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327A - 가습장치 - Google Patents

가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327A
KR20210058327A KR1020190145648A KR20190145648A KR20210058327A KR 20210058327 A KR20210058327 A KR 20210058327A KR 1020190145648 A KR1020190145648 A KR 1020190145648A KR 20190145648 A KR20190145648 A KR 20190145648A KR 20210058327 A KR20210058327 A KR 20210058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ver
vaporizer
outs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성
Original Assignee
조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윤성 filed Critical 조윤성
Priority to KR1020190145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8327A/ko
Publication of KR20210058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4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with a stationary probe, where a liquid specimen is separated from the mean mass and measu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기화시키는 기화수단이 마련된 바디부를 포함하는 가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화수단은,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기화기 커버와, 상기 수용부에 마련되어 물을 기화시키는 기화기와, 상기 기화기 커버의 일부가 물에 잠기되, 다른 일부가 물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기화기 커버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부재를 포함하고, 다양한 형태를 갖는 물탱크와 호환 가능하여 언제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편리성이 향상되고, 물탱크 내의 수위를 자동으로 측정하고, 수위에 따라 기화수단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이 향상된 가습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습장치{Humidifier Apparatus}
본 발명은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물탱크의 수위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소정량 이하의 수위에서 자동으로 기화를 정지하는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생활하기에 알맞은 실내 환경의 조건은 20-25℃의 온도, 50-70%의 상대습도, 시간당 30㎥의 환기량 등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증기발생장치 즉, 가습기가 발명되고 있다.
특히, 가습기는 겨울철, 온도가 높고 건조한 실내 공기를 가습하여 실내 환경이 쾌적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전제품으로써, 가습하는 방식에 따라 가열식, 초음파식, 팬(fan)식 및 이들 각각의 장점을 취합한 복합식 등이 있다.
여기서, 가열식 가습기는, 물을 히터나 전극봉으로 가열시켜 증기를 발생시키고, 초음파식 가습기는, 전기회로를 통하여 발생하는 특정 주파수의 전기 신호에 의해 물속에 위치한 진동자를 초음파 진동시켜 물을 무화시키며, 팬식 가습기는, 수면 위에 설치된 팬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물을 입자화하는 등 각 가습기는 각각의 특정한 방식으로 공기 중에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가습장치는 물탱크, 기화장치, 송풍팬 등의 구성요소로 마련되어, 물탱크가 가습장치에 종속되어 다른 형상을 갖는 물탱크와 호환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습장치는 물탱크에 물이 없는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작동되어 물을 기화시키는 기화기의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물탱크의 크기 및 깊이 등에 영향 없이 물탱크의 수위을 감지하고, 물탱크의 수위에 따라 기화기를 제어할 수 있는 가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는, 물을 기화시키는 기화수단이 마련된 바디부를 포함하는 가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화수단은,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기화기 커버와, 상기 수용부에 마련되어 물을 기화시키는 기화기와, 상기 기화기 커버의 일부가 물에 잠기되, 다른 일부가 물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기화기 커버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화기 커버는, 상기 기화기 커버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관통된 유입홀과, 상기 기화기에서 기화시킨 수증기를 상기 기화기 커버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물 밖으로 노출되게 마련된 커버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와 상기 기화기 커버를 연결하되, 상기 기화기 커버를 지지하는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 및/또는 기화기 커버에는, 수위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일측이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서 직각되게 연장된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물이 통과하는 투입홀과, 상기 투입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된 배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홀에는, 상기 기화수단에 의해 기화된 기체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송풍팬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습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첫째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를 갖는 물탱크와 호환 가능하여 언제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에 의하면, 물탱크 내의 수위를 자동으로 측정하고, 수위에 따라 기화수단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바람직한 가습장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습장치인 경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장치를 설명하면, 물을 기화시키는 기화수단(30)이 마련된 바디부(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10)를 포함하여 설명한다. 바디부(20)는 물탱크(10)에 설치되는 바디부(20) 및 바디부(20)에 마련되어 물탱크(10) 내의 물을 기화시키는 기화수단(30)을 포함한다.
물탱크(10)는 물을 수용하고, 기화수단(30)이 마련된 바디부(20)가 설치된다. 여기서, 물탱크(10)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물탱크(10)는 주변에서 사용되어지는 물병, 텀블러, 보온병, 어항 등 일 수 있다.
바디부(20)는 관통된 투입홀(22)이 형성되고, 투입홀(22)로부터 소정간격 이격하여 배출홀(24)이 형성된다. 바디부(20)는 투입홀(22)을 개폐시키는 캡(28)과, 배출홀(24)에 마련된 송풍팬(40)을 포함한다.
