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958A - DH beam and assembly process thereof - Google Patents

DH beam and assembly proces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958A
KR20210054958A KR1020200013060A KR20200013060A KR20210054958A KR 20210054958 A KR20210054958 A KR 20210054958A KR 1020200013060 A KR1020200013060 A KR 1020200013060A KR 20200013060 A KR20200013060 A KR 20200013060A KR 20210054958 A KR20210054958 A KR 20210054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nection
extension
length
extens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0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60114B1 (en
Inventor
신희경
Original Assignee
신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희경 filed Critical 신희경
Publication of KR20210054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9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1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H mold and an assembly process of the same. More specifically, each of a lower plate and both side plates are divided to be manufactured, and the plates are assembled to each other by spot welding during construction of a structure such as a beam or a column.

Description

무해체 거푸집 및 이의 조립공정{DH beam and assembly process thereof}Incombustible formwork and assembly process thereof {DH beam and assembly process thereof}

제안기술은 무해체 거푸집 및 이의 조립공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판 및 양측판 각각이 다분할되어 제작되며, 보 또는 기둥 등의 구조물 시공 시 스팟 용접(Spot Welding)에 의해 서로 조립되는 무해체 거푸집 및 이의 조립공정에 관한 발명이다.The proposed technology relates to a non-destructive formwork and its assembly process, and in more detail, each of the lower plate and both side plates is manufactured by being divided into multiple parts, and when constructing structures such as beams or columns, they are assembled to each other by spot welding. It is an invention related to the dismantling form and its assembly process.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형성 공법은 거푸집 조립 공정 및 거푸집 사이에 구성한 공간부 내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콘크리트 타설 공정을 행하며, 소정의 양생 기간을 거친 후에 거푸집 패널을 해체하는 공정을 거쳐 기둥, 보, 벽 또는 바닥 등의 콘크리트 골조를 형성한다.In general, the formation method of concrete buildings is a formwork assembly process and a concrete pouring process in which concrete is fill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orms, and after a predetermined curing period, the formwork panel is dismantled, and then columns, beams, and walls. Or, to form a concrete frame such as a floor.

하지만 종래의 공법에서는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을 제거하고 골조면의 흠을 제거하는 작업을 부가적으로 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when the curing of the poured concrete is completed,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additionally performing a work of removing the formwork and removing the flaws on the frame surfac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무해체 구조의 거푸집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echnologies related to a form of a non-destructive structure that do not require disassembl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have been developed.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무해체 구조의 거푸집이 도시되어 있다.1 and 2 show a formwork of a conventional non-destructive structure.

종래의 무해체 구조의 거푸집에서 하부판과 양측판의 결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판의 받침부 상면과 하부판의 하면, 일측판의 내측면과 하부판의 측판 외측면이 서로 맞물려 밀착 결합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판의 하단부가 하부판의 측판과 동일한 형상으로 절곡되어 서로 맞물려 밀착 결합되는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non-decomposable formwork, the lower plate and the both side plates are coupled together as shown in FIG.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2,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end of one side plate is bent in the same shape as the side plate of the lower plate is engaged with each other to be closely coupled is applied.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경우, 결합부의 형상으로 인해 철근량의 소비가 많으며, 결합부 중 어느 한 쪽의 불량 제조 시 결합이 견고하지 않아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structure, a large amount of reinforcing bars is consumed due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part, and there is a problem of structural instability because the coupling is not solid when manufacturing a defective one of the coupling parts.

또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부판과 양측판의 결합면을 서로 용접하는 경우, 하부판과 일측판의 결합 시 두 면 이상의 접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when the bonding surfaces of the lower plate and the both side plates are welded to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that productivity is lowered due to the need for contact between two or more surfaces when the lower plate and one side plate are combined. .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9122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912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거푸집의 하부유닛과 상기 하부유닛의 양측에 결합되는 제1유닛과 제2유닛 각각을 다분할함으로써 보, 기둥 및 바닥 등의 구조물 시공 시 필요한 규격의 거푸집으로 조립하여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constructing structures such as beams, columns and floors by dividing each of the lower unit of the formwork and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unit The purpose is to assemble and provide formwork of the required standard.

또한, 복수 개의 다분할 구조물의 결합부 제작 시 어느 하나의 다분할 구조물의 결합부가 다른 하나의 구조물의 결합부와 한 면만 접촉되도록 제작함으로써 결합부의 용접 시 작업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improve productivity by reducing the working time during welding of the joint by manufacturing the joint part of one multi-divided structure so that only one surface contact with the joint part of the other structure when manufacturing the joint part of a plurality of multi-divided structures. .

또한, 다분할 구조물의 결합부에 공기배출통로를 형성하여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시 제1유닛과 제2유닛을 구성하는 다분할 구조물의 결합부 하측에 발생되는 에어 포켓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event air pockets generated under the joint part of the multi-divided structure constituting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when concrete is placed inside the formwork by forming an air discharge passage at the joint part of the multi-divided structure. .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해체 거푸집에 있어서,In the non-destructive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유닛;A lower unit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하부유닛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하부유닛의 일측에 조립되는 제1유닛;A first uni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unit and assembled to one side of the lower unit;

하부유닛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하부유닛의 타측에 조립되는 제2유닛;A second uni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unit and assembl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unit;

하부유닛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하부유닛과 제1유닛을 연결하는 제1연결유닛; 및A first connection uni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unit and connecting the lower unit and the first unit; And

하부유닛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하부유닛과 제2유닛을 연결하는 제2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econd connection uni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unit and connecting the lower unit and the second un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해체 거푸집의 조립공정에 있어서,In the assembly process of the non-destructive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하부유닛 결합단계;Sub-unit combining step;

하부유닛과 제1연결유닛 결합단계;Combining the lower unit and the first connection unit;

하부유닛과 제2연결유닛 결합단계;Combining the lower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제1연결유닛과 제1유닛 결합단계;Combining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first unit;

제2연결유닛과 제2유닛 결합단계;Combining the second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unit;

를 포함한다.Includes.

본 발명에 따르면, 거푸집의 하부유닛과 상기 하부유닛의 양측에 결합되는 제1유닛과 제2유닛 각각을 다분할함으로써 보, 기둥 및 바닥 등의 구조물 시공 시 필요한 규격의 거푸집으로 조립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ividing each of the lower unit of the formwork and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unit, it is possible to assemble and provide a formwork of the required standard when constructing structures such as beams, columns, and floors. There is an effect.

또한, 복수 개의 다분할 구조물의 결합부 제작 시 어느 하나의 다분할 구조물의 결합부가 다른 하나의 구조물의 결합부와 한 면만 접촉되도록 제작함으로써 결합부의 용접 시 작업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manufacturing a joint part of a plurality of multi-divided structures, the joint part of one multi-divided structure is manufactured so that only one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joint part of the other structure, thereby reducing the working time during welding of the joint part,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There is.

