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340A - 가스퍼니스를 포함하는 난방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가스퍼니스를 포함하는 난방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340A
KR20210054340A KR1020190140384A KR20190140384A KR20210054340A KR 20210054340 A KR20210054340 A KR 20210054340A KR 1020190140384 A KR1020190140384 A KR 1020190140384A KR 20190140384 A KR20190140384 A KR 20190140384A KR 20210054340 A KR20210054340 A KR 20210054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gas furnace
detector
burner
ste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수
정용기
하도용
박장희
박한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0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4340A/ko
Publication of KR20210054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3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6/00Combined water and ai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는 케이스, 가스퍼니스, 블로워, 제어부 및 센서부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그 내부에 제1공간이 형성된다. 가스퍼니스는 제1공간에 설치되고, 가스를 연소시켜 주변을 가열한다. 블로워는 제1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킨다. 제어부는 가스퍼니스, 블로워를 제어한다. 센서부는 케이스, 가스퍼니스, 블로워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 상태를 감지해 제어부로 전송한다.

Description

가스퍼니스를 포함하는 난방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HEATING APPARATUS INCLUDING GAS FURN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HEATING APPARATUS THEREOF}
개시되는 내용은 가스퍼니스를 포함하는 난방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퍼니스의 운전 상태를 감지하는 다수 개의 센서를 서로 연동시킴으로써 센싱 오류로 인한 난방중단을 최소화하는 난방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스로(가스퍼니스, gas furnace)는, 겨울철 평균 기온이 약 -20℃또는 그 이하인 지역에서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난장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북미의 경우, 가스퍼니스에 의한 난방 시스템이 전체 난방 시스템의 약 65%를 차지한다. 그리고, 급탕 시스템의 경우 저탕조를 이용한 온수 공급 방식이 전체의 58%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가스퍼니스 및 저탕조는 주로 건물의 지하실이나 다락에 설치된다. 가스퍼니스는 가스를 연료로 난방을 수행한다. 가스퍼니스는 공급되는 가스를 버너에서 연소시키고, 버너에서 가스가 연소되며 발생하는 연소가스의 열을 주변으로 발산시킨다.
가스가 연소해 발생한 연소가스는 소정의 배기라인을 따라 가스퍼니스 내부를 이동한다. 배기라인은 주변의 공기를 덥히고, 가스퍼니스는 배기라인 주변의 공기를 순환시켜 특정 장소의 난방을 수행한다.
하지만, 가스연소를 통해 난방을 수행하면 난방 장소의 현재온도와 희망온도의 차가 큰 경우, 희망온도에 이르기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희망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가스퍼니스의 작동이 단속되는 과정에서 난방공간의 온도를 희망온도와 근사하게 유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가스퍼니스는 가스를 연소하는 장치이므로 안전을 위해 다수 개의 센서들이 구비된다. 종래에는 다수 개의 센서 중 하나의 센서가 불량일 경우 가스퍼니스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설정되었고, 센서를 보수하거나 리셋시키지 않으면 난방을 다시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여러 센서들 중 하나의 센서가 불량이거나, 오작동할 경우 난방을 수행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전술한 관련기술은 발명자가 개시되는 내용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개시되는 내용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개시되는 내용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과제는, 다수 개의 센서 중 하나의 센서가 오작동하거나 불량일 경우 난방을 할 수 없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다른 과제는, 가스퍼니스가 정상 작동 상태임에도 작동이 중단될 수 있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또 다른 과제는, 가스연료와 전기에너지를 모두 사용해 난방을 수행하는 경우 장치의 부피가 커져, 설치를 위해선 넓은 공간을 필요로 했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는 케이스, 가스퍼니스, 블로워, 제어부 및 센서부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그 내부에 제1공간이 형성된다. 가스퍼니스는 제1공간에 설치되고, 가스를 연소시켜 주변을 가열한다. 블로워는 제1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킨다. 제어부는 가스퍼니스, 블로워를 제어한다. 센서부는 케이스, 가스퍼니스, 블로워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 상태를 감지해 제어부로 전송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에서 가스퍼니스는 버너 및 배기라인을 포함한다. 배기라인은 버너에서 연소된 연소가스가 이동하는 통로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에서 센서부는 화염감지기 및 압력감지기를 포함한다. 화염감지기는 버너에 설치되어 버너에서 가스가 연소되며 발생하는 화염을 감지한다. 압력감지기는 케이스 내부 제1공간의 압력을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가스퍼니스의 작동상태를 화염감지기 및 압력감지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감지되는 상태로 판단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에서 센서부는 과열감지기 및 화염유출감지기를 포함한다. 