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5124A - Decoration Methods of Ceramics Surface - Google Patents

Decoration Methods of Ceramics Su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5124A
KR20210055124A KR1020190140794A KR20190140794A KR20210055124A KR 20210055124 A KR20210055124 A KR 20210055124A KR 1020190140794 A KR1020190140794 A KR 1020190140794A KR 20190140794 A KR20190140794 A KR 20190140794A KR 20210055124 A KR20210055124 A KR 20210055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x
material layer
concave
colored material
porcel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7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명자
Original Assignee
한명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명자 filed Critical 한명자
Priority to KR1020190140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5124A/en
Publication of KR20210055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12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ecorating a surface of ceramics, wherein after installing at least one layer of coloring material on a surface of a molded ceramic object, a part of the coloring material layer is cut to easily produce various colors and patterns as intended by a method of expressing color patterns on an exposed surface, thereby having excellent reproducibility of the pattern expression, and being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at low cost.

Description

도자기 표면에 장식하는 방법{Decoration Methods of Ceramics Surface}How to decorate ceramics surface{Decoration Methods of Ceramics Surface}

본 발명은 도자기 표면에 장식을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corating a porcelain surface.

도자기를 표면장식 하는 기존의 방법으로서는, 고온 소성(燒成) 전에 기물(본체)에 밑그림을 그리고 유약으로 처리하는 방법, 유색의 태토를 이용한 방법 등이 있다. 유색의 태토를 이용한 방법의 예로서는, 본래 유색을 가지고 있는 태토, 혹은 금속산화물을 넣은 각각의 다양한 유색의 점토를 섞어 반죽하거나 조합하여 문양을 표현하는 밀피오레(milefiore) 기법 및/또는 연리문 기법과, 오목한 틀안에 유색태토를 여러 조각 모아서 기물의 안팎이 동일한 문양이 되도록 만드는 네리에쥐(neriage) 기법이 있다. 그러나 의도한 문양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밑그림을 그리거나 점토를 반죽하는 공정은 손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특히 입체감 있는 문양이나 반점 문양을 형성하는 경우, 도자기 제품의 표면에 유약을 중복하여 바르거나 별도의 채색을 해야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높게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methods for surface decoration of ceramics include a method of drawing a draft on the object (body) before high-temperature firing and treating it with glaze, and a method using colored clay. Examples of the method using colored clay are the mifiore technique and/or the Yeonrimun technique, which expresses a pattern by mixing and kneading or combining various colored clays containing original colored clay or metal oxide. , There is a neriage technique in which several pieces of colored soil are collected in a concave frame so tha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piece have the same pattern. However, in order to express the intended pattern, the process of drawing a sketch or kneading clay must be done by h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orming a three-dimensional pattern or spot patter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because the glaze must be repeatedly applied or a separate coloring must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eramic product.

요철이나 반점 문양 등을 쉽게 형성할 수 있는 도자기의 표면장식 방법으로서, 일본국의 특개평 제03262684호에서는, 입자 상태의 플릿 및/또는 입자상태의 유약과 슬러리(Slurry, 액채상태의 흙물) 상태의 유약을 혼합하여, 도자기 제품의 표면에 시유(施釉, 유약을 칠함) 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반점 문양을 쉽게 표현할 수는 있지만, 그 이외의 의도한 문양을 표현하는 것은 곤란하며, 문양의 재현성도 불충분하였다.As a method for decorating the surface of ceramics that can easily form irregularities or spots, Japanese Patent Laid-Open No. 03262684, in the form of flakes in the form of particles and/or glazes in the state of particles and slurry (slurry in liquid state). It describes a method of mixing the glaze of pottery and applying the glaze to the surface of the porcelain product. However, in this method, although it is possible to easily express the pattern of spots, it is difficult to express other intended patterns, and the reproducibility of the pattern is also insufficient.

일본국 특개 제2000-7468호는, 재벌구이 또는 2차 소성한 도자기의 유약 처리면에 표면장식용의 전사지를 바른 후, 약1,000 ℃∼1,200℃ 이상의 온도에서 고온 소성하여, 재벌구이 또는 2차 소성의 유약 처리면에 전사층을 돌출시켜 표현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평활한 면에 문양 등의 표면장식은 효율적으로 할 수는 있으나, 전사지를 바른 후 다시 한번 고온소성을 필요로 하며, 고가의 스크린 인쇄기를 도입하지 않으면 안되며, 또한 표면장식 공정이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7468 applies a transfer paper for surface decoration to the glazed surface of chaebol-grilled or secondary fired ceramics, and then fired at a temperature of about 1,000 to 1,200℃ or higher, followed by chaebol-roasting or secondary firing. It describes a method of expressing by protruding the transfer layer on the glazed surface of. According to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decorate the surface of a smooth surface, such as a pattern, but it requires high-temperature firing once again after applying the transfer paper, and an expensive screen printing machine must be introduced, and the surface decoration process is cumbersome. There was a problem with that.

일본국 특개평 제6262615호는, 성형한 도자기 기물을 건조시킨 후, 기물에 흡착시킬 액체를 문양이 되도록 기물의 표면에 도포하고, 그것이 건조하기 전에 표면에 블래스트(blast)를 실시하고, 액체를 도포하지 않은 부위만을 박리시켜, 액체 도포부를 입체 문양으로 표현하는 도자기 기물 표면의 입체 문양 표현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상기 문헌에서는, 액체 도포부에는 착색할 수 있지만, 블라스트 부위는 도자기 원래의 기물의 바탕이기 때문에, 거기에 착색층을 형성하려면 다시 착색층을 설치해야 하는 공정을 필요로 한다. 그로 인해 상기기술에서는, 색문양을 다양화하는 경우의 공정이 번잡 했었다.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6262615 describes the drying of the molded pottery, and then the liquid to be adsorbed on the ware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are so as to form a pattern, and before it is dried, the surface is blasted and the liquid is applied. It describes a method of expressing a three-dimensional pattern on the surface of a ceramic object in which only the uncoated portion is peeled off and the liquid-applied portion is expressed in a three-dimensional pattern. In the above document, the liquid application portion can be colored, but since the blast portion is the base of the original porcelain substrate, a step of providing a colored layer again is required to form a colored layer there. Therefore, in the above technology, the process for diversifying color patterns was complica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도한 다양한 색문양을 쉽게 표현할 수 있고, 문양 표현의 재현성이 뛰어나며, 낮은 비용으로 대량 생산하기에 적합한 도자기 표면에 장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decorating a ceramic surface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at low cost, which can easily express various intended color patterns, has excellent reproducibility of pattern expressions, and is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의도한 다양한 색문양을, 쉽고 재현성이 뛰어나며, 저렴한 비용으로 도자기에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색문양에 입체감을 쉽게 부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표면장식 도자기의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intended color patterns can be easily and reproducible, and can be expressed on ceramics at low cos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mpart a three-dimensional effect to a color patter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of surface-decorated ceramics.

