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579B1 -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579B1
KR102632579B1 KR1020210053399A KR20210053399A KR102632579B1 KR 102632579 B1 KR102632579 B1 KR 102632579B1 KR 1020210053399 A KR1020210053399 A KR 1020210053399A KR 20210053399 A KR20210053399 A KR 20210053399A KR 102632579 B1 KR102632579 B1 KR 102632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unit
line
wearer
cor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6755A (ko
Inventor
이민진
Original Assignee
이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진 filed Critical 이민진
Priority to KR1020210053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579B1/ko
Publication of KR20220146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5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2Elast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8Abdomin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복부를 선택적으로 압박하기 위한 코르셋의 시스템에 있어서, 코르셋의 몸체를 형성하고, 착용자의 보디 하부를 감싸는 보디 유닛; 보디 유닛의 상단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허리부위를 감싸 압박하는 밴드 유닛; 보디 유닛의 전면에 한 쌍으로 배치되어 각각이 밴드 유닛으로부터 보디 유닛의 하부 중심까지 연결되어, 착용자의 소정의 라인을 가압하는 텐션 라인 유닛; 및 보디 유닛의 전면 중 텐션 라인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하복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텐션 빌드 유닛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Corset system for pressuring lower abdomen by using resistance of structural mechanics}
본 발명은 압박 기능을 구비하는 코르셋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하복부를 선택적으로 압박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하복부에 제공되는 코르셋의 전면에 소정의 형상을 통하여 하복부를 선택적으로 압박하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는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최근 자기 만족이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며, 언더웨어도 대중들에게 패션의 일부로 인식되고 있으며, 소비자에게는 디자인과 칼라 등의 심미적 요소와 함께 기능적 요소까지 구매의 고려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기능에 초점을 둔 언더웨어는 자신의 몸을 건강하고 편안하게 돌보려는 노력으로부터 시작되며, 골반이나 다이 사이를 압박하는지, 마찰에 의한 피부 자극은 없는지 살피고 우선적으로 착용자에게 편안한 느낌을 주는지를 지향하는 등의 자신의 몸을 편안하게 돌보고자 하는 긍정적인 소비자들의 의견을 반영한 시장으로 변화하고 있다.
기능성 속옷은 압박이 심한 보정속옷이라는 인식과 더불어 40~50대의 전유물로만 여겨졌지만, 기능성 언더웨어 시장이 기능성 소재 상품, 다이어트, 스포츠 등의 키워드와 다양한 유통 채널을 통하여 20~30 대의 소비층으로 확대되고 있다.
2019년 2월, 국내 여성 속옷 브랜드 '컴포트랩(Comfortlab)'이 6개월간 수집한 약 5만 건의 후기를 통해 고객들의 속옷 선호를 분석한 결과, 컴포트랩의 통계에 따르면 몸이 편안한 속옷을 선택한 고객은 약 84%, 세련된 디자인의 속옷을 선택한 고객은 약 16%로 편안함을 추구하는 여성이 다수였다.
다음의 분석에 대한 결과는, 기존의 실루엣만을 강조하던 이너웨어 시장에서 편안함과 만족감을 중시하는 소비 패턴으로의 전환이 일어나고 있으며, 속옷 시장도 편안함을 강조한 디자인과 소재를 활용한 제품들이 소비자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기능성 언더웨어 시장의 경우, 편안함과 기능성을 함께 추구하는 수요자들의 다양한 니즈에 맞추어 기능성에 대한 효과는 높이면서 편안하고 심미적인 디자인을 가지도록 하는 기술적인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언더웨어의 기능성을 향상하기 위한 선행 특허문헌으로는 “바디라인 쉐이핑용 언더웨어(등록번호 제10-1556770 호,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
인용발명 1의 경우, 착용자의 하체에 밀착하는 언더웨어 본체와; 본체에서 엉덩이와 밀착하는 엉덩이밀착부의 외측면에 위치하며 엉덩이 부위를 커버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적층되며, 본체 외부에서 베이스부와 함께 착용자의 바디라인을 형성하는 포밍부를 포함한다.
인용발명 1의 경우, 바디라인 쉐이핑용 언더웨어는, 인종이 다르거나 혹은 개별적인 체형이 다르거나 목적하는 바디라인의 스타일이 다르더라도, 엉덩이의 모양 상태에 대응한 이상적이고 매우 디테일한 바디라인을 연출할 수 있어 그만큼 만족도와 상품성이 뛰어나고 스타일의 구현 방법이 다양하며, 아울러, 엉덩이 중앙의 크래프트(cleft)부와 꼬리뼈 부분을 입체화하여 엉덩이를 마치 복숭아의 모양으로 쉐이핑할 수 있으므로, 타이트 스커트를 착용했을 때 양쪽 엉덩이 모양이 외부로 반영되어 매우 섹시하고 매력적인 스타일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과 편안함을 함께 제공하는 언더웨어에 대한 선행 특허 문헌으로는, “가랑이가 있는 의류(등록번호 제10-1815026호, 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2의 경우, 둔구에 본체 생지가 파고들어가 버리는 것 같은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고, 체형 보정 기능의 향상이 도모된 가랑이가 있는 의류를 제공한다. 둔구 주변의 군살이 붙기 쉬운 부위인 돌출 용이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를 지나 둔열측으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이어설치된 제1 긴체부, 및 돌출 용이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를 지나고 윗쪽으로 연장되는 제2 긴체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제1 긴체부에 의해 돌출 용이 영역의 살이 둔열측으로 압박되고, 제2 긴체부에 의해 돌출 용이 영역의 살이 윗쪽으로 압박된다. 이것에 의해, 둔구의 좌우 방향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체형을 보정하여 둔구에 본체 생지가 파고들어가 버리는 것 같은 옷매무새의 흐트러짐을 방지한다.