과열감지기는 가스퍼니스에 설치되어 가스퍼니스의 과열 여부를 감지한다. 화염유출감지기는 케이스가 구비되어 버너로부터 외부로 화염이 유출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가스퍼니스의 작동상태를 과열감지기 및 화염유출감지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감지되는 상태로 판단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에서 센서부는 화염유출감지기 및 화염감지기를 포함한다. 화염유출감지기는 케이스에 구비되어 버너로부터 외부로 화염이 유출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화염감지기는 버너에 설치되어 버너에서 가스가 연소되며 발생하는 화염을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가스퍼니스의 작동상태를 화염유출감지기 및 화염감지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감지되는 상태로 판단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의 제어방법은 센서들의 정상 작동 여부를 체크하는 센서체크단계, 센서체크단계를 통해 모든 센서들이 정상 작동할 경우 인듀서, 점화기 및 블로워가 정상 작동되는 정상작동단계, 센서체크단계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정상동작하지 않는 경우 정상운전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비상제어로직 가동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의 제어방법에서 비상제어로직 가동 단계는, 화염감지기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1-1단계, 화염감지기가 고장으로 감지되면 인듀서를 작동시키는 1-2단계, 제1공간의 압력이 상승하는지 감지하는 1-3단계, 1-3단계를 통해 상기 제1공간의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최소 화력으로 상기 가스퍼니스를 운전하는 1-4단계, 1-3단계를 통해 상기 제1공간의 압력이 변화하지 않는 경우 가스퍼니스의 운전을 정지하는 1-5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제2로직가동단계는, 과열감지기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2-1단계, 과열감지기가 고장으로 감지되면 가스퍼니스를 정상 작동 시키는 2-2단계, 블로워의 RPM을 감지하는 2-3단계, 2-3단계를 통해 제1공간의 압력이 하강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가스퍼니스의 작동을 정지하는 2-4단계 및 2-3단계를 통해 제1공간의 압력이 하강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가스퍼니스를 최소화력으로 운전하는 2-5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제3로직가동단계는 화염유출감지기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3-1단계, 화염유출감지기가 고장으로 감지되면 가스퍼니스를 최소화력으로 운전하는 3-2단계, 화염감지기를 통해 버너의 화염을 감지하는 3-3단계 및 3-3단계를 통해 버너에서 화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가스퍼니스의 작동을 중단하는 3-4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여러 센서들을 그룹핑하여 가스퍼니스의 작동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일부 센서가 오작동하거나 불량인 경우에도 난방을 중지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센서들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들을 연계하여 가스퍼니스의 작동상태를 판단하므로 보다 신뢰성이 높은 작동상태 정보를 얻는 장점이 있다.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보다 정확한 가스퍼니스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불필요한 가동의 중단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개시되는 내용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의 구성을 나탄내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제1로직가동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제2로직가동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제3로직가동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개시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시되는 내용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고자 한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의 구성을 나탄내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는 케이스, 가스퍼니스(100) 및 블로워(300)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그 내부에 제1공간이 형성된다. 제1공간은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으로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와 유출되는 출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입구 및 출구는 그 내측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가스퍼니스(100)는 제1공간에 설치된다. 가스퍼니스(100)는 가스연료를 태워 난방을 수행한다. 가스퍼니스(100)는 별도의 가스공급라인을 포함할 수 있고, 가스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된 가스는 버너(130)로 투입된다. 가스연료는 외부로 부터 공급될 수 있다. 버너(130)는 공급되는 가스와 공기를 배합해 연소시킨다. 버너(130)는 하향식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고, 예혼합 연소기(premixed burner)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너(130)는 케이스의 제1공간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버너(130)에 연결된 흡기관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버너(130) 내부로 유입된다. 버너(130)에 연결된 가스공급라인을 통해 외부의 가스연료가 버너(130) 내부로 유입된다.
