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114B1 - DH beam and assembly process thereof - Google Patents
DH beam and assembly process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0114B1 KR102260114B1 KR1020200013060A KR20200013060A KR102260114B1 KR 102260114 B1 KR102260114 B1 KR 102260114B1 KR 1020200013060 A KR1020200013060 A KR 1020200013060A KR 20200013060 A KR20200013060 A KR 20200013060A KR 102260114 B1 KR102260114 B1 KR 1022601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extension
- connection
- formwork
- plate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제안기술은 무해체 거푸집 및 이의 조립공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판 및 양측판 각각이 다분할되어 제작되며, 보 또는 기둥 등의 구조물 시공 시 스팟 용접(Spot Welding)에 의해 서로 조립되는 무해체 거푸집 및 이의 조립공정에 관한 발명이다.The proposed technology relates to a non-dismantling formwork and its assembly process, and more specifically, the lower plate and both side plates are multi-divided and manufactured, and when constructing structures such as beams or columns, they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by spot welding. The invention relates to a dismantling form and its assembly process.
Description
제안기술은 무해체 거푸집 및 이의 조립공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판 및 양측판 각각이 다분할되어 제작되며, 보 또는 기둥 등의 구조물 시공 시 스팟 용접(Spot Welding)에 의해 서로 조립되는 무해체 거푸집 및 이의 조립공정에 관한 발명이다.The proposed technology relates to a non-dismantling formwork and its assembly process, and more specifically, the lower plate and both side plates are multi-divided and manufactured, and when constructing structures such as beams or columns, they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by spot welding. The invention relates to a dismantling form and its assembly process.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형성 공법은 거푸집 조립 공정 및 거푸집 사이에 구성한 공간부 내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콘크리트 타설 공정을 행하며, 소정의 양생 기간을 거친 후에 거푸집 패널을 해체하는 공정을 거쳐 기둥, 보, 벽 또는 바닥 등의 콘크리트 골조를 형성한다.In general, the construction method of a concrete building performs a formwork assembly process and a concrete pouring process of filling concrete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ormwork, and after a predetermined curing period, the formwork panel is dismantled through a process of dismantling columns, beams, and walls Or to form a concrete frame such as a floor.
하지만 종래의 공법에서는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을 제거하고 골조면의 흠을 제거하는 작업을 부가적으로 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when the curing of the poured concrete is completed, it is inconvenient to remove the formwork and additionally work to remove the flaws of the frame surfac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무해체 구조의 거푸집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formwork of an indestructible structure that does not require dismantling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have been developed.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무해체 구조의 거푸집이 도시되어 있다.1 and 2 show a formwork of a conventional non-decomposable structure.
종래의 무해체 구조의 거푸집에서 하부판과 양측판의 결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판의 받침부 상면과 하부판의 하면, 일측판의 내측면과 하부판의 측판 외측면이 서로 맞물려 밀착 결합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판의 하단부가 하부판의 측판과 동일한 형상으로 절곡되어 서로 맞물려 밀착 결합되는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upling of the lower plate and the both sides of the plate in the conventional non-destructive structure is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of one side plat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the inner surface of the one side plat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late of the lower plat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re closely coupled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2 ,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end of one side plate is bent in the same shape as the side plate of the lower plate and engaged with each other is applied.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경우, 결합부의 형상으로 인해 철근량의 소비가 많으며, 결합부 중 어느 한 쪽의 불량 제조 시 결합이 견고하지 않아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structure, the amount of rebar is consumed due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part, and there is a problem of structural instability because the coupling is not strong when manufacturing defective one of the coupling parts.
또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부판과 양측판의 결합면을 서로 용접하는 경우, 하부판과 일측판의 결합 시 두 면 이상의 접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welding the coupling surfaces of the lower plate and both sides of the plate to each other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since two or more surfaces are requi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plate and one side plate, it takes time and productivity is reduced.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거푸집의 하부유닛과 상기 하부유닛의 양측에 결합되는 제1유닛과 제2유닛 각각을 다분할함으로써 보, 기둥 및 바닥 등의 구조물 시공 시 필요한 규격의 거푸집으로 조립하여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dividing each of the lower unit of the formwork and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unit, when constructing structures such as beams, columns and floors The purpose is to assemble and provide the formwork of the required standard.
또한, 복수 개의 다분할 구조물의 결합부 제작 시 어느 하나의 다분할 구조물의 결합부가 다른 하나의 구조물의 결합부와 한 면만 접촉되도록 제작함으로써 결합부의 용접 시 작업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when manufacturing the coupling part of a plurality of multi-division structures, the coupling part of one multi-division structure is manufactured so that only one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coupling part of the other structure, thereby reducing the welding time of the coupling part and improving productivity. .
