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6561A -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서포트 및 그 서포트를 이용한 존치 유닛 - Google Patents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서포트 및 그 서포트를 이용한 존치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6561A
KR20210056561A KR1020190143186A KR20190143186A KR20210056561A KR 20210056561 A KR20210056561 A KR 20210056561A KR 1020190143186 A KR1020190143186 A KR 1020190143186A KR 20190143186 A KR20190143186 A KR 20190143186A KR 20210056561 A KR20210056561 A KR 20210056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ead screw
power transmission
lower member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드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드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드폼
Priority to KR1020190143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6561A/ko
Publication of KR20210056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5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ㆍ하 받침대를 가지며, 상하로 양분되는 상 부재와 하 부재로 이루어 상부재가 하 부재에서 승강하며 그 길이가 신축되도록 한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서포트, 그리고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에서 공기 단축을 위해 양생 완료전 가설물 선 해체 시 미양생 슬래브의 설계기준 허용응력 도달과정에서의 작용하중을 지탱시키기 위해 서포트들보다 조밀하고 동일 원주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포들이 국부적으로 가설되는 건축 구조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존치 유닛으로서, 서포트의 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하 받침대로부터 하 부재와 상 부재에 걸쳐 설치되는 리드 스크루와, 하 부재 내에서 정착되어 리스크루가 관통 설치되고 어느 일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의 구동력을 받아 리드 스크루의 정역회전이 일어나게 하는 유성 기어 장치형의 동력전달 유닛, 그리고 상 부재 내에 정착되고 리드 스크루와 나사결합되어 리드 스크루의 정역회전을 승강운동으로 전환하는 너트를 포함하여서, 동력전달 유닛에 외부의 구동력이 가해지면 리드 스크루가 정ㆍ역으로 회전되어 상 부재를 하 부재에서 오르내리면서 서포트의 길이가 무단으로 조절되게 함과 아울러, 존치 유닛의 서포트들 사이 사이에 연동관이 가로건너 설치되어 대향하는 각기의 서포트 하 부재에 내장된 각 동력전달 유닛들에서의 일방과 타방이 연동되게 하여 존치 유닛의 어느 하나 서포트의 동력전달 유닛 일방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타방을 통해 다른 서포트의 동력전달 유닛들에 연속적이고 동시적으로 전달되어 높낮이가 일시에 무단 조절되게 된다.

Description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서포트 및 그 서포트를 이용한 존치 유닛{Support for mold to form building sleeve and its maintenance unit utilizing the support thereof}
본 발명은 건축물의 슬래브 축조를 위해 가설되는 거푸집 받침구조인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포트의 높낮이 조절을 간편히 이루도록 한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서포트 및 그 서포트를 이용 한 존치 유닛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양생하여 축조되는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해 가설되는 거푸집의 지보 구조는 소단위면적의 수개 단위판재들이 평면적으로 정렬조합되어 이루는 거푸집의 저면에서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수개의 받침목들과, 이 받침목들을 떠받쳐 주는 수개의 금속파이프형 서포트가 등 간격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거푸집의 지보에 사용되는 서포트는 현재가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서포트는 다양하게 축조되는 건축물의 층간 높이에 따라 그 길이가 자유로이 가변 설치되고 있다.
그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서포트는 대략 상하로 양분되어 암수의 결합으로 그 길이가 신장ㆍ수축되는 상부재와 하부재로 이루고, 그리고 상ㆍ하부재들의 사이에 길이조절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서포트의 길이조절구조는 상부재 둘레 길이방향에서 그 상부재의 지름선상에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어 턱 걸림으로 상부재의 조절위치를 유지하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 조의 정치돌기들이 상하 인접 측과 예각 내에서 변위되어 교호적으로 구비되고, 하부재에는 내벽에 정치돌기들이 타고 오르고 내리는 가이드홀들과 그 상단에 하부재를 회전중심으로 작동공을 이용하여 정ㆍ역으로 회전하면서 상기에서의 정치돌기들이 턱 걸림되는 폐로부와 정치돌기가 통과하는 1조의 개로부를 갖는 캡형의 제어부재가 구비되어 소기 서포트의 길이 조절을 단계적으로 이루게 하고 있다.