또한, 다분할 구조물의 결합부에 공기배출통로를 형성하여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시 제1유닛과 제2유닛을 구성하는 다분할 구조물의 결합부 하측에 발생되는 에어 포켓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n air discharge passage in the joint part of the multi-divid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ir pockets generated under the joint part of the multi-divided structure constituting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when concrete is placed inside the formwork. There is.

도 1은 종래의 무해체 구조의 거푸집의 제1실시예.
도 2는 종래의 무해체 구조의 거푸집의 제2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 제1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 제2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배출통로의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 제3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 내부 철근 설치 개념도.
1 is a first embodiment of a formwork of a conventional non-decomposable structure.
Fig. 2 is a second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non-decomposable structured formwork.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non-decomposabl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assembly view of Figure 3;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non-decomposabl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etailed view of the air discharge pa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non-decomposabl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non-decomposabl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non-decomposabl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onceptual view of installing reinforcement inside a non-decomposabl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The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be able to.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of disclosure,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merely for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무해체 거푸집 및 이의 조립공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판 및 양측판 각각이 다분할되어 제작되며, 보 또는 기둥 등의 구조물 시공 시 스팟 용접(Spot Welding)에 의해 서로 조립되는 무해체 거푸집 및 이의 조립공정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decomposable formwork and an assembly process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a lower plate and both side plates are manufactured by being divided into multiple parts, and when a structure such as a beam or a column is constructed, it is not assembled to each other by spot welding. It is an invention related to the dismantling form and its assembly process.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 제1실시예의 분리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조립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3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non-decomposabl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shows an assembly view of Fig. 3.

본 발명의 무해체 거푸집은,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유닛(2)과, 상기 하부유닛(2)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유닛(2)의 일측에 조립되는 제1유닛(30)과, 상기 하부유닛(2)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유닛(2)의 타측에 조립되는 제2유닛(50)과, 상기 하부유닛(2)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유닛(2)과 상기 제1유닛(30)을 연결하는 제1연결유닛(70)과, 상기 하부유닛(2)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유닛(2)과 상기 제2유닛(50)을 연결하는 제2연결유닛(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non-destructive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unit 2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nd the lower unit 2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unit 2 2) a first unit 30 assembled to one side of the lower unit, a second unit 50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unit 2 and assembl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unit 2, and the lower A first connection unit 70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unit 2 and connecting the lower unit 2 and the first unit 30, and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unit 2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80 connecting the lower unit 2 and the second unit 50 to each other.

상기 무해체 거푸집은 상단을 향하여 개방된 ‘ㄷ’형상으로, 상기 하부유닛(2)은 바닥부가 되고, 상기 제1유닛(30)과 상기 제2유닛(50)은 각각 상기 하부유닛(2)의 양측판이 된다.The non-decomposable formwork has a'c' shape that is open toward the top, and the lower unit 2 becomes a bottom portion, and the first unit 30 and the second unit 50 are each of the lower unit 2 It becomes both side plates of.

상기 하부유닛(2), 상기 제1유닛(30) 및 상기 제2유닛(50)은 각각 복수 개의 다분할 조립부의 결합에 의해 제작된다. 즉, 상기 무해체 거푸집은 상기 구조물의 시공 시 상기 구조물의 규격에 따라 필요한 개수의 상기 다분할 조립부를 이용하여 제작하게 된다. The lower unit 2, the first unit 30, and the second unit 50 are each manufactur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multi-divided assembly units. That is, the non-destructive formwork is manufactured using the required number of multi-divided assembly parts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structure when constructing the structure.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무해체 거푸집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the non-decomposable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하부유닛(2)은 기본 다분할 조립부(4)와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lower unit 2 includes a basic multi-divided assembly unit 4 and a connection type multi-divided assembly unit 20.

상기 하부유닛(2)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는,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플레이트부(6)와, 상기 플레이트부(6)의 양측 모서리 중 어느 한 쪽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높이 연장된 제1하부 연장부(8)와, 상기 플레이트부(6)의 양측 모서리 중 다른 한 쪽으로부터 연장된 제2하부 연장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asic multi-divided assembly part 4 for constituting the lower unit 2 includes a rectangular plate part 6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nd both sides of the plate part 6 Consisting of a first lower extension part 8 extending vertically from one of the corners to a certain height, and a second lower extension part 10 extending from the other of the opposite corners of the plate part 6 do.

상기 제2하부 연장부(10)는, 상기 플레이트부(6)의 모서리로부터 수직하여 상기 제1하부 연장부(8)의 높이만큼 연장되는 제1연장부(12)와, 상기 제1연장부(12)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6)의 외측 방향으로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2연장부(14)와, 상기 제2연장부(14)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3연장부(16)와, 상기 제3연장부(16)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6)의 내측 방향으로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4연장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lower extension part 10 includes a first extension part 12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edge of the plate part 6 by a height of the first lower part extension part 8,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A second extension portion 14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plate portion 6 a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from th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4 A third extension portion 16 and a fourth extension portion 18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perpendicularly to the inside direction of the plate portion 6 from the upper end of the third extension portion 16.

즉, 상기 제2연장부(14), 상기 제3연장부(16) 및 상기 제4연장부(18)는 상기 플레이트부(6)를 향하여 개방된‘ㄷ’형상으로 형성된다.That is,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4, the third extension portion 16, and the fourth extension portion 18 are formed in a'C' shape that is open toward the plate portion 6.

상기 하부유닛(2)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는, 상기 플레이트부(6)와, 상기 플레이트부(6)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하부 연장부(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nection type multi-divided assembly part 20 for configuring the lower unit 2 includes the plate part 6 and the first lower extension part 8 formed at both corners of the plate part 6, respectively. ).

즉,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는 상기 하부유닛(2)을 구성하는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의 상기 플레이트부(6)와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며,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와 비교하여 상기 플레이트부(6)의 양측 모서리 중 어느 한 쪽에 상기 제2하부 연장부(10)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플레이트부(6)의 양측 모서리 각각에 상기 제1하부 연장부(8)가 형성되는 점이 다르다.That is, the connection type multi-division assembly unit 20 has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plate unit 6 of the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unit 4 constituting the lower unit 2, and the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unit 20 Compared to the assembly portion 4, the second lower extension portion 10 is not formed on either side of the edge of the plate portion 6, and the first lower portion extends at each edge of the plate portion 6. The difference is that the part 8 is formed.

상기 하부유닛(2)은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폭에 따라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를 복수 개 적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The lower unit 2 may be composed of only the connection type multi-divided assembly unit 20, and may be configured by applying a plurality of the basic multi-divided assembly units 4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상기 제1유닛(30)은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32)와 기본 다분할 조립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unit 30 includes an uppermost multi-division assembly unit 32 and a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unit 44.

상기 제1유닛(30)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제1유닛(30)의 최상단에 결합되는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32)는,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제1플레이트부(34)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34)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제1상단연장부(36)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34)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제1하단연장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uppermost multi-divided assembly part 32 coupled to the uppermost end of the first unit 30 to constitute the first unit 30 is a rectangular firs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 plate portion 34, a first upper end extension 36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plate portion 34, and a first lower e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plate portion 34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xtension 42.

