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356A - 액티브 비상구 장치 - Google Patents

액티브 비상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356A
KR20210057356A KR1020190144024A KR20190144024A KR20210057356A KR 20210057356 A KR20210057356 A KR 20210057356A KR 1020190144024 A KR1020190144024 A KR 1020190144024A KR 20190144024 A KR20190144024 A KR 20190144024A KR 20210057356 A KR20210057356 A KR 20210057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xit
disaster
occurrence
exit device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4884B1 (ko
Inventor
정태호
이종훈
정지혜
표경수
김유정
황우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to KR1020190144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884B1/ko
Publication of KR20210057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티브 비상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정 장소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하고 비상 탈출 방향을 안내하는 비상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장소에서의 재난 발생을 검출하는 재난 발생 검출부, 상기 재난 발생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비상구 장치로 전파하는 재난 발생 알림부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재난 발생에 관한 알림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비상 탈출을 위해 상기 알림에 대한 피드백을 기초로 동적으로 생성되는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비상 탈출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티브 비상구 장치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본 발명은 재난 대피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취약계층의 스마트 기기를 통해 재난을 알리고 가장 적절한 대피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종 건물이나 시설에 설치 운영되고 있는 비상 유도 시설은 비상 유도등과 비상 유도 표지판 등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들의 주된 기능은 비상 사태 발생시 대피로를 확보하고 탈출구를 표시하여 사람들이 신속 정확하게 탈출 및 대피하여 인명피해를 최소로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현재의 비상구 장치들은 정보를 단순 제공하는 수준에 불과하여 재난 상황에서 안전취약계층에 적절한 정보를 제시하기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100451(2003.12.30)호는 비상구 유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화재나 비상사태 발생시 경보등과 경보음 및 안내방송을 통해 건물내의 사람들이 신속하게 비상구를 통해 대피할 수 있도록 한 비상구 유도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100451(2003.12.30)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전취약계층의 스마트 기기를 통해 재난을 알리고 가장 적절한 대피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재난 발생시 다른 비상구 장치들과 임시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재난 발생을 효과적으로 전파하고 대피경로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응답 피드백을 기초로 비상 탈출 방향을 동적으로 결정하여 대피경로를 갱신할 수 있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액티브 비상구 장치는 상기 특정 장소에서의 재난 발생을 검출하는 재난 발생 검출부, 상기 재난 발생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비상구 장치로 전파하는 재난 발생 알림부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재난 발생에 관한 알림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비상 탈출을 위해 상기 알림에 대한 피드백을 기초로 동적으로 생성되는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비상 탈출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재난 발생 검출부는 상기 특정 장소에 설치된 재난 감시 시스템으로부터 예비 재난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예비 재난 신호를 수신한 경우 복수의 센서들에 의해 수집된 상황정보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상황정보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 상기 다른 비상구 장치에서의 이상 검출을 확인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이상 검출의 분포와 사전 학습된 정상 패턴 간의 유사도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재난 발생을 결정하는 제4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재난 발생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들을 기초로 상기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상황정보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제2 단계, 이상 검출 결과를 다른 비상구 장치에 전파하는 제3 단계, 상기 다른 비상구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상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이상 검출에 관한 분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분포 데이터에 관한 학습을 수행하는 제5단계를 통해 상기 이상 검출의 분포에 관한 정상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재난 발생 알림부는 상기 재난 발생이 검출된 경우 상기 다른 비상구 장치와 상기 전파를 위한 임시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재난 발생 알림부는 상기 재난 발생과 가장 가까운 비상구 장치를 루트 노드로 하는 방사형 트리로서 상기 임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비상 탈출 처리부는 사전 설정된 특정 거리 이내의 알림 영역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재난 발생에 관한 메시지로서 수신 확인을 조건으로 응답 피드백을 상기 특정 장소를 벗어날 때까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실행코드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비상 탈출 처리부는 상기 응답 피드백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알림 영역 내에서의 비상 탈출 방향을 동적으로 결정하여 상기 다른 비상구 장치로 전파하고 상기 다른 비상구 장치로부터 수신한 비상 탈출 방향을 상기 대피경로 상에서 갱신할 수 있다.