투입홀(22)은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바디부(2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투입홀(22)은 바디부(20)를 물탱크(10)에서 분리하지 아니하고 물탱크(10)에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투입홀(22)에는 물탱크(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시키고, 투입홀(22)을 개폐하는 캡(28)이 마련될 수 있다. 투입홀(22)은 단차(26)지게 형성되어 캡(28)의 결합에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 캡(28)은 가습장치의 외부에서 이물질들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캡(28)에는 탄성재질의 패킹부재가 마련되고, 패킹부재가 단차(26)진 부분에 밀착하여 기밀성 및 체결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투입홀(22)에 캡(28)이 억지끼움으로 체결되거나, 투입홀(22)의 내주면 및 캡(28)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각각 체결가능하게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기밀성 및 체결력을 높이는 방법은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배출홀(24)은 투입홀(22)로부터 소정간격 이격하여 물탱크(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도록 관통된다. 배출홀(24)은 물탱크(10)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는, 배출홀(24)이 투입홀(22)로부터 소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나, 배출홀(24)이 배치되는 위치는 사용자의 설계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홀(24)은 투입홀(22)과 근접하거나, 바디부의 측면 또는 회전가능하게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배출홀(24)에는 기화수단(30)에 의해 기화된 기체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송풍팬(4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20)는 물을 기화시키는 기화수단(30)이 마련되어 주변 공기에 수분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와 같이 바디부(20)는 물탱크(10)에 얹혀져 설치될 수 있다. 바디부(20)는 물탱크(10)를 향하여 일부 돌출된 단차부가 형성된다. 바디부(20)는 돌출된 일부가 물탱크(10)에 삽입되어 단차부에 의해 물탱크(10)로부터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기화수단(30)은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기화기 커버(32)와, 수용부에 물을 기화시키는 기화기(33)가 마련되고, 기화기 커버(32)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부재(34)를 포함한다.
기화기 커버(32)는 수용부와 기화기 커버(32)의 외부를 연통시켜 물이 유입되는 유입홀(32a)이 형성되고, 기화기(33)에서 기화된 수증기를 배출하는 커버홀(32b)이 형성된다. 예컨대, 유입홀(32a)은 기화기 커버(32)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고, 커버홀(32b)은 물(W)에 잠기지 않도록 기화기 커버(3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된다. 예컨대, 유입홀(32a)이 기화기 커버(32)의 하면에 마련되고, 커버홀(32b)은 유입홀(32a)과 마주하는 상면에 마련되어, 유입홀(32a)이 물에 잠기더라도 커버홀(32b)을 통해서는 물이 유입되지 않는다. 기화기 커버(32)의 수용부에는 유입홀(32a)을 통하여 유입된 물을 기화시키는 기화기(33)가 마련된다.
기화기(33)는 기화기 커버(32)의 수용부에 마련되되, 기화기 커버(32)가 물에 완전 잠기지 않아도 기화시키도록 수용부내 저면에 유입홀(32a)과 근접하여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기화기(33)는 수용부에 유입되는 물에 완전히 잠기도록 마련된다. 예컨대, 기화기 커버(32)의 일부가 물에 잠기게 되면 유입홀(32a)을 통하여 수용부에 물(W)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기화기(30)에서 기화시킨다. 기화된 수증기는 커버홀(32b)을 통하여 기화기 커버(32)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유입홀(32a)은 반드시 물에 잠겨야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유입홀(32a)의 크기가 기화기(33)보다 크다면, 유입홀(32a)의 일부가 물 밖으로 노출되고, 기화기(33)는 물속에 완전히 잠겨 있다면 작동하는데 문제는 없다. 이때, 노출된 유입홀(32a)의 일부를 통하여서 기화된 수증기가 배출되어 수증기의 배출기능이 향상될 수도 있다. 다시,
여기서, 기화기(33)는 물을 히터나 전극봉으로 가열시켜 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열식, 전기회로를 통하여 발생하는 특정 주파수의 전기 신호에 의해 물속에 위치한 진동자를 초음파 진동시켜 물을 무화시키는 초음파식 가습기, 수면 위에 설치된 팬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물을 입자화하는 등 각 가습방법은 각각의 특정한 방식으로 공기 중에 수분을 공급하는 기화식 가습기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와 같이 기화식 가습방법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기화기 커버(32)는 물(W)에 가라앉지 않고 부력에 의해 떠 있도록 부력부재(36)에 의해 지지된다. 또, 기화기 커버(32)에는 물(W)의 수위를 측정하는 센서부(50)가 마련된다. 예컨대, 기화기 커버(32)는 부력부재(36)에 의해 유입홀(32a)이 있는 저면이 물에 잠기고, 일부는 즉, 커버홀(32b)은 물 밖으로 노출된다.
