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045A -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045A
KR20210058045A KR1020190144994A KR20190144994A KR20210058045A KR 20210058045 A KR20210058045 A KR 20210058045A KR 1020190144994 A KR1020190144994 A KR 1020190144994A KR 20190144994 A KR20190144994 A KR 20190144994A KR 20210058045 A KR20210058045 A KR 20210058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lifting device
pulley
controller
pu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우
Original Assignee
이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우 filed Critical 이종우
Priority to KR1020190144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8045A/ko
Publication of KR20210058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0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63B22/024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 A63B22/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electrically, e.g. D.C. motors with variable speed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의 콘트롤러가 검출센서를 통해 발목상승봉에 사용자의 발목이 정상적으로 얹혀져 있는지를 체킹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하는 제1 과정과; 제1 과정중에 상기 콘트롤러가 안전이 확인된 상태에서 모터구동부를 구동시켜 발목상승봉에 얹혀진 사용자의 발목이 일정높이로 상승하다가 낙하되는 동작을 반복시키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중에 상기 콘트롤러가 검출센서를 통해 발부위의 끼임현상을 검출할 경우 구동모터를 일정시간동안 정,역회전시켜 발부위의 끼임현상을 해소시키는 제3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몸체프레임의 좌우내측에 설치된 체인벨트의 전면에 발목상승봉을 설치하고 이 발목상승봉에 안치된 발목을 일정높이까지 상승시켰다가 발목지지대의 상부로 발목을 직접 낙하시키는 방식으로 발목펌핑운동을 반복적으로 작동 시키므로써, 발목의 펌핑작용으로 인한 혈액순환개선을 상당히 증가시킬 뿐만아니라 발목펌핑구조를 간편하게 구성하여 고장빈도를 줄이므로 그에 따라 장치의 내구성을 강화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Lifting device for the ankle pumping exercise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몸체프레임의 좌우내측에 설치된 체인벨트의 전면에 발목상승봉을 설치하고 이 발목상승봉에 안치된 발목을 일정높이까지 상승시켰다가 발목지지대의 상부로 낙하시키는 방식으로 발목펌핑운동을 반복적으로 시키므로써, 발목펌핑운동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목 펌프운동은 일본의 저명한 비의학 자연 치유학의 권위자인 이나가키 씨의 발목펌핑운동 이론에 근거한 운동법으로, 다리를 들어 발목 후측 아킬레스건 부위를 펌핑롤에 다리 자중에 의해 낙하시켜 보행 부족 해소는 물론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질병 치료에도 크게 보템이 되는 운동이다.
이러한 발목 펌프운동은 침구에 펌핑롤을 안치한 후 운동자가 다리를 직접 들어 올린 후 낙하시켜야 하므로 복근이 부실하거나 하체가 약한 운동자는 수회 실행하지 못하고 결국 포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발목 펌프운동 효과를 장기적으로 지속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체력이 뒷받침되는 운동자라 하더라도 약 10분 정도 펌프운동을 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수면을 취하는 경우가 많아 소망하는 횟수 만큼 펌프운동을 지속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운동자가 직접 다리를 들어 올리지 않고도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자동으로 다리를 들어올릴 수 있는 발목 혈액순환 자동운동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고, 이러한 발목 혈액순환 자동운동장치는 실린더, 와이어, 샤프트 기어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운동자의 다리를 자동으로 들어 올렸다가 낙하시킴으로써 펌프운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발목 펌핑장치의 일례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바닥프레임(70)상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된 복수개의 가이드 부재(71A-B)와; 상기 가이드 부재(71A-B)의 각각에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이송바(72A-B)와; 상기 가이드이송바(72A-B)의 하단턱에 걸려져 락킹된후 함께 상부로 연동하다가 일정높이에서 락킹이 해제되어 가이드이송바(72A-B)를 하부로 낙하시키는 선회유동바(73)와; 상기 선회유동바(73)를 상부풀리(74)와 하부풀리(75)를 매개로 회전시키는 연결체인(76)과; 상기 하부풀리(75)의 톱니에 기어결합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풀리(76)와; 