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408A - 벽체와 수납가구를 일체화한 벽체 가구 시스템 - Google Patents

벽체와 수납가구를 일체화한 벽체 가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408A
KR20210057408A KR1020190144142A KR20190144142A KR20210057408A KR 20210057408 A KR20210057408 A KR 20210057408A KR 1020190144142 A KR1020190144142 A KR 1020190144142A KR 20190144142 A KR20190144142 A KR 20190144142A KR 20210057408 A KR20210057408 A KR 20210057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urniture system
panel
wal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애
Original Assignee
이영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애 filed Critical 이영애
Priority to KR1020190144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7408A/ko
Publication of KR20210057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6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07Stackable racks, trays or shelf units
    • A47B87/0223Shelves stackable by means of poles or tubular members as distance-holders therebetween

Landscapes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와 수납 가구를 일체화함으로써 벽체 기능과 수납 가구 기능을 동시에 얻을 수 있으며, 시공이 편리하여 내부 리모델링 또는 가변형 평면 구성시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벽체 가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조물의 천장과 바닥면 사이에서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며, 길이방향 단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면에 연결홈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프레임, 연결홈에 삽입되는 제1 연결부재를 갖고 제1 프레임들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패널, 연결홈에 삽입되는 제2 연결부재를 갖고 제1 프레임들의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벽체와 수납가구를 일체화한 벽체 가구 시스템{Wall furniture system integrating wall and storage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와 수납가구를 일체화한 벽체 가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거주자의 다채로운 생활공간 구성에 대한 요구도 증대에 따라 최근 분양되는 아파트 등 평면은 실의 분할 및 통합을 선택할 수 있는 가변형 평면으로 계획되는 사례가 많다. 대부분의 경우 실 분할시에는 건식 칸막이 벽이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적정한 수납공간의 확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나,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가능한 가구 시스템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와 수납 가구를 일체화함으로써 벽체 기능과 수납 가구 기능을 동시에 얻을 수 있으며, 시공이 편리하여 내부 리모델링 또는 가변형 평면 구성시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벽체 가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가구 시스템은 수납 가구와 벽체가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리모델링 및 건물 분양시 옵션형 가구로서 활용할 경우 가구 배치에 따른 공간소모가 적고, 시공이 용이하다.
또한, 마감 패널 및 선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수납 공간을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벽체와 수납 가구를 일체화함으로써 내화, 안정성 등 기능이 요구되는 벽체로서의 기능과 함께 각종 물품의 수납 가구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가구 시스템의 프레임과 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가구 시스템의 제1 프레임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가구 시스템의 제1 패널과 제2 패널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가구 시스템의 제1 프레임과 제1 패널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가구 시스템의 런너와 제1 프레임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가구 시스템의 런너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가구 시스템의 제2 프레임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가구 시스템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조물의 천장과 바닥면 사이에서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며, 길이방향 단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면에 연결홈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프레임, 연결홈에 삽입되는 제1 연결부재를 갖고 제1 프레임들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패널, 연결홈에 삽입되는 제2 연결부재를 갖고 제1 프레임들의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서, 패널은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포함하며, 제2 패널은 제1 패널의 폭과 같은 크기를 갖고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은 사각 기둥의 강재로 형성되며, 제1 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연결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은 복수개의 연결홈이 길이방향으로 신장 형성되는 각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홈은 제1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각 면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제1 연결홈,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각 면에서 제1 연결홈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연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홈의 폭과 길이는 제2 연결홈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제2 연결홈은 설정된 간격을 두고 2개가 이격되어 한 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과 천장 사이 또는 제1 프레임과 바닥면 사이에 고정 결합되는 런너를 더 포함하며, 런너는 제1 프레임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은 런너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제1 연결부재, 제2 연결부재는 연결홈에 각각 대응되는 크기의 "ㄱ"자 형상의 고리로 형성될수 있다.
제2 프레임은 제1 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면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 강재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제1 프레임의 실내측 일면에는 경첩으로 장착되어 개폐되는 도어 패널이 더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패널들 사이에는 흡음재가 개재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가구 시스템의 프레임과 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수납 가구와 벽체가 일체화된 가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1 프레임(100), 제1 패널(110), 제2 프레임(120), 제2 패널(110a)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100)은 구조물의 천장과 바닥면 사이에서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며, 길이방향 단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면에 연결홈이 형성되는 복수개로 형성된다. 여기서, 길이방향은 제1 프레임(100)이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천장으로 향하는 수직 방향을 말한다.