본 발명에서 표면장식 방법은, 식기, 화분, 벽돌, 보도블럭, 기와, 장식용품, 내외장타일, 욕조, 변기, 테라코타 등의 다양한 종류의 도자기류의 표면장식에 적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decoration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surface decoration of various types of ceramics such as tableware, flower pots, bricks, sidewalk blocks, tiles, decorative articles, interior and exterior tiles, bathtubs, toilet bowls, and terracotta.

도 1은 도자기 기물을 절삭하는 장치의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1의 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도자기 기물을 절삭하는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a)는 착색재료층을 설치한 도자기 기물의 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b)는(a)의 착색 재료층을 절삭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c)는(a)의 착색 재료층을 절삭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5는 (a)는 착색재료층을 설치한 도자기 기물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b)는(a)의 착색 재료층을 절삭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c)는(a)의 착색 재료층을 절삭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6은 (a)는 착색재료층을 설치한 도자기 기물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b)는(a)의 착색 재료층을 절삭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c)는(a)의 착색 재료층을 절삭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a)는 착색재료층을 설치한 도자기 기물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b)는(a)의 착색 재료층을 절삭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c)는(a)의 착색 재료층을 절삭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a)는 착색재료층을 설치한 도자기 기물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b)는(a)의 착색 재료층을 절삭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c)는(a)의 착색 재료층을 절삭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9는 (a)는 착색재료층을 설치한 도자기 기물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b)는(a)의 착색 재료층을 절삭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c)는(a)의 착색 재료층을 절삭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은 (a)는 착색재료층을 설치한 도자기 기물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b)는(a)의 착색 재료층을 절삭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c)는(a)의 착색 재료층을 절삭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은 (a)는 착색재료층을 설치한 도자기 기물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b)는(a)의 착색 재료층을 절삭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c)는(a)의 착색 재료층을 절삭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apparatus for cutting porcelain pieces.
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device of Fig. 1;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apparatus for cutting porcelain pieces.
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orcelain base provided with a colored material layer (a). (b)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lored material layer of (a) is cut. (c) is a partially enlarged plan view showing the state obtained by cutting the colored material layer of (a).
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orcelain base provided with a colored material layer (a). (b)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lored material layer of (a) is cut. (c) is a partially enlarged plan view showing the state obtained by cutting the colored material layer of (a).
6 is (a)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eramic base provided with a colored material layer. (b)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lored material layer of (a) is cut. (c) is a partially enlarged plan view showing the state obtained by cutting the colored material layer of (a).
7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orcelain base provided with a colored material layer (a). (b)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lored material layer of (a) is cut. (c) is a partially enlarged plan view showing the state obtained by cutting the colored material layer of (a).
8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eramic base provided with a colored material layer (a). (b)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lored material layer of (a) is cut. (c) is a partially enlarged plan view showing the state obtained by cutting the colored material layer of (a).
9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eramic base provided with a colored material layer (a). (b)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lored material layer of (a) is cut. (c) is a partially enlarged plan view showing the state obtained by cutting the colored material layer of (a).
10 is (a)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eramic substrate provided with a colored material layer. (b)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lored material layer of (a) is cut. (c) is a partially enlarged plan view showing the state obtained by cutting the colored material layer of (a).
11 is (a)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eramic base provided with a colored material layer. (b)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lored material layer of (a) is cut. (c) is a partially enlarged plan view showing the state obtained by cutting the colored material layer of (a).

상기의 목적으로 열심히 연구한 결과, 본 발명자는, 성형한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적어도 1층의 착색 재료층을 설치하고, 상기 착색 재료층의 일부를 절삭하여 노출시킨 면에 색문양을 표출시킴으로써 의도하는 다양한 색문양을, 쉽고, 재현성이 탁월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도자기를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생각하게 되었다.As a result of hard research for the above purposes, the present inventors intend by installing at least one layer of colored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molded ceramics, and cutting a part of the layer of colored material to display a colored pattern on the exposed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by finding out that ceramics can be produced in a variety of color patterns that are easy, reproducible, and inexpensive.

즉, 본 발명의 도자기 표면장식 방법은, 성형한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적어도 1층의 착색 재료층을 설치하고, 상기의 착색 재료층의 일부를 절삭하여, 노출시킨 면에 색문양을 표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색 재료층은 각각 색상이 다른 2층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n the porcelain surface deco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layer of colored material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molded porcelain base, and a part of the colored material layer is cut to display a colored pattern on the exposed surface. It is characteriz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coloring material layer is made into two or more layers each having different colors.

상기 도자기 기물의 색문양을 표출시킬 부위에는, 상기 착색 재료층에 오목한 또는 볼록한 테이퍼(Taper)형상의 절삭 부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orm a concave or convex taper-shaped cutting portion in the colored material layer in the portion where the color pattern of the porcelain object is to be expressed.

상기 도자기 기물은 표면에 볼록 요철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자기 기물의 볼록 요철부를 갖는 부위에서는, 적어도 상기 볼록 요철부의 위 및 그 부근 주위에 상기 착색 재료층을 설치하여, 상기 볼록 요철부, 또는 필요로 하는 색문양이 노출되는 깊이까지 상기 볼록 요철 부위 및 그 부근 주위의 상기 착색 재료층을 절삭하여, 상기 볼록 요철부의 노출면, 및 그 주위에 표출한 착색 재료층에 의해 색문양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orcelain article has a convex and convex portion on the surface. In a portion having a convex and convex portion of the porcelain base, the colored material layer is provided at least above and around the convex and convex portion, so that the convex and convex portion is exposed to a depth at which the convex and convex portion or a required color pattern is exposed. And it is preferable to cut the colored material layer around the periphery to form a color pattern with the exposed surface of the convex uneven portion and the colored material layer exposed around the convex and convex portion.

상기 도자기 기물은 표면에 오목 요철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자기 기물의 오목 요철부를 갖는 부위에서는, 적어도 상기 오목 요철부의 위 및 그 부근 주위에 상기 착색 재료층을 설치하고, 상기 오목 요철부 주위의 도자기 기물에 도달하는 깊이까지, 상기 오목 요철부의 부위 및 그 부근 주위의 상기 착색 재료층을 절삭하여, 상기 오목 요철부 내에 노출된 착색 재료층에 의한 색문양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celain base has a concave and concave-convex portion on the surface. In a portion having a concave and concave-convex portion of the ceramic piece, the colored material layer is provided at least on and around the concave-and-convex portion, and the portion of the concave-and-convex portion to a depth reaching the ceramic piece around the concave and concave-convex portion, and It is preferable to cut the colored material layer around the periphery to form a colored pattern by the colored material layer exposed in the concave and concave-convex portions.