상기 구동풀리(76)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77)와; 상기 가이드 부재(71A-B)의 각각에 결합되고 발목이 안치될 수 있도록 안치홈이 형성된 발목고정부재(78)와; 상기 구동모터(77), 가이드이송바(72A-B) 및 선회유동바(73) 등을 포함한 발목 펌핑장치를 제어하는 구동패널부(79)와; 상기 복수의 발목고정부재(78)와 각기 일정이격거리를 두고 발목고정부재(78)가 낙하될시 사용자의 종아리가 착지하여 발목의 충격을 흡수시키는 충격흡수부재(80)를 포함하여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발목 펌핑장치는 먼저 발목운동을 하기를 원하는 사용자가 장치주변에 적당히 앉아 자신의 발목을 상기 발목고정부재(78)에 각기 안치시키고 충격흡수부재(80)를 조정하여 자신의 종아리의 밑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발목을 위치시킨후에 구동패널부(79)를 통해 전원을 인가하면 구동모터(77)가 회전을 하여 구동풀리(76)를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동풀리(76)가 회전되면 상기 구동풀리(76)에 회전결합된 하부풀리(75)가 회전을 하여 상부풀리(74)을 매개로 연결체인(76)도 회전을 하게된다. 그러면, 상기 연결체인(76)의 사이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선회유동바(73)가 상기 가이드이송바(72A-B)의 하단턱에 걸려져 락킹되고 그에따라 선회유동바(73)도 연결체인(76)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선회유동바(73)에 연동하는 가이드이송바(72A-B)도 가이드 부재(71A-B)를 매개로 상부로 일정높이까지 이동을 하게된다. 이때, 상기 선회유동바(73)가 일정높이까지 이르면 가이드 부재(71A-B)의 상부측에 형성된 높이제한봉(도시안됨)에 걸려 락킹이 해제되게되고 그에 따라 선회유동바(73)의 지지에 의해 상부까지 상승하던 가이드이송바(72A-B)가 하부에 지지되던 부재가 없으므로 하부로 낙하하게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가이드이송바(72A-B)가 낙하하게 될 경우 상기 가이드이송바(72A-B)에 연동하여 상부로 상승하던 발목고정부재(78) 역시 하부로 낙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이 낙하과정에서 상기 발목보다 종아리가 더 먼저 충격흡수부재(80)에 착지하게되므로 발목의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므로 발목운동을 계속 수행할 수 있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발목 펌핑장치는 가이드이송바에 연동하는 발목고정부재가 상부로 상승했다가 낙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반복될 경우 구성부품이 파손되거나 고장이 발생하는 빈도가 증가하므로 그에 따라 발목 펌핑장치의 내구성이 상당히 저하되었으며, 또한 발목고정부재에 발목이 안치되어 상승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여러이유로 자세를 바꾸어나 움직일 경우 연결체인이나 기타 주변부품에 끼어 부상을 당할 위험성이 상존하므로 그에 따라 발목 펌핑장치의 안전성도 상당히 저하되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발명된 것으로, 발목상승봉에 안치된 발목을 일정높이까지 상승시켰다가 발목지지대의 상부로 발목을 직접 낙하시키는 방식으로 발목펌핑운동을 반복적으로 동작시키므로써, 발목의 펌핑작용으로 인한 혈액순환개선을 상당히 증가시키는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몸체프레임의 후단부에 발끼임 방지판을 설치하여 발목상승봉에 안치된 발목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장치에 끼이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키는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사각 박스형상으로 고정되고 내부가 중공인 제1 및 제2 케이스부재와;
상기 제1 케이스부재의 내측의 상부와 하부에 각기 하나씩 설치된 제1 상부 풀리와 제1 하부풀리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 회전체인과;
상기 제2 케이스부재의 내측의 상부와 하부에 각기 하나씩 설치된 제2 상부 풀리와 제2 하부풀리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체인과;
상기 제1 회전체인의 일측면 몸체와 이에 마주보는 대응위치인 제2 회전체인의 일측면 몸체에 양단 끝의 각각이 결합되어 제1 회전체인 및 제2 회전체인과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연동하고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목이 얹혀지는 발목상승봉과;
상기 제1 케이스부재의 제1 하부풀리에 동력전달 풀리수단을 매개로 회전동력을 전달하고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모터구동부의 구동기능을 포함하여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의 전기적인 전체기능을 제어하고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콘트롤러와;
상기 제1 회전체인과 제2 회전체인의 각 측면몸체에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설치된 발목상승봉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발목상승봉에 얹혀진 상태로 상승하다가 낙하할 경우 사용자의 종아리부분을 안치시키는 발목지지대를 포함하는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의 콘트롤러가 검출센서를 통해 발목상승봉에 사용자의 발목이 정상적으로 얹혀져 있는지를 체킹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하는 제1 과정과;