상기 제1상단연장부(36)는 상기 제1플레이트부(34)의 상단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상측면부(38)와, 상기 상측면부(38)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하단연장부(42)를 향해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된 상측면연장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upper extension part 36 has an upper side part 38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plate part 34 and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first lower end extension part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surface extending portion 40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toward 42).

상기 제1유닛(30)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4)는, 상기 제1하단연장부(42)가 형성된 상기 제1플레이트부(34)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34)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플레이트부(34)의 내측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제1유닛결합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asic multi-divided assembly portion 44 for configuring the first unit 30 includes the first plate portion 34 on which the first lower end extension portion 42 is formed, and the first plate portion 34 ) From the upper end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portion 34, and a first unit coupling portion 46 extending vertically for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에서는 서로 다른 명칭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제1유닛(30)의 제1하단연장부(42)는 상기 하부유닛(2)의 제2하부 연장부(10)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즉, 상기 제1연장부(12), 상기 제2연장부(14), 상기 제3연장부(16) 및 상기 제4연장부(18)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유닛(30)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4)는 상기 하부유닛(2)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different names, the first lower end extension 42 of the first unit 30 has the same shape as the second lower extension 10 of the lower unit 2, that is, the first A first extension part 12, the second extension part 14, the third extension part 16, and the fourth extension part 18 are included. Accordingly, the basic multi-divided assembly unit 44 for configuring the first unit 3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basic multi-divided assembly unit 4 for constituting the lower unit 2.

상기 제1유닛(30)은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32)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4)를 복수 개 적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The first unit 30 may be composed of only the uppermost multi-division assembly unit 32, and may be configured by applying a plurality of the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units 44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상기 제2유닛(50)은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52)와 기본 다분할 조립부(64)를 포함하여 적어도 3개 이상의 다분할 조립부의 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상기 다분할 조립부가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높이 방향에 대해 복수 개로 나뉘도록 구성된다.The second unit 50 is configured by combining at least three multi-divided assembly units including the uppermost multi-divided assembly unit 52 and the basic multi-divided assembly unit 64, and a plurality of the multi-divided assembly units It is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상기 제2유닛(50)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제2유닛(50)의 최상단에 결합되는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52)는,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제2플레이트부(54)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제2상단연장부(56)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제2하단연장부(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uppermost multi-divided assembly portion 52 coupled to the uppermost end of the second unit 50 to configure the second unit 50 is a rectangular second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 plate portion 54, a second upper end extension 56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54, and a second lower e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54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xtension (62).

상기 제2상단연장부(56)는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의 상단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길이연장된 상측면부(58)와, 상기 상측면부(58)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하단연장부(62)를 향해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된 상측면연장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upper end extension 56 has an upper side part 58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late part 54, and 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part from an end of the upper side part 58 ( 62)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side extending portion 60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상기 제2유닛(50)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64)는, 상기 제2하단연장부(62)가 형성된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의 내측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제2유닛결합부(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asic multi-divided assembly portion 64 for configuring the second unit 50 includes the second plate portion 54 on which 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portion 62 is formed,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54 ) And a second unit coupling portion 66 extending vertically for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plate portion 54 from the upper end thereof.

상기 제2유닛(50)의 제2하단연장부(62)는 상기 하부유닛(2)의 제2하부 연장부(10)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즉, 상기 제1연장부(12), 상기 제2연장부(14), 상기 제3연장부(16) 및 상기 제4연장부(18)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2유닛(50)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64) 또한 상기 제1유닛(30)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64)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유닛(2)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econd lower extension part 62 of the second unit 50 has the same shape as the second lower extension part 10 of the lower unit 2, that is, the first extension part 12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It includes a second extension 14, the third extension 16 and the fourth extension 18. Accordingly, the basic multi-divided assembly unit 64 for constituting the second unit 50 and the lower unit 2, similar to the basic multi-divided assembly unit 64 for constituting the first unit 30 )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basic multi-divided assembly portion 4 for constituting.

또한, 상기 제2유닛(50)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52)는 상기 제1유닛(30)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32)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uppermost multi-divided assembly unit 52 for configuring the second unit 5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uppermost multi-divided assembly unit 32 for constituting the first unit 30 .

상기 제2유닛(50)은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52)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64)를 복수 개 적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The second unit 50 may be composed of only the uppermost multi-divided assembly unit 52, and may be configured by applying a plurality of the basic multi-divided assembly units 64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상기 무해체 거푸집의 시공 시 상기 제1유닛(30)을 구성하기 위한 다분할 조립부의 개수 및 상기 제2유닛(50)을 구성하기 위한 다분할 조립부의 개수는 서로 동일하며, 상기 제1유닛(30)과 상기 제2유닛(50)은 상기 하부유닛(2)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형상이 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하단연장부(42)와 상기 제2하단연장부(62)는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된다.The number of multi-divided assembly parts for constituting the first unit 30 and the number of multi-divided assembly parts for constituting the second unit 50 are the same as each other, and the first unit ( 30) and the second unit 50 are combined to form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2. In this case, the first lower end extension 42 and 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62 are coupled to face each other.

상기 제1연결유닛(70)은,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이며 상기 플레이트부(6)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연결플레이트부(72)와,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부(72)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높이 연장되는 제1연결일측연장부(74)와, 상기 제1연결일측연장부(74)로부터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부(72)의 내측을 향해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1연결상단연장부(76)와,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부(72)의 타측 모서리로부터 일정 높이 연장되는 제1연결타측연장부(7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connection unit 70 is a rectangl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nd a first connection plate portion 72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with the plate portion 6, and the first connection A first connection one-side extension 74 that extends vertically from one edge of the plate part 72 and a predetermined height, and from the first connection one-side extension 74 to the in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part 72 A first connection upper extension part 76 extending vertically for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first connection other side extension part 78 extending from the other edge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part 72 to a certain height.

상기 제1연결일측연장부(74)의 높이는 상기 제1플레이트부(34)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first connection one-side extension 74 may be formed equal to the height of the first plate portion 34.

상기 제2연결유닛(80)은,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이며 상기 플레이트부(6)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연결플레이트부(82)와,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부(82)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일정 높이 연장되는 제2연결일측연장부(84)와,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부(82)의 타측 모서리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높이 연장되는 제2연결타측연장부(86)와, 상기 제2연결타측연장부(86)로부터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부(82)의 내측을 향해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2연결상단연장부(8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connection unit 80 is a rectangl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nd a second connection plate portion 82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with the plate portion 6, and the second connection A second connection one-side extension 84 extending from one edge of the plate part 82 to a certain height, and a second connection other-side extension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vertically from the other edge of the second connection plate 82 ( 86), and a second connection upper extension part 88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second connection other side extension part 86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late part 82 a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제2연결타측연장부(86)의 높이는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second connecting other side extension 86 may be formed equal to the height of the second plate portion 54.

