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532A - 패킷들의 무선 송신 및 수신 - Google Patents

패킷들의 무선 송신 및 수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532A
KR20210054532A KR1020217008657A KR20217008657A KR20210054532A KR 20210054532 A KR20210054532 A KR 20210054532A KR 1020217008657 A KR1020217008657 A KR 1020217008657A KR 20217008657 A KR20217008657 A KR 20217008657A KR 20210054532 A KR20210054532 A KR 20210054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data portion
data
packets
time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8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4980B1 (ko
Inventor
디브야 페디드레디
카피오 베가 루이스 펠리페 델
자이브 주바이르
에다 젠
비크네산 아야두라이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210054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1Inter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or service data unit [SDU] definitions; Interfaces between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8Timers or timing mechanisms used i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5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network layer [OSI layer 3], e.g. X.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하나의 예시적인 양태에서, 패킷들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각각의 패킷에 대해, 패킷의 송신을 위해 요청하는 단계, 패킷의 송신 전에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 동안 대기하는 단계, 및 각각의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패킷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의 위치는 인접한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들의 송신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한 시간 간격이 되도록 선택된다.

Description

패킷들의 무선 송신 및 수신
본 발명의 예들은, 예를 들어 Wi-Fi 패킷과 같은 패킷들을 무선으로 송신 및 수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공장 및 기타 시설에서의 기계류는 컴퓨터-제어되어 분산 방식(distributed fashion)으로 동작할 수 있다. 신뢰성(reliability), 견실성(robustness) 및 타이밍의 관점에서의 엄격한 요구에 기인하여, 이러한 서로 다른 장비들 간의 통신은 유선 케이블들을 통해 이루어지며, 일부 경우에는 이더넷-타입 트래픽(Ethernet-type traffic)을 반송한다. EtherCat, PROFINET 및 IEEE 802.1 TSN(Time Sensitive Networking)와 같은, 오늘날의 제조 환경에서 현재 운용 중인 다수의 산업용 이더넷 기반 프로토콜들이 있다. 또한, 산업 시스템들은 PROFIBUS와 같은 비-이더넷(non-Ethernet) 기반 프로토콜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패킷들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각각의 패킷에 대해,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는 단계와, 패킷의 송신 전에 각각의 랜덤(random) 또는 의사랜덤(pseudorandom) 시간 주기(time period) 동안 대기(wait)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각각의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패킷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의 위치는, 인접한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들의 송신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한 시간 간격이 되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패킷들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에 의해 시프트(shift)되는 일정한 시간 간격들에서 패킷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각각의 패킷들에서 각각의 데이터 부분은, 인접한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들의 수신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한 시간 간격이 되도록, 패킷 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패킷들을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여, 상기 장치가 각각의 패킷에 대해,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도록, 패킷의 송신 전에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 동안 대기하도록, 및 각각의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패킷을 송신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하고, 여기서 패킷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의 위치는, 인접한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들의 송신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한 시간 간격이 되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패킷들을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여, 상기 장치가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에 의해 시프트되는 일정한 시간 간격들에서 패킷들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한다. 각각의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은, 인접한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들의 수신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한 시간 간격이 되도록, 패킷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는 패킷들을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도록, 패킷의 송신 전에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 동안 대기하도록, 및 각각의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패킷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의 위치는, 인접한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들의 송신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한 시간 간격이 되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패킷들을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에 의해 시프트되는 일정한 시간 간격들에서 패킷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은, 인접한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들의 수신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한 시간 간격이 되도록, 패킷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패킷들을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각각의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도록 구성된 요청 모듈과, 각각의 패킷의 송신 전에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 동안 대기하고, 각각의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각각의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패킷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의 위치는 인접한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들의 송신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한 시간 간격이 되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패킷들을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에 의해 시프트되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패킷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각각의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은, 인접한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들의 수신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한 시간 간격이 되도록, 패킷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예들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해, 본 발명의 예들이 어떻게 실시되는지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단지 일례로서 다음의 도면들이 참조될 것이다.
도 1은 패킷들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방법(100)의 흐름도이다.
도 2는 패킷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패킷들의 무선 송신의 타이밍도의 일례이다.
도 4는 패킷들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방법에 대한 일례의 흐름도이다.
도 5는 패킷들을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일례의 개략도이다.
도 6은 패킷들을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일례의 개략도이다.
도 7은 패킷들을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일례의 개략도이다.
도 8은 패킷들을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일례의 개략도이다.
이하에서 설명을 위한 특정 실시예들 또는 예시들과 같은 특정 세부사항들을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이들 특정 세부사항과 별도로 다른 예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불필요한 세부사항으로 설명이 모호하게 되지 않도록, 공지된 방법들, 노드들, 인터페이스들, 회로들 및 장치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생략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들이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특별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상호 연결된 아날로그 및/또는 이산 논리 게이트, ASIC들, PLA들 등)를 사용하여, 및/또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범용 컴퓨터와 결합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 및 데이터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노드들에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노드들은 적절한 라디오 통신 회로를 갖는다. 또한, 적절한 경우, 상기 기술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을 프로세서가 수행하게 하는, 적절한 세트의 컴퓨터 명령들을 포함하는 고상(solid-state)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와 같은 임의 형태의 컴퓨터-판독가능 메모리 내에 전적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추가로 고려될 수 있다.
