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664A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664A
KR20210054664A KR1020190140574A KR20190140574A KR20210054664A KR 20210054664 A KR20210054664 A KR 20210054664A KR 1020190140574 A KR1020190140574 A KR 1020190140574A KR 20190140574 A KR20190140574 A KR 20190140574A KR 20210054664 A KR20210054664 A KR 20210054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mobile terminal
image
avata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민
Original Assignee
김보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민 filed Critical 김보민
Priority to KR1020190140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4664A/ko
Publication of KR20210054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06K9/0036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의 피팅 앱의 구동에 따라, 사용자의 피팅 기본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신에 대한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피팅 기본정보와 함께 상기 정면 이미지 및 상기 측면 이미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망으로 연결된 피팅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피팅 서버는 상기 정면 이미지 및 상기 측면 이미지의 특징점들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피팅 서버는 상기 검출된 신체 사이즈에 대응하는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의상 쇼핑몰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의상을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피팅 서버는 선택된 의상을 상기 아바타와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피팅 서버가 상기 의상이 합성된 피팅 아바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피팅 아바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방법 및 시스템{Virtual fitting method and system for clothes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의상에 대한 가상 피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최적화된 아바타의 생성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및 패션 잡화 제품을 구매하는 고객들은 실제 제품을 직접 착용하여 자신에게 잘 어울리는지, 잘 맞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제품을 구매하게 된다.
그러나, 구매자가 제품을 직접 착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제품 판매처에 직접 방문해야 가능하므로, 이로 인하여 시간적인 손실, 교통비 등의 비용적인 손실 및 번거롭고 불편한 각종 수고스러움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고객들은 상기한 불편함에 의해 또한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는 횟수보다 온라인 매장에서 의류나 패션 잡화를 구입하는 빈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근래에는 온라인을 통해서 제품을 구매하고자 할 때 가상의 아바타나 캐릭터에 제품을 미리 착용시켜 본 뒤 자신에게 가상 잘 어울리는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3차원 가상 캐릭터에 자신의 신체정보, 헤어정보 등을 입력하여 표현하고, 표현된 캐릭터에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착용시켜 자신에 맞는 피팅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그런데, 인터넷 쇼핑 사이트를 통해 옷 또는 액세서리를 구입하는 방법은 시간 소비를 줄일 수 있고, 장소에 제약 없이 여러 브랜드를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착용 해볼 수 없어 소비자 입장에선 선택에 고민이 되고, 판매자 입장에서도 혹 소비자가 제품을 수령한 후 불만족하여 상품이 반품되는 것에 대한 고민이 있다. 이와 같이 인터넷을 통한 제품의 구매는 구매자가 직접 착용해볼 수 없어 본인에게 잘 맞는지, 잘 어울리는지를 판단하기가 어려워 구매 후 반품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상기 캐릭터에 자신의 신체정보 등을 정확하게 입력하여도 그래픽에 의해 만들어진 캐릭터는 현실감이 떨어지게 되므로 정확한 피팅 정보를 획득하기 어렵고, 제품 또한 업체에서 제공하는 것에 한정 되므로 다양한 형태의 피팅 정보를 획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76994호(공고일 2018년7월10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을 정확히 측정하여 이에 대응하는 아바타를 생성하여 의상을 피팅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의 피팅 앱의 구동에 따라, 사용자의 피팅 기본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신에 대한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피팅 기본정보와 함께 상기 정면 이미지 및 상기 측면 이미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망으로 연결된 피팅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피팅 서버는 상기 정면 이미지 및 상기 측면 이미지의 특징점들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피팅 서버는 상기 검출된 신체 사이즈에 대응하는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의상 쇼핑몰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의상을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피팅 서버는 선택된 의상을 상기 아바타와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피팅 서버가 상기 의상이 합성된 피팅 아바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피팅 아바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점들은, 상기 사용자의 목, 어깨, 가슴, 허리, 엉덩이, 팔꿈치, 손목, 무릎 및 발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체 사이즈는, 가슴, 허리 및 엉덩이 중 어느 하나의 사이즈를 포함하고,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가슴, 상기 허리 및 상기 엉덩이 중 어느 하나의 둘레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Figure pat00001
