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362A - 철탑 도장기 및 그것을 이용한 철탑 도장 방법 - Google Patents

철탑 도장기 및 그것을 이용한 철탑 도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362A
KR20210054362A KR1020190140423A KR20190140423A KR20210054362A KR 20210054362 A KR20210054362 A KR 20210054362A KR 1020190140423 A KR1020190140423 A KR 1020190140423A KR 20190140423 A KR20190140423 A KR 20190140423A KR 20210054362 A KR20210054362 A KR 20210054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paint
compressor
steel tower
pressur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2162B1 (ko
Inventor
김영주
김병문
김희종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40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16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4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by rubbing contact, e.g. by brushes, by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07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15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a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 responsive to position or movement of the coating head relative to the target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탑 도장기 및 그것을 이용한 철탑 도장 방법으로, 유체도료가 담긴 도료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붓솔로 공급하여 붓질할 수 있는 철탑 도장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철탑 도장기는 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탱크, 상기 컴프레서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도료탱크로 주입하고, 공기와 도료가 혼합된 혼합액을 방출하는 커넥터 및 상기 혼압액을 공급하는 붓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철탑 도장기 및 그것을 이용한 철탑 도장 방법{STEEL TOWER COATING MACHING AND STEEL TOWER COA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철탑 도장기 및 그것을 이용한 철탑 도장 방법으로, 유체도료가 담긴 도료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붓솔로 공급하여 붓질할 수 있는 철탑 도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붓질을 이용하여 철탑이나 교각 및 높은 건물 등에서의 도장현장은 작업자가 페인트 통을 들고 도장하는 위치에서 도장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붓질 도장시 작업자가 별도의 페인트 통을 구비하여 붓질 도장작업을 행하게 됨에 따라 안전사고에 상당히 민감하고 붓솔을 페인트 통에 지속적으로 담가 사용하는 관계로 작업효율도 떨어지면서 붓질작업이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 등을 지니고 있었다.
나아가, 페인트 칠 작업시 불규칙한 도료 공급으로 도장 품질 저하의 문제가 있으며, 붓에 페인트를 묻히는 행위로 도료가 비산되어 비닐하우스, 농작물 등에 환경피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붓질을 이용하여 도장작업을 할 때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장 현장에서의 작업효율이 향상되고 작업자의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는 철탑 도장기 및 그것을 이용한 철탑 도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철탑 도장기 및 그것을 이용한 철탑 도장 방법으로, 유체도료가 담긴 도료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붓솔로 공급하여 붓질할 수 있는 철탑 도장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철탑 도장기는 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탱크; 상기 컴프레서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도료탱크로 주입하고, 공기와 도료가 혼합된 혼합액을 방출하는 커넥터; 및 상기 혼압액을 공급하는 붓솔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붓솔은, 붓솔부; 상기 붓솔부를 지지하면서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커넥터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혼압액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의 단면은 아랫변이 윗변보다 긴 사다리꼴 형태이며, 상기 아랫변은 상기 붓솔부와 마주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붓솔부의 일 단은 상기 수용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혼압액의 흐름에 따라 상기 수용부 내에서 움직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볼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에 남아있는 혼압액의 용량을 센싱하는 용량 센서; 및 상기 용량에 근거하여 상기 컴프레서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량이 달라지도록 상기 컴프레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에서 센싱한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컴프레서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량이 달라지도록 상기 컴프레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세척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온도에 근거하여 소정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소정 시간동안 상기 커넥터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컴프레서를 제어하며, 상기 소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컴프레서를 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철탑 도장기는 작업장소가 위험한 곳에서 작업을 할 때 도장기를 작업자가 배낭처럼 등에다 메고 작업할 수 있기에 작업의 편리성으로 작업효율 증대와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 등을 지닌다.