또한, 다분할 구조물의 결합부에 공기배출통로를 형성하여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시 제1유닛과 제2유닛을 구성하는 다분할 구조물의 결합부 하측에 발생되는 에어 포켓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preventing air pockets generated under the coupling part of the multi-division structure constituting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when concrete is poured inside the formwork is to form an air exhaust passage at the coupling part of the multi-division structure. .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bject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해체 거푸집에 있어서,In the non-destructible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유닛;a lower unit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하부유닛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하부유닛의 일측에 조립되는 제1유닛;a first uni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unit and assembled to one side of the lower unit;
하부유닛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하부유닛의 타측에 조립되는 제2유닛;a second uni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unit and assembl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unit;
하부유닛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하부유닛과 제1유닛을 연결하는 제1연결유닛; 및a first connection uni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unit and connecting the lower unit and the first unit; and
하부유닛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하부유닛과 제2유닛을 연결하는 제2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econd connection uni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unit and connecting the lower unit and the second un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해체 거푸집의 조립공정에 있어서,In the assembly process of the non-destructible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하부유닛 결합단계;lower unit bonding step;
하부유닛과 제1연결유닛 결합단계;combining the lower unit and the first connecting unit;
하부유닛과 제2연결유닛 결합단계;combining the lower unit and the second connecting unit;
제1연결유닛과 제1유닛 결합단계;combining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first unit;
제2연결유닛과 제2유닛 결합단계;combining the second connecting unit and the second unit;
를 포함한다.includes
본 발명에 따르면, 거푸집의 하부유닛과 상기 하부유닛의 양측에 결합되는 제1유닛과 제2유닛 각각을 다분할함으로써 보, 기둥 및 바닥 등의 구조물 시공 시 필요한 규격의 거푸집으로 조립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ividing each of the lower unit of the formwork and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unit, it is possible to assemble and provide a formwork of the required standard when constructing structures such as beams, columns and floors. there is an effect
또한, 복수 개의 다분할 구조물의 결합부 제작 시 어느 하나의 다분할 구조물의 결합부가 다른 하나의 구조물의 결합부와 한 면만 접촉되도록 제작함으로써 결합부의 용접 시 작업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manufacturing the coupling part of a plurality of multi-division structures, the coupling part of one multi-division structure is manufactured so that only one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coupling part of the other structure, thereby reducing the welding time of the coupling part and improving productivity there is
또한, 다분할 구조물의 결합부에 공기배출통로를 형성하여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시 제1유닛과 제2유닛을 구성하는 다분할 구조물의 결합부 하측에 발생되는 에어 포켓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n effect that can prevent air pockets generated under the coupling part of the multi-division structure constituting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when concrete is poured inside the formwork by forming an air exhaust passage at the coupling part of the multi-division structure there is
도 1은 종래의 무해체 구조의 거푸집의 제1실시예.
도 2는 종래의 무해체 구조의 거푸집의 제2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 제1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 제2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배출통로의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 제3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 내부 철근 설치 개념도.1 is a first embodiment of a formwork of a conventional non-destructive structure.
Figure 2 is a second embodiment of a formwork of a conventional non-destructive structure.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non-destructibl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assembly view of Figure 3;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non-destructibl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etailed view of an air exhaust pa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non-destructibl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non-destructibl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non-destructibl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installation of reinforcing bars inside the non-destructibl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The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relation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for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무해체 거푸집 및 이의 조립공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판 및 양측판 각각이 다분할되어 제작되며, 보 또는 기둥 등의 구조물 시공 시 스팟 용접(Spot Welding)에 의해 서로 조립되는 무해체 거푸집 및 이의 조립공정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disintegrating formwork and an assembly process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he lower plate and the both side plates are multi-divided and manufactured, and when constructing structures such as beams or columns, they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by spot welding. The invention relates to a dismantling form and its assembly process.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 제1실시예의 분리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조립도가 도시되어 있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non-disintegrating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assembly view of FIG. 3 is shown.
본 발명의 무해체 거푸집은,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유닛(2)과, 상기 하부유닛(2)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유닛(2)의 일측에 조립되는 제1유닛(30)과, 상기 하부유닛(2)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유닛(2)의 타측에 조립되는 제2유닛(50)과, 상기 하부유닛(2)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유닛(2)과 상기 제1유닛(30)을 연결하는 제1연결유닛(70)과, 상기 하부유닛(2)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유닛(2)과 상기 제2유닛(50)을 연결하는 제2연결유닛(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non-destructible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er unit (2)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nd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unit (2) and the lower unit ( 2) a
상기 무해체 거푸집은 상단을 향하여 개방된 ‘ㄷ’형상으로, 상기 하부유닛(2)은 바닥부가 되고, 상기 제1유닛(30)과 상기 제2유닛(50)은 각각 상기 하부유닛(2)의 양측판이 된다.The non-dissolving formwork has a 'c' shape that is opened toward the top, and the
상기 하부유닛(2), 상기 제1유닛(30) 및 상기 제2유닛(50)은 각각 복수 개의 다분할 조립부의 결합에 의해 제작된다. 즉, 상기 무해체 거푸집은 상기 구조물의 시공 시 상기 구조물의 규격에 따라 필요한 개수의 상기 다분할 조립부를 이용하여 제작하게 된다. The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무해체 거푸집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indestructible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하부유닛(2)은 기본 다분할 조립부(4)와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lower unit (2)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part (4) and a connection type multi-division assembly part (20).