또한 선행 특허문헌(등록 실용신안)으로서 “힙 보정 속옷(등록번호 제20-0487437호, 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3의 경우, 착용자의 허리의 둘레를 따라 착용되며, 착용자의 허리 전면에 놓이는 허리 전면선과 착용자의 허리 배면에 놓이는 허리 배면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허리선; 상부의 선이 모두 허리선을 따라 결합되며, 허리선의 하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감; 허리 배면선의 하부에 마련되는 힙 골부; 안감의 바깥에 마련되는 겉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겉감은, 상부의 선의 일측부가 허리선에 결합되는 제1지점과, 상부의 선의 타측부가 허리선에 결합되는 제2지점이 마련되며, 상부의 선의 중 앙부는 힙골부에서 결합되며, 제1지점과 힙골부 사이와, 제2지점과 힙골부 사이에서 겉감의 상부의 선은 결합되지 않고 하향 곡선을 이루고, 겉감은 허리선의 하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인용발명들의 경우, 둔부와 접촉하는 부위에 탄력성을 제공하여 기능성 높이고자 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하복부에 대한 압박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압박을 위한 장치와 소재의 각각의 탄성력에만 의존함을 통하여 사용이 반복되면 탄성력이 점차 줄어드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등록번호 제10-1556770 호 등록번호 제10-1815026호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87437호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하복부를 선택적으로 압박하여 신체 중 하복부에 대한 보정 기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하복부의 선택적 압박과 동시에 둔부에 대한 선택적 압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선택적으로 텐션을 유지함으로 인하여 보정에 대한 효율성은 확보되되, 디자인을 헤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은 하복부를 선택적으로 압박하기 위한 코르셋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코르셋의 몸체를 형성하고, 착용자의 보디 하부를 감싸는 보디 유닛; 상기 보디 유닛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착용자의 허리부위를 감싸 압박하는 밴드 유닛; 상기 보디 유닛의 전면에 한 쌍으로 배치되어 각각이 상기 밴드 유닛으로부터 상기 보디 유닛의 하부 중심까지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소정의 라인을 가압하는 텐션 라인 유닛; 및 상기 보디 유닛의 전면 중 상기 텐션 라인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착용자의 하복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텐션 빌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상기 텐션 빌드 유닛은, 상기 보디 유닛의 전면의 소정의 포지션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 각각을 연결하며, 상기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의 사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소정의 압박 라인을 형성하는 커넥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상기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는, 상기 밴드 유닛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제1 텐션 포인트부; 상기 텐션 라인 유닛 중 일측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제2텐션 포인트부; 상기 보디 유닛의 하부 중심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제3텐션 포인트부; 및 상기 텐션 라인 유닛의 타측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제4 텐션 포인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상기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는, 상기 제1 텐션 포인트부로부터 상기 제3 텐션 포인트부까지 연결되는 가상의 라인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텐션 포인트부와 상기 제4 텐션 포인트부는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상기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는, 상기 제2 텐션 포인트부가 상기 텐션 라인 유닛 중 일측과 선택적인 텐션을 유지하며, 상기 제4 텐션 포인트부는 상기 텐션 라인 유닛 중 타측과 선택적인 텐션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상기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는, 상기 제1 텐션 포인트부가 상기 밴드 유닛에 인접하게 제공되며, 상기 제3텐션 포인트부는 상기 보디 유닛의 하부 중심에 인접하게 제공되되, 상기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는, 상기 제1텐션 포인트부가 상기 밴드 유닛과 선택적인 텐션을 유지하며, 상기 제3텐션 포인트부는 상기 보디 유닛의 하부 중심과 선택적인 텐션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상기 커넥팅부는, 상기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텐션을 유지하여 선택적으로 상호 대향 볼록한 아치라인을 각각 형성하여, 착용자의 복부로부터 가해지는 외향 압력에 대하여 상기 아치라인이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상기 텐션 빌드 유닛은, 상기 아치라인이 착용시 상기 착용자의 신체 곡면을 따라 상기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제공하여 상기 착용자의 하복부의 상기 신체 곡면을 내향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상기 보디 유닛은, 상기 보디 유닛의 후면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밴드 유닛으로부터 