산업 또는 공장 자동화 시스템들의 예들은 2개 이상의 노드들 사이의 통신들을 수반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2개의 노드는 예를 들어 슬레이브 로봇 암(slave robot arm)과 같은 마스터(master) 노드 및 슬레이브 노드로서 동작한다. 마스터 및 슬레이브는 제어 루프 내에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노드는 슬레이브가 이동하도록 명령할 수 있고, 슬레이브 노드는 이동하여 자신의 새로운 위치를 마스터 노드에 다시 보고할 수 있다. 이 사이클은 반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산업용 이더넷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 부분들의 교환을 수반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마스터 및 슬레이브 노드들은, 주기적 및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제어 루프에 대한 타이밍 요건들은 매우 엄격한 것일 수 있고, 긴용 통신(Critical Communications)이라고 할 수 있다. 마스터 노드가 슬레이브 로봇 암의 위치를 나타내는 특정 시간까지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로봇 암은 안전 이유로 정지될 수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지 않고 값비싼 생산 정지시간(production downtimes)을 초래할 수 있다.
제조 프로세스가 확대됨에 따라, 추가적인 기계가 추가될 수 있고, 제어기 및 기계와 같은 노드 사이에 새로운 케이블의 형태로 더 많은 통신 링크가 도입될 수 있다. 그러나, 유선 통신 링크들은 복잡성 및 비용에 더하여, 추가되거나 이동될 케이블들을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들을 대체하기 위한 무선 솔루션은 상기 문제들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 802.11 표준들(이하 "Wi-Fi"라 함)에 의해 기재된 바와 같이, 무선 LAN들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선 표준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메커니즘들은 예측 불가능한 데이터 교환 시간들(예를 들어, 짧은 타임스케일(timescales)에서 볼 때)을 초래할 수도 있다. 분산된 제조 프로세스는 엄격한 타이밍 요건들과 교환될 데이터를 요구할 수 있고, 따라서 예측 불가능한 데이터 교환 시간들을 갖는 Wi-Fi는 이러한 프로세스들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Wi-Fi는 송신들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때 공통 공유 무선 매체를 위해 장치들이 경합하는 방법을 지시하는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및 HCF(Hybrid Coordination Function)를 특정한다. 이러한 기능들의 한 구성요소는, 공유 매체가 송신하려고 시도하기 전에 자유 상태인지 보장하기 위해 각각의 Wi-Fi 송신기에 의해 구현되는 메커니즘인, CCA(Clear Channel Assessment)이다. CCA 알고리즘, 또는 대안적으로 CSMA/CA(Carrier-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또는 다른 랜덤 액세스 절차(random access procedure)는, 송신하고자 하는 장치에 대한 무작위성(randomness)의 요소를 도입하여, 2개의 송신기들이 공유 매체 상에서 동시에 연속적으로 송신하지 않을 것을 보장하도록 시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호간에 빈번한 간섭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데이터 교환 시간들에서 변동을 감소 또는 제거하기 위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예를 들어 Wi-Fi와 같은 무선 통신들을 이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도 1은 패킷들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방법(100)의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100)은 각 패킷에 대해, 단계 102에서,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요청은, 예를 들어, 무선 패킷의 송신을 위해 통신 모듈(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에 요청을 보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100)의 단계 104는 패킷의 송신 전에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pseudorandom) 시간 주기 동안 대기하는 것을 포함한다. 패킷의 송신 전에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는, 예를 들어 통신 모듈에 의해 요구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상기 대기(wait)는, 예를 들어, CCA 또는 CSMA/CA와 같은, LBT(Listen before Talk) 절차 또는 CBP(Contention Based Protocol)과 같은 랜덤 액세스 절차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랜덤 또는 의사랜덤 대기 주기는, 송신된 모든 패킷에 대해 요구될 수도 있고, 또는 송신 매체의 경합이 검출될 때 - 예를 들어, 다른 송신기가 상기 요청의 시간에 송신하는 경우 (예를 들어, CSM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요구될 수도 있다.
상기 방법(100)의 단계 106은 각각의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패킷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의 위치는, 인접한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들의 송신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한 시간 간격이 되도록 선택된다. 그 결과,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기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패킷 내의 데이터 부분을 수신한다. 일부 예들에서, 각각의 패킷은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하고, 페이로드 내의 데이터 부분의 위치는 각각의 의사랜덤 시간 주기에 기초하여 각 패킷에서 변경되어, 인접한 패킷들 내의 데이터 부분들이 송신되고, 이에 따라 수신기에 의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신된다.
