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1977A - 측방 및 후방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등 - Google Patents

측방 및 후방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1977A
KR20060041977A KR1020050012596A KR20050012596A KR20060041977A KR 20060041977 A KR20060041977 A KR 20060041977A KR 1020050012596 A KR1020050012596 A KR 1020050012596A KR 20050012596 A KR20050012596 A KR 20050012596A KR 20060041977 A KR20060041977 A KR 20060041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light
bulb
portable
lighting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찬복
Original Assignee
석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찬복 filed Critical 석찬복
Publication of KR20060041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9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4Illumin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2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이 내장된 몸통과, 몸통 전방에 설치되는 전구와, 전구를 둘러싸는 반사경과, 반사경 전방에서 몸통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전등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전구의 필라멘트 위치를 경계선으로 하여 그 후방 중심에 형성된 투명부와 전방 주변부에 형성된 반사부로 이등분되어 있고; 상기 몸통과 뚜껑은 그 일부 또는 전부가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및 후방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등을 제공한다.
휴대용 전등, 반사경, 후방조명

Description

측방 및 후방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등{A portable electric lamp having lighting function backward and sidewar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헤드랜턴의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반사경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거치식 손전등의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제2 반사판이 설치된 거치식 손전등의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지시봉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및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210 : 반사경 11,111 : 투명부
12,112,212 : 반사부 13, 113 ; LED조명공
20,120,220 : 몸통 21,121 : 전원
30,130,230 : 전구 31,131 : 필라멘트
32,132,232 : 전구홀더 33,133 : 경계선
40,140,240 : 뚜껑 50 : 제2 반사판
60,160 : 위성 LED전구 70 : 부착판
170 : 거치대 215 : 플렌지부
250 : 후방조명공
본 발명은 측방 및 후방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전지나 축전지 등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전등에 있어서 하나의 광원으로 전구 및 반사경의 전방측으로는 물론, 그 측방 및 후방으로도 동시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 휴대용 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등은 건전지나 축전지를 전원으로 사용하며, 전구의 주변에 반사경이 설치되어 있어서 주로 전구 및 반사경의 전방에 있는 물체를 조명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등은 그 용도에 따라서 주로 손에 들고 다니면서 사용하는 통상적인 손전등과, 이마에 부착하여 레져용이나 산업용 등으로 사용하는 헤드랜턴, 그리고 경찰관 등이 교통 정리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지시봉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레져활동이 확산되면서, 손전등에 거치대를 설치하여 야외에서 주변을 조명할 수 있도록 설계된 거치식 손전등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전등은 전구에서 발광하는 빛이 반사경에 의해 형성되는 반사각도 이내의 범위로 한정되기 때문에 조명 가능한 지역의 범위가 매우 좁고, 특히 반사경의 측방이나 후방에는 전혀 빛이 조명되는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헤드랜턴을 사용하여 야간 산행을 할 경우, 전등을 소지한 보행자 전방의 한정된 지역만 조명되기 때문에 보행자 자신은 물론 전등을 소지하지 않은 다른 동행자가 발을 헛디뎌서 발목을 다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종래의 지시봉을 사용하여 야간에 교통정리를 할 경우, 지시봉에서 나오는 빛이 한정된 방향만 조명되기 때문에 그 조명 방향과 다른 방향에서는 지시봉의 위치를 확인하기 곤란한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해 교통사고가 유발될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거치식 손전등 역시, 반사경의 측방이나 후방은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휴대용 