상기 보디 유닛의 하부의 중앙까지 연결되어 제공되는 서포팅 라인부; 및 소정의 너비를 가지는 라인으로 형성되고, 상기 밴드 유닛으로부터 상기 서포팅 라인부까지 연장되어 소정의 리프팅 텐션을 형성하는 리프팅 라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상기 리프팅 라인부는, 상단의 일부가 상기 텐션 라인 유닛으로부터 연결되며, 상단의 타부가 상기 밴드 유닛으로부터 연결되어 소정의 라인을 따라 상기 서포팅 라인부까지 연결되도록 제공되며, 착용시 상기 착용자의 둔부의 측부로부터 하부까지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상기 텐션 빌드 유닛은, 상기 커넥팅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부분의 내면에 제공되는 수축 저항부; 상기 수축 저항부와 대응하는 면에 위치하고,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인장력을 저지하는 이완 저항부; 및 상기 이완 저항부 내에 제공되어 상기 커넥팅부의 인장 강도를 형성하기 위한 탄성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상기 텐션 빌드 유닛은, 이격된 상기 제2텐션 포인트부와 상기 제4텐션 포인트부의 상호 간의 텐션에 의해 수평 인장력이 발생하며, 착용시 착용자의 신체 곡면을 따라 형성되는 수평 장력에 대응하는 상기 수평 인장력을 통해 상기 착용자의 상기 하복부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상기 텐션 빌드 유닛은, 상기 제1텐션 포인트부와 상기 제3텐션 포인트부의 상호간의 텐션에 의해 수직 인장력이 발생하며, 착용시 착용자의 신체 곡면을 따라 형성되는 수직 장력에 대응하는 상기 수직 인장력을 통해 상기 착용자의 상기 하복부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하복부 중 체지방 및 근력이 약해지는 부위에 선택적인 텐션을 제공함으로, 하복부 중 일부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압박하여, 부분적인 압박을 통하여 기능성에 효율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둘째, 둔부의 하부 라인에 맞추어 텐션을 제공하여 둔부의 하부와 둔부의 측부를 동시에 압박하여 부분적인 근육에 긴장감을 제공함을 통하여 기능성에 효율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셋째, 기능성을 제공하여 선택적으로 텐션을 제공하는 라인이 신체의 라인을 따라 제공됨으로 인하여 기능성의 효과는 높이며, 소정의 형태를 따라 제공됨으로 인하여 텐션과 압박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텐션 빌드 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텐션 빌드 유닛과 텐션 라인 유닛, 밴드 유닛의 선택적인 텐션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텐션 빌드 유닛의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을 착용하는 착용자의 신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텐션 빌드 유닛이 착용자의 신체에 제공되어 구조 역학적 저항력이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커넥팅부의 내부에 제공되는 수축저항부, 이완저항부, 탄성제공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수축저항부, 이완저항부, 탄성제공부, 탄성보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텐션 빌드 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텐션 빌드 유닛과 텐션 라인 유닛, 밴드 유닛의 선택적인 텐션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텐션 빌드 유닛의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을 착용하는 착용자의 신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텐션 빌드 유닛이 착용자의 신체에 제공되어 구조 역학적 저항력이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커넥팅부의 내부에 제공되는 수축저항부, 이완저항부, 탄성제공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수축저항부, 이완저항부, 탄성제공부, 탄성보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원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경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복부를 선택적으로 압박하기 위한 코르셋 시스템으로서, 보디 유닛(100), 밴드 유닛(200), 텐션 라인 유닛(300), 텐션 빌드 유닛(400)을 포함하게 된다.
먼저, 보디 유닛(100)의 경우,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르셋의 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보디 중 하부를 감싸게 된다.
착용자의 보디 중 하부는, 신체 중 배꼽 아래의 단전으로부터 넓적다리의 위쪽 부분까지 해당할 수 있으며, 단전으로부터 넓적다리에 해당하는 착용자의 보디를 감싸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밴드 유닛(200)의 경우, 보디 유닛(100)의 상단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허리부위를 감싸 압박하게 된다.
밴드 유닛(200)은, 원통형으로 제공되고 개구가 형성되어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게 되며, 밴드 유닛(200)은 탄성을 구비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따라 신축되어지도록 밴드 유닛(200)은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텐션 라인 유닛(300)의 경우, 보디 유닛(100)의 전면에 한 쌍으로 배치되어 각각이 밴드 유닛(200)으로부터 보디 유닛(100)의 하부 중심까지 연결되며, 착용자의 소정의 라인을 가압하게 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 라인 유닛(300)은 밴드 유닛(200)으로부터 연결되며, 텐션 라인 유닛(300)의 상단은 밴드 유닛(200)과 텐션 라인 유닛(300)의 하단은 보디 유닛(100)의 하부 중심까지 연장되어 연결되어진다.
텐션 라인 유닛(300)은 한 쌍의 대칭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한 쌍의 대칭되는 텐션 라인 유닛(300)은 착용자의 소정의 라인을 가압하게 된다.