도 2는 Wi-Fi 패킷과 같은 패킷(200)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패킷(200)은 프리앰블(preamble) 및 헤더 부분(202)과 페이로드(payload)(204)를 포함한다. 데이터 부분(206)은 페이로드(204)의 일부이다. 페이로드(204)의 크기(예를 들어, 페이로드에서의 데이터 양)는, 데이터 부분(206)의 크기와 같거나 클 수 있다. 페이로드(204)는 데이터 부분(206)에 선행하는 데이터(208)를 포함하고/포함하거나 데이터 부분(20)에 후속하는 데이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상기 데이터 208 및/또는 데이터 210은 패딩(padding) 데이터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송신될 패킷에 대한 데이터 부분(206)에 선행하는 데이터(208)의 크기 또는 양은, 패킷의 송신 전에 패킷의 송신을 위한 요청에 후속하는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더 큰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에 대해, 데이터(208)의 크기는, 이전 패킷에서의 이전 데이터 부분의 송신과 패킷(200)에서의 데이터 부분(206)의 송신 사이의 간격이 패킷들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하도록, 더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데이터 부분(206)에 선행하는 데이터(208)의 지연의 양과 크기 사이의 역 관계(예를 들어, 반비례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데이터 부분(206)에 후속하는 데이터(210)의 크기 또는 양은,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에 기초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데이터(210)의 크기 또는 양은 상수 또는 영(zero)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패킷(200)의 크기는 패킷(200)의 송신 전에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에 기초할 수도 있다.
도 3은 패킷들의 무선 송신의 타이밍도의 예이다. 실질적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T)에서, 데이터 부분(302, 304, 306 및 308)은 수신기로 송신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인접한 데이터 부분들의 시작이 이용 가능하게 되는 시간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T)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데이터 부분들은, 예를 들어 제어기로부터 기계로 송신될 제어 데이터, 및/또는 기계로부터 제어기로 송신될 피드백 또는 센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부분들(302, 304, 306 및 308)은 예를 들어 이더넷 프레임에서 시간 간격(T)에서 각각 수신될 수 있거나, 또는 이더넷 프레임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부분들(302, 304, 306, 308)은, 예를 들어 유선 이더넷 접속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 패킷의 송신을 위한 요청은 데이터 부분의 시작(예를 들어, 데이터 부분의 시작을 수신했을 때)에서 이루어진다. 제1 데이터 부분(302)을 고려하면, 패킷의 송신을 위한 요청에 후속하여, 송신 전의 시간 지연 t1은 랜덤하게 또는 의사랜덤하게 선택될 수 있다. 시간 지연 t1 후에, 패킷(310)은 데이터 부분(312)을 포함하여, 무선으로 송신된다. 데이터 부분(312)은 데이터 부분(302)을 이루거나, 포함하거나, 캡슐화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패킷(310)에서의 데이터 부분(312)은 데이터 부분(302)에 대응한다. 패킷(310) 내의 데이터 부분(312)의 위치(예를 들어, 패킷(310)의 페이로드 내)는 시간 주기(시간 지연) t1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송신을 위한 요청 전의 시간 주기는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패킷(314)은 이용 가능하게 되는(예를 들어, 수신된) 데이터 부분(304)의 시작에 후속하는 데이터 부분(304)에 대응하는 데이터 부분(316)을 포함하는 t2의 시간 지연으로 송신되고; 패킷(318)은 데이터 부분(306)에 대응하는 데이터 부분(320)을 포함하는 t3의 시간 지연으로 송신되고; 패킷(322)은 데이터 부분(308)에 대응하는 데이터 부분(324)을 포함하는 t4의 시간 지연으로 송신된다. 인접한 패킷들(310, 314, 318, 322)에서의 인접한 데이터 부분들(312, 316, 320 및 324) 사이(예를 들어, 인접한 데이터 부분들의 시작 사이)의 시간 지연은, 각각의 패킷 내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의 배치에 기인하여 실질적으로 일정한 시간 주기(T)이다. 따라서, 수신기는 데이터 부분(302, 304, 306 및 308)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T)에 대응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T)에서 각각의 데이터 부분(312, 316, 320 및 324)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패킷의 송신을 위한 요청은 데이터 부분(예를 들어, 데이터 부분들(302, 304, 306, 308)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다른 예들에서, 데이터 부분들은 규칙적인 간격으로, 예를 들어 각각의 데이터 부분(302, 304, 306, 308)의 수신 시작 사이에서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T)으로 수신된다. 따라서 일부 예들에서, 데이터 부분(302, 304, 306, 308)의 수신을 예상 또는 기대하여, 데이터 부분(302, 304, 306, 308)의 임의의 부분이 수신되기 전에, 패킷의 송신을 위한 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100)은 데이터 부분(302, 304, 306, 308)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기 전에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패킷 내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의 위치는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에 의해 시프트(shift)되는 페이로드에서 미리 결정된 위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패킷의 송신을 위한 요청이 실질적으로 규칙적 또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지고, 패킷의 송신 전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지연(t)이 특정되면, 패킷 내(예를 들어, 페이로드 내)에서의 데이터 부분의 위치는, 예를 들어 그 패킷에 대해 특정된 지연을 보상하기 위해, -t에 상당하는 양만큼 미리 결정된 위치로부터 시프트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예를 들어 랜덤 또는 의사랜덤 지연이 0이 아닌 경우, 데이터 부분의 위치는 동일한 양만큼 (예를 들어, 랜덤 또는 의사랜덤 지연에 후속하는, 패킷의 송신의 시작 시간에 비해) 시간적으로 더 빨리 시프트될 수 있다.