상기 C는 상기 가슴, 상기 허리 또는 상기 엉덩이 중 어느 하나의 둘레를 의미하고, 상기 a는 상기 정면 이미지에서 상기 가슴, 상기 허리 또는 상기 엉덩이의 폭을 의미하고, 상기 b는 상기 측면 이미지에서 상기 가슴, 상기 허리 또는 상기 엉덩이의 폭을 의미한다.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정면 이미지와 상기 측면 이미지 사이의 이미지 매핑을 위한 스케일 조정을 수행한 후에, 상기 신체 사이즈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팅 아바타를 표시한 후에, 상기 피팅 서버는 상기 피팅 아바타의 캣워킹 동작이미지를 생성 및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피팅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피팅 아바타의 캣워킹 동작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시스템은 피팅 앱의 구동에 따라, 사용자의 피팅 기본정보를 입력받고,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신에 대한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를 획득하며, 상기 피팅 기본정보와 함께 상기 정면 이미지 및 상기 측면 이미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망으로 연결된 피팅 서버로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피팅 기본정보와 함께 상기 정면 이미지 및 상기 측면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정면 이미지 및 상기 측면 이미지의 특징점들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신체 사이즈에 대응하는 아바타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의상 쇼핑몰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의상을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피팅 서버는 선택된 의상을 상기 아바타와 합성하고, 상기 의상이 합성된 피팅 아바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피팅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피팅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피팅 아바타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점들은, 상기 사용자의 목, 어깨, 가슴, 허리, 엉덩이, 팔꿈치, 손목, 무릎 및 발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팅 서버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가슴, 허리 및 엉덩이 중 어느 하나의 둘레를 상기 신체 사이즈로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Figure pat00002
상기 C는 상기 가슴, 상기 허리 또는 상기 엉덩이 중 어느 하나의 둘레를 의미하고, 상기 a는 상기 정면 이미지에서 상기 가슴, 상기 허리 또는 상기 엉덩이의 폭을 의미하고, 상기 b는 상기 측면 이미지에서 상기 가슴, 상기 허리 또는 상기 엉덩이의 폭을 의미한다.
상기 피팅 서버는, 상기 정면 이미지와 상기 측면 이미지 사이의 이미지 매핑을 위한 스케일 조정을 수행한 후에, 상기 신체 사이즈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팅 서버는, 상기 피팅 아바타의 캣워킹 동작이미지를 생성 및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피팅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피팅 아바타의 캣워킹 동작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신에 대한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를 획득하고, 피팅 서버가 정면 이미지 및 측면 이미지의 특징점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검출한 후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의상을 아바타와 합성하여 피팅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보다 정확한 피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피팅 아바타의 캣워킹 이미지 제공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의상에 대한 착용 시에 나타날 수 있는 사이즈에 대한 미스 매칭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피팅 앱의 구동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상에 표시되는 사용자의 피팅 기본정보의 입력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다.
도 3은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해 사용자의 정면 이미지 및 측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포즈 에스티메이션 기법과 세그멘테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추출하는 과정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5는 피팅 서버에 의해 생성된 아바타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6은 생성된 아바타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의상을 합성한 상태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7은 의상이 합성된 피팅 아바타의 캣워킹 동작 이미지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상 피팅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10), 통신망(20) 및 피팅 서버(30)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기(10)는 피팅 앱의 구동에 따라, 사용자의 피팅 기본정보를 입력받고,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신에 대한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를 획득하며, 상기 피팅 기본정보와 함께 상기 정면 이미지 및 상기 측면 이미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망(20)으로 연결된 피팅 서버로 전송한다.
도 2는 피팅 앱의 구동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 상에 표시되는 사용자의 피팅 기본정보의 입력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다.
도 2에 도시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에, 피팅 기본정보로서, 사용자의 신장정보와 몸무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0)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전신에 대한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를 촬영하면, 모바일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전신에 대한 정면 이미지 및 측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해 사용자의 정면 이미지 및 측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그 후, 모바일 단말기(10)는 획득한 사용자의 정면 이미지 및 측면 이미지와 함께 사용자의 피팅 기본정보를 통신망(20)으로 연결된 피팅 서버(30)로 전송한다.