제1 과정중에 상기 콘트롤러가 안전이 확인된 상태에서 모터구동부를 구동시켜 발목상승봉에 얹혀진 사용자의 발목이 일정높이로 상승하다가 낙하되는 동작을 반복시키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중에 상기 콘트롤러가 검출센서를 통해 발부위의 끼임현상을 검출할 경우 구동모터를 일정시간동안 정,역회전시켜 발부위의 끼임현상을 해소시키는 제3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프레임의 좌우내측에 설치된 체인벨트의 전면에 발목상승봉을 설치하고 이 발목상승봉에 안치된 발목을 일정높이까지 상승시켰다가 발목지지대의 상부로 발목을 직접 낙하시키는 방식으로 발목펌핑운동을 반복적으로 작동 시키므로써, 발목의 펌핑작용으로 인한 혈액순환개선을 상당히 증가시킬 뿐만아니라 발목펌핑구조를 간편하게 구성하여 고장빈도를 줄이므로 그에 따라 장치의 내구성을 강화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몸체프레임의 후단부에 발끼임 방지판을 설치하여 발목상승봉에 안치된 발목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장치에 끼이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하므로 그에 따라 발목펌핑 승강장치의 안전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발목 펌핑장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의 전기회로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설명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의 전기회로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는 도 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베이스프레임(1)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사각 박스형상으로 고정되고 내부가 중공인 제1 및 제2 케이스부재(2,3)와;
상기 제1 케이스부재(2)의 내측의 상부와 하부에 각기 하나씩 설치된 제1 상부 풀리(4)와 제1 하부풀리(5)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 회전체인(6)과;
상기 제2 케이스부재(3)의 내측의 상부와 하부에 각기 하나씩 설치된 제2 상부 풀리(7)와 제2 하부풀리(8)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체인(9)과;
상기 제1 회전체인(6)의 일측면 몸체와 이에 마주보는 대응위치인 제2 회전체인(9)의 일측면 몸체에 양단 끝의 각각이 결합되어 제1 회전체인(6) 및 제2 회전체인(9)과 회전연동하고 표면이 매끈한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목(10)이 얹혀지는 발목상승봉(11)과;
상기 제1 케이스부재(2)의 제1 하부풀리(5)에 동력전달 풀리수단(12)을 매개로 회전동력을 전달하고 베이스프레임(1)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구동부(13)와;
상기 모터구동부(13)의 구동기능을 포함하여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14)의 전기적인 전체기능을 제어하고 베이스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는 콘트롤러(15)와;
상기 제1 회전체인(6)과 제2 회전체인(9)의 각 측면몸체에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설치된 발목상승봉(11)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베이스프레임(1)의 상부에 설치되고 발목상승봉(11)에 얹혀진 상태로 상승하다가 낙하할 경우 사용자의 종아리부분을 안치시키는 발목지지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부재(2)의 제1 하부풀리(5)의 구동축(17)과 제2 케이스부재(3)의 제2 하부풀리(8)의 구동축(17)의 사이에는 제1 하부풀리(5)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제2 하부풀리(8)로 전달하는 봉형상의 회전 샤프트부재(18)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모터구동부(13)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콘트롤러(15)의 전원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동작전원을 생성하여 출력시키는 인버터(19)와, 상기 인버터(19)의 동작전원의 인가에 따라 구동되어 설정된 회전력을 출력시키는 구동모터(20)와, 상기 구동모터(20)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구동모터(20)의 구동속도를 콘트롤러(15)의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가감시키는 감속기(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 풀리수단(12)에는 제1 케이스부재(2)의 제1 하부풀리(5)의 구동축(17)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 보조풀리(22)와, 상기 모터구동부(13)의 감속기(21)의 구동축(17)에 결합되어 모터구동부(13)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2 보조풀리(23)와, 상기 제1 보조풀리(22)와 제2 보조풀리(23)에 각기 결합되어 양자간의 회전동력을 전달시키는 연결벨트(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케이스부재(2)와 제2 케이스부재(3)의 각 상단 후면위치에는 발목상승봉(11)에 얹혀진 상태로 상승하는 발이나 발가락부위가 후면부에 끼여 부상을 입지않도록 방지하는 판형상의 발끼임 방지판(25)이 설처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15)에는 리모콘(26)이나 전용앱이 구비된 스마트폰(27)의 기능제어신호를 무선신호처리하는 무선모듈부(28)가 구비된다.