상기 제1연결타측연장부(78)와 상기 제2연결일측연장부(84)는 상기 제2하부 연장부(10)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즉, 상기 제1연장부(12), 상기 제2연장부(14), 상기 제3연장부(16) 및 상기 제4연장부(18)를 포함하여 형성된다.The first connection other side extension part 78 and the second connection one side extension part 84 have the same shape as the second lower extension part 10, that is, the first extension part 12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It is formed including an extension part 14, the third extension part 16 and the fourth extension part 18.

상기 무해체 거푸집의 시공 시 상기 제1연결유닛(70)과 상기 제2연결유닛(80)은 상기 하부유닛(2)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형상이 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연결타측연장부(78)와 상기 제2연결일측연장부(84)가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된다.When constructing the non-decomposable formwork, the first connection unit 7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80 are combined to form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lower unit 2.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on other side extension part 78 and the second connection one side extension part 84 are coupled to face each other.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 제2실시예의 분리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배출통로(90)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non-decomposabl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detailed view of an air discharge passage 9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유닛(30)의 제1유닛결합부(46), 상기 제2유닛(50)의 제2유닛결합부(66), 상기 제1연결유닛(70)의 제1연결상단연장부(76) 및 상기 제2연결유닛(80)의 제2연결상단연장부(88) 각각의 상면에는 양측이 개방된 그루브(groove) 형상의 공기배출통로(90)가 형성된다. The first unit coupling portion 46 of the first unit 30, the second unit coupling portion 66 of the second unit 50, the first connection upper extension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70 ( 76) and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second connection upper extension 88 of the second connection unit 80 is formed with an air discharge passage 90 having a groove shape with both sides open.

상기 공기배출통로(90)는 상기 하부유닛(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다.A plurality of air discharge passages 90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unit 2.

상기 구조물의 시공 시, 상기 제1유닛결합부(46)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상기 공기배출통로(90)와 상기 제2유닛결합부(66)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상기 공기배출통로(90)는 서로 연통되는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1연결상단연장부(76)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상기 공기배출통로(90)와 상기 제2연결상단연장부(88)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상기 공기배출통로(90)는 서로 연통되는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When constructing the structure, any one of the air outlet passages 90 formed in the first unit coupling portion 46 and any one of the air outlet passages 90 formed in the second unit coupling portion 66 are It is located on the same line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ny one of the air discharge passages 90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upper extension part 76 and any one of the air discharge passages 90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upper extension part 88 The air discharge passages 90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유닛결합부(46)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상기 공기배출통로(90)와 상기 제1연결상단연장부(76)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상기 공기배출통로(90)는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2유닛결합부(66)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상기 공기배출통로(90)와 상기 제2연결상단연장부(88)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상기 공기배출통로(90)는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air outlet passages 90 formed in the first unit coupling portion 46 and one of the air outlet passages 90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upper extension portion 76 are in the same direction. It is open toward and is located on the same line wit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y one of the air discharge passages 90 formed in the second unit coupling part 66 and the second connection upper extension part 88 One of the air discharge passages 90 are opened in the same direction and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무해체 거푸집의 조립공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assembly process of the non-decomposable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무해체 거푸집의 조립공정은,The assembly process of the non-decomposable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하부유닛(2) 결합단계;The lower unit (2) combining step;

상기 하부유닛(2)과 제1연결유닛(70) 결합단계;Combining the lower unit 2 and the first connection unit 70;

상기 하부유닛(2)과 제2연결유닛(80) 결합단계;Combining the lower unit 2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80;

상기 제1연결유닛(70)과 상기 제1유닛(30) 결합단계;Combining the first connection unit 70 and the first unit 30;

상기 제2연결유닛(80)과 상기 제2유닛(50) 결합단계;Combining the second connection unit 80 and the second unit 50;

를 포함하여 진행된다.Including.

먼저 상기 하부유닛(2) 결합단계에서는, 상기 하부유닛(2)을 제작하기 위한 어느 하나의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와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가 결합된다.First, in the joining step of the lower unit 2, any one of the basic multi-divided assembly units 4 and the connection type multi-divided assembly unit 20 for manufacturing the lower unit 2 are coupled.

상기 하부유닛(2)의 양측에 결합되는 상기 제1연결유닛(70) 및 상기 제2연결유닛(80)의 형상에 의해 상기 하부유닛(2)의 결합 시에는 반드시 하나의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가 필요하다.Due to the shape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70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80 that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unit 2, when the lower unit 2 is combined, one connection type must be divided. Assembly part 20 is required.

상기 하부유닛(2)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 다분할 조립부(4)와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의 결합은 상기 제1하부 연장부(8)와 상기 제2하부 연장부(10)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combination of the basic multi-divided assembly part 4 and the connection-type multi-divided assembly part 20 for constituting the lower unit 2 is the first lower extension part 8 and the second lower part extension part 10 ).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 일측에 형성된 상기 제1하부 연장부(8)의 외측면에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상기 하부유닛(2)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 다분할 조립부(4)의 상기 제1연장부(12)의 외측면이 맞닿으며, 저항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Configuring the lower unit 2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on type multi-divided assembly part 2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lower extension part 8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type multi-divided assembly part 20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 of the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part 4 abut, and are joined to each other by resistance welding.

이후,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 타측에 형성된 상기 제1하부 연장부(8)의 외측면에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의 타측에 결합되는 상기 하부유닛(2)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 다분할 조립부(4)의 상기 제1연장부(12)의 외측면이 맞닿으며, 저항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Thereafter, the lower unit 2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type multi-divided assembly part 2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lower extension part 8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type multi-divided assembly part 20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 of the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part 4 to be configure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bonded to each other by resistance welding.

상기 하부유닛(2)을 구성하기 위해 복수 개의 다분할 조립부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구조물의 폭방향에 대해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의 위치는 어디가 되어도 상관이 없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가 두 개의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 사이에 위치할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When a plurality of multi-divided assembly units are applied to configure the lower unit 2,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type multi-divided assembly unit 20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ucture is irrelevant, but 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as shown in the drawings,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case where the connection type multi-division assembly unit 20 is located between the two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units 4 has been described.

상기 하부유닛(2)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만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의 양측 각각에 형성된 제1하부 연장부(8)의 외측면에 상기 제1연결유닛(70)의 제1연장부(12) 외측면과 상기 제2연결유닛(80)의 제1연장부(12) 외측면이 각각 맞닿아 용접된다.When only the connection type multi-divided assembly part 20 is applied to construct the lower unit 2, the outside of the first lower extension part 8 formed on each side of the connection-type multi-divided assembly part 20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7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 of the second connection unit 80 abut and are welded to the side surface.

상기 하부유닛(2) 결합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하부유닛(2)과 제1연결유닛(70) 결합단계가 진행된다.When the step of combining the lower unit 2 is completed, the step of combining the lower unit 2 and the first connection unit 70 proceeds.

상기 하부유닛(2)과 제1연결유닛(70) 결합단계에서는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상기 하부유닛(2)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 다분할 조립부(4)의 제1하부연장부 외측면에 상기 제1연결타측연장부(78)의 제1연장부(12) 외측면이 맞닿으며, 저항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In the step of combining the lower unit 2 and the first connection unit 70, a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unit 4 for constituting the lower unit 2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on-type multi-division assembly unit 20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 of the first connection other side extension part 78 abut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lower extension part of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resistance welding.