상기 비상 탈출 처리부는 동적으로 결정된 상기 비상 탈출 방향을 상기 알림 영역에 관한 3차원 비상 탈출맵 상에 출력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비상구 장치는 재난 발생시 다른 비상구 장치들과 임시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재난 발생을 효과적으로 전파하고 대피경로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비상구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응답 피드백을 기초로 비상 탈출 방향을 동적으로 결정하여 대피경로를 갱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비상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에서 수행되는 액티브 비상구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에서 수행되는 액티브 비상구 제공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비상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액티브 비상구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 데이터베이스(150) 및 외부 시스템(17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은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하고 비상 탈출 방향을 안내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일상적인 상황에서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구비하여 구현될 수 있고, 비상 탈출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조명, 음향, 디스플레이 및 통신 모듈(예를 들어, AP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블루투스, WiFi, 통신망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재난 발생시 재난을 알리고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도 1과 달리, 데이터베이스(150)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의 동작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상황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집된 응답 피드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재난 발생을 알리고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외부 시스템(170)은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호 연동을 통해 재난 발생 검출, 알림 및 대응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시스템(170)은 특정 장소(예를 들어, 영화관, 백화점, 지하철 등)에 설치되어 재난 발생을 감시하는 재난 감시 시스템 또는 화재 감시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의 각 단계들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재난 발생 검출부(310), 재난 발생 알림부(330), 비상 탈출 처리부(35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특정 장소에서의 재난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영화관, 백화점, 지하철 등 특정 장소와 연관되어 설치될 수 있고,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특정 장소에서의 재난 발생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재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특정 장소에 설치된 재난 감시 시스템으로부터 예비 재난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예비 재난 신호를 수신한 경우 복수의 센서들에 의해 수집된 상황정보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제2 단계, 상황정보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 다른 비상구 장치에서의 이상 검출을 확인하는 제3 단계 및 이상 검출의 분포와 사전 학습된 정상 패턴 간의 유사도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재난 발생을 결정하는 제4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제1 단계로서 특정 장소에 설치된 재난 감시 시스템으로부터 예비 재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재난 감시 시스템은 액티브 비상구 시스템과 독립적으로 구현된 외부 시스템(170)에 해당할 수 있고, 특정 장소에서의 재난 발생을 감시하고 재난 발생 위험이 존재하는 경우 위험 전파를 위한 예비 재난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재난 발생 검출 동작의 전단계로서 재난 감시 시스템으로부터 예비 재난 신호를 수신하여 다음 단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예비 재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2 단계로서 복수의 센서들에 의해 수집된 상황정보의 이상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재난 발생 검출을 위한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복수의 센서들에 의해 수집된 센싱 정보를 기초로 특정 장소에 관한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상황정보 중에서 정상 범위를 벗어난 정보가 존재하는지에 따라 이상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제3 단계로서 상황정보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 다른 비상구 장치에서의 이상 검출을 확인할 수 있다. 특정 장소에는 복수의 비상구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고,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주변의 다른 비상구 장치들로부터 이상 검출에 관한 결과를 수신하여 재난 발생에 관한 비교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정보 자체의 오류로 인해 상황정보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라면 다른 비상구 장치들에서는 이상 검출이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다른 비상구 장치에서의 이상 검출을 확인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제4 단계로서 이상 검출의 분포와 사전 학습된 정상 패턴 간의 유사도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재난 발생을 결정할 수 있다. 이상 검출의 분포는 각 비상구 장치들에서 검출된 이상 유무를 미리 정의된 좌표 공간상에 배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정상 패턴은 정상 상황에서 수집된 상황정보를 기초로 도출되는 이상 검출의 분포를 학습하여 생성될 수 있다. 