제1 패널(110)은 연결홈에 삽입되는 제1 연결부재(112)를 갖고 제1 프레임(100)들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다. 제1 패널(110)은 가구의 마감 패널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00)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제1 패널(110)들 사이에는 흡음재(10)를 포함한 기능성 부재들이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열재, 보강재, 방진재 등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제1 패널(110)들 사이에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패널의 단열 기능과 보강 기능 및 방진 기능을 할 수 있다.
제2 프레임(120)은 연결홈에 삽입되는 제2 연결부재(122)를 갖고 제1 프레임(100)들의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가로방향은 복수개의 제1 프레임(100)들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1 프레임(100)들 사이를 연결하는 방향을 말하며, 제1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수평방향을 말한다.
제2 패널(110a)은 연결홈에 삽입되는 제1 연결부재(112a)를 갖고 제1 프레임(100)들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다.
제2 패널(110a)은 제1 패널(110)의 폭과 같은 크기를 가지며,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제2 패널(110a)은 제1 연결부재(112a)가 제거된 상태로 가구의 선반 패널(130)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가구 시스템의 제1 프레임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프레임(100)은 벽체 및 가구의 구조재로서 기능을 하는 사각 기둥의 강재로 형성된다. 제1 프레임(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각 기둥의 내부가 중공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1 프레임(100)은 상단과 하단이 개구된 상태의 사각 기둥 형상이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4개의 면을 갖는다.
제1 프레임(100)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연결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연결홈이 길이방향으로 신장 형성되는 각 면에 형성된다.
연결홈은 제1 연결홈(102), 제2 연결홈(104)을 포함한다.
제1 연결홈(102)은 제1 프레임(100)의 각 면(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각 면)의 모서리부에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홈(102)은 제1 프레임(100)의 각 면의 모서리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5개의 라인에 형성되는데, 제1 연결홈(102)의 형성 라인은 제1 프레임(100)의 길이 및 패널의 연결관계에 따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홈(102)은 제1 프레임(100)의 각 면에서 가로방향의 한 개 라인을 기준으로 2개씩 형성되어 8개의 제1 연결홈(102)이 형성되는데, 제1 프레임(100)은 각 면의 모서리부에서 제1 연결홈(102)들이 서로 겹치게 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4개의 연결홈을 갖는다.
제2 연결홈(104)은 제1 프레임(100)의 각 면에서 제1 연결홈(102)들 사이에 형성된다. 제2 연결홈(104)은 제1 프레임(100)의 각 면에서 제1 연결홈(102)이 형성되는 가로방향의 한 개 라인을 기준으로 제1 연결홈(102)들 사이에 형성된다.
제2 연결홈(104)은 제1 프레임(100)의 각 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5개의 라인에 형성되는데, 제1 연결홈(102)의 형성 라인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제2 연결홈(104)은 제1 연결홈(102)의 형성 라인에 대응하지 않고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연결홈(104)은 제1 프레임(100)의 각 면에서 가로방향의 한 개 라인을 기준으로 2개씩 형성되어 8개의 제2 연결홈(104)이 형성되는데, 제2 연결홈(104)은 각 면의 중심에서 서로 근접됨에 따라 2개가 한 조를 형성하게 된다. 즉, 제2 연결홈(104)은 제1 프레임(100)의 각 면 중심에서 설정된 간격을 두고 2개가 이격되어 한 조로 형성된다.
제1 연결홈(102)의 폭과 길이는 제2 연결홈(104)의 폭과 길이보다 각각 더 길게 형성된다. 제1 연결홈(102)에는 제1 패널(110)이 결합되며, 제2 연결홈(104)에는 제2 프레임(120)이 결합된다. 제1 패널(110)은 제2 프레임(120)보다 크고 무겁기 때문에 제1 프레임(100)과 제1 패널(110)의 결합 관계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1 연결홈(102)의 크기가 제2 연결홈(104)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야 한다.