상기 하부유닛(2)과 제1연결유닛(70) 결합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하부유닛(2)과 제2연결유닛(80) 결합단계가 진행된다.When the step of combining the lower unit 2 and the first connection unit 70 is completed, the step of combining the lower unit 2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80 proceeds.

상기 하부유닛(2)과 제2연결유닛(80) 결합단계에서는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의 타측에 결합되는 상기 하부유닛(2)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 다분할 조립부(4)의 제1하부연장부 외측면에 상기 제2연결일측연장부(84)의 제1연장부(12) 외측면이 맞닿으며, 저항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In the step of combining the lower unit 2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80, a basic multi-divided assembly unit 4 for constituting the lower unit 2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type multi-divided assembly unit 20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 of the second connection one-side extension part 84 abut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lower extension part of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resistance welding.

상기 하부유닛(2)과 제2연결유닛(80) 결합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1연결유닛(70)과 상기 제1유닛(30) 결합단계가 진행된다.When the step of combining the lower unit 2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80 is completed, the step of combining the first connection unit 70 and the first unit 30 proceeds.

상기 제1연결유닛(70)과 상기 제1유닛(30) 결합단계에서는 상기 제1연결유닛(70)의 제1연결상단연장부(76) 상면에 상기 제1유닛(30)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 다분할 조립부(44)의 제1하단연장부(42)의 제1연장부(12) 하면이 맞닿으며, 저항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In the coupling step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70 and the first unit 30, the first connection unit 3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upper extension part 76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70.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 of the first lower end extension part 42 of the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part 44 abuts and is joined to each other by resistance welding.

상기 제1유닛(30)을 구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4)의 적층 시, 서로 인접하여 적층되는 두 개의 기본 다분할 조립부(444) 중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4)의 제1유닛결합부(46)의 상면에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4)의 제1하단연장부(42)의 제1연장부(12) 하면이 맞닿으며, 저항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When stacking the plurality of basic multi-divided assembly units 44 for constituting the first unit 30, the basic multi-divided assembly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two basic multi-divided assembly units 444 that are stack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 of the first lower end extension part 42 of the basic multi-divided assembling part 44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unit coupling part 46 of the assembling part 44 abuts And are bonded to each other by resistance welding.

상기 제1유닛(30)을 구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4)의 적층 후 상기 제1유닛(30)을 제작하기 위한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32)의 결합 시,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32)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4)의 제1유닛결합부(46) 상면에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32)의 제1하단연장부(42)의 제1연장부(12) 하면이 맞닿으며, 저항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After stacking the plurality of basic multi-divided assembly portions 44 for configuring the first unit 30, when the uppermost multi-divided assembly portion 32 for manufacturing the first unit 30 is combined, the The first lower extension part 42 of the uppermost multi-division assembly part 3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unit coupling part 46 of the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part 44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multi-division assembly part 32 ),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12 abuts and is coupled to each other by resistance welding.

상기 제1유닛(30)이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32)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32)의 제1연장부(12) 외측면이 상기 제1연결유닛(70)의 제1연결상단연장부(76) 외측면에 맞닿아 용접된다.When the first unit 30 is composed of only the uppermost multi-divided assembly part 32,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 of the uppermost multi-divided assembly part 32 is the first connection unit 70 The first connection of the upper extension 76 is weld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상기 제1연결유닛(70)과 상기 제1유닛 결합단계, 및 상기 제1유닛 제작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2연결유닛(80)과 상기 제2유닛 결합단계가 진행된다.When the step of combining the first connection unit 70 with the first unit and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first unit is completed, the step of combining the second connection unit 80 and the second unit proceeds.

상기 제2연결유닛(80)과 상기 제2유닛 결합단계에서는 상기 제2연결유닛(80)의 제2연결상단연장부(88) 상면에 상기 제2유닛(50)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 다분할 조립부(64)의 제2하단연장부(62)의 제1연장부(12) 하면이 맞닿으며, 저항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In the step of combining the second connection unit 80 and the second unit, a basic multi-division for configuring the second unit 5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upper extension 88 of the second connection unit 80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 of 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part 62 of the assembly part 64 abuts, and is coupled to each other by resistance welding.

상기 제2유닛(50)을 구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64)의 적층 시, 서로 인접하여 적층되는 두 개의 기본 다분할 조립부(64) 중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64)의 제2유닛결합부(66)의 상면에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64)의 제2하단연장부(62)의 제1연장부(12) 하면이 맞닿으며, 저항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When stacking the plurality of basic multi-divided assembly units 64 for constituting the second unit 50, the basic multi-divided assembly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two basic multi-divided assembly units 64 stack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 of 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part 62 of the basic multi-divided assembly part 64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unit coupling part 66 of the assembling part 64 abuts And are bonded to each other by resistance welding.

상기 제2유닛(50)을 구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상기 다분할 조립부의 적층 후 상기 제2유닛(50)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52)의 결합 시,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52)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64)의 제2유닛결합부(66) 상면에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52)의 제2하단연장부(62)의 제1연장부(12) 하면이 맞닿으며, 저항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When the uppermost multi-divided assembly portion 52 for constituting the second unit 50 is coupled after stacking a plurality of the multi-divided assembly portions for constituting the second unit 50, the uppermost multi-divided assembly portion The first extension of the second lower extension portion 62 of the uppermost multi-division assembly portion 5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unit coupling portion 66 of the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portion 64 located at the lower end of (52) The lower surfaces of the portions 12 abut and are bonded to each other by resistance welding.

상기 제2유닛(50)이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52)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52)의 제1연장부(12) 외측면이 상기 제2연결유닛(80)의 제2연결상단연장부(88) 외측면에 맞닿아 용접된다.When the second unit 50 is composed of only the uppermost multi-divided assembly part 52,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 of the upper-most multi-divided assembly part 52 is the second connection unit 80 The second connection of the upper extension (88) is weld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상기 제2연결유닛(80)과 상기 제2유닛 결합단계, 및 상기 제2유닛 제작단계가 완료된다.The step of combining the second connection unit 80 with the second unit, and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second unit are completed.

상기 무해체 거푸집의 조립공정은 상기 하부유닛과 제1연결유닛 결합단계, 상기 제1연결유닛과 상기 제1유닛 결합단계, 상기 하부유닛과 제2연결유닛 결합단계, 상기 제2연결유닛과 상기 제2유닛 결합단계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유닛과 제2연결유닛 결합단계, 상기 제2연결유닛과 상기 제2유닛 결합단계, 상기 하부유닛과 제1연결유닛 결합단계, 상기 제1연결유닛과 상기 제1유닛 결합단계의 순서로도 진행될 수 있다.The assembly process of the non-disassembled formwork includes the step of assembling the lower unit and the first connection unit, the step of combining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first unit, the step of combining the lower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the second connection unit and the It may proceed in the order of the second unit combining step, the lower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coupling step, the second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unit coupling step, the lower unit and the first connection unit coupling step, the first It may also be carried out in the order of the connecting unit and the first unit combining step.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다분할 구조물과 다른 하나의 다분할 구조물의 결합 시, 상기 어느 하나의 다분할 구조물의 한 면과 상기 다른 하나의 다분할 구조물의 한 면만이 서로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용접 시 작업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one multi-division structure and another multi-division structure are combined, only one side of the one multi-division structure and one side of the other multi-division structur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weld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productivity by reducing the time of the city work.

