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5354A -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5354A
KR20210055354A KR1020190141691A KR20190141691A KR20210055354A KR 20210055354 A KR20210055354 A KR 20210055354A KR 1020190141691 A KR1020190141691 A KR 1020190141691A KR 20190141691 A KR20190141691 A KR 20190141691A KR 20210055354 A KR20210055354 A KR 20210055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imaging unit
unit
ship
securit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0060B1 (ko
Inventor
정두훈
이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1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0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5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9/00Arrangements of nautical instruments or navigational a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329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가 개시된다.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는, 선박에 설치되고, 선박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촬상 유닛, 촬상 유닛의 위치 및 촬상 유닛의 촬상 방향을 검출하는 측정 유닛 및 촬상 유닛의 위치, 촬상 방향 및 기저장된 촬상 유닛의 촬상 정보에 기초하여 촬상 유닛의 촬상 범위를 산출하고, 산출된 촬상 범위와 기설정된 보안 구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영상에 보안 구역이 포함되지 않도록 촬상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MONITORING APPARATUS ON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안 구역의 촬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선박에서 해상 장애물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 충돌 회피 또는 충돌 사고 발생시 상황 파악을 위해 선박의 주변 상황을 상시 촬영, 저장 및 전송하는 기술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선박의 주변에 군사적 또는 사적 보안을 위해 영상 촬영을 금지하는 장소나 시설물(이하, 보안 구역)이 존재하는 경우 보안 구역이 자동으로 촬영되어 문제가 되었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선박이 보안 구역에 진입하거나 보안 구역의 주변을 지나는 경우, 전체 시스템은 오프하거나, 카메라에 가림막을 치거나, 카메라를 선박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등 작업자가 직접 개입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보안 구역을 벗어난 이후 카메라를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지 않는 경우 보안 구역이 아닌 구역도 촬영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에 설치되는 촬상 유닛의 위치 빛 촬상 방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보안 구역이 촬영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는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는, 선박 주변을 모니터링하는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 설치되고, 상기 선박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촬상 유닛, 상기 촬상 유닛의 위치 및 상기 촬상 유닛의 촬상 방향을 검출하는 측정 유닛 및 상기 촬상 유닛의 위치, 상기 촬상 방향 및 기저장된 상기 촬상 유닛의 촬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유닛의 촬상 범위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촬상 범위와 기설정된 보안 구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상기 영상에 상기 보안 구역이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촬상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촬상 유닛의 촬상 정보는, 상기 촬상 유닛의 해상도 및 화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안 구역은, 기설정된 모서리 좌표값 및 상기 모서리를 연결한 에지에 의해 설정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촬상 범위에 상기 에지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면, 상기 촬상 범위와 상기 보안 구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 유닛은, GPS 센서 및 기울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촬상 범위에 상기 보안 구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상기 촬상 유닛의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촬상 범위에 상기 보안 구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상기 촬상 유닛의 촬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으로 보안 구역의 촬영 여부를 판단하여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보안 구역이 촬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구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구역의 촬영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서 일부 구성은 다소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선박의 자동 제어를 위한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가 선박 주변을 상시 촬영하여, 영상 촬영을 금지하는 군사 구역 등도 촬영하게 되거나 군사 구역 주변에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카메라를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선박에 설치되는 촬상 유닛을 이용하여 선박 주변을 모니터링하는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촬상 유닛의 위치, 촬상 방향 및 촬상 정보 등을 고려하여 촬상 범위를 산출하고, 촬상 범위에 보안 구역이 포함되는 경우 자동으로 촬상 유닛의 전원을 오프하거나 촬상 