본 발명에 의한 도자기의 표면장식 방법은, (1)도자기 기물을 성형하는 공정, (2)착색 재료층을 형성(形成)하는 공정, (3)착색 재료층을 절삭하는 공정, (4)도자기 기물을 시유하는 공정, 및 (5)소성(燒成)하는 공정을 포함한다.The method for decorating the surface of porcel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1) a step of molding a ceramic material, (2) a step of forming a colored material layer, (3) a step of cutting a colored material layer, and (4) a porcelain. It includes a step of testing a substrate, and a step of (5) firing.

(성형공정)(Molding process)

도자기 기물을 성형하는 재료로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모든 장르의 태토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널리 알려진 토기, 도기, 석기, 자기를 이루는 각각의 태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 들에 장석 또는/및 경석 또는/및 석영(石英) 또는/및 안료를 첨가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자기 기물의 형태로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그 예로 식기, 화분, 벽돌, 보도블록, 기와, 장식용품, 내외장 타일, 욕조, 변기, 테라코타 등을 들 수 있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as a material for molding porcelain objects, and all genres of clay can be used. For example, widely known earthenware, pottery, stoneware, and each of the pottery can be used. To these, feldspar or/and pumice or/and quartz or/and a pigment added thereto can be use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shape of the ceramics,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tableware, flower pots, bricks, sidewalk blocks, tiles, decorative items, interior and exterior tiles, bathtubs, toilet bowls, terracotta, and the like.

도자기 기물을 성형하는 방법으로서는, 만들고 싶은 형태에 따라서, 석고틀(석고형)에 부어 넣는 흙물 주입 성형법 (석고틀 주입 성형법), 압력 주입 성형법, 기계 물레 성형법, 롤러 머신 성형법, 프레스 성형법, 압출 성형법 등 널리 알려진 방법을 들 수 있다. 식기 등 비교적 복잡한 형태의 도자기 기물을 성형하는 경우, 이러한 성형 방법들을 사용하여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형법을 이용하는 경우, 석고형뿐만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금형을 사용해도 좋다.As a method of molding porcelain objects, depending on the shape you want to make, the soil water injection molding method (gypsum mold injection molding method), pressure injection molding method, machine wheel molding method, roller machine molding method, press molding method, extrusion molding method, etc. Well-known methods are mentioned. In the case of forming a ceramic object of a relatively complex shape such as tableware, it is preferable to mold it using these molding methods. When using such a molding method, not only a gypsum type but also a mold may be used as necessary.

표면장식을 위해 도자기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경우, 요철의 조각 모양을 붙인 석고형을 사용하여, 그 문양을 건조 전의 기물에 찍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 석고틀에서 탈형(脫型)한 도자기 기물 표면을 음각(陰刻)또는 양각(陽刻)으로 절삭하거나, 압인(押印, 도장처럼 딱딱한 문양이 새겨진 물체를 건조전 기물에 눌러 문양을 넣음) 과 같은 방법을 써서 요철을 형성해도 좋다. 요철을 형성할 경우 제1의 착색재료층을 설치 후, 또는 제2의 착색재료층을 설치 후에 상기의 방법으로 요철을 형성해도 좋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1,2,3… 착색재료층의 설치 전과 후에 상기방법으로 요철을 설치해도 좋다.In the case of forming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of ceramics for surface decora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plaster shape with the shape of the irregularities attached to it, and to imprint the pattern on the object before drying. If necessary, the surface of the porcelain object that has been demolded from a plaster frame is cut with an intaglio or a relief, or an object with a hard pattern such as a stamp is pressed into the object before drying and the pattern is inserted. You may use the same method to form the irregularities. In the case of forming the unevenness, the unevenness may be formed by the above method after the first coloring material layer is provided or after the second coloring material layer is provided. If necessary, 1, 2, 3... The unevenness may be provided by the above method before and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colored material layer.

도자기 기물 표면을 절삭하여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은 용기형태의 도자기 기물을 절삭하는 장치의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낸 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이 장치는, 도자기 기물1의 밑부분을 양면으로부터 파지(把持)해 주는 그립4a 및 4b, 그리고 도자기기물1의 측면을 절삭하는 수단 5를 갖는다. 그립 4a는 회전할 수 있도록 실린더 40에의해 지지를 받고 있음과 동시에, 벨트 전동 기구 41을 개입시킨 모터 42에 의해 회전구동이 가능하다. 그립 4b는, 그립4a와 함께 모터 42에 의해 회전 구동이 가능해도 되며, 단지 실린더 등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支指)되어 있어도 된다. 도자기 기물1의 파지(把持)수단으로서는, 그립4a 및 4b를 이용하는 것에 한정한다는 취지는 아니며, 예를 들면 도자기기물1의 상하부의 각각을 파지 가능한 회전식 물림쇠(Chuck)를 이용해도 된다.A method of forming irregularities by cutting the surface of a ceramic obj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apparatus for cutting vessel-shaped porcelain objects. 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device shown in Fig. 1; This apparatus has grips 4a and 4b for gripping the lower part of the porcelain article 1 from both sides, and a means 5 for cutting the side surface of the porcelain article 1. Grip 4a is supported by cylinder 40 so that it can rotate,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rotated by motor 42 through belt transmission mechanism 41. The grip 4b may be rotationally driven by a motor 42 together with the grip 4a, or may be supported so that it can be rotated only by a cylinder or the like. The gripping means of the porcelain piece 1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use of grips 4a and 4b, and for example, a rotary chuck capable of gripping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orcelain piece 1 may be used.

절삭 수단 5는, 도자기 기물 1의 중심축에 평행한 제1축 (z축)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제2축 (y축) 방향에 위치해 있는 외통 50에 수용된 직동(直動translatory) 엑츄에이터6a에 장착되어 있고, 직동(直動) 엑츄에이터6a에 연동되어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외통 50은, z축 방향으로 위치해 있는 외통 51에 수용된 직동 엑츄에이터 6b에 장착되어 있으며, 직동 엑츄에이터 6b에 연동되어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외통 51은 z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수직한 제3축 (x축) 방향으로 위치해 있는 외통 52에 수용된 직동 엑츄에이터 6c에 장착되어 있고, 직동 엑츄에이터 6c에 연동되어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절삭 수단 5는 3차원 이동이 가능하다.The cutting means 5 is a linear actuator 6a accommodated in the outer cylinder 50 located in the second axis (y-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z-axis) direction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porcelain object 1. It is mounted, and can be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by interlocking with the direct-acting actuator 6a. The outer cylinder 50 is mounted on a linear actuator 6b accommodated in the outer cylinder 51 located in the z-axis direction, and can move in the z-axis direction by interlocking with the linear actuator 6b. The outer cylinder 51 is mounted on the linear actuator 6c accommodated in the outer cylinder 52 located in the z-axis direction and the third axis (x-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y-axis direction, and can be moved in the x-axis direction by interlocking with the linear actuator 6c. Therefore, the cutting means 5 is capable of three-dimensional movement.