상기 저항 용접은 스팟 용접일 수 있다.The resistance welding may be spot welding.

상기 무해체 거푸집의 제작이 완료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해체 거푸집의 골조가 되는 철근(94)을 설치하게 된다. When the production of the non-destructive formwork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0, a reinforcing bar 94 serving as the frame of the non-destructive formwork is installed.

상기 철근(94)은 상방이 개방된‘ㄷ’형상으로 상기 무해체 거푸집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하부유닛(2)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설치된다.The reinforcing bar 94 has a cross-section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cross-section of the non-decomposable formwork in a'C' shape with an open upper side,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94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unit 2.

상기 무해체 거푸집과 상기 철근(94)의 결합은 저항 용접, 바람직하게는 스팟 용접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bonding of the non-destructive formwork and the reinforcing bar 94 is achieved by resistance welding, preferably spot welding.

상기 철근(94)이 상기 무해체 거푸집의 내측에 포개지는 형상으로 위치하게 될 때, 상기 철근(94)의 일측은 상기 제1유닛(30)의 상측면 연장부(40) 외측면과 상기 제1하단연장부(42)의 제4연장부(18) 외측면에 맞닿아 용접되고, 상기 철근(94)의 타측은 상기 제2유닛(50)의 상측면 연장부(60) 외측면과 상기 제2하단연장부(62)의 제4연장부(18) 외측면에 맞닿아 용접되며, 상기 철근(94)의 하측은 상기 제1연결타측연장부(78)의 제4연장부(18) 외측면, 상기 하부유닛(2)에 포함되는 제4연장부(18) 외측면 및 상기 제2연결일측연장부(84)의 제4연장부(18) 외측면에 맞닿아 용접된다.When the reinforcing bar 94 is positioned in a shape superim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non-decomposable formwork, one side of the reinforcing bar 94 is the outer side of the upper side extension 40 of the first unit 30 and the first 1 It is weld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ourth extension part 18 of the lower end extension part 42, and the other side of the reinforcing bar 94 is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ide extension part 60 of the second unit 50 and the It is welded by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ourth extension part 18 of 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part 62, and the lower side of the reinforcing bar 94 is the fourth extension part 18 of the first connection other side extension part 78 The outer sur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fourth extension part 18 included in the lower unit 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ourth extension part 18 of the second connection one-side extension part 84 are contacted and welded.

즉, 상기 철근(94)과 상기 무해체 거푸집의 결합 시 한 면만이 서로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용접 시 작업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reinforcing bar 94 and the non-destructive formwork are combined, only one surfac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reducing work time during welding,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 제1실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 제2실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7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non-decomposabl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non-decomposabl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 상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시 상기 제1하단연장부(42)와 상기 제1유닛결합부(46)의 하측, 상기 제1하단연장부(42)와 상기 제1연결상단연장부(76)의 하측, 상기 제2하단연장부(62)와 상기 제2유닛결합부(66)의 하측, 및 상기 제2하단연장부(62)와 상기 제2연결상단연장부(88)의 하측에는 에어 포켓(92, air pocket)이 발생된다.When concrete is placed inside the formwork to construct the structure, the first lower extension part 42 and the lower side of the first unit coupling part 46, the first lower end extension part 42 and the first connection upper end The lower side of the extension part 76,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part 62 and the second unit coupling part 66, and 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part 62 and the second connection upper end extension part 88 An air pocket 92 is generated on the lower side of ).

도 7을 참고하여 보면, 상기 공기배출통로(90)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 시 에어 포켓(92)이 배출되지 못한 상태로 콘크리트가 굳게 되며, 이러한 경우 거푸집의 내구성 및 강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air discharge passage 90 is not formed, the concrete hardens while the air pocket 92 is not discharged when the concrete is poured, and in this case, the durability and rigidity of the formwork are adversely affected. Goes crazy.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배출통로(90)를 형성하여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 시 발생된 에어 포켓(92)이 상기 공기배출통로(9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거푸집의 내구성 및 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ir pocket 92 generated during the pouring of the concrete by forming the air discharge passage 90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passage 90 By doing so, the durability and rigidity of the formwork can be improved.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 제3실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9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non-decomposable formwork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 제3실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9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non-decomposable formwork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상기 제2유닛결합부(66)는‘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의 내측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수직부(96)와, 상기 수직부(96)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와 평행하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는 수평부(9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9,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unit coupling portion 66 is formed in a'b' shape, and the second plate is formed from an upper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54. A vertical portion 96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portion 54, and a horizontal portion bent from the end of the vertical portion 96 a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parallel to the second plate portion 54 It is comprised of (98), including,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2유닛결합부에 결합되는 상기 제2하단연장부(62)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의 내측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수직부(100)와, 상기 수직부(100)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와 평행하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는 수평부(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part 62 coupled to the second unit coupling part formed in the above shape is as shown in FIG. 9(a),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late part 54 to the second A vertical portion 100 extending vertically for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plate portion 54, and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second plate portion 54 by bending from the end of the vertical portion 1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rizontal portion (102).

상기 제2하단연장부의 형상이 도 9(a)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유닛결합부(66)와 상기 제2하단연장부(62)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유닛결합부(66)의 상측으로 상기 제2하단연장부(62)가 포개지도록 위치하면서 상기 제2유닛결합부(66)와 상기 제2하단연장부(62)가 서로 결합된다.When the shape of 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part is formed as shown in FIG. 9(a), the second unit coupling part 66 and 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part 62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so that the second unit coupling part The second unit coupling portion 66 and 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62 are coupled to each other while being positioned so that 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62 is superimposed on the upper side of (66).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2유닛결합부(66)에 결합되는 상기 제2하단연장부(62)는 도 9(b),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102)의 단부로부터 절곡된 절곡부(104)가 형성되어 상기 제2유닛결합부(66)의 수평부(98)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62 coupled to the second unit coupling portion 66 formed in the shape as described above is shown in Figs. 9(b) and 9(c), the horizontal part 102 A bent portion 104 bent from the end of)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98 of the second unit coupling portion 66,

상기 제2하단연장부의 형상이 도 9(b), 도 9(c)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도 9(b)와 같이 상기 제2유닛결합부(66)의 상측으로 상기 제2하단연장부(62)의 수직부(100)와 수평부(102)가 포개지도록 위치시킨 후 도 9(c)와 같이 상기 수평부(102)로부터 일정 각도 이격되어 있던 상기 절곡부(104)를 접어 상기 절곡부(104)의 내측면이 상기 수평부(102)의 외측면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제2유닛결합부(66)와 상기 제2하단연장부(62)가 서로 결합된다.When the shape of 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part is formed as shown in FIGS. 9(b) and 9(c), 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part is positioned above the second unit coupling part 66 as shown in FIG. 9(b). After positioning the vertical portion 100 and the horizontal portion 102 of 62 to overlap, the bent portion 104 that was spaced apart from the horizontal portion 102 by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in FIG. 9(c) is folded to the bending The second unit coupling portion 66 and 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62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ion 104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102.