도 4는 예를 들어 Wi-Fi 패킷들과 같은 무선으로 패킷들을 수신하는 방법(400)의 일례에 대한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400)은, 단계 402에서,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에 의해 시프트되는 일정한 시간 간격들에서 패킷들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각각의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은, 인접한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들의 수신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한 시간 간격이 되도록 패킷 내에 위치된다. 즉, 예를 들어 각각의 패킷은 그 패킷에 특정된 랜덤 또는 의사랜덤 양만큼 일정 시간 간격으로부터 시간적으로 시프트되고, 패킷 내(예를 들어, 패킷의 페이로드 내)의 데이터 부분의 위치는 그 패킷에 대한 랜덤 또는 의사랜덤 양을 보상하도록 시프트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예를 들어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가 영(0)이 아닌 경우, 수신된 데이터 부분의 위치는 동일한 양만큼 (예를 들어,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에 후속하는, 패킷의 송신 또는 수신의 시작 시간에 비해) 시간적으로 더 빨리 시프트될 수 있다.
각각의 패킷은 도 2에 나타낸 패킷(200)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수신된 패킷들의 예로서 도 3에 나타낸 패킷들(310, 314, 318 및 32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데이터 부분의 위치가 각각의 데이터 부분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신되게 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수신된 패킷들은 페이로드(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부분(206)에 선행하는 데이터(208))에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데이터(208)는 패딩 데이터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페이로드(204)는 데이터 부분(206)에 후속하는, 패딩 데이터와 같은, 추가 데이터(2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데이터(208) 및/또는 데이터(210)의 크기는, 예를 들어 패킷(204)이 송신되기 전에 패킷(204)의 송신을 위한 요청에 후속하는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지연에 의존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데이터 부분은 각각의 수신된 패킷으로부터 추출되고, 예를 들어 마스터 노드 또는 슬레이브 노드로 보내진다. 따라서, 데이터 부분은 실질적으로 규칙적 또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보내질 수 있다 (이로부터 예를 들어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노드에 의해 수신됨). 일부 예들에서, 데이터 부분은 각각의 패킷의 수신 직후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주기 이후에 추출되고 보내진다. 일부 예들에서, 데이터 부분은 이더넷 프레임(Ethernet frame)에서 패딩 데이터 없이 (예를 들어,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노드로) 송신된다.
다음으로, 실시예들의 특정 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데이터가 물리적 이더넷 케이블을 통과할 때 레이턴시(latency)를 무시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유선 이더넷 접속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는 즉시 수신기에 도달할 것이다. 따라서, 데이터 스트림(예를 들어, 데이터 부분들의 스트림)의 타이밍 또는 주기성(periodicity)은 송신기 노드 및 수신기 노드 모두에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기성(예를 들어, 인접한 데이터 부분들의 송신 시작 사이의 시간 간격)은 T이다. 무선 통신들을 달성하기 위해, 유선 이더넷 케이블이 일부 예들에서 각각의 Wi-Fi 장치에, 예를 들어 각각의 유선 이더넷 접속을 통해, 송신기 노드(예를 들어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및 수신기 노드(예를 들어 로봇 아암) 모두를 연결함으로써 대체될 수 있다. 송신기 노드의 Wi-Fi 장치에서 수신된 데이터 부분들의 타이밍은 유지된다. 일부 예들에서, 유선 인터페이스 상에 수신된 각 패킷(예를 들어 데이터 부분 또는 데이터 부분을 포함)의 비트들은 버퍼링(buffering) 되고, 전체 패킷이 유선 인터페이스 상에서 수신되면, 예를 들어 Wi-Fi 패킷으로서 무선으로 송신될 수 있다.