통신망(20)은 모바일 단말기(10) 및 피팅 서버(30)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모바일 단말기(10)와 피팅 서버(3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통신망(20)은모바일 단말기(10)와 피팅 서버(3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망으로서 유선 인터넷, LAN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망로서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 WiFi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 또는 WiMax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 또는 CDMA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 또는 HSUPA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및 5G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피팅 서버(30)는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피팅 기본정보와 함께 상기 정면 이미지 및 상기 측면 이미지를 수신하면, 상기 정면 이미지 및 상기 측면 이미지의 특징점들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검출한다.
피팅 서버(30)는 이미지 처리와 관련한 포즈 에스티메이션(pose estimation) 기법과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면 이미지 및 측면 이미지로부터 특징점들을 추출하고, 사용자의 이미지를 배경 이미지로부터 구분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사이즈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피팅 서버(30)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기계 학습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예측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포즈 에스티메이션 기법과 세그멘테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추출하는 과정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포즈 에스티메이션 기법에 의해 사용자의 전신 이미지로부터 특징점들이 추출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특징점들은, 상기 사용자의 목, 어깨, 가슴, 허리, 엉덩이, 팔꿈치, 손목, 무릎 및 발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c는 세그멘테이션 기법에 의해 사용자의 전신 이미지가 배경 이미지와 구분되어진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피팅 서버(30)는, 전신 이미지가 배경 이미지와 구분되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피팅 서버(30)는,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 사이의 이미지 매핑을 위한 스케일 조정을 수행한다. 스케일 조정은 사용자의 피팅 기본 정보(예를 들어, 신장 정보, 몸무게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특징점들(예를 들어, 목, 어깨, 가슴, 허리, 엉덩이, 팔꿈치, 손목, 무릎 및 발목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스케일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피팅 서버(30)는 다음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가슴, 허리 및 엉덩이 중 어느 하나의 둘레를 상기 신체 사이즈로서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상기 C는 상기 가슴, 상기 허리 또는 상기 엉덩이 중 어느 하나의 둘레를 의미하고, 상기 a는 상기 정면 이미지에서 상기 가슴, 상기 허리 또는 상기 엉덩이의 폭을 의미하고, 상기 b는 상기 측면 이미지에서 상기 가슴, 상기 허리 또는 상기 엉덩이의 폭을 의미한다.
피팅 서버(30)는 가슴, 허리, 엉덩이 등의 둘레를 검출하기 위해, 사람 신체의 특징점들을 기준으로, 측면 이미지의 실루엣 정보로부터 가슴, 허리, 엉덩이의 위치값을 추출한다. 그 후, 피팅 서버(30)는 정면 이미지로부터 사람의 몸통을 형상화한 타원의 장축 길이값인 a를 산출하고, 측면 이미지로부터 타원의 단축 길이값인 b를 산출한다. 그 후, 피팅 서버(30)는 타원의 원주의 길이로 가슴, 허리, 엉덩이 등의 둘레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피팅 서버(30)는, 전술한 가슴, 허리 및 엉덩이 중 어느 하나의 둘레를 산출함과 아울러, 특징점들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소매길이, 짧은 총장, 긴 총장, 어깨 길이, 다리 길이 등을 산출한다.
피팅 서버(30)는 검출된 신체 사이즈에 대응하는 아바타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의상 쇼핑몰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의상을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피팅 서버는 선택된 의상을 상기 아바타와 합성한다.
도 5는 피팅 서버(30)에 의해 생성된 아바타를 예시하는 참조도이고, 도 6은 생성된 아바타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의상을 합성한 상태를 예시하는 참조도이고, 도 7은 의상이 합성된 피팅 아바타의 캣워킹 동작 이미지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피팅 서버(30)는 의상이 합성된 피팅 아바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또한, 피팅 서버(30)는 피팅 아바타의 캣워킹 동작이미지를 모바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는 피팅 서버(30)로부터 수신된 피팅 아바타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는 피팅 서버(30)로부터 전송된 피팅 아바타의 캣워킹 동작을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모바일 단말기(10) 상에 표시되는 피팅 아바타를 나타내며, 도 7은 모바일 단말기(10) 상에 표시되는 캣워킹 동작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먼저, 모바일 단말기의 피팅 앱의 구동에 따라, 사용자의 피팅 기본정보를 입력받는다(S100 단계).