전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광원으로 전구 및 반사경의 전방측으로는 물론, 그 측방 및 후방으로도 동시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 휴대용 전등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이 내장된 몸통과, 몸통 전방에 설치되는 전구와, 전구를 둘러싸는 반사경과, 반사경 전방에서 몸통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전등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전구의 필라멘트 위치를 경계선으로 하여 그 후방 중심에 형성된 투명부와 전방 주변부에 형성된 반사부로 이등분 되어 있고; 상기 몸통과 뚜껑은 그 일부 또는 전부가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및 후방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사경이 전구의 필라멘트 위치를 경계선으로 하여 그 전방 주변부로만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 중심에는 전구에서 나오는 빛을 반사경의 후방으로 통과시키는 후방조명공을 형성하며; 상기 몸통과 뚜껑은 그 일부 또는 전부가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구의 주변에는 반사경의 후방에서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다수개의 위성 LED전구를 더 구비하고, 반사경의 투명부에는 위성 LED전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LED조명공이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반사경의 반사부 배면에는 반사막이 코팅되어 있고, 반사경의 후방에는 이격된 위치에 도너츠 형태의 제2 반사판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레져용 또는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헤드랜 턴의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제1 실시예의 반사경(10)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후방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등은, 전원(21)이 내장된 몸통(20)과, 몸통(20) 전방에 설치되는 전구(30) 및 전구홀더(32)와, 전구(30)를 둘러싸는 반사경(10)과, 반사경(10) 전방에서 몸통(20)에 결합되는 뚜껑(4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인 상기 반사경(10)은 전방부와 후방부로 이등분하여 후방 중심에 형성된 투명부(11)와 전방 주변부에 형성된 반사부(12)로 구성된다. 이때, 투명부(11)는 전구(30) 및 위성LED전구(60)의 빛을 반사경(10)의 후방 및 측방(화살표 B)으로 투과시키는 역할을 하고, 반사부(12)는 전구(30)의 빛을 반사경(10)의 전방(화살표 A)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반사경(10)은 투명한 합성수지로 된 통상적인 형태의 반사경에다, 그 전방 주변부의 내면에만 반사막을 코팅하여 반사부(12)를 형성하고, 그 나머지 후방 중심부는 투명한 상태로 방치하여 투명부(11)를 형성하므로서, 상기 투명부(11)와 반사부(12)를 한몸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고, 애당초 상기 투명부(11)와 반사부(12)를 서로 분리하여 딴몸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반사경(10)에서 상기 투명부(11)와 반사부(12)가 이루는 경계선(33)은 전구(30)의 필라멘트(31)의 중심선으로부터 약간 후방측, 바람직 하기로는 1.0 ∼ 2.5 mm 정도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하되, 상기 경계선(33)의 위치는 휴대용 전등의 사용 목적에 따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경계선(33)의 위치가 전방으 로 이동 할수록 후방 조명기능이 강화되고, 경계선(33)의 위치가 후방으로 이동할수록 전방 조명기능이 강화된다.
상기 전구(30)의 주변에는 반사경(10)의 후방에서 스위치에 의해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다수개의 위성 LED전구(60)를 더 구비할수 있고, 이때, 상기 반사경(10)의 투명부(11)에는 위성 LED전구(60)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개의 LED조명공(13)을 형성하여 위성 LED전구(60)에서 발광하는 빛이 전방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조명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전구(30)의 주변에 위성 LED전구(60)를 더 설치할 경우에는 반사경(10)의 투명부(11)와 반사부(12)를 서로 분리하여 딴몸으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구(30)와 위성 LED전구(60)의 빛이 측방 및 후방으로 조명되도록 상기 몸통(20)과 뚜껑(40)을 빛이 잘 투과되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 바람직 하기로는 충격에 강하고 투명도가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몸통(20)과 뚜껑(40) 전체를 투명하게 형성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전구(30)와 위성 LED전구(60)의 빛이 측방 및 후방으로 조명되는 부분, 즉 도 1 의 화살표 B 부분만 투명한 재질로 형성 할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랜턴은 사용자가 별도로 구비된 탄력끈을 이용하여 부착판(70)을 자신의 이마 부분에 고정 지지하여 사용한다. 스위치를 사용하여 전원(21)을 인가하면, 전구(30) 및 위성 LED전구(60)로부터 발산된 빛이 반사경(10)의 투명부(11) 및 반사부(12)에 의해서 양분되어 투명부(11)를 통과한 빛은 화살표 B와 같이, 측방 및 후방으로 발산되고, 반사부(12)에 의해 반사된 빛은 화살표 A와 같이 전방을 조명한다.