착용자의 소정의 라인은, 착용자의 배꼽에서 양측으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부위로부터 착용자의 하복부를 따라 양측의 라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하복부와 대퇴부가 만나는 지점에 해당할 수 있다.
한 쌍의 텐션 라인 유닛(300)의 경우, 상부는 넓은 이격 거리를 형성하며, 하부로 향할수록 이격 거리가 점차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형태는 착용자의 소정의 라인에 맞추어 텐션 라인 유닛(300)이 제공되는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착용자의 신체에서 하복부와 대퇴부를 연결하는 라인에 맞추어 형성되어진 것이다.
텐션 빌드 유닛(400)의 경우, 보디 유닛(100)의 전면 중 양측으로 배치된 텐션 라인 유닛(300) 사이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하복부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 빌드 유닛(400)은 보디 유닛(100) 중 전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내측이 착용자의 하복부와 접촉하여 착용자의 하복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텐션 빌드 유닛(400)은 신체 중 배꼽과 인접한 지점으로부터 골반으로부터 가장 하부까지 형성되는 아랫배에 해당하는 부위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텐션 빌드 유닛(400)은, 텐션 포인트부(410), 커넥팅부(42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텐션 포인트부(41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디 유닛(100)의 전면의 소정의 포지션에 배치되어질 수 있으며 복수 개로 제공된다.
복수 개로 제공되는 텐션 포인트부(410)의 경우, 각각의 포인트에 형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포인트는 텐션 라인 유닛(300) 내에 배치되며, 각각의 포인트는 하복부를 중심으로 상하좌우로 대칭하여 배치되어질 수 있다.
상하좌우 대칭으로 배칭되기 위하여 텐션 포인트부(410)는 네 점(four point)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커넥팅부(420)의 경우,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410) 각각을 연결하고,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410) 사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소정의 압박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커넥팅부(420)는 텐션 포인트부(410)가 이격된 만큼 각 텐션 포인트부(410)의 연결을 통하여 소정의 압박 라인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텐션 포인트부(410)가 이격된 거리만큼 소정의 압박 라인이 형성되어 착용자의 하복부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소정의 압박 라인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텐션 포인트부(410)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으로, 텐션 포인트부(410) 사이에 해당하는 착용자의 신체 부위를 압박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410)은, 제1 텐션 포인트부(411), 제2 텐션 포인트부(412), 제3 텐션 포인트부(413), 제4 텐션 포인트부(414)를 포함하고,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어질 수 있다.
제1 텐션 포인트부(411)의 경우, 밴드 유닛(200)과 인접하게 제공되며, 제2 텐션 포인트부(412)는 텐션 라인 유닛(300) 중 일측과 인접하게, 제3 텐션 포인트부(413)는 보디 유닛(100)의 하부 중심과 인접하게, 제4 텐션 포인트부(414)는 텐션 라인 유닛(300) 중 타측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텐션 포인트부(411)는 밴드 유닛(200)과 d1의 거리를 유지하며 인접하게 제공되며, 제2 텐션 포인트부(412)는 텐션 라인 유닛(300) 중 일측과 d2의 거리를 유지하고, 제3 텐션 포인트부(413)는 보디 유닛(100)의 하부 중심과 d3의 거리를 유지하며, 제4 텐션 포인트부(414)는 텐션 라인 유닛(300) 중 타측과 d4의 거리를 유지하며 배치되어진다.
예컨대, d2와 d4의 경우, 각각의 텐션 라인 유닛(300)으로부터 인접한 거리에 해당하는 것으로 d2와 d4는 동일한 인접 거리를 유지하며 배치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410)의 경우, 제1 텐션 포인트부(411)로부터 제3텐션 포인트부(413)까지 연결되는 가상의 라인을 중심으로 제2 텐션 포인트부(412)와 제4 텐션 포인트부(414)는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되어진다.
제1 텐션 포인트부(411)와 제3 텐션 포인트부(413)는 상하로 배치되는 것으로, 제1 텐션 포인트부(411)는 상부에 제3 텐션 포인트부(413)는 하부에 배치되게 되는데, 제1 텐션 포인트부(411)와 제3 텐션 포인트부(413)는 하나의 가상의 직선 라인을 따라 배치된다.
제1 텐션 포인트부(411)와 제3텐션 포인트부(413)는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가상의 직선 라인을 따라 하나의 라인 상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고, 가상의 직전 라인을 중심으로 제2 텐션 포인트부(412)와 제4 텐션 포인트부(414)가 좌우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텐션 포인트부(412)와 제4 텐션 포인트부(414)의 경우, 가상의 직선 라인을 중심으로 양측이 상호 대칭되는 거리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텐션 포인트부(411)가 상부로 제3텐션 포인트부(413)가 하부로 형성된 가상의 직선 라인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제2 텐션 포인트부(412)와 제4 텐션 포인트부(413)가 형성되어진 것이 도 4 내지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으로 각각의 텐션 포인트부(410)를 따라 연결하는 경우 다이아몬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410)의 경우, 제2 텐션 포인트부(412)가 텐션 라인 유닛(300) 중 일측과 선택적인 텐션을 유지하고, 제4 텐션 포인트부(414)가 텐션 라인 유닛(300) 중 타측과 선택적인 텐션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텐션 포인트부(412)가 텐션 라인 유닛(300) 중 일측과 d2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어지는 것으로 d2의 거리만큼 텐션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4 텐션 포인트부(414)가 텐션 라인 유닛(300) 중 타측 d4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어지는 것으로 d4만큼의 텐션을 유지할 수 있다.
d2와 d4의 거리는 양측의 텐션 라인 유닛(300)과 형성되는 것이며, 텐션 라인 유닛(300)과 소정의 텐션을 유지하게 된다.