제1 연결홈(102)의 길이방향 중심선은 제2 연결홈(104)의 길이방향 중심선과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제2 연결홈(104)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120)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연결홈(104)의 위치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제2 프레임(120)의 간격을 다르게 유지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가구 시스템의 제1 패널과 제2 패널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가구 시스템의 제1 프레임과 제1 패널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패널(110)과 제2 패널(110a)은 플레이트 형상의 강재로 형성된다. 제1 패널(110)은 제2 패널(110a)에 비해 크기가 크다. 제1 패널(110)과 제2 패널(110a)은 가구의 마감 패널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패널(110a)은 선반 패널로도 사용될 수 있다. 제2 패널(110a)은 필요에 따라 제1 패널(110)과 제1 프레임(100)들의 연결관계에 있어 간섭될 수 있는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패널(110)과 제2 패널(110a)은 각각 제1 프레임(100)에 형성되는 제1 연결홈(102)에 삽입되는 연결부재가 형성된다. 제1 패널(110)에는 제1 연결부재(112)가 형성되며, 제2 패널(110a)에는 제1 연결부재(112a)가 형성된
다. 제1 연결부재(112)와 제1 연결부재(112a)의 형상은 동일하다. 또한, 제1 연결부재(112, 112a)는 각각의 패널에 장착되는 위치가 동일하다. 제1 연결부재(112, 112a)는 제1 프레임(100)에 형성되는 제1 연결홈(102)의 형성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제1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연결홈(102)의 간격과 제1 패널(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연결부재(112)의 간격은 동일하다. 제2 패널(110a)의 제1 연결부재(112a)도 마찬가지로 제1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연결홈(102)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갖고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널(110)과 제2 패널(110a)의 크기 차이로 인해 제1 연결부재(112,112a)의 수량은 차이가 있다.
제1 패널(110)의 제1 연결부재(112)와 제2 패널(110a)의 제1 연결부재(112a)는 제1 프레임(100)의 제1 연결홈(102)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재(112, 112a)는 "ㄱ"자 형상의 고리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연결부재(112, 112a)가 각각 제1 연결홈(102)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리가 걸리게 됨에 따라 제1 패널(110)과 제2 패널(110a)의 자체 하중으로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가구 시스템의 런너와 제1 프레임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가구 시스템의 런너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프레임(100)과 천장(150) 사이 또는 제1 프레임(100)과 바닥면(160)사이에 고정 결합되는 런너(170)를 더 포함한다. 런너(170)는 제1 프레임(100)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홈(172)이 형성되며, 고정홈(172)은 런너(170)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가구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천장(150) 및 바닥면(160)에 런너(170)를 고정한다. 런너(170)는 샷핀(180) 또는 스크류 등으로 고정 결합할 수 있다. 런너(170)는 일정간격으로 제1 프레임(100)의 상단 또는 하단과 동일한 크기의 고정홈(172)이 형성되어있어 제1 프레임(100)이 고정홈(172)에 삽입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가구 시스템의 제2 프레임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가구 시스템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프레임(120)은 제1 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일면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 강재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제2 프레임(12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제1 프레임(100)의 제2 연결홈(104)에 삽입되는 고리모양의 제2 연결부재(122)가 형성된다. 제2 연결부재(122)는 전술한 제1 연결부재(112) 및 제1 연결부재(112a)와 같이 "ㄱ"자 형상
의 고리로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프레임(100)의 각 면에 형성되는 제2 연결홈(104)은 제1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제2 연결홈(104)에는 제2 프레임(120)의 제2 연결부재(122)가 삽입되어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120)이 고정 결합된다. 제1 프레임(100)들 사이에 제2 프레임(120)이 설치되면 그 위에는
각종 선반 패널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00)의 실내측 일면에는 경첩으로 장착되어 개폐되는 도어 패널(140)이 더 결합된다. 즉, 가구가 배치되는 실내측에서 벽체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는 제1 프레임(100)의 일면에는 도어 패널(140)이 부착되어 마무리된다. 도어 패널(140)은 경첩 등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각종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가구와 벽체를 일체화하여 벽체 가구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서 프레임(제1 프레임(100), 제2 프레임(120)) 및 런너(170), 패널(마감 패널, 선반 패널, 도어 패널(140))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 및 패널 규격은 다양하게 구비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다채로운 형식의 수납 가구를 벽체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체 가구 시스템이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런너(170)를 건물의 천장(150) 및 바닥면(160)에 설치하고, 런너(170)의 고정홈(172)에 제1 프레임(100)을 삽입 시공하고, 제1 프레임(100)의 모서리부 및 각면에 형성되는 연결홈에 각각의 제1 패널(110)과 제2 프레임(120)을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한다. 이어서, 제2 프레임(120) 상부에 선반 패널(130)을 설치하고, 제1 프레임(100)에 도어 패널(140)을 설치하는 순으로 시공할 수 있다.