이때, 중앙의 전구(30)와 위성 LED전구(60)는 스위치에 의해서 각각 선택적으로 점등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필요에 따라 전구(30)와 위성 LED전구(6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이들 모두를 동시에 점등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랜턴은 하나의 광원으로 사용자의 전방측은 물론, 측방 및 후방도 동시에 조명할수 있어서 산업용 및 레져용으로 매우 안전하게 사용할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헤드랜턴을 사용하여 야간 산행을 할 경우, 헤드랜턴 착용자 자신은 물론, 주변 동행자들도 보다 효과적으로 시야를 확보할수 있기 때문에 어두운 산길에서 일어날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거치식 손전등으로 사용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전원(121)이 내장되며, 일부 또는 전부가 투명한 합성수지인 몸통(120)과, 몸통(120) 전방에 설치되는 전구(130) 및 전구홀더(132)와, 전구(130)의 필라멘트(131) 위치를 경계선(133)으로 하여 투명부(111)과 반사부(112)로 구성된 반사경(110)과, 반사경(110) 전방에 결합되는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된 뚜껑(140)으로 구성된다. 제2 실시예에서는 몸통(120)에 거치대(170)가 설치되어 있어서, 특정한 위치에다 손전등을 거치해 두고 그 주변을 편리하게 조명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서, 도 3의 제2 실시예에 더하여 제2 반사판(50)이 설치된 거치식 손전등의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제3 실시예에서는 전구(130)의 주변에 반사경(110)의 후방에서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다수개의 위성 LED전구(160)가 더 설치되어 있고, 반사경(110)의 투명부(111)에는 위성 LED전구(160)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개의 LED조명공(11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사경(110)의 반사부(112) 배면에는 반사막이 코팅되어 있고, 반사경(110)의 후방에는 이격된 위치에 원판형의 제2 반사판(50)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3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반사판(50)과 반사부(112)의 배면에 코팅된 반사막이 투명부(111)를 통하여 반사경(110)의 후방으로 조사되는 전구(130)의 빛과 위성 LED전구(160)의 빛을 다시 반사 및 발산 시키기 때문에 측방 및 후방을 훨씬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2 반사판(50)은 도너츠형으로 형성하되 중심부분에 비하여 주변 부분이 뒤로 약간 처진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손전등은 통상적인 휴대용 손전등의 기능으로는 물론, 거치대(170)를 이용하여 특정위치에 손전등을 거치하여 사용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주변을 조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지시봉으로 사용되는 모습을 보인 것으로 요부를 확대하여 단면한 사시도이다. 제4 실시예에서는 반사경(210)이 반사부(212)로만 구성되고, 반사경(210)의 후방 중심부는 전구(230)의 필리멘트 위치에서 절단 제거된 형태로 이루어 진다. 그래서 반사경(210) 전방 끝단에서 밖으로 확장된 플렌지부(215)가 몸통(220)과 뚜껑(240) 사이에 결합 지지되고, 반사경(210)의 후방 끝단은 개방되어 있다. 즉, 반사경(210)의 후방 중심부는 빈 공간으로서 후방조명공(250)을 형성하고, 이 후방조명공(250)을 통하여 전구(230)의 빛이 화살표 B와 같이 반사경(210)의 측방 및 후방으로 발산된다.
본 발명의 지시봉은 전방 조명은 물론, 지시봉의 측방 및 후방으로도 빛이 발산되기 때문에 지시봉의 각도와 상관없이 먼거리에서도 지시봉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수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다.
이상 설명드린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몇가지 적용예를 나타낸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제4 실시예의 지시봉에다 제1 실시예의 반사경(10) 및/또는 위성 LED전구(60)를 적용 할 수도 있고, 반대로 상기 제1 실시예의 헤드랜턴이나 제3 실시예의 거치식 손전등에다 상기 제4 실시예의 반사경(210)을 적용 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전등은 하나의 광원으로 전구 및 반사경의 전방측으로는 물론, 그 측방과 후방측으로도 동시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것으로서, 종래의 헤드랜턴이나 거치식 손전등 또는 지시봉 등에 적용하여 산업용이나 생활용 또는 레져용 등으로 매우 편리하고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야간에 시야가 충분히 확보 되지 않음으로 해서 일어날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6)

  1. 전원이 내장된 몸통과, 몸통 전방에 설치되는 전구와, 전구를 둘러싸는 반사경과, 반사경 전방에서 몸통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전등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전구의 필라멘트 위치를 경계선으로 하여 그 후방 중심에 형성된 투명부와 전방 주변부에 형성된 반사부로 이등분되어 있고;
    상기 몸통과 뚜껑은 그 일부 또는 전부가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및 후방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투명부와 반사부가 서로 분리되어 딴몸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및 후방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등.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의 주변에는 반사경의 후방에서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다수개의 위성 LED전구를 더 구비하고, 반사경의 투명부에는 위성 LED전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LED조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및 후방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 등.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의 반사부 배면에는 반사막이 코팅되어 있고, 반사경의 후방에는 이격된 위치에 도너츠 형태의 제2 반사판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및 후방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등.
