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185A -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 - Google Patents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185A
KR20210054185A KR1020190139994A KR20190139994A KR20210054185A KR 20210054185 A KR20210054185 A KR 20210054185A KR 1020190139994 A KR1020190139994 A KR 1020190139994A KR 20190139994 A KR20190139994 A KR 20190139994A KR 20210054185 A KR20210054185 A KR 20210054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ength
stopper
sides
clip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4272B1 (ko
Inventor
민병옥
Original Assignee
민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옥 filed Critical 민병옥
Priority to KR1020190139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27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4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04F13/0807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배수판 또는 SMC, 칼라강판 등의 벽면 마감재(이하 벽체 배수판이라 칭함)를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클립바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구조의 지지대로 다단의 연결에 의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몸체(10)의 일측에 클립바와 같은 지지물을 결합하는 결합부(20)와,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치열(112)과,
상기 몸체(10)에 포개어 밀착 결합되는 타 몸체의 치열(112)에 대응 치합하는 멈춤치(122)를 구비하여 선택적 위치고정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120),
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CLIP BAR SUPPORT}
본 발명은 벽체 배수판 또는 SMC, 칼라강판 등의 벽면 마감재(이하 벽체 배수판이라 칭함)를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클립바와 같은 지지물을 지지하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구조의 지지대로 다단의 연결에 의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체배수판을 벽면에 설치하는 방법 중 클립바를 기반으로하는 모델이 있다.
즉, 벽체 배수판의 둘레에 클립바의 탄성슬롯에 압입되는 압입편을 설치하여 벽면에 클립바를 설치한 후 상기 클립바의 탄성슬롯에 압입편을 압입하여 배수판을 설치한다.
벽체 배수판 설치를 위한 클립바를 시공방법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클립바를 벽면에 밀착시켜 설치하는 것과 클립바를 벽면과 일정간격 이격시켜 설치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클립바를 벽면에 밀착시켜 설치하는 방법은, 말그대로 클립바를 벽면에 밀착시킨 후 양 날개부에 못을 타정하여 벽면에 고정하는 방법이다. 이는 벽면의 평활도가 양호한 경우에 적용한다.
그 외에 벽면으로부터 클립바를 이격시켜 설치하는 방법이 있는데, 첫째 벽면과 근접한 상하 슬라브에 런너를 타정 설치하고, 이에 클립바의 상하단을 삽입하는 방식이 있다.
하지만 이 방식은 클립바의 단면이 가늘어 힘을 가하면 쉽게 휘어져 벽체 배수판의 설치가 불가하다.
따라서 클립바가 휘지 않도록 보강이 필요하다.
클립바가 휘지 않도록 보강하는 방법으로 첫째 클립바의 단면을 확장하여 버팀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 방법은 클립스터드 제조를 위한 별도 금형을 제작하여 별도 생산하여야 하기 때문에 재료비 및 가공비 인건비 등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클립바가 휘지않도록 보강하는 두번째 방법으로는, 벽면에 칼블럭을 박고 이에 길이조절 가능한 지지대를 설치한 후 이 지지대에 클립바를 결합하여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 방법은 도 11과 같이 칼블럭을 박기 위해 벽면에 일일이 드릴로 구멍을 뚫고, 이에 너트형 몸체(60)를 칼블럭으로 박아 고정한 후 볼트형 몸체(50)를 체결하고 각 볼트형 몸체(50)의 단부의 돌출길이를 나사회전으로 조절한 후 그 선단에 형성된 클립바 클립(52)에 클립바를 설치하는 공정으로 설치한다.
이와 같이 여러가지 공정을 수행해야 하고, 또 길이조절을 위한 너트형몸체(60), 볼트형 몸체(50)가 필요하고, 또 길이의 확장이 더 필요할 때에는 일측은 너트(72) 타측은 볼트(74)로 이루어진 길이별 중간 연결재(70) 등과 같은 각종 부품들이 더 필요하게 되므로 각각의 금형제작비용, 제품 제조비용 등이 상승하게 되고, 또 설치시 길이조절을 위한 다수의 나사회전 및 각 몸체의 조립을 위한 나사회전 등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그에 따른 인건비 상승 등 결국 최종 설치단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별도의 부품없는 한 패턴의 구조로된 한 몸체로 클립바와 같은 지지물을 독립적 또는 다단 연결로 신속간편하게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몸체의 일측에 클립바와 같은 지지물을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치열과,
상기 몸체에 포개어 밀착 결합되는 타 몸체의 치열에 대응 치합하는 멈춤치를 구비하여 선택적 위치고정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 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치열은 상기 몸체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몸체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대.