기준값은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에 의해 사전에 설정될 수 있으며, 유사도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비상구 장치들로부터 도출되는 이상 검출의 분포가 정상 패턴이 아닐 확률이 높고, 결과적으로 재난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복수의 센서들을 기초로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제1 단계, 상황정보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제2 단계, 이상 검출 결과를 다른 비상구 장치에 전파하는 제3 단계, 다른 비상구 장치로부터 수신한 이상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이상 검출에 관한 분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 단계 및 분포 데이터에 관한 학습을 수행하는 제5단계를 통해 이상 검출의 분포에 관한 정상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복수의 센서들을 기초로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황정보는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센싱 정보를 통합하여 생성되고 특정 장소의 현재 상황에 관한 전반적인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상황정보의 이상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상황정보 중 정상 범위를 벗어난 정보가 존재하는지에 따라 이상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이상 검출 결과를 다른 비상구 장치에 전파할 수 있다. 다른 비상구 장치로 전파된 이상 검출 결과는 이상 검출의 분포를 도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다른 비상구 장치로부터 수신한 이상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이상 검출에 관한 분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되는 분포 데이터는 이상 검출에 관한 분포에 해당할 수 있고, 미리 정의된 좌표 공간에서 각 비상구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상 유무에 따른 결과가 표시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분포 데이터에 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분포 데이터에 관한 학습을 통해 정상 패턴, 즉 정상적인 상황에서 일반적인 오류로 인해 발생하는 이상 검출 결과가 반영되는 이상 검출의 분포 패턴을 도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재난 발생 검출부(310)는 이상 검출의 분포에 관한 학습을 통해 정상 패턴을 생성하고 재난 발생의 결정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다.
재난 발생 알림부(330)는 재난 발생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비상구 장치로 전파할 수 있다. 재난 발생 알림부(330)는 주변 비상구 장치들에게 재난 발생 상황을 전파함으로써 다른 비상구 장치들을 통해 재난 발생에 관한 알림이 병렬적으로 처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난 발생 알림부(330)는 재난 발생이 검출된 경우 다른 비상구 장치와 전파를 위한 임시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임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는 재난 상황에서 재난 발생을 신속히 전파하기 위하여 비상구 장치들 간에 형성되는 동등 계층 간의 네트워크망에 해당할 수 있다. 재난 발생 알림부(330)는 재난 발생이 검출된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를 중심으로 임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장치들 간의 데이터 전송 및 교환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난 발생 알림부(330)는 재난 발생과 가장 가까운 비상구 장치를 루트 노드로 하는 방사형 트리로서 임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 발생과 가장 가까운 비상구 장치는 재난 발생을 최초로 검출한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방사형 트리는 특정 루트 노드를 중심으로 외부로 확장되는 형태의 트리에 해당할 수 있다. 재난 발생 알림부(330)는 재난 상황의 신속한 전파를 위하여 네트워크 구축과 정보 전송에 효과적인 방사형 트리 형태의 임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에게 재난 발생에 관한 알림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비상 탈출을 위해 알림에 대한 피드백을 기초로 동적으로 생성되는 대피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재난 발생 검출부(310)에 의해 재난 발생이 검출된 경우 사용자 단말(110)에게 재난 발생에 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고, 이와 함께 안전한 장소로의 대피를 위한 대피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대피경로로서 지도 상에 이동경로를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대피경로로서 각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기준으로 비상 탈출 방향에 관한 문자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대피경로로서 비상 탈출 방향에 관한 문자 메시지와 함께 비상 탈출 방향에 관한 음성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사전 설정된 특정 거리 이내의 알림 영역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110)에게 재난 발생에 관한 메시지로서 수신 확인을 조건으로 응답 피드백을 특정 장소를 벗어날 때까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실행코드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알림 영역은 각 비상구 장치 별로 정의되는 공간으로서 재난 알림을 위한 데이터 전송 가능 영역에 해당할 수 있으며, 평면 상의 2차원 영역 또는 공간 상의 3차원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알림 영역 내의 사용자 단말(110)에게 재난 발생에 관한 메시지를 강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재난 발생에 관한 알림 메시지와 함께 주기적인 응답 피드백을 전송하는 실행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실행코드는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백그라운드 앱처럼 동작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가 확인된 경우 자동으로 실행되고 특정 장소를 벗어나기 전까지 주기적으로 응답 피드백을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응답 피드백은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정보, 현재 위치, 이동 경로, 이동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응답 피드백의 위치 변화에 따라 알림 영역 내에서의 비상 탈출 방향을 동적으로 결정하여 다른 비상구 장치로 전파하고 다른 비상구 장치로부터 수신한 비상 탈출 방향을 대피경로 상에서 갱신할 수 있다.