌측 상부의 측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압박부는 내피부보다 큰 압박력을 가져 사용자의 고관절 부위를 압박할 수 있다.
압박부는 좌우측이 교차하여 연결되며, 교차하는 지점의 중심부에서는 기능성 속옷의 중심 연결부와 결합될 수 있다. 중심 연결부는 압박부를 중간 지점에서 다시 고정시켜 줌으로써 하부로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시켜 줄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속옷의 상부를 사용자의 허리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연장시키고, 복부 부위에 추가적인 압박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골반의 틀어짐을 막아주는 체형 교정뿐만 아니라, 복부 쳐짐을 막아주는 체형 보정의 효과도 거둘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고관절 부위에는 패드 고정부와 고관절 패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속옷은 사용자의 체형, 예를 들어 배, 엉덩이, 허벅지를 보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라인을 매끄럽게 만들어준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는 사용자의 아랫배 또는 복부를 지그시 압박하는 타미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뱃살을 가려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는 후면의 힙업 라인을 통해 쳐진 엉덩이를 힙업시켜줄 수 있으며, 겉옷을 착용하였을 때 옷맵시를 훨씬 좋게 해준다.
또한, 실시예들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속옷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속옷 이외의 의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능성 의류는 사용자의 고관절에 압박을 가해주기 위해 전체적으로 압박감이 있기 때문에 이를 입거나 벗을 때 불편함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기능성 의류의 일 영역에, 예를 들어, 측면에 체결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퍼, 단추, 밸크로, 후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체결수단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의 체결수단이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능성 의류를 착용하고 그 후에 체결수단을 결합시킴으로써 착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고, 착용 후 사용자의 몸에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형 교정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골반이 틀어져 좌우의 높이가 다른 경우, 고관절 패드와 함께 골반 패드를 적용하는 경우 더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관절 패드 압박 위치(82)에 좌우로 고관절 패드를 배치하고, 골반이 틀어져 높은 쪽의 위치, 즉, 골반 패드 압박 위치(81)에 골반 패드를 배치함으로써, 고관절에 압박을 줌과 동시에 높아진 골반에 하방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관절 패드, 골반 패드를 신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수평벨트 및 사선벨트가 활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체형 교정 기구는 두 개의 고관절 패드(86)를 포함하는 수평벨트(84), 골반 패드(85)를 포함하는 사선벨트(8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평벨트(84)와 사선벨트(83)는 벨트 연결부(87)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수평벨트(84)는 고관절 패드(86)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들어, 수평벨트와 같이 착용하는 기능성 의류에 이미 고관절 패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수평벨트에 별도의 고관절 패드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벨트(84)는 사용자의 고관절 또는 허리부를 지나가도록 착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고관절 위를 지나가도록 착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남성의 경우 수평벨트(84)는 낭심 부위를 지나가도록 착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벨트(84)의 양단을 체결하는 방식은 도르레, 벨크로, 단추, 지퍼, 끈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평벨트(84)의 양단은 사용자 신체의 임의의 부위에서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배꼽 아래, 좌측 옆구리, 우측 옆구리 등의 위치에서 수평벨트(84)의 양단이 체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사선벨트(83)는 사용자의 골반능 또는 골반뼈를 지나가도록 착용할 수 있다.
사선벨트(83)를 착용하는 경우, 사선벨트(83)는 사용자의 좌측 또는 우측 옆구리에서 수평벨트(84)와 체결될 수 있으며, 이때 수평벨트(84)와 사선벨트(83)는 삼각형 구조를 이룬다. 이와 같은 삼각형 구조는 사용자에게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면서도 뒤틀리거나 비틀어진 골반과 같은 체형을 교정시켜준다.