상기 하부유닛(2)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는,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플레이트부(6)와, 상기 플레이트부(6)의 양측 모서리 중 어느 한 쪽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높이 연장된 제1하부 연장부(8)와, 상기 플레이트부(6)의 양측 모서리 중 다른 한 쪽으로부터 연장된 제2하부 연장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asic
상기 제2하부 연장부(10)는, 상기 플레이트부(6)의 모서리로부터 수직하여 상기 제1하부 연장부(8)의 높이만큼 연장되는 제1연장부(12)와, 상기 제1연장부(12)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6)의 외측 방향으로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2연장부(14)와, 상기 제2연장부(14)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3연장부(16)와, 상기 제3연장부(16)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6)의 내측 방향으로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4연장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즉, 상기 제2연장부(14), 상기 제3연장부(16) 및 상기 제4연장부(18)는 상기 플레이트부(6)를 향하여 개방된‘ㄷ’형상으로 형성된다.That is, the
상기 하부유닛(2)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는, 상기 플레이트부(6)와, 상기 플레이트부(6)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하부 연장부(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nection type
즉,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는 상기 하부유닛(2)을 구성하는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의 상기 플레이트부(6)와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며,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와 비교하여 상기 플레이트부(6)의 양측 모서리 중 어느 한 쪽에 상기 제2하부 연장부(10)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플레이트부(6)의 양측 모서리 각각에 상기 제1하부 연장부(8)가 형성되는 점이 다르다.That is, the connection type
상기 하부유닛(2)은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폭에 따라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를 복수 개 적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The
상기 제1유닛(30)은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32)와 기본 다분할 조립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제1유닛(30)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제1유닛(30)의 최상단에 결합되는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32)는,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제1플레이트부(34)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34)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제1상단연장부(36)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34)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제1하단연장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uppermost
상기 제1상단연장부(36)는 상기 제1플레이트부(34)의 상단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상측면부(38)와, 상기 상측면부(38)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하단연장부(42)를 향해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된 상측면연장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상기 제1유닛(30)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4)는, 상기 제1하단연장부(42)가 형성된 상기 제1플레이트부(34)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34)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플레이트부(34)의 내측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제1유닛결합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asic
상기에서는 서로 다른 명칭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제1유닛(30)의 제1하단연장부(42)는 상기 하부유닛(2)의 제2하부 연장부(10)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즉, 상기 제1연장부(12), 상기 제2연장부(14), 상기 제3연장부(16) 및 상기 제4연장부(18)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유닛(30)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4)는 상기 하부유닛(2)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Although described with different names in the above, the first
상기 제1유닛(30)은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32)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4)를 복수 개 적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The
상기 제2유닛(50)은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52)와 기본 다분할 조립부(64)를 포함하여 적어도 3개 이상의 다분할 조립부의 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상기 다분할 조립부가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높이 방향에 대해 복수 개로 나뉘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제2유닛(50)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제2유닛(50)의 최상단에 결합되는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52)는,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제2플레이트부(54)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제2상단연장부(56)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제2하단연장부(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uppermost
상기 제2상단연장부(56)는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의 상단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길이연장된 상측면부(58)와, 상기 상측면부(58)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하단연장부(62)를 향해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된 상측면연장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상기 제2유닛(50)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64)는, 상기 제2하단연장부(62)가 형성된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의 내측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제2유닛결합부(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asic
상기 제2유닛(50)의 제2하단연장부(62)는 상기 하부유닛(2)의 제2하부 연장부(10)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즉, 상기 제1연장부(12), 상기 제2연장부(14), 상기 제3연장부(16) 및 상기 제4연장부(18)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2유닛(50)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64) 또한 상기 제1유닛(30)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64)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유닛(2)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econd
또한, 상기 제2유닛(50)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52)는 상기 제1유닛(30)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32)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uppermost
상기 제2유닛(50)은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52)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64)를 복수 개 적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The
상기 무해체 거푸집의 시공 시 상기 제1유닛(30)을 구성하기 위한 다분할 조립부의 개수 및 상기 제2유닛(50)을 구성하기 위한 다분할 조립부의 개수는 서로 동일하며, 상기 제1유닛(30)과 상기 제2유닛(50)은 상기 하부유닛(2)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형상이 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하단연장부(42)와 상기 제2하단연장부(62)는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된다.The number of multi-division assembly parts for constituting the
상기 제1연결유닛(70)은,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이며 상기 플레이트부(6)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연결플레이트부(72)와,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부(72)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높이 연장되는 제1연결일측연장부(74)와, 상기 제1연결일측연장부(74)로부터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부(72)의 내측을 향해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1연결상단연장부(76)와,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부(72)의 타측 모서리로부터 일정 높이 연장되는 제1연결타측연장부(7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제1연결일측연장부(74)의 높이는 상기 제1플레이트부(34)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first connection
상기 제2연결유닛(80)은,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이며 상기 플레이트부(6)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연결플레이트부(82)와,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부(82)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일정 높이 연장되는 제2연결일측연장부(84)와,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부(82)의 타측 모서리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높이 연장되는 제2연결타측연장부(86)와, 상기 제2연결타측연장부(86)로부터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부(82)의 내측을 향해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2연결상단연장부(8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제2연결타측연장부(86)의 높이는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second connecting other
상기 제1연결타측연장부(78)와 상기 제2연결일측연장부(84)는 상기 제2하부 연장부(10)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즉, 상기 제1연장부(12), 상기 제2연장부(14), 상기 제3연장부(16) 및 상기 제4연장부(18)를 포함하여 형성된다.The first connection
상기 무해체 거푸집의 시공 시 상기 제1연결유닛(70)과 상기 제2연결유닛(80)은 상기 하부유닛(2)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형상이 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연결타측연장부(78)와 상기 제2연결일측연장부(84)가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된다.When constructing the non-dissolving formwork, the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 제2실시예의 분리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배출통로(90)의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non-destructibl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detailed view of the
상기 제1유닛(30)의 제1유닛결합부(46), 상기 제2유닛(50)의 제2유닛결합부(66), 상기 제1연결유닛(70)의 제1연결상단연장부(76) 및 상기 제2연결유닛(80)의 제2연결상단연장부(88) 각각의 상면에는 양측이 개방된 그루브(groove) 형상의 공기배출통로(90)가 형성된다. The first
상기 공기배출통로(90)는 상기 하부유닛(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다.A plurality of the
상기 구조물의 시공 시, 상기 제1유닛결합부(46)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상기 공기배출통로(90)와 상기 제2유닛결합부(66)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상기 공기배출통로(90)는 서로 연통되는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1연결상단연장부(76)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상기 공기배출통로(90)와 상기 제2연결상단연장부(88)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상기 공기배출통로(90)는 서로 연통되는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When constructing the structure, any one of the
또한, 상기 제1유닛결합부(46)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상기 공기배출통로(90)와 상기 제1연결상단연장부(76)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상기 공기배출통로(90)는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2유닛결합부(66)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상기 공기배출통로(90)와 상기 제2연결상단연장부(88)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상기 공기배출통로(90)는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개방되며 상하방향으로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무해체 거푸집의 조립공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assembly process of the non-decomposable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무해체 거푸집의 조립공정은,The assembly process of the non-destructible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하부유닛(2) 결합단계;lower unit (2) coupling step;
상기 하부유닛(2)과 제1연결유닛(70) 결합단계;combining the
상기 하부유닛(2)과 제2연결유닛(80) 결합단계;The lower unit (2)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80) coupling step;
상기 제1연결유닛(70)과 상기 제1유닛(30) 결합단계;combining the
상기 제2연결유닛(80)과 상기 제2유닛(50) 결합단계;combining the second connecting
를 포함하여 진행된다.is carried out including
먼저 상기 하부유닛(2) 결합단계에서는, 상기 하부유닛(2)을 제작하기 위한 어느 하나의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와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가 결합된다.First, in the lower unit (2) coupling step, any one of the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part (4) for manufacturing the lower unit (2) and the connection type multi-division assembly part (20) are coupled.
