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884B1 - Non removing form with a structure that has been overlapped 3 or more - Google Patents

Non removing form with a structure that has been overlapped 3 or mo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884B1
KR102270884B1 KR1020200125678A KR20200125678A KR102270884B1 KR 102270884 B1 KR102270884 B1 KR 102270884B1 KR 1020200125678 A KR1020200125678 A KR 1020200125678A KR 20200125678 A KR20200125678 A KR 20200125678A KR 102270884 B1 KR102270884 B1 KR 102270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ent
side plate
vertical plat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6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미순
Original Assignee
고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미순 filed Critical 고미순
Priority to KR1020200125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884B1/en
Priority to KR1020210080738A priority patent/KR202200430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8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04C5/03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with indentations, projections, ribs, or the like, for augmenting the adherence to the concret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dismantling formwork which comprises: a lower surface plate which has one or more lower surface beads to protrude upward; a first side surface plat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surface plate, in which a lower end unit is bent and fix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plate to be stoo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plate, and in which one or more first beads, which are formed inwar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re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side surface plat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surface plate, in which a lower end unit is bent and fix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urface plate to be stoo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urface plate, and in which one or more second beads, which are formed inwar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re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side surface plate includes: a first vertical plate plac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wer surface plate; and a first side surface plate lower bent unit which is bent on a lower side of the first vertical plate toward the second side surface plate. The first side surface plate has a structure which is extended as a single plate for the first vertical plate and the first side surface plate lower bent unit. For improving a support force on a concrete load placed in the non-dismantling formwork, the first vertical plate is bent three or more times and overlapped from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first side surface plate lower bent unit up to a part which is apart for a preset distance upwar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have a structure being overlapped three times or more from the part of the side surface plate, which is a single plate, in contact with the first side surface plate lower bent unit up to a certain part upward, and improve the support force on the load of the placed concrete.

Description

3회 이상 중첩된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Non removing form with a structure that has been overlapped 3 or more}{Non removing form with a structure that has been overlapped 3 or more}

본 발명은 3회 이상 중첩된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하중에 대한 지지력 향상을 위하여, 제1측면판의 제1수직판은 제1측면판 하부 절곡부와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부분까지 3회이상 중첩되어 있는 3회이상 중첩된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estructible formwork having a structure overlapped three or more times, and more particularly, in order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load of concrete poured into the formwork, the first vertical plate of the first side plate is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ide plate It relates to a non-destructible formwork having a structure that is overlapped three or more times from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bent part to the part spaced upward by a set distance.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장에는 천장 아래쪽으로 보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거푸집을 설치한다. 종래의 거푸집은 주로 합판 소재로써,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제거되는 탈형 거푸집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러한 탈형 거푸집은 작업 효율이 저하되고 거푸집 제거 시에 발생하는 콘크리트 외부면의 손상 등의 문제가 있어서 최근에는 비탈형 거푸집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beams are installed under the ceiling on the ceiling of a building, and in order to form these beams, a formwork capable of pouring concrete is installed. The conventional formwork is mainly a plywood material, and most of the demolding formwork is removed when the concrete is hardened. However, these demolding forms have problems such as lower work efficiency and damage to the external surface of concrete that occurs during removal of the formwork.

최근 이용되는 비탈형 거푸집은 스틸 등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는데, 경제성을 위해 얇은 플레이트 구조의 판을 용접하거나 절곡시켜서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얇은 플레이트 구조로 인해 충분한 강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거푸집이 콘크리트 타설 시 받는 하중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단일의 플레이트를 이용해서 거푸집을 제작함으로써, 더 큰 하중을 받는 부분의 경우 콘크리트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거나 변형될 위험성이 있는 문제가 있다.The recently used slope-type formwork uses a material such as steel, and is used by welding or bending a plate of a thin plate structure for economical efficiency.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exhibit sufficient rigidity due to such a thin plate structure, and even though the load received when the formwork is poured with concrete is different, by manufacturing the formwork using a single plate, th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risk of being damaged or deformed without bearing the load.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57335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557335

본 발명은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하중에 대한 지지력 향상을 위하여, 제1측면판의 제1수직판은 제1측면판 하부 절곡부와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부분까지 3회이상 중첩되어 있는 3회이상 중첩된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load of concrete poured into the formwork, the first vertical plate of the first side plate is overlapped three or more times from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lower bent part of the first side plate to the part separated upward by a set distan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estructible formwork having a structure overlapped three or more time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해체 거푸집에 있어서, 상부로 돌출되게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면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하면판, 상기 하면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고, 하단부가 상기 하면판의 일측에 절곡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면판의 일측에 세워지며, 내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제1비드가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측면판, 상기 하면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고, 하단부가 상기 하면판의 타측에 절곡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면판의 타측에 세워지며, 내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제2비드가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측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판은, 상기 하면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직판과 상기 제1수직판의 하부에서 상기 제2측면판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측면판 하부 절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수직판과 상기 제1측면판 하부 절곡부의 단일 플레이트로서 일체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무해체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하중에 대한 지지력 향상을 위하여, 상기 제1수직판은 상기 제1측면판 하부 절곡부와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설정 길이 이격된 부분까지 3회 이상으로 벤딩되어 밀착 중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non-disintegrating formwork, the lower surface plate on which one or a plurality of lower surface beads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surface plate, and the lower end is the A first side plate is erected on one side of the lower plate by being bent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plate, and one or a plurality of first beads formed i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surface It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plate, and the lower end is bent and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thereby being erect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and one or a plurality of second beads formed i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a second side plat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direction, wherein the first side plate includes a first vertical plate dispos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lower surface plate and the second side plate under the first vertical plate Including a lower bent portion of the first side plate bent in the plate direction, has a structure that integrally extends as a single plate of the first vertical plate and the lower bent portion of the first side plate, In order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the first vertical plate is bent three or more times from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ower bent portion of the first side plate to the portion spaced upward by a set length to provide a non-dissolving formwork having a structure in which it is closely overlapped. .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해체 거푸집에 있어서,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는 타설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은, 단일 플레이트로서 일체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무해체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하중에 대한 지지력 향상을 위하여, 하면과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설정 길이까지 3회 이상으로 벤딩되어 밀착 중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non-decomposable formwork, a pouring space in which concrete can be poured is formed therein, and the side has a structure that extends integrally as a single plate, In order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concrete load being poured, it provides a non-disintegrating formwork having a structure in which it is bent three or more times from a part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to a set length upwards and closely overlaps.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해체 거푸집에 있어서, 평평하게 배치되는 하면판, 상기 하면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고, 상기 하면판의 일측에 세워지는 제1측면판 및 상기 하면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고, 상기 하면판의 타측에 세워지는 제2측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판은, 상기 하면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직판과 상기 제1수직판의 하부에서 상기 제2측면판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측면판 하부 절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수직판과 상기 제1측면판 하부 절곡부의 단일 플레이트로서 일체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무해체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하중에 대한 지지력 향상을 위하여, 상기 제1수직판은 상기 제1측면판 하부 절곡부와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설정 길이까지 3회 이상으로 벤딩되어 밀착 중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non-disintegrating formwork, the lower plate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the first side plate is erected on one side of the lower plate and a second side plat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plate and standing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wherein the first side plate is a first number dispos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wer plate. A structure including a direct plate and a first side plate lower bent part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plate from the lower part of the first vertical plate, wherein the first vertical plate and the first side plate lower bent part are integrally extended as a single plate In order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load of concrete poured into the non-destructible formwork, the first vertical plate is bent three or more times from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ower bent portion of the first side plate upward to the set length, and overlaps closely To provide a non-destructible formwork having a structured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무해체 거푸집에 있어서, 평평하게 배치되는 하판부, 상기 하판부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도록 세워져서 연결되고, 상기 하판부와 함께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한정하는 제1측판부 및 제2측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해체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하중에 대한 지지력 향상을 위하여, 상기 제1측판부는 상기 하판부와 상기 제1측판부가 연결되는 제1모서리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설정 길이 까지 3회 이상으로 벤딩되어 밀착 중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non-dissolving formwork, the lower plate portion arranged flatly, the lower plate portion is erected and connected to be fix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plate portion, respectively, and the space in which concrete is poured together with the lower plate portion is limited and a first side plate part and a second side plate part, and in order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load of concrete poured into the indestructible formwork, the first side plate part is upward from the first edge where the lower plate part and the first side plate part are connected. To provide a non-decomposable formwork having a structure in which it is bent three or more times up to a set length in the direction and is closely overlapped.

