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5541A - 밴드 타입 헤드랜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밴드 타입 헤드랜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5541A
KR20210055541A KR1020190142137A KR20190142137A KR20210055541A KR 20210055541 A KR20210055541 A KR 20210055541A KR 1020190142137 A KR1020190142137 A KR 1020190142137A KR 20190142137 A KR20190142137 A KR 20190142137A KR 20210055541 A KR20210055541 A KR 20210055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emitting module
band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허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허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허킨스
Priority to KR1020190142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5541A/ko
Priority to US16/616,243 priority patent/US11300278B2/en
Priority to PCT/KR2019/015890 priority patent/WO2021090995A1/ko
Publication of KR20210055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4Hea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7Array of lenses or refra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for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7/00Light sources with three-dimensionally disposed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7/20Light sources with three-dimensionally disposed light-generating elements on convex supports or substrates, e.g. on the outer surface of sphe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밴드 타입 헤드랜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시계를 용이하게 확보하기 위한 밴드 타입 헤드랜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이용자의 머리 부분에 착용 가능하게 마련된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전방에 부착되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전면에 결합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전면에 결합되는 렌즈부; 및 상기 발광부 및 상기 렌즈부를 감싸도록 마련된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타입 헤드랜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밴드 타입 헤드랜턴 및 이의 제조방법{BAND TYPE HEAD LANTER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밴드 타입 헤드랜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시계를 용이하게 확보하기 위한 밴드 타입 헤드랜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랜턴 또는 랜턴은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전방시계를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전통적으로는 전구를 가지는 몸체의 내부에 배터리를 장착하여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점등되도록 한 타입에서 기술의 발전으로 전구가 엘이디로 대체되고 배터리의 크기 또한 소형화 되면서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가지는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이용자의 머리에 밴드형태로 착용하여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밴드타입 헤드랜턴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밴드타입 헤드랜턴 또한 다양한 종류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를 특허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용신안출원 제20-2012-0001506호는, 머리띠 형상을 응용한 초승달의 타원형 고리형태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착용효과를 용이하게 하고 중앙부에는 고휘도 LED랜턴으로 발광체가 삽입되며 이 발광체가 삽입되는 프레임은 45도이상 각도 조절이 되며, 타원형 고리의 중앙부는 접이식으로 첩철이 되는 구성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693760호는, 충전용 배터리를 헤드 랜턴에 전원을 공급하는 용도와, 전동공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용도 중 이용자 인위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배터리를 호환 가능하게 구성한 헤드 랜턴에 관한 것으로, 머리에 착용하여 이용자의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랜턴부와; 상기 랜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용자의 허리띠에 착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랜턴부의 전원 공급 및 배터리의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19271호는, 등산이나 낚시 혹은 캠핑 등의 야외 활동시에 머리 부분에 착용하여 이용자의 시야 전방을 비출 수 있도록 한 헤드 랜턴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랜턴의 전면에 엘이디에 의한 전체발광부와 집중발광부 및 확장발광부를 각기 구분 형성하여 이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랜턴의 후면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체결구 및 상기 체결부로부터 회전되는 걸이구를 함께 구성하고, 랜턴의 저면에는 스탠드 형태로 사용 가능한 체결나사홈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헤드랜턴는 이용자의 머리나 모자에 착용하여 번방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면서 양손의 사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기본적인 목적은 충분하게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엘이디의 밝기를 더욱 강화하여 보다 넓은 지역의 시계를 확보하고 전방으로 더 먼거리를 비출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지기 때문에 배터리가 대용량으로 전환되면서 머리나 모자에 착용한 상태에서 장시간 활동하는 데 부담을 주게 된다.
조도가 높기 때문에 전방을 넓고 멀리 비추는 것은 가능할 것이나 이를 착용한 상태에서 움직일 경우 운동이나 산책을 수행하는 다른 사람들에게 빛이 조사되어 눈부심을 유발하게 되고, 보행자의 경우에는 일시 정지 후 다시 보행이 가능할 것이나 자전거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경우 또는 차량 운전자들에게는 순간적으로 전방시계를 확보하지 못하게 함으로서 상대방으로 하여금 충추돌과 같은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조도가 높은 헤드랜턴를 착용한 이용자에게도 그 빛이 눈 방향으로 조사되기 때문에 눈부심에 의하여 오히려 원활한 전방시계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또 다른 원인이 된다.