개시되는 내용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난방 장치(10)는 버너(130)에서 발생한 연소가스가 이동하며 주변으로 열에너지를 발산하는 제1열교환기(110)를 포함한다.
그리고, 버너(130)의 연소를 통해 발생한 열에너지로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물을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120)를 더 포함한다.
제1열교환기(110)는 버너(130)에서 연소를 통해 생성된 연소가스가 내부로 유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열교환기(110)는 연소가스가 이동하는 경로인 배기라인(112)을 포함한다. 배기라인(112)은 내부에 소정의 통로를 포함하고, 그 통로로 배기가스가 이동한다. 배기가스는 버너(130)에서 일어나는 가스 연소를 통해 생성되고, 고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배기라인(112)을 따라 연소가스가 이동하면 배기라인(112) 주변의 공기 온도가 상승한다.
버너(130)가 가스를 연소시키면, 연소가스가 발생하고, 연소가스는 배기라인(112)을 지나면 제1열교환기(110) 주변의 공기를 따뜻하게 한다.
또한, 제2열교환기(120)는 급탕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제2열교환기(120)는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급수라인, 제2열교환기(120)를 경유한 물이 제2열교환기(120)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라인으로 유입되어 배수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물은 제2열교환기(120) 내부에서 열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제2열교환기(120)를 물이 통과하는 경우 물이 열에너지를 흡수해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개시되는 내용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급탕시설이 구현될 수 있다.
제1열교환기(110)의 배기라인(112)은 'U'자 형상으로 굽어질 수 있다. 또는, 주변의 공기와 접하는 단면적이 늘어나도록 그 외형이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가스퍼니스(100), 블로워(300) 등의 작동을 제어한다.
센서부는 가스퍼니스(100), 케이스 및 블로워(300) 등에 구비되고 다수개의 센서로 이루어진다. 센서부는 화염감지기(20), 과열감지기(30), 압력감지기(40) 및 화염유출감지기(50)를 포함한다.
화염감지기(20)는 버너(130)에서 일어나는 연소를 감지한다. 가스가 연소되어 발생하는 화염을 감지하고, 감지한 정보를 제어부(60)로 전송한다.
과열감지기(30)는 버너(130), 케이스 내부의 제1공간, 블로워(300) 중 적어도 한 곳의 온도를 감지하고, 미리 정해진 온도보다 높은 온도가 감지될 경우 이를 제어부(60)로 전송한다.
압력감지기(40)는 제1공간의 압력을 감지한다. 압력감지기(40)는 제1공간에 설치되는 압력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블로워(300)의 RPM을 계측함으로써 제1공간의 압력을 산출해 낼 수도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개시되는 내용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다른 다양한 형태 및 방법으로 제1공간의 압력이 계측될 수 있을 것이다.
화염유출감지기(50)는 버너(130)에서 가스가 연소되는 상태에서 연소로 인한 화염이 버너(130) 외부로 유출되는지를 감지하고, 감지한 정보를 제어부(60)로 전송한다.
제어부(60)는 화염감지기(20), 과열감지기(30), 압력감지기(40) 및 화염유출감지기(50) 중 적어도 두 개의 센서를 그룹핑하여 감지된 정보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염감지기(20) 및 과열감지기(30)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함께 입력받아 판단한다. 화염감지기(20)가 고장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압력감지기(40)의 정보를 통해 화염감지기(20)를 대체할 수도 있다.
이는 하나의 센서가 고장이거나 오작동할 경우 가스퍼니스(100)를 중단시킨다면, 난방장치의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함이다.
도 3 및 도 4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의 제어방법은 센서들의 정상작동 여부를 체크(S10), 인듀서 가동(S20), 점화기ON(S30), 점화(S40) 및 블로워(300) 동작(S50)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센서들의 정상 작동 여부를 체크하는 센서체크단계(S100), 센서체크단계(S100)를 통해 모든 센서들이 정상 작동할 경우 인듀서, 점화기 및 블로워(300)가 정상 작동되는 정상작동단계(S120), 센서체크단계(S11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정상운전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비상제어로직 가동단계(S130)를 포함한다.