절삭수단 5로서는, 칼날, 루터, 그라인더, 및 롤 그라인더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을 직동엑츄에이터에 부착해, 기물의 불규칙한 곡면(예:달걀형,타원적인 형태의 기물)에따라 절삭 가능하도록 z,y축 또는 x축의 전진,후퇴와 같은 유연성을 부여 할 수있다. 직동엑츄에이터 6a,6b,6c로서는, 유압 실린더, 공기 실린더 등을 들 수 있다. 유압 실린더 또는 공기 실린더를 이용하는 경우, 이것을 모터로 구동 시킬 수 있다.Examples of the cutting means 5 include a blade, a router, a grinder, and a roll grinder. By attaching these to the linear actuator, it is possible to provide flexibility such as advance and retreat of the z, y or x axis so that it can be cut according to the irregular curved surface of the equipment (eg, egg-shaped, oval-shaped object). Examples of the direct actuators 6a, 6b, and 6c include hydraulic cylinders and air cylinders. When using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it can be driven by a motor.

x,y,z 각 방향의 직동 구동 기구는 직동엑츄에이터6a,6b,6c를 이용하는 기구에 한정한다는 취지가 아니며, 그 외에 예를 들어 랙(rack)과 톱니바퀴로 구성된 기구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직동엑츄에이터6a,6b,6c를 이용하는 기구 대신에, 절삭 수단 5를 로보트 팔에 의해 동작시켜도 된다.The direct drive mechanisms in each of the x, y and z directions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ose using the direct actuators 6a, 6b, and 6c, and in addition, for example, a mechanism composed of a rack and a cogwheel may be used. Further, instead of the mechanism using the direct actuators 6a, 6b, and 6c, the cutting means 5 may be operated by a robot arm.

직동엑츄에이터6a,6b,6c를 구동하는 모터 및 그립4a를 회전구동하는 모터 42는, 미리 기억시킨 프로그램에 따라서 신호처리를 행하는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보트 팔을 이용하는 경우, 미리 기억시킨 프로그램에 따라서 신호처리를 행하는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서술한 구성 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도자기 기물 1에 대한 절삭 수단 5의 위치나 절삭 깊이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곳의 요철 형상을 정교하면서도 단시간에 형성할 수 있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otors that drive the direct actuators 6a, 6b and 6c and the motor 42 that drives the grip 4a rotationally are controlled by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that performs signal processing according to a program stored in advance. In the case of using the robot arm, it is preferable to control it by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that performs signal processing according to a program stored in advance. By us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device, since the position and the cutting depth of the cutting means 5 with respect to the porcelain object 1 can be freely controlled, it is possible to form the uneven shape at a desired location in a short time while elaborating.

도3은 접시 형태의 도자기 기물을 절삭하는 장치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3에 있어서 도1에서 나타낸 예와 같은 부재 또는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 번호를 붙였다. 도3의 예로서는, 도자기 기물 1을 파지하는 수단으로서 흡인 구멍 70을 갖는 받침대 7을 이용하고 있다. 받침대 7은 스핀들 유닛 71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支指)되어 있음과 동시에, 벨트전동 기구 41을 개입시킨 모터 42에 의해 회전 구동할 수 있다. 도자기 기물1을 그 뒷면이 받침대7에 바로 접할 수 있도록 올려놓고, 진공 펌프 72의 동작에 의해서 받침대 7에 흡착시킨다. 받침대 7은 실리콘 고무 등으로 만들어진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삭 수단 5의 종류, 절삭 수단 5의 3차원 이동 제어 및 모터 42의 제어에 대해서는 상기와 동일한 것이 좋다. 접시 형태의 도자기 기물 1의 뒷면을 절삭하는 경우, 접시 형태의 도자기 기물1의 윗면에 접하는 형태의 받침대 7을 사용하면 좋다.3 shows an example of an apparatus for cutting a plate-shaped ceramic object. In Fig. 3,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members or parts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In the example of Fig. 3, a pedestal 7 having a suction hole 70 is used as a means for holding the porcelain object 1. The pedestal 7 is supported so that it can be rotated by the spindle unit 71, and can be driven to rotate by a motor 42 through which the belt transmission mechanism 41 is interposed. The porcelain object 1 is placed so that its back side can directly contact the pedestal 7, and it is adsorbed to the pedestal 7 by the operation of the vacuum pump 72. It is preferable to use the pedestal 7 made of silicone rubber or the like. The types of the cutting means 5,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control of the cutting means 5, and the control of the motor 42 are preferably the same as described above. When cutting the back side of a plate-shaped porcelain piece 1, it is good to use a pedestal 7 that is in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plate-shaped porcelain piece 1.

(착색 재료층 형성 공정 및 절삭 공정)(Coloring material layer formation process and cutting process)

이하 착색 재료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착색 재료층을 절삭하는 공정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4 및 도5는, 도자기 기물의 평활면에 착색 재료층을 설치하고, 그 일부를 절삭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4에 나타낸 예에서는, 도자기 기물 1의 표면에 각각 색상이 다른 제1의 층 20 및 제2의 층 21의 두층으로 된 착색 재료층 2를 설치하고 있다. 착색 재료 2로서는, 하회재료(일반적인 장식기법으로 하회재료로 기표면에 그림을 그림. 조선시대 백자는 초벌구이한 기표면에 청색이나 갈색, 붉은색으로 그림을 그리고 투명유를 시유하여 구워낸 것임), 안료, 점토, 유약, 색화장토 등을 들 수 있다. 안료로서는 도자기의 채색에 사용되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안료를 사용 할 수 있으며, 그 예로서 서양의 안료 및, 동양의 안료 등을 들 수 있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forming the colored material layer and the process of cutting the colored material lay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4 and 5 show an example in which a colored material layer is provided on a smooth surface of a porcelain base and a part of the layer is cut.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a colored material layer 2 comprising two layers of a first layer 20 and a second layer 21 having different colors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orcelain base 1, respectively. As for the coloring material 2, the bottom material (a general decoration technique is used to paint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with the bottom material. White porcelain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baked by painting in blue, brown, or red on the surface of an unglazed substrate and using transparent oil), pigments, clay, glaze, and colored makeup. As the pigment, generally known pigments used for coloring porcelain can be us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Western pigments and Eastern pigments.

안료의 도포수단으로서는, 에어 브러시법, 침지법, 스핀 코트법 등을 들 수 있지만, 에어 브러시법이 바람직하다. 에어브러시법에서는, 안료를 효율적으로 도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막 두께 제어도 쉽다. 예를들면 도자기 기물의 측면이나 윗면 전체에 도포할 경우, 도자기 기물을 회전할 수 있는 받침대에 올려놓고, 모터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 시키면서 에어브러시로 균일하게 도포한다. 에어 브러시는 이동이 불가능해도 되나,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 브러시가 이동 가능한 경우, 상기 절삭 수단의 3차원 이동 제어기구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면 좋으며, 에어 브러시의 이용을 제어하는 모터와 도자기 기물을 회전시키는 모터 등을 미리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신호 처리를 행하는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means for applying the pigment include an airbrush method, an immersion method, a spin coating method, and the like, but an airbrush method is preferable. In the airbrush method, not only can the pigment be efficiently applied, but also the film thickness can be easily controlled. For example, when applying to the entire side or top of a porcelain article, place the porcelain article on a rotating base, rotate it by a driving means such as a motor, and apply it evenly with an airbrush. The airbrush may be immovable, bu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ovable. When the airbrush is movable, a mechanism such as a three-dimensional movement control mechanism of the cutting means may be used, and a motor that controls the use of the airbrush and a motor that rotates porcelain objects are processed according to a program stored in advanc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by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to perform.