본 발명에 따른 3회 이상 중첩된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non-destructible formwork having a structure overlapped three or more tim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단일의 플레이트인 측면판 중에서 제1측면판 하부 절곡부와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일정한 부분까지 3회 이상 중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First, by having a structure that overlaps three or more times from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ower bent portion of the first side plate to a certain portion upward among the side plates, which are single plate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load of the concrete being poured is improved.

둘째, 별개의 측면판을 결합시켜서 중첩시키는 것이 아니라, 단일의 측면판을 접어서 중첩시키기 때문에 용접 등의 작업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Second, since a single side plate is folded and overlapped rather than overlapped by combining separate side plate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re is no need for work such as welding.

셋째, 측면판 전체를 중첩시키는 것이 아니라, 하중을 많이 받는 측면판 하부에 중첩되는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전체를 중첩시키는 경우에 비해 비용 효율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Third, since a structure overlapped under the side plate receiving a lot of load is formed rather than overlapping the entire side plate, there is an advantage of high cost efficiency compared to the case of overlapping the who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회 이상 중첩된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3회 이상 중첩된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3회 이상 중첩된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의 제1측면판 상부 절곡부를 확대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3회 이상 중첩된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의 제1측면판의 중첩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3회 이상 중첩된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의 하면판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n-destructible formwork having a structure overlapped three or more ti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non-destructible formwork having a structure overlapped three or more times according to FIG. 1 .
3 is an enlarged schematic view of the upper bent portion of the first side plate of the non-destructible formwork having a structure overlapped three or more times according to FIG. 1 .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first side plate of the non-destructible formwork having a structure overlapped three or more times according to FIG. 1;
5 is a schematic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lower plate of the non-destructible formwork having a structure overlapped three or more times according to FIG. 1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회 이상 중첩된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1000)은 거푸집(1100), 스트럽(1200) 및 측압 철물(1300)을 포함한다. 상기 거푸집(1100)은 제1측면판(1110), 제2측면판(1120) 및 하면판(11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측면판(1110) 및 상기 제2측면판(1120)은 상기 하면판(1130) 양측에 각각 세워져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한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푸집(1100)은 정면, 배면 및 상면이 개구된 구조를 갖는 것을 예로 든다.1 to 5 , the non-disintegrating formwork 1000 having a structure overlapped three or more ti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rmwork 1100, a stirrup 1200 and a side pressure hardware 1300. do. The formwork 1100 includes a first side plate 1110 , a second side plate 1120 , and a lower surface plate 1130 . The first side plate 1110 and the second side plate 1120 are respectively erec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late 1130 to define a space in which concrete is poured. In this embodiment, the formwork 11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surface, the rea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re opened as an example.

상기 거푸집(1000)은 내식성의 강판이나 알루미늄 판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거푸집(1000)은 시공되는 건축물에 그대로 잔존하여도 부식되지 않는다. 따라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경화가 완료된 후에 상기 거푸집(1000)을 해체하지 않고, 상기 거푸집(1000)에 직접 설비 작업을 할 수 있다.The formwork 1000 is formed of a corrosion-resistant steel plate or an aluminum plate. Therefore, the formwork 1000 is not corroded even if it remains in the building to be constructed. Therefore, without dismantling the formwork 1000 after hardening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is completed, installation work can be performed directly on the formwork 1000 .

상기 제1측면판(1110)은 제1수직판(1111), 제1비드(1112), 제1측면판 상부절곡(1113) 및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측면판(1110)은 상기 하면판(1130)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하면판(1130)의 일측인 좌측 단부에 절곡되어 고정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다. 그리고 상기 제1측면판(1110)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이 내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상기 제1비드(111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비드(1112)는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두 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제1비드(1112)의 수나 배치 구조는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The first side plate 1110 includes a first vertical plate 1111 , a first bead 1112 , a first side plate upper bent 1113 , and a first side plate lower bent part 1114 . The first side plate 1110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plate 1130 , and is bent and fixed to the left end of the lower plate 1130 so as to be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the first side plate 1110, one or a plurality of the first beads 1112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ace in which the concrete is pour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of the first beads 1112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n example, but the number and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beads 1112 can be freely changed.