예컨대, 외부에서 장력이 d2에 가해지는 경우, d2는 제2 텐션 포인트부(412)와 텐션 라인 유닛(300) 중 일측과 텐션을 유지함을 통하여 d2에 해당하는 이격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외부에서 장력이 d4에 가해지는 경우, d4는 제4 텐션 포인트부(414)와 텐션 라인 유닛(300) 중 타측과 텐션을 유지함을 통하여 d4에 해당하는 이격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410)의 경우, 제1 텐션 포인트부(411)가 밴드 유닛(200)에 인접하게 제공되며, 제3텐션 포인트부(413)는 보디 유닛(100)의 하부 중심에 인접하게 제공되되,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410)는, 제1 텐션 포인트부(411)가 밴드 유닛(200)과 선택적인 텐션을 유지하며, 제3 텐션 포인트부(413)는 보디 유닛(100)의 하부 중심과 선택적인 텐션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텐션 포인트부(411)의 경우, 밴드 유닛(200)과 d1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d1에 해당하는 이격 거리만큼 텐션을 유지하게 된다.
제1 텐션 포인트부(411)와 밴드 유닛(200)에 형성되는 d1은 d2 및 d4의 이격 거리에 비하여 짧은 이격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외부에서 장력이 d1에 가해지는 경우, 제1 텐션 포인트부(411)와 밴드 유닛(200)의 d1의 이격거리만큼의 텐션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텐션 포인트부(413)와 보디 유닛(100)의 하부 중심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은, 도 5에 도시된 d3의 거리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d3에 해당하는 이격 거리만큼의 텐션을 유지한다.
각각의 텐션 포인트부(410)가 인접하게 배치되어 텐션을 유지하는 거리인 d1, d2, d3, d4는 각각의 텐션 포인트부(410)로부터 인접하게 배치된 밴드 유닛(200), 텐션 라인 유닛(300), 보디 유닛(100)의 하부와 텐션을 유지하는 것으로 텐션을 유지함을 통하여 보디 유닛(100) 중 전면에 긴장 상태와 같은 팽팽함을 제공하게 된다.
본원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커넥팅부(420)는,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410)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텐션을 유지하여 선택적으로 상호 대향 볼록한 아치라인을 각각 형성하여, 착용자의 복부로부터 가해지는 외향 압력에 대하여 아치라인이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형성할 수 있다.
커넥팅부(420)는 서로 마주하는 면이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예컨대, 제1커넥팅부(420a)와 제3커넥팅부(420c)는 서로 마주하게 되는데, 서로 마주하는 면이 볼록한 아치형으로 서로 마주하게 된다.
제2커넥팅부(420b)와 제4커넥팅부(420d)도 서로 마주하게 되는데, 서로 마주하는 면이 역시 볼록한 아치형으로 서로 마주하게 되는 것이다.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커넥팅부(420)의 경우, 착용자의 복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구조 역학적인 저항력을 형성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팅부(420a)와 제3 커넥팅부(420c)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데, 제1 커넥팅부(420a)와 제3 커넥팅부(420c)는 대향하는 면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며, 제2 커넥팅부(420b)와 제4 커넥팅부(420d)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데, 제2 커넥팅부(420b)와 제4 커넥팅부(420d)는 대향하는 면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어진다.
이러한 커넥팅부(420)의 경우, 내향하는 곡면으로 이어진 다이아몬드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육안으로 보여질수 있다.
커넥팅부(420)가 아치형으로 형성되어짐에 따라 하복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으로부터 아치형의 커넥팅부(420)가 서로가 서로를 밀어내는 힘으로 인하여 저항력이 형성되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부(420)는 착용자의 하복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가해질 경우, 압력에 대한 저항력으로 인하여 하복부에 대한 압박이 더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텐션 빌드 유닛(400)은, 아치라인이 착용시 착용자의 신체 곡면을 따라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제공하여 착용자의 하복부의 신체 곡면을 내향 보정할 수 있다.
텐션 빌드 유닛(400)은 착용자의 신체 곡면을 따라 착용자의 신체 중 하복부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는데, 착용자의 하복부 중 일부에 해당하는 부위를 내향 보정하는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복부를 내측으로 압박할 수 있다.
텐션 빌드 유닛(400)에 형성된 커넥팅부(420)의 아치라인은 서로가 서로를 밀어내는 힘으로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하여 아치라인은 더욱 내향하는 힘이 발현되며, 내향하는 힘으로 인하여 착용자의 하복부를 압박할 수 있는 것이다.