착색재료2로서 점토 또는 색화장토를 사용하는 경우, 점토 또는 색화장토를 물 등의 용매로 희석한 페이스트(paste)상의 물질로 해서, 도자기의 형상에 따라 침지법, 시핀코트법 등의 방법에 의해 표면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재료층 2는 반드시 도자기의 모든 면에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색문양을 형성하고 싶은 부위에 한정해서 설치하면 된다. 또한 착색 재료층 2는 적어도 1층을 설치하면 되며, 희망하는 곳의 색문양에 따라서 몇 층을 설치해도 좋다.In the case of using clay or colored makeup as the coloring material 2, use a paste-like material diluted with a solvent such as water, and use a method such as dipping method or sipin coat metho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eramic. It is preferable to apply it to the surface. The colored material layer 2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installed on all sides of the ceramic, but can be installed only in the area where you want to form a colored pattern. In addition, at least one layer of the colored material layer 2 may be provided, and several layers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desired color pattern.

착색재료층 2를 구성하는 제1의 층 20 및 제2의 층 21의 각각의 두께는, 원하는 색문양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좋지만, 통상 0.01~3mm로 한다(이하 동일) 각 착색 재료층 20, 21의 색상은, 원하는 곳의 색문양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좋다.The thickness of each of the first layer 20 and the second layer 21 constituting the colored material layer 2 may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desired color pattern, but is usually 0.01 to 3 mm (the same hereinafter). Each colored material layer 20 The color of, 21 can be se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desired color pattern.

착색재료층 2를 설치한 도자기는, 착색 재료층 2의 절삭이 가능한 상태가 될 때 까지 건조시킨다. 건조는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한 환경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자기 기물 1의 강도가 다음 단계의 절삭에 견딜 수 있을 정도로 높지 않은 경우, 착색 재료층 2를 설치한 도자기를 임시로 굽거나 초벌구이를 해도 좋다. 임시로 굽거나 초벌구이를 할 때는, 착색 재료층 2를 설치한 도자기를 가마에 넣고, 약500~1000℃의 온도가 될 때까지 가열하면 좋다. 반드시 전체를 임시로 구울 필요는 없으며, 절삭 때에 파지 수단과 접촉하는 부분만을 임시로 구워도 좋다. 부분적으로 임시로 굽는 방법으로서는, 온도 분포를 조절할 수 있는 전기로 속에서 도자기 기물 1을 가열하는 방법, 도자기 기물1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부분적인 열풍을 불어넣는 방법 등이 있다.The ceramics provided with the colored material layer 2 is dried until the colored material layer 2 can be cut. It is preferable to perform drying in an environment in which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kept constant. If the strength of the porcelain piece 1 is not high enough to withstand the next step of cutting, the porcelain with the colored material layer 2 may be temporarily baked or unglazed. When temporarily baking or unglazed, it is good to put the pottery with the colored material layer 2 in a kiln and heat it until it reaches a temperature of about 500 to 1000°C. It is not always necessary to temporarily bake the whole, and only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holding means may be bake temporarily during cutting. As a partially temporary baking method, there are a method of heating the porcelain piece 1 in an electric furnace that can control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a method of blowing a partial hot air to the extent that the porcelain piece 1 is not deformed.

도4에 나타낸 예에서는, 도4(a)에 나타낸 착색 재료층 2를 건조후, 제1층 20에 도달하는 깊이까지 유발(earthenware, 약을 빻거나 가는 데 쓰이는 보시기 모양의 그릇) 형상으로 절삭하여, 도4(b) 및 (c)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노출면 3에 제1층 20에 의한 둥근 모양의 색문양을 형성하고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after drying the colored material layer 2 shown in Fig. 4(a), cutting it into an earthenware (earthenware) shape to a depth reaching the first layer 20. Thus, as shown in Figs. 4(b) and (c), a rounded color pattern by the first layer 20 is formed on the exposed surface 3.

착색 재료층 2를 절삭할 때에 사용하는 각 수단 (도자기 파지 수단, 절삭 수단, 절삭 수단의 3차원 이동 수단 및 도자기를 회전 시키는 수단) 및 그것들의 제어는, 상기의 도자기 기물을 절삭하여 요철을 설치하는 경우와 같게 하여도 좋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단, 도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유발 형상의 절삭부를 형성하는 경우, 절삭 수단으로서는 루터(router)가 바람직하다. 유발 형상의 절삭부를 형성하는 경우, 절삭할 부분만이 노출될 수 있도록 마스킹을 한 다음, 모래분사 (Sand blast)법을 이용해도 좋다.Each means used when cutting the colored material layer 2 (porcelain gripping means, cutting means, three-dimensional moving means of the cutting means, and means for rotating ceramics) and their control are to cut the above-described ceramic pieces to install irregularities. Since it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case, the description is omitted. However, as shown in Fig. 4, in the case of forming the cutting portion of the induction shape, a router is preferable as the cutting means. In the case of forming a cutting portion of a mortar shape, masking may be performed so that only the portion to be cut can be exposed, and then a sand blast method may be used.

도5는 도자기 기물 1의 표면에 각각 색상이 다른 제1의 층20, 제2의 층 21 및 제3의 층 22의 3층으로 이루어진 착색재료층 2를 설치하고, 그 일부를 절삭한 예를 나타낸다. 3층의 착색 재료층 20∼22를 설치한 경우, 제1의 층 20에 도달하는 깊이까지 유발 형상으로 절삭하면, 도5(b) 및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노출면 3에 제1의 층 20 및 제2의 층 21로 이루어진 두겹으로 된 둥근모양의 색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5 shows an example in which a colored material layer 2 consisting of three layers of the first layer 20, the second layer 21, and the third layer 22, each having different colors,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a porcelain base 1, and a part thereof is cut. Show. When three layers of colored material layers 20 to 22 are provided, cutting into a mortar shape to a depth reaching the first layer 20, the first layer is exposed to the exposed surface 3 as shown in Figs. 5(b) and (c). It is possible to form a colored pattern in a double-layered round shape consisting of layer 20 of the second layer and layer 21 of the second layer.

