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362A -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 - Google Patents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362A
KR20210057362A KR1020190144037A KR20190144037A KR20210057362A KR 20210057362 A KR20210057362 A KR 20210057362A KR 1020190144037 A KR1020190144037 A KR 1020190144037A KR 20190144037 A KR20190144037 A KR 20190144037A KR 20210057362 A KR20210057362 A KR 20210057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ther
leather product
clean
main body
dedicated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9160B1 (ko
Inventor
박승호
Original Assignee
박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호 filed Critical 박승호
Priority to KR1020190144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1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7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4Wardrobes for shoes, hats, umbrella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6Alumino-silic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방, 신발, 옷 등으로 이루어진 가죽 제품(1)의 관리 및 보관이 가능하면서 쾌적하게 가죽 제품(1)을 사용하는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죽 제품(1)의 종류별 수용이 가능하게 분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면서 가죽 제품(1)을 걸어 안착할 수 있게 안착봉(12)을 갖는 전용 칸(11)을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전용 칸(11)에 안착된 가죽 제품(1)으로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이물질을 제거하게 하나 이상의 모터(21)를 갖는 분리부(22)를 구비하고, 이탈된 이물질 외부로 배출하게 배출부(23)를 구비하는 순환수단(20); 상기 본체(10)와 순환수단(20) 상에 가죽 제품(1)을 제습, 탈취, 살균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클린수단(30); 및 상기 본체(10) 상에 순환수단(20)과 클린수단(30)과 서로 연동되어 풍량의 세기, 시간, 살균 등의 조절이 가능하면서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콘트롤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가방, 신발, 옷 등으로 이루어진 가죽 제품은 대부분이 고가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 관리가 어려운 점을 해결하고, 가죽 특유의 냄새를 억제가 가능하면서 제습, 탈취, 살균을 시행함에 따라 쾌적한 상태의 가죽 제품을 재사용 할 수 있어 관리의 편의성이 증진되며, 내부에 가죽 제품의 종류에 따라 전용 칸이 마련되어 있어 보관의 용이성까지 증진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Leather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방, 신발, 옷 등으로 이루어진 가죽 제품은 대부분이 고가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 관리가 어려운 점을 해결하고, 가죽 특유의 냄새를 억제가 가능하면서 제습, 탈취, 살균을 시행함에 따라 쾌적한 상태의 가죽 제품을 재사용 할 수 있어 관리의 편의성이 증진되며, 내부에 가죽 제품의 종류에 따라 전용 칸이 마련되어 있어 보관의 용이성까지 증진되는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죽은 피혁(皮革)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동물의 몸을 싸고 있는 껍질을 벗기어 가공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 벗겨낸 가죽을 그대로 방치해두면 부패가 발생하기 때문에 별도의 화학적 타닌 처리과정을 거쳐 가죽 제품을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가죽은 동물의 껍질을 벗겨 많은 공정을 통해 제품화하여야 하기 때문에 대부분이 고가의 제품으로 형성되는 것이 많고, 관리가 어려워 다양한 관리법과 관리제품 등이 인터넷 등을 통해 알려져 있지만 전문적인 지식 등이 없는 사용자에게는 천연 가죽이든 인조 가죽이든 실질적으로 가죽 제품을 관리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랐다.