커텍팅부(420)는 착용자의 하복부에서 측면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저항하며, 텐션 빌드 유닛(400)은 착용자의 하복부에서 전방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저항하도록 하여, 착용자의 하복부에 대하여 측면과 전방으로 모두 압박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텐션 빌드 유닛(400)의 커넥팅부(420)는 착용자의 하복부에서 제공되는 압력에 따라 마주보는 볼록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데, 변형된 형태로부터 복원되려는 힘을 통하여 하복부에 압박을 가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보디 유닛(100)은, 서포팅 라인부(110), 리프팅 라인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팅 라인부(110)의 경우, 보디 유닛(100)의 후면 중앙에 구비되고, 밴드 유닛(200)으로부터 보디 유닛(100)의 하부 중앙까지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라인부(120)는, 상단의 일부가 텐션 라인 유닛(300)으로부터 연결되며, 상단의 타부가 밴드 유닛(200)으로부터 연결되어 소정의 라인을 따라 서포팅 라인부(110)까지 연결되도록 제공되며, 착용시 착용자의 둔부의 측부로부터 하부까지 압박할 수 있다.
리프팅 라인부(120)의 경우, 소정의 너비를 가지는 라인으로 형성되며, 밴드 유닛(200)으로부터 서포팅 라인부(110)까지 연장되어 소정의 리프팅 텐션을 형성할 수 있다.
서포팅 라인부(110)는 보디 유닛(100)의 후면 중앙에 위치하여 착용시 착용자의 둔부 중앙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프팅 라인부(120)는 밴드 유닛(200)으로부터 서포팅 라인부(110)까지 연결됨으로 인하여 소정의 리프팅 텐션을 형성할 수 있는데, 리프팅 라인부(120)는 밴드 유닛(200)으로부터의 텐션과 서포팅 라인부(110)로부터의 텐션으로 인하여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소정의 리프팅 텐션은, 착용자의 둔부라인을 따라 리프팅되는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리프팅 라인부(120)가 밴드 유닛(200)으로부터 연결되어짐에 따라 밴드 유닛(200)부터 텐션이 시작되어질 수 있으며, 밴드 유닛(200)의 허리부터 시작되는 둔부를 전체적으로 감싸줌으로 둔부에 제공되는 텐션이 더욱 강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라인부(120)는 밴드 유닛(200)으로부터 시작되고 서포팅 라인부(110)와 연결되어짐을 통하여 밴드 유닛(200)으로부터 서포팅 라인부(110)까지 텐션이 유지되도록 하며, 밴드 유닛(200)으로부터의 텐션과 서포팅 라인부(110)로부터 제공되는 텐션을 통하여 둔부를 더 압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텐션 빌드 유닛은, 이격된 제2 텐션 포인트부(412)와 제4 텐션 포인트부(413)의 상호 간의 텐션에 의해 수평 인장력이 발생하며, 착용시 착용자의 신체 곡면을 따라 형성되는 수평 장력에 대응하는 수평 인장력을 통해 착용자의 하복부를 압박할 수 있다.
또한, 텐션 빌드 유닛(400)은, 제1 텐션 포인트부(411)와 제3 텐션 포인트부(413)의 상호간의 텐션에 의해 수직 인장력이 발생하며, 착용시 착용자의 신체 곡면을 따라 형성되는 수직 장력에 대응하는 수직 인장력을 통해 착용자의 하복부를 압박할 수 있다.
각각의 텐션 포인트부(410)는 대칭되도록 배치된 텐션 포인트부(410)와 서로 텐션을 유지할 수 있는데, 제2 텐션 포인트부(412)와 제4 텐션 포인트부(413)는 상호 간 일정한 텐션을 유지하고, 제1 텐션 포인트부(411)와 제3 텐션 포인트부(413)는 상호간의 일정한 거리 유지를 위한 텐션을 유지하게 된다.
각각의 텐션 포인트부(410)가 상호 대칭되는 텐션 포인트부(410)와 텐션을 유지함을 통하여 텐션 빌드 유닛(400)에 전체적인 압박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착용자의 하복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각각의 텐션 포인트부(410)는 상호 대칭되는 텐션 포인트부(410)와 텐션을 형성함으로 보디 유닛(100)에 제공되는 장력으로부터 소정의 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의 텐션 빌드 유닛(400)은, 커넥팅부(4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부분의 내면에 제공되는 수축 저항부(430), 수축 저항부(430)와 대응하는 면에 위치하고,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인장력을 저지하는 이완 저항부(440) 및 이완 저항부(440) 내에 제공되어 커넥팅부(420)의 인장 강도를 형성하기 위한 탄성 제공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축 저항부(430)와 이완 저항부(440)는 장방향의 긴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원형으로 제공된다. 원형의 경우,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으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수축 저항부(430)의 경우, 커넥팅부(420)의 내측을 향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완 저항부(440)의 경우, 커넥팅부(420)의 외측을 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수축 저항부(430)와 이완 저항부(440)는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것으로, 수축 저항부(430)와 이완 저항부(440)는 각각 탄성 제공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수축 저항부(430)와 수축 저항부(430)에 제공되는 탄성 제공부(450)는 하복부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으로부터 가압하는 힘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완 저항부(440)와 이완 저항부(440)에 제공되는 탄성 제공부(450)는 보디 유닛(100)의 외부에 팽창하고자 하는 힘을 저지하게 된다.