더구나 도5에 나타낸 것과 같은 3층으로 이루어진 착색재료층 2를 설치한 경우, 제 2의 층 21에 도달하는 깊이까지 절삭하는 부위와, 제1의 층 20에 도달하는 깊이까지 절삭하는 부위를 설치하면, 다양한 종류의 색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installing the colored material layer 2 consisting of three layers as shown in Fig. 5, a portion to be cut to a depth reaching the second layer 21 and a portion to be cut to a depth reaching the first layer 20 are installed. When done, it is possible to form various kinds of color patterns.

도4 및 도5에 나타낸 것과 같은 평활면에 설치한 착색 재료층 2를 절삭하는 경우, 색문양을 표출시키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테이퍼(Taper)면을 형성시키면 좋으며, 절삭부의 형상이나 착색재료층 2에 대한 절삭각을 적절하게 변경시키면, 노출면 3에 나타나는 색문양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자기 소지에 달하는 깊이까지 절삭해도 좋으며 이에 의해 도자기 소지의 색상을 포함한 색채 구성이 가능해진다. 절삭부는 테이퍼면을 갖고 있는 한 형상에 한정은 없고, 유발 형상이외에 원추 형상, 각추 형상, 반구 형상 등의 기하학적 형상; 문자를 본뜬 홈; 불규칙한 형상의 홈; 구체적인 사물 (예를 들어 화초, 동물, 나뭇결 등)을 본뜬 홈 등을 들 수 있다.When cutting the colored material layer 2 provided on the smooth surface as shown in Figs. 4 and 5, in order to express the color pattern, it is good to form a tapered surface as described above, and the shape of the cut part or the colored material layer By appropriately changing the cutting angle for 2, the color pattern that appears on the exposed surface 3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ut to a depth that reaches the porcelain material, thereby enabling color composition including the color of the porcelain material. The cutting portion is not limited to a shape as long as it has a tapered surface, and geometric shapes such as a conical shape, a pyramid shape, and a hemispherical shape other than the induction shape; Grooves imitating letters; Irregularly shaped grooves; A groove that emulates a specific object (for example, flowers, animals, grain of wood, etc.) can be mentioned.

도6 ∼도8은 도자기 기물의 원주(圓柱) 형상의 볼록 요철부를 설치한 면에 착색재료층을 설치하여, 절삭한 예를 나타낸다.6 to 8 show examples in which a colored material layer is provided and cut on a surface of a porcelain base on which a cylindrical convex and convex portion is provided.

도6에 나타낸 예에서는, 볼록 요철부 10의 높이보다 얇은 제1의 층 20을 설치하고, 그 위에 제2의 층 21을 설치하고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the first layer 20, which is thinner than the height of the convex and convex portions 10, is provided, and the second layer 21 is provided thereon.

도 6(b) 및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볼록 요철부 10의 부위 및 그 근방을, 볼록 요철부 10의 상단에 달하는 깊이까지 도자기면에 따라 같은 모양으로 절삭하면, 노출된 면 3에 볼록 요철부 10의 노출면 및 제1의 층 20에 의한 이중원(二重圓)의 색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도자기면에 따라서 같은 모양으로 절삭하는 것은, 절삭 수단으로서 칼날 또는 롤 그라인더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모래분사(Sand blast)법을 이용해도 좋다.6(b) and (c), when the portion of the convex and convex portion 10 and the vicinity thereof are cut in the same shape along the ceramic surface to a depth reaching the upper end of the convex and convex portion 10, the exposed surface 3 is The color pattern of the double circle can be formed by the exposed surface of the convex and convex portion 10 and the first layer 20. For cutting in the same shape along the ceramic surface, it is preferable to use a knife blade or a roll grinder as a cutting means, but a sand blast method may be used if necessary.

도7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1의 층 20 및 제2의 층 21을, 그것들의 합계 두께가 볼록 요철 10의 높이보다 작도록 설치하고, 그 위에 제3의 층 22를 설치하고 있다. 도7(b) 및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볼록 요철부 10 및 그 근방을, 도자기 기물의 볼록 요철부 10 상단에 달하는 깊이까지 도자기면에 따라서 같은 모양으로 절삭하면, 노출된 면 3에 볼록 요철부 10의 노출면, 제1의 층 20 및 제 2의 층 21에 의한 3중원(三重圓)의 색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the first layer 20 and the second layer 21 are provided so that their total thickness i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convex and convex convexities 10, and a third layer 22 is provided thereon. As shown in Figs. 7(b) and (c), when the convex and convex portions 10 and the vicinity thereof are cut into the same shape along the ceramic surface to a depth reaching the upper end of the convex and convex portions 10 of the ceramic piece, the exposed surface 3 is The exposed surface of the convex and convex portions 10, the first layer 20 and the second layer 21 can form a triple-circle color pattern.

도8에 나타낸 예에서는, 착색 재료층 20∼22를, 그것들의 합계 두께가 볼록 요철부 10의 높이보다 작게 되도록 설치하고 있다. 도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볼록 요철부 10 및 그 근방을 도자기 기물의 볼록 요철부 10 상단에 달하는 깊이까지 도자기면에 따라서 같은 모양으로 절삭하면, 노출된 면 3에 볼록 요철부 10의 노출면, 제1층의 20 및 제 2의 층 21에 의한 3중원의 색문양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3중원 문양을 그 주위보다 도드라지게 할 수 있어, 입체적인 효과도 얻어진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the colored material layers 20 to 22 are provided so that their total thickness i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convex and convex portions 10. As shown in Fig. 8, when the convex and convex portions 10 and the vicinity thereof are cut in the same shape along the porcelain surface to a depth reaching the upper end of the convex and convex portions 10 of the ceramic piece, the exposed surface of the convex and convex portions 10 on the exposed surface 3, The color pattern of the triple circle by 20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21 can be formed, and the triple circle pattern can be made more prominent than its surroundings, so that a three-dimensional effect is also obtained.

도7 및 도8에 나타낸 3층의 착색 재료층 20, 21, 22를 갖는 도자기는, 볼록 요철부 10을 복수 갖고 있더라도, 반드시 모든 볼록 요철부 10에 대해서 상단에 달하는 깊이까지 절삭할 필요는 없으며, 제1의 층 20이나 제2의 층 21까지 절삭할 부위를 설치해도 좋으며, 이것에 의해 다양한 색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Ceramics having three layers of colored material layers 20, 21, and 22 shown in Figs. 7 and 8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cut to a depth reaching the upper end for all the convex and convex portions 10 even if they have a plurality of convex and convex portions 10. , A portion to be cut up to the first layer 20 or the second layer 21 may be provided, and various color patterns can be formed by this.