일예로, 한국 등록 특허 제2019132호에 따르면,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구비되어 처리 대상 의류가 거치되는 의류 수용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 수용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의류 수용부 내부에 거치되는 의류의 무게를 센싱하는 무게 센서; 사용자로부터 의류에서 먼지와 냄새 제거를 위한 메인 처리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리고 상기 무게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의류의 무게 정보를 반영하여, 자동으로 상기 의류에서 제습 또는 건조를 위한 부가 처리 정보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고, 부가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부가 처리 정보를 세팅하고, 상기 부가 처리 정보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메인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의류를 처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부가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의류를 처리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메인 처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의류를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의류관리기는 무게 센서에 의해 의류의 무게를 통한 적정의 관리가 가능하다고 하지만, 단순히 무게의 차이를 통해 의류에 재질을 단정할 수 없으며 사용자가 의류의 주머니 상에 어떠한 물건이 포함된 상태로 수용한다면 의류의 종류에 따른 관리는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 다른예로, 한국 공개 실용신안 제2015-0004420호에 따르면,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 포트와, 상기 내부 공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포트를 구비하는 공기 통로를 형성한 덕트; 상기 덕트의 배출 포트측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 포트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 포트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블로워; 상기 덕트에 내장되고, 상기 블로워와 상기 배출 포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블로워에 의하여 상기 흡입 포트로부터 이송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PTC 히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 및 상기 내부 공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공간 전체에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살균 기능이 구비된 의류 관리 장치.'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건조 및 살균 기능이 구비된 의류 관리 장치는 단순히 공기를 가열하여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건조시키는 구성을 통해 열에 취약한 고가의 가죽 제품에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2019132호 "인공지능 의류관리기"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5-0004420호 "건조 및 살균 기능이 구비된 의류 관리 장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방, 신발, 옷 등으로 이루어진 가죽 제품은 대부분이 고가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 관리가 어려운 점을 해결하고, 가죽 특유의 냄새를 억제가 가능하면서 제습, 탈취, 살균을 시행함에 따라 쾌적한 상태의 가죽 제품을 재사용 할 수 있어 관리의 편의성이 증진되며, 내부에 가죽 제품의 종류에 따라 전용 칸이 마련되어 있어 보관의 용이성까지 증진되는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방, 신발, 옷 등으로 이루어진 가죽 제품의 관리 및 보관이 가능하면서 쾌적하게 가죽 제품을 사용하는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죽 제품의 종류별 수용이 가능하게 분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면서 가죽 제품을 걸어 안착할 수 있게 안착봉을 갖는 전용 칸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용 칸에 안착된 가죽 제품으로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이물질을 제거하게 하나 이상의 모터를 갖는 분리부를 구비하고, 이탈된 이물질 외부로 배출하게 배출부를 구비하는 순환수단; 상기 본체와 순환수단 상에 가죽 제품을 제습, 탈취, 살균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클린수단; 및 상기 본체 상에 순환수단과 클린수단과 서로 연동되어 풍량의 세기, 시간, 살균 등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클린수단은 분리부 상에 전용 칸과 근접 형성되어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여 가죽 제품으로 쾌적한 공기가 유입되게 교체가 가능한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클린수단은 전용 칸과 필터 사이에 형성되어 쾌적한 공기가 전용 칸으로 유입되게 다수개의 통공을 구비하고, 가죽 제품의 제습과 탈취가 가능하게 편백으로 형성되는 제1클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클린수단은 