상기 하부유닛(2)의 양측에 결합되는 상기 제1연결유닛(70) 및 상기 제2연결유닛(80)의 형상에 의해 상기 하부유닛(2)의 결합 시에는 반드시 하나의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가 필요하다.Due to the shape of the first connecting
상기 하부유닛(2)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 다분할 조립부(4)와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의 결합은 상기 제1하부 연장부(8)와 상기 제2하부 연장부(10)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combination of the basic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 일측에 형성된 상기 제1하부 연장부(8)의 외측면에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상기 하부유닛(2)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 다분할 조립부(4)의 상기 제1연장부(12)의 외측면이 맞닿으며, 저항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To configure the lower unit (2)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on type multi-division assembly part (2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lower extension part (8)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type multi-division assembly part (20) The outer surface of the
이후,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 타측에 형성된 상기 제1하부 연장부(8)의 외측면에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의 타측에 결합되는 상기 하부유닛(2)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 다분할 조립부(4)의 상기 제1연장부(12)의 외측면이 맞닿으며, 저항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Then, the
상기 하부유닛(2)을 구성하기 위해 복수 개의 다분할 조립부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구조물의 폭방향에 대해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의 위치는 어디가 되어도 상관이 없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가 두 개의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 사이에 위치할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When a plurality of multi-division assembly parts are applied to configure the
상기 하부유닛(2)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만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의 양측 각각에 형성된 제1하부 연장부(8)의 외측면에 상기 제1연결유닛(70)의 제1연장부(12) 외측면과 상기 제2연결유닛(80)의 제1연장부(12) 외측면이 각각 맞닿아 용접된다.When only the connection type
상기 하부유닛(2) 결합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하부유닛(2)과 제1연결유닛(70) 결합단계가 진행된다.When the lower unit (2) coupling step is completed, the lower unit (2) and the first connecting
상기 하부유닛(2)과 제1연결유닛(70) 결합단계에서는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상기 하부유닛(2)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 다분할 조립부(4)의 제1하부연장부 외측면에 상기 제1연결타측연장부(78)의 제1연장부(12) 외측면이 맞닿으며, 저항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In the step of combining the
상기 하부유닛(2)과 제1연결유닛(70) 결합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하부유닛(2)과 제2연결유닛(80) 결합단계가 진행된다.When the
상기 하부유닛(2)과 제2연결유닛(80) 결합단계에서는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20)의 타측에 결합되는 상기 하부유닛(2)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 다분할 조립부(4)의 제1하부연장부 외측면에 상기 제2연결일측연장부(84)의 제1연장부(12) 외측면이 맞닿으며, 저항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In the step of combining the
상기 하부유닛(2)과 제2연결유닛(80) 결합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1연결유닛(70)과 상기 제1유닛(30) 결합단계가 진행된다.When the step of coupling the
상기 제1연결유닛(70)과 상기 제1유닛(30) 결합단계에서는 상기 제1연결유닛(70)의 제1연결상단연장부(76) 상면에 상기 제1유닛(30)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 다분할 조립부(44)의 제1하단연장부(42)의 제1연장부(12) 하면이 맞닿으며, 저항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In the step of combining the
상기 제1유닛(30)을 구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4)의 적층 시, 서로 인접하여 적층되는 두 개의 기본 다분할 조립부(444) 중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4)의 제1유닛결합부(46)의 상면에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4)의 제1하단연장부(42)의 제1연장부(12) 하면이 맞닿으며, 저항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When stacking a plurality of the basic
상기 제1유닛(30)을 구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4)의 적층 후 상기 제1유닛(30)을 제작하기 위한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32)의 결합 시,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32)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44)의 제1유닛결합부(46) 상면에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32)의 제1하단연장부(42)의 제1연장부(12) 하면이 맞닿으며, 저항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When the uppermost
상기 제1유닛(30)이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32)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32)의 제1연장부(12) 외측면이 상기 제1연결유닛(70)의 제1연결상단연장부(76) 외측면에 맞닿아 용접된다.When the
상기 제1연결유닛(70)과 상기 제1유닛 결합단계, 및 상기 제1유닛 제작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2연결유닛(80)과 상기 제2유닛 결합단계가 진행된다.When the first connecting
상기 제2연결유닛(80)과 상기 제2유닛 결합단계에서는 상기 제2연결유닛(80)의 제2연결상단연장부(88) 상면에 상기 제2유닛(50)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 다분할 조립부(64)의 제2하단연장부(62)의 제1연장부(12) 하면이 맞닿으며, 저항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In the step of combining the
상기 제2유닛(50)을 구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64)의 적층 시, 서로 인접하여 적층되는 두 개의 기본 다분할 조립부(64) 중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64)의 제2유닛결합부(66)의 상면에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64)의 제2하단연장부(62)의 제1연장부(12) 하면이 맞닿으며, 저항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When stacking a plurality of the basic
상기 제2유닛(50)을 구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상기 다분할 조립부의 적층 후 상기 제2유닛(50)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52)의 결합 시,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52)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64)의 제2유닛결합부(66) 상면에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52)의 제2하단연장부(62)의 제1연장부(12) 하면이 맞닿으며, 저항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When the uppermost
상기 제2유닛(50)이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52)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52)의 제1연장부(12) 외측면이 상기 제2연결유닛(80)의 제2연결상단연장부(88) 외측면에 맞닿아 용접된다.When the
상기 제2연결유닛(80)과 상기 제2유닛 결합단계, 및 상기 제2유닛 제작단계가 완료된다.The