특히 선행기술 또는 종래의 헤드랜턴은 전방으로 길게 조사되는 특성에 의하여 마주오는 사람에게 눈부심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는 것은 물론, 폭넓게 양측으로 빛이 조사되지 못하는 특성에 의하여 한 곳을 집중적으로 비추고자 할 경우에는 적합할 수 있으나 폭넓은 영역의 시계를 확보하기에는 불편이 따르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렌즈의 후방으로 빛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반사판을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렌즈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은 물론, 제조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고, 종래기술의 렌즈는 빛을 확산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반사부재를 더 구비하여 빛을 특정한 방향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술내용이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빛의 난반사와 확산을 방지하지 못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실용신안출원 제20-2012-0001506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 시계를 용이하게 확보하기 위한 밴드 타입 헤드랜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이용자의 머리 부분에 착용 가능하게 마련된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전방에 부착되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전면에 결합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전면에 결합되는 렌즈부; 및 상기 발광부 및 상기 렌즈부를 감싸도록 마련된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시트부에 결합되는 플렉시블 기판; 상기 기판의 중앙부터 양측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마다 배열되는 복수의 발광소자들로 이루어진 제1 발광모듈; 상기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발광모듈의 양 측에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2 발광모듈; 및 상기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발광모듈의 바깥측에 형성된 제3 발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타입 헤드랜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발광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마련된 결합홈; 상기 결합홈의 상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상측림; 및 상기 결합홈의 하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하측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모듈의 중심은 상기 기판의 중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발광모듈 및 상기 제3 발광모듈은 상기 제1 발광모듈에 비해 상하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하측림은, 기 제1 발광모듈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이용자의 눈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발광모듈과 대응되는 영역이 제2 발광모듈 및 제3 발광모듈과 대응되는 영역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기판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된 렌즈밴드; 및 상기 렌즈밴드에 반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발광모듈 및 상기 제2 발광모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렌즈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바디는 상기 제3 발광모듈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렌즈바디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에 배열된 상기 제1 발광모듈 및 상기 제2 발광모듈이 위치할 수 있게 하는 발광소자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모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발광소자홈은, 상측의 깊이보다 하측의 깊이가 더 깊게 형성되어 하향 경사진 형태를 이루되, 상기 제1 발광모듈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기 렌즈바디의 배면 수직면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20도 내지 90도로 조사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모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발광소자홈은, 상측의 깊이보다 하측의 깊이가 더 깊게 형성되어 하향 경사진 형태를 이루되, 상기 제2 발광모듈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기 렌즈바디의 배면 수직면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0도 내지 20도로 조사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모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발광소자홈은, 상기 제2 발광모듈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기 렌즈바디의 배면 수직면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0도 내지 20도 영역 중 일부 영역에 조사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발광부의 전면에 상기 렌즈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b) 전면에 상기 렌즈부가 위치된 상기 발광부를 상기 커버용 튜브에 삽입하는 단계; c) 상기 렌즈부 및 상기 발광부가 삽입된 상기 커버용 튜브에 열을 가하여 상기 커버용 튜브를 상기 렌즈부 및 상기 발광부에 코팅시킴으로써 상기 커버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밴드부 및 상기 시트부를 원호 모양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상기 시트부에 상기 커버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밴드타입 헤드랜턴에 적용되는 조명부를 개선하여 불빛이 전방과 측방으로 조사되더라도 눈부심이 없도록 하면서도 목적하는 위치 전체를 폭넓게 조사하여 전방시계의 확보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서 헤드랜턴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반사판과 같은 부수적인 수단 없이도 빛을 목적하는 위치로 난반사 