상기 제1수직판(1111)은 상기 제1측면판(1110) 중에서 상기 하면판(1130)과 교차하는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평평한 판을 의미한다. 상기 제1수직판(1111)의 상단에는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113)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단에는 상기 제1비드(1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수직판(1111)의 하단은 3중으로 중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데 이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4)와 함께 설명한다.The first vertical plate 1111 refers to a flat plate dispos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wer plate 1130 , among the first side plates 1110 . The first side plate upper bent part 1113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plate 1111, the first side plate lower bent part 1114 is formed at the lower end, and the first side plate lower bent part 1114 is formed at the middle end. Bead 1112 is formed.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plate 1111 has a triple overlapping structure, which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lower bent portion 1114 of the first side plate below.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비드(1112) 중에서 위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1상단 비드(1112a)라고 하고, 상기 제1비드(1112) 중에서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1하단 비드(1112b)라고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비드(1112)가 상하 방향으로 두 개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제1비드(1112)는 상하 방향으로 세 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는 가장 위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1상단 비드(1112a), 가장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1하단 비드(1112b)라고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측면판(1110)에서 상기 제1상단 비드(1112a) 보다 위쪽 부분을 제1측면판 상부라고 하고, 상기 제1측면판(1110) 중에서 상기 제1하단 비드(1112b)보다 아래쪽 부분을 제1측면판 하부라고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one formed at the top of the first bead 1112 is referred to as a first upper bead 1112a, and the one formed at the lower side among the first beads 1112 is referred to as the first lower bead 1112b. do.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only two first beads 1112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three or more first beads 1112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first upper bead 1112a is formed at the uppermost portion, and the first lower bead 1112b is formed at the lowermost portion. In the first side plate 1110 , a portion above the first upper bead 1112a is referred to as a first side plate upper portion, and a portion lower than the first lower bead 1112b in the first side plate 1110 . is called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ide plate.

상기 제1비드(1112)는 상기 제1측면판(1110)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타설 공간 내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설정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비드(1112)는 설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거푸집(1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비드(1112)는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비드(1112)는 상기 제1측면판(1110)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판(1110)을 내측으로 접어서 돌출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제1비드(1112)는 상기 제1측면판(1110)이 접힐 때, 접히는 부분의 위쪽과 아래쪽이 서로 밀착되어 중첩됨으로써 이중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비드(1112)는 상기 타설 공간 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는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제1비드(1112)는 상기 타설 공간 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다가 위쪽으로 절곡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제1비드(1112)는 구조적인 강성과 콘크리트와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구조나 그 외 다른 구조로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The first bead 1112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side plate 1110, is bent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pouring space is formed to protrude a set length. A plurality of the first beads 1112 ar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old 1100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et interval. Of course, only one first bead 1112 may be formed. In addition, the first bead 111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side plate 1110, and is formed to protrude by folding the first side plate 1110 inward. When the first side plate 1110 is folded, the first bead 1112 has a double structure by overlapp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lded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the first bead 1112 protrudes horizontally in the pouring space direction, but the first bead 1112 protrudes horizontally in the pouring space direction and then bends upward in a "┛" structure. may have Of course, if the first bead 1112 has a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structural rigidity and bonding strength with concrete, it may be changed to a "┫" structure or other structures.

그리고 상기 제1비드(1112)에는 상기 측압 철물(1130)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는 제1상단비드 홀(1112a') 및 제1하단비드 홀(1112b')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상단비드 홀(1112a')은 상기 제1상단비드(1112a)에 형성되고, 상기 제1하단비드 홀(1112a")은 상기 제1하단비드(1112b)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상단비드 홀(1112a') 및 상기 제1하단비드 홀(1112b')은 상기 제1상단비드(1112a) 및 상기 제1하단비드(111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든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제1상단비드 홀(1112a') 및 제1하단비드 홀(1112b')은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든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상단비드 홀(1112a') 및 제1하단비드 홀(1112b')이 지그재그 구조로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first upper bead hole 1112a ′ and a first lower bead hole 1112b ′ into which the lateral pressure hardware 1130 can be inserted and coupled are formed in the first bead 1112 . That is, the first upper bead hole 1112a' is formed in the first upper bead 1112a, and the first lower bead hole 1112a" is formed in the first lower bead 1112b.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upper bead hole 1112a' and the first lower bead hole 1112b' are spaced apart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upper bead 1112a and the first lower bead 1112b.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upper bead hole 1112a' and the first lower bead hole 1112b' are formed to b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upper bead hole 1112a' and the first lower bead hole 1112b' may be formed at alternating positions in a zigzag structure.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113)는 상기 제1상단 비드(1112a)보다 위쪽 부분 중에서 상기 제2측면판(1120) 방향을 향해 굽어진 부분을 의미한다. 즉,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113)는 상기 제1수직판(1111)이 상기 제1상단 비드(1112a)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제2측면판(1120) 방향으로 굽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113)는 상기 3회 이상 중첩된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1000)이 슬라브에 연결될 때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113)는 상기 제2측면판(1120)의 반대 방향 아래쪽으로 절곡되다가 상기 제1수직판(1111)과 평행하게 위쪽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후, 상기 제2측면판(1120) 방향으로 절곡되고, 그런 다음 상기 하면판(1130) 방향, 그리고 다시 상기 제2측면판(1120) 방향, 그리고 다시 상기 하면판(1130) 방향으로 절곡되는 구조로 형성된다.The upper bent portion 1113 of the first side plate refers to a portion above the first upper bead 1112a, which is bent toward the second side plate 1120 . That is, the first side plate upper bent portion 1113 is a portion in which the first vertical plate 1111 extends upward from the first upper bead 1112a and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plate 1120. . The first side plate upper bent portion 1113 is formed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when the non-destructible formwork 1000 having the structure overlapped three or more times is connected to the slab.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ide plate upper bent portion 1113 is bent downwar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plate 1120, and is bent upward in parallel with the first vertical plate 1111 to extend, It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plate 1120, and then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1130, and again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plate 1120, and again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1130. do.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4)는 상기 제1하단 비드(1112b)보다 아래쪽 부분 중에서 상기 제2측면판(1120) 방향을 향해 굽어진 부분을 의미한다. 즉,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4)는 상기 제1수직판(1111)이 상기 제1하단 비드(1112b)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제2측면판(1120) 방향으로 굽어지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4)가 상기 제1수직판(1111)과 연결되는 부분을 일측, 상기 하면판(1130)과 연결되는 부분을 타측이라 한다. 이 때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4)의 일측은 3중으로 중첩되어 있는 상기 제1수직판(1111)의 가장 내측 부분과 연결된다.The lower bent portion 1114 of the first side plate refers to a portion lower than the first lower bead 1112b, which is bent toward the second side plate 1120 . That is, the first side plate lower bent portion 1114 is a portion in which the first vertical plate 1111 extends downward from the first lower bead 1112b and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plate 1120. .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ortion where the first side plate lower bent portion 1114 is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plate 1111 is referred to as one side, and a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plate 1130 is referred to as the other side.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lower bent portion 1114 of the first side plate is connected to the innermost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plate 1111 overlapping three times.