더 나아가, 상기 콘트롤러(15)에는 내부의 동작상황을 문자나 숫자 혹은 도형으로 표시하는 표시패널(29)과 사용자의 기능제어신호를 입력시키는 키패널(30)이 형성된 표시패널부(3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콘트롤러(15)는 베이스프레임(1) 혹은 제1 케이스부재(2) 및 제2 케이스부재(3)상에 설치되어 발부위의 끼임현상을 검출하는 검출센서부(32)의 검출센서(33A)의 검출신호에 따라 모터구동부(13)의 구동모터(20)를 일정시간동안 정,역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부재(2) 및 제2 케이스부재(3)의 내측 외부면의 각각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발목상승봉(11)이 제1 회전체인(6)과 제2 회전체인(9)의 회전궤도를 따라 연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34)이 각각 형성된다.
더 나아가, 상기 검출센서부(32)는 상기 제1 케이스부재(2) 및 제2 케이스부재(3)의 상단이나 측면위치에 포토커플러 형태로 각각 설치되어 발목상승봉(11)에 발목이 안정적으로 얹혀졌는지를 검출하는 검출센서(33A)를 포함하여 본 발명 장치(14)의 여러기능 예컨대, 발끼임 현상 등을 검출하는 검출센서들(33A-N)을 모두 포함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콘트롤러가 검출센서를 통해 발목상승봉에 사용자의 발목이 정상적으로 얹혀져 있는지를 체킹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하는 제1 과정(S1)과;
제1 과정(S1)중에 콘트롤러가 안전이 확인된 상태에서 모터구동부를 구동시켜 발목상승봉에 얹혀진 사용자의 발목이 일정높이로 상승하다가 낙하되는 동작을 반복시키는 제2 과정(S2)과;
상기 제2 과정(S2)중에 콘트롤러가 검출센서를 통해 발부위의 끼임현상을 검출할 경우 구동모터를 일정시간동안 정,역회전시켜 발부위의 끼임현상을 해소시키는 제3 과정(S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 과정(S3)에는 상기 콘트롤러가 무선모듈부를 통해 리모콘 혹은 전용앱이 구비된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된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스마트제어단계를 더 포함한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14)를 통해 발목운동을 하기를 원하는 사용자가 장치주변에 적당히 앉아 자신의 양 발목을 발목상승봉(11)에 가지런히 얹혀놓은후 표시패널부(31)의 키패널(30)상의 동작버튼을 눌러 장치를 동작시킨다. 이때 상기 콘트롤러(15)는 먼저, 예컨대, 포토커플러 형태의 검출센서부(32)의 검출센서(33A)를 통해 발목상승봉(11)에 사용자의 발목이 정상적으로 얹혀져 있는지를 체킹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하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15)는 발목상승봉(11)에 사용자의 발목이 정상적으로 얹혀져 있을 경우 모터구동부(13)의 인버터(19)를 통해 동작전원을 인가시킨다 그러면, 상기 인버터(19)는 설정된 구동전력을 생성하여 구동모터(20)로 인가하고 그에 따라 구동모터(20)가 정회전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20)가 회전을 하게 될 경우 상기 구동모터(20)의 회전축에 결합된 감속기(21)도 구동되게되어 콘트롤러(15)가 설정해준 가감속도로 구동모터(20)의 회전속도를 단속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감속기(21)의 구동축(17)에 결합된 동력전달 풀리수단(12)의 제2 보조풀리(23)가 연동하여 회전을 하게된다. 그러면 상기 제2 보조풀리(23)와 연동하는 제1 보조풀리(22) 역시 연결벨트(24)를 매개로 하여 회전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1 보조풀리(22)가 회전을 하게되면 상기 제1 보조풀리(22)에 구동축(17)을 매개로 결합되어 있는 제1 케이스부재(2)의 제1 하부풀리(5) 역시 회전구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부재(2)의 제1 하부풀리(5)가 모터구동부(13)에 의해 회전하게 될 경우 상기 제1 하부풀리(5)에 결합되어 있는 봉형상의 회전 샤프트부재(18) 역시 회전을 하게되므로 그에따라 상기 회전 샤프트부재(18)의 반대편에 연결된 제2 하부풀리(8) 역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1 하부풀리(5)와 제2 하부풀리(8)가 회전 샤프트부재(18)에 연동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하부풀리(5)에 결합된 제1 회전체인(6)에 의해 제1 상부풀리(4)가, 상기 제2 하부풀리(8)에 결합된 제2 회전체인(9)에 의해 제2 상부풀리(7)가 연동되어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1 하부풀리(5)와 제1 상부풀리(4)가 제1 회전체인(6)을 매개로 회전하고 그와 동시에 제2 하부풀리(8)와 제2 상부풀리(7)가 제2 회전체인(9)을 매개로 회전을 함에 따라 상기 제1 회전체인(6)과 제2 회전체인(9) 사이에 평행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발목상승봉(11)도 제1 회전체인(6)과 제2 회전체인(9)의 회전궤도 상에 각각 구비된 가이드홈(34)을 따라 상승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발목상승봉(11)에 얹혀진 사용자의 양 발목역시 발목상승봉(11)과 함께 상승을 하다가 발목상승봉(11)이 