도 5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제1로직가동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제2로직가동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7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제3로직가동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제어로직 가동단계(S130)는 제1로직가동단계(S200), 제2로직가동단계(S300), 제3로직가동단계(S400)를 포함한다.
제1로직가동단계(S200)는 화염감지기(20)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1-1단계(S210), 화염감지기(20)가 고장으로 감지되면 인듀서를 작동시키는 1-2단계(S220), 제공간의 압력이 상승하는지 감지하는 1-3단계(S230), 1-3단계(S230)를 통해 제1공간의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최소 화력으로 가스퍼니스(100)를 운전하는 1-4단계(S240), 1-3단계를 통해 제1공간의 압력이 변화하지 않는 경우 가스퍼니스(100)의 운전을 정지하는 1-5단계(S250)를 포함한다.
제2로직가동단계(S300)는 1-1단계(S210)를 통해 화염감지기(20)가 정상인 경우 실해된다.
제2로직가동단계(S300)는 과열감지기(30)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2-1단계(S310), 과열감지기(30)가 고장으로 감지되면 가스퍼니스(100)를 정상 작동시키는 2-2단계(S320), 블로워(300)의 RPM을 감지하는 2-3단계(S330), 2-3단계(S330)를 통해 제1공간의 압력이 하강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가스퍼니스(100)의 작동을 정지하는 2-4단계(S340), 2-3단계(S330)를 통해 제1공간의 압력이 하강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가스퍼니스(100)를 최소화력으로 운전하는 2-5단계(S350)를 포함한다.
제3로직가동단계(S400)는 2-1단계(S310)을 통해 과열감지기(30)가 정상인 경우 실행된다.
제3로직가동단계(S400)는 화염유출감지기(50)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3-1단계(S410), 화염유출감지기(50)가 고장으로 감지되면 가스퍼니스(100)를 최소화력으로 운전하는 3-2단계(S420), 화염감지기(20)를 통해 버너(130)의 화염을 감지하는 3-3단계(S430), 3-3단계(S430)를 통해 버너(130)에서 화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가스퍼니스(100)의 작동을 중단하는 3-4단계(S440)를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개시되는 내용의 실시예들이 도면과 함께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도면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진 않는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개시되는 내용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개시되는 내용의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개시되는 내용의 구성에 따른 작용이나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들까지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난방 장치
20: 화염감지기 30: 과열감지기
40: 압력감지기 50: 화염유출감지기
60: 제어부
100: 가스퍼니스 110: 제1열교환기
120: 제2열교환기 130: 버너
300: 블로워

Claims (9)

  1. 내부에 제1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제1공간에 설치되고, 가스를 연소시켜 주변을 가열하는 가스퍼니스;
    상기 제1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송풍하는 블로워;
    상기 가스퍼니스 및 상기 블로워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케이스, 상기 가스퍼니스, 상기 블로워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 상태를 감지해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난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퍼니스는,
    버너; 및
    상기 버너에서 연소된 연소가스가 이동하는 통로인 배기라인;을 포함하는,
    난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버너에 설치되어 상기 버너에서 가스가 연소되며 발생하는 화염을 감지하는 화염감지기; 및
    상기 케이스 내부 상기 제1공간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퍼니스의 작동상태를 상기 화염감지기 및 상기 압력감지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감지되는 상태로 판단하는,
    난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가스퍼니스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퍼니스의 과열 여부를 감지하는 과열감지기;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버너로부터 외부로 화염이 유출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화염유출감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퍼니스의 작동상태를 상기 과열감지기 및 상기 화염유출감지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감지되는 상태로 판단하는,
    난방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버너로부터 외부로 화염이 유출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화염유출감지기; 및
    상기 버너에 설치되어 상기 버너에서 가스가 연소되며 발생하는 화염을 감지하는 화염감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퍼니스의 작동상태를 상기 화염유출감지기 및 상기 화염감지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감지되는 상태로 판단하는,
    난방 장치.