즉, 상기 제1수직판(1111)은 하부가 아래쪽으로 단순히 연장되어 있는 구조가 아니라,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4)와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설정 길이까지 3중으로 벤딩되어 중첩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먼저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기 제1수직판(1111)에 밀착되면서 중첩되도록 위쪽으로 절곡되어 설정 길이까지 연장되는 제1수직판 제1중첩부(1111`)를 형성하고, 상기 제1수직판 제1중첩부(1111`)에 밀착되면서 중첩되도록 상기 제1수직판 제1중첩부(1111`)의 하단까지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수직판 제2중첩부(1111``)를 형성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이 때 상기 제1수직판(1111), 상기 제1수직판 제1중첩부(1111`) 및 상기 제1수직판 제2중첩부(1111``)는 단일 플레이트인 제1측면판(1110)이 일체로 연장되고 접혀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직판 제1중첩부(1111`)는, 일측은 상기 제1수직판(1111)과 밀착되고, 타측은 제1수직판 제2중첩부(1111``)와 밀착된다.That is, the first vertical plate 1111 is not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part simply extends downward, but is bent in a triple direction from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ower bent portion 1114 of the first side plate to a set length upward and overlapped. has This structure first forms a first overlapping portion 1111 ′ of a first vertical plate extending to a set length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vertical plate 1111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bending upward to overlap, and the first vertical plate 1111 ′ is extended to a set length. The first vertical plate second overlapping part 1111`` which is bent downwar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plate first overlapping part 1111` so as to overlap and closely adhere to the first vertical plate first overlapping part 1111`` ) is formed by forming At this time, the first vertical plate 1111 , the first vertical plate first overlapping portion 1111 ′ and the first vertical plate second overlapping portion 1111 ′′ are a single plate first side plate 1110 . It is formed by extending and folding this integrally. And the first overlapping portion 1111' of the first vertical plate, one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vertical plate 1111, the other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overlapping portion 1111'' of the first vertical plat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수직판 제1중첩부(1111`) 및 상기 제1수직판 제2중첩부(1111``)를 상기 제1수직판(1111)을 접어서 형성한 것을 예로 들었지만, 상기 제1수직판 제1중첩부(1111`) 및 상기 제1수직판 제2중첩부(1111``)는 별도의 부재를 상기 제1수직판(1111)에 밀착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첩된 부분이 두 번 접혀서 상기 제1수직판(1111)과 3중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중첩된 부분이 세 번 이상 접히는 구조로 형성되어서 4중 이상의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vertical plate first overlapping portion 1111 ′ and the first vertical plate second overlapping portion 1111 ″ are formed by folding the first vertical plate 1111 as an example, but the above The first overlapping portion 1111 ′ of the first vertical plate and the second overlapping portion 1111 ′ of the first vertical plate may be formed by attaching a separate member to the first vertical plate 1111 . Also, in this embodiment, the overlapping portion is folded twice to form a triple structure with the first vertical plate 1111 as an example, but the overlapping portion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folded three or more times to form a structure of four or more may be formed.

그리고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4)는 상기 제1수직판 제2중첩부(1111``)의 하단에서 상기 제2측면판(1120) 방향으로 절곡하여 설정 길이 연장하다가, 위쪽으로 상기 제1수직판(1111)에 평행하게 절곡하여 연장하고, 다시 상기 제1수직판(1111) 방향으로 절곡하여 연장하다가 아래쪽으로 다시 절곡시켜서 형성한다. 즉,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4)의 일측은 상기 제1수직판 제2중첩부(1111``)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4)의 타측은 상기 하면판(1130)의 일측(1132)과 연결된다. 이렇듯 본 실시예에 따른 3회 이상 중첩된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1000)은 콘크리트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수직판(1111)과 접하는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4)의 일측에 상기 제1수직판 제1중첩부(1111`) 및 상기 제1수직판 제2중첩부(1111``)를 중첩하여 3중 구조를 형성한다.And the first side plate lower bent part 1114 is bent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plate second overlapping part 1111``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plate 1120 to extend a set length, and then upward It is formed by bending and extending in parallel to the first vertical plate 1111 , and again bending an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vertical plate 1111 , and then bending it again downward. That is, one side of the lower bent portion 1114 of the first side plate is connected to the second overlapping portion 1111 ″ of the first vertical plat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bent part 1114 of the first side plate is connected to one side 1132 of the lower plate 1130 . As such, in the non-destructible formwork 1000 having a structure overlapped three or more time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lower bent portion 1114 of the first side plate in contact with the first vertical plate 1111 in order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concrete load. ) to form a triple structure by overlapping the first vertical plate first overlapping portion 1111 ′ and the first vertical plate second overlapping portion 1111 ″ on one side.

상기 제2측면판(1120)은 상기 하면판(1130)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2측면판(1120)은 상기 하면판(1130)의 타측에 절곡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면판(1130)의 타측에 세워진다. 상기 제2측면판(1120)은 제2수직판, 제2비드, 제2측면판 상부절곡부 및 제2측면판 하부절곡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수직판은 상기 하면판(113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측면판 하부절곡부는 제2수직판의 하부에서 상기 제1측면판 방향으로 절곡된다. 이 때 상기 제2측면판(1120)은 상기 제2수직판과 상기 제2측면판 하부 절곡부의 단일 플레이트로서 일체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타설되는 콘크리트 하중에 대한 지지력 향상을 위하여, 상기 제2수직판은 상기 제2측면판 하부 절곡부와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부분까지 3회 이상으로 밀착 중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The second side plate 1120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plate 1130 . In addition, the second side plate 1120 is bent and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1130 , thereby being erect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1130 . The second side plate 1120 includes a second vertical plate, a second bead, an upper bent portion of the second side plate, and a lower bent portion of the second side plate. The second vertical plate is dispos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wer plate 1130 . And the lower bent portion of the second side plate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ide plat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plate. At this time, the second side plate 112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vertical plate and the second side plate are integrally extended as a single plate of the lower bent portion. And in order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concrete load to be poured, the second vertical plat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vertical plate is closely overlapped three or more times from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lower bent part of the second side plate to the part spaced apart by a set distance upward.