상기 무해체 거푸집의 조립공정은 상기 하부유닛과 제1연결유닛 결합단계, 상기 제1연결유닛과 상기 제1유닛 결합단계, 상기 하부유닛과 제2연결유닛 결합단계, 상기 제2연결유닛과 상기 제2유닛 결합단계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유닛과 제2연결유닛 결합단계, 상기 제2연결유닛과 상기 제2유닛 결합단계, 상기 하부유닛과 제1연결유닛 결합단계, 상기 제1연결유닛과 상기 제1유닛 결합단계의 순서로도 진행될 수 있다.The assembly process of the dismantling formwork includes the step of combining the lower unit and the first connection unit, the step of combining the first connecting unit and the first unit, the step of combining the lower unit and the second connecting unit, the second connecting unit and the It may proceed in the order of the second unit combining step, the lower unit and the second connecting unit combining step, the second connecting unit and the second unit combining step, the lower unit and the first connecting unit combining step, the first It may also proceed in the order of the connecting unit and the first unit combining step.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다분할 구조물과 다른 하나의 다분할 구조물의 결합 시, 상기 어느 하나의 다분할 구조물의 한 면과 상기 다른 하나의 다분할 구조물의 한 면만이 서로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용접 시 작업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one multi-divided structure and another multi-divided structure are combined, only one surface of the one multi-divided structure and one surface of the other multi-divided structur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can reduce working time and improve productivity.
상기 저항 용접은 스팟 용접일 수 있다.The resistance welding may be spot welding.
상기 무해체 거푸집의 제작이 완료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해체 거푸집의 골조가 되는 철근(94)을 설치하게 된다. When the production of the non-decomposable formwork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0 , the reinforcing
상기 철근(94)은 상방이 개방된‘ㄷ’형상으로 상기 무해체 거푸집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하부유닛(2)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설치된다.The reinforcing
상기 무해체 거푸집과 상기 철근(94)의 결합은 저항 용접, 바람직하게는 스팟 용접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bonding of the non-disintegrated formwork and the reinforcing
상기 철근(94)이 상기 무해체 거푸집의 내측에 포개지는 형상으로 위치하게 될 때, 상기 철근(94)의 일측은 상기 제1유닛(30)의 상측면 연장부(40) 외측면과 상기 제1하단연장부(42)의 제4연장부(18) 외측면에 맞닿아 용접되고, 상기 철근(94)의 타측은 상기 제2유닛(50)의 상측면 연장부(60) 외측면과 상기 제2하단연장부(62)의 제4연장부(18) 외측면에 맞닿아 용접되며, 상기 철근(94)의 하측은 상기 제1연결타측연장부(78)의 제4연장부(18) 외측면, 상기 하부유닛(2)에 포함되는 제4연장부(18) 외측면 및 상기 제2연결일측연장부(84)의 제4연장부(18) 외측면에 맞닿아 용접된다.When the reinforcing
즉, 상기 철근(94)과 상기 무해체 거푸집의 결합 시 한 면만이 서로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용접 시 작업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by allowing only one surface to contact each other when the reinforcing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 제1실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 제2실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non-decomposabl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non-decomposabl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 상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시 상기 제1하단연장부(42)와 상기 제1유닛결합부(46)의 하측, 상기 제1하단연장부(42)와 상기 제1연결상단연장부(76)의 하측, 상기 제2하단연장부(62)와 상기 제2유닛결합부(66)의 하측, 및 상기 제2하단연장부(62)와 상기 제2연결상단연장부(88)의 하측에는 에어 포켓(92, air pocket)이 발생된다.When concrete is poured inside the formwork to construct the structure, the lower side of the first
도 7을 참고하여 보면, 상기 공기배출통로(90)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 시 에어 포켓(92)이 배출되지 못한 상태로 콘크리트가 굳게 되며, 이러한 경우 거푸집의 내구성 및 강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Referring to FIG. 7 , if the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배출통로(90)를 형성하여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 시 발생된 에어 포켓(92)이 상기 공기배출통로(9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거푸집의 내구성 및 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8 , the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 제3실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non-destructibl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 제3실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non-destructibl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상기 제2유닛결합부(66)는‘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의 내측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수직부(96)와, 상기 수직부(96)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와 평행하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는 수평부(9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9 ,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2유닛결합부에 결합되는 상기 제2하단연장부(62)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의 내측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수직부(100)와, 상기 수직부(100)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상기 제2플레이트부(54)와 평행하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는 수평부(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9(a), the second
상기 제2하단연장부의 형상이 도 9(a)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유닛결합부(66)와 상기 제2하단연장부(62)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유닛결합부(66)의 상측으로 상기 제2하단연장부(62)가 포개지도록 위치하면서 상기 제2유닛결합부(66)와 상기 제2하단연장부(62)가 서로 결합된다.When the shape of the second lower extension part is formed as shown in FIG. 9(a), the second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2유닛결합부(66)에 결합되는 상기 제2하단연장부(62)는 도 9(b),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102)의 단부로부터 절곡된 절곡부(104)가 형성되어 상기 제2유닛결합부(66)의 수평부(98)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9(b) and 9(c), the second lower
상기 제2하단연장부의 형상이 도 9(b), 도 9(c)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도 9(b)와 같이 상기 제2유닛결합부(66)의 상측으로 상기 제2하단연장부(62)의 수직부(100)와 수평부(102)가 포개지도록 위치시킨 후 도 9(c)와 같이 상기 수평부(102)로부터 일정 각도 이격되어 있던 상기 절곡부(104)를 접어 상기 절곡부(104)의 내측면이 상기 수평부(102)의 외측면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제2유닛결합부(66)와 상기 제2하단연장부(62)가 서로 결합된다.When the shape of 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portion is formed as shown in FIGS. 9(b) and 9(c), the second lower end extension portion upwardly of the second
상기 제2유닛결합부(66)가 도 9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유닛결합부(46), 상기 제1연결상단연장부(76), 상기 제2연결상단연장부(88) 및 상기 제1하부 연장부(8) 또한 도 9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When the second
상기 제2하단연장부(62)가 도 9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하부 연장부(10), 상기 제1하단연장부(42), 상기 제1연결타측연장부(78), 성가 제2연결일측연장부(84) 또한 도 9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When the second
상기 제2유닛결합부(66)와 상기 제2하단연장부(62)가 도 9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제2유닛결합부(66)와 상기 제2하단연장부(62)의 결합 시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the second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2 : 하부유닛
4 : 하부유닛의 기본 다분할 조립부