전용 칸의 내부 상면에 설치되어 가죽 제품으로 자외선을 분포하여 살균이 가능하게 다수개의 LED 자외선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클린수단은 전용 칸의 내부 하면에 설치되어 가죽 제품에 포함되어 있는 독소와 습기를 제거하게 제올라이트로 형성되는 제2클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클린수단의 제2클린부는 전용 칸의 내부 하면이 돌부와 홈으로 형성되어 홈 상에 삽설되는 제2클린부를 구비하되, 제2클린부는 분리 세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방, 신발, 옷 등으로 이루어진 가죽 제품은 대부분이 고가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 관리가 어려운 점을 해결하고, 가죽 특유의 냄새를 억제가 가능하면서 제습, 탈취, 살균을 시행함에 따라 쾌적한 상태의 가죽 제품을 재사용 할 수 있어 관리의 편의성이 증진되며, 내부에 가죽 제품의 종류에 따라 전용 칸이 마련되어 있어 보관의 용이성까지 증진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의 클린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가방, 신발, 옷 등으로 이루어진 가죽 제품(1)의 관리 및 보관이 가능하면서 쾌적하게 가죽 제품(1)을 사용하는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에 관련되며, 본체(10), 순환수단(20), 클린수단(30), 콘트롤러(4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상기 가죽 제품(1)의 종류별 수용이 가능하게 분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면서 가죽 제품(1)을 걸어 안착할 수 있게 안착봉(12)을 갖는 전용 칸(11)을 구비한다. 본체(10)는 내부에 재질이 가죽으로 형성된 가방, 신발, 옷 등의 다양한 가죽 제품(1)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각각의 전용 칸(11)이 형성되어 별도의 도어(미도시)를 통해 가죽 제품(1)을 투입하여 관리 및 보관을 시행하면서 가죽 제품(1)의 사용 시 배출하여 손쉽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전용 칸(11)은 도면 상에 가방과 신발 만을 도시하였지만 다양한 가죽 제품(1)에 맞게 설정이 가능하고, 가죽 제품(1)을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안착봉(12)이 측면 방향으로 설치하여 많은 양의 가죽 제품(1)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마치 장롱(欌籠)과 유사하게 형성하여 가죽 제품(1)의 관리 및 보관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순환수단(20)은 상기 본체(10)의 전용 칸(11)에 안착된 가죽 제품(1)으로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이물질을 제거하게 하나 이상의 모터(21)를 갖는 분리부(22)를 구비하고, 이탈된 이물질 외부로 배출하게 배출부(23)를 구비한다. 순환수단(20)은 상술한 본체(10) 상에 형성되어 가죽 제품(1)이 수용되어 있는 전용 칸(11)의 일측에 전용 칸(11)과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모터(21)를 설치하여 외부의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하고, 유입된 외부의 공기를 분리부(22)를 통해 분배되어 전용 칸(11)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외부의 공기가 투입 후, 후술하는 클린수단(30)을 통해 가죽 제품(1)을 관리 및 보관을 시행한 다음, 가죽 제품(1)에서 이탈된 이물질을 배출부(23)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클린수단(30)은 상기 본체(10)와 순환수단(20) 상에 가죽 제품(1)을 제습, 탈취, 살균이 가능하게 구비한다. 클린수단(30)은 본체(10)의 전용 칸(11)과 순환수단(20) 상에 형성되어 가죽 제품(1)에 관리 및 보관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습, 탈취, 살균 등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클린수단(30)은 분리부(22) 상에 전용 칸(11)과 근접 형성되어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여 가죽 제품(1)으로 쾌적한 공기가 유입되게 교체가 가능한 필터(3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클린수단(30)은 전용 칸(11)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분리부(22) 상에 설치되는 필터(31)를 구비하는 바, 이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와 이물질 등을 차단하여 쾌적한 공기가 유입하게 되고, 필터(31)의 교체가 원활하도록 하여 항상 쾌적한 공기를 통해 가죽 제품(1)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보다 원활하게 관리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클린수단(30)은 전용 칸(11)과 필터(31) 사이에 형성되어 쾌적한 공기가 전용 칸(11)으로 유입되게 다수개의 통공(32)을 구비하고, 가죽 제품(1)의 제습과 탈취가 가능하게 편백(扁柏)으로 형성되는 제1클린부(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클린수단(30)은 상술한 전용 칸(11)과 필터(31) 사이에 위치하는 제1클린부(33)가 형성되는 바, 제1클린부(33)는 가죽 제품(1)의 제습과 탈취가 가능하도록 편백으로 형성하게 되고, 제1클린부(33)는 다수개의 통공(32)이 형성되어 필터(31)로부터 미세먼지와 이물질 등이 제거된 맑은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면서 가죽 제품(1)의 제습과 탈취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편백은 