그리고 상기 제2측면판은 상기 제1비드(1112)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제2비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비드에는 상기 제1상단비드 홀(1112a`) 및 상기 제1하단비드 홀(1112b`)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제2상단비드 홀 및 제2하단비드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하 설명할 상기 측압 철물(1300)이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그 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수직판, 상기 제2비드, 상기 제2측면판 상부절곡부 및 상기 제2측면판 하부절곡부는 상기 제1수직판(1111), 상기 제1비드(1112),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113) 및 상기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4) 각각과 상기 하면판(1130)을 중심으로 대칭 구조로써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2측면판(11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second bead is formed on the second side plate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bead 1112 . In addition, in the second bead, a second upper bead hole and a second lower bead hole are respectively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upper bead hole 1112a ′ and the first lower bead hole 1112b ′,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side pressure hardware 1300 to be inserted may be coupled.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vertical plate, the second bead, the second side plate upper bent portion, and the second side plate lower bent portion are the first vertical plate 1111 and the first bead 1112 , each of the first side plate upper bent part 1113 and the first side plate lower bent part 1114 and the lower plate 1130 have a similar structure as a symmetrical structure.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cond side plate 1120 will be omitted.

상기 하면판(1130)은 상기 제1측면판(1110)과 결합하는 일측(1132), 상기 제2측면판(1120)과 결합하는 타측(1133) 및 상기 타설 공간 내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설정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하면 비드(113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면판(1130)은 직사각형 형태의 평평한 구조를 갖는 것을 예로 든다. 상기 하면 비드(1131)는 설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하면판(1130)의 수평 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면 비드(1131)는 "┃" 구조인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하면 비드(1131)는 "┳"구조나 그 외의 다른 구조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면판(1130)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구조이고, 시공되는 보 구조물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것을 예로 든다.The lower plate 1130 has one side 1132 coupled to the first side plate 1110, the other side 1133 coupled to the second side plate 1120, and the pouring space bent in the inner direction to protrude a set length It includes a lower surface bead 1131 that is formed so as to be.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plate 1130 has a rectangular flat structure as an example. One or a plurality of the lower bead 1131 may be form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plate 1130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et interva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bead 1131 has a “┃” structure as an example, but the lower bead 1131 may have a “┳” structure or other structures.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plate 1130 has a rectangular plate structure, and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eam structure to be constructed.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거푸집(1100)의 변형 가능한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따른 거푸집(1100)의 제1측면판(1110)은 제2측면판(1120)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제1측면판 하부절곡부(1114)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제1측면판(1110)이 상기 제2측면판(1120) 방향으로 절곡되지 않은 부분까지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제1측면판(1110)의 하부가 상기 제2측면판(1120) 방향으로 절곡되기 전까지의 부분을 제1측판부(1110A)라 한다. 그리고 이와 유사한 구조로써 상기 제2측면판(1110)의 하부가 상기 제1측면판(1110) 방향으로 절곡되기 전까지의 부부분을 제2측판부(1120A)라 한다. 그리고 상기 하면판(1130)이 연장되어 상기 제1측판부(1110A) 및 상기 제2측판부(1120A)와 연결되는 부분까지를 하판부(1130A)라 한다. 또한 상기 제1측판부(1110A)와 상기 하판부(1130A)가 맞닿아서 연결되는 부분을 제1모서리라 하고, 상기 제2측판부(1120A)와 상기 하판부(1130A)가 맞닿아서 연결되는 부분을 제2모서리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수직판 제1중첩부(1111`) 및 상기 제1수직판 제2중첩부(1111``)가 상기 제1모서리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설정 길이까지 밀착 중첩되고, 상기 제2측면판에 형성되는 제2수직판 제1중첩부 및 제2수직판 제2중첩부가 상기 제2모서리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설정 길이 까지 밀착 중첩되어 있다. 이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3중 구조인 것을 예로 들지만 4중 이상의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Hereinafter, a deformable structure of the formwork 1100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first side plate 1110 of the formwork 1100 according to FIG. 1 includes a first side plate lower bent portion 1114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plate 1120 . However, the first side plate 1110 may be formed only up to a portion where it is not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plate 1120 . At this time, a portion before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ide plate 1110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plate 1120 is referred to as a first side plate part 1110A. And with a structure similar to this, a portion before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ide plate 1110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ide plate 1110 is referred to as a second side plate part 1120A. And a portion from which the lower plate 1130 extends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ide plate part 1110A and the second side plate part 1120A is referred to as a lower plate part 1130A. In addition, a portion where the first side plate part 1110A and the lower plate part 1130A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referred to as a first corner, and the second side plate part 1120A and the lower plate part 1130A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his part is called the second edg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vertical plate first overlapping portion 1111 ' and the first vertical plate second overlapping portion 1111 '' are closely overlapped from the first edge to a set length in the upward direction, and the second overlapping portion 1111 '' The first overlapping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plate and the second overlapping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plate formed on the second side plate are closely overlapped from the second edge to a set length in the upward direction. This embodiment also exemplifies a triple structure, but may be formed in a quadruple or more structure.

도 1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1000)의 제1측면판 하부 절곡부(1114)는 상기 제1수직판 제2중첩부(1111``)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단일 플레이트 이지만,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제1수직판 제2중첩부(1111``)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하판부(1130A)의 일측으로써 다른 플레이트에 속한다. 즉, 도 1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1000)의 경우에는 제1측면판 하부 절곡부(1114)와 하면판(1130)을 결합하는 구조이지만,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제1수직판 제2중첩부(1111``)와 상기 하판부(1130A)를 결합하는 구조인 것이다.The first side plate lower bent portion 1114 of the non-disintegrating formwork 1000 according to FIG. 1 is a single plate formed integrally by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plate second overlapping portion 1111 ″, but in this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ase,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overlapping portion 1111 ″ of the first vertical plate is one side of the lower plate portion 1130A and belongs to the other plate. That is, in the case of the non-dissolving formwork 1000 according to FIG. 1 , the first side plate lower bent portion 1114 and the lower surface plate 1130 are combined,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vertical plate second It has a structure that combines the overlapping portion 1111 ″ and the lower plate portion 1130A.