송신기 Wi-Fi 장치가, 수신하자마자 수신된 데이터 부분들을 송신하면, 무선 송신들은 고정된 시간 주기, 예를 들어 패킷-길이 지속기간(packet-length duration)에 의해 우측으로 시프트되겠지만, T의 주기성을 여전히 가질 것이므로, 결국 수신기 노드에 도착할 때 T의 주기성도 가질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무선 송신들은, 예를 들어 CCA 또는 CSMA/CA와 같은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이는 각 송신 패킷과 같은, 각각의 무선 송신에 대한 상이한(예를 들어, 랜덤 또는 의사랜덤) 지연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무선으로 송신되는 연속적인 패킷들 사이의 시간(예를 들어, 연속적인 패킷들의 송신 시작 사이의 시간)은 더 이상 일정한 시간 간격 T가 아닐 수 있다. 대신에, 이들 무선 송신들 사이의 시간은 이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 영향을 받는다. 각각의 패킷의 송신을 위한 요청들에 후속하여, 각각의 패킷의 송신 전의 시간 지연이,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 기인하여 각각의 패킷에 대해 잠재적으로 상이하므로, 이는 트래픽 스트림의 타이밍에서 변동(variance) 또는 지터(jitter)를 도입할 수 있는데, 이것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될 것이고 결국 수신기 노드에서 관측될 것이다. 산업 자동화 시나리오에 대해, 이러한 지터는 장치들의 동작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중요한 데이터, 예를 들어 각각의 데이터 부분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송신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형적인 산업용 이더넷 트래픽의 2가지 특성들을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지터를 극복할 수 있다. 데이터 부분들 또는 패킷들은 비교적 작은 크기이고, 트래픽 패턴들은 비교적 일정하다(예를 들어, 주기적). 즉, 예를 들어, 데이터 부분들은 실질적으로 주기적인 방식으로 송신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산업용 이더넷 데이터 부분은 작기 때문에, 예를 들어 더 큰 1500-바이트 패킷 내에 캡슐화 또는 통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로 Wi-Fi 802.11n 시스템을 통해 1500-바이트 패킷에 대한 송신 시간은 대략 2000㎲ 정도일 수 있다. 산업용 이더넷 데이터 부분이 1500-바이트보다 작은 경우, 1500-바이트 패킷 또는 프레임이 생성되고 패딩 바이트로 채워질 수 있고, 더 작은 데이터 부분이 1500-바이트 패킷 또는 프레임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데이터 부분을 더 큰 패킷 또는 프레임 내의 어딘가에 배치함으로써, 데이터 부분 그 자체가 송신될 시간과 그에 따라 수신기에서 알 수 있는 시간은, 대략 2000㎲ 윈도우 내에서 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산업 이더넷 트래픽 스트림의 예측성(predictability)을 이용할 수 있다. 송신 노드의 Wi-Fi 장치는 수신된 유선 패킷을 예상하여 무선 송신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 그러면 무선 송신기는 송신을 위한 데이터 부분을 수신하기도 전에 잠재적으로, 조기에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허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무선 노드는 (예를 들어, 송신 노드로부터 유선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부분이 수신될 때까지, 송신된 패킷에서(예를 들어 그 페이로드에서) 패딩 데이터를 송신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패킷의 송신은 계속될 수 있지만, 데이터 부분은 송신된 패킷의 일부로서 송신된다.
일부 예들에서, 패킷 길이는 송신의 시작에서 표시되므로, 송신기(예를 들어, 송신 노드에 접속된 Wi-Fi 장치)는 송신의 시작에서(예를 들어, 패킷 헤더에서) 1500-바이트까지의 오버사이징된(oversized) 송신을 특정할 수도 있고, 따라서 패킷의 종단(예를 들어, 데이터 부분에 후속하는 페이로드의 부분)을 패딩 데이터로 채울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라디오 링크의 다른 종단에서, 일부 예들에서, 무선 수신기는 각각의 1500-바이트 패킷을 수신하지만, 패딩 데이터를 검출 및 폐기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수신기, 예를 들어 수신 노드에 연결된 Wi-Fi 장치는, 데이터 부분만을 수신 노드로 보낼 수 있다. 수신 노드의 유선 인터페이스 상에서 전송된 데이터 부분들의 타이밍은 T의 주기성을 가질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송신된 패킷에 대한 타이밍은 여전히 지터(jitter)의 영향을 받고,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 의해 도입된다. 그러나, 송신된 패킷들의 데이터 부분 일부는, 원래의 이더넷-수신 스트림에서와 같이 T의 주기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스테이션(STA)과 같은 기존의 Wi-Fi 802.11 엔티티(entity) 또는 장치의 일부로서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예를 들어 소스(source) 및/또는 목적지 어드레스(destination address)에 기초하여, 산업 이더넷 트래픽 스트림을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트래픽의 주기성과, 가능하게는 이러한 트래픽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의 크기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무선 링크의 다른 종단에서 대응하는 Wi-Fi 엔티티의 아이덴티티(identity) 또는 목적지 어드레스를 알 수도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 상의 데이터 부분(예를 들어, 패킷 또는 프레임)을 수신할 때마다, 장치는 일부 예들에서 (예를 들어, 무선으로 패킷의 송신을 요청함으로써)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할 수도 있고, 또한 패딩 데이터를 갖는 1500-바이트 패킷을 생성할 수도 있다.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로 인한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지연 후에, 장치는 (예를 들어,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지연을 보상하고, 패킷을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해) 적절한 포인트에서 1500-바이트 패킷 내에 데이터 부분을 배치할 수 있다. 수신 Wi-Fi 장치가 무선 패킷을 수신하면, 패킷에서의 패딩 데이터를 조사할 수 있다. 수신된 패킷의 패딩 데이터는 제거되거나 폐기될 수 있고, 데이터 부분이 수신될 때, 예를 들어 수신 노드로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송신기는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주기적으로 개시하며, 또한 송신을 위해 큐잉되는(queued) 패딩 데이터를 포함하는 1500-바이트 패킷을 생성한다. 채널 액세스가 승인될 때, 패킷은 무선으로 송신된다. 데이터 부분은, 예를 들어 예상 또는 예측된 바와 같이, 유선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통해 (예를 들어 패킷 또는 프레임에) 도달해야 하며, 더 큰 1500-바이트 패킷 내의 적절한 위치에 데이터 부분이 위치하도록 송신되는 패킷에 병합된다. 송신기에 대한 이벤트들의 예시적인 시퀀스는 다음과 같다.