따라서, 동체의 길이 조절을 위해서는 상기에서와같이 제어부재를 작업자가 수회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교체조작이 요구되고 있는 것으로서, 서포트의 신장ㆍ수축에 많은 수공과 시간이 요구되어 작업성이 저조하고, 구조가 복잡하며 길이조절이 단계적으로 이루어 다양하게 축조되는 건축물 층간 높이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따르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거푸집으로 이루는 가설물을 이용한 타설방식 철근콘크리트 건축 구조물 슬래브의 성형에서는 통상 단벌의 가설물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선 시공 슬래브의 양생 완료되면 거푸집과 서포트들을 해체하여 후 시공할 상부 층에서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재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근래에와 타설방식의 철근 콘트리트 건축 구조물 축조에서 공기단축이 요구되고 있는데, 그 일례 건축 구조물 축조의 시공방법으로 선 시공 슬래브의 양생완료 전에 가설물을 선 해체하여 후 시공처인 상부 층에 가설되게 하고 있다. 이때 가설물이 선 해체된 당해 층 구조부재 설계기준 허용응력 도달과정에서의 하중을 지탱시키기 위한 별도의 존치 받침구조가 필히 요구되고 있다.
존치 받침구조는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일례로 슬래브 거푸집의 조기탈형이 가능한 시스템동바리는 일반 동바리와같이 하부수직외관과 상부수직외관으로 양분되어 상호 암수의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어 그 길이가 자유로이 가변된다.
이러한 존치 받침구조의 동바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각기의 동바리가 개별로 높낮이 조절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다수의 동바리들 높낮이 조절작업에 많은 수공이 따라 작업성이 저조하며, 더욱이 개별적인 동바리의 높낮이조절은 동바리의 높낮이가 가지런하지 못한 문제점이 따르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근래에 와서는 존치 받침구조의 용이한 높낮이 조절과 가지런히 정렬시킬 수 있는 존치 받침의 구조 혁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159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0560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8198339호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베벨기어로 이루는 유성 기어 장치형의 동력전달 유닛을 이용하여 서포트의 길이가 무단 조절되고 시공단축을 위한 존치 유닛에서의 서포트들 높낮이 조절이 동시적이고 일시에 이루게 함으로서, 서포트의 구조가 간단하고 가설물의 설치 및 해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서포트 및 그 서포트를 이용한 존치 유닛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해 가설되는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존치 유닛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된다.
본 발명은 상ㆍ하 받침대를 가지며, 상하로 양분되는 상 부재와 하 부재로 이루어 상부재가 하 부재에서 승강하며 그 길이가 신축되도록 한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서포트, 그리고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에서 공기 단축을 위해 양생 완료전 가설물 선 해체 시 미양생 슬래브의 설계기준 허용응력 도달과정에서의 작용하중을 지탱시키기 위해 서포트들보다 조밀하고 동일 원주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포들이 국부적으로 가설되는 건축 구조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존치 유닛으로서,
서포트의 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하 받침대로부터 하 부재와 상 부재에 걸쳐 설치되는 리드 스크루와, 하 부재 내에서 정착되어 리스크루가 관통 설치되고 어느 일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의 구동력을 받아 리드 스크루의 정역회전이 일어나게 하는 유성 기어 장치형의 동력전달 유닛, 그리고 상 부재 내에 정착되고 리드 스크루와 나사결합되어 리드 스크루의 정역회전을 승강운동으로 전환하는 너트를 포함하여서, 동력전달 유닛에 외부의 구동력이 가해지면 리드 스크루가 정ㆍ역으로 회전되어 상 부재를 하 부재에서 오르내리면서 서포트의 길이가 무단으로 조절되게 함과 아울러, 존치 유닛의 서포트들 사이 사이에 연동관이 가로건너 설치되어 대향하는 각기의 서포트 하 부재에 내장된 각 동력전달 유닛들에서의 일방과 타방이 연동되게 하여 존치 유닛의 어느 하나 서포트의 동력전달 유닛 일방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타방을 통해 다른 서포트의 동력전달 유닛들에 연속적이고 동시적으로 전달되어 높낮이가 일시에 무단 조절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서포트에 의하면, 서포트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높낮이 조절을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 시공성이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존치 유닛에 의하면, 서포트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시공성은 물론 작업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서포트 및 존치 유닛으로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이 가설된 모습을 보여 주는 설명도.