100 ; 제1 프레임 110 ; 제1 패널
110a ; 제2 패널 120 ; 제2 프레임
140 ; 도어 패널 170 ; 런너

Claims (15)

  1. 구조물의 천장과 바닥면 사이에서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며, 길이방향 단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면에 연결홈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프레임;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는 제1 연결부재를 갖고 상기 제1 프레임들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패널;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는 제2 연결부재를 갖고 상기 제1 프레임들의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벽체 가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패널과 제2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제1 패널의 폭과 같은 크기를 갖고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벽체 가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사각 기둥의 강재로 형성되는 벽체 가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연결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벽체 가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복수개의 연결홈이 길이방향으로 신장 형성되는 각 면에 형성되는 벽체 가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홈은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각 면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제1 연결홈;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각 면에서 상기 제1 연결홈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연결홈을 포함하는 벽체 가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홈의 폭과 길이는 상기 제2 연결홈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벽체 가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홈은 설정된 간격을 두고 2개가 이격되어 한 조로 형성되는 벽체 가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천장 사이 또는 상기 제1 프레임과 바닥면 사이에 고정 결합되는 런너를 더 포함하는 벽체 가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런너는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벽체 가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런너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벽체 가구 시스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홈에 각각 대응되는 크기의 "ㄱ"자 형상의 고리로 형성되는 벽체 가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방향 일면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 강재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벽체 가구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실내측 일면에는 경첩으로 장착되어 개폐되는 도어 패널이 더 결합되는 벽체 가구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패널들 사이에는 흡음재가 개재되는 벽체 가구 시스템.
KR1020190144142A 2019-11-12 2019-11-12 벽체와 수납가구를 일체화한 벽체 가구 시스템 KR202100574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142A KR20210057408A (ko) 2019-11-12 2019-11-12 벽체와 수납가구를 일체화한 벽체 가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142A KR20210057408A (ko) 2019-11-12 2019-11-12 벽체와 수납가구를 일체화한 벽체 가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408A true KR20210057408A (ko) 2021-05-21

Family

ID=76157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142A KR20210057408A (ko) 2019-11-12 2019-11-12 벽체와 수납가구를 일체화한 벽체 가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74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1718B1 (en) Strut with non-structural infill
KR101794720B1 (ko) 가변형 칸막이 벽체
KR101174115B1 (ko) 조립식 파티션
KR101424604B1 (ko) 벽체 가구 시스템
KR20210057408A (ko) 벽체와 수납가구를 일체화한 벽체 가구 시스템
KR20190001595U (ko) 논코킹 시스템 실링과 논코킹 시스템 벽체
US3086325A (en) Assembly of acoustical members
KR20190001594U (ko) 시스템 벽체 조립장치
JP7439538B2 (ja) 間仕切壁の遮音構造
WO2017077959A1 (ja) 吸音パネル及び防音壁設備
JP7151341B2 (ja) 収納棚の配線構造
KR20130002472A (ko)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붙박이장의 현장 조립구조
JP6637283B2 (ja) ユニット建物
US8429863B2 (en) Prefabricated frame support
JP4189817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101613694B1 (ko) 지지기둥이 내설된 조립식 벽체패널
KR101180361B1 (ko) 단층 구조의 실내 칸막이용 칸막이프레임 및 그 시공방법
JP6844596B2 (ja) 間仕切収納システム
JP7319216B2 (ja) ユニット建物
JP7176851B2 (ja) 建物の壁構造
KR101713301B1 (ko) 파티션 결합 장치
KR20160055478A (ko) 커튼 월의 코너 바 프레임 조립체
JP6207176B2 (ja) 壁式構造建物
JP2020054524A (ja) 棚板支持具
JP2015055051A (ja) 建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