상기 스트럽(1200)은 상기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스트럽(1200)은 스트럽 수평부(1210), 스트럽 제1절곡부(1220) 및 스트럽 제2절곡부(1230)를 포함하는 'U'자 형태로 형성된다. 한다. 상기 스트럽(1200)은 상기 스트럽 제1절곡부(1220)가 상기 제1비드(1112)와 결합되고, 상기 스트럽 제2절곡부(1230)가 상기 제2비드와 결합되면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럽 수평부(1210)는 상기 하면 비드(1231) 상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The stirrup 1200 is disposed in the concrete pouring space. The stirrup 1200 is formed in a 'U' shape including a stirrup horizontal portion 1210 , a stirrup first bent portion 1220 , and a stirrup second bent portion 1230 . do. The stirrup 1200 is fixed while the stirrup first bent part 1220 is coupled to the first bead 1112 and the stirrup second bent part 1230 is coupled to the second bead. And the stirrup horizontal portion 1210 is dispos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bead (1231).

상기 스트럽(1200)은 전단 보강근 역할을 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 저항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트럽(1200)은 상기 거푸집(1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럽(1200)은 스폿(spot) 용접을 통해서 상기 제1비드(1112) 및 상기 제2비드와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든다. 따라서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용접 가능하면서도 대량으로 정밀한 용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stirrup 1200 serves as a shear reinforcement, and serves to increase the lateral pressure resistance during concrete pouring. A plurality of stirrups 1200 are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rm 1100 . In this embodiment, the stirrup 1200 is combined with the first bead 1112 and the second bead through spot welding as an exampl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welded irrespective of the skill of the operator and can perform precise welding in large quantities.

상기 측압 철물(1300)은 상기 제1측면판(1110), 상기 제2측면판(1120) 및 상기 하면판(1130)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발생되는 측압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치된다. 상기 측압 철물(1300)은 상기 하면판(113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측압 철물 수평부(1310), 상기 측압 철물 수평부(1310)의 일측 단부가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있는 측압 철물 제1절곡부(1320) 및 상기 수평부(1310)의 타측 단부가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있는 측압 철물 제2절곡부(1330)를 포함한다. 상기 측압 철물(1300)은 상기 하면판(113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도록 배치된다.The lateral pressure hardware 1300 has a bearing capacity for lateral pressure generated by the concrete being poured into the concrete pouring space formed by the first side plate 1110 , the second side plate 1120 and the bottom plate 1130 . placed to improve The side pressure hardware 1300 is a side pressure hardware horizontal portion 1310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ower plate 1130, and one end of the side pressure hardware horizontal portion 1310 is bent downwards in a first bent portion ( 1320) and a second bent portion 1330 of the side pressure hardware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1310 is bent downward. A plurality of the side pressure hardware 1300 is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1130 .

상기 측압 철물(1300)은 상기 측압 철물 제1절곡부(1320)가 상기 제1측면판(1110)과 결합되고, 상기 측압 철물 제2절곡부(1330)가 상기 제2측면판(112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압 철물(1300)은 상기 제1비드(1112) 및 상기 제2비드에 각각 삽입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압 철물 제1절곡부(1320)는 상기 제1상단비드(1112a)에 형성되어 있는 제1상단비드 홀(1112a`)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측압 철물 제2절곡부(1330)는 상기 제2상단비드에 형성되어 있는 제2상단비드 홀에 삽입되어 결합된다.In the side pressure hardware 1300, the side pressure hardware first bent part 1320 is coupled to the first side plate 1110, and the side pressure hardware second bent part 1330 is the second side plate 1120 and are combined Specifically, the side pressure hardware 1300 is disposed to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rst bead 1112 and the second bead, respectively. In this embodiment, the lateral pressure hardware first bent part 1320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rst upper bead hole 1112a' formed in the first upper bead 1112a, and the lateral pressure hardware second bent part ( 1330)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second upper bead hole formed in the second upper bead.

이렇듯 본 실시예에 따른 3회 이상 중첩된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은(1000)은 상기 스트럽(1200)뿐만 아니라, 상기 측압 철물(1300)이 더 설치되어 있어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발생되는 측압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압 철물(1300)은 별도의 결합 부재 없이도 상기 제1상단비드 홀(1112a`) 및 상기 제2상단비드 홀에 끼워서 고정이 가능하므로 설치상 간편한 장점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압 철물이 상기 제1상단비드(1112a) 및 상기 제2상단비드에만 설치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측압 철물은 상기 제1하단비드(1112b) 및 상기 제2하단비드에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압 철물(1300)은 상기 스트럽(1200)과 밀착되도록 결합하여 상기 스트럽(120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 때는 상기 측압 철물(1300)과 상기 스트럽(1200)을 용접을 통해 결합할 수도 있고, 타이를 통해 묶어서 고정할 수도 있다.As such, in the non-destructible formwork 1000 having a structure overlapped three or more time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not only the stirrup 1200, but also the side pressure hardware 1300 is further installed, so that it is generated by the concrete being pour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bearing capacity for lateral pressure is improved.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side pressure hardware 1300 can be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upper bead hole 1112a ′ and the second upper bead hole without a separate coupling member, so there is a convenient advantage in installation. 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lateral pressure hardware is installed only on the first upper bead 1112a and the second upper bead, but the lateral pressure hardware is also installed on the first lower bead 1112b and the second lower bead. can be In addition, the side pressure hardware 1300 may serve to fix the stirrup 1200 by being coupled to the stirrup 1200 in close contact. In this case, the side pressure hardware 1300 and the stirrup 1200 may be coupled through welding, or may be fixed by binding through a ti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which is merely exempl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0: 3회 이상 중첩된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
1100: 거푸집
1110: 제1측면판
1111: 제1수직판
1111`: 제1수직판 제1중첩부
1111``: 제1수직판 제2중첩부
1112: 제1비드
1112a: 제1상단비드
1112a`: 제1상단비드 홀
1112b: 제1하단비드
1112b`: 제1하단비드 홀
1113: 제1측면판 상부 절곡부
1114: 제1측면판 하부 절곡부
1120: 제2측면판
1130: 하면판
1131: 하면판 비드
1132: 하면판 일측
1133: 하면판 타측
1200: 스트럽
1210: 스트럽 수평부
1220: 스트럽 제1절곡부
1230: 스트럽 제2절곡부
1300: 측압 철물
1310: 측압 철물 수평부
1320: 측압 철물 제1절곡부
1330: 측압 철물 제2절곡부
1000: Indestructible formwork having a structure overlapped three or more times
1100: formwork
1110: first side plate
1111: first vertical plate
1111`: 1st vertical plate 1st overlapping part
1111``: 1st vertical plate 2nd overlapping part
1112: first bid
1112a: first upper bead
1112a`: first upper bead hole
1112b: first lower bead
1112b`: first lower bead hole
1113: upper bent portion of the first side plate
1114: first side plate lower bent part
1120: second side plate
1130: lower plate
1131: lower plate bead
1132: one side of the lower plate
1133: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1200: stirrup
1210: stirrup horizontal
1220: stirrup first bend
1230: stirrup second bend
1300: side pressure hardware
1310: side pressure hardware horizontal part
1320: lateral pressure hardware first bent part
1330: lateral pressure hardware second bent part