강력한 살균 작용이 가능하면서 편백이 해충, 병균, 곰팡이, 박테리아 등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뿜어내는 피톤치드(Phytoncide)를 통해 가죽 제품(1)을 보호할 수 있어 친환경적으로 가죽 제품(1)의 관리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클린수단(30)은 전용 칸(11)의 내부 상면에 설치되어 가죽 제품(1)으로 자외선을 분포하여 살균이 가능하게 다수개의 LED 자외선램프(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양한 가죽 제품(1)을 수용할 수 있는 전용 칸(11)의 내부 상면에는 전용 칸(11)의 내부 전체를 분포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LED 자외선램프(34)를 구비한다. LED 자외선램프(34)는 자외선을 통해 살균하는 것으로 색을 구별할 수 있는 파를 가시광선이라고 하는데 가시광선의 보라색보다 바깥쪽에 있는 파장을 자외선이라고 한다. 이러한 자외선은 열이 아닌 파장을 통해 살균하는 것으로 열에 취약한 가죽 제품(1)을 파장을 통해 살균을 시행함으로 가죽 제품(1)의 관리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클린수단(30)은 전용 칸(11)의 내부 하면에 설치되어 가죽 제품(1)에 포함되어 있는 독소와 습기를 제거하게 제올라이트(zeolite)로 형성되는 제2클린부(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클린수단(30)은 전용 칸(11)의 내부 하면, 즉 바닥면 상에 설치되어 가죽 제품(1)에 포함되어 있는 습기를 제거 할 수 있도록 제올라이트로 형성되는 제2클린부(35)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2클린부(35)의 경우 제올라이트로 형성됨에 따라 벌집 모양의 구조 안에 있는 공간은 음전하를 띠며 이 음전하는 납, 수은 또는 니트로사민과 같은 양극성 독소와 함께 전용 칸(11)의 내부와 가죽 제품(1)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를 끌어당겨 제거하는 작용을 시행하여 가죽 제품(1)의 관리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클린수단(30)의 제2클린부(35)는 전용 칸(11)의 내부 하면이 돌부(36)와 홈(37)으로 형성되어 홈(37) 상에 삽설되는 제2클린부(35)를 구비하되, 제2클린부(35)는 분리 세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클린부(3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용 칸(11) 상에 형성되어 가죽 제품(1)에 포함되어 있는 독소와 습기를 제거하는 것으로 잦은 세척이 가능해야 한다. 그로 인해 제2클린부(35)는 전용 칸(11)의 내부 하면에 돌부(36)와 홈(37)으로 형성됨에 따라 홈(37) 상에 제2클린부(35)를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안착된 제2클린부(35)는 교체를 시행하거나 세척이 가능함으로 가죽 제품(1)의 관리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콘트롤러(40)는 상기 본체(10) 상에 순환수단(20)과 클린수단(30)과 서로 연동되어 풍량의 세기, 시간, 살균 등의 조절이 가능하면서 잠금수단을 구비한다. 콘트롤러(40)는 본체(10) 상에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가죽 제품(1)을 관리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순환수단(20)과 클린수단(30)과 서로 연동되어 풍량의 세기, 시간, 살균 등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별도의 잠금수단을 통해 본체(10)를 개폐 가능하면서 타인으로부터 내부에 수용된 고가의 가죽 제품(1)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방, 신발, 옷 등으로 이루어진 가죽 제품은 대부분이 고가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 관리가 어려운 점을 해결하고, 가죽 특유의 냄새를 억제가 가능하면서 제습, 탈취, 살균을 시행함에 따라 쾌적한 상태의 가죽 제품을 재사용 할 수 있어 관리의 편의성이 증진되며, 내부에 가죽 제품의 종류에 따라 전용 칸이 마련되어 있어 보관의 용이성까지 증진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가죽 제품 10: 본체
11: 전용 칸 20: 순환수단
21: 모터 22: 분리부
23: 배출부 30: 클린수단
31: 필터 32: 통공
33: 제1클린부 34: LED 자외선램프
35: 제2클린부 36: 돌부
37: 홈

Claims (6)

  1. 가방, 신발, 옷 등으로 이루어진 가죽 제품(1)의 관리 및 보관이 가능하면서 쾌적하게 가죽 제품(1)을 사용하는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죽 제품(1)의 종류별 수용이 가능하게 분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면서 가죽 제품(1)을 걸어 안착할 수 있게 안착봉(12)을 갖는 전용 칸(11)을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전용 칸(11)에 안착된 가죽 제품(1)으로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이물질을 제거하게 하나 이상의 모터(21)를 갖는 분리부(22)를 구비하고, 이탈된 이물질 외부로 배출하게 배출부(23)를 구비하는 순환수단(20);
    상기 본체(10)와 순환수단(20) 상에 가죽 제품(1)을 제습, 탈취, 살균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클린수단(30); 및