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응답 피드백을 기초로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변화를 추적할 수 있고, 알림 영역 내에서 주기적으로 수신한 복수의 응답 피드백을 이용하여 위치 변화의 흐름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다른 비상구 장치로부터 수신한 각 알림 영역별 비상 탈출 방향에 관한 정보를 대피경로 상에서 업데이트함으로써 재난 상황에서 동적으로 결정되는 대피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동적으로 결정된 비상 탈출 방향을 알림 영역에 관한 3차원 비상 탈출맵 상에 출력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3차원 비상 탈출맵은 알림 영역에 관한 3차원 모델에 해당할 수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 비상 탈출 방향을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를 기준으로 생성될 수 있다. 비상 탈출 처리부(350)는 비상 탈출맵 상에 비상 탈출 방향을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비상 탈출맵 상에 표시되는 비상 탈출 방향은 3차원 공간 상에 배치되는 3차원 객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 탈출 방향은 알림 영역에 관한 3차원 공간 상에서 3차원 화살표 객체로 표현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재난 발생 검출부(310), 재난 발생 알림부(330) 및 비상 탈출 처리부(3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에서 수행되는 액티브 비상구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재난 발생 검출부(310)를 통해 특정 장소에서의 재난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단계 S410).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재난 발생 알림부(330)를 통해 재난 발생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비상구 장치로 전파할 수 있다(단계 S430).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비상 탈출 처리부(35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에게 재난 발생에 관한 알림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비상 탈출을 위해 알림에 대한 피드백을 기초로 동적으로 생성되는 대피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50).
도 5는 도 1에 있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에서 수행되는 액티브 비상구 제공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외부 시스템(170)으로부터 예비 재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시스템(170)은 재난 상황을 감시하는 재난 감시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다.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예비 재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재난 발생 검출부(310)를 통해 재난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재난 발생이 검출된 경우 재난 발생을 다른 비상구 장치(131)들로 전파할 수 있고, 알림 영역 내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110)에게 재난 발생을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수신 확인을 조건으로 응답 피드백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실행코드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해당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면 응답 피드백이 주기적으로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로 전송될 수 있으며, 해당 동작은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피드백을 기초로 알림 영역에 관한 비상 탈출 방향을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동적으로 결정된 비상 탈출 방향을 다른 비상구 장치(131)들로 전파할 수 있고, 다른 비상구 장치(131)들로부터 수신된 각 알림 영역별 비상 탈출 방향을 대피경로에 반영하여 갱신할 수 있다. 액티브 비상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에게 대피경로를 전송할 수 있으며, 동적으로 갱신되는 대피경로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S510). 이 때, 대피경로는 각 알림 영역 별로 동적으로 결정된 비상 탈출 방향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액티브 비상구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액티브 비상구 장치
131: 다른 비상구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170: 외부 시스템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재난 발생 검출부 330: 재난 발생 알림부
350: 비상 탈출 처리부 370: 제어부

Claims (8)

  1. 특정 장소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하고 비상 탈출 방향을 안내하는 비상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장소에서의 재난 발생을 검출하는 재난 발생 검출부;
    상기 재난 발생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비상구 장치로 전파하는 재난 발생 알림부;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재난 발생에 관한 알림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비상 탈출을 위해 상기 알림에 대한 피드백을 기초로 동적으로 생성되는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비상 탈출 처리부를 포함하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발생 검출부는
    상기 특정 장소에 설치된 재난 감시 시스템으로부터 예비 재난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예비 재난 신호를 수신한 경우 복수의 센서들에 의해 수집된 상황정보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상황정보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 상기 다른 비상구 장치에서의 이상 검출을 확인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이상 검출의 분포와 사전 학습된 정상 패턴 간의 유사도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재난 발생을 결정하는 제4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발생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들을 기초로 상기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상황정보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제2 단계, 이상 검출 결과를 다른 비상구 장치에 전파하는 제3 단계, 상기 다른 비상구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상 검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이상 검출에 관한 분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분포 데이터에 관한 학습을 수행하는 제5단계를 통해 상기 이상 검출의 분포에 관한 정상 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발생 알림부는