상기 제1 회전체인(6)과 제2 회전체인(9)의 회전 예컨대, 360도 회전에 의해 반대편으로 넘어갈 경우(발목상승봉이 도달할 수 있는 최대높이) 사용자의 양발목(10)은 지지하는 부재가 없으므로 하부로 낙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양발목(10)이 낙하하면 그 종아리 부분이 발목지지대(16)의 상부로 안치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제1 회전체인(6)과 제2 회전체인(9)의 회전 예컨대, 360도 회전에 의해 발목상승봉(11)이 하부의 원래 위치로 돌아와 다시 사용자의 발목(10)이 얹혀지게 되는데, 상기 본 발명의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14)는 동작전원이 인가되는 한 상기와 같이 발목펌핑운동 승강과정을 계속 반복하면서 사용자의 발목운동을 실행시킨다.
한편 상기 발목펌핑운동 승강과정중에 여러원인에 의해 사용자의 발부위가 장치에 끼일 경우 모터구동부(13)의 구동모터(20)가 일정시간시간 동작을 하지 못할 수가 있는데, 상기 콘트롤러(15)는 검출센서부(32)의 검출센서(33N)를 통해 이러한 발부위의 끼임현상이 검출되면 구동모터(20)를 일정시간동안 정,역회전시켜 발부위의 끼임현상을 해소시킨다.
반면에, 상기와 같이 발부위의 끼임현상을 전기회로적으로 처리하지 않고 판형상의 발끼임 방지판(25)을 상기 제1 케이스부재(2)와 제2 케이스부재(3)의 각 상단 후면위치에 설치하여 발목상승봉(11)에 얹혀져 상승하는 발이나 발가락부위가 후면부에 끼여 부상을 입지않도록 기구적으로 방지할 수 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14)에는 리모콘(26)이나 전용앱이 구비된 스마트폰(27)의 기능제어신호를 무선신호로 처리하는 무선모듈부(28)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콘트롤러(15)는 무선모듈부(28)를 통해 리모콘(26) 혹은 전용앱이 구비된 스마트폰(27)으로부터 입력된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14)의 기능을 제어하는 스마트제어를 실행할 수 도 있다.
1 : 베이스프레임 2 : 제1 케이스부재
3 : 제2 케이스부재 4 : 제1 상부 풀리
5 : 제1 하부풀리 6 : 제1 회전체인
7 : 제2 상부풀리 8 ; 제2 하부풀리
9 : 제2 회전체인 10: 발목
11: 발목상승봉 12: 동력전달 풀리수단
13: 모터구동부 14: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
15: 콘트롤러 16: 발목지지대
17: 구동축 18: 회전 샤프트부재
19: 인버터 20: 구동모터
21: 감속기 22: 제1 보조풀리
23: 제2 보조풀리 24: 연결벨트
25: 발끼임 방지판 26: 리모콘
27: 스마트폰 28: 무선모듈부
29: 표시패널 30: 키패널
31: 표시패널부 32: 검출센서부
33A-N: 검출센서 34: 가이드홈

Claims (9)

  1.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사각 박스형상으로 고정되고 내부가 중공인 제1 및 제2 케이스부재와;
    상기 제1 케이스부재의 내측의 상부와 하부에 각기 하나씩 설치된 제1 상부 풀리와 제1 하부풀리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 회전체인과;
    상기 제2 케이스부재의 내측의 상부와 하부에 각기 하나씩 설치된 제2 상부 풀리와 제2 하부풀리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체인과;
    상기 제1 회전체인의 일측면 몸체와 이에 마주보는 대응위치인 제2 회전체인의 일측면 몸체에 양단 끝의 각각이 결합되어 제1 회전체인 및 제2 회전체인과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연동하고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목이 얹혀지는 발목상승봉과;
    상기 제1 케이스부재의 제1 하부풀리에 동력전달 풀리수단을 매개로 회전동력을 전달하고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구동부와;
    상기 모터구동부의 구동기능을 포함하여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의 전기적인 전체기능을 제어하고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콘트롤러와;
    상기 제1 회전체인과 제2 회전체인의 각 측면몸체에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설치된 발목상승봉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발목상승봉에 얹혀진 상태로 상승하다가 낙하할 경우 사용자의 종아리부분을 안치시키는 발목지지대를 포함하는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부재의 제1 하부풀리의 구동축과 제2 케이스부재의 제2 하부풀리의 구동축의 사이에는 제1 하부풀리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제2 하부풀리로 전달하는 봉형상의 회전 샤프트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구동부에는 콘트롤러의 전원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동작전원을 생성하여 출력시키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의 동작전원의 인가에 따라 구동되어 설정된 회전력을 출력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속도를 콘트롤러의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가감시키는 