이상과 같이, 미리 도자기 기물에 볼록 요철부를 설치해 두면, 착색 재료층 2를 형성한 후, 볼록 요철부 10의 부위 및 그 근방을 소정의 깊이까지 도자기 기물의 면에 따라서 같은 모양으로 절삭하는 것만으로 색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볼록 요철부 10의 형상 및 착색 채료층 2에 대한 절삭각을 적절하게 변경하면, 드러나는 색문양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볼록 요철부 10의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원주 형상 이외에 각주 형상 등의 기하학적 형상 ; 문자를 본뜬 형상 ; 불규칙한 형상 ; 구체적인 사물 (예를 들어 화초, 동물, 나뭇결 등)을 본뜬 형상 등을 들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f the convex and convex portions are provided on the porcelain piece in advance, after forming the colored material layer 2, only the portions of the convex and convex portions 10 and the vicinity thereof are cut into the same shape along the surface of the porcelain piece to a predetermined depth. Color patterns can be formed. By appropriately changing the shape of the convex and convex portion 10 and the cutting angle for the colored color layer 2, the color pattern to be exposed can be variously change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shape of the convex and convex portion 10, and geometric shapes such as prismatic shapes other than the cylindrical shape; A shape imitating a character; Irregular shape; A shape that emulates a specific object (for example, flowers, animals, grain of wood, etc.) can be mentioned.

도9∼도11은, 도자기 기물의 원주상의 오목 요철부를 설치한 면에 착색 재료층을 설치하여, 절삭한 예를 나타낸다. 도9에 나타낸 예에서는, 오목 요철부 11의 깊이보다 두꺼운 착색 재료층 2를 설치하고 있다. 도9(b) 및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오목 요철부 11의 부위 및 그 근방을, 도자기 소지에 달하는 깊이까지, 도자기 기물의 면에 따라서 같은 모양으로 절삭하면, 오목 요철부 11 내에 충전한 착색 재료층 2에 의한 원형의 색문양을 노출면 3에 형성할 수 있다.9 to 11 show examples in which a colored material layer is provided and cut on the surface of the porcelain base on which the circumferential concave and concave portions are provide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9, a colored material layer 2 thicker than the depth of the concave and concave portions 11 is provided. As shown in Figs. 9(b) and (c), when the concave and concave and convex portions 11 are cut into the same shape along the surface of the porcelain to the depth reaching the porcelain base,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11 are filled. A circular colored pattern by one layer of colored material 2 can be formed on the exposed surface 3.

도10에 나타낸 예에서는, 오목 요철부 11의 깊이보다 얇은 제1의 층 20을 설치하여, 그 위에 제2의 층 21을 설치하고 있다. 도10(b) 및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오목 요철부 11의 부위 및 그 근방을, 도자기 소지에 달하는 깊이까지, 도자기 기물의 면에 따라서 같은 모양으로 절삭하면, 오목 요철부 11의 속에 충전한 착색 재료층 20, 21에 의한 2중원(二重圓)의 색문양을 노출면 3에 형성할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0, a first layer 20 that is thinner than the depth of the concave and concave portions 11 is provided, and a second layer 21 is provided thereon. As shown in Figs. 10(b) and (c), when the portion of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11 and its vicinity are cut into the same shape along the surface of the porcelain piece to the depth reaching the porcelain base, the inside of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11 The colored pattern of the double circle by the filled colored material layers 20 and 21 can be formed on the exposed surface 3.

도11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1의 층 20 및 제2의 층 21을, 그것들의 합계 두께가 오목 요철 11의 깊이보다 작게되도록 설치하여, 그 위에 제3의 층 22를 설치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오목 요철부 11의 부위 및 그 근방을, 도자기 소지에 달하는 깊이까지 도자기 기물면에 따라서 같은 모양으로 절삭하면, 오목 요철부 11내에 충전한 착색재료층 20∼22에 의한 3중원의 색문양을 노출면 3에 형성할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1, the first layer 20 and the second layer 21 are provided so that their total thickness is smaller than the depth of the concave and concave and concave and concave and concave and concave and convex 11, and a third layer 22 is provided thereon. As shown in Fig. 11, when the portions of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11 and the vicinity thereof are cut in the same shape along the porcelain substrate surface to a depth that reaches the porcelain base, the colored material layers 20 to 22 filled in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11 The color pattern of the triple circle can be formed on the exposed surface 3.

도11에 나타낸 3층의 착색 재료층 20, 21, 22를 갖는 도자기는, 오목 요철부 11을 복수 갖고 있어도, 반드시 모든 오목 요철부 11에 대해서 그 주위의 도자기 소지에 달하는 깊이까지 절삭할 필요는 없으며, 제1의 착색재료층 20이나 제2의 착색재료층 21에 달하는 깊이까지 절삭할 부위를 설치해도 좋으며, 이것들에 의해 다양한 색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Even if ceramics having three layers of colored material layers 20, 21, and 22 shown in Fig. 11 have a plurality of concave and concave portions 11, it is not necessary to cut all concave and convex portions 11 to a depth that reaches the surrounding porcelain base. In addition, a portion to be cut may be provided to a depth reaching the first color material layer 20 or the second color material layer 21, and various color patterns can be formed by these.

이상과 같이, 미리 도자기 기물에 오목 요철부 11을 설치해 두면, 착색 재료층 2를 형성한 후, 오목 요철부 11의 부위 및 그 근방을 소정의 깊이까지, 도자기기물면에 따라서 같은 모양으로 절삭하는 것 만으로, 색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오목 요철부 11의 형상이나 착색 재료층 2에 대한 절삭각을 적절하게 변경하면, 나타나는 색문양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오목 요철부 11의 형상에 한정은 없으며, 원주 형상 이외에 원추(圓錐) 형상, 각주(角柱) 형상, 각추(角錐) 형상, 반구(半球) 형상, 유발 형상 등의 기하학적 형상 ; 문자를 본뜬 홈 ; 불규칙한 형상의 홈 ; 구체적인 사물 (예를 들어 화초, 동물, 나뭇결 문양 등)을 본뜬 홈 등을 들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f the concave and concave portions 11 are previously provided on the porcelain piece, after forming the colored material layer 2, the portion of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 11 and the vicinity thereof are cut into the same shape along the surface of the ceramic piece to a predetermined depth. With just that, you can form a color pattern. By appropriately changing the shape of the concave and concave-convex portions 11 or the cutting angle for the colored material layer 2, the color pattern to be displayed can be variously changed. The shape of the concave and concave and convex portions 11 is not limited, and in addition to the cylindrical shape, geometric shapes such as a cone shape, a prism shape, a pyramid shape, a hemispherical shape, and a protrusion shape; Grooves imitating letters; Irregular shaped grooves; Examples include grooves that mimic specific objects (for example, flowers, animals, wood grain patterns, etc.).

또한 상기의 평활 부위에 있어서 형성하는 색문양, 볼록 요철부 10의 부위에 대해서 형성하는 색문양, 및 오목 요철부 11의 부위에 있어서 형성하는 색문양을 각각 짜맞추면, 도자기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color patterns formed in the above smooth portions, the colored patterns formed in the convex and convex portions 10, and the colored patterns formed in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11 are combined together, various patterns can be formed on the ceramics. I can.