6 : 플레이트부
8 : 제1하부 연장부
10 : 제2하부 연장부
12 : 제1연장부
14 : 제2연장부
16 : 제3연장부
18 : 제4연장부
20 :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
30 : 제1유닛
32 : 제1유닛의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
34 : 제1플레이트부
36 : 제1상단연장부
38 : 제1유닛의 상측면부
40 : 제1유닛의 상측면연장부
42 : 제1하단연장부
44 : 제1유닛의 기본 다분할 조립부
46 : 제1유닛결합부
50 : 제2유닛
52 : 제2유닛의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
54 : 제2플레이트부
56 : 제2상단연장부
58 : 제2유닛의 상측면부
60 : 제2유닛의 상측면연장부
62 : 제2하단연장부
64 : 제2유닛의 기본 다분할 조립부
66 : 제2유닛결합부
70 : 제1연결유닛
72 : 제1연결플레이트부
74 : 제1연결일측연장부
76 : 제1연결상단연장부
78 : 제1연결타측연장부
80 : 제2연결유닛
82 : 제2연결플레이트부
84 : 제2연결일측연장부
86 : 제2연결타측연장부
88 : 제2연결상단연장부
90 : 공기배출통로
92 : 에어 포켓
94 : 철근2: lower unit
4: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part of the lower unit
6: plate part
8: first lower extension part
10: second lower extension part
12: first extension
14: second extension
16: third extension
18: 4th extension
20: Connection type multi-division assembly part
30: first unit
32: the uppermost multi-division assembly part of the first unit
34: first plate part
36: first upper extension part
38: upper side portion of the first unit
40: upper side extension of the first unit
42: first lower extension part
44: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part of the first unit
46: first unit coupling part
50: second unit
52: the uppermost multi-division assembly part of the second unit
54: second plate part
56: second upper extension
58: upper side portion of the second unit
60: upper side extension of the second unit
62: second lower extension part
64: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part of the second unit
66: second unit coupling part
70: first connection unit
72: first connection plate part
74: first connection one side extension
76: first connection upper extension part
78: first connection other side extension
80: second connection unit
82: second connection plate part
84: second connection one side extension
86: second connection other side extension
88: second connection upper extension part
90: air exhaust passage
92: air pocket
94: rebar
Claims (19)
상기 하부유닛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유닛의 일측에 조립되는 제1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유닛의 타측에 조립되는 제2유닛;
상기 하부유닛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유닛과 상기 제1유닛을 연결하는 제1연결유닛; 및
상기 하부유닛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유닛과 상기 제2유닛을 연결하는 제2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유닛은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와 기본 다분할 조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유닛의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는,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제1플레이트부;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제1상단연장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제1하단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단연장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모서리로부터 수직하며,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의 제1유닛결합부보다 긴 길이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2연장부;
상기 제2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연장부와 반대 방향을 향해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3연장부;
상기 제3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4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닛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와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의 결합 시,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의 제1유닛결합부 상면에 상기 제1연장부의 하면이 맞닿아 용접되고,
상기 제1유닛결합부의 상면에는 양측이 개방된 그루브(groove) 형상의 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a lower unit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 first uni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unit and assembled to one side of the lower unit;
a second uni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unit and assembl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unit;
a first connection uni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unit and connecting the lower unit and the first unit;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unit and connecting the lower unit and the second unit;
The first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most multi-division assembly part and a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par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The uppermost multi-division assembly portion of the first unit,
A rectangular first plate portion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 first upper extension port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plate portion; and
Including; a first lower extens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plate portion;
The first lower extension portion,
a first extension part perpendicular to the edge of the first plate part and extending to a longer length than the first unit coupling part of the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part;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 thir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an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extension por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fourth extension extending upwar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end of the third extension;
When combining the uppermost multi-division assembly part and the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part for configuring the first uni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is abutted and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unit coupling part of the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part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most multi-division assembly par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unit coupling part, an air exhaust passage in the shape of a groove having both sides open is formed
A non-disintegrating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공기배출통로는 상기 하부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According to claim 1,
Non-disintegrating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air discharge passag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unit.