도 2는 슬래브의 양생 완료전 거푸집이 선 해체되어 본 발명 존치 유닛을 이용하여 미양생 슬래브의 작용하중을 지탱시키기는 모습을 보여 주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 서포트를 부분 절개하여 보여 주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발췌하여 보여 주는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 주는 단면도.
도 6의 (a)(b)는 본 발명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서포트 길이 신축과정을 보여 주는 설명도로서,
(a)는 서포트가 신장되는 모습이고,
(b)는 서포트가 수축되는 모습이다.
도 7은 도 2의 C-C선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 주는 본 발명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존치 유닛 구성을 보여 주는 평단면도.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겠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서포트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해 가설되는 거푸집의 지보 구조물인 서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면에서 10은 서포트이다. 이 서포트(10)는 대략 상ㆍ하단 각기에 거푸집을 떠받치는 받침목이 안착되는 상 받침대(10a)와 바닥에 놓여지는 하 받침대(10b)가 구비되어 있다.
서포트(10)는 다양하게 설계되어 축조되는 건축물의 층간 높이에 따라 그 길이를 자유로이 가변하여 설치되도록 몸체가 상하로 양분되어 암ㆍ수의 형상결합으로 이루는 상 부재(12)와 하 부재(14)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와 동일한 구성이고, 본 발명에서의 핵심적인 기술은 서포트(10)의 상 부재(12)를 하 부재(14)에서 오르내리면서 무단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서포트(10)는 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하 받침대(10b)로부터 하 부재(12a)와 상 부재(10a)에 걸쳐 설치되는 리드 스크루(20)를 갖는다.
하 부재(10b)는 그 내부에 나사볼트 등을 이용해 일체로 정착되어 리드 스크루(20)가 나사결합방식으로 관통 설치되고, 어느 일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의 구동력을 받아 리드 스크루(20)의 정역회전이 일어나게 하는 유성 기어 장치형의 동력전달 유닛(30)이 내장되어 있다. 이때 동력전달 유닛(30)은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즉 작업자 키에 맞는 위치에 설치될 것이다.
상 부재(12)에는 그 내부에 일체로 정착되고, 리드 스크루(30)와 나사결합되어 그 리드 스크루(30)의 정역회전을 승강운동으로 전환하는 너트(40)가 설치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서포트(10)는 동력전달 유닛(30)의 어느 일방에서 외부로부터 구동력이 가해지면 리드 스크루(20)가 정ㆍ역으로 회전되어 상 부재(12)를 하 부재(14)에서 오르내리면서 서포트(10)의 길이가 무단으로 조절되게 하고 있다.
동력전달 유닛(30)은 기저부(32)와, 이 기저부(32) 중앙에서 리드 스크루(30)와 함께 자유로이 회전되게 설치되는 태양기어(34), 그리고 기저부(32)의 4방향 측벽에서 리드 스크루(20)와 교차방향으로 설치되고 외부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드리는 전달계를 겸하는 회전축(36)을 이용해 태양기어(34)의 둘레에서 맞물려 회전되게 설치되는 유성기어들(38)로 구성된다. 이때 태양 및 유성기어(34,38)는 베벨기어들을 이용하고 있으나, 그 이외의 동력전달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유성기어들(38)의 회전축(36) 외 측 단부는 하 부재(14) 주벽에 구비되는 관통공(14a)의 내측, 즉 하 부재(14) 주벽의 내에서 위치되어 서포트(10)의 운반 및 보관 시 걸림현상이나 파손이 일어나지 않게 될 것이다.
도 6의 (a)(b)는 본 발명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서포트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길이 신축과정을 보여 주는 설명도이다.