유닛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촬상 유닛에서 촬영된 영상에 보안 구역이 포함되지 않도록 제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수동으로 촬상 유닛을 제어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에서 보안 구역이 촬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10)는 선박(1)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10)에서 촬상 유닛(100)은 선박(1)의 데크(Deck)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측정 유닛(200)은 촬상 유닛(10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300)은 선박(1) 또는 선박(1) 외부에 설치되어, 촬상 유닛(100) 및 측정 유닛(20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촬상 유닛(100), 측정 유닛(200) 및 제어 유닛(300)은 다양하게 위치되어 선박 주변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10)는 촬상 유닛(100), 측정 유닛(200) 및 제어 유닛(300)을 포함한다. 촬상 유닛(100)은 선박(1)에 설치되어 선박(1) 주변을 촬영할 수 있다. 촬상 유닛(100)은 선박(1)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촬상 유닛(100)은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카메라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촬상 유닛(100)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측정 유닛(200)은 촬상 유닛(100)에 설치될 수 있다. 측정 유닛(200)은 촬상 유닛(100)의 위치 및 촬상 유닛(100)의 촬상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측정 유닛(200)은 촬상 유닛(100)에 설치되는 GPS 센서를 포함하여, 촬상 유닛(10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유닛(200)은 촬상 유닛(100)에 설치되는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여, 촬상 유닛(100)의 촬상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 유닛(300)은 측정 유닛(200)에서 검출되는 촬상 유닛(100)의 위치 및 촬상 유닛(100)의 촬상 방향과 미리 저장된 촬상 유닛(100)의 촬상 정보에 기초하여 촬상 유닛(100)의 촬상 범위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 유닛(300)은 산출된 촬상 범위와 기설정된 보안 구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촬상 유닛(100)에서 생성되는 영상에 보안 구역이 포함되지 않도록 촬상 유닛(10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유닛(300)은 촬상 유닛(100)의 촬상 범위와 기설정된 보안 구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촬상 유닛(100)의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 유닛(300)은 촬상 유닛(100)의 촬상 범위와 기설정된 보안 구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촬상 범위에 보안 구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촬상 유닛(100)의 촬상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300)은 촬상 유닛(100)의 촬상 범위와 기설정된 보안 구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제어 유닛(300)과 촬상 유닛(100)의 연결을 끊거나 촬상 유닛(100)의 렌즈를 별도의 장비로 차단할 수도 있다.
보안 구역은 군사 시설 등 영상 촬영을 금지하는 장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도 3과 같이, 지도 상에 일정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보안 구역은 기설정된 모서리 좌표값 및 모서리를 연결한 에지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모서리 좌표값은 GPS 상에서 특정 좌표값이나 지도 상의 특정 좌표값일 수 있다. 또한, 보안 구역은 적어도 3개의 모서리 좌표값 및 적어도 3개의 모서리 좌표값들을 각각 연결하는 에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구역의 촬영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 유닛(300)은 촬상 유닛(100)의 촬상 범위(110)에 보안 구역(41, 42)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촬상 유닛(100)이 보안 구역을 촬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 유닛(300)은 촬상 유닛(100)의 해상도 및 화각을 이용하여 촬상 유닛(100)의 촬상 범위(110)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300)은 촬상 유닛(100)의 화각을 이용하여 촬상 유닛(100)의 상하좌우 방향에 대한 촬상 범위(110)를 특정하고, 촬상 유닛(100)의 해상도를 이용하여 촬상 유닛(100)의 수평한 방향에 대한 촬상 범위(110)를 특정할 수 있다. 즉, 촬상 유닛(100)의 화각이 커질수록 촬상 유닛(100)의 상하좌우 방향에 대한 촬상 범위(110)가 넓어지고, 촬상 유닛(100)의 해상도가 커질수록 촬상 유닛(100)의 수평한 방향에 대한 촬상 범위(110)가 길어질 수 있다. 제어 유닛(300)은 촬상 유닛(100)의 촬상 범위(110)가 보안 구역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촬상 범위(110)에 보안 구역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안 구역(41)은 촬상 유닛(100)의 촬상 범위(110)에 모든 에지가 포함되므로, 제어 유닛(300)은 촬상 범위(100)에 보안 구역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2 보안 구역(42)은 촬상 유닛(100)의 촬상 범위(110)에 에지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므로, 제어 유닛(300)은 촬상 범위(110)에 보안 구역(41, 42)의 일부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유닛(300)은 촬상 범위(110)에 제3 보안 구역(50)의 에지 일부가 포함되면, 촬상 유닛(100)의 촬상 범위(110) 내에 보안 구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촬상 범위(110) 내에 보안 구역이 포함되지 않도록 촬상 유닛(1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으로 보안 구역의 촬영 여부를 판단하여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보안 구역이 촬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 선박 10: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
100: 촬상 유닛 200: 측정 유닛
300: 제어 유닛