S100 단계 후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신에 대한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를 획득한다(S102 단계).
S102 단계 후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피팅 기본정보와 함께 상기 정면 이미지 및 상기 측면 이미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망으로 연결된 피팅 서버로 전송한다(S104 단계).
S104 단계 후에, 상기 피팅 서버는 상기 정면 이미지 및 상기 측면 이미지의 특징점들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검출한다(S106 단계). 상기 특징점들은, 상기 사용자의 어깨, 가슴, 허리, 엉덩이, 팔꿈치, 손목, 무릎 및 발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정면 이미지와 상기 측면 이미지 사이의 이미지 크기의 조정을 위한 켈리브레이션을 수행한 후에, 상기 신체 사이즈를 검출한다.
상기 신체 사이즈는, 가슴, 허리 및 엉덩이 중 어느 하나의 사이즈를 포함하고, 전술한 수학식1을 이용하여 상기 가슴, 상기 허리 및 상기 엉덩이 중 어느 하나의 둘레를 산출한다.
S106 단계 후에, 상기 피팅 서버는 상기 검출된 신체 사이즈에 대응하는 아바타를 생성한다(S108 단계).
S108 단계 후에, 상기 사용자가 의상 쇼핑몰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의상을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피팅 서버는 선택된 의상을 상기 아바타와 합성한다(S110 단계).
S110 단계 후에, 상기 피팅 서버가 상기 의상이 합성된 피팅 아바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피팅 아바타를 표시한다(S112 단계).
S112 단계 후에, 상기 피팅 서버는 상기 피팅 아바타의 캣워킹 동작이미지를 생성 및 전송한다(S114 단계).
S114 단계 후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피팅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피팅 아바타의 캣워킹 동작이미지를 표시한다(S116 단계).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소정 기록매체에 기록해 둠으로써 다양한 재생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재생장치는 PC, 노트북, 휴대용 단말 등일 수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각 재생장치의 내장형으로 하드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RAM, ROM 등이거나, 외장형으로 CD-R, CD-RW와 같은 광디스크, 콤팩트 플래시 카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멀티미디어 카드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모바일 단말기의 피팅 앱의 구동에 따라, 사용자의 피팅 기본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신에 대한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피팅 기본정보와 함께 상기 정면 이미지 및 상기 측면 이미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망으로 연결된 피팅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피팅 서버는 상기 정면 이미지 및 상기 측면 이미지의 특징점들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피팅 서버는 상기 검출된 신체 사이즈에 대응하는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의상 쇼핑몰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의상을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피팅 서버는 선택된 의상을 상기 아바타와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피팅 서버가 상기 의상이 합성된 피팅 아바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피팅 아바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징점들은,
    상기 사용자의 목, 어깨, 가슴, 허리, 엉덩이, 팔꿈치, 손목, 무릎 및 발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체 사이즈는,
    가슴, 허리 및 엉덩이 중 어느 하나의 사이즈를 포함하고,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가슴, 상기 허리 및 상기 엉덩이 중 어느 하나의 둘레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방법.
    [수학식]
    Figure pat00004

    상기 C는 상기 가슴, 상기 허리 또는 상기 엉덩이 중 어느 하나의 둘레를 의미하고, 상기 a는 상기 정면 이미지에서 상기 가슴, 상기 허리 또는 상기 엉덩이의 폭을 의미하고, 상기 b는 상기 측면 이미지에서 상기 가슴, 상기 허리 또는 상기 엉덩이의 폭을 의미한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정면 이미지와 상기 측면 이미지 사이의 이미지 매핑을 위한 스케일 조정을 수행한 후에, 상기 신체 사이즈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팅 아바타를 표시한 후에, 상기 피팅 서버는 상기 피팅 아바타의 캣워킹 동작이미지를 생성 및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피팅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피팅 아바타의 캣워킹 동작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방법.