상기 치열은 상기 몸체 중앙부에 절결홈을 형성하고,
상기 절결홈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치열을 형성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결합되는 타 몸체의 양측을 지지 및 안내하는 사이드 지지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이드 지지부에는 밀착 연결되는 타측 몸체의 양측에 걸림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를 상기 몸체의 양측에 대향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든 각 구성요소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단 금형에 의해 성형되는 아주 단순 심플한 구조이어서, 제조를 위한 금형제작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금형 추출시간이 빨라져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하나의 금형만 제작하면 되므로 초기 제품 제조비용이 대폭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조절시 복수의 몸체를 맞대응 밀착시키면 각 몸체의 가이드가 서로의 몸체를 지지하여 견고하게 서로를 연결하고, 상기 탄성대를 통해 상기 스토퍼를 후퇴시켜 선택적 위치에 치열을 맞물림하여 위치를 고정하므로 연결을 위한 조작이 매우 신속간편하고, 이러한 길이조절 작업을 통한 전체 클립바 설치 공정이 매우 신속하고 간편한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여타의 부품없이 하나의 패턴으로된 몸체를 다단으로 연결하여 길이조절 기능이 완벽히 수행되므로 부품관리가 매우 용이해지고, 제조단가가 매우 저렴한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에서 시공까지의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 지지대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 지지대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 지지대의 연결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 지지대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지지대에 클립바가 결합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 지지대 입체도
도 7은 도 5의 길이조절 지지대 연결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 지지대의 구조도.
도 9는 도 8의 길이조절 지지대 연결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 지지대의 구조도.
도 11은 도 10의 길이조절 지지대의 연결 상태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 지지대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 지지대의 평면도이고,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 지지대의 연결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 지지대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지지대에 클립바가 결합된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 지지대 입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길이조절 지지대 연결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 지지대의 구조도이고, 도 9은 도 8의 길이조절 지지대 연결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 지지대의 구조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길이조절 지지대의 또 다른 연결 상태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길이조절 지지대는,
길이를 갖는 몸체(10)와 그 일측 단부에 클립바(30)와 같은 지지물을 결합하는 결합부(20)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몸체(10)에는 톱니(도 10, 도 11 참조) 또는 기어치 등과 같은 치열(112)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타 몸체의 치열(112)에 치합되어 길이에 선택에 따라 위치를 고정하는 스토퍼(120)을 구성한다.
상기 스토퍼(120)는 상기 치열(112)에 치합되는 멈춤치(122)를 구비하며, 연결을 위해 상기 몸체(10)에 포개어 밀착 결합되는 타 몸체의 치열(112)에 대응 치합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치열(112)(112')은 도 6, 도 7과 같이 몸체(10)의 일측 양측 사이드부에 구성할 수도 있고, 도 1, 도 2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 몸체(10)의 일측 또는 양측 사이드부에 상기 치열(112')을 형성할 경우에는 이와 대응되는 상기 스토퍼(120') 또한 상기 몸체(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하고,(도 6, 도 7참조)
상기 몸체(10)의 중앙부에 상기 치열(112)을 형성할 경우에는 이와 대응되는 상기 스토퍼(120) 또한 상기 몸체(10)의 중앙부에 구비한다.(도 1 내지 도 5 참조, 도 8 내지 도 11 참조)