상기 제2유닛결합부(66)가 도 9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유닛결합부(46), 상기 제1연결상단연장부(76), 상기 제2연결상단연장부(88) 및 상기 제1하부 연장부(8) 또한 도 9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When the second unit coupling part 66 is formed as shown in FIG. 9, the first unit coupling part 46, the first connection upper extension part 76, the second connection upper extension part 88, and The first lower extension 8 is also formed in a shape as shown in FIG. 9.

상기 제2하단연장부(62)가 도 9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하부 연장부(10), 상기 제1하단연장부(42), 상기 제1연결타측연장부(78), 성가 제2연결일측연장부(84) 또한 도 9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When 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62 is formed as shown in FIG. 9, 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10, the first lower end extension 42, the first connection other side extension 78 The second connection one-side extension 84 is also formed in the same shape as in FIG. 9.

상기 제2유닛결합부(66)와 상기 제2하단연장부(62)가 도 9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제2유닛결합부(66)와 상기 제2하단연장부(62)의 결합 시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the second unit coupling part 66 and 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62 are formed as shown in FIG. 9, the time when the second unit coupling part 66 and 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62 are combin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hortened.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f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field.

2 : 하부유닛
4 : 하부유닛의 기본 다분할 조립부
6 : 플레이트부
8 : 제1하부 연장부
10 : 제2하부 연장부
12 : 제1연장부
14 : 제2연장부
16 : 제3연장부
18 : 제4연장부
20 :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
30 : 제1유닛
32 : 제1유닛의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
34 : 제1플레이트부
36 : 제1상단연장부
38 : 제1유닛의 상측면부
40 : 제1유닛의 상측면연장부
42 : 제1하단연장부
44 : 제1유닛의 기본 다분할 조립부
46 : 제1유닛결합부
50 : 제2유닛
52 : 제2유닛의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
54 : 제2플레이트부
56 : 제2상단연장부
58 : 제2유닛의 상측면부
60 : 제2유닛의 상측면연장부
62 : 제2하단연장부
64 : 제2유닛의 기본 다분할 조립부
66 : 제2유닛결합부
70 : 제1연결유닛
72 : 제1연결플레이트부
74 : 제1연결일측연장부
76 : 제1연결상단연장부
78 : 제1연결타측연장부
80 : 제2연결유닛
82 : 제2연결플레이트부
84 : 제2연결일측연장부
86 : 제2연결타측연장부
88 : 제2연결상단연장부
90 : 공기배출통로
92 : 에어 포켓
94 : 철근
2: lower unit
4: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of the lower unit
6: plate part
8: first lower extension part
10: second lower extension part
12: 1st extension
14: 2nd extension part
16: 3rd extension
18: 4th extension
20: Connection type multi-division assembly
30: first unit
32: the uppermost multi-division assembly of the first unit
34: first plate portion
36: first upper extension part
38: upper side of the first unit
40: upper side extension of the first unit
42: first lower extension
44: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of the first unit
46: first unit coupling part
50: second unit
52: the uppermost multi-division assembly of the second unit
54: second plate portion
56: second upper extension part
58: upper side of the second unit
60: upper side extension of the second unit
62: second lower extension
64: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of the second unit
66: second unit coupling part
70: first connection unit
72: first connection plate part
74: first connection one-side extension
76: first connection upper extension
78: first connection other side extension
80: second connection unit
82: second connection plate part
84: second connection one-side extension
86: second connection other side extension
88: second connection upper extension
90: air exhaust passage
92: air pocket
94: rebar