감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 폴리수단에는 제1케이스부재의 하부풀리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 보조풀리와, 상기 모터구동부의 감속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모터구동부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2 보조풀리와, 상기 제1 보조풀리와 제2 보조풀리에 각기 결합되어 양자간의 회전동력을 전달시키는 연결벨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부재와 제2 케이스부재의 각 상단 후면위치에는 발목상승봉에 얹혀진 상태로 상승하는 발이나 발가락부위가 후면부에 끼여 부상을 입지않도록 방지하는 판형상의 발끼임 방지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펌핑운동 상승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에는 리모콘이나 전용앱이 구비된 스마트폰의 기능제어신호를 무선신호처리하는 무선모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베이스프레임 혹은 제1 케이스부재 및 제2 케이스부재상에 설치되어 발부위의 끼임현상을 검출하는 검출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라 모터구동부의 구동모터를 일정시간동안 정,역회전시키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
  8.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의 콘트롤러가 검출센서를 통해 발목상승봉에 사용자의 발목이 정상적으로 얹혀져 있는지를 체킹하여 안전상태를 확인하는 제1 과정과;
    제1 과정중에 상기 콘트롤러가 안전이 확인된 상태에서 모터구동부를 구동시켜 발목상승봉에 얹혀진 사용자의 발목이 일정높이로 상승하다가 낙하되는 동작을 반복시키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중에 상기 콘트롤러가 검출센서를 통해 발부위의 끼임현상을 검출할 경우 구동모터를 일정시간동안 정,역회전시켜 발부위의 끼임현상을 해소시키는 제3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에는 콘트롤러가 무선모듈부를 통해 리모콘 혹은 전용앱이 구비된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된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스마트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90144994A 2019-11-13 2019-11-13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58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994A KR20210058045A (ko) 2019-11-13 2019-11-13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994A KR20210058045A (ko) 2019-11-13 2019-11-13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045A true KR20210058045A (ko) 2021-05-24

Family

ID=76152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994A KR20210058045A (ko) 2019-11-13 2019-11-13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80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04581A1 (en) Robot motor rehabilitation device
KR101327178B1 (ko) 투-벨트 트레드밀 및 이를 구비한 보행재활 훈련장치
US7927257B2 (en) Assisted stair training machine and methods of using
KR100912066B1 (ko) 보행 재활훈련장치
KR101734071B1 (ko) 안마장치가 구비된 리클라이닝 소파
CN105943307B (zh) 一种踝关节并联康复装置
KR101490323B1 (ko) 발목 펌프 운동장치
KR101496427B1 (ko) 안마의자
KR100875992B1 (ko) 하체 근력 강화장치
JP2016030049A (ja) 脚部訓練用具
KR100994372B1 (ko) 햅틱기술을 적용한 맞춤형 재활운동장치
JP2009089872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KR20210058045A (ko) 발목펌핑운동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473901A (zh) 运动损伤康复辅助设备及控制方法
JP6695720B2 (ja) 足首ストレッチ装置
KR20100027517A (ko)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
KR101577047B1 (ko) 다용도의 기능성 침대
KR100859015B1 (ko)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
JP2017006581A (ja) マッサージ機
CN211986200U (zh) 一种骨科康复训练装置
KR100469996B1 (ko) 발목 펌프 운동기구
KR20100133330A (ko) 발목 펌핑운동용 승강장치
CN214388721U (zh) 智能气缸阻力哈克深蹲机
KR20200142384A (ko) 하지 운동 로봇과 이의 제조방법 및 제어방법
KR101879310B1 (ko) 벨트 승강구조의 다리안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