상술한 철탑 도장기에 의하면, 도료 자동공급 및 시공편의성을 통한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도료 자동공급으로 작업여건 변경(도장대상 철탑, 작업자 등)에도 균일한 시공품질이 확보된다. 도료 공급방법 개선을 통한 도료비산 방지로 도료 손실율도 저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배식 붓질 도장기의 전체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 튜브펌프의 작동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탑 도장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탑 도장기의 가변형 붓솔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형 철탑 도장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도 5의 의자형 철탑 도장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해 의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등배식 붓질 도장기의 전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배낭처럼 등에다 메고 붓질 도장을 수행할 수 있는 등배식 붓질도장기로서, 작업자의 등에 멜수 있도록 어깨벨트(1)가 연결고리(2)를 매개로 연결되는 지지 프레임(3)과, 지지 프레임(3)의 하부 지지대(4)에 안착 고정되는 배터리를 내장한 제어박스(5), 이 제어박스(5)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뚜껑(6)을 갖춘 도료탱크(7), 이 도료탱크(7)와 흡입측 호스(8)로 연결되면서 흡입된 도료를 토출측 호스(9)로 배출시키고 호스펌프 유니트(10) 및, 이 호스펌프 유니트(10)의 토출측 호스(9)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도료가 구멍을 통하여 붓솔(11)에 공급되고 이 붓솔(11)을 보유 지지하면서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는 붓솔 지지대(12)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제어박스(5)의 전면에 설치된 메인 스위치(13)는 정전과 역전으로 상하조절 할 수 있으며, 붓솔 지지대(12)에는 손잡이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들 메인 스위치(13)와 손잡이 스위치 및, 호스 펌프 유니트(10)들은 제어박스(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박스(5)의 측면에는 이 제어박스(5)의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에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구와 도료탱크(7)에서 토출되는 도료량을 증감할 수 있는 토출량 조절레버가 설치될 수 있다. 토출량 조절레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료의 토출량을 증가시키고, 반대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료의 토출량을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페인팅할 액체용 도료가 담겨지는 상기 도료탱크(7)의 상부쪽은 개폐용 상부뚜껑(6)이 구비되어 있는바, 상부뚜껑(6)을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도료탱크(7)를 개방 및 폐쇄시키며, 상기 상부뚜껑(6) 쪽에는 호스펌프 유니트(10)의 흡입측 호스(8)가 연결되어 있다.
작업자가 본 고안에 따른 등배식 붓질 도장기를 배낭처럼 등에다 메고 메인 스위치(13)를 정전쪽에 위치시킨다. 이때에는 호스펌프 유니트(10)는 작동하지 않는다.
그런 다음 붓솔 지지대(12)의 손잡이 스위치를 ON 시키면 호스튜브 펌프(10)가 작동하게 되는데, 이 호스튜브 펌프(10)는 펌프 유니트가 회전할 때 토출측에서는 롤러(17)가 튜브(18)를 압축해 가면서 도료를 밀어냄과 동시에 흡입측에서 압축된 튜브(18)를 복원하기 위하여 부압으로 도료를 흡입하는 펌프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있으며, 도 2는 호스펌프 유니트(10)에서 롤러(17)들의 작동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상기 호스펌프 유니트(10)의 토출측 호스(9) 말단에 연결된 붓솔(11)은 구멍이 있는 솔로서, 도료가 토출측 호스(9)를 통해 구멍으로 공급되어 붓솔(11)에 도료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붓솔 지지대(12)에 설치된 손잡이 스위치를 누르면 도료가 공급되는 ON 상태이고, 이 손잡이 스위치를 누르지 않게 되면 도료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OFF 상태로 유지한다.
도 1 및 도 2를 통해 상술한 등배식 붓질 도장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의자형 철탑 도장기로 변형될 수 있다. 등배식으로 형성되는 각종 구성요소가 의자형태의 지지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자형태의 등받이에 등배식 붓질 도장기가 설치되거나, 엉덩이받이 아래의 빈 공간에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컴프레서(110)를 구비한 철탑 도장기(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탑 도장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철탑 도장기(100)는 컴프레서(110), 도료탱크(120) 그리고 붓솔(1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온도 센서, 용량 센서 및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컴프레서(110)는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도로탱크(120)는 페인트와 같은 도료나 신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40)는 상기 컴프레서(11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도료탱크(120)로 주입하고, 공기와 도료가 혼합된 혼합액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붓솔(130)은 상기 혼압액을 공급한다. 사용자는 상기 컴프레서(110)에 의하여 공급되는 혼압액을 이용하여 철탑 도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프레서(110)에 의하여 혼압액이 자동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붓을 페인트통에 담그는 행위를 하지 않아도 되며, 그에 따른 업무 효율이 증대된다.
컴프레서(110)가 공급하는 공기에 의하여 혼압액이 붓솔(130)로 공급되기 때문에, 도료탱크(120)나 케이블 등에서 도료가 굳는 문제가 해결된다.
상기 붓솔(130)은 붓솔부(134), 상기 붓솔부(134)를 지지하면서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는 지지대(132) 그리고 상기 지지대(132)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커넥터(140)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혼압액을 수용하는 수용부(136)를 포함한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36)의 단면은 아랫변이 윗변보다 긴 사다리꼴 형태이며, 상기 아랫변은 상기 붓솔부(134)와 마주볼 수 있다. 상기 붓솔부(134)의 일 단은 상기 수용부(136)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36)에 의하여 일정한 량의 혼압액이 균일하게 붓솔부(134)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36)는 아랫변이 윗변보다 긴 사다리꼴 형태이고 아랫변은 붓솔부(134)와 마주하기 때문에, 상기 컴프레서(110)에 의하여 생성되는 압력이 윗변에서 아랫변을 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용부(136)의 아랫변에 고른 압력이 가해지고, 붓솔부(134)의 전 부분에 동일한 유량의 혼압액이 도달하게 된다.