  5. 전원이 내장된 몸통과, 몸통 전방에 설치되는 전구와, 전구를 둘러싸는 반사경과, 반사경 전방에서 몸통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전등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전구의 필라멘트 위치를 경계로 하여 그 전방 주변부로만 형성되어 있고, 그 후방 중심에는 전구에서 나오는 빛을 반사경의 후방으로 통과시키는 후방조명공을 형성하며;
    상기 몸통과 뚜껑은 그 일부 또는 전부가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및 후방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등.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의 주변에는 반사경의 후방에서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다수개의 위성 LED전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및 후방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등.
KR1020050012596A 2004-03-11 2005-02-16 측방 및 후방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등 KR200600419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553 2004-03-11
KR1020040016553 2004-03-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977A true KR20060041977A (ko) 2006-05-12

Family

ID=34975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596A KR20060041977A (ko) 2004-03-11 2005-02-16 측방 및 후방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041977A (ko)
WO (1) WO20050881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281B1 (ko) * 2010-01-06 2012-04-19 김준규 비상 헤드전등을 포함하는 비상유도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6426A1 (en) * 2005-10-03 2007-04-05 Kling Michael R Lamp with two light sources
EP1862727A1 (en) * 2006-06-02 2007-12-05 Freeplay Market Development Limited Table lantern
DE102010013687A1 (de) * 2010-04-01 2011-10-06 Siteco Beleuchtungstechnik Gmbh Downlightreflektor mit Zusatzlichtquelle
CN103322510B (zh) * 2012-03-22 2016-01-20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电筒用透明件以及电筒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1175A (en) * 1974-02-04 1976-06-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rtable battery operated electric light
GB2037416B (en) * 1978-12-21 1983-05-11 Sassmannshause K Lamp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281B1 (ko) * 2010-01-06 2012-04-19 김준규 비상 헤드전등을 포함하는 비상유도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88187A1 (en) 200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9141A (en) Roadside emergency security flashlight
US5558430A (en) Dual beam flashlight
US6840652B1 (en) Lighting enhanced by magnified reflective surfaces
US20070053203A1 (en) Illumination device
US20060250802A1 (en) Interchangeable simulated neon light tube assemblies and related accessories for use with lighting devices
US9457707B2 (en) Vehicle auxiliary lamp unit
US20070268150A1 (en) Portable Signalling Lantern
KR101882719B1 (ko) 휴대용 엘이디조명 겸용 경광등
EP0918970A1 (en) Lighting devices e.g. bicycle lamps
KR20060041977A (ko) 측방 및 후방 조명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등
US11225299B2 (en) Light assembly
CN210717042U (zh) 越野跑灯
JP2004047391A (ja) ライト
CA2477649A1 (en) Light emitting diode optics
TWM247778U (en) Light for automobile
JPH04289602A (ja) 歩行照明付サンバイザ
JP6976570B2 (ja) マーカーランプ
KR101758782B1 (ko) 플래시 라이트
KR200353083Y1 (ko) 랜턴 및 조명등 겸용 조명기구
CN201062721Y (zh) 一种照明装置
US20040156195A1 (en) Illuminated acrylic flashlight and tool chest light utility light
TWM495319U (zh) 車輛用複合燈
JP3086483U (ja) 工事用保安灯
AU719611B2 (en) Lighting devices, methods of constructing lighting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lighting devices
KR20130041845A (ko) 랜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