현상없이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생산원가를 줄이면서도 헤드랜턴의 품질과 내구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제1발광모듈 부위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제1발광모듈 부위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제2 발광모듈 부위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제1발광모듈 부위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제2발광모듈 부위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광조사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익스텐션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의 전면에 렌즈부를 위치시키는 단계의 예시 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면에 렌즈부가 위치된 발광부를 커버용 튜브에 삽입하는 단계의 예시 사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부 및 발광부가 삽입된 커버용 튜브에 열을 가하여 커버용 튜브를 렌즈부 및 발광부에 코팅시킴으로써 커버부를 형성하는 단계의 예시 사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부 및 시트부를 원호 모양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시트부에 커버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단계의 예시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밴드 타입 헤드랜턴(100)은 밴드부(110), 시트부(120), 발광부(130), 렌즈부(140), 커버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밴드부(110)는 이용자의 머리 또는 모자에 착용할 수 있도록 밴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밴드부(110)는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마련된 것일 수 있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시트부(120)는 상기 밴드부(110)의 전방에 부착되며, 상기 밴드부(11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원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120)는 결합홈(121), 상측림(122) 및 하측림(1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21)은 상기 발광부(130)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홈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21)의 길이는 상기 발광부(130)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측림(122)은 상기 결합홈(121)의 상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측림(123)은 상기 결합홈(121)의 하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상측림(122)과 상기 하측림(123)은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21)에 홈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21), 상측림(122) 및 하측림(12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림(123)은 상기 발광부(13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이용자의 눈으로 확산되어 눈부시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부 영역이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측림(123)의 돌출길이(L)는 상기 발광부(130)에 의해 조사되는 빛의 하향조사각도(a)와 끝단이 일치하거나 더 돌출되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제1발광모듈 부위에 대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제1발광모듈 부위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제2 발광모듈 부위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더 참조하면, 상기 발광부(130)는 상기 시트부(120)의 전면에 결합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빛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부(130)는 기판(131), 제1 발광모듈(132), 제2 발광모듈(133) 및 제3 발광모듈(134)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131)은 상기 시트부(120)의 상기 결합홈(121)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마련되며, 플렉시블(flexible)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모듈(132)은 상기 기판(131)의 중앙부터 양측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마다 배열되는 복수의 발광소자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모듈(132)은 상기 기판(131)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90도 이내 범위에 분포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간격은 등간격일 수도 있고 부등간격일 수도 있다
상기 제2 발광모듈(133)은 상기 기판(131)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발광모듈(132)의 양 측에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간격은 등간격일 수도 있고 부등간격일 수도 있다
상기 제3 발광모듈(134)은 상기 기판(131)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발광모듈(132)의 바깥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모듈(132)의 중심은 상기 기판(131)의 중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발광모듈(133) 및 상기 제3 발광모듈(134)은 상기 제1 발광모듈(132)에 비해 상하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120)의 하측림(123)은, 상기 제1 발광모듈(132)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이용자의 눈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발광모듈(132)과 대응되는 영역이 상기 제2 발광모듈(133) 및 상기 제3 발광모듈(134)과 대응되는 영역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140)는 상기 발광부(130)의 전면에 결합되어 마련되며, 렌즈밴드(141), 렌즈바디(142), 발광소자홈(143) 및 상측조사면(144)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밴드(141)는 