상구 수용부(136) 내에는 상기 혼압액의 흐름에 따라 상기 수용부(136) 내에서 움직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볼은 혼압액이 굳지 않고 계속해서 섞이도록 수용부(136)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혼압액이 보다 잘 섞일 수 있도록, 볼은 복수의 돌기들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에 남아있는 혼압액의 용량을 센싱하는 용량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용량에 근거하여 상기 컴프레서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량이 달라지도록 상기 컴프레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붓질을 많이 하여 수용부(136)에 남아있는 혼압액의 용량이 최소 기준값보다 작으면, 모터의 회전수를 높여 더 많은 공기를 커넥터(140)로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붓질을 적게 하여 수용부(136)에 남아있는 혼압액의 용량이 최대 기준값보다 크면, 모터의 회전수를 낮추어 적은 공기를 커넥터(140)로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용량 센서가 센싱하는 값에 근거하여 상기 컴프레서(110)가 상기 커넥터(140)로 공급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철탑 도장기(100)는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온도 센서에서 센싱한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컴프레서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량이 달라지도록 상기 컴프레서를 제어할 수 있다. 기온에 따라 도료탱크(120)에 저장된 도료에 공급되어야 하는 공기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프로세서는 온도 센서가 센싱한 온도에 근거하여 컴프레서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온이 높은 경우에는 기온이 낮은 경우보다 모터의 회전수가 더 적어질 수 있다. 메모리에는 특정 온도에 대응하는 모터의 회전수를 정의하는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컴프레서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철탑 도장기에 의한 도장이 종료되는 경우, 철탑 도장기는 세척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세척 기능은 도료가 아닌 세척액을 이용하여 철탑 도장기 내부를 세척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세척액은 신나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세척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온도 센서가 센싱한 온도에 근거하여 소정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온도에 따라 소정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소정 시간은 세척 기능이 실행되는 시간을 의미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정 시간동안 상기 커넥터(140)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컴프레서(110)를 제어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컴프레서(140)를 오프시킨다. 도료탱크(120)에 저장된 세척액은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컴프레서(110)에서 공급하는 공기와 섞여 상기 붓솔(13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며, 이를 통해 철탑 도장기(100) 내부에 남아있는 도료를 세척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탑 도장기의 가변형 붓솔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기 붓솔(130)에서 상기 붓솔부(134)는 상기 지지대(132)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붓솔부(134)는 상기 수용부(134)에 대하여 어떤 부분이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혼압액을 공급받는 유효부분과 혼압액을 공급받지 못하는 무효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유효부분에만 상기 수용부(136)를 통해 혼압액이 공급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크기만큼 붓솔부(134)를 이동시켜 유효부분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도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형 철탑 도장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의자형 철탑 도장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탑 도장기는 의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착석할 수 있는 의자(또는, 작업자 지지대)에 철탑 도장기의 구성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의 하단에는 컴프레서, 배터리, 커넥터, 온/오프 스위치, 충전 콘센트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는 온/오프 스위치를 이용하여 콤프레서를 제어할 수 있고, 속도조절용 스위치를 이용해 도료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작업 중 붓 또는 롤러 이외의 작업장비는 지지대(시트) 부착형으로 거치하기 때문에, 작업환경이 개선된다.
상기 의자는 철탑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구명중에 고정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안전벨트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인체공학적 작업자 지지대 및 안전벨트를 통한 작업자 안전 확보가 가능해진다.
의자를 지탱하는 복수의 의자 발들에는 도료 탱크로 페인트를 공급하는 페이트통이 설치될 수 있다. 도료 탱크에 기준보다 작은 도료가 남은 경우, 펌프에 의하여 페이트통의 도료가 도료 탱크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의 작업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페인트 교체로 소모되는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작업자의 철탑 승하탑 횟수 감소로 노무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작업자는 작업을 종료한 후 페인트통을 청소용통으로 교체하여 철탐 도장기 내부(도료 탱크, 호스 등)에 대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친환경적이며 스마트한 철탑 도장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료를 공급하는 방법이 개선되기 때문에, 도료 비산이 방지되어 도료 손실율이 저감된다. 시험 결과 페이트통을 소지한 작업자가 직접 도장을 수행하는 경우 약 20%의 도료가 손실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약 5%의 도료가 손실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술한 철탑 도장기에 의하면, 도료 자동공급 및 시공편의성을 통한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도료 자동공급으로 작업여건 변경(도장대상 철탑, 작업자 등)에도 균일한 시공품질이 확보된다. 도료 공급방법 개선을 통한 도료비산 방지로 도료 손실율도 저감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철탑 도장기 110: 컴프레서
120: 도료탱크 130: 붓솔
140: 커넥터 134: 지지대
132: 붓솔부 136: 수용부

Claims (8)

  1. 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탱크;
    상기 컴프레서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도료탱크로 주입하고, 공기와 도료가 혼합된 혼합액을 방출하는 커넥터; 및
    상기 혼압액을 공급하는 붓솔을 포함하는 철탑 도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붓솔은,
    붓솔부;
    상기 붓솔부를 지지하면서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커넥터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혼압액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도장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단면은 아랫변이 윗변보다 긴 사다리꼴 형태이며, 상기 아랫변은 상기 붓솔부와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도장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붓솔부의 일 단은 상기 수용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도장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압액의 흐름에 따라 상기 수용부 내에서 움직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볼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도장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남아있는 혼압액의 용량을 센싱하는 용량 센서; 및
    상기 용량에 근거하여 상기 컴프레서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량이 달라지도록 상기 컴프레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도장기.