도 6의 (a)는 서포트(10)가 신장되는 모습의 예를 보이 있는 것으로, 동력전달 유닛(30) 어느 일방의 회전축(36)에 핸들(H)을 결합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축(36)으로부터 외부 구동력이 유성기어(38)에 전달되어 태양기어(3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 리드 스크루(20)가 따라 제자리 회전하여 상 부재(12)를 화살표방향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도 6의 (b)는 서포트(10)가 수축되는 모습의 예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동력전달 유닛(30)의 어느 일방의 회전축(36)에 핸들(H)을 결합하여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축(36)을 통해 외부 구동력이 유성기어(38)에 전달됨과 아울어, 태양기어(34)가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 부재(12)를 화살표방향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본 발명 서포트(10)는 동력전달 유닛(30)에서 다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들(36)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즉 작업환경이 자유로운 위치의 회전축(36)을 선택하여 소기의 서포트(10) 높낮이 조절을 이루게 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존치 유닛 구성을 보여 주는 평단면도이다.
존치 유닛(100)은 단벌의 가설물을 이용하여 타설방식으로 축조되는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에서 공기 단축을 위해 양생 완료전 가설물 선 해체 시 미양생 슬래브의 설계기준 허용응력 도달과정에서의 작용하중을 지탱시키기 위해 성기게 배치되는 기 서포트들보다 조밀한 간격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 이상 서포트들이 국부적으로 가설되는 통상의 지보구조이다.
본 발명은 존치 유닛(100)의 높낮이 조절, 즉 슬래브의 양생 전후에서 설치 및 해체를 위해 존치 유닛(100)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서포트들(10)의 높낮이 조절 시 각 서포트들(10) 길이의 신축이 일시에 이루도록하는 구조 혁신에 그 특징이 있다.
존치 유닛(100) 서포트들(1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하 받침대(10b)로부터 하 부재(12a)와 상 부재(10a)에 걸쳐 설치되는 리드 스크루(20)를 갖는다.
하 부재(10b)는 그 내부에서 나사볼트 등을 이용해 정착되어 리스크루(20)가 나사결합방식으로 관통 설치되고, 어느 일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의 구동력을 받아 타방으로 내보내면서 리드 스크루(20)의 정역회전이 일어나게 하는 유성 기어 장치형의 동력전달 유닛(30)이 내장되어 있다. 이때 동력전달 유닛(30)은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즉 작업자 키에 맞는 위치에 설치될 것이다.
상 부재(12)에는 그 내부에 일체로 정착되고, 리드 스크루(30)와 나사결합되어 그 리드 스크루(30)의 정역회전을 승강운동으로 전환하는 너트(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존치 유닛(100)의 서포트들(10) 사이 사이에서 가로건너 설치되어 대향하는 각기의 서포트(10) 하 부재(14)에 내장된 각 동력전달 유닛들(30)의 일방과 타방이 연동하도록 연결시키는 연동관(50)을 갖는다.
이렇게 구성되는 존치 유닛(10)의 서포트들(10)은 어느 하나의 서포트(10)에 내장된 동력전달 유닛(30)의 어느 일방으로 가해지는 외부의 구동력을 받아 타방으로 내보내 다른 서포트(10)의 동력전달 유닛(30)에 연동관(50)을 통하여 전달함과 동시, 리드 스크루(20)의 정ㆍ역에 의해 상 부재(12)를 하 부재(14)에서 오르내리면서 서포트들(10)의 길이가 일시에 무단으로 조절되게 하고 있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동력전달 유닛(30)은 기저부(32)와, 이 기저부(32) 중앙에서 리드 스크루(30)와 함께 자유로이 회전되게 설치되는 태양기어(34), 그리고 기저부(32)의 4방향 측벽에서 리드 스크루(20)와 교차방향으로 설치되고 외부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드리거나 내보내는 전달계를 겸하는 회전축(36)을 이용해 태양기어(34)의 둘레에서 맞물려 회전되게 설치되는 유성기어들(38)로 구성된다. 이때 태양기어(34) 둘레 4방향에서 회전축들(36)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유성기어들(38) 각기는 외부의 구동력을 받아드리거나 내보내는 전달계로서, 일방의 회전축(36)을 통해 받아드린 외부 구동력은 일방의 유성기어(38)와 태양기어(34)를 통하여 타방의 유성기어(38) 회전축(36)으로 내보내게 된다.