또한 착색 재료층 2의 절삭은 재벌구이 또는 2차소성의 이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한다는 취지는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재벌구이의 이후에 행하여도 좋다.The cutting of the colored material layer 2 is preferably performed prior to chaebol roasting or secondary firing, but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hereto, and may be performed after chaebol roasting as necessary.

(소성)(Firing)

상기와 같이 도자기 기물에 색문양을 형성시킨 후, 재벌구이 또는 2차소성을 한다. 재벌구이 또는 2차소성은 약1,000~1,400℃의 온도에서 6~25시간 정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벌구이 또는 2차소성의 전에 유약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한다는 취지는 아니다. 유약은 침지법, 스프레이법 등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좋다.After forming a colored pattern on the ceramics as described above, chaebol-roasting or secondary firing is performed. It is preferable to roast the chaebol or secondary firing at a temperature of about 1,000 to 1,400°C for 6 to 25 hours. Although it is preferable to apply the glaze before the chaebol roasting or the secondary firing,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t is better to apply the glaze by dipping or spraying.

1: 도자기 기물
  10: 볼록 요철부
  11: 오목 요철부
2: 착색 재료층
  20: 제1의 착색 재료층
  21: 제2의 착색 재료층
  22: 제3의 착색 재료층
3: 노출면
4a,4b: 그립
40: 실린더
41: 벨트 전동 기구
42: 모터
5: 절삭 수단
 50,51,52: 외통
6a,6b,6c: 직동(直動) 엑츄에이터
7: 받침대
 70: 흡인 구멍
 71: 스핀들 유닛
 72: 진공 펌프
1: Pottery
10: convex irregularities
11: Concave and convex part
2: layer of coloring material
20: first coloring material layer
21: second coloring material layer
22: third coloring material layer
3: exposed surface
4a, 4b: grip
40: cylinder
41: belt transmission mechanism
42: motor
5: cutting means
50,51,52: external cylinder
6a, 6b, 6c: direct acting actuator
7: pedestal
70: suction hole
71: spindle unit
72: vacuum pump

Claims (5)

성형한 도자기 기물(1)의 표면에 적어도 1층의 착색 재료층(2)을 설치하여, 상기 착색 재료층(2)의 일부를 절삭하여 노출시킨 면에 색문양을 표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의 표면장식 방법.Porcelain,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layer of colored material (2)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molded porcelain base (1), and a part of the colored material layer (2) is cut to reveal a colored pattern on the exposed surface. How to decorate the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도자기 기물(1)은 표면에 평활한 부위를 가지며, 상기의 평활한 부위에 착색 재료층(2)을 설치하여, 상기 착색 재료층에 테이퍼(Taper) 형상의 절삭 부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의 표면장식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rcelain base (1) has a smooth portion on the surface, and a colored material layer (2) is provided on the smooth portion, and the colored material layer is cut in a taper shape. Porcelain surface decor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a part.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도자기 기물(1)은 표면에 볼록한 요철부(10)가 있으며, 적어도 상기의 볼록 요철부(10)의 위 및 그 부근 주위에 상기의 착색재료층(2)을 설치하고, 상기 볼록 요철부(10)가 노출되는 깊이까지, 상기 볼록 요철부(10) 부위 및 그 부근 주위의 상기 착색 재료층(2)을 절삭하여, 상기 볼록 요철부(10)의 노출면 및 그 주위에 표출된 착색 재료층(2)에 의해 색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의 표면장식 방법.The colored material lay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orcelain base (1) has a convex convex portion (10) on its surface, and at least on and around the convex convex portion (10). (2) is provided, and the colored material layer 2 around the convex convex and convex part 10 is cut to the depth at which the convex convex and convex part 10 is exposed, and the convex convex and convex part 10 A method for decorating a surface of ceramics, characterized in that a colored pattern is formed by the exposed surface of) and the colored material layer (2) exposed around it.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 기물은 표면에 오목한 요철부(11)가 있으며, 적어도 상기 오목 요철부(11)의 위및 그 부근 주위에 상기 착색 재료층(2)을 설치하여, 상기 오목 요철부(11) 주위의 도자기 기물에 도달하는 깊이까지 상기 오목 요철부(11) 부위 및 그 부근 주위의 상기 착색 재료층(2)을 절삭하여, 상기 오목 요철부(11) 내에 노출시킨 착색재료층(2)에 의해 색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의 표면장식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orcelain piece has a concave and concave portion (11) on its surface, and the colored material layer (2) is provided at least on and around the concave and concave portion (11). , By cutting the concave concave-convex part 11 and the colored material layer 2 around the concave concave-convex part 11 to a depth reaching the porcelain object around the concave concave-convex part 11, and exposed in the concave concave-convex part 11 A method for decorating a surface of ceramics, characterized in that a colored pattern is formed by the colored material layer (2).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재료층(2)은 각각 색상 또는 명도가 다른 2층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의 표면장식 방법.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loring material layer (2) is made up of two or more layers of different colors or brightness, respectively.
KR1020190140794A 2019-11-06 2019-11-06 Decoration Methods of Ceramics Surface KR2021005512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794A KR20210055124A (en) 2019-11-06 2019-11-06 Decoration Methods of Ceramics Su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794A KR20210055124A (en) 2019-11-06 2019-11-06 Decoration Methods of Ceramics Surf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124A true KR20210055124A (en) 2021-05-17

Family

ID=76158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794A KR20210055124A (en) 2019-11-06 2019-11-06 Decoration Methods of Ceramics Su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512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32086A1 (en) Decoration Method of Ceramics
CN104987041A (en) Processing technology for ceramic craft
EP3498490B1 (en) A method for decorating ceramic tiles
JP4640543B2 (en) How to decorate ceramics
KR100726198B1 (en) Decoration methods of ceramics
KR20210055124A (en) Decoration Methods of Ceramics Surface
US5928728A (en) Method for glazing ceramics
US4956200A (en) Texturing a mold surface
CN111745806B (en) Ceramic product dry particle distribution process
KR100508854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ceramic
KR20020092500A (en) Steric attachment method of pottery
KR20130058240A (en) A ceramic manufacture method and ceramic
JP3169581B2 (en) A method of decorating thick glazing by transferring thick glaze of ceramics, and a thick glazing transfer paper for decorating thick glazing by firing at a temperature of 1000 ° C. to 1200 ° C. or higher.
KR101500989B1 (en) Process for preparing pottery decorated with pearl mark and pottery using the same
RU2781239C2 (en) Facing element, method for decoration of facing element, and device for decoration of facing element
JPH0532470A (en) Production of glazed ceramic article having colored pattern
JP2001233663A (en) Ceramic war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H02269006A (en) Decorating method of pottery basis material body
JPH02283680A (en) Production of decorative ceramic ware
JP265136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eramic tile having blur pattern
KR100382572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muralpainting ceramic art tile
JPH03271177A (en) Decorated pottery and preparation thereof
KR100227817B1 (en) Method for preparing ceramic ware
KR100799754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sculpture tile
JP642597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eramic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