즉, 수축 저항부(430)는 하복부로부터 제공되는 힘에 대한 저항력을 이완 저항부(440)는 수축 저항부(430)와 대향하여 외부에서 팽창하고자 하는 힘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여 하복부에 압박을 가해줄 수 있으며, 수축 저항부(430)와 이완 저항부(440)에 탄성 제공부(450)가 제공되어 탄성을 제공하여 줄 수 있다.
또한, 양측으로 배치되는 탄성 제공부(450)를 결속하기 위하여 탄성 보강부(451)가 제공될 수 있는데, 탄성 보강부(451)는 도 10에 제공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나선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전체적으로 탄성 제공부(450)를 결속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컨대, 탄성 제공부(450)의 경우, 인장강도와 압력에 대하여 변형되는 재질로 예컨대, 강한 금속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보강부(451)를 통하여 양측의 탄성 제공부(450)의 이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각의 탄성 제공부(450)가 수축되고 이완되는 경우, 그 탄성에 대하여 보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보디 유닛(body unit)
110: 서포팅 라인(supporting line)부
120: 리프팅 라인(lifting line)부
200: 밴드 유닛(band unit)
300: 텐션 라인 유닛(tension line unit)
400: 텐션 빌드 유닛(tension build unit)
410: 텐션 포인트(tension point)부
411: 제1텐션 포인트(1st tension point)부
412: 제2텐션 포인트(2nd tension point)부
413: 제3텐션 포인트(3rd tension point)부
414: 제4텐션 포인트(4th tension point)부
420: 케넥팅(connecting)부
420a: 제1커넥팅(1st connecting)부
420b: 제2커넥팅(2nd connecting)부
420c: 제3커넥팅(3rd connecting)부
420d: 제4커넥팅(4th connecting)부
430: 수축 저항부
440: 이완 저항부
450: 탄성 제공부
451: 탄성 보강부

Claims (10)

  1. 하복부를 선택적으로 압박하기 위한 코르셋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코르셋의 몸체를 형성하고, 착용자의 보디 하부를 감싸는 보디 유닛;
    상기 보디 유닛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착용자의 허리부위를 감싸 압박하는 밴드 유닛;
    상기 보디 유닛의 전면에 한 쌍으로 배치되어 각각이 상기 밴드 유닛으로부터 상기 보디 유닛의 하부 중심까지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소정의 라인을 가압하는 텐션 라인 유닛; 및
    상기 보디 유닛의 전면 중 상기 텐션 라인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착용자의 하복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텐션 빌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텐션 빌드 유닛은,
    상기 보디 유닛의 전면의 소정의 포지션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 각각을 연결하며, 상기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의 사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소정의 압박 라인을 형성하는 커넥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는,
    상기 밴드 유닛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제1 텐션 포인트부;
    상기 텐션 라인 유닛 중 일측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제2 텐션 포인트부;
    상기 보디 유닛의 하부 중심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제3 텐션 포인트부; 및
    상기 텐션 라인 유닛의 타측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제4 텐션 포인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는,
    상기 제1 텐션 포인트부로부터 상기 제3 텐션 포인트부까지 연결되는 가상의 라인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텐션 포인트부와 상기 제4 텐션 포인트부는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는,
    상기 제2 텐션 포인트부가 상기 텐션 라인 유닛의 일측과 선택적인 텐션을 유지하며, 상기 제4 텐션 포인트부는 상기 텐션 라인 유닛의 타측과 선택적인 텐션을 유지하고,
    상기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는,
    상기 제1 텐션 포인트부가 상기 밴드 유닛에 인접하게 제공되며, 상기 제3텐션 포인트부는 상기 보디 유닛의 하부 중심에 인접하게 제공되되,
    상기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는,
    상기 제1텐션 포인트부가 상기 밴드 유닛과 선택적인 텐션을 유지하며, 상기 제3텐션 포인트부는 상기 보디 유닛의 하부 중심과 선택적인 텐션을 유지하며,
    상기 커넥팅부는,
    상기 복수 개의 텐션 포인트부 각각으로부터 소정의 텐션을 유지하여 선택적으로 상호 대향 볼록한 아치라인을 각각 형성하여, 착용자의 복부로부터 가해지는 외향 압력에 대하여 상기 아치라인이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형성하고,
    상기 텐션 빌드 유닛은,
    상기 아치라인이 착용시 상기 착용자의 신체 곡면을 따라 상기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제공하여 상기 착용자의 하복부의 상기 신체 곡면을 내향 보정하며,
    상기 보디 유닛은,
    상기 보디 유닛의 후면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밴드 유닛으로부터 상기 보디 유닛의 하부의 중앙까지 연결되어 제공되는 서포팅 라인부; 및