Claims (11)

무해체 거푸집에 있어서,
상부로 돌출되게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면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하면판;
상기 하면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고, 하단부가 상기 하면판의 일측에 절곡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면판의 일측에 세워지며, 내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제1비드가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측면판;
상기 하면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고, 하단부가 상기 하면판의 타측에 절곡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면판의 타측에 세워지며, 내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제2비드가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측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판은,
상기 하면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직판과 상기 제1수직판의 하부에서 상기 제2측면판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측면판 하부 절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수직판과 상기 제1측면판 하부 절곡부의 단일 플레이트로서 일체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무해체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하중에 대한 지지력 향상을 위하여, 상기 제1수직판은 상기 제1측면판 하부 절곡부와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설정 길이 이격된 부분까지 3회 이상으로 벤딩되어 밀착 중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3회이상 벤딩되어 밀착 중첩되어 있는 구조는,
상기 제1수직판의 하부가 상기 제1수직판에 밀착되면서 중첩되도록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절곡되어 설정 길이까지 연장되는 제1수직판 제1중첩부; 및
상기 제1수직판 제1중첩부에 밀착되면서 중첩되도록 상기 제1수직판 제1중첩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수직판 제2중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수직판 제1중첩부 및 상기 제2수직판 제2중첩부는,
단일 플레이트인 상기 제1수직판이 상하 방향으로 일체로 접혀서 형성되는,
무해체 거푸집.
In the non-destructible formwork,
a bottom plate on which one or a plurality of bottom beads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
One or a plurality of first beads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plate, the lower end is bent to one side of the lower plate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plate, and formed i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side plat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plate, the lower end is bent and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thereby standing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one or a plurality of second beads formed i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side plat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side plate,
A first vertical plate dispos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lower plate and a first side plate lower bent portion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plate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plate,
It has a structure extending integrally as a single plate of the first vertical plate and the lower bent portion of the first side plate,
In order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load of concrete poured into the indestructible formwork, the first vertical plate is bent more than three times from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lower bent part of the first side plate to the part spaced apart by a set length upwards, so that close overlapping has a structure that is
The structure that is bent three times or more and closely overlaps,
a first overlapping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plate that is bent from the bottom to the top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plate overlaps whil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vertical plate and extends to a set length; and
and a second overlapping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plate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first overlapping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plate so that it overlaps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overlapping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plate,
The first overlapping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plate and the second overlapping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plate,
The first vertical plate, which is a single plate, is formed by being integrally fol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destructible formwor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판은,
상기 하면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수직판과 상기 제2수직판의 하부에서 상기 제1측면판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측면판 하부 절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수직판과 상기 제2측면판 하부 절곡부의 단일 플레이트로서 일체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무해체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하중에 대한 지지력 향상을 위하여, 상기 제2수직판은 상기 제2측면판 하부 절곡부와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설정 길이 이격된 부분까지 3회 이상으로 밀착 중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side plate,
A second vertical plate dispos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lower plate and a second side plate lower bent portion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ide plate from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plate,
It has a structure extending integrally as a single plate of the second vertical plate and the lower bent portion of the second side plate,
In order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load of concrete poured into the indestructible formwork, the second vertical plate is closely overlapped three or more times from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lower bent part of the second side plate to the part separated by a set length upward. having a structure,
Indestructible formwor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면판, 상기 제1측면판 및 상기 제2측면판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발생되는 측압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타설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하면판과 평행한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일측 단부가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측면판과 결합되는 제1절곡부; 및
상기 수평부의 타측 단부가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측면판과 결합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는 측압 철물을 더 포함하는,
무해체 거푸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oedoe disposed in the pouring space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lateral pressure generated by the concrete poured into the concrete pouring space formed by the lower plate,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second side plate,
a horizontal portion parallel to the lower plate;
a first bent part in which one end of the horizontal part is bent downward and coupled to the first side plate; and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is bent downward further comprising a side pressure hardware including a second bent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side plate,
Indestructible formwork.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측압 철물은,
상기 하면판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무해체 거푸집.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ide pressure hardware is
A plurality of piece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Indestructible formwork.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는 상기 제1비드와 결합되고,
상기 제2절곡부는 상기 제2비드와 결합되는,
무해체 거푸집.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bent portion is coupled to the first bead,
The second bent portion is coupled to the second bead,
Indestructible formwork.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비드는,
상기 제1절곡부가 삽입하여 결합될 수 있는 제1비드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비드는,
상기 제1비드와 마주보는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절곡부가 삽입하여 결합될 수 있는 제2비드 홀이 형성되어 있는,
무해체 거푸집.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bead,
A first bead hole into which the first bent part can be inserted and coupled is formed,
The second bead,
Doedoe formed to correspond to a position facing the first bead, a second bead hole into which the second bent part can be inserted and coupled is formed,
Indestructible formwork.
삭제delete 무해체 거푸집에 있어서,
평평하게 배치되는 하면판;
상기 하면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고, 상기 하면판의 일측에 세워지는 제1측면판; 및
상기 하면판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고, 상기 하면판의 타측에 세워지는 제2측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판은,
상기 하면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직판과 상기 제1수직판의 하부에서 상기 제2측면판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측면판 하부 절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수직판과 상기 제1측면판 하부 절곡부의 단일 플레이트로서 일체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무해체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하중에 대한 지지력 향상을 위하여, 상기 제1수직판은 상기 제1측면판 하부 절곡부와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설정 길이까지 3회 이상으로 벤딩되어 밀착 중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3회이상 벤딩되어 밀착 중첩되어 있는 구조는,
상기 제1수직판의 하부가 상기 제1수직판에 밀착되면서 중첩되도록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절곡되어 설정 길이까지 연장되는 제1수직판 제1중첩부; 및
상기 제1수직판 제1중첩부에 밀착되면서 중첩되도록 상기 제1수직판 제1중첩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수직판 제2중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수직판 제1중첩부 및 상기 제2수직판 제2중첩부는,
단일 플레이트인 상기 제1수직판이 상하 방향으로 일체로 접혀서 형성되는,
무해체 거푸집.
In the non-destructible formwork,
a lower plate disposed flat;
a first side plat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plate and standing on one side of the lower plate; and
and a second side plat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plate and erect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late,
The first side plate,
A first vertical plate dispos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lower plate and a first side plate lower bent portion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plate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plate,
It has a structure extending integrally as a single plate of the first vertical plate and the lower bent portion of the first side plate,
In order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load of concrete poured into the indestructible formwork, the first vertical plate is bent three or more times from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lower bent part of the first side plate to the set length upwards, so that the structure is closely overlapped. has,
The structure that is bent three times or more and closely overlaps,
a first overlapping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plate that is bent from the bottom to the top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plate overlaps whil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vertical plate and extends to a set length; and
and a second overlapping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plate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first overlapping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plate so as to overlap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overlapping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plate,
The first overlapping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plate and the second overlapping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plate,
The first vertical plate, which is a single plate, is formed by being integrally fol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destructible formwork.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판은,
상기 하면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수직판과 상기 제2수직판의 하부에서 상기 제1측면판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측면판 하부 절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수직판과 상기 제2측면판 하부 절곡부의 단일 플레이트로서 일체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무해체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하중에 대한 지지력 향상을 위하여, 상기 제2수직판은 상기 제2측면판 하부 절곡부와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설정 길이까지 3회 이상으로 밀착 중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side plate,
A second vertical plate dispos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lower plate and a second side plate lower bent portion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ide plate from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plate,
It has a structure extending integrally as a single plate of the second vertical plate and the lower bent portion of the second side plate,
In order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load of concrete poured into the indestructible formwork, the second vertical plat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vertical plate is closely overlapped three times or more from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ower bent portion of the second side plate to the set length upward. ,
Indestructible formwork.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25678A 2020-09-28 2020-09-28 Non removing form with a structure that has been overlapped 3 or more KR1022708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678A KR102270884B1 (en) 2020-09-28 2020-09-28 Non removing form with a structure that has been overlapped 3 or more
KR1020210080738A KR20220043009A (en) 2020-09-28 2021-06-22 Non removing form with a structure that has been overlapped 3 or mo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678A KR102270884B1 (en) 2020-09-28 2020-09-28 Non removing form with a structure that has been overlapped 3 or mor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738A Division KR20220043009A (en) 2020-09-28 2021-06-22 Non removing form with a structure that has been overlapped 3 or mo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884B1 true KR102270884B1 (en) 2021-06-29

