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5263A - 드론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드론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5263A
KR20210055263A KR1020190141514A KR20190141514A KR20210055263A KR 20210055263 A KR20210055263 A KR 20210055263A KR 1020190141514 A KR1020190141514 A KR 1020190141514A KR 20190141514 A KR20190141514 A KR 20190141514A KR 20210055263 A KR20210055263 A KR 20210055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rone
fuel cell
presen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어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어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어온
Priority to KR1020190141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5263A/ko
Publication of KR20210055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2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06Frames; Stringers; Longerons ; Fuselage sections
    • B64C1/061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16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power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64C2201/024
    • B64C2201/042
    • B64C2201/108
    • B64C2201/16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본체가 결합되고, 상기 본체 상부에 구비되는 연료 전지의 측면과 상면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며, 끝단에 로터가 결합되는 아암 및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함으로써, 하중과 압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산하여 지지하고, 비행의 안정성과 동체의 내구성을 보강하여 모터 회전에 따른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론용 프레임{FRAME FOR DRONE}
본 발명은 드론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찰, 감시, 정밀 타격 등의 목적으로 군사 임무 수행을 위해 제작된 드론은 최근 재해감시, 물품이송, 영상촬영, 재난구조 등을 비롯하여 그 목적과 방법에 따라서 민수 분야에서도 수요 및 활용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드론은 체공시간과 항속거리에 따라 그 활용 범위와 사용 목적이 결정될 수 있는데, 체공시간과 항속거리는 동력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종래 드론에서는 일반적으로 동력원으로 충전 가능한 이차전지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경우에 따라 내연기관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차전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할 경우 충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완전 충전을 해도 수분에서 십 여분 밖에 날지 못해 항속거리나 용도에 제한이 있을 수 밖에 없으며, 내연기관은 체공시간이나 항속거리 확보 측면에서 유리함이 있으나 경량화 요구를 만족시키기 어렵고 큰 소음이 문제가 된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항속거리와 체공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 소음이 적은 연료 전지(Fuel cell)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대안이 논의되고 있다. 이는 연료인 수소(H2)를 공기 중의 산소(O2)와 반응시켜 비행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켜 추력 발생용 로터 회전모터에 공급하는 것이다.
드론의 대안 동력원으로 고려되는 연료 전지는,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의 수소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Fuel Tank)와, 연료탱크에서 공급되는 수소를 공기 중 산소와 반응시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여 배터리에 공급하는 연료 전지 스택(Fuel Cell Stack)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드론의 경우 무거운 연료 전지의 무게에 의해 드론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927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연료 전지의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하중과 압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산하여 지지하고, 비행의 안정성과 동체의 내구성을 보강하여 모터 회전에 따른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드론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레임은 하부에 본체가 결합되고, 상기 본체 상부에 구비되는 연료 전지의 측면과 상면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며, 끝단에 로터가 결합되는 아암 및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레임은 연료 전지의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연료 전지 보다 높은 상단에 아암을 형성하여 하중과 압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산하여 지지하고, 연료 전지의 상단에 'H' 형상의 고정프레임을 결합하여 측면프레임을 연결함으로써, 비행의 안정성과 동체의 내구성을 보강하여 모터 회전에 따른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레임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레임을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레임이 적용된 드론을 나타낸 사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각 도면에 걸쳐 표시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레임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레임을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레임이 적용된 드론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멀티 콥터의 바람직한 예로서, 도 5의 예시와 같이 비행 몸체를 중심으로 주위에 네 개의 회전날개가 마주하는 것끼리 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된 쿼드 콥터(Quad copter)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물론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이 도 5와 같이 회전 날개가 네 개인 멀티 콥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용 프레임은 동력원으로 연료 전지(Fuel cell)를 사용하는 연료 전지 멀티 콥터에 사용되는 것으로, 측면프레임(110), 아암(120) 및 고정프레임(1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측면프레임(110), 아암(120) 및 고정프레임(130)은 무게가 가볍고 탄성과 강도가 높은 카본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프레임(110)은 하부에 본체(10)가 결합되고, 본체(10) 상부에 구비되는 연료 전지(2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무선 신호 송수신기와 자세를 포함하는 전반적인 비행 제어를 위한 콘트롤러 등이 탑재될 수 있고, 본체(10)의 상부에는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의 수소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Fuel Tank)와, 연료탱크에서 공급되는 수소를 공기 중 산소와 반응시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여 배터리에 공급하는 연료 전지 스택(Fuel Cell Stack)이 포함된 연료 전지(2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프레임(110)은 본체(10)를 중심으로 복수개가 방사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하단이 본체(10) 방향으로 절곡되어 본체(10)가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분야에 따라 본체(10)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110)은 연료 전지(20)의 측면과 상면 일부를 감싸도록 상단도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아암(12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 개의 아암(120)이 측면프레임(110)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아암(120) 선단에는 연료 전지(20)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날개를 회전 구동시키는 로터가 탑재된다. 즉 상기 아암(120)은 본체(10)와 로터(3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이웃하는 로터(30)는 방향이 다른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대각선에 위치하는 로터(30)끼리는 방향이 같은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암(120)은 측면프레임(110)의 상부에 형성되되, 연료 전지(2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연료 전지(20)의 무게 중심을 고려한 것으로, 하중과 압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산하여 지지함으로써, 비행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30)은 측면프레임(110)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프레임(130)은 'H'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수단(131)을 통해 탈착가능하도록 측면프레임(110)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네 개의 측면프레임(110)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여 비행의 안정성과 동체의 내구성을 보강하여 로터가 구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30)이 측면프레임(110)의 상단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연료 전지(2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고정프레임(130)이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로 형성되어 드론의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연료 전지(20)를 사용할 수 있으며, 드론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측면프레임
120 : 아암
130 : 고정프레임
131 : 결합수단