그러면 본 발명 존치 유닛(1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존치 유닛(100) 어느 하나의 서포트(10)를 선택하여 그 서포트(10)에 내장되어 있는 동력전달 유닛(30) 어느 일방의 회전축(36)에 핸들(H)을 결합하여 정역으로 회전시키면 그 구동력은 일방의 유성기어(38)로 받아드려 태양기어(34)를 회전시킴과 동시, 타방의 유성기어(34)도 함께 회전시켜 그 타방 회동축(36)에 연결된 연동관(50)을 통해 다른 하나의 서포트들(10)에 동시적이고 연속적으로 전달되어 존치 유닛(100)의 서포트들(10)을 일시에 높낮이 조절을 이루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서포트 12: 상부재 14: 하부재
20: 리드 스크루
30: 동력전달 유닛 32: 기저부 34: 태양기어 36: 회전축 38: 유성기어
40: 너트
50: 연동관
100: 존치 유닛

Claims (5)

  1. 상ㆍ하 받침대를 가지며, 상하로 양분되는 상 부재와 하 부재로 이루어 상기 상부재가 상기 하 부재에서 승강하며 그 길이가 신축되도록 한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서포트로서,
    상기 서포트의 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 받침대로부터 상기 하 부재와 상기 상 부재에 걸쳐 설치되는 리드 스크루;
    상기 하 부재 내에서 정착되어 상기 리스크루가 관통 설치되고, 어느 일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의 구동력을 받아 상기 리드 스크루의 정역회전이 일어나게 하는 유성 기어 장치형의 동력전달 유닛; 및
    상기 상 부재 내에 정착되고, 상기 리드 스크루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리드 스크루의 정역회전을 승강운동으로 전환하는 너트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 유닛에 외부의 구동력이 가해지면 상기 리드 스크루가 정ㆍ역으로 회전되어 상기 상 부재를 상기 하 부재에서 오르내리면서 상기 서포트의 길이가 무단으로 조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서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 유닛은 기저부와, 이 기저부 중앙에서 상기 리드 스크루와 함께 자유로이 회전되게 설치되는 태양기어 및 상기 기저부의 측벽에서 상기 리드 스크루와 교차방향으로 설치되고 외부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드리는 전달계를 겸하는 회전축을 이용해 상기 태양기어의 둘레에서 맞물려 회전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성기어들로 이룬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서포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 유닛 유성기어들의 회전축 단부는 상기 하 부재 주벽에 구비되는 관통공의 내측에 위치되게 한 것을 더 포함하는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서포트.
  4. 상ㆍ하 받침대를 가지며, 양분된 상ㆍ하부재로 이뤄 성기게 배치되는 서포트들이 전면적에 분포되어 떠받치는 거푸집으로 이룬 단벌의 가설물을 이용하여 타설방식으로 축조되는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에서 공기 단축을 위해 양생 완료전 상기 가설물 선 해체 시 미양생 슬래브의 설계기준 허용응력 도달과정에서의 작용하중을 지탱시키기 위해 상기 서포트들보다 조밀하고 동일 원주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포들이 국부적으로 가설되는 건축 구조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존치 유닛으로서,
    상기 존치 유닛 서포트들의 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 받침대로부터 상기 하 부재와 상기 상 부재에 걸쳐 설치되는 리드 스크루;
    상기 하 부재 내에서 정착되어 상기 리스크루가 관통 설치되고, 어느 일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의 구동력을 받아 상기 리드 스크루의 정역회전과 동시 타방으로 내보내는 유성 기어 장치형의 동력전달 유닛;
    상기 상 부재 내에 정착되고, 상기 리드 스크루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리드 스크루의 정역회전을 승강운동으로 전환하는 너트; 및
    상기 존치 유닛의 서포트들 사이 사이에서 가로건너 설치되어 대향하는 각기의 서포트 하 부재에 내장된 상기 각 동력전달 유닛들에서의 일방과 타방이 연동하도록하는 연동관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존치 유닛의 어느 하나 서포트의 동력전달 유닛 일방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타방을 통해 다른 서포트의 동력전달 유닛들에 연속적이고 동시적으로 전달되어 상기 존치 유닛 서포트들의 높낮이가 일시에 무단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존치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 유닛은 기저부와, 이 기저부 중앙에서 상기 리드 스크루와 함께 자유로이 회전되게 설치되는 태양기어, 그리고 상기 기저부의 측벽에서 상기 리드 스크루와 교차방향으로 설치되고 외부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드리고 내보내는 전달계를 겸하는 일방 또는 타방의 회전축을 이용해 상기 태양기어의 둘레에서 맞물려 회전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성기어들로 구성된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존치 유닛.