    소정의 너비를 가지는 라인으로 형성되고, 상기 밴드 유닛으로부터 상기 서포팅 라인부까지 연장되어 소정의 리프팅 텐션을 형성하는 리프팅 라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 라인부는,
    상단의 일부가 상기 텐션 라인 유닛으로부터 연결되며, 상단의 타부가 상기 밴드 유닛으로부터 연결되어 소정의 라인을 따라 상기 서포팅 라인부까지 연결되도록 제공되며, 착용시 상기 착용자의 둔부의 측부로부터 하부까지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53399A 2021-04-26 2021-04-26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 KR102632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399A KR102632579B1 (ko) 2021-04-26 2021-04-26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399A KR102632579B1 (ko) 2021-04-26 2021-04-26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755A KR20220146755A (ko) 2022-11-02
KR102632579B1 true KR102632579B1 (ko) 2024-02-01

Family

ID=84084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399A KR102632579B1 (ko) 2021-04-26 2021-04-26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57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6647B2 (ja) * 1995-10-24 1999-05-31 株式会社レナウン パンティストッキング
JP3088950B2 (ja) * 1996-03-04 2000-09-18 株式会社ワコール ヒップアップ機能を有する衣類
JP3108132B2 (ja) * 1991-06-28 2000-11-1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防水型コネクタ
JP3108133B2 (ja) 1991-02-06 2000-11-13 株式会社リコー カラー文書画像の適応符号化方式
US20080194181A1 (en) 2005-05-27 2008-08-14 Wacoal Corp. Bottom Clothes
KR101826019B1 (ko) * 2016-10-28 2018-02-06 주식회사 나인 하복부 보정 거들 팬티
KR102304160B1 (ko) 2019-11-14 2021-09-23 이한상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4452B2 (ja) * 1995-05-02 1999-03-03 株式会社ワコール ガードル
JP3108132U (ja) * 2004-10-06 2005-04-07 アイメディア株式会社 ガードル
JP3108133U (ja) * 2004-10-06 2005-04-07 アイメディア株式会社 ハイウエストガードル
JP4918151B2 (ja) 2010-03-31 2012-04-18 株式会社ワコール 股付き衣類
KR101556770B1 (ko) 2014-03-06 2015-10-02 조은효 바디라인 쉐이핑용 언더웨어
KR200487437Y1 (ko) 2017-12-15 2018-09-14 주식회사 케이앤디인터내셔널 힙 보정 속옷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133B2 (ja) 1991-02-06 2000-11-13 株式会社リコー カラー文書画像の適応符号化方式
JP3108132B2 (ja) * 1991-06-28 2000-11-1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防水型コネクタ
JP2896647B2 (ja) * 1995-10-24 1999-05-31 株式会社レナウン パンティストッキング
JP3088950B2 (ja) * 1996-03-04 2000-09-18 株式会社ワコール ヒップアップ機能を有する衣類
US20080194181A1 (en) 2005-05-27 2008-08-14 Wacoal Corp. Bottom Clothes
KR101826019B1 (ko) * 2016-10-28 2018-02-06 주식회사 나인 하복부 보정 거들 팬티
KR102304160B1 (ko) 2019-11-14 2021-09-23 이한상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755A (ko) 202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5021B2 (en) Garments in order to lift the buttocks
US10051897B2 (en) Garment for shaping the female buttocks and hips, in particular a sports garment for dance or gymnastics
US6543062B1 (en) Pants garment with body profile enhancement features
US5954564A (en) Undergarment with natural feeling buttock support
US8769726B2 (en) Lower torso garment system
US20140310854A1 (en) Body Sculpting Garment
JP2007146337A (ja) 衣服
KR101728958B1 (ko) 기능성 레깅스
CN100466924C (zh) 带裆部的矫正衣
KR102381212B1 (ko)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
KR102632579B1 (ko) 구조 역학적 저항력을 통한 선택적 하복부 압박 코르셋 시스템
KR20220133592A (ko) 힙업 기능을 갖는 레깅스
JP2011517735A (ja) ブリーフ
KR102304160B1 (ko) 체형 교정용 기능성 의류
KR101556770B1 (ko) 바디라인 쉐이핑용 언더웨어
KR20110012027U (ko) 체형을 교정하는 의복
JP3122948U (ja) ガードル
KR102072342B1 (ko) Y 밸런스 웨어
KR200486141Y1 (ko) 개량 속바지
CN107125814B (zh) 借助二维方式的形成屁股部的女性用衣料的三维化构造
RU211564U1 (ru) Предмет одежды для нижней части тела
CN219578319U (zh) 罗纹紧身裤
RU211563U1 (ru) Предмет одежды для нижней части тела
CN219845078U (zh) 一种具有收腰功能的内裤
CN208958442U (zh) 防驼背用凉感保健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