Claims (19)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유닛의 일측에 조립되는 제1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유닛의 타측에 조립되는 제2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유닛과 상기 제1유닛을 연결하는 제1연결유닛; 및
상기 하부유닛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유닛과 상기 제2유닛을 연결하는 제2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
A lower unit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 first uni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unit and assembled to one side of the lower unit;
A second uni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unit and assembl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unit;
A first connection uni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unit and connecting the lower unit and the first unit; And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unit and connecting the lower unit and the second unit.
A non-destructive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폭에 따라 기본 다분할 조립부와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unit is a non-destructive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sic multi-divided assembly portion and a connection type multi-divided assembly portion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는,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양측 모서리 중 어느 한 쪽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높이 연장된 제1하부 연장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양측 모서리 중 다른 한 쪽으로부터 연장된 제2하부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
The method of claim 2,
The basic multi-divided assembly unit for configuring the lower unit,
A rectangular plate portion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 first lower extension part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vertically from one of the opposite corners of the plate part; And
Including a second lower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other of the edge of both sides of the plate portion
A non-destructive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부 연장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모서리로부터 수직하여 상기 제1하부 연장부의 높이만큼 연장되는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의 외측 방향으로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2연장부;
상기 제2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3연장부; 및
상기 제3연장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의 내측 방향으로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4연장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lower extension part,
A first extension part perpendicular to the edge of the plate part and extending by a height of the first lower part extension part;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perpendicular to the outer direction of the plate part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A third extension part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upward from an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And
Including a fourth extension part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perpendicular to the inner direction of the plate 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third extension part
A non-destructive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는,
상기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하부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nection type multi-division assembly for configuring the lower unit,
The plate portion; And
Including; the first lower extension portions respectively formed at both corners of the plate portion
A non-destructive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닛은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와 기본 다분할 조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unit is a non-destructive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most multi-division assembly portion and a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por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닛의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는,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제1플레이트부;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제1상단연장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제1하단연장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
The method of claim 6,
The uppermost multi-divided assembly portion of the first unit,
A rectangular first plate portion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 first upper end extension part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plate part; And
Including a first lower end extens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plate portion
A non-destructive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단연장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상단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된 상측면부; 및
상기 상측면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하단연장부를 향해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된 상측면연장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upper extension portion includes an upper side port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plate portion; And
Comprising an upper side extension part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upper side part toward the first lower end extension part
A non-destructive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닛의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는,
상기 제1하단연장부가 형성된 상기 제1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내측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제1유닛결합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
The method of claim 8,
The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of the first unit,
The first plate portion in which the first lower end extension portion is formed; And
Comprising a first unit coupling port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plate portion toward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portion
A non-destructive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닛은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와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
The method of claim 6,
The second unit is a non-decomposable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uppermost multi-divided assembly portion and the basic multi-divided assembly portion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닛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최상단에 결합되는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는,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제2플레이트부;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제2상단연장부; 및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제2하단연장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
The method of claim 10,
The uppermost multi-divided assembly unit coupled to the uppermost end for configuring the second unit,
A second rectangular plate portion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 second upper end extension part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n upper end of the second plate part; And
Including a second lower end extens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A non-destructive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단연장부는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상단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된 상측면부; 및
상기 상측면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하단연장부를 향해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된 상측면연장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cond upper extension part includes an upper side part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perpendicularly from an upper end of the second plate part; And
Comprising an upper side extension part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upper side part toward 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part
A non-destructive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닛의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는,
상기 제2하단연장부가 형성된 상기 제2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내측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제2유닛결합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
The method of claim 12,
The basic multi-divided assembly portion of the second unit,
The second plate portion in which 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portion is formed; And
Comprising a second unit coupling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or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n upper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toward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portion
A non-destructive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유닛은,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이며, 상기 플레이트부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연결플레이트부;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부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높이(제1플레이트부의 높이만큼) 연장되는 제1연결일측연장부;
상기 제1연결일측연장부로부터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부의 내측을 향해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1연결상단연장부;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부의 타측 모서리로부터 일정 높이 연장되는 제1연결타측연장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connection unit,
A first connection plate portion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plate portion;
A first connection one-side extens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one edge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part to a predetermined height (by the height of the first plate part);
A first connection upper extension part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from the first connection one side extension part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part;
Including; a first connection other side extens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other side edge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portion
A non-destructive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유닛은,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이며, 상기 플레이트부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연결플레이트부;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부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일정 높이 연장되는 제2연결일측연장부;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부의 타측 모서리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높이(제2플레이트부의 높이만큼) 연장되는 제2연결타측연장부;
상기 제2연결타측연장부로부터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부의 내측을 향해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2연결상단연장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cond connection unit,
A second connection plate portion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plate portion;
A second connection one-side extension part extend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one edge of the second connection plate part;
A second connecting other side extens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other side edge of the second connecting plate unit by a predetermined height (by the height of the second plate unit);
And a second connection upper extens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from the second connection other side extension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late part.
A non-destructive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닛의 제1유닛결합부, 상기 제2유닛의 제2유닛결합부, 상기 제1연결유닛의 제1연결상단연장부 및 상기 제2연결유닛의 제2연결상단연장부 각각의 상면에는 양측이 개방된 그루브(groove) 형상의 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
The method of claim 1,
The top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unit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unit, the second unit coupling portion of the second unit, the first connection upper extension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pper extension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unit In the non-destructive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discharge passage in the shape of a groove (groove) open on both sides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해체 거푸집과 상기 무해체 거푸집의 골조가 되는 철근은 저항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
The method of claim 1,
The non-destructive formwork and the reinforcing bar serving as the frame of the non-destructive formwork are bonded to each other by resistance welding.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유닛의 일측에 조립되는 제1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유닛의 타측에 조립되는 제2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유닛과 상기 제1유닛을 연결하는 제1연결유닛; 및
상기 하부유닛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유닛과 상기 제2유닛을 연결하는 제2연결유닛;을 포함하는 무해체 거푸집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닛 결합단계;
상기 하부유닛과 제1연결유닛 결합단계;
상기 하부유닛과 제2연결유닛 결합단계;
상기 제1연결유닛과 상기 제1유닛 결합단계;
상기 제2연결유닛과 상기 제2유닛 결합단계;
를 포함하는 무해체 거푸집의 조립공정.
A lower unit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 first uni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unit and assembled to one side of the lower unit;
A second uni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unit and assembl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unit;
A first connection uni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unit and connecting the lower unit and the first unit; And
In the assembling process of a non-decomposable formwork comprising; a second connection uni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unit and connecting the lower unit and the second unit,
Combining the sub-units;
Combining the lower unit and the first connection unit;
Combining the lower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Combining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first unit;
Combining the second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unit;
Assembly process of a non-decomposable formwork comprising a.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해체 거푸집과 상기 무해체 거푸집의 골조가 되는 철근은 저항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의 조립공정.
The method of claim 18,
The assembly process of the non-destructive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destructive formwork and the reinforcing bar used as the frame of the non-destructive formwork are bonded to each other by resistance welding.
KR1020200013060A 2019-11-06 2020-02-04 DH beam and assembly process thereof KR10226011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049 2019-11-06
KR20190141049 2019-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958A true KR20210054958A (en) 2021-05-14
KR102260114B1 KR102260114B1 (en) 2021-06-03

Family

ID=75915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060A KR102260114B1 (en) 2019-11-06 2020-02-04 DH beam and assembly proces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11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0328A (en) * 1993-03-26 1994-10-04 Kubota Corp Permanent form for concrete construction
KR20160091223A (en) 2015-08-19 2016-08-02 (주)동하이엔지 Deck plate having a reinforced bar
KR20170030108A (en) * 2015-09-08 2017-03-17 주식회사 상원스틸텍 Prefabricated formwor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07464B1 (en) * 2018-11-29 2019-08-06 주식회사 정인에스앤씨 Prefabricated beam mold device
KR102034141B1 (en) * 2019-03-29 2019-10-18 임환빈 beam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0328A (en) * 1993-03-26 1994-10-04 Kubota Corp Permanent form for concrete construction
KR20160091223A (en) 2015-08-19 2016-08-02 (주)동하이엔지 Deck plate having a reinforced bar
KR20170030108A (en) * 2015-09-08 2017-03-17 주식회사 상원스틸텍 Prefabricated formwor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07464B1 (en) * 2018-11-29 2019-08-06 주식회사 정인에스앤씨 Prefabricated beam mold device
KR102034141B1 (en) * 2019-03-29 2019-10-18 임환빈 beam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114B1 (en)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580B1 (en) Assembly beam deck plate
CN113994055B (en) Modular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KR101363739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modular unit for entire behavior of modular structure
JP5940323B2 (en) Column and flat slab joint material and its joint structure
KR20210054958A (en) DH beam and assembly process thereof
JP5128313B2 (en) Unit building
TWM558267U (en) Grid deck with shear-resisting plates
KR101050166B1 (en) Slab module and knock-down type modular construction of use it
JP6574336B2 (en) Steel-framed reinforced concrete columns and buildings using the same
JP5237575B2 (en) Unit building
KR100761964B1 (en) A mold for constructing wall of concrete building
KR101376232B1 (en) Module for Assembly-Type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ng Building Using the Same
JP6512431B2 (en) Column-beam connection structure
JP3975938B2 (en)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for existing buildings
JP6830393B2 (en) Beam-column joint structure
JP6966208B2 (en) Column-beam joint structure
KR20210001122A (en) Connecting structure for columns
JP7330713B2 (en) Beam connection structure of modular building
JP2008240350A (en) Method of constructing precast concrete building
KR102385923B1 (en) The joint structure of triangular column with moment connection
JP5362893B2 (en) Unit building
JP3994873B2 (en) Joining structure and joining method of steel main girder and pier
JP3167783B2 (en) Floor unit for steel building
JPH084203A (en) Steel framed reinforcement beam and execution method thereof
KR200344392Y1 (en) A building pannel producted in a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