KR1020190143186A 2019-11-11 2019-11-11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서포트 및 그 서포트를 이용한 존치 유닛 KR202100565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186A KR20210056561A (ko) 2019-11-11 2019-11-11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서포트 및 그 서포트를 이용한 존치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186A KR20210056561A (ko) 2019-11-11 2019-11-11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서포트 및 그 서포트를 이용한 존치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561A true KR20210056561A (ko) 2021-05-20

Family

ID=76143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186A KR20210056561A (ko) 2019-11-11 2019-11-11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서포트 및 그 서포트를 이용한 존치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656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608B1 (ko) 2004-07-23 2007-04-10 박정진 슬래브거푸집의 조기탈형이 가능한 시스템동바리의가변지지재
US8198339B2 (en) 2006-08-31 2012-06-12 Thermoselect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fuels from waste
KR101415915B1 (ko) 2013-10-04 2014-07-04 (주)베이스테크 건축용 서포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608B1 (ko) 2004-07-23 2007-04-10 박정진 슬래브거푸집의 조기탈형이 가능한 시스템동바리의가변지지재
US8198339B2 (en) 2006-08-31 2012-06-12 Thermoselect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fuels from waste
KR101415915B1 (ko) 2013-10-04 2014-07-04 (주)베이스테크 건축용 서포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61551A (en) Method of constructing concrete chimneys
US20100199597A1 (en) Multi-horizontal structure member forming method
US3255990A (en) Mold for unitary building structure
RU258612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арматурных каркасов для сегментов башен,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сегментов башен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их установок
US4374634A (en) Device for lifting sliding molds along steel bars for the construction of concrete buildings and the like
JPH04505040A (ja) ビルディング建造システム
US1891160A (en) Sliding form for casting columnar or box shaped concrete structures, such as chimneys, silos, and the like
KR20210056561A (ko)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서포트 및 그 서포트를 이용한 존치 유닛
KR101013450B1 (ko) 수직터널의 상부에 돔부가 일체로 연결된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00017849A (ko)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거푸집 및 이의 설치와 해체 방법
KR20090093544A (ko) 건축용 폼 상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 벽면동시 시공방법
KR101821718B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거푸집의 서포트
KR102094279B1 (ko) 이동형 강재 거푸집
KR102383082B1 (ko) 건축물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존치 서포트 유닛
RU2293822C1 (ru) Здание и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зданий
EP0205063B1 (de) Gleitverfahren und Gleitschalungsvorrichtung
CN108775192B (zh) 一种预应力混凝土塔柱结构及其施工方法
US4824350A (en) Sliding shuttering system
KR100846831B1 (ko) 건축용 가설재
KR100482272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CN219060395U (zh) 一种装配式建筑预制板防水防渗结构
KR101830347B1 (ko) 대차를 이용한 거푸집의 해체방법
CN111424968A (zh) 扶壁柱筒仓的滑模施工法
CN212926474U (zh) 预制升柱升梁组合框架结构
KR100813031B1 (ko) 다수의 천정 거푸집 지지용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