    상기 본체(10) 상에 순환수단(20)과 클린수단(30)과 서로 연동되어 풍량의 세기, 시간, 살균 등의 조절이 가능하면서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콘트롤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린수단(30)은 분리부(22) 상에 전용 칸(11)과 근접 형성되어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여 가죽 제품(1)으로 쾌적한 공기가 유입되게 교체가 가능한 필터(3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린수단(30)은 전용 칸(11)과 필터(31) 사이에 형성되어 쾌적한 공기가 전용 칸(11)으로 유입되게 다수개의 통공(32)을 구비하고, 가죽 제품(1)의 제습과 탈취가 가능하게 편백(扁柏)으로 형성되는 제1클린부(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린수단(30)은 전용 칸(11)의 내부 상면에 설치되어 가죽 제품(1)으로 자외선을 분포하여 살균이 가능하게 다수개의 LED 자외선램프(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린수단(30)은 전용 칸(11)의 내부 하면에 설치되어 가죽 제품(1)에 포함되어 있는 독소와 습기를 제거하게 제올라이트(zeolite)로 형성되는 제2클린부(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린수단(30)의 제2클린부(35)는 전용 칸(11)의 내부 하면이 돌부(36)와 홈(37)으로 형성되어 홈(37) 상에 삽설되는 제2클린부(35)를 구비하되, 제2클린부(35)는 분리 세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
KR1020190144037A 2019-11-12 2019-11-12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 KR102499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037A KR102499160B1 (ko) 2019-11-12 2019-11-12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037A KR102499160B1 (ko) 2019-11-12 2019-11-12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362A true KR20210057362A (ko) 2021-05-21
KR102499160B1 KR102499160B1 (ko) 2023-02-10

Family

ID=76157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037A KR102499160B1 (ko) 2019-11-12 2019-11-12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16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077A (ko) * 2002-10-11 2004-04-21 이후근 구두 또는 시계의 냄새 제거 및 살균 장치
KR200388257Y1 (ko) * 2005-04-04 2005-06-29 신동조 위생 관리 보관 장치
KR20150004420A (ko) 2012-05-04 2015-01-12 아레바 게엠베하 핵 발전소의 연료 저장조
KR20150004420U (ko) * 2014-05-29 2015-12-10 정성균 건조 및 살균 기능이 구비된 의류 관리 장치
KR102019132B1 (ko) 2018-10-19 2019-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의류관리기
KR20190108248A (ko) * 2018-03-14 2019-09-24 조이운 공기청정 기능이 부가된 장난감 살균 소독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077A (ko) * 2002-10-11 2004-04-21 이후근 구두 또는 시계의 냄새 제거 및 살균 장치
KR200388257Y1 (ko) * 2005-04-04 2005-06-29 신동조 위생 관리 보관 장치
KR20150004420A (ko) 2012-05-04 2015-01-12 아레바 게엠베하 핵 발전소의 연료 저장조
KR20150004420U (ko) * 2014-05-29 2015-12-10 정성균 건조 및 살균 기능이 구비된 의류 관리 장치
KR20190108248A (ko) * 2018-03-14 2019-09-24 조이운 공기청정 기능이 부가된 장난감 살균 소독장치
KR102019132B1 (ko) 2018-10-19 2019-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의류관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160B1 (ko) 2023-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948B1 (ko) 살균 탈취기가 구비된 붙박이 수납장
US20210228752A1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nd Disinfecting Objects
US20090193676A1 (en) Shoe Drying Apparatus
KR101132397B1 (ko) 신발 살균소독기
KR101260063B1 (ko) 휴대용 신발 살균 탈취 건조장치
EP2908868B1 (en) Deodorizing and sanitizing container
KR200422381Y1 (ko) 다기능 신발장
KR20190128460A (ko) 재순환 모듈을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1500909B1 (ko) 소형 신발 건조살균탈취기
CN107796217A (zh) 浴室管理设备
JP2000201752A (ja) 殺菌乾燥ボックス
KR101350354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수납박스
KR20040009401A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060686A (ko) 위생 신발장
JP2016137034A (ja) 洗濯機
KR20210057362A (ko) 가죽 제품용 클리너 장치
JP4388974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160093849A (ko) 세균제거기능이 있는 신발건조기
KR20100030887A (ko) 기능성 신발건조 및 살균기
CN113101383B (zh) 一种台嵌式消毒柜
KR200440273Y1 (ko) 공기순환식 살균라커
KR20210120274A (ko) 휴대용 마스크 살균 보관 케이스
KR20210141250A (ko) 의류관리시스템
KR101244848B1 (ko) 도서 소독기
KR102373174B1 (ko) 신발장용 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