i. 이더넷 패킷 또는 프레임의 도착 이전에, 랜덤 액세스 요청(예를 들어 CCA 요청)이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패킷의 송신을 위한 요청이 이루어짐), 또한 패딩 데이터를 포함하는 1500-바이트 패킷이 생성되며, 이것은 큐에 배치된다.
ii.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가 채널이 비어있음(clear)을 표시할 때(예를 들어, 상기 요청 이후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 후), 패딩 데이터를 포함하는 패킷은 송신을 시작한다.
ⅲ. 패킷이 송신될 때, 데이터 부분은 유선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통해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며, 제2 큐에 배치된다.
iv. 예를 들어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와 같은 타이밍에 기초하여, 데이터는 제1 큐(패딩 데이터)로부터 제2 큐(데이터 부분)로 스위칭된다.
v. 모든 데이터 부분이 송신되면, 송신의 시작에 표시된 바와 같이(예를 들어 패킷의 길이), 송신은 충분한 수의 결합된 바이트가 송신될 때까지 제1 큐로 다시 스위칭된다.
일부 예들에서, 무선 패킷들의 수신기는 인커밍(incoming) 무선 패킷들을 필터링할 수 있고, 미리 구성된 정보, 예를 들어 MAC 소스 및/또는 목적지 어드레스들에 기초하여, 프레임을 프로세싱하여, 발견된 패딩 옥테트들(octets)을 제거할 수 있다. 수신기에 의해 구현되는 이벤트들의 시퀀스의 예는 다음과 같다.
i. 인커밍 무선 패킷들은 패딩 데이터를 위해 스캐닝된다.
ii. 패딩 데이터가 없는 패킷들은 유선 이더넷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이더넷 프레임)로 직접 송신된다.
ⅲ. 패딩 데이터를 갖는 패킷들은 큐잉되고, 패딩 바이트들은 데이터 바이트가 검출될 때까지 폐기된다.
iv. 다음으로 데이터 부분은 패딩 바이트가 더 검출될 때까지 유선 인터페이스로부터 송신되고, 이것도 폐기된다.
도 5는 패킷들을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장치(500)에 대한 일례의 개략도이다. 장치(500)는 프로세서(502)및 메모리(504)를 포함한다. 메모리(504)는 프로세서(502)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여, 장치(500)가 각각의 패킷에 대해,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도록 동작할 수 있고, 패킷의 송신 전에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 동안 대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고, 각각의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패킷을 송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킷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의 위치는, 인접한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들의 송신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한 시간 간격이 되도록 선택된다. 일부 예들에서, 장치(500)는 도 1에 나타낸 방법(100)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패킷들을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장치(600)에 대한 일례의 개략도이다. 장치(600)는 프로세서(602) 및 메모리(604)를 포함한다. 메모리(604)는 프로세서(602)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여, 장치(600)가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에 의해 시프트되는 일정한 시간 간격들에서 패킷들을 수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은, 인접한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들의 수신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한 시간 간격이 되도록 패킷에 위치된다. 일부 예들에서, 장치(600)는 도 4에 나타낸 방법(400)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패킷들을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장치(700)에 대한 일례의 개략도이다. 장치(700)는 각각의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도록 구성된 요청 모듈(702)과, 각각의 패킷의 송신 전에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 동안 대기하고, 각각의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각각의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704)을 포함하며, 여기서 패킷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의 위치는 인접한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들의 송신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한 시간 간격이 되도록 선택된다. 일부 예들에서, 장치(700)는 도 1에 나타낸 방법(100)을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패킷들을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장치(800)에 대한 일례의 개략도이다. 장치(800)는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에 의해 시프트되는 일정한 시간 간격들에서 패킷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802)을 포함하고, 여기서 각각의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은 인접한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들의 수신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한 시간 간격이 되도록 패킷에 위치된다. 일부 예들에서, 장치(800)는 도 4에 나타낸 방법(400)을 구현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감소된 명령 세트 프로세서, 하드웨어(예를 들어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회로를 포함 또는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하드웨어 회로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및/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및 그러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적절한) 상태 머신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한 예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보다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업자는 첨부한 기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대안적인 예들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단어 "포함(comprising)"은 청구항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단계들 이외의 구성요소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a" 또는 "an"은 복수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단일 프로세서 또는 다른 유닛은 이하의 기재에서 인용된 여러 유닛들의 기능들을 실현할 수 있다. 용어 "제1", "제2" 등이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단지 특정한 특징의 편리한 식별을 위한 라벨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의 그러한 특징들 중 제1 또는 제2 특징(즉, 시간 또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제1 또는 제2의 그러한 특징들)을 설명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여기에 나타낸 방법들의 단계들은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기재한 것에서의 임의의 참조 부호들은 그들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40)

  1. 패킷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각각의 패킷에 대해,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는 단계;
    패킷의 송신 전에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 동안 대기하는 단계; 및