  7. 제1항에 있어서,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에서 센싱한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컴프레서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량이 달라지도록 상기 컴프레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도장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세척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온도에 근거하여 소정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소정 시간동안 상기 커넥터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컴프레서를 제어하며, 상기 소정 시간이 지나면 상기 컴프레서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도장기.
KR1020190140423A 2019-11-05 2019-11-05 철탑 도장기 및 그것을 이용한 철탑 도장 방법 KR102272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423A KR102272162B1 (ko) 2019-11-05 2019-11-05 철탑 도장기 및 그것을 이용한 철탑 도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423A KR102272162B1 (ko) 2019-11-05 2019-11-05 철탑 도장기 및 그것을 이용한 철탑 도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362A true KR20210054362A (ko) 2021-05-13
KR102272162B1 KR102272162B1 (ko) 2021-07-05

Family

ID=7591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423A KR102272162B1 (ko) 2019-11-05 2019-11-05 철탑 도장기 및 그것을 이용한 철탑 도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1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2854A (ja) * 1999-04-30 2000-11-14 Mitsubishi Pencil Co Ltd 液体塗布具
KR20060104642A (ko) * 2005-03-31 2006-10-0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도료분사장치
JP2007007545A (ja) * 2005-06-30 2007-01-18 Yasumitsu Kubo 塗装機
JP2014100710A (ja) * 2014-02-19 2014-06-05 C Tekku:Kk 送電鉄塔の素地調整方法、飛散防止方法および飛散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2854A (ja) * 1999-04-30 2000-11-14 Mitsubishi Pencil Co Ltd 液体塗布具
KR20060104642A (ko) * 2005-03-31 2006-10-0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도료분사장치
JP2007007545A (ja) * 2005-06-30 2007-01-18 Yasumitsu Kubo 塗装機
JP2014100710A (ja) * 2014-02-19 2014-06-05 C Tekku:Kk 送電鉄塔の素地調整方法、飛散防止方法および飛散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162B1 (ko) 202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599B1 (ko) 간이식 분무기
CN204531315U (zh) 一种可控自动喷料滚筒
TWI602616B (zh) 流體噴霧裝置之貯槽快速汲取
CN110158986A (zh) 一种建筑加工用墙体开裂修复方法及设备
KR20210054362A (ko) 철탑 도장기 및 그것을 이용한 철탑 도장 방법
CN204656880U (zh) 滚筒式电动刷漆工具
KR20150007776A (ko) 휴대용 페인트 도장용구
JP2007007545A (ja) 塗装機
CN113123573A (zh) 一种墙面涂料喷涂装置
KR101584486B1 (ko) 강재 표면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방법
CN210857910U (zh) 一种建筑用粉刷设备
CN109909102A (zh) 一种便携式自循环喷枪清洗盒
KR200189655Y1 (ko) 페인팅 장치
JP2020124664A (ja) 鉄塔保全方法及び鉄塔保全装置
CN211189214U (zh) 消泡系统
KR200413307Y1 (ko) 이동식 에어리스 도장장치
CN211143648U (zh) 一种墙壁用涂料涂刷装置
CN218167645U (zh) 一种水性聚氨酯面漆用涂料装置
CN109989560A (zh) 一种具有自动上料功能的手持式刷墙机
CN209238221U (zh) 一种可观察储料盒内涂料含量的喷涂设备
CN107366417B (zh) 建筑装修装饰用墙面刷漆装置
CN206343360U (zh) 气压式连续供料涂刷装置
KR102037778B1 (ko) 페인트가 자동으로 분사되는 브러시 장치
CN213683090U (zh) 一种具备搅拌功能的涂刷机
CN210147820U (zh) 一种煤矿采掘用钻头保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