Family

ID=766262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678A KR102270884B1 (en) 2020-09-28 2020-09-28 Non removing form with a structure that has been overlapped 3 or more
KR1020210080738A KR20220043009A (en) 2020-09-28 2021-06-22 Non removing form with a structure that has been overlapped 3 or mor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738A KR20220043009A (en) 2020-09-28 2021-06-22 Non removing form with a structure that has been overlapped 3 or mo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7088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335B1 (en) 2003-08-26 2006-03-07 주식회사 삼중종합건축사사무소 A Dismonuting Structure For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09753B1 (en) * 2010-07-21 2011-01-19 (주)동하이엔지 Beam structural form
KR102007464B1 (en) * 2018-11-29 2019-08-06 주식회사 정인에스앤씨 Prefabricated beam mold device
KR102154621B1 (en) * 2020-04-06 2020-09-10 고미순 Non removing form assembly with insula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beam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200109591A (en) * 2019-03-13 2020-09-23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Non-disband Mold assembly for fabricating the gird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335B1 (en) 2003-08-26 2006-03-07 주식회사 삼중종합건축사사무소 A Dismonuting Structure For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09753B1 (en) * 2010-07-21 2011-01-19 (주)동하이엔지 Beam structural form
KR102007464B1 (en) * 2018-11-29 2019-08-06 주식회사 정인에스앤씨 Prefabricated beam mold device
KR20200109591A (en) * 2019-03-13 2020-09-23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Non-disband Mold assembly for fabricating the girder
KR102154621B1 (en) * 2020-04-06 2020-09-10 고미순 Non removing form assembly with insula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beam structur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009A (en)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4141B1 (en) beam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6108595B2 (en) Ribbed precast concrete plate and method of placing concrete floor slab and beam using it
KR102444580B1 (en) Non removing form with double structure and non removing form assembly with insulation inside the same
KR102270884B1 (en) Non removing form with a structure that has been overlapped 3 or more
KR20180009205A (en) Pre-fabricated column structure with l-type steel material
KR102115986B1 (en) Form panel and prefabricated re-bar column structure therewith
JP3830767B2 (en) Continuous girder for bridge
JPH0540498U (en) Concrete stop material with ribs around slabs
JP4164511B2 (en) Deck plate with rebar truss
JP6832568B2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stirrup bar unit and reinforced concrete beam
JP6899525B2 (en) Assembled steel stairs
KR20220055831A (en) Combined structure of non removing form and hory beam
JP7149578B2 (en) Fixture
JP7145678B2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ile head of ready-made pile and foundation footing
JP4666851B2 (en) Reinforced concrete corner reinforcement structure
KR200323006Y1 (en) Deck plate for form
JP5697942B2 (en) Reinforcing bar unit and foundation reinforcing bar unit and foundation reinforcing bar structure
KR102214526B1 (en) Hybrid beam
JP4933847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solid foundation corner corner unit rebar
KR102658814B1 (en) Deck plate form for RC beam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654294B1 (en) Non-welded steel form with symmetrical reinforcing ribs
JP7370577B2 (en) Reinforcement fittings and reinforcement structure for reinforced concrete perforated beams
KR102196893B1 (en) Drop panel having One Body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using the drop panel
KR200336848Y1 (en) The structure of a steel-spacer for a steel concrete fabric
JP7076101B2 (en) Construction method of synthetic sla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