  6. 피팅 앱의 구동에 따라, 사용자의 피팅 기본정보를 입력받고,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신에 대한 정면 이미지와 측면 이미지를 획득하며, 상기 피팅 기본정보와 함께 상기 정면 이미지 및 상기 측면 이미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망으로 연결된 피팅 서버로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피팅 기본정보와 함께 상기 정면 이미지 및 상기 측면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정면 이미지 및 상기 측면 이미지의 특징점들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신체 사이즈에 대응하는 아바타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의상 쇼핑몰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의상을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피팅 서버는 선택된 의상을 상기 아바타와 합성하고, 상기 의상이 합성된 피팅 아바타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피팅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피팅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피팅 아바타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특징점들은,
    상기 사용자의 목, 어깨, 가슴, 허리, 엉덩이, 팔꿈치, 손목, 무릎 및 발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피팅 서버는,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가슴, 허리 및 엉덩이 중 어느 하나의 둘레를 상기 신체 사이즈로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시스템.
    [수학식]
    Figure pat00005

    상기 C는 상기 가슴, 상기 허리 또는 상기 엉덩이 중 어느 하나의 둘레를 의미하고, 상기 a는 상기 정면 이미지에서 상기 가슴, 상기 허리 또는 상기 엉덩이의 폭을 의미하고, 상기 b는 상기 측면 이미지에서 상기 가슴, 상기 허리 또는 상기 엉덩이의 폭을 의미한다.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피팅 서버는,
    상기 정면 이미지와 상기 측면 이미지 사이의 이미지 매핑을 위한 스케일 조정을 수행한 후에, 상기 신체 사이즈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팅 서버는, 상기 피팅 아바타의 캣워킹 동작이미지를 생성 및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피팅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피팅 아바타의 캣워킹 동작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시스템.
KR1020190140574A 2019-11-06 2019-11-06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54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574A KR20210054664A (ko) 2019-11-06 2019-11-06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574A KR20210054664A (ko) 2019-11-06 2019-11-06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664A true KR20210054664A (ko) 2021-05-14

Family

ID=75915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574A KR20210054664A (ko) 2019-11-06 2019-11-06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46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208A1 (ko) * 2021-11-25 2023-06-01 에이아이바 주식회사 실감형 패션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하는 방법, 그 장치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994B1 (ko) 2017-06-05 2018-07-10 (주)서울전업공사 Led 패널 기반의 가상 피팅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994B1 (ko) 2017-06-05 2018-07-10 (주)서울전업공사 Led 패널 기반의 가상 피팅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208A1 (ko) * 2021-11-25 2023-06-01 에이아이바 주식회사 실감형 패션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하는 방법, 그 장치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191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virtual fitting rooms or hybrid stores
KR102189394B1 (ko) 패션 선호도 분석 기법
US8818883B2 (en) Personalized shopping avatar
WO202020365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20938B1 (ko) 의류 제품 판매 지원 장치와 이와 통신 가능한 의류 제품 정보 관리 서버, 의류 연관 제품 추천 서버 및 의류 제품 정보 제공 방법
KR101682769B1 (ko) 사용자맞춤형 온라인 패션 코디네이션 자동 매칭방법
KR102415338B1 (ko)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30027801A (ko) 스타일매칭용 사용자단말기, 스타일매칭용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한 스타일매칭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35710B1 (ko) 온라인 상품 추천 방법 및 장치
KR20170006604A (ko) 서버 장치 및 이에 의한 의류 추천 방법
CN105374057A (zh) 虚拟试穿装置及虚拟试穿方法
CN105374058A (zh) 虚拟试穿装置、虚拟试穿系统及虚拟试穿方法
KR20200067511A (ko) 신체 사이즈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피팅 서비스 시스템
KR20190036731A (ko) 사이즈 제안을 지원하는 쇼핑몰 서비스 제공 장치
US20180342109A1 (en) Determining full-body pose for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KR20210054664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의상의 가상 피팅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07734A (ko) 가상의 피팅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84404A (ko) 가상현실용 hmd를 이용한 상품 구매 시스템 및 방법
KR102064653B1 (ko) 증강현실 의류 쇼핑을 위한 웨어러블 글래스 및 증강현실 의류 쇼핑 방법
JP2002183542A (ja) 仮想試着システム、仮想試着方法、仮想試着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8003850A (ja) フィット感判断支援システム
US20190311423A1 (en) Virtual apparel software system and method
KR20220065349A (ko) 머신러닝을 이용한 의상 피팅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93207A (ko) 영상을 이용한 대상물체 사이즈 결정방법
KR20200071196A (ko) 얼굴 인식 기반 가상 피팅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