부력부재(34)는 스폰지,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스티렌 등을 사용하여 기화기 커버(32)에 부력을 제공한다. 부력부재(34)는 기화기 커버(32)의 폭보다 작은 지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부력부재(34)가 기화기 커버(32)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갖게 되면, 기화기 커버(32)의 일부가 물(W)에 잠기지 않기 때문에 기화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부력부재(34)는 링형상으로 마련되어 기화기 커버(32)를 감싸거나, 복수개로 구비되어 기화기 커버(32)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기화수단(30)과 일측이 연결되어 바디부(20)에 타측이 연결되어 기화수단(30)을 지지하는 스트랩(36)을 더 포함한다.
스트랩(36)은 바디부(20)와 기화수단(30)을 연결시킨다. 스트랩(36)은 소정 길이로 마련되어, 물의 수위가 높을 경우 흐트러져 있다가 물의 수위가 낮아지면 팽팽해진다. 스트랩(36)의 길이는 사용자 및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조절되며, 깊이에 따라 스트랩(36)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송풍팬(40)은 배출홀(24) 내부에 마련되어 물탱크(10)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한다. 송풍팬(4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도록 제어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On/Off 된다. 송풍팬(40)은 배출홀(24) 외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송풍팬(40)의 방향을 회전시켜 다양한 각도로 기체(수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센서부(50)는 바디부(20) 및/또는 기화수단(30)에 마련되어 수위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50)는 기화기 커버(32)에 바디부(20)와의 거리를 측정한다. 센서부(50)는 측정된 데이터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예컨대, 센서부(50)는 초음파 방식으로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 적외선 센서 등으로 마련되어 바디부(20)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 센서부(50)는 물에 의해 측정이 부정확할 수 있기 때문에 유입홀(32a)로부터 먼 위치에 방수처리 되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센서부(50)는 스트랩(36)에서 발생하는 장력을 감지하여 기화기(33)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장력감지부(도면상에 미표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력감지부는 스트랩(36)과 바디부(20)의 연결 부분에 마련되어, 스트랩(36)에서 발생하는 장력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송한다. 장력감지부는 스트랩(36)이 소정의 길이 이상이 되면 장력값이 높아지게 되어, 소정량 이하의 수위로 감지한다. 이렇게 감지된 데이터는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하여 기화기(33)를 제어한다.
예컨대, 스트랩(36)의 길이를 물탱크(10)에 물이 없을 때의 깊이로 조절하고, 물이 채워진 물탱크(10)에 기화기 커버(32)를 올리면, 스트랩(36)은 물 주변으로 흐트러진다. 다음, 가습장치를 작동시키면, 가습장치의 지속적인 기화로 저장된 물(W)의 수위가 낮아지고, 기화기 커버(32)가 수위에 따라 이동하게 되면, 스트랩(36)은 점차 팽팽해지면서 장력이 발생한다. 이때, 스트랩(36)에 발생하는 장력을 장력감지부에서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면, 제어부는 기화기(33)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스트랩(36)의 장력값은 기화기 커버(32)가 물에 떠 있을 때의 값보다 커지면 감지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고, 이러한 장력값은 설계자 또는 사용자가 변경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화수단(30)은 물탱크(10)에 수위를 측정하는 센서부(150)를 포함한다. 기화기(3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P)를 연결하는 전원케이블(160)은 스트랩(36)의 외부를 감싸며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전원케이블(160)의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터리(미도시)로 기화수단(30)에 마련하여, 기화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배터리는 방수처리 되어 기화기에 전력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
센서부(150)는 물(W)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바디부(20)에 설치된다. 센서부(150)는 기화수단(30)과 동일한 방향으로 바디부(20)에 설치된다. 센서부(150)는 적외선 센서, 거리측정 센서 등으로 설치되어 수위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어부에 전송한다. 사용자는 제어부에 소정의 수위를 설정하여 기화수단(3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센서부(150)에서 수신받은 데이터를 기초하여 수위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알림으로 표시할 수 있고, 낮은 수위에 해당할 경우 경고해 줄 수 있다. 또, 제어부는 낮은 수위에 해당할 경우 기화수단(30)을 정지하여 기화기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화수단(130)은 가이드레일(13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기화수단(130)은 물(W)에 일부 잠겨 물을 증발시키고, 부력부재(134)에 의해 수위가 낮아지면 낮아지는 수위에 따라 이동한다. 이때, 기화수단(130)은 가이드레일(132)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고, 수면 위에서 표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레일(132)는, 일측이 바디부(20)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서 직각되게 연장된 손잡이부(136)이 마련된다.