사선벨트(83)는 특히 좌우 골반의 높이가 다른 사용자에 대해 매우 우수한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좌우 골반의 불균형 및 비대칭은 사용자의 비정상 골격 구조를 점점 더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며, 심지어 골반에서 이어지는 척추, 어깨 등처럼 다른 신체 부위에 대해서도 뒤틀림 현상을 유발하고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만일 사용자가 바로 서 있을 때 우측 골반이 좌측 골반보다 더 높이 위치해 있다면, 사선벨트(83)의 상단부가 우측 골반 뼈 위에 걸리도록 장착된다. 사선벨트를 체결함에 따라 사선벨트(83)의 상단부는 우측 골반 뼈에 대해 하방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며, 상대적으로 위로 올라가 있는 우측 골반 뼈는 점진적으로 좌측 골반 뼈의 높이에 상응하는 위치로 내려오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바로 서 있을 때 좌측 골반이 우측 골반보다 더 높이 위치해 있다면, 사선벨트(83)의 상단부가 좌측 골반 뼈 위에 걸리도록 장착된다. 사선벨트(83)를 체결함에 따라 사선벨트(83)의 상단부는 좌측 골반 뼈에 대해 하방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며, 상대적으로 위로 올라가 있는 좌측 골반 뼈는 점진적으로 우측 골반 뼈의 높이에 상응하는 위치로 내려오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골반 중에서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쪽이 더 비정상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으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유용성이 매우 크며 다양하다.
사선벨트(83)는 골반패드(85)를 포함할 수 있다. 골반패드(85)는 예를 들어 실리콘, 섬유, 면직, 우레탄, 플라스틱 등의 재질을 패드의 내부에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골반에 압박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골반패드(85)는 사선벨트(83)를 착용할 때 사선벨트(83)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골반패드(85)는 골반 뼈 위에 더 잘 걸리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골반 뼈에 대해 더 강한 하방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수평벨트는 사용자의 고관절 부위를 지나가도록 착용되며, 사선벨트는 사용자의 골반능 또는 골반뼈를 지나가도록 착용될 수 있다.
골반 패드 및 고관절 패드의 위치는 이동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에 맞도록 패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체형 교정 기구에서는 수평벨트와 사선벨트가 결합된 형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평벨트만 포함하는 체형 교정 기구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수평벨트는 고관절 패드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고관절을 압박할 수 있다. 골반의 상하 비틀림이 없는 경우에는 사선벨트 없이 수평벨트만을 착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선벨트는 어느 한쪽 골반만을 하방으로 압박하므로 골반의 상하 틀어짐이 없는 상태에서 사선벨트를 착용하는 경우는 오히려 골반의 상하 틀어짐을 유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골반 벌어짐 등과 같은 경우에는 사선벨트 없이 수평벨트만 착용하는 것이 체형 교정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 따른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는 착용부(94, 104), 사선벨트(91, 101), 수평벨트(92, 102), 및 벨트 고정부(93, 103)을 포함할 수 있다.
착용부(94)는 사용자가 일상적인 의류와 같이 착용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착용부(94)는 벨트 고정부(93)와 결합되어 있다. 즉, 착용부(94)와 벨트 고정부(93)는 일체형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분리 제조된 후 재봉이나 기타 결합수단을 통해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벨트 고정부(93)는 수평벨트(92)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수평벨트(92)는 벨트 고정부(93)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체결되는 것으로서 수평벨트(92)는 개구부에 의해 상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 9의 의류를 착용하는 경우, 수평벨트(92)의 상하 위치는 사용자가 어떤 동작을 하더라도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에서 설명한 체형 고정 기구의 경우, 착용 후 사용자가 움직임에 따라 벨트의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일어섰다가 앉거나 그 반대의 경우 또는 평소보다 과격한 움직임을 하는 경우 벨트의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특히, 사선벨트가 골반 상부에 걸쳐져서 고정되는 것과 달리 수평벨트는 상하 움직임을 막아줄 수 있는 고정 위치가 없어 수평벨트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부벨트에도 적절한 압력을 가해주기 어려울 수 있다.