Claims (4)

  1. 하부에 본체가 결합되고, 상기 본체 상부에 구비되는 연료 전지의 측면과 상면 일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측면프레임;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며, 선단에 로터가 결합되는 아암; 및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고정프레임;
    을 포함하는 드론용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연료 전지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드론용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은
    하부에 상기 본체가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드론용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H'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수단을 통해 탈착가능하도록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드론용 프레임.
KR1020190141514A 2019-11-07 2019-11-07 드론용 프레임 KR202100552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514A KR20210055263A (ko) 2019-11-07 2019-11-07 드론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514A KR20210055263A (ko) 2019-11-07 2019-11-07 드론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263A true KR20210055263A (ko) 2021-05-17

Family

ID=76158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514A KR20210055263A (ko) 2019-11-07 2019-11-07 드론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526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7489B2 (en) * 2020-06-11 2023-03-07 Amazon Technologies, Inc. Aerial vehicle airframe design and manufacturing
KR20230046056A (ko) 2021-09-29 2023-04-0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 연료전지 드론의 프레임
KR20230068749A (ko) 2021-11-11 2023-05-1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구조를 이용한 항공기 프레임
KR20230083906A (ko) * 2021-12-03 2023-06-12 김광호 교량과 터널 점검을 위한 드론 장치
WO2023128955A1 (en) 2021-12-31 2023-07-06 İstanbul Geli̇şi̇m Üni̇versi̇tesi̇ Coaxial aluminum sigma drone chassi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9276A (ko) 2016-08-16 2018-02-2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으로 비행하는 드론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9276A (ko) 2016-08-16 2018-02-2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으로 비행하는 드론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7489B2 (en) * 2020-06-11 2023-03-07 Amazon Technologies, Inc. Aerial vehicle airframe design and manufacturing
KR20230046056A (ko) 2021-09-29 2023-04-0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 연료전지 드론의 프레임
KR20230068749A (ko) 2021-11-11 2023-05-1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구조를 이용한 항공기 프레임
KR20230083906A (ko) * 2021-12-03 2023-06-12 김광호 교량과 터널 점검을 위한 드론 장치
WO2023128955A1 (en) 2021-12-31 2023-07-06 İstanbul Geli̇şi̇m Üni̇versi̇tesi̇ Coaxial aluminum sigma drone chassi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5263A (ko) 드론용 프레임
US20210323686A1 (en) Aerial drone
US11548650B2 (en) Hybrid airship
US20220289397A1 (en) Fuel cell powered aircraft with a cathode convertible between oxygen and air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10994841B2 (en) Electric JetPack device
CN108502152A (zh) 具有机体和推力产生单元装置的多旋翼飞行器
US9550566B2 (en) Disc-shaped turbo-jet aircraft
KR20130109986A (ko) 재구성가능한 배터리-작동식 운행체 시스템
KR101912101B1 (ko) 자가 충전식 드론
CN103387058A (zh) 多航天器发射系统
KR20120094510A (ko) 공진 엔진
CN205554623U (zh) 一种光学变焦吊舱
US20190152596A1 (en) High efficiency long range drone
CN208951620U (zh) 云台减震结构、云台系统及无人飞行器
KR102292103B1 (ko) 폴딩형 수송용 드론
CN117561202A (zh) 无人机
CN208993926U (zh) 一种拍摄视角广的双云台无人机
JP6754515B1 (ja) 飛行体
JP2017039370A (ja) 空中浮遊装置
KR102494161B1 (ko)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를 구비한 드론
KR20190096559A (ko) 액화수소 저장탱크용 카트리지형 아답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충전시스템
CN213769007U (zh) 一种具有减震机构的无人机机库
KR102029664B1 (ko) 연료전지를 위한 카트리지형 결속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충전시스템
KR102009366B1 (ko) 디스크형 연료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콥터
JP2021054268A (ja) 飛行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