    각각의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패킷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의 위치는, 인접한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들의 송신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한 시간 간격이 되도록 선택됨 -;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 부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는 단계는, 데이터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 부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는 단계는, 데이터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기 전에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상기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 부분은 이더넷 프레임(Ethernet frame)에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상기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킷의 페이로드는 각각의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데이터 부분 이외의 페이로드의 일부는 패딩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페이로드는 데이터 부분에 선행하는 패딩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부분에 선행하는 패딩 데이터 부분의 각각의 크기는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페이로드는 데이터 부분에 후속하는 패딩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킷의 페이로드는 이더넷 프레임의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킷의 페이로드의 크기는 각각의 데이터 부분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킷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의 위치는,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에 의해 시프트되는 페이로드에서 미리 결정된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킷의 송신을 위한 요청에 응답하여,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 부분은 산업 이더넷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는 단계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각각의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데이터 부분의 수신을 예상하여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킷은 Wi-Fi 패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LBT(Listen-before-Talk) 프로세스에 따라 패킷의 송신 전에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 동안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패킷들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에 의해 시프트되는 일정한 시간 간격들에서 패킷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패킷들에서 각각의 데이터 부분은, 인접한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들의 수신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한 시간 간격이 되도록, 패킷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각각의 패킷의 각각의 페이로드는 각각의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각각의 데이터 부분 이외의 각각의 페이로드의 일부는 패딩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페이로드는 데이터 부분에 선행하는 패딩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페이로드는 데이터 부분에 후속하는 패딩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더넷 프레임에서 패딩 데이터 없이 각 패킷의 데이터 부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패킷의 각각의 페이로드는 각각의 이더넷 프레임의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0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패킷의 각각의 페이로드의 크기는 패킷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0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패킷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의 위치는,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에 의해 시프트되는 각각의 페이로드에서의 미리 결정된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19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 부분은 산업 이더넷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19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킷은 Wi-Fi 패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31. 제30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서브캐리어로서,
    전자 신호, 광 신호, 라디오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캐리어.
  32. 제30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3. 패킷들을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여, 상기 장치가 각각의 패킷에 대해,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도록;
    패킷의 송신 전에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 동안 대기하도록; 및
    각각의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패킷을 송신하도록 - 여기서 패킷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의 위치는, 인접한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들의 송신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한 시간 간격이 되도록 선택됨 -;
    동작 가능하게 하는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여, 상기 장치가 청구항 제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패킷들을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여, 상기 장치가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에 의해 시프트되는 일정한 시간 간격들에서 패킷들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하고,
    각각의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은, 인접한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들의 수신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한 시간 간격이 되도록, 패킷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장치가 제20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패킷들을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도록;
    패킷의 송신 전에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 동안 대기하도록; 및
    각각의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패킷을 송신하도록 - 여기서 패킷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의 위치는, 인접한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들의 송신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한 시간 간격이 되도록 선택됨;
    구성되는 장치.