상기 기판(131)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밴드(141)는 97%이상의 광효율을 가지고 우수한 내열성을 가지면서 황변과 재질 변화가 없는 실리콘재질로 밴드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렌즈바디(142)는 상기 렌즈밴드(141)에 반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발광모듈(132) 및 상기 제2 발광모듈(13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바디(142)는 상기 제3 발광모듈(134)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홈(143)은 상기 렌즈바디(142)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131)에 배열된 상기 제1 발광모듈(132) 및 상기 제2 발광모듈(133)이 위치하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발광모듈(13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발광소자홈(143)은, 상측의 깊이보다 하측의 깊이가 더 깊게 형성되어 하향 경사진 형태를 이루되, 상기 제1 발광모듈(132)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기 렌즈바디(142)의 배면 수직면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20도 내지 90도로 조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모듈(13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발광소자홈(143)은, 상측의 깊이보다 하측의 깊이가 더 깊게 형성되어 하향 경사진 형태를 이루되, 상기 제2 발광모듈(133)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기 렌즈바디(142)의 배면 수직면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0도 내지 20도로 조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측조사면(144)은 상기 렌즈바디(142)의 상측에 마련되어 빛의 직진을 유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렌즈바디(142) 내부에 발광소자홈(143)과 연장되게 관통되지 않는 형태의 조사홈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발광모듈(131) 및 제2 발광모듈(132)의 빛이 렌즈부(140) 전체로 확산되어 조사되지 않고 조사홈을 통하여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조사되는 형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마주오는 보행자 자전거, 자동차에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안전하고 충분한 전방시계 확보가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제1발광모듈 부위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렌즈부(140)는 발광소자홈(143)에서 렌즈바디(142)의 전방으로 조사홈을 더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발광모듈(13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조사홈은 렌즈바디(142)의 측단면 상태에서 보았을 때, 조사홈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조사면(144), 하측에 위치하는 제1 하측조사면(145),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는 좌측조사면(146), 우측조사면(14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조사면(144)은 상기 발광소자홈(143)의 수직면에 대하여 직각 또는 그 아래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측조사면(145)은 발광소자홈(143)의 수직면에 대하여 20도 정도의 아래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렌즈바디(122)의 평단면 상태에서 보았을 때, 조사홈의 양측에 위치하는 좌측 및 우측조사면(146,147)은 측방으로 너무 넓게 확산되어 인접한 발광소자의 불빛과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범위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제2발광모듈 부위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상기 제2발광모듈(13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조사홈은 렌즈바디(142)의 측단면 상태에서 보았을 때, 조사홈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조사면(144), 하측에 위치하는 제2 하측조사면(148),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는 좌측조사면(146), 우측조사면(14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조사면(144)은 상기 발광소자홈(143)의 수직면에 대하여 직각 또는 그 아래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측조사면(148)은 발광소자홈(143)의 수직면에 대하여 0도 내지 20도 정도의 아래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렌즈바디(122)의 평단면 상태에서 보았을 때, 조사홈의 양측에 위치하는 좌측 및 우측조사면(146,147)은 측방으로 너무 넓게 확산되어 인접한 발광소자의 불빛과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범위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제2 발광모듈(13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조사홈은 상기 제1 발광모듈(132)에 비해 광조사각이 이용자의 발밑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사홈은 렌즈바디(142)를 관통하지 않고 본 발명의 도면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남겨둠으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어 오염되는 원인을 차단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광조사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마련된 제1 발광모듈(132)은 빛이 렌즈바디(142)의 배면 수직면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90°이하로 조사되되, 렌즈바디(142)의 배면 수직면을 기준으로 아래측으로는 20°아래로는 조사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1 발광모듈(132)에 의해 조사된 빛은 지면을 기준으로 최대 30m까지 조사될 수 있다.
특히 LED의 경우, 빛의 직진성이 강하기 때문에, 상기 제1 발광모듈(132)만으로 구성될 경우, 이용자의 발 밑(A)은 어두워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발광모듈(132)의 양측에 구비된 상기 제2 발광모듈(133)이 상기 렌즈바디(142)의 배면 수직면을 기준으로 0도 내지 20도 범위를 밝혀주어 안전한 보행이 가능하다.