반면, 도9의 실시예에서는 수평벨트(92)가 벨트 고정부(93)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체결되므로 사용자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사선벨트(91)는 상부 측에서는 사용자의 골반능에 고정될 수 있고, 사선방향으로 연장되어 벨트 고정부(93)에 고정될 수 있다. 벨트 고정부(93)의 개구부 상측에는 사선벨트(91)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벨크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선벨트(91)의 하단부는 착용부(94)에 고정되어 결합되며, 상부는 사용자의 골반능에 고정되어 골반부에 압박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사선벨트(91)의 상부에는 골반패드가 장착될 수 있다. 골반패드는 사선벨트(91)에 고정될 수도 있고 탈착가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벨트와 사선벨트를 의류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일상생활을 하면서도 골반과 고관절에 지속적인 압박을 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체형 교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의 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벨트 고정부(103)는 착용부(104)의 측면을 따라서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연장된 벨트 고정부(103)의 중심 부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수평벨트(102)가 개구부를 통과하여 체결될 수 있다.
특히, 벨트 고정부(103)의 상부측에는 사선벨트(101)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결합수단은 사선벨트(101)를 탈부착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벨크로가 구비될 수 있다.
벨트 고정부(103)의 상부측은 두 갈래로 분기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벨트 고정부(103)는 전체적으로 'Y'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벨트 고정부(103)의 상부측은 두 갈래로 분기되고 양측 모두에 사선벨트(101)와의 결합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선벨트(101)가 벨트 고정부(103)에 결합될 때, 사선벨트(101)는 반대편 상부에서 사선으로 내려오면서 결합되므로 측면에서 봤을 때는 'V' 형상으로 벨트 고정부(103)와 만나게 된다. 따라서, 벨트 고정부(103)를 'Y' 형상과 같이 두 갈래로 분기되는 형상으로 구비함으로써 사선벨트(101)와 벨트 고정부(103)가 접촉하는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특히 벨트 고정부(103)의 결합수단이 벨크로인 경우, 이와 같은 접촉 면적의 최대화는 결합력의 강화와 직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선벨트는 벨트 고정부 표면의 결합수단과 결합되어 반대편 상부의 골반부위에 강한 압력을 가해줄 수 있고, 수평벨트는 벨트 고정부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체결되므로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어 고관절에 적합한 압력을 지속적으로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의류는 본 발명에 따른 속옷만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고관절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의류는 본 발명에 따른 속옷 및 수평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의류는 본 발명에 따른 속옷, 수평벨트 및 사선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선벨트는 골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는 실생활에서 오래 착용할수록 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실생활에서 빨래, 청소, 요리 등을 하는 동안에도 본 발명에 따른 의류를 착용하고 있으면, 사용자가 일상생활 속에서 움직이는 임의의 행동들이 교정 운동 효과를 자연스럽게 나타낼 수 있게 해준다. 이는 사용자가 별도의 시간을 내어 교정 운동을 따로 하지 않더라도 일상생활의 움직임을 통해 교정이 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매우 유리하다.