  38. 패킷들을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에 의해 시프트되는 일정한 시간 간격들에서 패킷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은, 인접한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들의 수신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한 시간 간격이 되도록, 패킷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패킷들을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각각의 패킷의 송신을 요청하도록 구성된 요청 모듈; 및
    각각의 패킷의 송신 전에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 동안 대기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각각의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패킷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의 위치는 인접한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들의 송신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한 시간 간격이 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무선으로 패킷들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각각의 랜덤 또는 의사랜덤 시간 주기에 의해 시프트되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패킷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각각의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은, 인접한 패킷들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부분들의 수신 사이의 시간 간격이 일정한 시간 간격이 되도록, 패킷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217008657A 2018-09-24 2018-09-24 패킷들의 무선 송신 및 수신 KR1024949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8/075782 WO2020064081A1 (en) 2018-09-24 2018-09-24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s wireless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532A true KR20210054532A (ko) 2021-05-13
KR102494980B1 KR102494980B1 (ko) 2023-02-06

Family

ID=63683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8657A KR102494980B1 (ko) 2018-09-24 2018-09-24 패킷들의 무선 송신 및 수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743003B2 (ko)
EP (1) EP3857837A1 (ko)
JP (1) JP7169439B2 (ko)
KR (1) KR102494980B1 (ko)
CN (1) CN112771827A (ko)
WO (1) WO20200640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04183B1 (en) * 2018-06-04 2023-02-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ptical device and hub node for an optical network
JP7169439B2 (ja) * 2018-09-24 2022-11-10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パケットの無線での送受信
US20210294317A1 (en) * 2020-03-17 2021-09-2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d predicting vulnerability of building management systems
CN114124334B (zh) * 2021-11-16 2024-04-23 紫光展锐(重庆)科技有限公司 一种空口数据包的处理方法、客户端、设备及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1886A1 (en) * 2005-08-02 2007-04-26 Elliptic Semiconductor Inc. Method for inserting/removal padding from packets
EP2560453A2 (en) * 2011-08-19 2013-02-2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for network organization
US20140064212A1 (en) * 2012-09-05 2014-03-06 Mediatek, Inc. Bluetooth Low Energy and LTE Coexistence Enhancement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17403C1 (ru) 1992-11-06 1998-08-10 АТ энд Т Корп. Установление трактов вызовов сетей связи в широкополосных сетях связи
US7184413B2 (en) 1999-02-10 2007-02-27 Nokia Inc. Adaptive communication protocol for wireless networks
US8175089B2 (en) * 2005-09-30 2012-05-08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Extended address space capability for an industrial protocol
KR101199387B1 (ko) 2007-04-02 2012-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WO2009003683A1 (en) 2007-07-02 2009-01-0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 reading a file having a media data container and a metadata container
CN101534230B (zh) * 2009-04-15 2012-02-01 中控科技集团有限公司 基于以太网的发送数据的方法、以太网节点及控制系统
WO2013044497A1 (en) * 2011-09-30 2013-04-04 Nokia Corporation Selection between random access and dedicated scheduling request resources
US10256944B1 (en) * 2015-04-23 2019-04-09 Marvell International Ltd. Controlling false packet acceptance
US10728912B2 (en) * 2017-09-15 2020-07-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modes for data transmission
JP7169439B2 (ja) * 2018-09-24 2022-11-10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パケットの無線での送受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1886A1 (en) * 2005-08-02 2007-04-26 Elliptic Semiconductor Inc. Method for inserting/removal padding from packets
EP2560453A2 (en) * 2011-08-19 2013-02-2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for network organization
US20140064212A1 (en) * 2012-09-05 2014-03-06 Mediatek, Inc. Bluetooth Low Energy and LTE Coexistence Enhanc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57837A1 (en) 2021-08-04
CN112771827A (zh) 2021-05-07
KR102494980B1 (ko) 2023-02-06
JP7169439B2 (ja) 2022-11-10
WO2020064081A1 (en) 2020-04-02
US20230412331A1 (en) 2023-12-21
US11743003B2 (en) 2023-08-29
JP2022501892A (ja) 2022-01-06
US20210351882A1 (en)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412331A1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ckets Wirelessly with Time Based Packet Data Portion Positioning
US99983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ocking transmission of frames from a network device
KR101578064B1 (ko) 패킷의 전송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장치들
JP4790289B2 (ja) 非同期ネットワークでパケット送達時間を保証する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09196824B (zh) 网络系统及通信方法
CN104144094B (zh) 数字总线系统从属节点及其操作方法
US9438537B2 (en) Method for cut through forwarding data packets betwee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US1127177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nd system comprising communicating entity
US7599306B2 (en) Media access controller
Seno et al. Wireless extension of Ethernet Powerlink networks based on the IEEE 802.11 wireless LAN
Vitturi et al. Hybrid Ethernet/IEEE 802.11 networks for real-time industrial communications
KR101578065B1 (ko) Can 패킷을 패키징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장치들
US20230053510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accessing a wireless channel in a dense enviroment
JP7315980B2 (ja) 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の制御方法
Pulgar et al. Extending CAN over the air: an interconnection study with IEEE802. 11
Mondal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and Application of Real-Time Communication with 5G IIoT
KR20150050936A (ko) 플렉스레이 패킷을 패키징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장치들
JP2015103926A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06462B1 (ko) Can 패킷을 언-패키징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장치들
CN117395213A (zh) Epa交换机、数据传输系统和方法
Ishak et al. Minimizing jitter in Ethernet using a Linear Backoff for real-time robot control communication and its implementation on FPGA
KR20150051331A (ko) K-line 패킷을 패키징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장치들
KR20150051333A (ko) Lin 패킷을 패키징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장치들
KR20150051332A (ko) K-line 패킷을 언-패키징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장치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