상기 제1상단연장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상단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된 상측면부; 및
상기 상측면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하단연장부를 향해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된 상측면연장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upper extension portion,
an upper side port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plate portion; and
An upper side extension part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from an end of the upper side part toward the first lower extension part;
A non-disintegrating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1유닛의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는,
상기 제1하단연장부가 형성된 상기 제1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내측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제1유닛결합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According to claim 1,
The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portion of the first unit,
the first plate portion having the first lower extension portion formed thereon; and
A first unit coupling part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plate part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part;
A non-disintegrating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폭에 따라 기본 다분할 조립부와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unit is a non-decomposable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part and a connection type multi-division assembly part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상기 하부유닛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는,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양측 모서리 중 어느 한 쪽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높이 연장된 제1하부 연장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양측 모서리 중 다른 한 쪽으로부터 연장된 제2하부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6. The method of claim 5,
The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part for configuring the lower unit,
A rectangular plate portion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 first lower extension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either side of both sides of the plate portion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Containing a second lower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other of the both sides of the plate portion
A non-disintegrating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2하부 연장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모서리로부터 수직하여 상기 제1하부 연장부의 높이만큼 연장되는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의 외측 방향으로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2연장부;
상기 제2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3연장부; 및
상기 제3연장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의 내측 방향으로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4연장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7. The method of claim 6,
The second lower extension portion,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an edge of the plate portion by a height of the first lower extension portion;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plate portion;
a third extension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an end of the second extens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Comprising a fourth extens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perpendicular to the inner direction of the plate por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third extension
A non-disintegrating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하부유닛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연결타입 다분할 조립부는,
상기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하부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nection type multi-division assembly part for configuring the lower unit,
the plate part; and
Containing; the first lower extension portion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late portion
A non-disintegrating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2유닛은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와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uppermost multi-division assembly part and the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par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 non-disintegrating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2유닛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최상단에 결합되는 최상단 다분할 조립부는,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의 제2플레이트부;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제2상단연장부; 및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제2하단연장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uppermost multi-division assembly unit coupled to the uppermost end for configuring the second unit,
a rectangular second plate portion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 second upper extension port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and
What includes a second lower end extens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A non-disintegrating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2상단연장부는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상단으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된 상측면부; 및
상기 상측면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하단연장부를 향해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된 상측면연장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cond upper extension portion includes an upper side port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and
Comprising an upper side extens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toward the second lower extension portion
A non-disintegrating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2유닛의 상기 기본 다분할 조립부는,
상기 제2하단연장부가 형성된 상기 제2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2플레이트부의 내측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제2유닛결합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portion of the second unit,
the second plate portion having the second lower extension portion formed thereon; and
Comprising a second unit coupling port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portion
A non-disintegrating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1연결유닛은,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이며, 상기 플레이트부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연결플레이트부;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부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높이(제1플레이트부의 높이만큼) 연장되는 제1연결일측연장부;
상기 제1연결일측연장부로부터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부의 내측을 향해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1연결상단연장부;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부의 타측 모서리로부터 일정 높이 연장되는 제1연결타측연장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connection unit,
a first connection plate portion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the first connection plate portion being parallel to the plate portion;
a first connection side extension part extending perpendicularly from one edge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part to a predetermined height (as much as the height of the first plate part);
a first connection upper extension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first connection one side extension por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por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Containing; a first connection other extension port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other edge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portion
A non-disintegrating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2연결유닛은,
상기 시공되는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 장방형이며, 상기 플레이트부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연결플레이트부;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부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일정 높이 연장되는 제2연결일측연장부;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부의 타측 모서리로부터 수직하여 일정 높이(제2플레이트부의 높이만큼) 연장되는 제2연결타측연장부;
상기 제2연결타측연장부로부터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부의 내측을 향해 수직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제2연결상단연장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7. The method of claim 6,
The second connection unit,
a second connection plate portion having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plate portion;
a second connection side extension portion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one edge of the second connection plate portion;
a second connecting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other edge of the second connecting plate portion to a predetermined height (as much as the height of the second plate portion);
A second connection upper extension part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from the second connection other extension part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late part;
A non-disintegrating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공기배출통로는 상기 제2유닛의 제2유닛결합부, 상기 제1연결유닛의 제1연결상단연장부 및 상기 제2연결유닛의 제2연결상단연장부 각각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According to claim 1,
The air discharge passag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second unit coupling portion of the second unit, the first connection upper extension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pper extension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unit indestructible formwork.