또한, 종래의 교정 기기 또는 교정 의류는 더 이상 착용하지 않거나 사용하지 않게 되면 교정되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현상이 발생하여, 효과의 지속성이 문제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의류는 사용 기간에 걸쳐 골반과 같은 체형을 정상 위치로 바로잡아주고, 정상 또는 정상에 가까워진 체형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일상생활을 통해 계속 움직임에 따라 교정 운동을 행하는 결과가 되므로, 근육이 생성되거나 강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와 종래 제품과의 큰 차이점 중 하나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의류는 사용을 통해 근육을 생성하거나 강화시키므로, 착용을 더 이상 하지 않는 경우에도 이미 생성된 근육에 의해 정상으로 돌아온 체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힘이 강해진다. 이는 뒤틀리거나 틀어진 골반과 같은 체형을 근본적으로 치료하고 지속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를 오랜 기간 동안 착용시 땀이나 이물질로 인해 냄새가 발생할 수 있고 위생상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의류는 속옷, 수평벨트 및 사선벨트와 패드가 필요에 따라 상호 분리가 용이하게 가능하므로, 속옷 부분처럼 원하는 부재만 분리하여 간편하게 세탁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31: 허리고정부 32: 압박부 33: 제1연결부
34: 제2연결부 35: 연결보조부 36: 내피부
41: 허리고정부 42: 압박부 43: 제3연결부
44: 제4연결부 46: 내피부 51: 압박부
52: 패드 고정부 61: 고관절 패드 71: 고관절 패드
72: 패드 고정부 81: 골반 패드 압박 위치
82: 고관절 패드 압박 위치
83: 사선벨트 84: 수평벨트 85: 골반 패드
86: 고관절 패드 87: 벨트 연결부 94, 104: 착용부
91, 101: 사선벨트 92, 102: 수평벨트 93, 103: 벨트 고정부

Claims (18)

  1. 사용자의 고관절 부위에 압박을 가할 수 있는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로서,
    사용자의 허리부위에서 상기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를 고정시키는 허리고정부;
    상기 허리고정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내피부;
    고관절 패드를 수용할 수 있는 패드 고정부;
    상기 패드 고정부에 수용될 수 있고, 사용자의 고관절 부위에 압박을 가할 수 있는 볼록한 상부면을 포함하는 고관절 패드; 및
    상기 고관절 패드가 수용되는 영역을 덮도록 배치되는 압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부가 배치된 영역은 상기 압박부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보다 더 큰 압박력을 가지는,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고정부는 상기 내피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압박부는 상기 내피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고관절 패드의 상기 볼록한 상부면은 사용자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관절 패드는 직경은 3cm 이상에서 20cm 이하인,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관절 패드의 하부면은 평탄한 면인,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는 사용자의 하부 둔부를 감싸면서 상기 허리고정부의 정면 중심 방향으로 사선으로 연장되는,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와 상기 허리고정부를 연결하고, 상기 압박부와의 연결부위로부터 상기 허리고정부와의 연결부위까지 사선으로 이어지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압박부와 상기 허리고정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허리고정부와 상기 제1연결부 사이의 각도는, 상기 허리고정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의 각도보다 작은,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허리고정부의 정면 중앙에서 상기 허리고정부와 연결되는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와 상기 허리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보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보조부는 상기 허리고정부 전면부의 70% 이상과 연결되는,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와 상기 허리고정부 후면부를 연결하는 제3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고정부 후면부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의 전면부로 연장되는 제4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부는 사용자의 허리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며,
    사용자의 복부 부위에 압박을 가할 수 있는 추가 압박부를 더 포함하는,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그물 구조로 형성되는,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고정부는 상기 고관절 패드의 직경보다 작거나 크게 조절이 가능한 개구부를 포함하는,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의류는 일 영역에 배치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사용자는 상기 기능성 의류를 착용한 후, 상기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상기 기능성 의류를 사용자의 몸에 고정시킬 수 있는,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15.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로서,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하나의 상부 개구부와 사용자의 두 다리가 통과할 수 있는 두 개의 하부 개구부를 포함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일 영역에 배치되고 개구부를 포함하는 벨트 고정부; 및