  6. 센서들의 정상 작동 여부를 체크하는 센서체크단계;
    상기 센서체크단계를 통해 모든 센서들이 정상 작동할 경우 인듀서, 점화기 및 블로워가 정상 작동되는 정상작동단계; 및
    상기 센서체크단계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정상동작하지 않는 경우 정상운전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비상제어로직 가동 단계;를 포함하는 난방 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제어로직 가동 단계는,
    화염감지기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1-1단계;
    화염감지기가 고장으로 감지되면 인듀서를 작동시키는 1-2단계;
    제1공간의 압력이 상승하는지 감지하는 1-3단계;
    상기 1-3단계를 통해 상기 제1공간의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최소 화력으로 상기 가스퍼니스를 운전하는 1-4단계;
    상기 1-3단계를 통해 상기 제1공간의 압력이 변화하지 않는 경우 가스퍼니스의 운전을 정지하는 1-5단계;를 포함하는
    난방 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1단계를 통해 상기 화염감지기가 정상인 경우 실행되는 제2로직가동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로직가동단계는,
    과열감지기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2-1단계;
    상기 과열감지기가 고장으로 감지되면 상기 가스퍼니스를 정상 작동 시키는 2-2단계;
    블로워의 RPM을 감지하는 2-3단계;
    상기 2-3단계를 통해 상기 제1공간의 압력이 하강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가스퍼니스의 작동을 정지하는 2-4단계; 및
    상기 2-3단계를 통해 상기 제1공간의 압력이 하강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가스퍼니스를 최소화력으로 운전하는 2-5단계;를 포함하는
    난방 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1단계를 통해 상기 과열감지기가 정상인 경우 실행되는 제3로직가동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로직가동단계는,
    화염유출감지기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3-1단계;
    상기 화염유출감지기가 고장으로 감지되면 상기 가스퍼니스를 최소화력으로 운전하는 3-2단계;
    상기 화염감지기를 통해 상기 버너의 화염을 감지하는 3-3단계; 및
    상기 3-3단계를 통해 상기 버너에서 화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가스퍼니스의 작동을 중단하는 3-4단계;를 포함하는,
    난방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90140384A 2019-11-05 2019-11-05 가스퍼니스를 포함하는 난방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10054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384A KR20210054340A (ko) 2019-11-05 2019-11-05 가스퍼니스를 포함하는 난방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384A KR20210054340A (ko) 2019-11-05 2019-11-05 가스퍼니스를 포함하는 난방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340A true KR20210054340A (ko) 2021-05-13

Family

ID=75913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384A KR20210054340A (ko) 2019-11-05 2019-11-05 가스퍼니스를 포함하는 난방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43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2553B2 (ja) 燃焼装置
KR101562241B1 (ko) 연소기기의 배기온도 검출센서 빠짐 검지방법
CN110567160B (zh) 防止壁挂炉爆燃的方法
KR101322619B1 (ko) 차압센서를 이용한 가스압 저하검출방법
KR100679818B1 (ko) 보일러의 과열방지 장치 및 방법
KR20210054340A (ko) 가스퍼니스를 포함하는 난방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38569B1 (ko)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KR101941912B1 (ko) 급기온도와 송풍팬 전류치를 이용한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KR20150137570A (ko) 콘덴싱 보일러의 비 응축 운전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45653A (ko) 보일러의 연소제어 시 안전제어방법
KR101925371B1 (ko) 보일러의 안전 연소 시스템
KR101322616B1 (ko) 차압센서를 이용한 가스압 저하검출방법
KR101797649B1 (ko) 배기 온도 기반의 난방 제어방법
JP4059100B2 (ja) ボイラの監視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502573B2 (ja) 燃焼制御装置
KR102475160B1 (ko) 보일러의 난방 배관 막힘 시 연소 제어 방법
JP4045890B2 (ja) 給湯機の制御装置
JP2016114311A (ja) 温水ボイラ
US20220341601A1 (en) Furnace monitoring and control based on rate of flue gas temperature change
KR100245420B1 (ko) 가스보일러의 온수과열방지방법
JP2022098719A (ja) 給湯装置
KR101592174B1 (ko) 보일러의 과열방지방법
KR100717118B1 (ko) 풍압센서를 이용한 공기비례제어식 보일러에서의 호스 이탈감지방법
JPH05118545A (ja) 燃焼機器
JP6301167B2 (ja) パージ監視装置を持った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