Claims (5)

  1. 선박 주변을 모니터링하는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 설치되고, 상기 선박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촬상 유닛;
    상기 촬상 유닛의 위치 및 상기 촬상 유닛의 촬상 방향을 검출하는 측정 유닛; 및
    상기 촬상 유닛의 위치, 상기 촬상 방향 및 기저장된 상기 촬상 유닛의 촬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유닛의 촬상 범위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촬상 범위와 기설정된 보안 구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상기 영상에 상기 보안 구역이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촬상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유닛의 촬상 정보는, 상기 촬상 유닛의 해상도 및 화각을 포함하는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구역은, 기설정된 모서리 좌표값 및 상기 모서리를 연결한 에지에 의해 설정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촬상 범위에 상기 에지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면, 상기 촬상 범위와 상기 보안 구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 것으로 판단하는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촬상 범위에 상기 보안 구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상기 촬상 유닛의 전원을 오프하는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촬상 범위에 상기 보안 구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상기 촬상 유닛의 촬상 방향을 변경하는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

KR1020190141691A 2019-11-07 2019-11-07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 KR102640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691A KR102640060B1 (ko) 2019-11-07 2019-11-07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691A KR102640060B1 (ko) 2019-11-07 2019-11-07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354A true KR20210055354A (ko) 2021-05-17
KR102640060B1 KR102640060B1 (ko) 2024-02-26

Family

ID=7615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691A KR102640060B1 (ko) 2019-11-07 2019-11-07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0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365A (ko) 2021-06-08 2022-12-15 주식회사 화영 선박 엔진 모니터링용 게이지 패널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3921A (ko) * 2013-09-25 2015-04-02 (주)에스디시스템 사고기록장치용 촬영제어 단말장치
KR101578819B1 (ko) * 2015-07-27 2015-12-21 (주)동광지엔티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항공영상 이미지 내의 보안영역 자동화 편집방법
JP2019064402A (ja) * 2017-09-29 2019-04-25 東亜建設工業株式会社 船舶航行用監視システム
KR20190104015A (ko) * 2019-08-16 2019-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인 항공 시스템에서 무인 항공 로봇의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JP2019164464A (ja) * 2018-03-19 2019-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体監視装置、移動体監視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監視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3921A (ko) * 2013-09-25 2015-04-02 (주)에스디시스템 사고기록장치용 촬영제어 단말장치
KR101578819B1 (ko) * 2015-07-27 2015-12-21 (주)동광지엔티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항공영상 이미지 내의 보안영역 자동화 편집방법
JP2019064402A (ja) * 2017-09-29 2019-04-25 東亜建設工業株式会社 船舶航行用監視システム
JP2019164464A (ja) * 2018-03-19 2019-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体監視装置、移動体監視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監視方法
KR20190104015A (ko) * 2019-08-16 2019-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인 항공 시스템에서 무인 항공 로봇의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365A (ko) 2021-06-08 2022-12-15 주식회사 화영 선박 엔진 모니터링용 게이지 패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060B1 (ko) 202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5312B2 (en) Monitoring camera and monitoring camera control method
KR101566784B1 (ko) 산업용 및 건설용 중장비 접근감시 및 작동제어 시스템
KR101343975B1 (ko) 돌발검지 시스템
US8223214B2 (en) Camera system with masking processor
JP2010521879A (ja) パノラマ画像処理システム
KR101545276B1 (ko) Ptz 카메라를 이용한 선박용 전방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선박용 전방위 모니터링 방법
KR100447690B1 (ko) 피사체를자동으로트랙킹하기위한제어장치및제어방법
KR101821159B1 (ko)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이동체의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
KR102640060B1 (ko) 선박용 모니터링 장치
JP2007050862A (ja) 踏切監視システム及び踏切監視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060112721A (ko) 방위 센서를 구비하는 카메라 조정 시스템 및 방법
JP2009046253A (ja) エレベーターの防犯カメラ装置及びその撮影方法
JP2006279516A (ja) 監視システム、監視カメラ、及びコントローラ
JP2000228741A (ja) 雲台制御システム
KR101794993B1 (ko) 영상 왜곡 보정 장치 및 방법
US20120026292A1 (en) Monitor computer and method for monitoring a specified scene using the same
US20070058067A1 (en) Monitoring system
US20210350159A1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system
KR101341632B1 (ko) 줌 카메라의 광축 오차 보상 시스템, 그 보상 방법
KR20160017400A (ko) 레이더와 레이저를 이용한 정밀촬영장치
KR101619953B1 (ko) 감시카메라용 자동 다중 추적 영상처리방법
KR20140084442A (ko) 탐지용 로봇 시스템
KR101061868B1 (ko) 듀얼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94052B1 (ko) 카메라를 지지하는 홀더 장치 및 상기 홀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8123547A1 (ja) 車両用視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