    상기 재난 발생이 검출된 경우 상기 다른 비상구 장치와 상기 전파를 위한 임시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발생 알림부는
    상기 재난 발생과 가장 가까운 비상구 장치를 루트 노드로 하는 방사형 트리로서 상기 임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탈출 처리부는
    사전 설정된 특정 거리 이내의 알림 영역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재난 발생에 관한 메시지로서 수신 확인을 조건으로 응답 피드백을 상기 특정 장소를 벗어날 때까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실행코드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탈출 처리부는
    상기 응답 피드백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알림 영역 내에서의 비상 탈출 방향을 동적으로 결정하여 상기 다른 비상구 장치로 전파하고 상기 다른 비상구 장치로부터 수신한 비상 탈출 방향을 상기 대피경로 상에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탈출 처리부는
    동적으로 결정된 상기 비상 탈출 방향을 상기 알림 영역에 관한 3차원 비상 탈출맵 상에 출력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비상구 장치.
KR1020190144024A 2019-11-12 2019-11-12 액티브 비상구 장치 KR102384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024A KR102384884B1 (ko) 2019-11-12 2019-11-12 액티브 비상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024A KR102384884B1 (ko) 2019-11-12 2019-11-12 액티브 비상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356A true KR20210057356A (ko) 2021-05-21
KR102384884B1 KR102384884B1 (ko) 2022-04-08

Family

ID=76157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024A KR102384884B1 (ko) 2019-11-12 2019-11-12 액티브 비상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8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6148A (ja) * 2007-07-20 2009-02-0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避難誘導システム
JP2012252689A (ja) * 2011-05-12 2012-12-20 Hochiki Corp 警報連携システム、警報連携方法及び警報器
JP2019096018A (ja) * 2017-11-22 2019-06-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避難経路案内システム及び避難経路案内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6148A (ja) * 2007-07-20 2009-02-0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避難誘導システム
JP2012252689A (ja) * 2011-05-12 2012-12-20 Hochiki Corp 警報連携システム、警報連携方法及び警報器
JP2019096018A (ja) * 2017-11-22 2019-06-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避難経路案内システム及び避難経路案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884B1 (ko) 2022-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1457B2 (en) Global positioning system equipped with hazard detector and a system for providing hazard alerts thereby
US20150206421A1 (en) Testing System and Method for Fire Alarm System
US11455881B2 (en) Alarm and first responder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20210325188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guiding a user through a safe exit path
US96387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bstacles in propagation path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KR101932136B1 (ko) 소방시설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JP2018048815A (ja) 斜面崩壊検出方法
WO20230563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 robots for perimeter protection
KR20090027391A (ko) 원격 방재 관리 시스템
KR20200049420A (ko) 건물 안전상태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2384884B1 (ko) 액티브 비상구 장치
US11176788B2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230061220A1 (en)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device, and monitoring method
KR102492453B1 (ko) 화재 수신기 및 소화 통합 관제 제어 시스템
US20220128467A1 (en) Detecting and Monitoring Gas Leaks in an Industrial Setting
US11176799B2 (en) Global positioning system equipped with hazard detector and a system for providing hazard alerts thereby
KR20220085160A (ko) 클라우드 기반 재난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재난 분석 시스템
KR102628540B1 (ko) 사용자단말의 이동패턴에 기초한 긴급재난문자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50055972A (ko) 테트라 기반 선박 실시간 상황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1134A (ko)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가스 안전 원격 모니터링 장치
US11908314B2 (en) Digital emergency alarms with intelligent evacuation plan
KR102430954B1 (ko) 보행자 안내용 경로 마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방법
KR101702918B1 (ko) 학교 건물의 지진 방재 장치
KR102543102B1 (ko) 디지털 트윈 기술에 기초한 안전 사고 예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CN115376261B (zh) 消防提示信息生成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