    상기 벨트 고정부의 개구부를 통과하고 사용자의 고관절 부위에 압박을 가할 수 있는 수평벨트를 포함하는,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좌우 골반 부위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골반패드를 포함하여 상기 골반패드가 접촉하는 골반 부위에 압박을 가할 수 있는 사선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선벨트의 상단부는 사용자의 일측 골반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골반 부위에서 사선 방향으로 하방 압박을 가할 수 있는,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17.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로서,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하나의 상부 개구부와 사용자의 두 다리가 통과할 수 있는 두 개의 하부 개구부를 포함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일 영역에 배치되고 개구부를 포함하는 벨트 고정부; 및
    사용자의 좌우 골반부위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골반패드를 포함하여 상기 골반패드가 접촉하는 골반부위에 압박을 가할 수 있는 사선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선벨트의 상단부는 사용자의 일측 골반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골반 부위에서 사선 방향으로 하방 압박을 가할 수 있는,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선 벨트의 하단부는 상기 벨트 고정부와 결합이 가능한,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KR1020200089901A 2019-10-30 2020-07-20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KR102304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1238 WO2021085822A1 (ko) 2019-10-30 2020-08-24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232 2019-11-14
KR20190146232 2019-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632A true KR20210058632A (ko) 2021-05-24
KR102304160B1 KR102304160B1 (ko) 2021-09-23

Family

ID=76153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901A KR102304160B1 (ko) 2019-10-30 2020-07-20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1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579B1 (ko) * 2021-04-26 2024-02-01 이민진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9864A (ja) * 1997-09-17 1999-04-06 Arukea Kk パッド付き股関節用サポーター
JP2001140106A (ja) * 1999-11-04 2001-05-22 Tobi Co Ltd 補整下着
JP2010070891A (ja) * 2008-09-22 2010-04-02 Morito Co Ltd 転倒防護下半身用衣類
KR200464651Y1 (ko) * 2012-09-11 2013-01-14 박윤자 바지용 힙 보정기구
JP5419323B2 (ja) * 2006-12-01 2014-02-19 株式会社デサント 旋回機能を有するスポーツウェア
KR101813516B1 (ko) * 2015-07-14 2017-12-29 박윤미 3차원 신체 교정 장치
US20190249746A1 (en) * 2018-02-15 2019-08-15 Neil Saley Joint Cushioning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9864A (ja) * 1997-09-17 1999-04-06 Arukea Kk パッド付き股関節用サポーター
JP2001140106A (ja) * 1999-11-04 2001-05-22 Tobi Co Ltd 補整下着
JP5419323B2 (ja) * 2006-12-01 2014-02-19 株式会社デサント 旋回機能を有するスポーツウェア
JP2010070891A (ja) * 2008-09-22 2010-04-02 Morito Co Ltd 転倒防護下半身用衣類
KR200464651Y1 (ko) * 2012-09-11 2013-01-14 박윤자 바지용 힙 보정기구
KR101813516B1 (ko) * 2015-07-14 2017-12-29 박윤미 3차원 신체 교정 장치
US20190249746A1 (en) * 2018-02-15 2019-08-15 Neil Saley Joint Cushio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160B1 (ko)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29625A1 (en) Posture Control and Therapy System
US7509822B2 (en) Article of clothing with effects of back pain exercise
US20170354530A1 (en) Multifunctional vest for posture correcting, pain relieving and workout boosting
KR102093651B1 (ko) 감각운동자극 의류 및 방법
US6422917B1 (en) Therapeutic brassiere
KR101036795B1 (ko) 신축성밴드를 이용한 힙업용 속옷
US20210235786A1 (en) Garment
AU2017367452A1 (en) Core supporter and wear provided with same
KR102304160B1 (ko)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JP2019173256A (ja) 姿勢回復治療用ブラジャー
KR101291565B1 (ko) 벨트가 부착된 탈착형 히퍼지어
KR200472601Y1 (ko) 산욕용 골반교정 벨트
KR101515757B1 (ko) 지지밴드가 구비된 기능성 의복
KR101467143B1 (ko) 지지밴드가 구비된 기능성 의복
WO2021085822A1 (ko)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CA3178061A1 (en) Scoliosis brace
RU173740U1 (ru) Детский форменный жилет с элементами коррекции осанки
JP2022523278A (ja) 姿勢回復及び胸郭可動性のための運動学的ブラジャー
KR20120002087U (ko) 몸매 및 자세교정 란제리
CN210008549U (zh) 一种乳房假体重建后养护用的塑形衣
KR102632579B1 (ko)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
RU187058U1 (ru) Детский жилет с элементами коррекции осанки
KR200212063Y1 (ko) 여성용 보디슈츠
KR102631511B1 (ko) 자세교정용 의류
CN211091927U (zh) 能有效分隔双乳的术后内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