가이드레일(132)은 사용자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도록 바디부(20)에 연결된다. 가이드레일(132)은 센서부(250)가 마련된 손잡이부(136)가 마련된다.
가이드레일(132)은 물탱크(10)의 깊이에 따라 조절(신축) 가능하다. 가이드레일(132)은 일측이 바디부(20)에 연결되고, 타측에 손잡이부(136)이 형성된다. 예컨대, 가이드레일(132)은 수회 접혀지는 폴딩 또는 슬라이딩으로 인입되는 방식(안테나의 접힘 등)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마련되어 물탱크(10)의 깊이에 따라 단계적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 방식은 일 실시예에 의한 예시일 뿐인 것으로서, 이 외의 방법으로 길이조절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손잡이부(136)는 가이드레일(132)의 타측 단부에서 직각되게 연장된다. 손잡이부(136)에는 바디부(20)를 향하여 센서부(250)가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부(136)을 잡아 당겨 다양한 깊이를 갖는 물탱크의 깊이에 맞춰 가이드레일(13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센서부(250)는 기화기(134)가 접촉한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기화수단(130)을 정지시켜 가습장치의 작동을 정지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예컨대, 기화수단(130)은 가이드레일(132)에 마련되되, 수위에 따라 바디부(20)와 손잡이부(136) 사이에서 이동한다. 기화되는 수증기는 배출구(24)를 통하여 장치 외부로 배출되어 주변의 공기에 수분을 제공한다. 이때, 기화수단(130)에 의해 물이 기화되어, 센서부(250)에 기화수단(130)이 접촉하면 기화수단(130)은 기화를 정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를 갖는 물탱크에 설치 가능하여 언제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되고, 물탱크 내의 수위를 자동으로 측정하여 수위에 따라 기화수단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물탱크
20: 바디부
30: 기화수단

Claims (6)

  1. 물을 기화시키는 기화수단이 마련된 바디부를 포함하는 가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화수단은,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기화기 커버와,
    상기 수용부에 마련되어 물을 기화시키는 기화기와,
    상기 기화기 커버의 일부가 물에 잠기되, 다른 일부가 물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기화기 커버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부재를 포함하는 가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 커버는,
    상기 기화기 커버의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관통된 유입홀과,
    상기 기화기에서 기화시킨 수증기를 상기 기화기 커버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물 밖으로 노출되게 마련된 커버홀을 포함하는 가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와 상기 기화기 커버를 연결하되, 상기 기화기 커버를 지지하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가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및/또는 기화기 커버에는, 수위의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가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일측이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서 직각되게 연장된 손잡이부가 마련된 가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물이 통과하는 투입홀과,
    상기 투입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된 배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홀에는,
    상기 기화수단에 의해 기화된 기체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송풍팬이 마련된 가습장치.
KR1020190145648A 2019-11-14 2019-11-14 가습장치 KR20210058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648A KR20210058327A (ko) 2019-11-14 2019-11-14 가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648A KR20210058327A (ko) 2019-11-14 2019-11-14 가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327A true KR20210058327A (ko) 2021-05-24

Family

ID=76152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648A KR20210058327A (ko) 2019-11-14 2019-11-14 가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83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57364C (en) Drainless humidifier with water level sensing
US7350773B2 (en) Vortex humidifier
JP2015075285A (ja) 気化式加湿器
JP2005506157A (ja) 蒸発器、特にレスピレータ給湿器、貯蔵タンクおよびそのためのケーシング
JP2008039382A (ja) 上部給水式加湿器
US10913084B2 (en) Electronic showerhead device
US20190041086A1 (en) Humidifier liquid tank
KR20170105433A (ko) 가습장치
KR100211160B1 (ko) 초음파.히터 겸용 가습기
US10709805B2 (en) Wall mountable essential oil diffuser
KR20210058327A (ko) 가습장치
US6550748B2 (en) Dry out mechanism for humidifier
KR200460879Y1 (ko) 기기 내장형 가습 장치
JP2014040996A (ja) 加湿機構の制御方法
KR200429314Y1 (ko) 상부 급수식 가습기
KR200192360Y1 (ko) 외부의 수원을 이용하는 가습기
KR20130023559A (ko) 하방향 수증기 배출 방식의 초음파 가습기
KR100803037B1 (ko)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및 그의 상부 급수시제어방법
KR200440884Y1 (ko) 상부 급수식 가습기
US7434791B2 (en) Faucet-based humidifier
JP2017032235A (ja) 暖房機
KR20180072236A (ko) 수조통과 가습조가 일체형 구조를 갖는 가습기
JP2000266370A (ja) 加湿装置
JP2000230734A (ja) ヒータ式加湿器
KR20180037417A (ko) 증발식 가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