상기 제2 발광모듈(133)은 상기 렌즈바디(142)의 배면 수직면을 기준으로 0도 내지 20도 범위의 일정 영역을 비추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발광모듈(134)에는 상기 렌즈바디(142)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빛이 발 밑을 향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 발광모듈(132) 및 상기 제2 발광모듈(133)이 비추는 영역의 양측 영역(B)을 비춰줌으로 보다 좌측과 우측에 대한 넓은 시야를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발광모듈들이 원호 형태로 배열되어 밴드부(110)의 전방과 측방에 이르는 약 180°범위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렌즈부(140)의 경우에는 불빛을 전방하측으로 조사하되 전방으로 폭넓으면서도 직진성 있게 조사함으로 폭넓은 시야 확보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40)는 상기 발광부(120) 및 상기 렌즈부(130)를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렌즈부(130)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어 상기 렌즈부(130)를 손상 또는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140)는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밴드부(110)의 후방에 마련되며, 배터리를 내장하고 조작을 위한 스위치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전방으로 폭넓으로면서 직진성이 우수하게 불빛을 조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발광부(130)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확산과 난반사를 줄여 이용자의 전방시계 확보 용이성을 제공하면서 이용자는 물론 마주오는 사람과 자전거, 자동차 등에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어 이용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품질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익스텐션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밴드 타입 헤드랜턴(100)은 익스텐션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익스텐션부(170)는 상기 밴드부(110)의 일부 영역에 연결되어 상기 밴드부(110)의 전체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밴드부(110)는 머리에 착용할 수 있으나, 상기 익스텐션부(170)를 이용하여 상기 밴드부(110)의 길이를 연장시키면 이용자의 가슴 또는 허리 등에도 착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밴드부(110)는 일부분이 버클 형태로 이루어져 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익스텐션부(170) 역시 양단이 버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밴드부(110)의 버클 부분과 결합되어 연장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단, 상기 밴드부(110)와 상기 익스텐션부(170)의 결합 방식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밴드 타입 헤드랜턴(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제조방법은 먼저, 발광부의 전면에 렌즈부를 위치시키는 단계(S10)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의 전면에 렌즈부를 위치시키는 단계의 예시 사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발광부의 전면에 렌즈부를 위치시키는 단계(S10)에서, 상기 발광부(130)의 전면에 상기 렌즈부(14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바디(142)가 대응되는 상기 제1 발광모듈(132) 및 상기 제2 발광모듈(133)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발광부의 전면에 렌즈부를 위치시키는 단계(S10) 이후에는, 전면에 렌즈부가 위치된 발광부를 커버용 튜브에 삽입하는 단계(S20)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면에 렌즈부가 위치된 발광부를 커버용 튜브에 삽입하는 단계의 예시 사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면에 렌즈부가 위치된 발광부를 커버용 튜브에 삽입하는 단계(S20)에서는 상기 렌즈부(140)와 상기 발광부(130)를 겹친 상태에서 상기 커버용 튜브의 내측에 삽입할 수 있다.
전면에 렌즈부가 위치된 발광부를 커버용 튜브에 삽입하는 단계(S20) 이후에는, 렌즈부 및 발광부가 삽입된 커버용 튜브에 열을 가하여 커버용 튜브를 렌즈부 및 발광부에 코팅시킴으로써 커버부를 형성하는 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부 및 발광부가 삽입된 커버용 튜브에 열을 가하여 커버용 튜브를 렌즈부 및 발광부에 코팅시킴으로써 커버부를 형성하는 단계의 예시 사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렌즈부 및 발광부가 삽입된 커버용 튜브에 열을 가하여 커버용 튜브를 렌즈부 및 발광부에 코팅시킴으로써 커버부를 형성하는 단계(S30)에서, 상기 커버용 튜브에 열을 가하게 되면, 상기 커버용 튜브는 수축하게 된다.
수축된 상기 커버용 튜브는 상기 렌즈부(140)와 상기 발광부(130)를 밀착시키면서 수축되어 코팅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방식으로 코팅함에 따라, 상기 커버용 튜브는 상기 렌즈부(140)의 굴곡에 대응되게 변형되어 밀착 코팅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렌즈부(140)에 밀착 코팅된 상기 커버용 튜브로 이루어진 상기 커버부(150)는 상기 렌즈부(14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공기층에 난반사 및 굴절되는 문제를 방지함과 동시에,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렌즈부 및 발광부가 삽입된 커버용 튜브에 열을 가하여 커버용 튜브를 렌즈부 및 발광부에 코팅시킴으로써 커버부를 형성하는 단계(S30) 이후에는, 밴드부 및 시트부를 원호 모양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시트부에 커버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단계(S40)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부 및 시트부를 원호 모양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시트부에 커버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단계의 예시 사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밴드부 및 시트부를 원호 모양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시트부에 커버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단계(S40)에서는 원기둥 형태의 지그에 상기 밴드부(110) 및 상기 시트부(120)를 밀착하여 구부린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150)를 상기 밴드부(110) 및 상기 시트부(120)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부려서 결합시킬 수 있다.