이때, 상기 스토퍼(120)(120')의 멈춤치(122)(122')는 연결되는 타 몸체(10)를 밀착 연결했을 때 상기 밀착 몸체(10)의 치열(112)(112')에 맞물림되는 곳에 위치하며,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몸체(10)의 양측(폭방향)에는 연결되는 타 몸체(10)의 양측을 지지 및 안내하는 사이드 지지부(130)를 구성한다. 또 상기 사이드 지지부(130)는 연결되는 타 몸체(10)가 삽입될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되며, 그 단부에는 삽입 밀착된 타측 몸체(10)의 양측을 걸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132)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걸림턱(132)의 간격은 몸체(10)의 폭보다 좁아 상기 사이드 지지부(130)는 탄성결합한 후 걸림턱(132)에 의해 서로 이탈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20)에는 도 5와 같이 클립바(30)의 날개부(310)를 탄성결합하여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하는 결합홈(21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20)에는 상기 타측 몸체가 삽입 안내되는 지지부(220)를 형성한다. 즉, 결합되는 상기 타측 몸체(10)를 수용하여 슬라이딩 이동시 정해진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지지부(220)는 타 몸체(10)를 연결할 때 연결되는 상기 몸체(10)가 결합부(20)가 동일한 방향을 취하도록 하여 연결할 때 필요하다.(도 3의 (b)참조)
상기 결합부(20)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결할 때에는 서로의 몸체(10)를 일측 몸체(10)의 사이드 지지부(130)로 통과해야 하는데, 이때 지지부(220)지지 및 안내해줌으로 더욱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이드 지지부(130), 스토퍼(120), 결합부(20)는 도 10, 도 11과 같이 상기 몸체(10)의 전후단에 쌍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결합부(20)가 쌍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연결시 연결되는 각 몸체(10)의 결합부(20)를 마주보게 한 후 그 중 일측 몸체(10)를 직각으로 축회전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하면 서로의 결합부(20)의 결합홈(210)이 서로의 결합부(20)를 물어 결합하므로 또다른 연결방법을 제시한다. 즉, 결합부(20)와 결합부(20)가 직각으로 대응하여 서로를 물어 고정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본 발명 길이조절 지지대는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다단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연결 패턴은 상기 각 몸체(10)의 스토퍼(120)와 사이드 지지부(130)가 서로 대향되도록하여 밀착 결합한다. 이때 각 몸체(10)의 방향은 결합부(20)가 동향을 이루도록 하여도 되고, 그 반대 방향을 취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먼저 독립적으로 사용할 때에는, 상기 몸체(10)를 그대로 활용하거나 또는 재단하여 사용한다.
재단하여 사용할 때에는 길이를 정확히 측정하여 재단함으로써 재단된 부위의 사용이 필요없거나 또는 재단된 부분을 사용하여 소폭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사용한다.
즉, 결합부(20)가 있는 쪽을 F부, 그 반대쪽 R부라 할 때, 몸체(10)를 재단하여 나누어진 R부를 뒤집어 양측 사이드 지지부(130)를 F부의 후미부에 위치시킨 후 강제 밀착시키거나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F부의 후미부가 R부 양측의 사이드 지지부(13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사이드 지지부(130) 사이의 내측지지부(150)가 F부 후단의 절결홈(110) 내에 위치하여 F부의 후단이 내측으로 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스토퍼(120)가 상기 치열(112)에 치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만일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토퍼(120)를 후퇴시켜 치열(112)로부터 분리시킨 후 특정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원하는 위치로 스토퍼(120)를 이동시켜 상기 치열(112)로 압박하여 누르게 되면 스토퍼(120)의 치열(132)이 치열(132)에 강제 삽입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 길이조절 지지대를 다단으로 연결하여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각 몸체(10)를 상호의 상기 스토퍼(120) 또는 사이드 지지부(130)가 마주보도록 하여 상기 치열(112)과 스토퍼(120)의 멈춤치(132)를 선택하여 위치를 결정하 후 서로의 몸체(10)를 압박하여 밀착시키면 스토퍼(120)의 멈춤치(122)는 치열(112)에 치합되고, 각 몸체(10)의 사이드 지지부(130)는 벌어지면서 서로의 몸체(10)를 수용한 후 탄성에 의해 오무려지면서 걸림턱에 의해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되는 본 발명 길이조절 지지대는, 연결되는 각 몸체(10)들의 방향을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반대방향으로 위치시켜 연결하여도 동이한 연결을 할 수가 있다. 단, 몸체(10)를 동일방향으로 위치시키면 한 몸체(10)의 상기 사이드 지지부(130)와 제3지지부(220)가 서로의 몸체(10)를 지지하게 되고, 몸체(10)를 반대방향으로 위치시켜 연결을 하면 각 몸체(10)의 사이드 지지부(130)가 서로를 이중으로 지지하므로 더욱더 견고한 연결을 할 수 있다.