상기 무해체 거푸집과 상기 무해체 거푸집의 골조가 되는 철근은 저항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According to claim 1,
The non-decomposable formwork and the reinforcing bars that become the frame of the non-decomposable formwork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by resistance welding.
하부유닛 결합단계;
상기 하부유닛과 제1연결유닛 결합단계;
상기 하부유닛과 제2연결유닛 결합단계;
상기 제1연결유닛과 제1유닛 결합단계;
상기 제2연결유닛과 제2유닛 결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유닛과 상기 제1유닛 결합단계에서는,
상기 제1연결유닛의 제1연결상단연장부 상면에 상기 제1유닛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 다분할 조립부의 제1하단연장부에서 제1연장부의 하면이 맞닿아 용접되며,
상기 제2연결유닛과 상기 제2유닛 결합단계에서는,
상기 제2연결유닛의 제2연결상단연장부 상면에 상기 제2유닛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 다분할 조립부의 제2하단연장부에서 제1연장부 하면이 맞닿아 용접되고,
상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시,
상기 제1하단연장부와 상기 제1연결상단연장부의 하측에 발생되는 에어포켓(air pocket)은 상기 제1연결상단연장부의 상면에 형성된 공기배출통로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2하단연장부와 상기 제2연결상단연장부의 하측에 발생되는 에어포켓(air pocket)은 상기 제2연결상단연장부의 상면에 형성된 공기배출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의 조립공정.In the assembly process of any one of claims 1 to 8 and 10 to 17,
lower unit bonding step;
combining the lower unit and the first connection unit;
combining the lower unit and the second connecting unit;
combining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first unit;
Including; the second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unit coupling step;
In the step of combining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first uni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is abutted and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upper extension of the first connection unit in the first lower extension of the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part for configuring the first unit,
In the step of combining the second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uni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is abutted and welded in the second lower extension of the basic multi-division assembly part for configuring the second uni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upper extension of the second connection unit,
When pouring concrete inside the formwork,
An air pocket generated under the first lower extension part and the first connection upper extension part is discharged through an air exhaust passag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upper extension part,
Air pockets generated under the second lower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upper extension part are discharged through an air exhaust passag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upper extension part
Assembly process of non-disintegrating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무해체 거푸집과 상기 무해체 거푸집의 골조가 되는 철근은 저항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거푸집의 조립공정.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assembly process of the non-decomposable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ars that become the frame of the non-decomposable formwork and the non-decomposable formwork are joined to each other by resistance we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0141049 | 2019-11-06 | ||
KR1020190141049 | 2019-11-0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4958A KR20210054958A (en) | 2021-05-14 |
KR102260114B1 true KR102260114B1 (en) | 2021-06-03 |
Family
ID=75915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3060A KR102260114B1 (en) | 2019-11-06 | 2020-02-04 | DH beam and assembly process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0114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7464B1 (en) * | 2018-11-29 | 2019-08-06 | 주식회사 정인에스앤씨 | Prefabricated beam mold device |
KR102034141B1 (en) * | 2019-03-29 | 2019-10-18 | 임환빈 | beam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80328A (en) * | 1993-03-26 | 1994-10-04 | Kubota Corp | Permanent form for concrete construction |
KR20160091223A (en) | 2015-08-19 | 2016-08-02 | (주)동하이엔지 | Deck plate having a reinforced bar |
KR20170030108A (en) * | 2015-09-08 | 2017-03-17 | 주식회사 상원스틸텍 | Prefabricated formwor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2020
- 2020-02-04 KR KR1020200013060A patent/KR10226011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7464B1 (en) * | 2018-11-29 | 2019-08-06 | 주식회사 정인에스앤씨 | Prefabricated beam mold device |
KR102034141B1 (en) * | 2019-03-29 | 2019-10-18 | 임환빈 | beam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4958A (en) | 2021-05-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36580B1 (en) | Assembly beam deck plate | |
KR20200048596A (en) | Precast concrete double wall for constructing shear wall,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hear wall using the same | |
KR20100009969U (en) | Frame structure of assembling form panel | |
KR200448085Y1 (en) | Frame structure of assembling form panel | |
KR101363739B1 (en) | Connection structure of modular unit for entire behavior of modular structure | |
KR102260114B1 (en) | DH beam and assembly process thereof | |
KR102444580B1 (en) | Non removing form with double structure and non removing form assembly with insulation inside the same | |
JP6830393B2 (en) | Beam-column joint structure | |
TWM558267U (en) | Grid deck with shear-resisting plates | |
JP5128313B2 (en) | Unit building | |
JP5839164B2 (en) |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 |
KR100889338B1 (en) | An Assembly Type panel for mold | |
JP5237575B2 (en) | Unit building | |
KR20210062482A (en) | Steel Form Beam | |
JP6512431B2 (en) | Column-beam connection structure | |
JP6966208B2 (en) | Column-beam joint structure | |
JP6961408B2 (en) | Precast concrete boards and concrete structural slabs | |
JP4285826B2 (en) | Half PC memb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floor slab and wall using the same | |
KR200292763Y1 (en) | The unit Al-form panel for constructing walls | |
JP6444444B2 (en) | Building block, building block composite and building frame | |
KR102397960B1 (en) | Slab panel for easy assembly and dis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anel | |
KR102385923B1 (en) | The joint structure of triangular column with moment connection | |
KR102270884B1 (en) | Non removing form with a structure that has been overlapped 3 or more | |
KR102406336B1 (en) | Structure of frame stiffener for wall fixing | |
KR102688081B1 (en) | Assembly Type Beam Formwor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