이처럼 사람의 머리 모양과 유사한 형태로 상기 커버부(150), 상기 밴드부(110) 및 상기 시트부(120)를 구부린 상태로 결합하게 되면, 결합 후에도 구부러진 형태를 유지하기 용이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밴드 타입 헤드랜턴
110: 밴드부
120: 시트부
121: 결합홈
122: 상측림
123: 하측림
130: 발광부
131: 기판
132: 제1 발광모듈
133: 제2 발광모듈
134: 제3 발광모듈
135: 제4 발광모듈
140: 렌즈부
141: 렌즈밴드
142: 렌즈바디
143: 발광소자홈
144: 상측조사면
145: 제1 하측조사면
146: 좌측조사면
147: 우측조사면
148: 제2 하측조사면
150: 커버부
160: 제어부
170: 익스텐션부

Claims (10)

  1. 이용자의 머리 부분에 착용 가능하게 마련된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전방에 부착되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전면에 결합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전면에 결합되는 렌즈부; 및
    상기 발광부 및 상기 렌즈부를 감싸도록 마련된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시트부에 결합되는 플렉시블 기판;
    상기 기판의 중앙부터 양측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마다 배열되는 복수의 발광소자들로 이루어진 제1 발광모듈;
    상기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발광모듈의 양 측에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2 발광모듈; 및
    상기 기판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발광모듈의 바깥측에 형성된 제3 발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타입 헤드랜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발광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마련된 결합홈;
    상기 결합홈의 상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상측림; 및
    상기 결합홈의 하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하측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타입 헤드랜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모듈의 중심은 상기 기판의 중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발광모듈 및 상기 제3 발광모듈은 상기 제1 발광모듈에 비해 상하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타입 헤드랜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하측림은,
    상기 제1 발광모듈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이용자의 눈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발광모듈과 대응되는 영역이 제2 발광모듈 및 제3 발광모듈과 대응되는 영역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타입 헤드랜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기판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된 렌즈밴드; 및
    상기 렌즈밴드에 반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발광모듈 및 상기 제2 발광모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렌즈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바디는 상기 제3 발광모듈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타입 헤드랜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렌즈바디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에 배열된 상기 제1 발광모듈 및 상기 제2 발광모듈이 위치할 수 있게 하는 발광소자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타입 헤드랜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모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발광소자홈은,
    상측의 깊이보다 하측의 깊이가 더 깊게 형성되어 하향 경사진 형태를 이루되, 상기 제1 발광모듈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기 렌즈바디의 배면 수직면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20도 내지 90도로 조사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타입 헤드랜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모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발광소자홈은,
    상측의 깊이보다 하측의 깊이가 더 깊게 형성되어 하향 경사진 형태를 이루되, 상기 제2 발광모듈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기 렌즈바디의 배면 수직면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0도 내지 20도로 조사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타입 헤드랜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모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발광소자홈은,
    상기 제2 발광모듈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기 렌즈바디의 배면 수직면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0도 내지 20도 영역 중 일부 영역에 조사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타입 헤드랜턴.
  10. 제 1 항에 따른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발광부의 전면에 상기 렌즈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b) 전면에 상기 렌즈부가 위치된 상기 발광부를 상기 커버용 튜브에 삽입하는 단계;
    c) 상기 렌즈부 및 상기 발광부가 삽입된 상기 커버용 튜브에 열을 가하여 상기 커버용 튜브를 상기 렌즈부 및 상기 발광부에 코팅시킴으로써 상기 커버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밴드부 및 상기 시트부를 원호 모양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상기 시트부에 상기 커버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타입 헤드랜턴의 제조방법.