10 - 몸체 110 - 절결홈
112 - 치열 120 - 스토퍼
122 - 멈춤치 130 - 사이드 지지부
132 - 걸림턱 20 - 결합부
210 - 결합홈 30 - 클립바
310 - 날개부

Claims (9)

  1. 몸체(10)의 일측에 클립바와 같은 지지물을 결합하는 결합부(20)와,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치열(112)과,
    상기 몸체(10)에 포개어 밀착 결합되는 타 몸체의 치열(112)에 대응 치합하는 멈춤치(122)를 구비하여 선택적 위치고정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120),
    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열(112)은 상기 몸체(10)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하고,
    상기 스토퍼(120)는 상기 몸체(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열(112)은 상기 몸체(10) 중앙부에 절결홈(110)을 형성하고,
    상기 절결홈(110)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치열(112)을 형성하고,
    상기 스토퍼(120)는 상기 몸체(10)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결합되는 타 몸체의 양측을 지지 및 안내하는 사이드 지지부(13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지지부(130)에는 밀착 연결되는 타측 몸체의 양측에 걸림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13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몸체(10)의 전후부에 대향되게 쌍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20)는 상기 몸체(10)의 전후부에 쌍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몸체(10)의 전후부에 쌍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대.

  9. 제 1 항에 있어서,
    길이조절을 위한 두 몸체(10)의 연결은, 대향되는 상기 스토퍼(120)를 회피하도록 상기 각 몸체(10)를 맞대응 밀착시켜 상기 사이드 지지부(130)가 서로의 몸체(10)를 이탈하지 않도록 껴안 듯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대.
KR1020190139994A 2019-11-05 2019-11-05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 KR102394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994A KR102394272B1 (ko) 2019-11-05 2019-11-05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994A KR102394272B1 (ko) 2019-11-05 2019-11-05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185A true KR20210054185A (ko) 2021-05-13
KR102394272B1 KR102394272B1 (ko) 2022-05-04

Family

ID=7591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994A KR102394272B1 (ko) 2019-11-05 2019-11-05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2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93174A1 (de) * 2022-06-13 2023-12-20 Ulrich Wagner Wandkonsole für eine vorgehängte hinterlüftete fassade und vorgehängte hinterlüftete fassa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799B1 (ko) * 2013-09-09 2013-12-16 김성주 지하 건축 구조물의 차수벽
KR101656247B1 (ko) * 2015-11-20 2016-09-09 배용웅 요철 슬라이드 단열재 고정 유지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799B1 (ko) * 2013-09-09 2013-12-16 김성주 지하 건축 구조물의 차수벽
KR101656247B1 (ko) * 2015-11-20 2016-09-09 배용웅 요철 슬라이드 단열재 고정 유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93174A1 (de) * 2022-06-13 2023-12-20 Ulrich Wagner Wandkonsole für eine vorgehängte hinterlüftete fassade und vorgehängte hinterlüftete fassa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272B1 (ko)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36118A (en) Adjustable work support assembly
US5349802A (en) Positioner/fastener
CA2645824C (en) Improved connections for suspended ceiling system
WO2009127549A1 (de) Beschlagaufbau und verfahren zur höhenrichtigen montage einer dekorplatte an einer tür eines haushaltsgeräts
KR20210054185A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대
US4230382A (en) Plastics drawer for furniture
EP1790794A2 (de) Befestigungsteil zur Fixierung von Abdeckpaneelen an einer Unterkonstruktion
US4111080A (en) Staple fastening tool
KR20200066234A (ko) 패널용 커플링 유닛
KR102394275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클립바 지지대
KR20100083063A (ko) 가변형 거푸집 패널
US3943675A (en) Grating
JPH04221511A (ja) 家具の引出し部分に正面仕上げ部材を連結する装置
KR20210071397A (ko) 길이 조절 클립바 지지대
EP1852340B1 (en) Fastener particularly for a supporting rod and fender
EP1867562B1 (en) Fastener for a fender and a supporting rod of cycles
CN113646496A (zh) 用于竖直浇筑件的模板的夹具
WO2007138634A2 (en) A system for connecting pvc, wood or aluminium coverings to metal profiles
EP1197617B1 (de)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Distanzhalters an einem Anschlusseisen
KR101688826B1 (ko)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장롱의 마감장치
US4552415A (en) Adjustable drawer mounting assembly
DE4428412A1 (de) Haltebügel für Schalungen
KR100323658B1 (ko) 경편기의 바에 활성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및 활성요소를 제거 및 설치하기 위한 부속의 공구
JP5065750B2 (ja) アンカーボルトの保持具
WO2012098231A1 (en) Canvas-covered frame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