KR1020190142137A 2019-11-07 2019-11-07 밴드 타입 헤드랜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55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137A KR20210055541A (ko) 2019-11-07 2019-11-07 밴드 타입 헤드랜턴 및 이의 제조방법
US16/616,243 US11300278B2 (en) 2019-11-07 2019-11-19 Band type head lanter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CT/KR2019/015890 WO2021090995A1 (ko) 2019-11-07 2019-11-19 밴드 타입 헤드랜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137A KR20210055541A (ko) 2019-11-07 2019-11-07 밴드 타입 헤드랜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541A true KR20210055541A (ko) 2021-05-17

Family

ID=75848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137A KR20210055541A (ko) 2019-11-07 2019-11-07 밴드 타입 헤드랜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00278B2 (ko)
KR (1) KR20210055541A (ko)
WO (1) WO20210909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94934S1 (en) * 2020-08-27 2023-08-08 Optimal Ventures, LLC Headlamp with band
EP4310389A1 (en) 2022-07-21 2024-01-24 Techtronic Cordless GP Headlamp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506U (ko) 2010-08-25 2012-03-06 임일석 기능성 액자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8393A (en) * 1993-11-26 1995-04-18 Becker; Kenneth U-shaped helmet light
US5469342A (en) * 1994-01-25 1995-11-21 Chien; Tseng L. Light-strip apparatus
US5836673A (en) * 1994-08-12 1998-11-17 Lo; Robin Strip sport light
US8157402B2 (en) * 2006-05-08 2012-04-17 Barseventy, Inc. Illuminated helmet with programmable lamps and proximity sensor
US9526287B2 (en) * 2011-12-23 2016-12-27 Michael Waters Lighted hat
KR20130005245U (ko) 2012-02-27 2013-09-04 유혜선 헤드랜턴
US8529082B1 (en) * 2012-02-29 2013-09-10 Illumagear, Inc. Light-emitting systems for headgear
US9271343B2 (en) * 2013-10-29 2016-02-23 Michael Mackool Head lamp
KR101693760B1 (ko) 2014-12-30 2017-01-06 남우현 헤드 랜턴
US10375782B2 (en) * 2015-06-19 2019-08-06 Signify Holding B.V. LED arrangement and LED driving method
JP3204166U (ja) * 2016-02-29 2016-05-19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ライト固定バンド
US20180058681A1 (en) * 2016-08-30 2018-03-01 Ammon Arave 180 degree light
KR101719271B1 (ko) 2017-01-05 2017-04-06 (주)프리즘 구분 점등구조를 갖는 다용도 헤드 랜턴
JP6847416B2 (ja) * 2017-03-23 2021-03-24 国立大学法人鳥取大学 医療用ヘッドライト
KR101981248B1 (ko) * 2017-11-28 2019-05-23 주식회사 허킨스 밴드타입 헤드랜턴
CN112262283B (zh) * 2018-05-10 2024-01-09 克诺格股份有限公司 头灯
US20190390844A1 (en) * 2018-06-22 2019-12-26 Optimal Ventures, LLC LED Headlamp with Multiple Power Input Capability
WO2020160442A1 (en) * 2019-02-01 2020-08-0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igh visibility headlam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506U (ko) 2010-08-25 2012-03-06 임일석 기능성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32972A1 (en) 2021-10-28
US11300278B2 (en) 2022-04-12
WO2021090995A1 (ko)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3268B1 (en) Lighted headwear with recessed light source and lens
ES2374839T3 (es) Equipo de mejoramiento de iluminación.
US8550648B2 (en) Directional hands-free wrist illumination device
ES2622729T3 (es) Dispositivo de iluminación multipropósito
KR20210055541A (ko) 밴드 타입 헤드랜턴 및 이의 제조방법
US9737101B2 (en) Adjustable mirrored glove
TWM381753U (en) Lens structure
KR101981248B1 (ko) 밴드타입 헤드랜턴
KR101953239B1 (ko) 구분 점등 및 센서 점등 구조가 적용된 다용도 랜턴
JP5542218B2 (ja) 照明装置
KR20060041977A (ko) 측방 및 후방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등
KR101433185B1 (ko) 헤드 램프
CN103672619B (zh) 一种用于手机闪光灯照明的装置
KR101969069B1 (ko) 구분 점등구조의 다용도 랜턴
JPH04289602A (ja) 歩行照明付サンバイザ
CN203605011U (zh) 一种防对方眩目的头灯
KR20180006210A (ko) 회전형 발광장치
CN203421502U (zh) 可携式灯具
GB2546157A (en) Wearable illumination device
JP2005038650A (ja) 照明装置
CN203605013U (zh) 一种具有全视角照明角度的头灯
CN207146292U (zh) 照射灯的防眩光装置
CN207880558U (zh) 一种防眩光的led灯具
CN210860728U (zh) 防炫光黑洞式灯具及其应用的防炫光灯具结构
JP3196107U (ja) 照明用の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